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711A - 개량형 롤테이너 - Google Patents

개량형 롤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711A
KR20240000711A KR1020220077211A KR20220077211A KR20240000711A KR 20240000711 A KR20240000711 A KR 20240000711A KR 1020220077211 A KR1020220077211 A KR 1020220077211A KR 20220077211 A KR20220077211 A KR 20220077211A KR 20240000711 A KR20240000711 A KR 20240000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ontainer
lever
paragraph
frame
improved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열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스카이 모터스(주)
김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이 모터스(주), 김호열 filed Critical 스카이 모터스(주)
Priority to KR102022007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711A/ko
Publication of KR2024000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5Foldable rol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braking on the running surface, e.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모듈이 구비된 손잡이와 브레이크를 장착하여 이동 중 손쉽게 롤테이너를 정지시키고, 손잡이를 고정시키며,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보관이 용이한 개량형 롤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짐을 싣는 적재공간을 형성하고, 하단에 캐스터(castor)가 구비된 롤테이너로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레버가 구비된 손잡이부, 일단이 상기 레버에 연결된 연결선 및 상기 연결선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해 상기 캐스터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형 롤테이너{Improved Rolltainer}
본 발명은 고정모듈이 구비된 손잡이와 브레이크를 장착하여 이동 중 손쉽게 롤테이너를 정지시키고, 손잡이를 고정시키며,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보관이 용이한 개량형 롤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롤테이너는 롤(Roll)과 컨테이너(Container)의 합성어로, 짐을 싣는 기구에 바퀴를 결합하여 짐을 이동시키는데 용이하도록 구현된 장치이다. 비슷한 용도의 기구로는 휴대용카트, 수레차, 끌개 등이 있지만, 롤테이너는 언급된 기구들과 비교하여 큰 부피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공장·택배·물류유통 현장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롤테이너는 100kg를 넘는 무게를 수용할 수 있어야한다. 또한, 작업 효율상 롤테이너를 작동하는 인원은 1인이므로, 혼자서도 무거운 물건을 수용한 롤테이너를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기존 특허로는 등록 특허 10-2316594 "팔레트의 착탈이 가능한 롤테이너"가 있다. 해당 특허는 롤테이너의 팔레트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팔레트가 반복적으로 착탈됨에 따라 안정성이 감소하는것에 대비하여 팔레트가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팔레트의 좌·우측 모서리 상단을 선택적으로 덮게 하는 제한 부재를 구비하였다. 또한, 전방 제한 부재와 회전 차단 유닛을 구비하여 팔레트를 거치할 경우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해당 특허는 팔레트 거치의 안정성은 추구하였으나 롤테이너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함에 있어서는 그 구성이 미비하다.
또한, 이 외 관련된 기존 특허로는 등록 특허 10-2393745 "롤테이너 이송용 무인 운반차"가 있다. 해당 특허는 구동수단 및 바퀴가 구비된 구동부가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며 박스 형태의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었다. 무인 운반차로 구성되어 롤테이너를 이송하는 작업을 무인으로 자동화하여 운영할 수 있으나, 바닥면이 대부분 장애물로 배치된 현장일 경우 사용이 부적절 하며, 또한 장애물은 바닥면 뿐 아니라 본체 높이에서도 배치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당 특허의 롤테이너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손쉽게 롤테이너를 이동·정지 시키고,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개량형 롤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1. 등록특허 10-2282840 "롤테이너 및 이에 적용되는 체결구조" 2. 등록특허 10-2393745 "롤테이너 이송용 무인 운반차" 3. 등록특허 10-2370629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4. 등록특허 10-2316594 "팔레트의 착탈이 가능한 롤테이너"
본 발명은 프레임에 레버, 캐스터에 스톱퍼를 별도 부가하여 롤테이너 이동 중 레버를 잡고 놓음으로써 롤테이너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지·이동 시킬 수 있고, 짐을 싣는 지지판 아래 댐퍼를 구비하여 지지판을 안전하게 지지하며 소음을 감소시키는 개량형 롤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짐을 싣는 적재공간을 형성하고, 하단에 캐스터(castor)가 구비된 롤테이너로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레버가 구비된 손잡이부, 일단이 상기 레버에 연결된 연결선 및 상기 연결선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해 상기 캐스터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레버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연결선으로 전달되는 인장력을 압축력으로 전환시키는 힘전환 모듈 및 상기 압축력을 전달받아 상기 캐스터를 가압하는 압축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힘전환 모듈은, 일단이 상기 연결선과 연결되고 타단에 접지부가 형성된 컨트롤판, 상기 컨트롤판을 관통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를 지지하고 판면에 핀홀이 형성된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판은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연결선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축회전하여 상기 접지부가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모듈은, 상단에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핀홀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 압축봉, 상기 압축봉에 끼워지고, 상단이 상기 헤드에 지지되는 제1스프링, 상기 제1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고, 하부에 상기 캐스터가 설치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관통하여 돌출한 상기 압축봉의 하단과 결합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를 당길 경우, 상기 컨트롤판의 접지부가 하강하여 상기 압축봉의 헤드를 누름에 따라 상기 제1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스톱퍼가 캐스터를 압박하고, 상기 레버를 놓을 경우,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접지부가 상승하여 상기 스톱퍼의 압박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 하면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스터는 상기 지지체 사이에서 축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양측이 상기 지지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톱퍼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적재공간 방향으로 하단이 "ㄴ" 형태로 접힌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하나의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고, 적재공간 하단에 구비되며, 짐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의 흔들림을 완화하고, 탄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개의 댐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스터는 2개의 회전형 캐스터와 2개의 고정형 캐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프레임에 힌지 구조로 장착된 접이식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를 접은 상태나 편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레버가 결합된 핸들봉,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된 힌지부와, 상기 핸들봉에 결합되는 후단부가 형성된 막대형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C자형으로 굽어진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에는 수직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의 하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며, 이격된 2개의 연통공이 형성된 메인 고정체,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통공과 연속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형성된 커버, 막대형의 상단부(上段部)와 하단부(下段部)가 종방향으로 이어져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단부의 윗부분에 횡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의 횡홀 형성 부위가 상기 커버의 상단 통공 위로 돌출하고, 상기 하단부는 연속배치된 상기 수직통공과 1개의 연통공 내에 배치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키의 상단부에 끼워지고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횡홀에 끼워지는 횡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횡봉을 상방으로 당길 경우, 상기 고정키 하단부가 상기 메인 고정체 위로 상승하여 상기 제2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모듈의 고정상태가 해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 및 메인 고정체는 상기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2편(片)이 조합되어 일체(一體)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1. 브레이크부와 레버를 연결선으로 연결하여, 레버를 당기고 놓는 동작만으로 롤테이너의 이동·정지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2. 힌지 구조의 접이식 핸들부가 장착되어 필요에 따라 손잡이를 접거나 펼 수 있다.
3. 고정모듈을 구비하여 접거나 핀 접이식 핸들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4.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와 롤테이너의 안전 간격을 유지하고, 브레이크부와 연결된 레버를 사용하여 롤테이너를 손쉽게 조작함으로써 작업자의 손·발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5. 고정형 캐스터와 회전형 캐스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롤테이너의 직진성을 높이고, 이동 방향 설정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6. 연질의 댐퍼를 구비하여 지지판의 고정력을 높이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롤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를 당겼을 때, 브레이크부의 스톱퍼가 하강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를 놓았을 때, 브레이크부의 스톱퍼가 상승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에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부와 고정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모듈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모듈의 고정키가 상·하 이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부를 열고 닫을 때, 고정모듈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힌지부 및 메인 고정체가 2편이 조합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과 힌지부 및 메인 고정체의 끼움식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이 회전하여 프레임과 접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와 지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프레임(11)을 연결하여 짐을 싣는 적재공간을 형성하고, 하단에 캐스터(castor, 12)가 구비된 롤테이너로서, 상기 프레임(11)에 장착되고, 레버(131)가 구비된 손잡이부(13), 일단이 상기 레버(131)에 연결된 연결선(14) 및 상기 연결선(14)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레버(131) 조작에 의해 상기 캐스터(12)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롤테이너(1)의 사시도이다.
상기 프레임(11)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짐을 싣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4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인접한 프레임에 접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캐스터(12)는 상기 프레임(11) 하단에 구비되고, 축회전하여 개량형 롤테이너(1)를 구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스터(12)는 회전형과 고정형 중 어느 하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3)는 상기 프레임(11)에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3)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개량형 롤테이너(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3)는 작업자와 개량형 롤테이너(1) 사이의 안전간격을 확보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상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131)는 상기 손잡이부(1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131)는 상기 연결선(14)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선(14)은 상기 브레이크부(15)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131)는 당기거나, 놓는 동작에 따라 개량형 롤테이너(1)를 이동하거나 멈출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작동 과정은 브레이크부(15)의 구성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선(14)은 일단이 상기 레버(13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브레이크부(1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14)은 상기 레버(131)를 당길 경우, 연결선(14)의 상태가 팽팽해지며 발생하는 인장력을 상기 브레이크부(15)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선(14)은 상기 레버(131)를 놓을 경우, 연결선(14)의 상태가 느슨해지며 인장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작동 과정은 브레이크부(15)의 구성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크부(15)는 개량형 롤테이너(1)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15)는 상기 연결선(14)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레버(13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캐스터(12)를 정지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부(15)는, 상기 레버(131)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연결선(14)으로 전달되는 인장력을 압축력으로 전환시키는 힘전환 모듈(151) 및 상기 압축력을 전달받아 상기 캐스터(12)를 가압하는 압축모듈(15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부(15)의 사시도이다.
상기 힘전환 모듈(151)은 상기 레버(131)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연결선(14)으로 전달되는 인장력을 압축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모듈(152)은 상기 압축력을 전달받아 상기 캐스터(12)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131)의 조작에 따른 상기 브레이크부(15)의 작동은, 상기 레버(131)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연결선(14)을 통해 인장력이 전달되고, 상기 힘전환 모듈(151)을 통해 압축력으로 전환되며, 상기 압축모듈(152)을 통해 상기 캐스터(12)를 가압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힘전환 모듈(151)은, 일단이 상기 연결선(14)과 연결되고 타단에 접지부(15111)가 형성된 컨트롤판(1511), 상기 컨트롤판(1511)을 관통하는 회전축(1512), 상기 회전축(1512)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1513) 및 상기 서포트(1513)를 지지하고 판면에 핀홀(15141)이 형성된 보드(1514)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판(1511)은 상기 레버(131)에 의해 상기 연결선(14)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회전축(1512)을 기준으로 축회전하여 상기 접지부(15111)가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판(1511)은 일단이 상기 연결선(14)과 연결되고, 타단에 접지부(15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판(1511)의 상기 연결선(14)과 연결된 일단은 상기 레버(131)의 조작에 따라 당겨지거나 느슨해질 때, 상기 회전축(1512)을 기준으로 일부 축회전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512)은 상기 컨트롤판(1511)과 상기 서포트(1513)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512)은 상기 컨트롤판(1511)을 축회전 시킬 수 있다.
상기 서포트(1513)는 상기 회전축(1512)을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드(1514)는 상기 서포트(1513)를 지지하고, 판면에 핀홀(151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모듈(152)은, 상단에 헤드(15211)가 형성되고, 상기 핀홀(15141)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 압축봉(1521), 상기 압축봉(1521)에 끼워지고, 상단이 상기 헤드(15211)에 지지되는 제1스프링(1522), 상기 제1스프링(1522)의 하단을 지지하고, 하부에 상기 캐스터(12)가 설치되는 받침판(1523) 및 상기 받침판(1523)을 관통하여 돌출한 상기 압축봉(1521)의 하단과 결합하는 스톱퍼(1524)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131)를 당길 경우, 상기 컨트롤판(1511)의 접지부(15111)가 하강하여 상기 압축봉(1521)의 헤드(15211)를 누름에 따라 상기 제1스프링(1522)이 압축되면서 상기 스톱퍼(1524)가 캐스터(12)를 압박하고, 상기 레버(131)를 놓을 경우, 상기 제1스프링(1522)의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접지부(15111)가 상승하여 상기 스톱퍼(1524)의 압박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봉(1521)은 상단에 헤드(15211)가 형성되고, 상기 핀홀(15141)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1522)은 상기 압축봉(1521)에 끼워지고, 상단이 상기 헤드(1521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1523)은 상기 제1스프링(1522)의 하단을 지지하고, 하부에 상기 캐스터(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1524)는 상기 받침판(1523)을 관통하여 돌출한 상기 압축봉(1521)의 하단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1524)는 상기 압축에 의하여 상·하 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131)를 당길 경우,
상기 컨트롤판(1511)은 일단에 연결된 상기 연결선(14)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회전축(1512)을 기준으로 축회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지부(15111)가 하강하여 상기 압축봉(1521)의 헤드(15211)를 누르고, 상기 제1스프링(1522)이 압축되면서 상기 스톱퍼(1524)가 하강하여 캐스터(12)를 압박하며 캐스터(12)의 회전이 멈추므로 개량형 롤테이너(1)를 정지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면,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레버(131)를 놓을 경우,
상기 컨트롤판(1511)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연결선(14)이 느슨해지며, 상기 제1스프링(1522)의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접지부(15111)가 상승하고 상기 컨트롤판(1511)은 상기 레버(131)를 당길 경우와 비교하여 역방향으로 축회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부(15111)는 상기 압축봉(1521)을 더이상 가압하지 않고, 상기 접지부(15111)의 상승에 따라 상기 압축봉(1521)도 상승하므로 상기 스톱퍼(1524) 또한 상승하여 상기 캐스터(12)의 압박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1523) 하면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지지체(1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스터(12)는 상기 지지체(121) 사이에서 축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양측이 상기 지지체(121)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톱퍼(1524)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152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5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지체(121)는 상기 받침판(1523) 하면에 한 쌍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캐스터(12)를 사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525)는 상기 스톱퍼(1524)에 횡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체(121)에 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525)는 상기 스톱퍼(1524)가 상·하 이동을 할 경우, 상기 스톱퍼(1524)가 매끄럽게 움직이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3)는, 상기 프레임(11)에 힌지 구조로 장착된 접이식 핸들부(132) 및 상기 핸들부(132)를 접은 상태나 편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모듈(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132)는, 상기 레버(131)가 결합된 핸들봉(1321), 상기 프레임(11)에 힌지결합된 힌지부(13221)와, 상기 핸들봉(1321)에 결합되는 후단부(13222)가 형성된 막대형 링크부재(1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핸들부(132)는 상기 프레임(11)에 힌지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132)는 결합된 상기 프레임(11)에 평행하도록 접히거나, 결합된 상기 프레임(11)과 수직을 이루도록 펴질 수 있다.
상기 핸들봉(1321)은 상기 레버(131)가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봉(1321)은 작업자가 작업을 할 경우, 손에 쥐고 작업하기에 가장 바람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1322)는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과 상기 핸들봉(1321)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1322)의 힌지부(13221)는 상기 프레임(11)과 힌지결합하고, 링크부재(1322)의 후단부(13222)는 상기 핸들봉(1321)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132)는 상기 핸들봉(1321)과 링크부재(1322)가 조립되어 상기 프레임(11)과 결합한 형식으로, 이러한 핸들부(132)를 '조립형 핸들부(132)'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13221)에는 수직통공(132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모듈(133)은, 상기 프레임(11)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13221)의 하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며, 이격된 2개의 연통공(13311)이 형성된 메인 고정체(1331), 상기 힌지부(13221)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통공(13223)과 연속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형성된 커버(1332), 막대형의 상단부(上段部, 13331)와 하단부(下段部, 13332)가 종방향으로 이어져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단부(13331)의 윗부분에 횡홀(13333)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13331)의 횡홀(13333) 형성 부위가 상기 커버(1332)의 상단 통공 위로 돌출하고, 상기 하단부(13332)는 연속배치된 상기 수직통공(13223)과 1개의 연통공(13311) 내에 배치되는 고정키(1333), 상기 고정키(1333)의 상단부(13331)에 끼워지고 하단부(13332)에 의해 지지되는 제2스프링(1334) 및 상기 횡홀(13333)에 끼워지는 횡봉(133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횡봉(1335)을 상방으로 당길 경우, 상기 고정키(1333) 하단부(13332)가 상기 메인 고정체(1331) 위로 상승하여 상기 제2스프링(1334)이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모듈(133)의 고정상태가 해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직통공(13223)은 상기 링크부재(1322)의 힌지부(132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모듈(133)은 상기 핸들부(132)를 접은 상태나 편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모듈(133)은 메인 고정체(1331), 커버(1332), 고정키(1333), 제2스프링(1334), 횡홀(133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고정체(1331)는 상기 프레임(11)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13221)의 하면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고정체(1331)는 이격된 2개의 연통공(13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1322)의 힌지부(13221)와 상기 메인 고정체(1331)는 상기 프레임(11)에 관통되어 상·하층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결합구조를 '조립식 결합구조'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커버(1332)는 상기 링크부재(1322) 힌지부(13221)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통공(13223)과 연속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1332)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중앙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332)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고정키(133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키(1333)는 막대형의 상단부(13331)와 하단부(13332)가 종방향으로 이어져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키(1333)는 상단부(13331)와 하단부(13332)가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부(13331)의 윗부분에 횡홀(133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부(13331)의 횡홀(13333) 형성 부위는 상기 커버(1332)의 상단 통공 위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키(1333)의 하단부는 연속배치된 상기 수직통공(13223)과 1개의 연통공(13311)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프링(1334)은 상기 고정키(1333)의 상단부(13331)에 끼워지고 하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횡봉(1335)은 상기 고정키(1333)의 횡홀(13333)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봉(1335)을 상방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고정키(1333)를 위로 상승시켜 상기 고정모듈(133)의 고정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a)는 상기 고정모듈(133)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메인 고정체(1331) 상단에 상기 링크부재(1322)의 힌지부(13221)가 배치되어있으며, 상기 프레임(11)이 메인 고정체(1331)와 힌지부(13221)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키(1333)의 하단부는 연속하여 배치된 상기 메인 고정체(1331)의 연통공(13311)과 상기 힌지부(13221)의 수직통공(13223)에 끼워져있다. 상기 고정키(1333)의 상단부(13331)는 제2스프링(1334)을 끼우며, 상기 커버(1332)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었으며, 상기 횡홀(13333) 형성 부위는 상기 커버(1332)의 상단 통공 위로 돌출되었다. 상기 횡봉(1335)은 상기 횡홀(13333)에 끼워져있으며, 해당 상태는 상기 고정모듈(133)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이다.
(b)는 상기 고정모듈(133)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횡봉(1335)을 상방으로 당길 경우, 상기 고정키(1333) 하단부(13332)가 상기 메인 고정체(1331) 연통공(13311)의 높이를 벗어나 상기 링크부재(1322) 힌지부(13221)의 수직통공(13223) 높이까지 상승한다. 상기 고정키(1333)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2스프링(1334) 또한 상기 커버(1332)의 내부공간에서 압축되며, 해당 상태는 상기 고정모듈(133)이 해제된 상태이다.
상기 고정모듈(133)은 상기 핸들부(132)가 접거나 편 상태로 전환 될 때, 상기 메인 고정체(1331)에 형성될 2개의 연통공(13311)에 상기 고정키(1333)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핸들부(132)의 접거나 편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을 통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핸들부(132)가 접혀있을 때, 상기 고정키(1333)는 수직통공(13223)과 연통공(13311b)을 통과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부(132)를 열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상기 횡봉(1335)을 상승시켜 상기 고정키(1333)를 상기 링크부재(1322) 힌지부(13221)의 수직통공(13223) 높이까지 들어올린 후, 힌지 구조로 장착된 상기 핸들부(132)를 잡아당겨 편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고정키(1333)는 수직통공(13223)과 연통공(13311a)을 통과하여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면, 상기 고정모듈(133)을 통해 상기 핸들부(132)가 펴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132)는 C자형으로 굽어진 양단이 상기 프레임(11)에 힌지결합되는 상기 힌지부(132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132)는 C자형으로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132)의 굽어진 양단은 상기 프레임(11)에 힌지결합하도록 상기 힌지부(13221)가 형성될 수 있다.
C자형으로 굽어진 상기 핸들부(132)는, 상기 핸들봉(1321)과 링크부재(1322)로 분리되지 않고, 상기 핸들봉(1321)과 링크부재(1322)를 결합하여 일체화 한 형식으로, 이러한 핸들부(132)를 '일체형 핸들부(132)'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13221) 및 메인 고정체(1331)는 상기 프레임(11)을 사이에 두고 2편(片)이 조합되어 일체(一體)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3221) 및 상기 메인 고정체(1331)는 2편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2편으로 분할된 상기 힌지부(13221) 및 상기 메인 고정체(1331)는 상기 프레임(11)을 사이에 두고 조합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a)는 2편으로 분할된 상기 힌지부(13221) 및 메인 고정체(1331)를 도시한 것이며, (b)는 상기 프레임(11)을 사이에 두고 조합되어 일체를 이룬것을 도시한 것이다.
2편으로 분할된 상기 힌지부(13221) 및 상기 메인 고정체(1331)는, 분리된 2편을 끼워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결합구조를 '끼움식 결합구조'로 구분할 수 있다.
2편으로 분할된 상기 힌지부(13221) 및 상기 메인 고정체(1331)는 롤테이너가 이미 완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1)을 해체하지 않고, 분할된 2편 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2편으로 분할된 상기 힌지부(13221) 및 상기 메인 고정체(1331)는 플러그식 결합, 자석, 볼트·너트 결합 등 어느 하나의 결합 방법을 통하여 일체화 될 수 있다.
[도 13]은 개량형 롤테이너(1)에 2편으로 분할된 상기 힌지부(13221) 및 상기 메인 고정체(1331)를 '끼움식 결합구조'로 결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끼움식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1)을 해체하지 않고, 2편의 힌지부(13221) 및 메인 고정체(1331)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스터(12)는 2개의 회전형 캐스터와 2개의 고정형 캐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스터(12)는 고정형 캐스터와 회전형 캐스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개량형 롤테이너(1)의 이동 방향 설정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스터(12)는 롤테이너를 사용함에 있어 고정형 캐스터를 전방에, 회전형 캐스터를 후방으로 배치하여 롤테이너의 직진성을 높이고, 회전 용이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1)은 적재공간 방향으로 하단이 "ㄴ" 형태로 접힌 테두리부(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하단이 적재공간 방향을 향해 "ㄴ" 형태로 소정의 길이만큼 접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비되어 적재공간을 형성하고, 이때 4개의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4개의 상기 프레임(11) 하단이 적재공간 방향을 향해 "ㄴ" 형태로 접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하나의 상기 프레임(11)과 결합하고, 적재공간 하단에 구비되며, 짐을 지지하는 지지판(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6)은 적재공간 하단에 구비되어 짐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6)은 일측이 하나의 상기 프레임(11)과 결합하여, 사용시에는 바닥면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6)은 상기 프레임(11)과 결합한 일측을 기준으로 바닥면과 수직으로 결합한 상기 프레임(11)과 접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16)이 상기 프레임(11)과 접하도록 회전하였으며, 상기 프레임(11)도 함께 회전시켜 전체 부피를 줄여 보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11)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16)의 흔들림을 완화하고, 탄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16)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개의 댐퍼(1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1111)는 상기 테두리부(111)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1111)의 상단에 상기 지지판(16)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댐퍼(1111)는 연질 소재로 구비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댐퍼(1111)의 상단에 배치된 상기 지지판(16)의 흔들림을 완화하고,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1111)는 이동중 발생하는 탄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16)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1111)가 상기 테두리부(111)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경우, 가장자리에 배치된 1개의 댐퍼(1111)를 수직으로 결합하여 상기 지지판(16)이 상기 댐퍼(1111)의 상단에 배치될 때 수직으로 결합된 댐퍼(1111)는 상기 지지판(16)의 측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수개의 상기 댐퍼(1111)가 상기 테두리부(111)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었고, 도면기준으로 가장 왼쪽에 배치된 1개의 댐퍼(1111)가 수직으로 결합하였다. 상기 지지판(16)은 수직으로 구비된 가장 왼쪽의 댐퍼(1111)와 측면이 맞닿고, 나머지 댐퍼(1111)의 상단에 배치되었다. 1개의 상기 댐퍼(1111)를 수직으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판(16)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 개량형 롤테이너
11 : 프레임
111 : 테두리부
1111 : 댐퍼
12 : 캐스터(castor)
121 : 지지체
13 : 손잡이부
131 : 레버
132 : 핸들부
1321 : 핸들봉
1322 : 링크부재
13221 : 힌지부 13222 : 후단부
13223 : 수직통공
133 : 고정모듈
1331 : 메인 고정체
13311 : 연통공
1332 : 커버
1333 : 고정키
13331 : 상단부 13332 : 하단부
13333 : 횡홀
1334 : 제2스프링
1335 : 횡봉
14 : 연결선
15 : 브레이크부
151 : 힘전환 모듈
1511 : 컨트롤판
15111 : 접지부
1512 : 회전축
1513 : 서포트
1514 : 보드
15141 : 핀홀
152 : 압축모듈
1521 : 압축봉
15211 : 헤드
1522 : 제1스프링
1523 : 받침판
1524 : 스톱퍼
1525 : 가이드
16 : 지지판

Claims (14)

  1. 복수개의 프레임(11)을 연결하여 짐을 싣는 적재공간을 형성하고, 하단에 캐스터(castor, 12)가 구비된 롤테이너로서,
    상기 프레임(11)에 장착되고, 레버(131)가 구비된 손잡이부(13);
    일단이 상기 레버(131)에 연결된 연결선(14); 및
    상기 연결선(14)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레버(131) 조작에 의해 상기 캐스터(12)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1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2. 제1항에서,
    상기 브레이크부(15)는,
    상기 레버(131)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연결선(14)으로 전달되는 인장력을 압축력으로 전환시키는 힘전환 모듈(151); 및
    상기 압축력을 전달받아 상기 캐스터(12)를 가압하는 압축모듈(152);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3. 제2항에서,
    상기 힘전환 모듈(151)은,
    일단이 상기 연결선(14)과 연결되고 타단에 접지부(15111)가 형성된 컨트롤판(1511);
    상기 컨트롤판(1511)을 관통하는 회전축(1512);
    상기 회전축(1512)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1513); 및
    상기 서포트(1513)를 지지하고 판면에 핀홀(15141)이 형성된 보드(1514); 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판(1511)은 상기 레버(131)에 의해 상기 연결선(14)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회전축(1512)을 기준으로 축회전하여 상기 접지부(15111)가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4. 제3항에서,
    상기 압축모듈(152)은,
    상단에 헤드(15211)가 형성되고, 상기 핀홀(15141)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 압축봉(1521);
    상기 압축봉(1521)에 끼워지고, 상단이 상기 헤드(15211)에 지지되는 제1스프링(1522);
    상기 제1스프링(1552)의 하단을 지지하고, 하부에 상기 캐스터(12)가 설치되는 받침판(1523); 및
    상기 받침판(1523)을 관통하여 돌출한 상기 압축봉(1521)의 하단과 결합하는 스톱퍼(1524); 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131)를 당길 경우, 상기 컨트롤판의 접지부(15111)가 하강하여 상기 압축봉의 헤드(15211)를 누름에 따라 상기 제1스프링(1522)이 압축되면서 상기 스톱퍼(1524)가 캐스터(12)를 압박하고,
    상기 레버(131)를 놓을 경우, 상기 제1스프링(1522)의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접지부(15111)가 상승하여 상기 스톱퍼(1524)의 압박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5. 제4항에서,
    상기 받침판(1523) 하면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지지체(121);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스터(12)는 상기 지지체(121) 사이에서 축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양측이 상기 지지체(121)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톱퍼(1524)에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152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52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6.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11)은 적재공간 방향으로 하단이 "ㄴ" 형태로 접힌 테두리부(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7. 제6항에서,
    일측이 하나의 상기 프레임(11)과 결합하고, 적재공간 하단에 구비되며, 짐을 지지하는 지지판(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8. 제7항에서,
    상기 테두리부(111)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16)의 흔들림을 완화하고, 탄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16)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복수개의 댐퍼(111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9. 제1항에서,
    상기 캐스터(12)는 2개의 회전형 캐스터와 2개의 고정형 캐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10. 제1항에서,
    상기 손잡이부(13)는,
    상기 프레임(11)에 힌지 구조로 장착된 접이식 핸들부(132); 및
    상기 핸들부(132)를 접은 상태나 편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모듈(133);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11. 제10항에서,
    상기 핸들부(132)는,
    상기 레버(131)가 결합된 핸들봉(1321);
    상기 프레임(11)에 힌지결합된 힌지부(13221)와, 상기 핸들봉(1321)에 결합되는 후단부(13222)가 형성된 막대형 링크부재(1322);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12. 제10항에서,
    상기 핸들부(132)는 C자형으로 굽어진 양단이 상기 프레임(11)에 힌지결합되는 상기 힌지부(132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서,
    상기 힌지부(13221)에는 수직통공(132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모듈(133)은,
    상기 프레임(11)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13221)의 하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며, 이격된 2개의 연통공(13311)이 형성된 메인 고정체(1331);
    상기 힌지부(13221)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통공(13223)과 연속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는 통공이 형성된 커버(1332);
    막대형의 상단부(上段部, 13331)와 하단부(下段部, 13332)가 종방향으로 이어져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단부(13331)의 윗부분에 횡홀(13333)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의 횡홀(13333) 형성 부위가 상기 커버(1332)의 상단 통공 위로 돌출하고, 상기 하단부(13332)는 연속배치된 상기 수직통공(13223)과 1개의 연통공(13311) 내에 배치되는 고정키(1333);
    상기 고정키의 상단부(13331)에 끼워지고 하단부(13332)에 의해 지지되는 제2스프링(1334); 및
    상기 횡홀(13333)에 끼워지는 횡봉(133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횡봉(1335)을 상방으로 당길 경우, 상기 고정키 하단부(13332)가 상기 메인 고정체(1331) 위로 상승하여 상기 제2스프링(1334)이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모듈(133)의 고정상태가 해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14. 제13항에서,
    상기 힌지부(13221) 및 메인 고정체(1331)는,
    상기 프레임(11)을 사이에 두고 2편(片)이 조합되어 일체(一體)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롤테이너(1).
KR1020220077211A 2022-06-24 2022-06-24 개량형 롤테이너 KR20240000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211A KR20240000711A (ko) 2022-06-24 2022-06-24 개량형 롤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211A KR20240000711A (ko) 2022-06-24 2022-06-24 개량형 롤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711A true KR20240000711A (ko) 2024-01-03

Family

ID=8953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211A KR20240000711A (ko) 2022-06-24 2022-06-24 개량형 롤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71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840B1 (ko) 2019-10-08 2021-07-28 박용재 롤테이너 및 이에 적용되는 체결구조
KR102316594B1 (ko) 2021-04-09 2021-10-25 주식회사 제로 팔레트의 착탈이 가능한 롤테이너
KR102370629B1 (ko) 2021-07-02 2022-03-07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KR102393745B1 (ko) 2021-10-29 2022-05-04 주식회사 아이에스티이 롤테이너 이송용 무인 운반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840B1 (ko) 2019-10-08 2021-07-28 박용재 롤테이너 및 이에 적용되는 체결구조
KR102316594B1 (ko) 2021-04-09 2021-10-25 주식회사 제로 팔레트의 착탈이 가능한 롤테이너
KR102370629B1 (ko) 2021-07-02 2022-03-07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접이식 경량 롤테이너
KR102393745B1 (ko) 2021-10-29 2022-05-04 주식회사 아이에스티이 롤테이너 이송용 무인 운반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8648A (en) Foldable treadmill apparatus and method
US5816981A (en) Foldable exercise treadmill structure
US4750578A (en) Dismantlable and collapsible utility cart
US4294484A (en) Vehicle camper
US76284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material past an obstacle
US20090069159A1 (en) Folding mechanism of a treadmill
CA2408065C (en) Cart moving system
US20020134970A1 (en) Portable and demountable lifting device
US7789807B1 (en) Folding mechanism of a treadmill
US8590917B2 (en) Fifth-wheel trailer with an adjustable floor and a method for its use
JP2000140041A (ja) 移動型リフト
US20120043158A1 (en) Mast Lift with Screw Drive and Gas Strut
US20060278447A1 (en) Hospital bed having a drive wheel unit
EP1747136A1 (en) Transportation cart primarily for use in an animal barn
US20120013093A1 (en) Modular and collapsible storage and/or transport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and utility trailer system
KR20240000711A (ko) 개량형 롤테이너
KR102198910B1 (ko)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US2968842A (en) Telescopic bleachers and motorized movers therefor
KR20200003142A (ko) 짐 보유 지지용의 핸드부 및 어시스트 기구
US20090127522A1 (en) Apparatus for Lifting a Vehicle
US20180179817A1 (en) Portable ladder and rolling shaft
CN215244944U (zh) 一种物流用可折叠推车
CN112774093B (zh) 折叠式跑步机
KR100693138B1 (ko) 전동차 차체 받침대
KR200492853Y1 (ko) 접이식 운반용 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