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910B1 -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910B1
KR102198910B1 KR1020190139497A KR20190139497A KR102198910B1 KR 102198910 B1 KR102198910 B1 KR 102198910B1 KR 1020190139497 A KR1020190139497 A KR 1020190139497A KR 20190139497 A KR20190139497 A KR 20190139497A KR 102198910 B1 KR102198910 B1 KR 102198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ember
handle
loading plate
pai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용
Original Assignee
최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용 filed Critical 최영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의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는, 다수의 구동바퀴가 저면에 설치된 적재판과, 상기 적재판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부재와, 상기 적재판의 저면 양 측단에 상기 손잡이부재의 양 측단이 수평으로 눕혀져 보관되거나 적재판의 후방으로 꺼낼 수 있도록 출입을 안내하는 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수단의 출입단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브래킷과, 상기 손잡이부재의 양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브래킷으로부터 손잡이부재를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작동하는 좌우 한 쌍의 절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편리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차 주행이나 보관 및 운반시 브래킷이 피물체와 직접적인 충돌로 인하여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대차 수명을 높일 수 있고, 여러 개의 대차들을 안정되게 적층시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부재의 간섭없이 적재판의 넓이보다 큰 물품을 적재시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대차를 밀고 당길 때 연결부분이 유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structure for retractable handle of carts}
본 발명은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부재를 적재판의 두께 내부로 눕혀서 수납하거나 외부로 꺼내서 세울 수 있는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차는 적재판에 캐스터 또는 기타 구동수단을 결착시켜 이동이 편리하게 한 것으로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로서 제안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3603호(등록일자 2012.11.07)의 접이식 운반대차의 손잡이 브래킷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접이식 운반대차는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을 적재하는 적재판(110)에 고정되며, 접이식 손잡이(120)를 접거나 세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접이식 손잡이(120)의 하단부가 부분적으로 수납되는 장치 본체(140); 상기 장치 본체(140)와 상기 접이식 손잡이(120)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장치 본체(140)의 장공(140a)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축부(151)와, 상기 축부(151)의 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152)를 구비하는 손잡이 결합용 승강핀(150); 상기 장공(140a)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장치 본체(140)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 결합용 승강핀(150)의 승하강 동작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160);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16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160)와 함께 상기 손잡이 결합용 승강핀(150)의 머리부(152)를 지지하거나 상기 손잡이 결합용 승강핀(150)의 머리부(152)를 상기 한 쌍의 가이드(160)의 돌출 두께만큼 상기 장치 본체(140)의 일측면에서 이격시키는 탄성 승강부재(1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접이식 운반대차의 손잡이 브래킷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접이식 운반대차는, 손잡이 브래킷 장치(130)가 적재판(1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차 주행이나 보관 및 운반시 피물체가 쉽게 충돌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충돌 및 충격으로 손잡이 브래킷 장치(130)가 손상 및 파손되어 제대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대차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접이식 손잡이(120)가 손잡이 브래킷 장치(130)를 회전중심으로 접힐 때 적재판(110)의 상면으로 접히면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여러 개의 대차들을 안정적으로 적층시켜 운반 및 보관할 수 없음과 동시에 접이식 손잡이(120)의 간섭없이 적재판(110)의 넓이보다 큰 물품을 적재시켜 운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제안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43973호(등록일자 2013.03.08)의 운반대차는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면적의 적재판(10)을 구비하되 상기 적재판(10)의 저면에는 모서리에 바퀴(11)를 설치하고; 상기 적재판(10)의 저면에는 양쪽으로 가이드 레일(30)을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3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개홈(31)을 형성하는 한편 가이드 레일(30)의 선단에는 상측 중앙으로 이동홈(32)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30)에는 이동구(40)를 끼우는 한편 상기 이동구(40)에는 운반 손잡이(20)를 세우거나 눕히는 접철수단(50)을 고정하되 상기 접철수단(50)은 가이드 레일(30)에 끼워진 이동구(40)에 힌지(51)로 결합되는 고정봉(53)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봉(53)에는 안전판(21)이 구비된 운반 손잡이(20)를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봉(53)의 외측으로 고정환(55)을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환(55)에는 고정홈(54)을 형성하는 한편 고정봉(53)에는 고정핀(52)을 형성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운반대차는, 적재판(10)에서 운반손잡이를 수평에서 수직으로 세울 때 적재판(10)측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이동구(40)와 운반 손잡이(20)측 고정봉(53)의 하단이 힌지(51)에 연결되어 직각으로 꺽이면서 고정봉(53)에 고정된 고정핀(52)과 가이드레일(30)과의 사이에 지지되는 고정환(55)에 의해 직각이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방식은 운반 손잡이(20)를 대차를 밀고 당길 때 직각부분을 지탱하는 힌지(51)와 고정핀(52)에 힘이 집중되면서 쉽게 유동 및 파손되어 제대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대차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많은 기존 대차들이 손잡이 하단 외경이 별도의 힌지나 고정핀 등을 사용하는 결합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적재판의 상면에 고정된 브래킷의 바닥측 지지홀에 직접 끼워맞춤되도록 하는 이유가 집중되는 힘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603호(2012.11.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3973호(2013.03.08.)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브래킷이 적재판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차 주행이나 보관 및 운반시 피물체와 직접적인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대차 수명을 높일 수 있는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래킷의 안내를 받아 손잡이부재가 적재판의 두께 내부로 눕혀져 수납(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대차들을 안정되게 적층시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손잡이부재의 간섭없이 적재판의 넓이보다 큰 물품을 적재시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재를 수평에서 수직으로 세울 때 브래킷과 절첩수단의 상호 작용에 의해 부드럽게 전환되면서 안정적으로 직각을 유지하도록 연결함으로써 대차를 밀고 당길 때 연결부분이 유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는, 다수의 구동바퀴가 저면에 설치된 적재판과, 상기 적재판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부재와, 상기 적재판의 저면 양 측단에 상기 손잡이부재의 양 측단이 수평으로 눕혀져 보관되거나 적재판의 후방으로 꺼낼 수 있도록 출입을 안내하는 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수단의 출입단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브래킷과, 상기 손잡이부재의 양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브래킷으로부터 손잡이부재를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작동하는 좌우 한 쌍의 절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래킷은, 상부 중앙과 전방 및 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의 양 측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수납수단의 출입단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중앙 일부를 개방하도록 몸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다수의 체결나사에 의해 몸체와 함께 상기 적재판에 체결 고정되는 안내판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절첩수단은, 상기 손잡이부재의 하부 양 끝단 외주에 각각 끼워져 일정 높이에 위치되면서 손잡이부재의 하부 양 끝단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블록과, 상기 손잡이부재의 하부 양 끝단을 관통하면서 상기 연결블록의 좌우측 중앙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의 몸체측 좌우 한 쌍의 안내홈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1 안내핀과, 상기 손잡이부재의 하부 양 끝단을 관통하면서 손잡이부재의 좌우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의 몸체측 걸림홈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2 안내핀과, 상기 손잡이부재의 하부 양 끝단에 대해 상기 연결블록과 제2 안내핀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을 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2 안내핀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손잡이부재는, 하부 양 끝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볼트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블록이 결합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홀과, 하부 양 끝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제1 안내핀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블록과 브래킷을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고정홀과, 하부 양 끝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제2 안내핀이 관통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와 브래킷을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제3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몸체는, 상단 바깥 좌우에 상기 안내판이 안착되어 상기 다수의 체결나사가 통과되도록 다수의 나사통과홀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절곡편과, 하단 안쪽 전방에 바닥면으로부터 일부 절개되어 상기 손잡이부재가 회전 범위를 넓혀주도록 형성된 개방부와, 좌우 측면 중간 높이에 전방으로 개방되면서 몸체의 중앙까지 도달하도록 니은(ㄴ)자 모양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안내홈과, 좌우 측면 하단 중앙에 반달 모양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걸림홈과, 좌우 측면 하단 높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다가 수평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안내레일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안내판은, 상기 몸체의 절곡편측 코너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통과홀과 대응하도록 코너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통과홀과, 중앙에 상기 절첩수단이 상승되어 끼워맞춤될 때 위치 고정되도록 형성된 원형홈과, 중앙 후방에 상기 손잡이부재가 원형홈으로 출입하도록 원형홈의 후방 중심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출입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연결블록은, 상단 중앙에 상기 브래킷의 안내판측 원형홈에 대응되게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된 원형링부와, 중간 일정 높이 전후측에 상기 볼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 관통홀과, 하부 일정 높이 좌우측에 상기 제1 안내핀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2 관통홀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는 적재판의 후방 양 측단에 설치되는 브래킷이 적재판의 상면 높이보다 상향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들 브래킷의 안내를 받아 손잡이부재가 적재판의 두께 내부로 눕혀져 수납(보관)되다가 외부로 꺼내어 세워서 사용될 때 하단 외경이 브래킷과 절첩수단의 상호 걸림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직각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차 주행이나 보관 및 운반시 브래킷이 피물체와 직접적인 충돌로 인하여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대차 수명을 높일 수 있고, 여러 개의 대차들을 안정되게 적층시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부재의 간섭없이 적재판의 넓이보다 큰 물품을 적재시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대차를 밀고 당길 때 연결부분이 유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접이식 손잡이가 적재판의 상면에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서 손잡이 브래킷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다른 접이식 손잡이 구조를 가진 운반대차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서 손잡이 브래킷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3a는 손잡이부재가 대차 내부로 수납되도록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3b는 손잡이부재가 대차 내부로부터 노출되어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a의 A-A선에 대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3a의 B부분에 분해 사시도,
도 6은 손잡이부재가 손잡이 브래킷 장치에 결합되어 눕혀진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손잡이부재가 손잡이 브래킷 장치의 안내를 받아 눕혀진 동작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손잡이부재가 손잡이 브래킷 장치의 안내를 받아 세워지는동작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는, 다수의 구동바퀴(210)가 저면에 설치된 적재판(200)과, 상기 적재판(200)의 일측에 대차를 밀거나 당겨서 인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손잡이부재(220)와, 상기 적재판(200)의 저면 양 측단에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이 수평으로 눕혀져 보관되거나 적재판(200)의 후방으로 꺼낼 수 있도록 출입을 안내하는 수납수단(300)과, 상기 수납수단(300)의 출입단에 고정되어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이 적재판(200)의 하부로 눕거나 상부로 돌출되게 직각으로 절첩되도록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브래킷(400)과,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양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브래킷(400)으로부터 손잡이부재(220)를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작동하는 좌우 한 쌍의 절첩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재(220)는 상부 수평부의 양 측단에서 하부로 직각되게 절곡되어 뻗은 좌우 한 쌍의 수직부를 가진 금속 파이프 모양으로서, 그 하부 양 끝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는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래킷(400)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절첩수단(500)을 고정하는 제1 내지 제3 고정홀(222)(224)(226)이 각각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고정홀(222)(224)(226)은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끝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차를 두고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1 고정홀(222)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및 제3 고정홀(224)(226)은 상기 상기 제1 고정홀(222)의 하부에 90°의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홀(224)은 상기 제1 고정홀(222)과 제3 고정홀(226)의 사이에 대해 제1 고정홀(222)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수단(300)은, 상기 적재판(200)의 저면 양 측단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면서 저면과 후면쪽으로 동시 개구된 좌우 한 쌍의 레일홈(310)과, 상기 좌우 한 쌍의 레일홈(310)의 저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적재판(200)의 저면에 체결되는 좌우 한 쌍의 커버판(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래킷(400)은, 상부 중앙과 전방 및 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수납수단(300)의 출입단에 고정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상부 중앙 일부를 개방하도록 몸체(410)의 상면에 안착되어 다수의 체결나사(420)에 의해 몸체(410)와 함께 상기 적재판(200)에 체결 고정되는 안내판(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몸체(410)는, 상단 바깥 좌우에 상기 안내판(430)이 안착되어 상기 다수의 체결나사(420)가 통과되도록 다수의 나사통과홀(411)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절곡편(412)과, 하단 안쪽 전방에 바닥면(413)으로부터 일부 절개되어 상기 손잡이부재(220)가 회전 범위를 넓혀주도록 형성된 개방부(414)와, 좌우 측면 중간 높이에 전방으로 개방되면서 몸체(410)의 중앙까지 도달하도록 니은(ㄴ)자 모양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안내홈(415)과, 좌우 측면 하단 중앙에 반달 모양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걸림홈(416)과, 좌우 측면 하단 높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다가 수평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안내레일(417)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판(430)은, 상기 몸체(410)의 절곡편(412)측 코너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통과홀(411)과 대응하도록 코너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통과홀(431)과, 중앙에 상기 절첩수단(500)이 상승되어 끼워맞춤될 때 위치 고정되도록 형성된 원형홈(432)과, 중앙 후방에 상기 손잡이부재(220)가 원형홈(432)으로 출입하도록 원형홈(432)의 후방 중심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출입홈(433)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절첩수단(500)은,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양 끝단 외주에 각각 끼워져 일정 높이에 위치되면서 손잡이부재(220)측 제1 고정홀(222)을 관통하는 볼트(510)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블록(520)과, 상기 손잡이부재(220)측 제2 고정홀(224)을 관통하면서 상기 연결블록(520)의 좌우측 중앙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400)의 몸체(410)측 좌우 한 쌍의 안내홈(415)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1 안내핀(530)과, 상기 손잡이부재(220)측 제3 고정홀(226)에 결합되면서 손잡이부재(220)의 좌우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400)의 몸체(410)측 걸림홈(416)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2 안내핀(540)과,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양 끝단에 대해 상기 연결블록(520)과 제2 안내핀(540)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을 가하는 코일스프링(550)과, 상기 코일스프링(550)과 상기 제2 안내핀(540)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손잡이부재(220)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 브래킷(400)의 몸체(410)측 안내레일(417)을 타고 코일스프링(55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링부재(5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볼트(510)는 상기 손잡이부재(220)를 중앙에 두고 연결블록(520)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후 너트(511)와 체결되어진다.
상기 연결블록(520)은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외주면을 사이에 두고 전후 대칭되게 밀착되는 두 개의 블록체로서, 상단 중앙에 상기 브래킷(400)의 안내판(430)측 원형홈(432)에 대응되게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된 원형링부(521)와, 중간 일정 높이 전후측에 상기 볼트(510)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 관통홀(522)과, 하부 일정 높이 좌우측에 상기 제1 안내핀(530)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2 관통홀(523)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손잡이부재(220)를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펼치기 위하여 손잡이부재(220)를 잡고 당기면, 도 4와 같이 적재판(200)의 양 측단 두께면 내부측 수납수단(300)의 레일홈(310)에 수납된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이 후방으로 수평되게 슬라이딩되면서 그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 하부에 설치된 제1 안내핀(530)이 수납수단(300)의 출입단에 설치된 브래킷(400)의 안내홈(415)에 도 7과 같이 일치되면서 진입하게 된다.
즉,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 하부에 설치된 제1 안내핀(530)과 브래킷(400)의 몸체(410)측 양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415)의 높이차가 동일하기 때문에 수납수단(300)의 레일홈(310)을 벗어난 손잡이부재(220)의 제1 안내핀(530)은 자동으로 안내홈(415)의 수평구간 끝까지 진입하게 된다.
이때, 손잡이부재(220)를 후방으로 끝까지 잡아 당긴 채로 상부로 들어올리면, 이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 하부측 제1 안내핀(530)을 회전 중심으로 도 8a와 같이 직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 하부에 서치된 제2 안내핀(540)을 브래킷(400)의 몸체(410)측 하면 좌우 중앙에 형성된 걸림홈(416)과 일치시키면, 손잡이부재(220)에 설치된 연결블록(520)과 제2 안내핀(540)과의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550)의 탄발력에 의해 연결블록(520)이 상승되면서 그 연결블록(520)의 상단측 원형링부(521)가 브래킷(400)의 안내판(430)측 원형홈(432)에 도 8b와 같이 대응되게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손잡이부재(220)는 도 3b와 같은 상태의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된다.
즉, 손잡이부재(220)는 수평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적재판(200)측 수납수단(300)의 출입단에 설치된 브래킷(400)과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양 끝단에 설치된 절첩수단(500)의 안내를 받아 부드럽게 전환되면서 안정적으로 직각을 유지하도록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대차를 밀고 당길 때 연결부분이 유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재(220)의 밀고 당기는 힘이 그대로 적재판(200)에 전달되므로 안정적인 운행은 물론 소음을 없앨 수 있다.
한편, 도 3b와 같은 상태의 손잡이부재(220)를 도 3a와 같이 적재판(200)에 설치된 수납수단(300) 속으로 접기 위하여 손잡이부재(220)를 수직으로 누르면, 도 8b에서 도 8a와 같이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양 끝단에 설치된 절첩수단(500)의 연결블록(520)은 하강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550)을 압축하면서 연결블록(520)의 상단측 원형링부(521)가 브래킷(400)의 안내판(430)측 원형홈(432)으로부터 분리시켜 주게 된다.
또, 손잡이부재(220)가 하강될 때 연결블록(520)에 설치된 제1 안내핀(530)이 브래킷(400)의 몸체(410)측 안내홈(415)의 수직부와 수평부의 경계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양 끝단측에 설치된 제2 안내핀(540)이 브래킷(400)의 몸체(410)측 걸림홈(416)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때, 손잡이부재(220)를 누른 상태에서 후방으로 눕히면,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양 끝단이 상기 안내판(430)측 출입홈(433)을 통과하면서 몸체(410)의 중간 높이에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연결블록(520)이 제1 안내핀(530)을 회전 중심으로 동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재(220)가 수평으로 눕혀지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손잡이부재(220)를 전방으로 밀면, 이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이 레일홈(310) 속으로 삽입되면서 도 3a와 같이 수납된다.
즉,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은 적재판(200)의 두께면 양 측단에 설치된 수납수단(300)의 레일홈(310)에 수납(보관)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대차들을 안정되게 적층시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고, 손잡이부재(220)의 간섭없이 적재판(200)의 넓이보다 큰 물품을 적재시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재(220)의 절첩을 안내하는 브래킷(400)과 절첩수단(500)이 적재판(20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브래킷(400)의 상면과 적재판(200)의 상면 높이가 일치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대차 주행이나 보관 및 운반시 피물체와 직접적인 충돌을 피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대차 수명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는, 적재판(200)의 후방 양 측단에 설치되는 브래킷(400)이 적재판(200)의 상면 높이보다 상향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들 브래킷(400)의 안내를 받아 손잡이부재(220)가 적재판(200)의 두께 내부로 눕혀져 수납(보관)되다가 외부로 꺼내어 세워서 사용될 때 하단 외경이 브래킷(400)과 절첩수단(500)의 상호 걸림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직각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차 주행이나 보관 및 운반시 브래킷(400)이 피물체와 직접적인 충돌로 인하여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대차 수명을 높일 수 있고, 여러 개의 대차들을 안정되게 적층시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부재(220)의 간섭없이 적재판(200)의 넓이보다 큰 물품을 적재시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대차를 밀고 당길 때 연결부분이 유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200 : 적재판 210 : 구동바퀴
220 : 손잡이부재 222 : 제1 고정홀
224 : 제2 고정홀 226 : 제3 고정홀
300 : 수납수단 310 : 레일홈
320 : 커버판 400 : 브래킷
410 : 몸체 411 : 나사통과홀
412 : 절곡편 413 : 바닥면
414 : 개방부 415 : 안내홈
416 : 걸림홈 417 : 안내레일
420 : 체결나사 430 : 안내판
431 : 나사통과홀 432 : 원형홈
433 : 출입홈 500 : 절첩수단
510 : 볼트 511 : 너트
520 : 연결블록 521 : 원형링부
522 : 제1 관통홀 523 : 제2 관통홀
530 : 제1 안내핀 540 : 제2 안내핀
550 : 코일스프링 560 : 링부재

Claims (5)

  1. 다수의 구동바퀴(210)가 저면에 설치된 적재판(200)과, 상기 적재판(200)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부재(220)와, 상기 적재판(200)의 저면 양 측단에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이 수평으로 눕혀져 보관되거나 적재판(200)의 후방으로 꺼낼 수 있도록 출입을 안내하는 수납수단(300)과, 상기 수납수단(300)의 출입단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브래킷(400)과,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양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브래킷(400)으로부터 손잡이부재(220)를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작동하는 좌우 한 쌍의 절첩수단(500)을 포함하되,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래킷(400)은, 상부 중앙과 전방 및 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양 측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수납수단(300)의 출입단에 고정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상부 중앙 일부를 개방하도록 몸체(410)의 상면에 안착되어 다수의 체결나사(420)에 의해 몸체(410)와 함께 상기 적재판(200)에 체결 고정되는 안내판(430)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절첩수단(500)은,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양 끝단 외주에 각각 끼워져 일정 높이에 위치되면서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양 끝단을 관통하는 볼트(510)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블록(520)과,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양 끝단을 관통하면서 상기 연결블록(520)의 좌우측 중앙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400)의 몸체(410)측 좌우 한 쌍의 안내홈(415)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1 안내핀(530)과,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양 끝단을 관통하면서 손잡이부재(220)의 좌우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400)의 몸체(410)측 걸림홈(416)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2 안내핀(540)과,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하부 양 끝단에 대해 상기 연결블록(520)과 제2 안내핀(540)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탄성을 가하는 코일스프링(550)과, 상기 코일스프링(550)과 상기 제2 안내핀(540)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링부재(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220)는,
    하부 양 끝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볼트(510)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블록(520)이 결합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홀(222)과,
    하부 양 끝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제1 안내핀(530)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블록(520)과 브래킷(400)을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고정홀(224)과,
    하부 양 끝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제2 안내핀(540)이 관통되어 상기 손잡이부재(220)와 브래킷(400)을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제3 고정홀(2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410)는,
    상단 바깥 좌우에 상기 안내판(430)이 안착되어 상기 다수의 체결나사(420)가 통과되도록 다수의 나사통과홀(411)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절곡편(412)과,
    하단 안쪽 전방에 바닥면(413)으로부터 일부 절개되어 상기 손잡이부재(220)가 회전 범위를 넓혀주도록 형성된 개방부(414)와,
    좌우 측면 중간 높이에 전방으로 개방되면서 몸체(410)의 중앙까지 도달하도록 니은(ㄴ)자 모양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안내홈(415)과,
    좌우 측면 하단 중앙에 반달 모양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걸림홈(416)과,
    좌우 측면 하단 높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다가 수평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안내레일(417)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430)은,
    상기 몸체(410)의 절곡편(412)측 코너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통과홀(411)과 대응하도록 코너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통과홀(431)과,
    중앙에 상기 절첩수단(500)이 상승되어 끼워맞춤될 때 위치 고정되도록 형성된 원형홈(432)과,
    중앙 후방에 상기 손잡이부재(220)가 원형홈(432)으로 출입하도록 원형홈(432)의 후방 중심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출입홈(433)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520)은,
    상단 중앙에 상기 브래킷(400)의 안내판(430)측 원형홈(432)에 대응되게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된 원형링부(521)와,
    중간 일정 높이 전후측에 상기 볼트(510)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1 관통홀(522)과,
    하부 일정 높이 좌우측에 상기 제1 안내핀(530)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2 관통홀(523)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KR1020190139497A 2019-10-22 2019-11-04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KR102198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777018.7 2019-10-22
CN201921777018.7U CN211642234U (zh) 2019-10-22 2019-10-22 一种板车用折叠式把手结构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910B1 true KR102198910B1 (ko) 2021-01-07

Family

ID=7269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97A KR102198910B1 (ko) 2019-10-22 2019-11-04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8910B1 (ko)
CN (1) CN21164223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9231B2 (en) * 2020-07-09 2022-09-13 Brett Lyons Rollable table assembly
CN112353589B (zh) * 2020-12-01 2021-08-17 无锡市第五人民医院 一种可调节医用病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603Y1 (ko) 2012-08-14 2012-11-14 김형선 접이식 운반대차의 손잡이 브래킷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접이식 운반대차
KR101243973B1 (ko) 2012-08-06 2013-03-25 함수흥 운반 대차
KR101394661B1 (ko) * 2014-01-20 2014-05-14 최영용 태엽에 의해 손잡이 수납이 용이한 대차
KR101486011B1 (ko) * 2014-11-14 2015-01-26 최영용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973B1 (ko) 2012-08-06 2013-03-25 함수흥 운반 대차
KR200463603Y1 (ko) 2012-08-14 2012-11-14 김형선 접이식 운반대차의 손잡이 브래킷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접이식 운반대차
KR101394661B1 (ko) * 2014-01-20 2014-05-14 최영용 태엽에 의해 손잡이 수납이 용이한 대차
KR101486011B1 (ko) * 2014-11-14 2015-01-26 최영용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642234U (zh) 202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910B1 (ko)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RU2363637C2 (ru) Платформен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еревозки крупных колоннообразных грузов
US10632894B2 (en) Two-level pallet for stackable loading
US8322582B2 (en) Over cab extension kit
US8820773B2 (en) Convertible hand truck
US11661269B2 (en) Vehicle transport structures
JP2012530016A (ja) 輸送システム
US9260142B2 (en) Shipping container transport system
WO2013187428A1 (ja) 貨物用ラック
US20100089917A1 (en) Foldable mobile storage container
KR101993713B1 (ko) 접이식 모듈화 부스
KR101486011B1 (ko)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EP3524536B1 (en) Pallet
CN107720012B (zh) 集装箱用汽车运输架及具有其的集装箱
EP3601105B1 (en)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KR20040103337A (ko) 운송 장치
CN107840016B (zh) 一种角柱及可折叠的集装箱
KR101247749B1 (ko) 조립식 포장박스를 갖는 팔레트
JP7344827B2 (ja) 棚板支持構造
KR102038824B1 (ko) 수납함이 구비된 유리 이송용 파렛트
KR200384668Y1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차량 수송용 쇼링구조체
JPH0939796A (ja) リヤカータイプの運搬車
JP4310630B2 (ja) 段積み可能な荷搬送台車
JP2009214672A (ja) コンテナによる自動車輸送用の支持台
JPH0572728U (ja) 搬送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