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629B1 -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 Google Patents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629B1
KR102370629B1 KR1020210087040A KR20210087040A KR102370629B1 KR 102370629 B1 KR102370629 B1 KR 102370629B1 KR 1020210087040 A KR1020210087040 A KR 1020210087040A KR 20210087040 A KR20210087040 A KR 20210087040A KR 102370629 B1 KR102370629 B1 KR 10237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embers
shaft
coupled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박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박영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8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629B1/ko
Priority to JP2021170902A priority patent/JP7297029B2/ja
Priority to CN202111220391.4A priority patent/CN113859336A/zh
Priority to US17/518,525 priority patent/US1189110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5Foldable rol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6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dismou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5Details of the attachment of the wheel assembly to th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이 가볍고 수명단축이 방지됨과 동시에 청결 및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며, 각종 공산품은 물론 의약품이나 식품류 등 다양한 분야의 물품들을 운반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후측 프레임부재(101)·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좌·우단에 회전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의 전단에 회전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내면 하단에 좌·우측 하판경첩부재(500)로 회전하게 설치되는 하판부재(104) 및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의 각 내측면에 부설되어 하판부재를 받쳐주는 하판받침수단(170)을 구비하여 되는 적재틀(100)과,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좌·우단에 좌·우측 프레임부재를 회전하게 설치하는 좌·우측 경첩부재(200)(300)와,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의 전단에 좌·우측 도어부재를 회전 및 일정한 간격내에서 승강시킬 수 있게 설치하는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와, 상기 적재틀(100)의 하단 모서리에 부설되는 캐스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Foldable Lightweight Roll Container}
본 발명은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이 가볍고 수명단축이 방지됨과 동시에 청결 및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며, 각종 공산품은 물론 의약품이나 식품류 등 다양한 분야의 물품들을 운반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테이너는 많은 물품을 옮기는 물류산업이나 대형마트 또는 공장 등과 같은 곳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롤테이너로는 도 1~3에서와 같이, 각각 강철파이프를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01
"형태로 되게 밴딩하여 형성되는 테두리(11a)와, 강철판을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02
"형태로 되게 밴딩 또는 압출하여 형성되며 수평부분의 상면 양단부에 상기 테두리의 양 수직부 하단을 용접부착하는 받침대(11b)와, 밴드형태로 되게 강철판으로 형성되며 각 양단을 상기 테두리의 양 수직부분 내면에 용접하여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부착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대(11c)와, 지름이 작은 강철봉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테두리의 상측 수평부 하면에 용접부착하고 하단은 복수의 수평지지대를 수직관통하여 받침대의 수평부분 상면에 용접부착하는 복수의 수직지지대(11d)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후측 프레임부재(11)·좌·우측 프레임부재(12)(12')·좌·우측 도어부재(13)(13') 및 강철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전면 하단에 후단을 회전하게 결합하는 하판부재(14)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적재틀(10)과; 평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03
"형태되게 강철판을 밴딩하여 형성되며 사용시 2개를 서로 대응하게 하여 양단의 협지부들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각 테두리의 수직부들이 각각 개재되어 수직으로 관통하게 되도록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04
"형태로 합체시킨 상태에서 상하의 체결공들에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결속한 다음 일단의 협지부들은 테두리의 양 수직부분 중 어느 하나에 용접부착하여 해당 수직부에서 임의로 하강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타단의 협지부들은 일단의 협지부가 용접되지 않은 테두리의 다른 수직부에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경첩부재(20)들과; 좌·우측 도어부재를 닫은 후 잠그게 부설되는 빗장부재(30)와, 상기 후면부재의 하단면 좌우와 좌·우측 프레임부재의 하단면 각 전단에 각각 용접하여 설치되는 4개의 캐스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이식 롤테이너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접이식 롤테이너는 캐스터(50)를 제외한 각 구성요소들이 강철로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캐스터를 포함한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부분을 용접하여 부착한 다음 부식의 방지와 미관 등을 위해 페인팅을 하였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불량하고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은 물론 중량이 상당히 무거워 사용 및 유지관리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들도 있었다.
또한, 사용 중 타물체와의 잦은 접촉이나 충돌 또는 보관을 위해 접거나 사용을 위해 펼치는 과정 등에서 각 부재들이 서로 부딛치게 되는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페인트가 쉽게 탈락하여 부식방지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은 물론 이런 점들에 의해 청결이 최우선인 의료품이나 식품 또는 정밀기구와 같은 다양한 분야의 물품을 이동 또는 운송하는데에는 사용할 수 없어 그 용도가 한정되는 문제점들도 있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부분이 용접부착되어 있으므로 부분적인 부식이나 파손 또는 일 예로 하나의 캐스터만 훼손되어도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수명단축이 초래되었음은 물론 폐기시 재활용도 어려워 자원과 비용의 낭비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보관 등을 위해 접을 때에는 먼저 좌·우측 도어부재(13)(13')를 각각 열어 좌·우측 프래임부재(12)(12')의 각 외면 측으로 회전시켜 젖혀 주면 되는데, 이때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들을 좌·우측 프래임부재에 회전하게 결합하는 경첩부재(20)들 각 일단의 협지부는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의 각 좌우 수직부에 용접부착되고 타단의 협지부는 상기 좌·우측 프래임부재의 각 전측 수직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기 타단의 협지부가 각 전측 수직부들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어 좌·우측 도어부재들은 각 좌우 수직부분의 외면이 좌·우측 프래임부재의 각 외면 전측부분에 접촉하게 되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평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측 도어부재는 각각 좌·우측 프래임부재의 각 외면에 밀착되지 않고 외측으로 경사지게 벌어져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하판부재(14)를 수직으로 회전시켜 상면이 후측 프레임부재(11)의 내면 하부에 밀착되게 한 다음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가 각각 외측으로 벌어져 있는 좌·우측 프래임부재들 중 어느 하나를 먼저 내면 하부에 하판부재가 밀착되어 있는 후측 프레임부재의 내면 측으로 회전시켜 젖혀 준 다음 다른 하나를 후측 프레임부재의 내면 측으로 회전시켜 주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좌·우측 도어부재들이 경사지게 벌어져 있는 각도로 인하여 접혀진 두께를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어 롤테이너를 운송 또는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많이 점유하게 되어 접는 효과가 반감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중량이 가벼워 사용 및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용이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대폭 향상됨과 동시에 청결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인 공산품은 물론 의료나 식품 정밀기구 등 다양한 분야의 물품을 이동 또는 운송하는데 널리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으면 두께가 최소화 되도록 함으로써 보관은 물론 공간활용이 매우 용이하고 사용 중 부분적인 파손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해당부분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어 수명단축이 방지됨과 동시에 폐기시에는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막대한 자원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지 않도록 한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75
"형태의 결속홈부가 일면에 형성되게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06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형태로 되며 밴딩하여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07
"형태로 되는 테두리부와, 상면의 내단측에 상단이 개방되게 함몰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 직하부 내측면에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08
"형태로 함몰형성되는 측면결합홈부와,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수평격벽과, 상기 수평격벽의 하부 중간에 격리되게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09
"형태로 돌출되어 양단부에 나사를 체결하는 제1체결구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10
"형의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양 수직부분의 하단 사이를 가로지르게 양단을 양 수직부분의 내면 하단에 부착하는 하테두리부와, 상면의 하부에 하단 중간이 격리되는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11
"형태로 돌출되어 양단부에 나사를 체결하는 제2체결구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12
"형의 파이프형태로 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양 수직부분 내면 사이를 가로지르게 양단을 양 수직부분 내면에 부착하는 수평지지대와, 지름이 작은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수평부분과 수평지지대의 상·하면을 상·하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 및 테두리부의 상면에 천공되는 제3결합공을 관통하여 하단은 하테두리부의 하면에 받쳐지고 상단은 테두리부의 수평부분 내부 상·하면 사이에 위치하게 결합하는 수직지지대를 구비하여 되는 후측 프레임부재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좌·우측 프레임부재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테두리부·수평지지대 및 수직지지대와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76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양 수직부분의 하단 사이를 가로지르게 양단을 양 수직부분의 내면 하단에 부착하는 하테두리부를 구비하여 되는 좌·우측 도어부재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내면 하단부에 좌·우측 하판경첩부재에 의해 상하 회전하게 설치되며 사각형의 평판으로 되는 하판재와 상기 하판재의 4면을 감싸게 결합하는 전후좌우측의 4개 테두리재와 상기 테두리재의 4모서리를 결속하는 결속재와 상기 하판재의 하면을 가로지르게 양단을 대응하는 2개 테두리재의 내면에 결합하는 복수의 받침재를 구비하여 되는 하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재틀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의 각 내측면에 하단부에 부설되어 하판부재를 받쳐주는 좌·우측의 하판받침수단과;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좌단에 좌측 프레임부재의 후단을 270°범위 내에서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결합설치하는 좌측 경첩부재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우단에 우측 프레임부재를 90°범위 내에서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결합설치하는 우측 경첩부재와;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의 각 전단에 좌·우측 도어부재를 270°범위 내에서 정·역회전 및 일정한 간격내에서 승강시킬 수 있게 결합설치하는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를 닫아서 하강시키면 서로 대응하는 각 우단과 좌단의 하단부분을 함께 받쳐주게 하판부재의 전면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도어받침수단; 및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하면 좌·우 단부와 좌·우측 프레임부재의 하면 각 전단부에 각각 결합설치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는, 캐스터외의 적재틀·좌·우측 경첩부재·좌·우측 도어경첩부재 및 좌·우측 하판경첩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모두 알루미늄으로 성형하여 용접을 하지 않고 조립 제작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접이식 롤테이너에 비하여 중량이 40%이상 감소되어 사용 및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용이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대폭 향상됨과 동시에 청결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일반적인 공산품은 물론 의료나 식품 정밀기구 등 다양한 분야의 물품을 이동 또는 운송하는데 널리 적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접으면 두께가 최소화 되기 때문에 보관은 물론 공간활용이 매우 용이하고 사용 중 부분적인 파손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해당부분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어 수명단축이 방지됨과 동시에 폐기시에는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막대한 자원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접이식 롤테이너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롤테이너를 접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롤테이너를 완전히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는 도 4a,b의 경량 롤테이너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후측 프레임부재를 발췌 일부를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테두리부의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8a,b는 도 6에서 하테두리부의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9a,b는 도 6에서 수평지지대의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10a,b는 도 6의 후측 프레임부재를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11a는 도 5에서 좌·우측 프레임부재를 발췌 일부를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에서 결속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1c는 도 11a에서 하판받침수단을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1d는 도 11c의 하판받침수단을 결합 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11e는 도 11a에서 좌·우측 파지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1f는 도 11a에서 지지부재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2a는 도 5에서 좌·우측 도어부재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에서 도어잠금부재를 발췌 확대하여 잠금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3a는 도 5에서 하판부재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에서 테두리재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13c는 도 13a에서 도어받침수단을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3d는 도 13a에서 도어받침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14a,b는 도 13의 하판부재의 조립상태 확대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15는 도 5에서 좌측 경첩부재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좌측 경첩부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7a~c는 도 15의 좌측 경첩부재의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도 18은 도 5에서 우측 경첩부재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우측 경첩부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20a~c는 도 18의 우측 경첩부재의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도 21은 도 5에서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제1 실시예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23a,b는 도 22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도 24는 도 22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다른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
도 25는 도 5에서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제2 실시예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27a,b는 도 26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도 28은 도 26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다른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
도 29는 도 13에서 좌·우측 하판경첩부재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30a,b는 도 29의 좌·우측 하판경첩부재의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
도 31은 도 5에서 캐스터가 설치된 부분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32는 도 31에서 캐스터와 설치부재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33은 도 31에서 캐스터가 설치된 부분의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34a~e는 도 4a,b의 경량 롤테이너를 절첩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및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a,b의 경량 롤테이너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a,b 및 도 5의 경량 롤테이너는, 후측 프레임부재(101)·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좌·우단에 각각 회전하게 결합설치되는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상기 좌·우측프레임부재의 각 전단에 회전하게 결합설치되는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내측면 하단에 회전하게 결합설치되는 하판부재(104)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의 각 내측면에 부설되어 하판부재를 받쳐주는 하판받침수단(170) 및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에 부설되는 도어잠금부재(106)를 구비하여 되는 적재틀(100)과,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좌단에 좌측 프레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게 결합설치되는 좌측 경첩부재(200)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우단에 우측 프레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게 결합설치되는 우측 경첩부재(300)와,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의 전단에 좌·우측 도어부재를 회전 및 일정한 간격내에서 승강시킬 수 있게 결합설치되는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전면 하단에 하판부재를 상·하로 회전하게 결합설치되는 좌·우측 하판경첩부재(500)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하면 좌·우 단부와 좌·우측 프레임부재의 하면 각 전단부에 각각 결합설치되는 캐스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캐스터(600)를 제외한 적재틀(100)·경첩부재(200)(300)·도어경첩부재(400)(400') 및 하판경첩부재(500)(500')들은 모두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도 6은 도 5에서 후측 프레임부재를 발췌 일부를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6에서 테두리부의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8a,b는 도 6에서 하테두리부의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9a,b는 도 6에서 수평지지대의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10a,b는 도 6의 후측 프레임부재를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후측 프레임부재(101)는, 테두리부(110)와, 양단을 상기 테두리부의 양 수직부분 내측면 각 하단에 부착하는 하테두리부(120)와, 양단을 상기 테두리부 양 수직부분의 내측면에 부착하는 수평지지대(130)와, 상단은 상기 테두리의 수평부분 상·하면을 수직관통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수평지지대의 상·하면과 하테두리부의 상면을 수직관통하여 하테두리부에 삽입결속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대(140)와, 봉합캡(150) 및 결속수단(160)를 구비하여 된다.
테두리부(110)는, 양단부분이 서로 대응하게 절곡되는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77
"형의 결속홈부(111)가 일면에 형성되게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15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압출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밴딩하여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16
"형태로 형성된다.
하테두리부(120)는, 상면의 내단측에 상단이 개방되게 함몰형성되는 삽입홈(121)과, 내측면의 상기 삽입홈 직하부에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17
"형태로 함몰형성되는 측면결합홈부(122)와,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수평격벽(123)과, 상기 수평격벽의 하부에 하단 중간이 격리되게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18
"형태로 돌출되어 양단부에 나사를 체결하는 제1체결구(124)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19
"형의 파이프형태로 압출 형성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형성된다.
수평지지대(130)는, 상면의 하부에 하단 중간이 격리되는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20
"형태로 돌출되어 양단부에 나사를 체결하는 제2체결구(131)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21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압출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형성된다.
수직지지대(140)는, 지름이 작은 파이프형태로 압출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형성된다.
봉합캡(150)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원형의 판형태로 되는 캡부(151)와, 상기 캡부의 하면 중앙에서 하향연장되며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두리부(110)의 수평부분 상·하면을 상·하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제1결합공(112)들 중 상면 결합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편으로 형성되는 탄성결속부(152)를 구비하여 된다.
결속수단(160)는, 내마모성과 신축성이 우수한 고탄성의 폴리우레탄계열 합성섬유 등으로 로프형태로 되게 직조되는 것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되는 결속끈부(161)와, 일단에는 상기 결속끈부의 양단을 압착결속하고 타단에는 나사공이 천공된 고정편부(162)를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결속수단(16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측 프레임부재(101)와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들의 각 원하는 부분에 나사공이 천공된 지지원판(163)과 볼트(164)로 부착한다.
이렇게 형성되는 테두리부(110)·하테두리부(120)·수평지지대(130) 및 수직지지대(140)로 후측 프레임부재(101)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상기 테두리부는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78
"형의 결속홈부(111)가 외주면으로 되도록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23
"형태로 밴딩하고, 상기 하테두리부와 수평지지대는 각각 그 양단이 테두리부의 양 수직부분 내측면에 밀착되는 길이로 되게 절단한다.
이후, 수직지지대(140)를 수직으로 결합할 개수에 비례하여 테두리부(110)의 수평부분과 수평지지대(130)에는 각각 상·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복수의 제1,2결합공(112)(132)을 천공하고, 상기 결합공들에 대응하여 하테두리부(120)에는 상면에만 제3결합공(125)을 수직천공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양 수직부분 중 하테두리부와 수평지지대의 양단을 각각 밀착시켜 부착하게 되는 하단부분 및 상측부분에는 하테두리부와 수평지지대의 제1체결구(124) 및 제2체결구(131)에 대응하여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제1,2체결공(113)(114)을 천공한다.
한편, 테두리부(110)의 수평부분 상·하면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제1결합공(112)들 중 상기 수평부분의 상면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제1결합공의 내경은 수직지지대(140)의 외경보다 크게 하는 반면에 상기 수평부분의 하면에 천공되는 제1결합공의 내경은 수직지지대의 외경에 대응하게 천공하여 상면에 천공되는 제1결합공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봉합캡(150)을 결합한다.
또한, 테두리부(110)의 양 수직부분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제1,2체결공(113)(114)들 중 수직부분의 내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제1,2체결공의 내경은 하테두리부(120)의 제1체결구(124) 및 수평지지대(130)의 제2체결구(131)들 각 내경에 대응하게 천공하는 반면에 상기 양 수직부분의 각 외면에 천공되는 제1,2체결공들의 내경은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들 각 내경보다 크게 천공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봉합캡(150)을 결합한다.
또한, 테두리부(110)의 양 수직부분들 각 상·하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측 프레임부재(101)와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 및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와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를 각각 회동하게 연결설치하는 좌·우측 경첩부재(200)(300) 및 좌·우 도어경첩부재(400)(400')들을 각각 부착하기 위한 볼트체결공(115)들을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상하 한쌍으로 천공한다.
또한, 하테두리부(120)의 전면 좌·우부분 상측에는 하판부재(104)를 회전하게 결합설치하는 좌·우측 하판경첩부재(500)를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126)을 각각 한쌍으로 천공한다.
또한, 테두리부(110)의 양 수직부분들 각 하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하테두리부(120)의 각 좌·우단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스터(600)를 볼트너트로 부착하기 위한 외·내측체결공(116)(127)을 각각의 전·후면을 관통하게 한쌍으로 천공한다.
다음에는, 테두리부(110)의 제1체결공(113)들이 천공된 양 수직부분의 각 내면에 수평지지대(130)의 양단을 각각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공들의 각 외단을 통해 수평지지대의 제2체결구(131) 양단부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수평지지대를 양 수직부분의 내면을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부착한다.
아울러, 테두리부(110)의 제2체결공(114)이 천공된 양 수직부분의 각 내면 하단부분에는 하테두리부(120)의 양단을 각각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공의 각 외단을 통해 하테두리부의 제1체결구(124) 양단부에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하테두리부가 수평지지대의 양 수직부분의 하단 내면을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부착한다.
이렇게 조립하면, 테두리부(110)의 수평부분과 수평지지대(130)에 각각 천공된 제1,2결합공(112)(132)과 하테두리부(120)의 상면에만 천공된 제3결합공(125)들이 모두 수직선상으로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직지지대(140)들의 각 하단이 상방에서 각 수직선상의 제1~3결합공(112)(132)(125)들을 차례로 수직통과하여 하테두리부(120)의 상기 제3결합공이 천공되지 않은 하면의 내부 바닥에 받쳐지게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하면, 수직지지대(140)들의 각 상단은 제1결합공(112)이 수직으로 관통하게 천공된 테두리부(110) 수평부분의 내부 상·하면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면의 제1결합공(112)에 봉합캡(150)을 결합하면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상기 제1결합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복수의 탄성편으로 되는 탄성결속부(152)의 중간부분이 상기 상면의 제1결합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탄성편들의 간격이 좁혀졌다가 통과하면 자체 탄성에 의해 벌어지면서 상면의 제1결합공 하단에 걸어지게 됨과 동시에 결속부의 하단이 테두리부(110)의 수평부분 상·하면들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지지대(140)들의 각 상단에 밀착된다.
따라서, 봉합캡(150)은 상면의 제1결합공(112)에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되어 상기 제1결합공과 그 내부가 노출되지 않게 봉합함으로써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청결 및 미관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탄성결속부(152)의 하단이 수직지지대(140)들의 각 상단에 밀착되기 때문에 롤테이너의 사용 중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대가 상하로 유동 또는 이탈하게 되는 현상 등이 유발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용접하지 않고도 테두리부(110)와 하테두리부(120) 및 수평지지대(130)와 수직지지대(140)들이 서로 견고하게 조립되어 구성되는 후측 프레임부재(101)를 얻게 된다.
도 11a는 도 5에서 좌·우측 프레임부재를 발췌 일부를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는,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24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압출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밴딩하여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25
"형태로 되는 테두리부(110)와,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26
"형의 파이프형태로 되게 압출 형성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형성되는 하테두리부(120)와,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27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되게 압출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형성되는 수평지지대(130)와, 지름이 작은 파이프형태로 압출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형성되는 수직지지대(140)와, 봉합캡(150) 및 결속수단(160)들을 구비하여 용접하지 않고도 서로 견고하게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은 후측 프레임부재(101)와 동일하다.
다만,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의 상·하 길이는 후측 프레임부재(101)와 동일한 반면에 전·후폭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좌·우폭보다 작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결속수단(160)들은 상기 테두리부(110)의 후측 수직부에 결합하고,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에 각각 부설되는 좌·우측의 하판받침수단(170) 및 좌·우측 파지수단(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이가 있다.
도 11b는 도 11a에서 결속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결속수단(160)은, 고탄성의 폴리우레탄섬유 등으로 편성되는 필요한 길이의 결속끈부(161)와, 일단부에는 상기 결속끈부의 양단을 함께 결속하고 타단부의 중앙에는 나사공이 천공된 고정편부(162)를 구비하여 되며 후측 프레임부재(101) 및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의 필요한 부분에 나사로 부착하여 설치된다.
도 11c는 도 11a에서 하판받침수단을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d는 도 11c의 하판받침수단을 결합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이다.
좌·우측의 하판받침수단(170)은, 알루미늄으로 압출형성되는 것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형성되는 받침판(171)과, 우레탄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완충판(172)을 구비하여 된다.
받침판(171)은, 바닥편(1711)과, 상기 바닥편의 양단에 서로 대응하게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28
"형태로 수직형성되는 결속부(1712)들과, 상기 바닥편의 일단에서 소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받침편(1713)과, 상기 결속부들 중 하단에 받침편이 수평연장된 결속부의 외측면에 상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받침편보다 길고 평행하게 수편연장되는 수평편(1714)과, 상기 수평편의 외단에서 상단이 측면결합홈부(122)의 상단부분에 결합되게 수직연장되는 수직편(1715) 및 상기 수직편의 하단에서 상기 측면결합홈부의 하단부분에 결합되게 하향연장되는 결합편(1716)을 구비하여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29
"형태로 구성된다.
완충판(172)은, 바닥편(1711)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닥부(1721)와, 상기 바닥부의 양단 수직부분의 각 상단에서 외측을 향하게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30
"형태로 대칭되게 연장되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79
"형의 결속부(1712)들에 결합되는 결합부(1722)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32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완충판(172)을 받침판(171)의 측방향에서 결합부(1722)들은 각 결속부(1712)들에 삽입되고 바닥부(1721)의 하면은 바닥편(1711)의 상면에 받쳐지게 결합하면, 상기 완충판은 자체 탄성에 의해 받침판에 밀착되게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되는 하판받침수단(170)은, 하테두리부(120)를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의 각 테두리부(110) 하단에 조립하기 전에 상기 하테두리부의 측방향에서 측면결합홈부(122)의 상·하단부에 수직편(1715)의 상단과 결합편(1716)이 삽입되게 결합하여 상기 측면결합홈부의 원하는 부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직편과 측면결합홈부에 천공하는 나사공에 나사를 체결하여 부착한다.
이렇게 부설되는 하판받침수단(170)은, 하판부재(104)를 수평상태로 되게 하였을 때 상기 하판부재의 좌·우측부분을 단단하게 받쳐주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물품을 안정되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e는 도 11a에서 좌·우측 파지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좌·우측의 파지수단(180)은, 측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33
"형태인 테두리부(110)를 감싸주는 상태로 결속되게 고탄성의 우레탄고무 등으로 평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80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181)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서로 대응하게 내측으로 수직 및 수평으로 2단 만곡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결속홈부(111)의 양단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양측의 결착부(182)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81
"형태로 길게 압출되는 것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자체 탄성을 이용 상기 테두리부의 수직부에 결합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파지수단(180)은, 롤테이너를 이동시킬 때 바람직하게는 누구나 간편·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들 각 테두리부(110)의 양 수직부분들 중 전단측 수직부분의 상부분에 결합하여 추운 날씨에 차가운 테두리부를 장갑을 끼지 않고도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1f는 도 11a에서 지지부재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지지부재(105)는,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의 높이가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들 보다 낮게 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를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좌·우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90°회전시켜 서로 직각을 이루게 하여 적재틀(100)의 좌·우면이 되게 하였을 때, 높이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의 상단들과 좌·우측 도어부재 상단과의 사이 전면이 개방되는 상태가 되어 적재틀에 좌·우측 도어부재의 상단보다 높게 물품들을 적재하여 이동시킬 때 부주의로 좌·우측 도어부재의 상단을 통해 물품이 쏟아지게 되는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좌·우측 프레임부재 각 전단이 되는 수직부분의 상측부분을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설치한다.
이러한 지지부재(105)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며, 사각형의 파이프형태로 되는 지지대(1051)와,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들 각 전단이 되는 테두리부(111)의 수직부 상측부분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하 회전하게 축설치하는 힌지부(1052)와, 상기 힌지부가 부착되지 않은 다른 수직부분의 상측부분에 힌지부에 대응하게 부착되는 걸이핀부(1053)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부착되어 힌지부에 축결합되는 축수부(1054)와,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부착되어 걸이핀부에 걸어지는 고리부(1055) 및 평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82
"형태로 되며 상기 힌지부가 부착되는 수직부분의 하측부분에 부착되어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하향회전시켜 그 타단부분을 결합하면 결속되어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지대결속부(105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12a는 도 5에서 좌·우측 도어부재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는,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35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압출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밴딩하여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36
"형태로 되는 테두리부(110)와,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37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되게 압출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형성되는 수평지지대(130)와, 지름이 작은 파이프형태로 되게 압출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형성되는 수직지지대(140) 및 봉합캡(150)들을 구비하여 용접하지 않고도 서로 견고하게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은 후측 프레임부재(101) 및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와 동일하다.
다만,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의 상·하 길이는 필요에 따라 후측 프레임부재(101) 및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와 동일 또는 짧게 하며, 그 좌·우폭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좌·우폭을 2등분한 폭으로 하고, 하테두리부(120)는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38
"형태로 되게 압출되는 테두리부(11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83
"형의 결속홈부(111)가 하향하게 조립하여 구성되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하테두리부(120)로 테두리부(11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테두리부의 상향된 하면에만 제3결합공(125)을 천공하여 수직지지대(140)의 하단부를 결합하면 된다.
또한, 좌측 도어부재(103)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들 중 좌단의 상·하부분과 우측 도어부재(103')의 상기 테두리부 양 수직부분들 중 우단의 상·하부분에는 각각 상하 한쌍으로 되게 좌우 경첩부재(400)를 부착하기 위한 볼트체결공(115)을 천공하고, 서로 대응하는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의 테두리부 양 수직부분들 중 서로 대응하게 되는 수직부분의 상측부에도 도어잠금부재(106)를 부착하기 위한 볼트체결공을 천공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후측 프레임부재(101)과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 및 좌·우측도어부재(103)(103')에서의 각 수평지지대(130)를 결합하는 개수는 적재틀(100)의 규격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하고, 수직지지대(140)를 결합하는 개수는 2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하여도 된다.
도 13a는 도 5에서 하판부재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에서 테두리재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13c는 도 13a에서 도어받침부재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3d는 도 13a에서 도어받침수단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14a,b는 도 13의 하판부재의 조립상태 확대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하판부재(104)는, 사각형의 평판으로 되는 하판재(141)와, 상기 하판재의 4면을 감싸게 결합하는 전후좌우측의 4개 테두리재(142)와, 상기 테두리재의 4모서리를 결속하는 결속재(143)와, 상기 하판재의 하면을 가로지르게 양단을 대응하는 2개 테두리재의 내면 하측에 결합하는 복수의 받침재(14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테두리재(142)는, 측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40
"형태로 되는 외면의 결착홈부(1421)와, 상면의 직하부에 후단이 개방되게 하판재(141)의 두께에 대응하는 상하 간격으로 수평 함몰형성되는 삽입홈부(1422)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41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되게 압출되는 것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결속재(143)는,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어 평단면이 "
Figure 112021076591555-pat00042
"형태로 되며, 상·하폭과 두께는 결착홈부(1421)와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1,2결속편(1431)(1432)을 구비하여 된다.
받침재(144)는, 제1체결구(131)를 갖는 수평지지대(130)와 동일하게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판재(141)와, 4개의 테두리재(142) 및 4개 결속재(143)와, 복수의 받침재(144)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상기 4개의 테두리재들 중 일 예로 서로 대응하게 되는 전·후측 테두리재들 각 내면에 받침재(144)들의 개수와 측단면에 대응하게 일정간격으로 사각형의 삽입구(1421)를 천공하고, 상기 테두리재의 각 외면 양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제1,2결속편(1431)(1432)에 각각 나사를 체결하는 나사공(145)들을 천공한다.
이후, 하판재(141)의 4면이 각 삽입홈부(1422)에 삽입되게 4개의 테두리재(142)들 중 후측 테두리재를 제외하고 3개를 결합하면서 2모서리에 해당하는 상기 전측과 좌·우측 테두리재들의 각 결착홈부(1421) 양단부들에 측방에서 제1,2결속편(1431)(1432)을 각각 결합하여 서로 일치하게 되는 상기 나사공(145)들에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한 다음, 하판재(141)와 전측과 좌우측 테두리재(142)가 결합된 상태를 뒤집어서 복수의 받침재(144)들이 하판재(141)의 하면과 밀착되어 가로지르게 배열하면서 상기 받침재들의 각 전단부를 전측 테두리재에 천공된 각 결착홈부(1421)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후측 테두리재(142)의 좌·우단에 각각 1개 결속재(143)들의 해당하는 제1,2결속편(1431)(1432)들을 결합하여 나사로 고정한 다음, 상기 결속재들 중 후측 테두리재에 결속되지 않은 제1,2결속편들이 전측 테두리재들의 양단에 결합되지 않은 좌우측 테두리재들의 타단들에 각각 결합되게 하면서 복수의 받침재(144)들의 각 후단부가 상기 후측 테두리재의 삽입구(1421)들에 각각 삽입되게 한다.
이렇게 결합하면, 후측 테두리재(142)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지 않은 다른 제1,2결속편(1431)(1432)들이 좌·우측 테두리재(142)들의 각 타단부에 결합되어 각각 천공된 나사공(145)들이 서로 일치하게 되므로 이에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단단하게 조립된 하판부재(104)를 얻게 된다.
한편, 전측테두리재(142)의 하면이나 받침재(144)들 중 어느 하나의 하면 원하는 위치에 후측 프레임부재(101)에 부설되는 결속수단(160)에 대응하여 걸이핀(146)을 체결한다.
이러한 걸이핀(14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롤테이너를 절첩하기 위해 하판부재(104)를 수직으로 회전시켜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내측면 하부에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결속수단(160)의 결속끈부(161)를 당겨서 걸어줌으로써 접어진 상기 하판부재가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내측면 하부에 밀착 고정되게 하여 임의로 역회전 또는 절첩상태가 해체되는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어받침수단(190)은, 알루미늄으로 압출형성되는 것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형성되는 받침판재(191)와, 우레탄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재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완충판재(19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받침판재(191)는, 바닥판(1911)과, 상기 바닥판의 전·후단에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43
"형태로 대응하게 수직형성되는 결속홈부(1912)들과, 하테두리부(120)의 측면결합홈부(122) 상단부에 결합되게 상기 양단 결속홈부들 중 일단 결속홈부의 상면에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44
"형태로 수직 연장되며 상단에 사각형태로 돌출되는 상단 결합돌부(1913)와, 상기 측면결합홈부의 하단부에 결합되게 일단 수직부분의 하단과 바닥편의 일단이 직교하는 모서리에 상단 결합돌부와 대응하는 사각형태로 돌출되는 하단 결합돌부(1914)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내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45
"형태로 구성된다.
완충판재(192)는, 바닥판(1911)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닥판부(1921)와, 상기 바닥판부의 양단 수직편부(1922)와, 상기 양단 수직편부의 각 상단에서 외측을 향하게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46
"형태로 대칭되게 연장되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47
"형의 결속홈(1912)들에 결합되는 결합편부(1723)를 구비하여 완충판(172)과 동일하게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48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완충판재(192)를 받침판재(191)의 측방향에서 결합편부(1923)들은 각 결속홈(1912)들에 삽입되고 바닥편부(1921)의 하면은 바닥판(1911)의 상면에 받쳐지게 결합하면, 상기 완충판재는 자체 탄성에 의해 받침판재(191)에 밀착되게 조립된다.
이렇게 되는 도어받침수단(190)은, 전측 테두리재(142)의 좌·우단에 좌·우측 테두리재(142)들의 각 전단을 조립하기 전에 상단 결합돌부(1913)와 하단 결합돌부(1914)를 측방향에서 상기 전측 테두리재 전면의 결착홈부(1421)의 상·하단에 삽입되게 상기 결착홈부에 결합하여 전측 테두리재의 전면 중간부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
Figure 112021076591555-pat00049
"형태 수직부 상측부분과 이에 대응하게 결착홈부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는 복수의 나사공들에 나사를 체결하면 단단히 부착된다,
이러한 도어받침수단(19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들을 닫아서 하강시키면서로 대응하는 우단과 좌단의 하단부분이 받침판재(191)의 바닥판(1911)과 양단의 결속홈부(1912)들 사이에 개재되어 해당부분의 하면이 완충판재(192)의 탄성과 완충 작용에 의해 안정되게 받쳐지는 상태로 안착되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이동 중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한 마찰이나 금속음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완충판(172)과 완충부재(192)는 측방향에서 각각 받침판(171)과 받침판재(191)에 각각 결합 또는 분리하게 구성되는 것이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마모 또는 훼손되는 경우에는 누구나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에는 도어잠금부재(106)를 부설하여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가 닫히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한다.
도 12b는 도 12a에서 도어잠금부재를 발췌 확대하여 잠금상태를 보인 평면도로, 도어잠금부재(106)는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로 적재틀(100)의 전면을 닫았을 때 서로 대응하게 되는 우·좌단의 양 수직부분들 결속홈부(111)의 상측부분에 각각 결합하여 볼트너트로 고정하는 좌·우결합편(1061)(1062)과, 상기 좌·우결합편의 각 전단에 내·외경이 서로 동일하게 파이프형태로 연장되어 좌·우측 도어부재를 닫으면 상·하수직으로 연통하게 합쳐지는 좌·우고리부(1063)(1064)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50
" 와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51
"형태로 서로 대칭하게 형성되며, 상·하수직으로 연통하게 합쳐지는 좌·우고리부에 상방에서 수직으로 결합하여 좌·우고리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좌·우측 도어부재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잠거주는 잠금핀(1065)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잠금핀(1065)은, 지름이 좌·우고리부(1063)(1064)의 내경에 대응하게 소정길이로 되는 핀부(1065a)와, 상기 핀부의 내경보다 크게 그 상단에 형성되는 머리부(1065b) 및 상기 머리부의 상단에 "┳"형태로 수직연장되는 파지부(1065c)를 구비하여 된다.
따라서, 파지부(1065c)를 잡고 간편·용이하게 잠금핀(1065)을 좌·우고리부(1063)(1064)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도 5에서 좌측 경첩부재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좌측 경첩부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17a~c는 도 15의 좌측 경첩부재의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좌측 경첩부재(200)는, 측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84
"형태로 되는 결속홈부(111)에 각각 결합고정하는 제1,2좌판체(211)(221)와 상기 제1,2좌판체들의 각 내·외측면 전단부분에 서로 대응하게 돌출연장되는 제1,2좌고정축수부(212)(222)와 상기 제1,2좌판체들의 각 내·외측면 후단부분에 제1,2좌고정축수부들과 서로 대응하게 돌출연장되는 제1,2좌축수부(213)(223)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53
"형태와 이에 대칭으로 되는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54
"형태로 되는 제1,2좌경첩편(201)(202)들과, 평단면이 호형으로 되는 제3좌판체(231)와 상기 제3좌판체의 양단에 지름이 제1,2좌축수부(213)(223)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3좌·우단축수부(232)(233)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55
"형태로 되는 제3좌경첩편(203)과, 상기 제1좌축수부와 제3좌단축수부를 회전하게 축설치하는 제1좌축핀(204)과, 상기 제2좌축수부와 제3우단축수부를 회전하게 축설치하는 제2좌축핀(205) 및 상기 제1좌고정축수부와 제2좌고정축수부를 축결합하여 고정하는 좌고정축핀(20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좌경첩편(201)의 제1좌고정축수부(212)는 일 예로 제1좌판체(211)의 내측면 전단부분 상하에 격리 돌출되는 2개로 되며, 제2좌경첩편(202)의 제2좌고정축수부(222)는 상기 제1좌판체의 내측면 전단부분 상하에 격리 돌출되는 2개의 제1좌고정축수부들 사이에 개재되게 제2좌판체(221)의 외측면 전단부분 중간에 돌출되는 1개로 되게 한다.
한편, 제1,2좌경첩편(201)(202)의 제1,2좌축수부(213)(223)들은 일 예로 제1,2좌판체(211)(221)의 내측면 후단부분 상중하에 동일하게 일정간격으로 격리 돌출되는 각각 3개로 되게 한다.
제1,2좌고정축수부(212)(222)의 내경은 제1,2좌축수부(213)(223)와 동일하게 하는 반면에 상기 제1,2좌고정축수부의 두께는 제1,2좌축수부의 두께보다 얇게 하여 제1,2좌고정축수부의 외경이 제1,2좌축수부의 외경보다 작게하며, 이에 따라 그 두께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제1,2좌고정축수부의 외주 내단이 제1,2좌축수부의 내주 내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한다.
또한, 제1,2좌고정축수부(212)(222)의 각 중심은 제1,2좌판체(211)(221)의 전단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하고, 제1,2좌축수부(213)(223)의 각 중심은 상기 제1,2좌판체의 각 후단에서 후측방향으로 소정간격 격리되는 선상에 위치하게 한다.
제3좌경첩편(203)은, 평단면이 호형으로 되는 제3좌판체(231)와, 상기 제3좌판체의 양단에 지름이 제2좌전·후축수부(213)(223)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3좌·우단축수부(232)(233)를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제3좌·우단축수부(232)(233)는, 일 예로 제1,2좌축수부(213)(223)가 상중하 3개로 되는 경우 제3좌판체(231)의 양단에 각각 2개가 상하로 격리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중하 3개의 제1,2좌축수부들 사이에 개재되게 한다.
또한, 제1,2축핀(204)(205)은 상단에 축공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머리와 하단부 외주에 빙둘러 형성되어 이링의 체결홈을 구비하여 되며, 좌고정축핀(206)은 상단에 축공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머리(216) 및 그 상단에 "┳"형태로 수직연장되는 손잡이(226)를 구비하여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2개의 좌측 경첩부재(200)로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좌단에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후단을 회동하게 결합설치할 때에는, 상기 좌측 프레임부재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 중 우측 수직부분의 결속홈부(111)에 하단을 통해 상기 2개의 좌측 경첩부재들 제1좌경첩편(201)의 제1좌판체(211)를 차례로 결합하여 이동시켜 먼저 결합한 하나는 상기 후단 수직부분의 상측에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된 상하 한쌍의 상측 볼트체결공(115)에 상기 제1좌판체의 중간 상하에 천공되는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하고, 나중에 결합한 다른 하나는 상기 후단 수직부분의 하측에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하측 볼트체결공들에 상기 제1좌판체의 중간 상하에 천공되는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한다.
또한,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 중 좌단 수직부분의 결속홈부(111)에 하단을 통해 2개의 제2좌경첩편(202)들 제2좌판체(221)를 차례로 결합하여 이동시켜 먼저 결합한 하나는 상기 좌단 수직부분의 상측에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체결공들에 상기 제2좌판체의 중간 상하에 천공되는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하고, 나중에 결합한 다른 하나는 상기 좌단 수직부분의 하측에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하측 볼트체결공들에 제2좌판체의 중간 상하에 천공되는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한다.
이렇게 제1,2좌경첩편(201)(202)을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후단 상하와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좌단 상하에 각각 부착하면, 상기 제1,2좌경첩편들의 각 제1,2좌고정축수부(212)(222)와 제1,2좌축수부(213)(223)들은 서로 대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후단 상하에 부착된 제1좌경첩편(201)의 제1좌축수부(213)들 사이에 제3좌경첩편(203)의 제3좌축수부(232)들을 개재시켜 이들의 축공이 수직으로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상방에서 제1좌축핀(204)을 관통하게 삽입하여 하부로 노출된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이링을 결속시켜 회동하게 축설치하고,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좌단 상하에 각각 부착된 제2좌경첩편(202)의 제2좌축수부(223)들 사이에는 상기 제3좌경첩편의 제3우단축수부(233)들을 개재시켜 제2좌축핀(205)으로 각각 회동하게 축 설치한다.
이렇게 축 설치되는 좌측 프레임부재(102)를 제1~3좌경첩편(201)~(203)과 제1,2좌축핀(204)(205)들을 이용하여 후측 프레임부(101)의 좌단에서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호형의 상기 제3좌판체가 제2좌축핀을 축으로 하여 90°회동하게 되어 제1좌판체(211)의 상하 제1좌고정축수부(212)들 사이에 제2좌판체(221)의 제2좌고정축수부(222)가 삽입 개재됨과 동시에 상기 제1좌고정축수부의 외주면은 후측 프레임의 테두리부 좌단에 받쳐지고, 제2좌고정축수부의 외주면은 좌측 프레임부재의 테두리부 후단에 받쳐지게 되어 회동이 멈추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하 제1좌고정축수부(212)들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제2좌고정축수부(222)의 축공들이 수직으로 연통하게 되므로, 이들 축공을 관통하게 상방에서 좌고정축핀(206)을 삽입하여 축결합하면 제1,2좌축핀(204)(205)로 각각 축결합되어 있는 제1,2좌축수부(213)(223)와 제3좌·우단축수부(232)(233)가 회동하지 않게 됨에 따라 좌측 프레임부재(102)는 후측 프레임부(101)의 좌단에서 전방으로 90°회동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상태에서 고정되어 적재틀(100)의 좌측면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2좌고정축수부(212)(222)에 축결합된 좌고정축핀(206)을 분리하면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좌측 프레임부재(102)를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좌측 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좌측 프레임부재가 정·역회전하게 되는 범위는 좌측 프레임부재가 후측 프레임부의 좌단에서 전방으로 회전되어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던 위치로부터 제3좌판체(231)의 좌·우폭과 제1,2좌·우축핀(204)(205) 및 제1,2좌축수부(213)(223)와 제3좌·우단축수부(232)(233)들이 연동하여 회전하는 작용에 의해 상기 좌측 프레임부재가 후측 프레임부재의 후면 좌측으로 회전되어 좌측 프레임부재의 좌면이 후측 프레임부재의 후면과 평행하게 되는 270°가 된다.
이렇게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좌면이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후면 좌측과 평행하게 되면, 호형의 제3좌판체(231)의 좌·우폭에 비례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부재의 좌면과 후측 프레임부재의 후면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측 프레임부재의 전단에 좌·우측도어경첩부재(40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범위가 270°로 되게 설치되는 좌측 도어부재(103)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와 좌측 프레임부재 및 좌측 도어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겹쳐지는 상태로 접어지게 되기 때문에 접혀진 두께가 최소화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1,2좌고정축수부(212)(222)에서 분리한 좌고정축핀(206)은 상기 제1,2좌고정축수부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여 두면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함은 물론 분실할 염려도 없게 된다.
도 18은 도 5에서 우측 경첩부재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우측 경첩부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20a~c는 도 18의 우측 경첩부재의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우측 경첩부재(300)는, 평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58
"형태로 되며 후측편을 측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85
"형태로 되는 결속홈부(111)에 결합고정하는 제1우판체(311)와 상기 제1우판체의 전측편 내면 전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연장되는 제1우축수부(312)와 상기 전측편의 외면 후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연장되는 제1우고정축수부(313)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60
"형태로 되는 제1우경첩편(301)과, 평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61
"형태로 되며 측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86
"형태로 되는 결속홈부(111)에 결합하는 제2우판체(321)와 상기 제2우판체의 외면 후측의 절곡편 단부에 연장형성되는 제2우축수부(322)와 상기 제2우판체의 외측면 전측의 직선편 외단에 연장형성되는 제2우고정축수부(323)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63
"형태로 되는 제2우경첩편(302)과, 상기 제1,2우축수부를 회전하게 축설치하는 우축핀(303)과, 상기 제1,2우고정축수부를 회전하지 않게 축결합하는 우고정축핀(30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우축핀(303)은 제1,2축핀(204)(205)과 동일하게 상단에는 축공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머리와 하단부 외주에 빙둘러 형성되어 이링의 체결홈을 구비하여 되며, 우고정축핀(304)은 좌고정축핀(206)과 동일하게 상단에 축공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머리 및 그 상단에 "┳"형태로 수직연장되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된다.
한편, 제1우경첩편(301)의 제1우축수부(312)와 제1우고정축수부(313)는 일 예로 상하로 격리 돌출되는 각각 2개로 하고, 제2우경첩편(302)의 제2우축수부(322)는 상중하로 격리되게 돌출되는 3개로 하여 이들 사이에 상기 2개의 제1우축수부들이 개재되게 하며, 제2우고정축수부(323)는 상기 2개의 제1우고정축수부들 사이에 개재되게 1개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2개의 우측 경첩부재(300)로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우단에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후단을 회동하게 결합설치할 때에는, 상기 우측 프레임부재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 중 후단 수직부분의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87
"형태 결속홈부(111)에 하단을 통해 상기 2개의 우측 경첩부재들 제2우경첩편(302)의 제2우판체(321)를 차례로 결합하여 이동시켜 먼저 결합한 하나는 상기 후단 수직부분의 상측에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상측 볼트체결공에 상기 제2우판체의 중간 상하에 천공되는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하고, 나중에 결합한 다른 하나는 상기 후단 수직부분의 하측에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하측 볼트체결공들에 상기 제2우판체의 중간 상하에 천공되는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한다.
또한,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테두리부(110) 우단 수직부분의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88
" 형태 결속홈부(111)에 하단을 통해 2개의 제1우경첩편(301)들 제1우판체(311)를 차례로 결합하여 이동시켜 먼저 결합한 하나는 상기 우단 수직부분의 상측에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상측 볼트체결공들에 상기 제1우판체의 후측부 상·하에 천공되는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하고, 나중에 결합한 다른 하나는 상기 후단 수직부분의 하측에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하측 볼트체결공들에 제1우판체의 중간 상하에 천공되는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한다.
이렇게 제1,2우경첩편(301)(302)을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후단 상하와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우단 상하에 각각 부착하면, 상기 제1,2우경첩편들의 각 제1,2우고정축수부(313)(323)와 제1,2우축수부(312)(322)들은 서로 대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후단 상하에 부착된 제2우경첩편(302)의 제2우축수부(322)들 사이에 제1우경첩편(301)의 제1우축수부(312)들을 개재시켜 이들의 축공이 수직으로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상방에서 우축핀(303)을 관통하게 삽입하여 하부로 노출된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이링을 결속시켜 회동하게 축설치 한다.
이렇게 축 설치한 우측 프레임부재(102')를 제1,2우경첩편(301)(302)과 우축핀(303)을 축으로 하여 후측 프레임부(101)의 우단과 직교하게 반시계방향으로 90°회동시키면 상기 제2우경첩편의 제2우고정축수부(323)가 상기 제1우경첩편의 제1우고정축수부(313)들 사이에 개재됨과 동시에 상기 제2우고정축수부의 외단부분이 제1우고정축수부들 사이의 제1우판체(311)에 받쳐져서 멈추게 되어 더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하 제1우고정축수부(313)들 사이에 개재된 제2우고정축수부(323)의 축공들이 수직으로 연통하게 되므로, 이들 축공을 관통하게 상방에서 우고정축핀(304)을 삽입하여 축결합하면 우측 프레임부재(102')는 후측 프레임부(101)의 우단에서 전방으로 90°회동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고정되어 적재틀(100)의 우측면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2우고정축수부(313)(323)에 축결합된 우고정축핀(304)을 분리하면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우측 프레임부재(10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전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우측 프레임부재가 정·역회전하게 되는 범위는 우측 프레임부재가 후측 프레임부재의 우단에서 직각을 이루고 있던 위치로부터 후측 프레임부재의 전면과 평행하게 되는 90°가 된다.
이렇게 하여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좌면이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전면과 평행하게 되면, 제1우판체(311)의 전·후폭에 비례하여 상기 우측 프레임부재의 좌면과 후측 프레임부재의 전면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에서 상향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우는 하판부재(104)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와 우측 프레임부재 및 하판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겹쳐지는 상태로 접어지게 되기 때문에 접혀진 두께가 최소화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1,2우고정축수부(313)(323)에서 분리한 우고정축핀(304)은 상기 제1,2우고정축수부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여 두면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함은 물론 분실할 염려도 없게 된다.
도 21은 도 5에서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제1 실시예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23a,b는 도 22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다른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면도이다.
도 2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는, 테두리부(110)의 결속홈부(111)에 결합고정하는 제1경첩판체(411)와 상기 제1경첩판체의 전면 좌단측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제1경첩편(412)과 상기 제1경첩편의 전단에 상하 동일간격으로 격리되게 연장되는 제1상·중·하축수부(413)(414)(415)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67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경첩부(401)와, 상기 결속홈부에 결합고정하는 제2경첩판체(421)와 상기 제1경첩편과 동일한 상하 길이와 연장 폭으로 직교하게 제2경첩판체의 외면 전단측에 연장되는 제2경첩편(422)과 상기 제2경첩편의 전면 외단 부 중간의 상·하측부분에 각 하단은 제1중축수부 및 제1하축수부의 상단에 각각 받쳐지고 각 상단은 제1상축수부의 및 제1중축수부의 하단에 받쳐지게 격리 연장형성되는 제2상축수부(423) 및 제2하축수부(424)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69
"형태로 형성되는 제2경첩부(402)와, 상기 제1상·중·하축수부와 제2상·하축수부를 상하로 일치시켜 축결합하는 도어경첩축(40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로 먼저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에 좌측 도어부재(103)의 좌단을 설치할 때에는, 상기 좌측 프레임부재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들 중 전단 수직부분의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89
"형태 결속홈부(111)에 하단을 통해 2개의 상기 도어경첩부재들 각 제1경첩부(401)들의 제1경첩판체(411)를 차례로 결합하여 이동시켜 먼저 결합한 하나는 상기 전단 수직부분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나중에 결합한 다른 하나는 전단 수직부분의 하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단 수직부분의 상측과 하측의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상·하측 볼트체결공들과 이들에 대응하게 상기 제1경첩판체에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하고, 다음에는 상기 좌측 도어부재의 좌단 수직부분의 결속홈부에 하단을 통해 2개의 도어경첩부재들 각 제2경첩부(402)들의 제2경첩판체(421)를 차례로 결합하여 이동시켜 먼저 결합한 하나는 상기 좌단 수직부분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나중에 결합한 다른 하나는 좌단 수직부분의 하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좌단 수직부분의 상측과 하측의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상·하측 볼트체결공들과 이들에 대응하게 상기 제2경첩판체에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하며, 이후 상기 제2경첩판체의 제2상축수부(423)의 하단은 상기 제1경첩판체의 중축수부(414)의 상단에 받쳐지고 제2하축수부(424)의 하단은 제1하축수부(415)의 상단에 받쳐지게 결합하여 제1상축수부(413)와 상기 제1중·하축수부 및 제2상·하축수부의 축공들이 수직으로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상방에서 도어경첩축(403)을 결합하여 하방으로 노출되는 하단에 이링을 체결하면, 상기 좌측 도어부재는 제1,2경첩부에 의해 좌측 프레임부재의 전단에 축 설치된다.
이때, 제1경첩부(401)의 제1경첩편(412)은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 외측에서 전방을 향하게 결합되고, 제2경첩부(402)의 제2경첩부(422)는 좌측 도어부재(103)의 좌단 전측에서 좌방을 향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축설치되는 좌측 도어부재(103)를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측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경첩판체(421)의 좌단이 제1경첩판체(411)의 전단 우면에 받쳐지게 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좌측 도어부재는 좌측 프레임부재의 전단과 90°로 직교하는 상태가 되면서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전면과 평행하게 되어 적재틀(100)의 전면 좌측을 닫아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 도어부재(10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좌측 도어부재는 후측 프레임부재(101)와 평행하는 상태에서 270°를 회전하여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좌면에 밀착되게 접어진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테두리부(110)의 양 수직부분 중 후측 수직부에 부착된 결속수단(160)의 결속끈부(161)를 당겨서 좌측 도어부재(103)에 부설되어 있는 도어잠금부재(106)의 좌고리부(1063)에 걸어 주면 상기 좌측 도어부재는 좌측 프레임부재의 좌면에 결속되어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한편, 좌측 도어부재(103)에 부착되는 제2경첩부(402)의 제2상축수부(423)와 제2하축수부(424)는 각 하단이 제1경첩부(401)의 제1중축수부(414)와 제1하축수부(415)의 각 상단에 받쳐지게 축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상축수부의 상단과 그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1상축수부(413)의 하단 및 상기 제2하축수부의 상단과 그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1중축수부의 하단 사이는 동일한 간격으로 격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경첩부는 좌측 도어부재에의 좌단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제1경첩부는 후측 프레임부재(101)에 좌측 경첩부재(200)로 승강시킬 수 없게 축 설치된 좌측 프레임부재(102)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경첩부는 제2상·하축수의 각 상단과 제1상·중축수부의 각 하단들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여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좌측도어부재(103)는 제2경첩부(402)와 함께 승강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좌측도어부재가 승강하게 되는 간격에 해당하는 상기 제2경첩부의 축수부들 사이의 간격은 좌측도어부재를 닫아서 하강하여 그 하단이 도어받침수단(190)의 좌측부분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의 위치에서 상기 좌측도어부재를 열기 위해 상승시켜 그 하단이 도어받침수단 전면의 상단결합돌부(1913) 상단에 걸리지 않고 열어 주거나 닫을 수 있게 하는 정도로 된다.
또한,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로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에 우측 도어부재(103')를 설치할 때에는, 상기 우측 프레임부재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들 중 전단 수직부분의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90
"형태 결속홈부(111)에 하단을 통해 2개의 상기 도어경첩부재들 각 제1경첩판체(411)을 차례로 결합하여 이동시켜 먼저 결합한 하나는 상기 전단 수직부분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나중에 결합한 다른 하나는 전단 수직부분의 하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단 수직부분의 상측과 하측의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상·하측 볼트체결공들과 이들에 대응하게 상기 제1경첩판체에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하고, 다음에는 상기 우측 도어부재의 우단 수직부분의 결속홈부에 하단을 통해 2개의 도어경첩부재들 각 제2경첩부(402)들의 제2경첩판체(421)를 차례로 결합하여 이동시켜 먼저 결합한 하나는 상기 우단 수직부분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나중에 결합한 다른 하나는 우단 수직부분의 하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우단 수직부분의 상측과 하측의 내·외면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상·하측 볼트체결공들과 이들에 대응하게 상기 제2경첩판체에 천공되는 상하 한쌍의 볼트공들을 일치시켜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부착하며, 이후 상기 제2경첩판체의 제2상축수부(423) 하단은 상기 제1경첩판체의 중축수부(414)의 상단에 받쳐지고 제2하축수부(424)의 하단은 제1하축수부(415)의 상단에 받쳐지게 결합하여 제1상축수부(413)와 상기 제1중·하축수부 및 제2상·하축수부의 축공들이 수직으로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상방에서 도어경첩축(403)을 결합하여 하방으로 노출되는 하단에 이링을 체결하면, 상기 우측 도어부재는 제1,2경첩부에 의해 우측 프레임부재의 전단에 회전 및 승강하게 축 설치된다.
이때, 제1경첩부(401)의 제1경첩편(412)은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 외측에서 전방을 향하게 결합되고, 제2경첩부(402)의 제2경첩부(422)는 우측 도어부재(103')의 우단 전측에서 우방을 향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축설치되는 우측 도어부재(103')를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측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경첩판체(421)의 우단이 제1경첩판체(411)의 전단 좌면에 받쳐지게 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우측 도어부재는 우측 프레임부재의 전단과 90°로 직교하는 상태가 되면서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전면과 평행하게 되어 적재틀(100)의 전면 우측을 닫아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측 도어부재(10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우측 도어부재는 후측 프레임부재(101)와 평행하는 상태에서 270°를 회전하여 상기 우측 도어부재는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우면에 밀착되게 접어진다.
이때,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테두리부(110)의 양 수직부분 중 후측 수직부에 부착된 결속수단(160)의 결속끈부(161)를 당겨서 우측 도어부재(103')에 부설되어 있는 도어잠금부재(106)의 우고리부(1064)에 걸어 주면 상기 우측 도어부재는 우측 프레임부재의 우면에 결속되어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한편, 우측 도어부재(103')에 부착되는 제2경첩부(402)의 제2상축수부(423)와 제2하축수부(424)는 각 하단이 제1경첩부(401)의 제1중축수부(414)와 제1하축수부(415)의 각 상단에 받쳐지게 축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상축수부의 상단과 그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1상축수부(413)의 하단 및 상기 제2하축수부의 상단과 그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1중축수부의 하단 사이는 동일한 간격으로 격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경첩부는 우측 도어부재의 우단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제1경첩부는 후측 프레임부재(101)에 우측 경첩부재(300)로 승강시킬 수 없게 축 설치된 우측 프레임부재(102')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경첩부는 제2상·하축수부의 각 상단과 제1상·중축수부들 각 하단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여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우측도어부재(103')는 제2경첩부(402)와 함께 승강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우측도어부재가 승강하게 되는 간격에 해당하는 상기 제2경첩부의 축수부들 사이의 간격은 우측도어부재를 닫아서 하강하여 그 하단이 도어받침수단(190)의 우측부분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의 위치에서 상기 우측도어부재를 열기 위해 상승시켜 그 하단이 도어받침수단 전면의 상단결합돌부(1913) 상단에 걸리지 않고 열어 주거나 닫을 수 있게 하는 정도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에 의해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는 동일한 간격으로 승강시켜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닫은 다음 하강시키면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의 서로 대응하는 하단부분이 도어받침수단(190)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측부분을 도어잠금부재(106)로 잠그면 닫힌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어 임의로 열리거나 이동시 흔들리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25는 도 5에서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제2 실시예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27a,b는 도 26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이고, 도 28은 도 26의 좌·우측 도어경첩부재의 다른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이다.
도 25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는, 테두리부(110)의 측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91
"형태로 되는 결속홈부(111)에 결합하는 제1경첩판체(411)와 상기 제1경첩판체의 전면 외단측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제1경첩편(412)과 상기 제1경첩편의 전단에 상하 동일간격으로 결기되게 연장되는 제1상·중·하축수부(413)(414)(415)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73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경첩부(401)와, 상기 결속홈부에 결합고정하는 제2경첩판체(421)와 상기 제1경첩편과 동일한 상하 길이와 연장 폭으로 직교하게 제2경첩판체의 외면 전단측에 연장되는 제2경첩편(422)과 상기 제2경첩편의 전면 외단부 중간부분의 상하에 제1상축수부와 제1중축수부의 사이 및 제1중축수부와 제1하축수부의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수직으로 연결되게 연장형성되는 제2상축수부(423)와 제2하축수부(424)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75
"형태로 형성되는 제2경첩부(402)와, 상기 제1상·중·하축수부와 제2상·하축수부를 상하로 일치시켜 축결합하는 도어경첩축(403)과, 상기 제1경첩부가 결합되는 결속홈부의 제1경첩편 상단과 소정간격으로 격리되는 상측에 볼트로 부착되는 스토퍼(40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들로 먼저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에 우측 도어부재(103')의 우단을 설치할 때에는, 상기 우측 도어부재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들 중 우단 수직부분의 상측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하 한쌍의 볼트공들을 천공하고 이들 한쌍의 볼트공에 대응하게 상기 도어경첩부재 2개들의 각 제2경첩부(402)들 각 제2경첩판체(421)에도 상하 한쌍의 볼트공을 천공한 다음 상기 우단 수직부분의 하단을 통해 결속홈부(111)에 상기 2개 도어경첩부재들의 각 제2경첩판체를 차례로 결합하여 이동시켜 먼저 결합한 하나의 제2경첩판체에 천공된 볼트공들을 우단 수직부분의 상측부에 천공된 볼트공들과 일치시켜 볼트를 체결하여 부착하고, 나중에 결합한 다른 하나의 제2경첩판체에 천공된 볼트공들은 우단 수직부분의 하단부에 천공된 볼트공들과 일치시켜 볼트를 체결하여 부착한다.
이렇게 하면, 2개의 제2경첩부(402)가 우측 도어부재(103')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들 중 우단 수직부분의 상측부와 하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이때 상기 제2경첩부의 제2경첩편(422)은 제2경첩판체(421)의 외면 전단에서 우방을 향하게 결합된다.
이후, 제2경첩부(402)의 제2상축수부(423)는 제1경첩부(401)의 제1상·중축수부(413)(414)들 사이에 개재되고 제2하축수부(424)는 상기 제1중축수부와 제1하축수부(415)들 사이에 개재되게 결합하여 상기 축수부들의 축공들이 수직으로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상방에서 도어경첩축(403)을 결합하여 하방으로 노출되는 하단에 이링을 체결하여 상기 제2경첩부에 제1경첩부를 축결합 한다.
이렇게 하면, 우측 도어부재(103')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들 중 우단 수직부분의 상측부부와 하단부에 도어경첩부재(400) 2개가 설치된다.
다음에는, 2개 도어경첩부재(400)의 각 제1경첩부(401)들 제1경첩판체(411)를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테두리(110) 양 수직부분들 중 전단의 수직부분 하단을 통해 차례로 삽입 이동시켜 상기 2개 도어경첩부재들 중 하측 경첩부재의 제1경첩판체 하단이 전단 수직부분의 하단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스터(600)를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하면 전단부에 설치하는 설치부재(107)를 하테두리부(120)에 볼트로 부착하여 상기 전단 수직부분의 하단을 봉합함으로써 제1경첩부 하단이 설치부재의 상면에 받쳐져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1경첩부(401)의 제1경첩판체(411)는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 수직부분에 볼트로 부착되지 않고 결속홈부(111)에 슬라이딩 승깅하게 결합 설치되며, 이에 따라 우측 도어부재(103')는 도어경첩부재(400)에 의해 회전 및 승강하게 상기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우측 도어부재(103')가 승강하게 되는 범위는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 수직부분에 볼트로 고정되는 스토퍼(404)와 상기 우측 도어부재가 하강하였을 때 제1경첩판체(411)의 상단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게 되며, 이때 제1경첩편(412)은 상기 제1경첩편의 전면 외측에서 전방을 향하고 제2경첩편(422)은 제2경첩판체(421)의 외면 외단에서 우방을 향하게 설치된다.
또한, 우측도어부재(103')가 제1경첩부(401)와 함께 승강하게 되는 간격은. 상기 우측도어부재를 닫아서 하강시켜 그 하단이 도어받침수단(190)의 우측부분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의 위치에서 상기 우측도어부재를 열기 위해 상승시켜 그 하단이 도어받침수단 전면의 상단결합돌부(1913) 상단에 걸리지 않고 열어 주거나 닫을 수 있게 하는 정도로 된다.
이렇게 축설치되는 우측 도어부재(103')를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측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경첩편(422)의 우단이 제1경첩판체(411)의 전단 우면에 받쳐지게 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우측 도어부재는 우측 프레임부재의 전단과 90°로 직교하는 상태가 되면서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전면과 평행하게 되어 적재틀(100)의 전면 우측을 닫아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측 도어부재(10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우측 도어부재는 후측 프레임부재(101)와 평행하는 상태에서 270°를 회전하여 상기 우측 도어부재는 우측 프레임부재(103')의 좌면에 밀착되게 접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테두리부(110)의 양 수직부분 중 후단 수직부분에 부착된 결속수단(160)의 결속끈부(161)를 당겨서 우측 도어부재(103')에 부설되어 있는 도어잠금부재(106)의 우고리부(1063)에 걸어 주면 상기 우측 도어부재는 우측 프레임부재의 좌면에 결속되어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로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에 좌측 도어부재(103)의 좌단을 설치할 때에는, 상기 좌측 도어부재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들 중 좌단 수직부분의 상측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하 한쌍의 볼트공들을 천공하고 이들 한쌍의 볼트공에 대응하게 상기 도어경첩부재 2개의 제2경첩부(402)들 각 제2경첩판체(421)에도 상하 한쌍의 볼트공을 천공한 다음 상기 수직부분의 하단을 통해 결속홈부(111)에 상기 제2경첩판체들을 차례로 결합하여 이동시켜 먼저 결합한 하나의 상기 제2경첩판체에 천공된 볼트공들을 좌단 수직부분의 상측부에 천공된 볼트공들과 일치시켜 볼트를 체결하여 부착하고, 나중에 결합한 다른 하나의 제2경첩판체에 천공된 볼트공들은 좌단 수직부분의 하단부에 천공된 볼트공들과 일치시켜 볼트를 체결하여 부착한다.
이렇게 하면, 2개의 제2경첩부(402)가 좌측 도어부재(103)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들 중 좌단 수직부분의 상측부와 하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이때 상기 제2경첩부의 제2경첩편(422)은 제2경첩판체(421)의 외면 전단에서 좌측을 향하게 결합한다.
이후, 제2경첩부(402)의 제2상축수부(423)는 제1경첩부(401)의 제1상·중축수부(413)(414)들 사이에 개재되고 제2하축수부(424)는 상기 제1중축수부와 제1하축수부(415)들 사이에 개재되게 결합하여 상기 축수부들의 축공들이 수직으로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상방에서 도어경첩축(403)을 결합하여 하방으로 노출되는 하단에 이링을 체결하여 상기 제2경첩부에 제1경첩부를 축결합 한다.
이렇게 하면, 좌측 도어부재(103)의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들 중 좌단 수직부분의 상측부와 하단부에 도어경첩부재(400) 2개가 설치된다.
다음에는, 2개 도어경첩부재(400)의 각 제1경첩부(401)들 각 제1경첩판체(411)를 좌측프레임부재(102)의 테두리(110) 양 수직부분들 중 전단의 수직부 하단을 통해 차례로 삽입 이동시켜 상기 2개 도어경첩부재들 중 하측 경첩부재의 제1경첩부 하단이 전단 수직부분의 하단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스터(600)를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하면 전단부에 설치하는 설치부재(107)를 볼트로 부착하여 상기 전단 수직부분의 하단을 봉합 함으로써 제1경첩부 하단이 설치부재의 상면에 받쳐져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1경첩부(401)의 제1경첩판체(411)는 좌측 프래임부재(102)의 전단 수직부분에 볼트로 부착되지 않고 결속홈부(111)에 슬라이딩하게 결합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좌측 도어부재는 도어경첩부재(400)에 의해 회전 및 승강하게 상기 좌측 프레임부재의 전단에 설치된다.
이때, 제1경첩부(401)가 승강하게 되는 범위는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 수직부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404)와 상기 좌측 도어부재가 하강하였을 때 제1경첩판체(411) 상단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게 된다.
또한, 좌측도어부재(103)가 제1경첩부(401)와 함께 승강하게 되는 간격은. 상기 좌측도어부재를 닫아서 하강시켜 그 하단이 도어받침수단(190)의 좌측부분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의 위치에서 상기 좌측도어부재를 열기 위해 상승시켜 그 하단이 도어받침수단 전면의 상단결합돌부(1913) 상단에 걸리지 않고 열어 주거나 닫을 수 있게 하는 정도로 된다.
이렇게 축설치되는 좌측 도어부재(103)를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전단측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경첩편(422)의 좌단이 제1경첩판체(411)의 전단 좌면에 받쳐지게 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좌측 도어부재는 좌측 프레임부재의 전단과 90°로 직교하는 상태가 되면서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전면과 평행하게 되어 적재틀(100)의 전면 좌측을 닫아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 도어부재(10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좌측 도어부재는 후측 프레임부재(101)와 평행하는 상태에서 270°를 회전하여 상기 좌측 도어부재는 좌측 프레임부재(103')의 좌면에 밀착되게 접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테두리부(110)의 양 수직부분 중 후측 수직부에 부착된 결속수단(160)의 결속끈부(161)를 당겨서 좌측 도어부재(103)에 부설되어 있는 도어잠금부재(106)의 좌고리부(1063)에 걸어 주면 상기 좌측 도어부재는 좌측 프레임부재의 좌면에 결속되어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29는 도 13에서 좌·우측 하판경첩부재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30a,b는 도 29의 좌·우측 하판경첩부재의 사용상태를 일부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좌·우측 하판경첩부재(500)는, 전경첩편(511)과 상기 전경첩편의 상단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격리 연장되는 3개의 전축수(512)를 구비하는 전경첩부(501)와, 후경첩편(521)과 상기 3개의 축수들 사이에 개재되게 후경첩편의 상단에 격리연장되는 2개의 후축수(522)를 구비하는 후경첩부(502)와, 상기 전·후축수를 결합하여 좌우로 연통하게 되는 축공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일측에서 결합하여 타측으로 노출되는 단부에 이링을 체결하여 전·후경첩부를 축설치하는 경첩축(5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좌·우측 하판경첩부재(500)의 전경첩부(501)는 하판부재(104)의 후면 좌우에 부착하고, 후경첩부(502)는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하테두리부(120) 내면 좌우에 부착하여 상기 하판부재를 수평과 수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축설치 하며, 수직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결속수단(160)이 결속끈(161)을 당겨 상기 하판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걸이핀(146)에 걸어주면 상기 하판부재는 후측 프레임부재의 전면 하측부에 밀착 고정된다.
도 31은 도 5에서 캐스터가 설치된 부분을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에서 캐스터와 설치부재를 발췌 분리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3은 도 31에서 캐스터가 설치된 부분의 일부를 발췌 절취 확대하여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1에 따른 캐스터(6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캐스터를 적재틀(100)의 하면 4모서리에 용접부착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별도의 설치부재(107)를 사용하여 상기 캐스터를 간단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설치부재(107)는, 설치판부(1071)와, 상기 설치판부의 하면 좌우에 2단 절곡되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되는 설치홈부(1072)와, 상기 설치판부의 상면 좌우에 하테두리부(120) 좌·우면의 폭에 비례하는 간격으로 격리되어 서로 평행하게 수직연장되는 좌우 고정편부(1073)와, 상기 설치판부의 하면 네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체결홈(1074)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대략 "
Figure 112021088481501-pat00078
"형태로 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설치부재(107)는, 좌우 고정편부(1073)들 사이에 하테두리부(120)가 삽입되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 고정편부와 하테두리부에 대응하게 천공되는 볼트공들을 관통하게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하테두리부에 부착한다.
그리고, 캐스터(600)의 상면에 구비된 고정판부(601)의 좌우 단부를 설치판부(107)의 하면 좌우에 형성된 설치홈부(1072)에 각각 삽입 결합하여 상기 고정판부에 천공된 볼트공들을 설치판부(1071)의 하면에 함몰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074)들에 일치시켜 각각 볼트를 체결하여 부착한다,
따라서, 사용 중 캐스터(600)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체결홈(1074)에 체결한 볼트만 풀어주면 상기 캐스터를 간단하게 교체하여 롤테이너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캐스터를 용접부착한 종래의 롤테이너에서와 같이 캐스터의 손상만으로도 캐스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수명단축이 초래되었던 현상 등이 방지된다.
도 34a~e는 도 4a,b의 경량 롤테이너를 절첩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를 접을 때에는, 일 예로 도 4a에서와 같은 상태인 경우 도 34a에서와 같이 먼저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를 열어서 각각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의 각 외면측(좌·우면측)으로 회전시킨다.
이후, 도 34b에서와 같이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를 각각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의 외면에 밀착시킨 상테에서 각각 해당 결속수단(160)의 결속끈부(161)를 당겨서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의 좌·우고리부(1063)(1064)에 걸어 줌으로써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를 좌·우측 도어부재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게 하고, 지지부재(105)는 수평고정상태에서 고리부(1054)를 걸이핀부(1053)로부터 분리하여 하향회전시켜서 그 하단부분을 결속부(1055)에 결속시켜 수직상태로 좌측 프레임부재에 고정되게 한 다음 하판부재(104)를 상향회전시켜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내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해당 결속수단의 결속끈을 당겨서 걸이핀(146)에 걸어주어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게 한다.
이렇게 한 다음, 도 34c에서와 같이 외면에 좌측 도어부재(103)가 밀착 고정된 좌측 프레임부재(102)를 시계방향으로 270°회전시켜 주면, 상기 좌측 도어부재가 좌측 도어부재와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좌측 후면 사이에 개재되게 접혀져서 서로 평행하는 상태로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4d에서와 같이 외면에 우측 도어부재(103')가 밀착 고정된 우측 프레임부재(102')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주면, 상기 우측 도어부재가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우측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하판부재(104)의 하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우측 프레임부재와 후측 프레임부재의 사이에 하판부재가 개재되는 상태로 우측도어부재와 우측 프레임부재 및 하판부재는 후측 프레임부재의 내면에 서로 평행하는 상태로 밀착되게 접혀진다,
이와 같이 롤테이너를 접어주면,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후면과 내면에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와 하판부재(104) 및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들이 모두 서로 밀착되는 상태로 접혀지게 되어 롤테이너가 접혀진 두께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공간이 좁아도 다수의 롤테이너를 보관 또는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혀진 롤테이어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접을 때의 역순으로 펼쳐주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는, 캐스터외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알루미늄으로 성형되어 용접하지 않고 조립하여 제작되는 것이므로 종래의 접이식 롤테이너에 비하여 중량이 40%이상 감소되기 때문에 사용 및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용이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대폭 향상됨과 동시에 청결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일반적인 공산품은 물론 의료나 식품 정밀기구 등 다양한 분야의 물품을 이동 또는 운송하는데 널리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으면 두께가 최소화 되어 보관 및 공간활용이 매우 용이하고 사용 중 부분적인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부분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수명단축이 방지됨은 물론 폐기시에는 재활용이 가능하여 막대한 자원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지 않게 되는 등의 특징도 있다.
100 : 적재틀 101 : 후측 프레임부재
102 : 좌측 프레임부재 102' : 우측 프= 레임부재
103 : 좌측 도어부재 103' : 우측 도어부재
104 : 하판부재 105 : 지지부재
106 : 도어잠금부재 107 : 설치부재
110 : 테두리부 120 : 하테두리부
130 : 수평지지대 140 : 수직지지대
150 : 봉합캡 160 : 결속수단
170 : 하판받침수단 180 : 좌·우측 파지수단
190 : 도어받침수단 200 : 좌측경첩부재
300 : 우측경첩부재 400 : 도어경첩부재
500 : 하판경첩부재 600 : 캐스터

Claims (14)

  1. 일면에 "
    Figure 112021135006181-pat00215
    "형의 결속홈부(111)가 구비되게 측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216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밴딩하여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81
    "형태로 되는 테두리부(110)와, 상면의 내단측에 상단이 개방되게 함몰형성되는 삽입홈(121)과 상기 삽입홈의 직하부에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82
    "형태로 함몰형성되는 측면결합홈부(122)와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수평격벽(123)과 상기 수평격벽(123)의 하부 중간에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83
    "형태로 되게 돌출되어 양단부에 나사를 체결하는 제1체결구(124)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84
    "형의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10) 양 수직부분의 하단 사이를 가로지르게 양단을 양 수직부분의 내면 하단에 부착하는 하테두리부(120)와, 상면의 하부에 측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217
    "형태로 돌출되어 양단부에 나사를 체결하는 제2체결구(131)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218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10)의 양 수직부분 내면 사이를 가로지르게 양단을 양 수직부분 내면에 부착하는 수평지지대(130)와, 지름이 작은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테두리부(110)의 수평부분과 수평지지대(130)의 상·하면을 상·하로 관통하게 천공되는 제1결합공(112)과 제2결합공(132) 및 하테두리부(120)의 상면에 천공되는 제3결합공(125)을 관통하여 제3결합공(125)이 천공되지 않은 하테두리부(120) 하면의 내부 바닥에 받쳐지고 상단은 테두리부(110) 수평부분의 내부 상·하면 사이에 위치하게 결합하는 수직지지대(140)를 구비하여 되는 후측 프레임부재(101)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101)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101)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테두리부(110)·수평지지대(130) 및 수직지지대(140)와, 측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193
    "형의 사각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10)의 양 수직부분들 하단 사이를 가로지르게 양단을 양 수직부분의 내면 하단에 부착하는 하테두리부(120)를 구비하여 되는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내면 하단부에 좌·우측 하판경첩부재(500)에 의해 상하 회전하게 설치되며 사각형의 평판으로 되는 하판재(141)와 상기 하판재(141)의 4면을 감싸게 결합하는 전후좌우 4개의 테두리재(142)와 상기 테두리재(142)의 4모서리를 결속하는 결속재(143)와 상기 하판재(141)의 하면을 가로지르게 양단을 대응하는 2개 테두리재(142)의 내면에 결합하는 복수의 받침재(144)를 구비하여 되는 하판부재(10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재틀(100)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의 각 하테두리부(120) 내측면 하단부에 부설되어 하판부재(104)를 받쳐주는 좌·우측의 하판받침수단(170)과;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좌단에 좌측 프레임부재(102)의 후단을 결합설치하여 좌측 프레임부재(102)를 270°범위 내에서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좌측 경첩부재(200)와;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우단에 우측 프레임부재(102')의 후단을 결합설치하여 우측 프레임부재(102')를 90°범위 내에서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우측 경첩부재(300)와;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의 각 전단에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의 각 좌·우단을 각각 결합설치하여 270°범위 내에서 정·역회전 및 일정한 간격 내에서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를 닫아서 하강시키면 서로 대응하는 각 우단과 좌단의 하단부분을 함께 받쳐주게 하판부재(104)의 전면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도어받침수단(190); 및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101)의 하면 좌·우단부와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의 하면 각 전단부에 각각 결합설치되는 캐스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틀(100)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를 닫으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잠거주게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에 부설되는 도어잠금부재(106)와, 상기 캐스터(600)의 설치부재(107)와, 상기 테두리부(110)의 수평부분 상·하면에 천공되는 제1결합공(122)들 중 상면에 천공되는 제1결합공(122)에 결합하는 봉합캡(150)과, 상기 후측프레임부재(101)와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에 각각 부설되어 하판부재(104)와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를 결속하는 결속수단(160) 및 상기 테두리부(110)에 결속하는 파지수단(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의 하판받침수단(170)은,
    바닥편(1711)와, 상기 바닥편(1711)의 양단에 서로 대응하게 "
    Figure 112021135006181-pat00194
    "형태로 수직형성되는 결속부(1712)들과, 상기 바닥편(1711)의 일단에서 소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받침편(1713)과, 상기 결속부(1712)들 중 하단에 받침편(1713)이 수평연장된 결속부(1712)의 외측면에 상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받침편(1713)보다 길고 평행하게 수편연장되는 수평편(1714)과, 상기 수평편(1714)의 외단에서 상단이 측면결합홈부(122)의 상단부분에 결합되게 수직연장되는 수직편(1715) 및 상기 수직편(1715)의 하단에서 상기 측면결합홈부(122)의 하단부분에 결합되게 하향연장되는 결합편(1716)을 구비하여 측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89
    "형태로 형성되는 받침판(171)과;
    상기 바닥편(1711)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닥부(1721)와, 상기 바닥부(1721)의 양단 수직부분 각 상단에서 외측을 향하게 "
    Figure 112021135006181-pat00195
    "형태로 연장되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196
    "형의 결속부(1712)들에 결합되는 결합부(1722)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197
    "형태로 형성되는 완충판(17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경첩부재(200)는,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101) 좌단과 좌측 프레임부재(102) 후단의 결속홈부(111)에 각각 각각 대응하게 결합고정하는 제1,2좌판체(211)(221)와, 상기 제1,2좌판체(211)(221)들의 각 내측면 전단부분에 내측방향으로 돌출연장되는 제1,2좌고정축수부(212)(222)와, 상기 제1,2좌판체(211)(221)들의 각 내측면 후단부분에 제1,2좌고정축수부(212)(222)들과 평행하게 내측방향으로 돌출연장되는 제1,2좌축수부(213)(223)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91
    "형태와 이에 대칭으로 되는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92
    "형의 제1,2좌경첩편(201)(202)들과, 평단면이 호형으로 되는 제3좌판체(231)와 상기 제3좌판체(231)의 양단에 지름이 제1,2좌축수부(213)(223)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3좌·우단축수부(232)(233)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93
    "형태로 되는 제3좌경첩편(203)과, 상기 제1좌축수부(213)와 제3좌단축수부(232)를 회전하게 축설치하는 제1좌축핀(204)과, 상기 제2좌축수부(223)과 제3우단축수부(233)를 회전하게 축설치하는 제2좌축핀(205) 및 상기 제1좌고정축수부(212)와 제2좌고정축수부(223)를 축결합하여 고정하는 좌고정축핀(206)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우측 경첩부재(300)는, 평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94
    "형태로 되며 후측편을 상기 후측 프레임부재(101) 우단의 결속홈부(111)에 각각 결합고정하는 제1우판체(311)와, 상기 제1우판체(311)의 전측편 내면 전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연장되는 제1우축수부(312)와, 전측편의 외면 후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연장되는 제1우고정축수부(313)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96
    "형태로 되는 제1우경첩편(301)과, 평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97
    "형태로 되며 전측편을 상기 우측 프레임부재(102') 후단의 결속홈부(111)에 각각 결합고정하는 제2우판체(321)와, 상기 제2우판체의 후면 좌측의 절곡편 단부에 연장형성되는 제2우축수부(322)와, 상기 제2우판체의 후측면 우측의 직선편 단부에 연장형성되는 제2우고정축수부(323)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099
    "형태로 되는 제2우경첩편(302)과, 상기 제1,2우축수부(312)(322)를 회전하게 축설치하는 우축핀(303)과, 상기 제1,2우고정축수부(313)(323)를 회전하지 않게 축결합하는 우고정축핀(304)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 각 전단의 결속홈부(111)에 각각 결합고정하는 제1경첩판체(411)와, 상기 제1경첩판체(411)의 전면 외단측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제1경첩편(412)과, 상기 제1경첩편(412)의 전단에 상하 동일간격으로 격리 연장되는 제1상·중·하축수부(413)(414)(415)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101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경첩부(401)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103)(103') 각 좌·우단의 결속홈부(111)에 각각 결합고정하는 제2경첩판체(421)와, 상기 제1경첩편(412)과 동일한 상하 길이와 연장 폭으로 직교하게 제2경첩판체(421)의 외면 전단측에 연장되는 제2경첩편(422)과, 상기 제2경첩편(422)의 전면 외단부 중간측 및 하측부에 각 하단은 제1중축수부(414) 및 제1하축수부(415)의 상단에 각각 받쳐지고 각 상단은 제1상축수부(413)의 하단 및 제1중축수부(414)의 하단과 동일간격으로 격리되도록 연장되는 제2상축수부(423) 및 제2하축수부(424)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103
    "형태로 형성되는 제2경첩부(402)와;
    상기 제1상·중·하축수부(413)(414)(415)와 제2상·하축수부(423)(424)를 상하로 일치시켜 축결합하는 도어경첩축(403)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도어경첩부재(400)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 각 전단의 결속홈부(111)에 각각 결합고정하는 제1경첩판체(411)와, 상기 제1경첩판체(411)의 전면 외단측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제1경첩편(412)과, 상기 제1경첩편(412)의 전단에 상하 동일간격으로 격리되게 연장되는 제1상·중·하축수부(413)(414)(415)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219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경첩부(401)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103)(103') 각 좌·우단의 결속홈부(111)에 각각 결합고정하는 제2경첩판체(421)와, 상기 제1경첩편(412)과 동일한 상하 길이와 연장 폭으로 직교하게 제2경첩판체(421)의 외면 전단측에 연장되는 제2경첩편(422)과, 상기 제2경첩편(422)의 전면 외단부 중간부분의 상하에 제1상축수부(413)와 제1중축수부(414)의 사이 및 제1중축수부(414)와 제1하축수부(415)의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수직으로 연결되게 연장형성되는 제2상축수부(423)와 제2하축수부(424)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135006181-pat00220
    "형태로 형성되는 제2경첩부(402)와;
    상기 제1상·중·하축수부(413)(414)(415)와 제2상·하축수부(423)(424)를 상하로 일치시켜 축결합하는 도어경첩축(403)과;
    상기 제1경첩부(401)가 결합되는 결속홈부(111)의 제1경첩편(412) 상단과 소정간격으로 격리되는 상측에 부착되는 스토퍼(404)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받침수단(190)은, 바닥판(1911)과, 상기 바닥판(1911)의 전·후단에 "
    Figure 112021088481501-pat00200
    "형태로 대응하게 수직형성되는 결속홈부(1912)들과, 하테두리부(120)의 측면결합홈부(122) 상단부에 결합되게 상기 양단 결속홈부(1912)들 중 일단 결속홈부의 상면에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09
    "형태로 수직 연장되며 상단에 사각형태로 돌출되는 상단 결합돌부(1913)와, 상기 측면결합홈부(122)의 하단부에 결합되게 일단 수직부분의 하단과 바닥편의 일단이 직교하는 모서리에 상단 결합돌부(1913)와 대응하는 사각형태로 돌출되는 하단 결합돌부(1914)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10
    "형태로 형성되는 받침판재(191)와;
    상기 바닥판(1911)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닥판부(1921)와, 상기 바닥판부(1921)의 양단 수직편부(1922)와, 상기 양단 수직편부(1922)의 각 상단에서 외측을 향하게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11
    "형태로 대칭되게 연장되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201
    "형의 결속홈(1912)들에 결합되는 결합편부(1723)를 구비하여 측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113
    "형태로 형성되는 완충판재(19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부재(106)는,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로 적재틀(100)의 전면을 닫았을 때 각 테두리부(110)의 양 수직부분들 결속홈부(111) 중 서로 대응하게 되는 결속홈부(111)의 대응하는 상측부분에 각각 결합하여 볼트너트로 고정하는 좌·우결합편(1061)(1062)과, 상기 좌·우결합편(1061)(1062)의 각 전단에 내·외경이 서로 동일하게 파이프형태로 연장되어 좌·우측 도어부재(103)(103')를 닫으면 상·하수직으로 연통하게 합쳐지는 좌·우고리부(1063)(1064)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서로 대칭하게 "
    Figure 112021135006181-pat00114
    " 와 "
    Figure 112021135006181-pat00115
    "형태로 되며, 몸통의 지름은 상기 좌·우고리부(1063)(1064)의 내경에 대응하고 상단의 머리는 몸통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방에서 좌·우고리부(1063)(1064)에 수직으로 결합하면 좌·우고리부(1063)(1064)가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여 좌·우측 도어부재(103)(103')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잠거주는 잠금핀(1065)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600)의 설치부재(107)는, 설치판부(1071)와,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의 각 하테두리부(120) 전단부분에 결합하여 부착하게 상기 설치판부(1071)의 상면 좌우에 하테두리부(120) 좌·우면의 폭에 비례하는 간격으로 격리되어 서로 평행하게 수직연장되는 좌우 고정편부(1073)와, 상기 고정판부(1073)의 하면 4모서리부분에 함몰형성되는 체결홈부(1074)와, 상기 설치판부(1071)의 하면 좌우에 2단 절곡되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되어 캐스터(600)의 상면에 부설되는 고정판부(601)의 좌우 단부를 결합하는 설치홈부(1072)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판부(601)를 설치홈부(1072)에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판에 천공된 볼트공들을 통해 체결홈부(1074)에 볼트를 체결하여 캐스터(600)를 부착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캡(150)은, 원형의 판형태로 되는 캡부(151)와, 상기 캡부(151)의 하면 중앙에서 하향연장되며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테두리부(110) 상면에 천공되는 제1결합공(112)의 내경보다 크게 되는 복수의 탄성편으로 형성되는 탄성결속부(15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160)은, 내마모성과 신축성이 우수한 고탄성의 폴리우레탄계열 합성섬유 등으로 로프형태로 되게 직조되는 것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되는 결속끈부(161)와, 일단에는 상기 결속끈부(161)의 양단을 압착결속하고 타단에는 나사공이 천공된 고정편부(16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파지수단(180)은, 측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202
    "형태인 테두리부(110)에 외면을 감싸주는 상태로 결속되게 고탄성의 우레탄고무 등으로 평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203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181)와, 상기 몸체부(181)의 양단에서 서로 대응하게 내측으로 2단 만곡연장되어 결속홈부(111)의 양단을 감싸주는 상태로 결속되는 양측의 결착부(182)를 구비하여 평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204
    "형태로 되게 압출되는 것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틀(100)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의 높이가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들 보다 낮게 형성되어 이들의 높이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의 상단과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의 상단과 사이의 전면이 개방되어 적재틀(100)에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의 상단보다 높게 물품들을 적재하여 이동시킬 때 좌·우측 도어부재(103)(103')의 상단을 통해 물품이 쏟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10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5)는, 사각형의 파이프형태로 되는 지지대(1051)와, 지지대(1051)와, 상기 좌·우측 프레임부재(102)(102')들 각 전단이 되는 테두리부(110)의 수직부 상측부분들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하 회전하게 축설치하는 힌지부(1052)와, 상기 힌지부(1052)가 부착되지 않은 다른 수직부(111)의 상측부분에 힌지부(1052)에 대응하게 부착되는 걸이핀부(1053)와, 상기 지지대(1051)의 일단에 부착되어 힌지부(1052)에 축결합되는 축수부(1054)와, 상기 지지대(1051)의 타단에 부착되어 걸이핀부(1053)에 걸어지는 고리부(1055) 및 평단면이 "
    Figure 112021088481501-pat00205
    "형태로 되며 상기 힌지부(1052)가 부착되는 수직부분의 하측부분에 부착되어 지지대(1051)를 사용하지 않을 때 힌지부(1052)를 축으로 하여 하향회전시켜 그 타단부분을 결합하면 결속되어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지대결속부(1056)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KR1020210087040A 2021-07-02 2021-07-02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KR10237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040A KR102370629B1 (ko) 2021-07-02 2021-07-02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JP2021170902A JP7297029B2 (ja) 2021-07-02 2021-10-19 折り畳み式軽量ロールコンテナー
CN202111220391.4A CN113859336A (zh) 2021-07-02 2021-10-20 可折叠式轻型笼车
US17/518,525 US11891100B2 (en) 2021-07-02 2021-11-03 Foldable lightweight roll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040A KR102370629B1 (ko) 2021-07-02 2021-07-02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629B1 true KR102370629B1 (ko) 2022-03-07

Family

ID=8081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040A KR102370629B1 (ko) 2021-07-02 2021-07-02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7824A (zh) * 2022-06-17 2022-09-09 辽宁鸿云智慧托盘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液体运输箱
KR20240000711A (ko) 2022-06-24 2024-01-03 스카이 모터스(주) 개량형 롤테이너
KR20240000938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유한캐스터 접이식 롤컨테이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039B1 (ko) * 2015-01-13 2016-09-26 (주)경동하이테크 플라스틱 롤테이너
KR101792033B1 (ko) * 2017-05-02 2017-10-31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롤테이너 및 롤테이너용 커버를 포함하는 쿨테이너
KR200487701Y1 (ko) * 2018-03-15 2018-10-2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KR102131045B1 (ko) * 2019-01-08 2020-07-08 (주)헬파티엘에스 확장형 롤테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039B1 (ko) * 2015-01-13 2016-09-26 (주)경동하이테크 플라스틱 롤테이너
KR101792033B1 (ko) * 2017-05-02 2017-10-31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롤테이너 및 롤테이너용 커버를 포함하는 쿨테이너
KR200487701Y1 (ko) * 2018-03-15 2018-10-24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농산물 보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량화된 접이식 컨테이너
KR102131045B1 (ko) * 2019-01-08 2020-07-08 (주)헬파티엘에스 확장형 롤테이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7824A (zh) * 2022-06-17 2022-09-09 辽宁鸿云智慧托盘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液体运输箱
CN115027824B (zh) * 2022-06-17 2024-03-12 辽宁鸿云智慧托盘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液体运输箱
KR20240000711A (ko) 2022-06-24 2024-01-03 스카이 모터스(주) 개량형 롤테이너
KR20240000938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유한캐스터 접이식 롤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629B1 (ko)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US7641253B2 (en) Adjustable shelving system for vehicles
TW201722805A (zh) 可逆式可折合貨櫃
US20080116199A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Air Shipment of Cargo Having Peaked Top and Method of Use
JP2001031184A (ja) 折畳式の空輸用貨物コンテナ
KR101133529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도어 개폐장치
KR20160146027A (ko) 접이식 컨테이너
AU659908B2 (en) Apparatus for partitioning a storage space
CA3010181C (en) Door locking assembly
KR100336212B1 (ko) 절첩형 물품운반대차
KR101632331B1 (ko)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CN111874404A (zh) 一种基于可拆卸放倒立柱与铰链结合的两用堆叠式折叠箱
US8366362B2 (en) Rotatable partition system for a freight carrying enclosure
AU2011213540B2 (en) Open sided container and doors
JP7297029B2 (ja) 折り畳み式軽量ロールコンテナー
CN213009282U (zh) 一种集成式折叠箱
US20100052354A1 (en) Composite stake racks for flatbed truck body
KR102483286B1 (ko)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KR20210070550A (ko) 확장형 파렛트
CN111874410A (zh) 一种集成式折叠箱
US20050144859A1 (en) Construction kit
KR100882014B1 (ko) 부품 저장용 팔레트
CN214085584U (zh) 一种两用堆叠式折叠箱
CN214085885U (zh) 一种门扇可开式物流箱
CN214085305U (zh) 一种可堆叠式折叠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