KR200487701Y1 -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01Y1
KR200487701Y1 KR2020180001101U KR20180001101U KR200487701Y1 KR 200487701 Y1 KR200487701 Y1 KR 200487701Y1 KR 2020180001101 U KR2020180001101 U KR 2020180001101U KR 20180001101 U KR20180001101 U KR 20180001101U KR 200487701 Y1 KR200487701 Y1 KR 200487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frame
hinge
doo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성
박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는 바닥 프레임(100); 상기 바닥 프레임의 전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농산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200); 상기 바닥 프레임의 좌우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농산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300); 상기 바닥 프레임의 모서리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져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 브라켓(400); 및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각각은 상하단 상에 이격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이격 배치된 수평프레임의 양단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을 상하로 연결하는 보조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상에 배치된 완충 부재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배제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쌍의 보조 수직프레임을 가장자리로 한 상태에서 수평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Foldable container specially used for storage of agricultural products}
본 고안은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기술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를 이루는 철제 프레임 상에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완충 부재를 구비하게 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농산물의 안정적인 보관을 가능하게 한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란 철판으로 형성된 큰 상자 형태로서 화물 수송에 주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는 화물을 보관하고 운반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안에 들어 있는 화물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는 전용으로 사용되는 큰 화물차량에 의해 낱개로 운송되거나 전용 열차 또는 전용 선박에 의해 다량으로 운송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는 일정 규격을 갖춘 크기로 이루어져 운송이 쉬울 뿐만 아니라, 안에 들어 있는 화물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런데, 이러한 컨테이너는 강철 소재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내부에 화물을 실은 상태에서나 내부가 비워진 상태에서나 똑같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빈 컨테이너를 보관하거나 수송하는 경우에도 내부에 화물을 운송하는 때와 동일한 용적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빈 컨테이너 상태에서는 컨테이너를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전 세계적으로 빈 컨테이너를 나르기 위해 드는 비용은 연간 8조원 안팎으로 추정되고, 우리나라도 연간 4,000억원 가량을 소요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빈 컨테이너의 운송을 합리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ERD창고를 이용하여 공컨테이너의 트럭운송회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더욱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접이식 컨테이너와 같은 대안수단을 개발 및 활용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컨테이너를 접이식으로 설계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을 저감하는 기술을 개발함에 따라 상기의 물류 비용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빈 컨테이너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등록특허번호 제10-1064803호를 참조하면, 벨트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측벽을 접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있는데, 컨테이너의 측벽을 상하로 분할한 후 이들 가운데를 힌지로 연결하고 있으며, 측벽을 접기 위해서는 벨트를 양측벽에 부착시키고, 상기 벨트를 당겨서 측벽의 가운데 부분을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이동시켜서 컨테이너를 접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컨테이너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종래의 컨테이서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1317호에서는 좌우측 프레임과 전후방측 프레임의 내측에 탄성시트를 설치하고, 베이스의 상면에 탄성패드를 설치하여 수박의 적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한 상태에서 수박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한편, 종래의 컨테이너는 농산물을 적재 및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작물의 외면이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충돌하게 되는 과정에서 크게 훼손되어 제품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1064803 B
(특허문헌 2) KR10-0831317 B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컨테이너를 이루는 철제 프레임 상에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완충 부재인 PET 밴드, 위빙 끈, 타포린 망, 톤백망 등을 단독 내지 혼합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농산물의 안정적인 보관을 가능하게 한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철제 프레임으로 구성된 컨테이너 상에 보관된 농산물이 상기 철제 프레임에 충돌 내지 마찰을 일으키는 과정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품질 저하의 방지 및 통풍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는 바닥 프레임(100); 상기 바닥 프레임의 전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농산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200); 상기 바닥 프레임의 좌우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농산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300); 상기 바닥 프레임의 모서리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져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 브라켓(400); 및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각각은 상하단 상에 이격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이격 배치된 수평프레임의 양단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을 상하로 연결하는 보조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상에 배치된 완충 부재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배제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쌍의 보조 수직프레임을 가장자리로 한 상태에서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완충 부재(500)는 상기 한쌍의 보조 수직프레임을 가장자리로 한 상태에서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는 완충 밴드(510) 및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내측 또는 외측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완충 밴드(510)에 의해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상에 밀착 배치되는 완충 망(52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이 위치하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받침부(130); 및 상기 바닥 프레임의 바깥쪽에서 내측 하방향으로 다단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하측에 배치되는 측면 수평프레임(310); 및 상하측으로 배치된 상기 측면 수평프레임의 양측 종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고정홀이 형성된 측면 수직프레임(320);을 구비하고, 상기 측면 수직프레임은, 상측 종단이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면 수평프레임의 상측면보다 높게 돌출형성되는 스토퍼(321);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도어 프레임(210); 및 상기 제1 도어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에 상기 제1 도어 프레임과 함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도어 프레임(220);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도어 프레임은, 상기 도어 프레임을 단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측면이 상기 제2 도어 프레임의 상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는 컨테이너를 이루는 철제 프레임 상에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완충 부재인 PET 밴드, 위빙 끈, 타포린 망, 톤백망 등을 단독 내지 혼합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농산물인 안정적인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은 PET 밴드 내지 위빙 끈의 개수 및 간격 조절을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를 이루는 철제 프레임 상에서 PET 밴드 내지 위빙 끈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철제 프레임과 내용물 간의 접촉을 최소화시키면서 통풍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은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철제 프레임의 최외곽 관이 아닌 내측 관에 PET 밴드 내지 위빙 끈을 적용함으로써 좌우측 프레임과 전후방 프레임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방지한다.
한편, 본 고안은 컨테이너를 이루는 철제 프레임의 내측에 톤백망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톤백망을 PET 밴드 내지 위빙 끈을 이용하여 철제 프레임 상에 고정하는 구조를 통해 농산물과 철과의 접촉을 최소화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상에 보관된 농작물과 컨테이너 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완충 부재를 배치한 상태를 보인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2의 완충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바닥 프레임 및 힌지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을 'A' 방향에서 바라 보았을 때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용 접이식컨테이너의 도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측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용 접이식 컨테이너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용 접이식 컨테이너(10)는 바닥 프레임(100), 도어 프레임(200), 측면 프레임(300), 힌지 브라켓(400) 및 도어 프레임(200)과 측면 프레임(300) 상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 프레임(1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보강구조를 구비한다. 도어 프레임(200) 및 측면 프레임(300)은 내부에 보강구조를 구비하고, 바닥 프레임(100)의 둘레 전후측 및 좌우측에서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농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힌지 브라켓(400)은 바닥 프레임(100)의 각 모서리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연장되며, 도어 프레임(200)과 측면 프레임(300)이 바닥 프레임(100)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200)은 전방 및 후방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측면 프레임(300)은 좌우측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앞뒤, 좌우측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프레임(200)과 측면 프레임(300)은 힌지 브라켓(400)에서 회동하면서 바닥 프레임(100)을 향하여 접혀지도록 구동됨으로써 도 6과 같이 농산물을 이동하는 수단이 아닌 상태에서 콤팩트하게 접혀지므로써 이송 및 보관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 바닥 프레임(100), 도어 프레임(200) 및 측면 프레임(300) 및 힌지 브라켓(40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상에 보관된 농작물과 컨테이너 간의 접촉 방지 및 농작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완충 부재를 배치한 상태를 보인다.
완충 부재(500)는 도어 프레임(200)과 측면 프레임(300) 상에 각각 배치되어지되, 상기 도어 프레임(200)과 측면 프레임(300) 간의 접촉 및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정된다.
완충 부재(500)는 제1 도어 프레임(210)을 이루는 양측의 도어 수직프레임(212)을 배제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수직프레임(212)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쌍의 보조 수직프레임(213)을 가장자리로 한 상태에서 수평한 상태로 탄력적인 상태로 배치되는 완충 밴드(510) 및 제1 도어 프레임(210)의 내측 또는 외측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완충 밴드(510)에 의해 제1 도어 프레임(210) 상에 밀착 배치되는 완충 망(5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완충 밴드(510) 각각은 양측의 도어 수직프레임(212)을 배제한 상태에서 한쌍의 보조 수직프레임(213)을 지지부재로 한 상태에서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1 도어 프레임(210)의 상하단을 이루는 도어 수평프레임(211) 사이에서 균일 또는 비균일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가 차례로 배치된다.
완충 밴드(510)는 제1 도어 프레임(210)에 배치된 상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치 상태로 제2 도어 프레임(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완충 밴드(510)는 측면 프레임(300) 상에도 제1 도어 프레임(210)에 배치된 상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치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완충 밴드(510)는 도어 수직프레임(212)과 보조 수직프레임(213) 사이에는 배치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1,2 도어 프레임(210,220)이 동작하는 경우에, 도어 프레임(200)과 측면 프레임(300) 사이에는 완충 밴드(510)가 배치되지 않은 구조를 통해 완충 부재(500) 간의 마찰 내지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보조 수직프레임(213)을 지지부로 한 상태에서 중간 프레임(214)의 전후방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인 완충 밴드 타입으로 제작된다.
한편, 완충 밴드(51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PET 밴드 또는 위빙 끈의 형태일 수 있다.
PET 밴드는 기존의 스틸 밴드에 비해 탄력성과 인장력이 양호하고 운송 중 충격에 강하며 적재화물의 부피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내부식성이 좋고 습기나 직사광선의 노출에도 강철처럼 산화되지 않아 오염을 방지하고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내열성이 강하여 열변화에 따라 쉽게 늘어지거나 헐거워지지 않는다.
환경 친화적인 측면에서 재활용이 가능하고 불활성이므로 토양에 오염을 주지 않는다.
즉, 견고한 포장, 제품 손상 방지 가능하고, 탄성, 인장력 및 회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장기 보관 및 습기, 직사광선 등에도 변형이 없다. 경제적인 측면으로는 단위길이당 스틸 밴드에 비해 저렴하고 중량이 가볍고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다.
위빙 끈(weaving string)은 PET 밴드를 대체하거나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결속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위빙 끈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랩 상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완충 망(520)의 경우에도 도어 프레임(200) 내지 측면 프레임(300) 상에 완충 밴드(510)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바, 결과적으로 양측의 보조 수직프레임(213)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완충 망(520)은 타포린 망의 형태로 채용 가능하다. 완충 망(520)은 수평프레임과 보조 수직프레임을 따라 배치되는 망 프레임 및 망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망 통풍구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망 프레임은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도어 프레임(200) 내지 측면 프레임(300) 상에 부착 가능하다. 망 통풍구는 소정 형상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그물 형태일 수 있다.
타포린 내지 타프는 비닐만큼 가볍고 유연하면서도 질긴 방수 원단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위에 PVC를 합성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타포린은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부피가 작아 텐트 대용품으로 활용하기도 좋고, 캠프사이트에서 식당 대용 텐트 또는 비박용으로 요긴하게 쓰인다. 심한 추위가 아니라면 산에서는 비박을 할 때 적당한 대피처를 마련해 준다.
상기 타포린은 사용한 후 잘 건조시키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세탁은 호스로 물을 뿌리거나 연성 세제와 물로 씻어내고 얼룩이나 송진 등이 묻은 곳은 스펀지로 문질러 닦아낸 후 말린다.
상기 타포린의 재질은 밀도가 높은 나일론 천에 방수 코팅된 것이 좋다. 천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T(density)로 표시되며, 이 단위는 원단 1제곱인치 내에 들어간 실의 수를 뜻하기 때문에 숫자가 높을수록 밀도가 촘촘하다. 예를 들면 타피타 210T면 210개의 올이 들어갔음을 뜻한다. 270T 정도면 거의 꽉 막혔다고 볼 만큼 밀도가 촘촘한 천이다. 보통 높은 방수 효과가 요구되는 타프는 1,200밀리미터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코팅(나일론 천에 합성수지로 방수막 처리)한 것이 좋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농산물 보관용 접이식 컨테이너(10)는 완충 부재(500)의 다른 실시예로서 톤백망을 채용할 수 있다.
톤백망은 일반적으로 1톤 백을 의미하고 포대 자루처럼 형성된다. 톤백망은 상부에 더플이 배치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더플을 통해 상부가 치마형태로 묶을수 있는 덮개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는 선택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에 형성된 더플 없이 상부가 완전 개방된 상태의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은 PET 밴드, 위빙 끈, 타포린 망, 톤백망 등을 단독 내지 혼합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농산물의 안정적인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고안은 철제 프레임으로 구성된 컨테이너 상에 보관된 농산물이 철제 프레임에 충돌 내지 마찰을 일으키는 과정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품질 저하의 방지 및 통풍 개선 작업을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용 컨테이너의 바닥 프레임 및 힌지 브라켓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을 'A' 방향에서 바라 보았을 때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바닥 프레임(100) 및 힌지 브라켓(400)을 설명하며, 일부 구성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바닥 프레임(100)은 테두리 프레임(110)의 내측에 격자형상의 보강구조를 형성한 보강프레임(120)이 결합되어 뒤틀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부에 수용되는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서, 테두리 프레임(110)의 하측에 복수의 받침부(130) 및 슬라이딩부(140)를 구비한다.
받침부(130)는 측면 프레임(300)이 위치하는 바닥 프레임(100)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으로 결합되고, 슬라이딩부(140)는 바닥 프레임(100)의 바깥쪽에서 내측 하방향으로 다단 형성되어 받침부(130)의 하면에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딩부(150)는 노출되는 바깥쪽 표면(접촉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접촉면의 마찰력 감소와 윤활성을 증대를 통해 원활한 슬라이딩과 슬라이딩부(150)의 강도를 증대시켜 휨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부(150)는 내측 하방향으로 절곡형성됨으로써 컨테이너(10)를 수직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수용공간에 수용된 농산물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슬라이딩부는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컨테이너를 적층할 때에 안정적인 적층이 어려워 상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가 전도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의 불안정한 슬라이딩으로 인해 하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에 수용된 농산물과 상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가 맞닿게 되면서 농산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힌지 브라켓(400)은 단면이 대략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 프레임(100)의 각 모서리에서 결합되어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연장되고, 한 쌍의 도어 프레임(200)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300)이 바닥 프레임(100)의 바닥면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 힌지홀(411)을 구비하는 힌지노출 방지부(410), 제2 힌지홀(420), 비드부(430) 및 보강부(440)를 구비한다.
제1 힌지홀(411)은 힌지노출 방지부(410)에 형성된다. 힌지노출 방지부(41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힌지 브라켓(400)의 내측공간에 수용 결합되며, 그 형상은 박스형상 또는 단면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200)의 제1 회전축(227)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힌지노출 방지부(400)는 내측 공간으로 제1 회전축(227)이 삽입되기 때문에 제1 회전축(227)이 수용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에 수용된 농산물은 제1 회전축(227)과 농산물과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힌지홀(420)은 힌지노츨 방지부(410)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제2 힌지홀(420)의 형성방향이 제1 힌지홀(411)의 형성방향과 직각방향(엇갈린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측면 프레임(300)과 도어 프레임(200)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홀(410) 및 제2 힌지홀(42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롯홀로 형성된 제1 힌지홀(410) 및 제2 힌지홀(420)은 제1 회전축(227) 및 제2 회전축(323)에 각각 연결되어 슬롯홀의 형성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힌지노출 방지부(410)를 통해 제1 힌지홀(410)과 제2 힌지홀(420)이 소정거리 이격되고, 이에 더하여 제1 힌지홀(410)과 제2 힌지홀(420)이 슬롯홀로 형성됨으로써 회전축의 이동간격(H)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어 프레임(200) 및 측면 프레임(300)은 제1 힌지홀(411) 및 제2 힌지홀(420)을 중심으로 가변적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회전축 높이에서 바닥 프레임(100)을 향하여 접힐 수 있어 도어 프레임(200) 및 측면 프레임(300)이 서로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바닥 프레임(100)을 향해 접히게 되어 컨테이너(10)를 보다 콤팩트하고 편리하게 보관시킬 수 있게 된다.
비드부(430)는 힌지 브라켓(4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중 적어도 일측면에 노출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볼록하게 형성된 내측공간에 쿠션재가 추가로 매립될 수도 있다.
보강부(440)는 'ㄱ'자 형상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힌지 브라켓(400)의 측면과 테두리 프레임(110)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힌지 브라켓(400)을 바닥 프레임(10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힌지 브라켓(400)은 제2 힌지홀(420)이 형성된 상단에 하방향으로 절개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412)은 측면 프레임(300)의 하측에 결합된 돌출부(324)와 결합됨으로써 힌지 브라켓(400)과 측면 플레이트(30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용 컨테이너의 도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어 프레임(200)은 제1 도어 프레임(210)과 제1 도어 프레임(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도어 프레임(22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도어 프레임(210)은 도어 프레임(200)을 단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측면이 제2 도어 프레임(220)의 상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부(218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1 도어 프레임(210)과 제2 도어 프레임(220)이 다단으로 형성됨으로써 농산물을 수용시키거나 꺼낼 때에 제1 도어 프레임(210)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한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도어 프레임(210)은 도어 수평프레임(211), 도어 수직프레임(212), 보조 수직프레임(213), 중간 프레임(214), 잠금장치(215) 및 고정플레이트(216)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 수평프레임(211)은 테두리 프레임(110)의 상하측으로 배치된다. 도어 수직프레임(212)은 도어 수평프레임(211)의 양측 종단에 결합된다. 보조 수직프레임(213) 및 중간 프레임(214)은 도어 수직프레임(211)에서 내측에서 이격배치된다. 잠금장치(215)는 일단이 도어 수직프레임(211)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고, 타단이 도어 수직프레임(211)에 이웃하여 배치된 보조 수직프레임(213)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도어 수직프레임(211)과 보조 수직프레임(213) 사이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가고정홀(322)에 결합된다.
이때, 잠금장치(215)는 일측면에 자석이 부착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216)는 도어 수직프레임(211)과 보조 수직프레임(213) 사이에 잠금장치가 이동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자석은 잠금장치(215)의 일단이 가고정홀(3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16)에 고정됨으로써 잠금장치(215)가 가공정홀(32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가고정홀(322)에 삽입되는 잠금장치(215)는 종단이 굴절형성(217)되고, 굴절길이는 가고정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잠금장치(215)의 종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가공정홀(322)에서 회전하게 되고, 자석에 의해서 고정되면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도어 프레임(220)은 제1 도어 프레임(2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양측에 위치하는 힌지 브라켓(40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힌지 브라켓(400)의 제1 힌지홀(411)을 향하여 연장 결합되는 제1 회전축(227)을 구비한다. 제2 도어 프레임(220)은 제1 회전축(227)을 제외한 전체적인 구성이 제1 도어 프레임(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제2 도어 프레임(22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용 컨테이너의 측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측면 프레임(300)은 측면 수평프레임(310), 측면 수직프레임(320), 측면 보조프레임(330)을 구비한다.
측면 수평프레임(310)은 도어 수평프레임(211)의 직각방향으로 테두리 프레임(110)의 상하측에 배치된다. 측면 수직프레임(320)은 상하측으로 배치된 측면 수평프레임(310)의 양측 종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고정홀(322)이 형성된다. 가공정홀(322)은 제1 도어 프레임(210) 및 제2 도어 프레임(220) 각각에 구비되는 잠금장치(215)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이때, 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수평프레임(310)의 하측에는 '∪'자 형상의 유출방지 프레임(3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유출방지 프레임(312)은 하측에 위치하는 농산물이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측면 수직프레임(320)은 상측 종단이 측면 수평프레임(310)의 상측면보다 높게 돌출형성되는 스토퍼(321)를 구비한다. 따라서 컨테이너가 슬라이딩 적층될 때에 스토퍼(321)에 의해서 전후방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슬라이딩 이동시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면 보조프레임(330)은 측면 수평프레임(310)과 측면 수직프레임(320)을 격자형상으로 보강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측면 수평프레임(310)과 측면 수직프레임(320) 내측에 복수의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측면 프레임(300)의 전체적인 형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컨테이너 100 : 바닥 프레임
110 : 테두리 프레임 120 : 보강 프레임
130 : 받침 프레임 140 : 슬라이딩부
200 : 도어 프레임 210 : 제1 도어 프레임
211 : 도어 수평프레임 212 : 도어 수직프레임
213 : 보조 수직프레임 214 : 중간 프레임
215 : 잠금장치 216 : 고정플레이트
220 : 제2 도어 프레임 227 : 제1 회전축
300 : 측면 프레임 310 : 측면 수평프레임
320 : 측면 수직프레임 330 : 측면 보조프레임
400 : 힌지 브라켓 410 : 노출 방지부
411 : 제1 힌지축 420 : 제2 힌지홀
430 : 비드부 440 : 보강부
500 : 완충 부재

Claims (5)

  1.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는,
    바닥 프레임(100);
    상기 바닥 프레임의 전후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농산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200);
    상기 바닥 프레임의 좌우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농산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300);
    단면이 'ㄷ'자의 형상으로 내측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서 결합되어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이 상기 바닥 프레임의 바닥면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힌지홀을 구비하는 힌지노출 방지부, 제2 힌지홀, 비드부 및 보강부를 구비하는 힌지 브라켓(400); 및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각각은 상하단 상에 이격 배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이격 배치된 수평프레임의 양단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을 상하로 연결하는 보조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상에 배치된 완충 부재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배제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쌍의 보조 수직프레임을 가장자리로 한 상태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완충 부재(500)는,
    상기 한쌍의 보조 수직프레임을 가장자리로 한 상태에서 수평한 상태로 복수로 배치되는 완충 밴드(510);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노출 방지부는 단면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힌지 브라켓의 내측공간에 수용 결합되며,
    상기 제1 힌지홀은 상기 힌지노출 방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제1 회전축이 상기 힌지노출 방지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힌지홀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제2 회전축이 삽입되도록 상기 힌지노출 방지부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힌지홀의 형성방향에 엇갈린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홀 및 상기 제2 힌지홀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홀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 각각 슬롯홀의 형성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이동간격을 증대시켜 상기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바닥 프레임으로 접혀지도록 하며,
    상기 비드부는 힌지 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중 적어도 일측면에 노출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보강부는,
    'ㄱ'자 형상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의 측면과 상기 바닥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을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500)는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내측 또는 외측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완충 밴드(510)에 의해 상기 도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상에 밀착 배치되는 완충 망(520)을 더 포함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이 위치하는 상기 바닥 프레임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받침부(130); 및
    상기 바닥 프레임의 바깥쪽에서 내측 하방향으로 다단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140);를 구비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하측에 배치되는 측면 수평프레임(310); 및
    상하측으로 배치된 상기 측면 수평프레임의 양측 종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고정홀이 형성된 측면 수직프레임(320);을 구비하고,
    상기 측면 수직프레임은,
    상측 종단이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면 수평프레임의 상측면보다 높게 돌출형성되는 스토퍼(321);를 구비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도어 프레임(210); 및
    상기 제1 도어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에 상기 제1 도어 프레임과 함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도어 프레임(220);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도어 프레임은,
    상기 도어 프레임을 단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측면이 상기 제2 도어 프레임의 상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KR2020180001101U 2018-03-15 2018-03-15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KR200487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101U KR200487701Y1 (ko) 2018-03-15 2018-03-15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101U KR200487701Y1 (ko) 2018-03-15 2018-03-15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01Y1 true KR200487701Y1 (ko) 2018-10-24

Family

ID=6404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101U KR200487701Y1 (ko) 2018-03-15 2018-03-15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0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37Y1 (ko) 2021-02-18 2021-08-09 현기훈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CN113859336A (zh) * 2021-07-02 2021-12-31 株式会社格林普乐斯 可折叠式轻型笼车
KR102370629B1 (ko) * 2021-07-02 2022-03-07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KR20220034631A (ko) * 2020-09-11 2022-03-18 한결엠사회적협동조합 찌그러짐 방지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농산물 박스
KR102483286B1 (ko) * 2021-07-19 2023-01-02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WO2023174318A1 (zh) * 2022-03-17 2023-09-21 上海箱箱智能科技有限公司 可折叠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316A (ja) * 2002-12-16 2004-07-15 Matsumoto Kiko Kk 農作物用収容袋
KR101296685B1 (ko) * 2013-02-04 2013-08-14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덤프형 절첩식 박스파렛트
KR101458096B1 (ko) * 2012-09-21 2014-11-05 엔피씨(주) 철재상자
KR101688096B1 (ko) * 2016-03-10 2016-12-20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측면 개방형 톤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316A (ja) * 2002-12-16 2004-07-15 Matsumoto Kiko Kk 農作物用収容袋
KR101458096B1 (ko) * 2012-09-21 2014-11-05 엔피씨(주) 철재상자
KR101296685B1 (ko) * 2013-02-04 2013-08-14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덤프형 절첩식 박스파렛트
KR101688096B1 (ko) * 2016-03-10 2016-12-20 주식회사 이리농수산자재 측면 개방형 톤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631A (ko) * 2020-09-11 2022-03-18 한결엠사회적협동조합 찌그러짐 방지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농산물 박스
KR102530946B1 (ko) 2020-09-11 2023-05-10 한결엠사회적협동조합 찌그러짐 방지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농산물 박스
KR200494137Y1 (ko) 2021-02-18 2021-08-09 현기훈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CN113859336A (zh) * 2021-07-02 2021-12-31 株式会社格林普乐斯 可折叠式轻型笼车
KR102370629B1 (ko) * 2021-07-02 2022-03-07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KR102483286B1 (ko) * 2021-07-19 2023-01-02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WO2023174318A1 (zh) * 2022-03-17 2023-09-21 上海箱箱智能科技有限公司 可折叠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701Y1 (ko)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AU2011365089B2 (en) Folding-type container
US7506776B2 (en) Braceless liner
EP2468578B1 (en) Vehicle load carrier box with flexible safety material
US7806453B2 (en) Stowable cover with storage feature for vehicle cargo area and method
US20090026196A1 (en) Collapsible Transport Container
US8534516B1 (en) Protective roof rack system
US20090166231A1 (en) Container for Shipping Vehicles
US20110024471A1 (en) Cargo bags
US8813990B1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hazardous material
PT1428763E (pt) Carrinho de transporte de mercadorias compreendendo pelo menos uma cobertura que evita que os produtos caiam
KR20160095934A (ko) 가변형 유압식 스키드가 구비된 로로 카세트
WO2006115450A1 (en) Roof box for fastening at a roof rack of a vehicle
WO2010075950A1 (en) Container with variable height
US11161686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CN110217459A (zh) 物流筐
JP2010265005A (ja) 航空機用コンテナ
KR101231320B1 (ko) 절첩식 컨테이너
EP4103484B1 (en) Transport container and assembly thereof
US20170144832A1 (en) Air cargo container with cable tensioned door
KR200394782Y1 (ko) 컨테이너용 라이너 및 이를 장착하는 컨테이너
KR101954277B1 (ko) 벌크 화물 운반용 컨테이너
KR101113954B1 (ko) 수화물 수송용 박스
KR20020036511A (ko) 다기능 콘테이너
JP2021059915A (ja) シャッ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