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337A - 운송 장치 - Google Patents

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337A
KR20040103337A KR1020040037727A KR20040037727A KR20040103337A KR 20040103337 A KR20040103337 A KR 20040103337A KR 1020040037727 A KR1020040037727 A KR 1020040037727A KR 20040037727 A KR20040037727 A KR 20040037727A KR 20040103337 A KR20040103337 A KR 20040103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oor
vehicle
tray
t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나단 클랄크
아리에 반돈게
Original Assignee
아답테이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312183A external-priority patent/GB0312183D0/en
Priority claimed from EP04251618A external-priority patent/EP1481843B1/en
Application filed by 아답테이너 엘티디 filed Critical 아답테이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4010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3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5Low-paper indication, i.e. indicating the state when copy material has been used up nearly or comple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차량을 운송하기 위한 운송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콘테이너(1) 및 다수의 제거가능한 리프팅 트레이(34)들을 포함한다. 상기 콘테이너(1)는 주름진 측벽들(2, 4)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측벽(2, 4)에 또는 그 부근에 다수의 측부 보강부(22)를 가지며, 이들 보강부(22)는 다수의 장착 수단(30)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차량을 그 위에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제거가능한 리프팅 트레이(34)를 부가로 포함하며, 각각의 트레이는 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를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각각의 트레이(34)는 그 대향하는 양 측부에 위치결정 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측부 보강부(22)와 트레이(34)는, 상기 트레이상에 지지되는 차량이 상기 콘테이너의 운송중에 상기 플로어로부터 떨어져 매달릴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22)의 장착 수단(30)과 상기 위치결정 수단(40)을 결합시켜 상기 트레이(34)를 콘테이너(1)에 대해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트레이가 상기 보강부들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운송 장치{Transport apparatus}
본 발명은 화물 콘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및 기타 물건들을 특히 화물선에 의해 장거리 운송하기 위한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을 화물 콘테이너 내에 지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입 또는 수출용 물건들은 종종 장거리 운송을 위해 콘테이너나 트레일러에 적재된다. 콘테이너는 통상 화물선, 바지선 또는 트레인의 화물창에 보관 또는 운송을 위해 적층된, 화물차의 뒷부분에서 육로로 운송될 수 있는 밀폐 박스이다. 콘테이너는 통상 그 일 측부를 따라서 측부 적재를 위해 개방될 수 있는 커튼부를 구비하는 사이드 적재(side load) 콘테이너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콘테이너는 그 단부에 개방될 수 있는 도어를 갖는 단부 적재 콘테이너일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단부 적재 콘테이너는 단단한 측벽을 구비하며, 측부 적재 콘테이너에 비해 우수한 안전성을 제공한다. 트레일러는 물건을 운송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샤시와 바퀴를 구비하며 통상은 지면에서 파워풀한 견인 차량의 뒤에서 끌려간다. 콘테이너는 그 중량이 보다 가볍고 사이즈가 보다 콤팩트하기 때문에 트레일러에 비해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화물선, 바지선, 레일 및 모든 형태의 통합 운송에 의해 운송되는데 있어서 가장 가격적으로 효율적이다.
콘테이너는 목적지에 대해 왕복 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귀시에는 선박이나 기타 운송수단의 내부 공간을 덜 차지하기 위해 절첩될 수 있으면 유용하다. 그러나, 콘테이너가 다시 물건을 싣고 되돌아가는데 사용될 수 있으면 더욱 좋다. 콘테이너는 종종 그것이 용도적으로 적합한 것 이외의 다른 물건을 운송하는데 쉽게 사용될 수 없는 정도로 특화되는데, 이는 복귀 여행시에 운반될 수 있는 물건의 특성을 제한한다. 통상적으로, 한가지 형태의 제품을 다량 수출하는 국가는 같은 양의 이 제품을 수입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콘테이너는 다른 물건을 운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에 대해서는 그 일에 대해 차량 운송장비가 선호되고 있으므로 차량을 콘테이너로 운송하는 것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용 램프(ramps)의 일부 특화된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일반적으로 조립 및 해체가 번거롭고 시간 소모적이며, 대체로 불만족스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의 일부를 해결하는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화물 콘테이너의 사시도.
도 2는 로드 지지 칼럼을 갖는 화물 콘테이너의 내부의 도시도.
도 3은 차량의 두 바퀴를 지지하는 트레이의 도시도.
도 4는 콘테이너 내부의 개략 도시도.
도 5는 플로어 내에 채널을 갖는 콘테이너 및 상기 콘테이너 내의 보조 플로어의 단부의 사시도.
도 6은 차량의 두 바퀴를 지지하기 위한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의 도시도.
도 7은 도 6의 트레이의 일 단부의 상세도.
도 8은 도 6의 스프링 장착된 볼트의 상세도.
도 9는 도 1의 콘테이너의 적재 작업중의 단면도.
도 10은 상이한 하중 지지 칼럼들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화물 콘테이너 2, 4 : 측벽
6 : 플로어 8 : 지붕
16, 18, 20 : 주름 섹션 22 : 하중 지지 칼럼
30 : 장착 개구 34, 134 : 트레이
40 : 스프링 장착된 볼트 44, 46 : 차량
48 : 케이블 50 : 와인더 기구
60 : 보조 플로어 70 : 프레임
72 : 사이드 아암 88 : 스프링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진 측벽들, 단부 벽들, 플로어, 지붕, 하나의 단부 벽내의 도어, 및 콘테이너 내부에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지지 수단은 상기 측벽들의 각각의 주름들과 연관된 하중 지지 칼럼들, 및 그 각각이 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를 수용하는 다수의 트레이들을 포함하는, 화물 콘테이너로서, 상기 트레이들은 이들 트레이를 칼럼들상의 상이한 높이에서 광범위한 가능한 래칭 위치들중 임의의 한 위치에서 콘테이너의 대향 측부들 상의 하중 지지 칼럼들에 래치 결합시키게 되어 있는 래칭 수단을 구비하는 화물 콘테이너가 제공된다.
이러한 화물 콘테이너를 제공함으로써,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는 차량들이 상하로 위치되는 적층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콘테이너 내에 운송될 수 있는 차량의 숫자를 증가시키며 콘테이너 내부의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줄여준다. 이러한 콘테이너는 표준 화물을 일 방향으로 운송하고 차량들을 다른 방향으로 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양 방향 이동중에 적재되어 있어 콘테이너 소유주에게 가격적으로 보다 효과적이다. 각각의 차량은 두 개의 트레이에 의해서, 즉 앞바퀴는 제 1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고 뒷바퀴는 제 2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므로, 차량이 보관되는 각도가 쉽게 변경될 수 있으며 따라서 두 대의 차량의 적층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아래 차량의 지붕은 위 차량을 지지하는 두 트레이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적층물의 전체 높이가 감소된다. 이로 인해 적층된 차량을 유럽에서의 도로 운송을 위한 표준 높이의 콘테이너로 운송할수 있게 된다.
상기 콘테이너의 벽은 내향 돌출부와 외향 돌출부를 갖는 주름진 형태이다. 이들 주름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주름 섹션을 가지며, 따라서 콘테이너 벽은 측부 주름 섹션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다수의 내부 및 외부 주름 섹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테이너 벽들은 측부 주름 섹션과 내부 및 외부 주름 섹션들 간의 각도가 다른 각도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90도가 되도록 주름진 박스이다. 주름형 프로파일은 벽의 강도와 벽의 외향 휨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킨다. 주름은 규칙적일 필요는 없으며 또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섹션을 포함할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화물 콘테이너는 물건이 운송을 위해 보관될 수 있는 밀폐 공간일 뿐이다. 운송시 물건을 고정하기 위해 존재하는 콘테이너 내부의 어떠한 고정 수단도 콘테이너의 가용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콘테이너의 가용 내부 공간은 통상, 콘테이너 내부의 길이와, 측벽의 주름의 최내측부들 사이의 거리, 및 플로어에서부터 콘테이너의 지붕을 지지하고 콘테이너 골조(framework)의 부분을 형성하는 횡단 빔의 최저 지점까지의 콘테이너의 높이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하중 지지 칼럼들이 주름과 연관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칼럼들은 콘테이너의 가용 내부 공간으로 전혀 돌출하지 않지만, 주름을 가로질러 플레이트를 용접함으로써 칼럼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의 두께만큼 상기 공간 내로의 최소한의 돌출이 있을 수 있다. 콘테이너 내부의 이러한 배치는 차량 및 화물용의 가용 공간을 최대화한다. 상기 칼럼은 또한 콘테이너 벽의 외부를 보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나 이상의 외부 주름들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enclose)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콘테이너 벽의 외부에 추가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콘테이너 내부로부터 래칭 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 "이중 스킨(double skin)"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하중 지지 칼럼은 바람직하게는 용접 등에 의해 콘테이너의 주름진 벽에 부착되어 벽의 외향 휨에 대한 강도를 증가시키고 장착 수단용의 적절히 강한 위치를 제공하는 추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중 지지 칼럼은 바람직하게는 콘테이너를 따라서 위치되는 바, 여기에는 각 차량의 바퀴들이 운송중에 배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콘테이너가 강도가 요구되는 곳에서는 튼튼하고 추가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곳에서는 칼럼의 추가 중량 증가가 필요없게 해준다. 하중 력이 칼럼에서 플로어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중 지지 칼럼은 플로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콘테이너는 벽들로부터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칼럼은 주름을 가로질러 플레이트를 용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칼럼은 부분적으로는 플레이트에 의해 또한 부분적으로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주름의 벽으로 형성된다. 트레이가 칼럼에 래칭될 수 있는 위치의 범위는 플레이트상 또는 플레이트내의 형성부(예를 들면 구멍)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칼럼은 측부 주름 섹션들 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있는 'U'형 금속 섹션을 포함하지만, 다른 단면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U'의 각각의 레그는 측부 주름 섹션 부근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U'의 배면은 내부 주름 섹션과 실질적으로동일한 평면에 놓이며, 따라서 이는 콘테이너 벽들이 바깥쪽으로 휘는 것에 대해 추가적인 저항을 제공한다. 측벽을 추가로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 주름의 근처에는 추가 보강 부재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U'의 각 레그는 측부 주름 섹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으며 따라서 'U'형 보강부가 외부 주름 섹션에 도달하지 않거나 'U'의 배면이 내부 주름 섹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이지 않는다. 트레이가 칼럼에 래칭될 수 있는 위치의 범위는 U-섹션의 베이스에 있는 형성부(예를 들면 구멍)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칼럼은 플로어에서부터 콘테이너의 지붕까지 완전히 연장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칼럼은 차량을 지지할 때 트레이가 고정될 수 있는 최대 높이까지만 연장된다. 이는 콘테이너 내에서의 보강부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칼럼은 칼럼 강도의 어떤 부분을 위해 주름진 벽에 의존하지 않고, 주름 내에 일시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별도의 칼럼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칼럼은, 칼럼에 래칭되었을 때 콘테이너의 측부에서 측부로 연장되는 트레이에 의해 차량이 적소에 유지된 채로 콘테이너 내에서 운반될 때 적절한 주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콘테이너가 다른 화물용으로 사용될 때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칼럼은 트레이가 위치되기 전에 칼럼을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상단부에 횡단 지주(支柱;brace)를 구비하는 골조의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칼럼은 콘테이너내의 하부 묶음 링(lashing ring)에 부착됨으로써 또는 다른 부착 수단에 의해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콘테이너의 대향 측부에 위치하는 칼럼의 상단부는 횡단 지주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횡단 지주는 칼럼들 사이에 힘이 전달될 수 있게 해주며 이는 상기 칼럼들중 하나 또는 두 개의 칼럼의 내측 이동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골조는 콘테이너 내부에 영구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콘테이너가 표준 화물 여정을 위해 보다 가볍도록 제거될 수 있다. 여러개의 콘테이너로부터 제거된 골조들은 이후 복귀 여정 중에는 단일의 콘테이너에 선적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콘테이너의 두 벽의 내부 주름 섹션들 사이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이런 식으로, 상기 트레이는 콘테이너의 내부에 보다 쉽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레이는 차량의 바퀴들이 구르지 않게 위치될 수 있는 오목부를 갖도록 형상을 갖는다. 상기 트레이는 바람직하게는 묶음 지점들을 가지며, 이들 지점에는 스트랩들이 고정되어 차량을 트레이에 대해 고정시킨다. 하나의 트레이는 차량의 두 바퀴중 어느 하나, 즉 앞바퀴 또는 뒷바퀴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콘테이너 내에서의 차량의 각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트레이는, 바아, 골조 또는 기타 구조물과 같은, 차량의 두 바퀴를 지지하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트레이는 그 사이에 차량의 바퀴들이 끼워질 수 없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두 개의 바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바아 사이의 갭은 차량의 바퀴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구를 수 없도록 위치되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상기 트레이는 벽에 부착될 수 있는 측부 바아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두트레이 사이의 상대 거리가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는 차량의 휠베이스에 맞도록 조절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트레이는 또한 바퀴가 트레이의 일부분에 걸쳐서 그 위로 상승될 필요 없이 프레임 내로 롤링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트레이의 벽의 일 부분은, 상기 벽이 재위치되고 차량이 트레이상에 리프팅되기 전에 차량이 트레이 위의 위치로 운전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이동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차량의 바퀴들을 들어올릴 필요 없이 트레이가 고정 차량에 대해 정확히 위치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바퀴들은 임의의 적절한 묶음 수단을 사용하여 트레이에 고정될 수 있지만, 오늘날 바람직하기로는 바퀴의 주위에 슬리브가 배치되고 바퀴를 둘러싸는 슬리브 위에서 트레이에 사슬이 고정된다. 상기 사슬은 바람직하게는 루프(loops)나 기타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슬리브에 결합되며 따라서 루프를 통해서 미끄러질 수도 있지만 슬리브로부터 벗겨지지(slip)는 않는다. 이로 인해 바퀴들은 트레이에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있으며, 임의의 사슬이나 묶음 수단에 의해 바퀴나 차량에 접촉을 통한 외관 손상을 줄 가능성이 줄어든다. 이러한 배치는 또한 운송중에 묶음 수단에 의해 바퀴에 가해지는 힘을 통해 차량에 구조적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상기 칼럼들은 바람직하게는 개구들을 포함하는 바, 이 개구들에는 트레이의 래칭 수단이 결합되어 트레이를 콘테이너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콘테이너의 중량 감소에 도움을 준다.
상기 트레이상의 래칭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트레이의 대향 측부들에 부착되는 스프링 장착된(spring loaded) 볼트를 포함한다. 스프링 장착된 볼트는 스프링 수단에 의해 소정 위치를 향하여 편위(bias)된다. 이는 결합부가 트레이의 측부로부터 돌출하여 칼럼과 결합될 수 있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가 소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볼트를 트레이 내로 후퇴시켜야 하며, 이 때 사용자는 이것이 칼럼과 결합되도록 볼트를 풀어낼 수 있다. 상기 래칭 수단은 부가로 사용자가 볼트를 손으로 유지할 필요가 없도록 볼트를 풀어낼 때까지 볼트를 후퇴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풀릴 수 있는 유지 수단을 부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장착된 볼트는 또한 비결합(non-engaged) 위치를 향하여 편위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볼트에 대해 칼럼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트레이로부터 바깥쪽으로 힘을 가해야 한다.
래칭 수단과 칼럼들 간의 결합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럼은 래칭 수단과 결합하는 개구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들은 예를 들면 거의 'T'자 형상과 같이 비원형일 수 있으며, 래칭 수단을 형성하는 스프링 장착된 볼트의 헤드는 고정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비원형 개구를 통과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추가적인 회전 없이는 구멍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구 외부에 유지되는 블로킹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내로 더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식으로 상기 보강부의 일부는 상기 래칭 수단의 일부 사이에 배치되며 따라서 이는 트레이와 콘테이너 사이의 보다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런 식으로 트레이를 칼럼에 고정함으로써 트레이는 콘테이너의 측부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작용을하며 이는 구조물을 더욱 강화시킨다. 콘테이너들이 콘테이너 및/또는 칼럼의 벽들을 변형시킬 수 있는 충돌 및 마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므로 상기 개구에 대해서는 'T'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형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개구와 같은 일부 개구 형상을 사용이 곤란하게 또는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T'형상은 이러한 콘테이너 벽의 변형을 수용하는 한편 래칭 수단과의 결합에 여전히 유용한 보다 큰 오차를 제공하는 개구를 제공한다.
상기 트레이들은 보관 부착 수단을 부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보관 부착 수단에 의하면 트레이는 복귀 여정시의 보관을 위해 콘테이너 내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지붕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보관 부착 수단은 콘테이너의 지붕 근처에서 묶음 링과 결합될 수 있는 추가 볼트가 될 수 있다. 상기 래칭 수단은 또한, 위치결정 수단이 장착 수단에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해주는 보관 부착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콘테이너는 리프팅 수단을 부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프팅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콘테이너의 지붕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는 다수의 중량물 리프팅 링들(lifting rings)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링들은 증가되는 콘테이너 벽 강도로 인해 실질적으로 칼럼들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이 상기 리프팅 링들을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일 단부는 트레이에 부착된다. 상기 케이블의 반대쪽 단부는 케이블이 감기거나 풀릴 수 있게 해주는 와인더 기구(winder mechanism)에 고정될 수 있다. 트레이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블이 와인더에 의해 감기며, 따라서 케이블은 리프팅 링들을 통해서 견인되고 트레이는 상승된다. 와인더에 대한 전원은 콘테이너와 일체형이거나 외장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력은 콘테이너가 장착될 수 있는 화물차의 엔진이나 압축공기 시스템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전원은 전기적이거나, 유압식, 또는 압축 공기일 수 있고 심지어는 손 또는 심지어는 수동적일 수도 있다. 트레이를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유압식 또는 가위형 잭, 포크 리프트 트럭 등과 같은 리프팅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콘테이너는 바람직하게는, Joloda(상표명) 적재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플로어 내에 세팅되는 오목 채널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채널들은 이동 장치가 팰릿, 페이퍼 릴, 원 샷 로딩 장치 또는 콘테이너의 플로어상에 설치되는 다른 아이템들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해준다. 콘테이너는 플로어 내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네 개의 플로어 채널을 갖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더 적거나 더 많은 채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운송 장치는 또한 이러한 채널들을 갖는 콘테이너와 함께 사용되게 되어 있는 이동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는 실질적으로 상기 채널들 안에 배치되며 상면은 콘테이너의 플로어 아래에 놓인다. 이로 인해 상기 이동 장치는 플로어상에 얹혀지는 팰릿(pallet:적재대)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팰릿을 플로어로부터 이격 상승시키도록, 그 상면이 플로어 위로 상승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팰릿의 이동이 용이해진다. 적합한 장치가 상기 Joloda(상표명)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적재 베이(bays) 또한 이러한 채널을 구비하며, 이로 인해 화물은 콘테이너 외부에서 팰릿에 적재될 수 있고, 이동 수단이 상기 팰릿의 아래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팰릿은 채널을 따라서 콘테이너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들의 제공은 커다란 또는 부피가 큰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해준다. 화물과 콘테이너 사이의 접촉은 콘테이너 또는 화물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과 같은 일부 화물에 대해서는 고비용의 미적 및/또는 구조적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들 채널은 화물이 콘테이너 내의 소정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보장함으로써 화물과 콘테이너 사이의 접촉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프팅 장치는 채널내에 위치하는 이동 수단 상에 배치된다. 상기 리프팅 장치상에는 두 개의 트레이가 배치되며 이들 트레이의 상부에는 차량이 앞바퀴는 하나의 트레이에 뒷바퀴는 다른 트레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차량은 이후 트레이에 고정되며 상기 리프팅 장치 및 관련 화물은 이후 채널을 따라서 콘테이너 내부로 이동된다. 콘테이너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리프팅 장치는 이후 차량과 트레이를 플로어에 대해 경사진(angled) 배향으로 들어올리는데 사용된다. 이후 트레이는 래칭 수단 및 칼럼을 사용하여 위치 고정된다. 상기 경사진 배향은 차량의 일 단부를 타 단부와는 다른 높이로 들어올리는 리프팅 수단에 의해 단일의 리프팅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둘 이상의 스테이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2단계 작업에서 차량은 차량의 일 단부에 대한 소요 높이가 도달되고 칼럼에 두 개의 트레이가 고정될 때까지 상당한 레벨을 리프트될 수 있다. 이후 리프팅 수단은 상기 트레이들중 하나의 트레이만을 지지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트레이는 보강부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트레이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으며, 트레이는 이후 새로운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결과 차량은 콘테이너 내에서 경사진 배향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름진 측벽들, 단부 벽들, 플로어, 지붕, 및 하나의 단부 벽내의 도어를 구비하는 화물 콘테이너 내에 차량을 지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테이너 내에서 운송될 차량의 앞바퀴들은 상기 콘테이너의 측부에서 측부로 연장되는 제 1 트레이상에 위치되고, 뒷바퀴들은 역시 콘테이너의 측부에서 측부로 연장되는 제 2 트레이상에 위치되며, 상기 트레이들은 콘테이너의 지붕을 향해 상승되는 바, 트레이들중 하나는 나머지 트레이와는 다른 높이로 상승되고, 상기 트레이들은 주름진 측벽에 배치된 하중 지지 칼럼들에 각각 다른 높이에서 래칭되며, 따라서 상기 차량은 콘테이너의 플로어에 대해 일정 각도로 지지되는, 화물 콘테이너 내에 차량을 지지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상기 화물 콘테이너는 바람직하게는 콘테이너 내부에 다수의 고정 포인트들을 갖는다. 상기 고정 포인트들은 벽에 부착되는 링이 될 수 있으며, 이 링에는 스트랩 또는 기타 고정 수단이 물건을 콘테이너 내에서 콘테이너에 대해 고정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화물 콘테이너는 또한 하나 이상의 보조 플로어 패널을 구비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보조 플로어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그 대향하는 양 측부에 플로어 래칭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칼럼들은 플로어 장착 수단을 부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로어 장착 수단은 상기 콘테이너에 대해 보조 플로어 패널을 고정하도록 플로어 래칭 수단과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콘테이너 플로어 위에는 보조 플로어가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로어 장착 수단은 트레이들의 래칭 수단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과 동일하며, 플로어 래칭 수단 및 트레이 래칭 수단은 이것이 보조 플로어 패널이 트레이와 같은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동일하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화물 콘테이너(1)의 사시도이다. 상기 화물 콘테이너는 측벽(2, 4)과, 플로어(6) 및 지붕(roof)(8)을 구비한다. 상기 콘테이너의 단부(10)에는 도어(12)가 존재하며, 이 도어는 상기 화물 콘테이너(1)의 단부 적재(end loading)가 가능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화물 콘테이너(1)는, 도크나 기타 적재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표준 리프팅 기계류에 의해 상기 콘테이너가 리프트될 수 있도록 취급 포인트(14)들을 갖는다.
도 2는 상기 측벽(4)의 내부의 일부를 도시한다. 상기 벽은 측부 주름 섹션(20)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 주름 섹션(16) 및 외부 주름 섹션(18)을 포함하는 주름진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에 상기 측부 주름 섹션(20)과, 상기 내부(16) 및 외부(18) 주름 섹션들 간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90°이다. 상기 벽의 하부에는 화물이 콘테이너(1)에 대해 고정될 수 있게 해주는 고정 링(tie down rings)(42)이 제공된다.
상기 벽은 로드 지지 칼럼(load carrying column)(22)을 구비한다. 상기 칼럼(22)은 측부 주름 섹션(20) 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있는 'U'형 금속 섹션(24)을 포함한다. 상기 'U'의 각각의 레그(26)는 측부 주름 섹션(2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U'의 뒷면(28)은 상기 내부 주름 섹션(1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상기 칼럼(22)은 그 길이를 따라서 배치되는 다수의 장착 개구(30)들을 갖는다. 상기 칼럼(22)의 상부 근처에는 중량물(heavy duty) 리프팅 링(32)이 배치된다. 상기 리프팅 링은 콘테이너 벽(4)과 칼럼(22) 양자에 고정된다. 케이블(48)은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팅 링(32)을 통해서 와인더 기구(50)에 연결된다. 상기 와인더(50)는 도 2에서 오프셋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와인더는 수직 견인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량물 리프팅(32)의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차량(도시되지 않음)의 두 바퀴를 들어올리기에 적합한 트레이(34)를 도시한다. 상기 트레이(34)는 차량의 바퀴들이 위치될 수 있는 오목부(depression)(36)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34)는 차량을 트레이(34)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 포인트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리프팅 포인트(38)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34)의 대향하는 두 측부에는 스프링 장착된 볼트(40)가 제공되어 트레이가 칼럼(22)에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도 4는 차량(44, 46)이 적재되어 있는 콘테이너(1)내의 개략 도시도이다. 콘테이너(1)의 플로어(6)에는 세대의 차량(44)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위에 세대의차량(46)이 매달려 있다. 매달려 있는 차량들(46) 각각은 두 개의 트레이(34)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바, 하나의 트레이(34)는 앞바퀴를 지지하고 다른 트레이(34)는 뒷바퀴를 지지하고 있다. 이들 차량은 도어(12)를 통해서 콘테이너 내부에 적재된다.
상기 트레이들은, 중량물 리프팅 링(32)을 통해 와인더 기구(50)에 연결되는 케이블(48)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콘테이너에는 보다 긴 차량도 운송될 수 있는 바, 한 번에 네 대, 즉 플로어에 두 대, 매달린 것이 두 대가 운송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운송되는 차량의 바퀴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벽을 따라서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중량물 링 및 보강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콘테이너(1)의 단부의 사시도이다. 상기 콘테이너(1)의 플로어(6)는 콘테이너(1)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오목한 채널(52)을 포함한다. 이들 채널(52)은 플로어(6)의 레벨(58) 아래로 오목하다. 상기 채널(52)내에는 이동 수단(56)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 수단은, 플로어(6)상의 팰릿 아래에서 채널(52)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플로어(6) 레벨(58) 아래에 배치될 수 있는 이동가능한 상면(56)을 갖는다. 상기 이동가능한 상면(56)은 이후 플로어의 레벨(58) 위로 상승되며, 따라서 상기 팰릿은 플로어(6)에서 들어올려져 보다 쉽게 이동될 수 있다. 도 5는 세 개의 트랙만을 도시하지만, 네 개의 트랙이 바람직하며, 그 이상이 있을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5는 또한 콘테이너(1) 내부에 장착되는 보조 플로어(60)를 도시한다. 상기 보조 플로어(60)는 보조 플로어 패널(62)들을 포함하는 바, 각각의 보조 플로어패널은 칼럼(22)들과 결합할 수 있는 스프링 장착된 위치결정 볼트(64)들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 플로어는 콘테이너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그 길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될 수 있다.
도 6은 트레이(13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트레이(134)는 사이드 아암(72)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70)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아암은 트레이(134)를 보강부(22)에 부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착된 볼트(40)를 갖는다. 트레이(134)상에 지지되는 차량을 트레이(134)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70)상에는 묶음 링(38)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70)은 가동(movable) 섹션(74)들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 섹션들은, 차량이 프레임(70)의 임의의 부분 위로 운전될 필요없이 차량의 바퀴가 프레임(70)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동 섹션들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트레이(134)의 단부를 상세히 도시한다. 상기 프레임(70)은 이 프레임이 사이드 아암(72)을 따라서 활주할 수 있게 해주는 브래킷(78)에 의해 사이드 아암(72)상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가동 섹션(74)은 프레임(70)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지만, 프레임(70)내에 바퀴(도시되지 않음)가 통과할 수 있는 갭을 남기도록 프레임(70)내로 활주할 수 있게 크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 섹션은 바퀴가 프레임 위에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 내로 활주되며 이후 상기 가동 섹션(74)은 바퀴가 얹혀질 프레임(70) 부분을 형성하도록 그 최초 위치로 복귀될 것이다. 상기 트레이(134)는 이후 상승될 수 있고, 상기사이드 아암(72)은 차량을 트레이(134)상에 지지하기 위해 보강부(2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아암(72)은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은 이후 다른 바퀴를 장착한 차량들이 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아암(72)을 따라서 활주할 수 있다. 도 7은 또한 볼트(40)가 결합되는 상기 칼럼(22)내의 'T'형 개구(30)를 도시한다.
도 8은 스프링 장착된 볼트(40)의 상세도이다. 상기 스프링 장착된 볼트는 본체 부재(80)와, 상기 본체 부재(80)의 일단부의 핸들(82), 및 상기 보강부(22)와 결합하기 위한 반대쪽 단부의 결합 수단(84)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부재(80)는 상기 사이드 아암(72) 내부의 안내 수단(86)을 통과하며 스프링(88)은 로킹 볼트(40)를 제 1 위치로 밀어붙인다.
상기 결합 수단(84)은 상기 개구(30)를 통과하지 않는 부분(83) 및 상기 개구(30)를 통과하는 부분(85)을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상기 칼럼(22)의 일 부분은 상기 결합 수단의 부분들 사이에 트랩됨으로써 래칭 수단(40)과 칼럼(22) 간에는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9는 도 4의 콘테이너(1)의 적재 작업중의 단면도이다. 두 대의 차량(46, 44)은 이미 위아래로 적층되어 트레이(34)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들 차량은 사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트레이(34)에 고정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채널(52)에 배열되는 이동 수단(56)상에 팰릿(90)이 설치된다. 상기 팰릿(90)은 차량(46)을 중간 상승 위치에 지지는 가위형 잭(92)을 포함하며, 이 중간 상승 위치에서 차량의 일단부(이 경우 전방)는 소요 높이에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들은 칼럼(22)에 고정되고 팰릿은 상기 가위형 잭(92)이 차량의 타 단부(이 경우 후방)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이동된다. 상기 가위형 잭(92)은 차량의 타 단부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며, 이 단부에서 차량은 칼럼(22)으로부터 해제된다. 이후 트레이는 차량의 그 단부를 위한 소요 높이로 상승되며 트레이(34)는 상기 소요 높이에서 칼럼(22)에 고정된다. 이후 하부 차량(44)은 이제 플로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고정되는 차량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차량의 지붕의 적어도 일 부분은 통상 이 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상부 차량(46)을 지지하는 트레이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도면은 또한 콘테이너(1)의 지붕 횡단 부재(95)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트레이(34)는 횡단 부재(95)들 사이에서 지붕 근처의 보관 위치에서 도시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세가지 다른 형태의 칼럼들(122, 222, 322)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칼럼(122)은 인접하는 내부 주름 부분(16)들 사이에 플레이트(96)를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주름 자체(16, 20, 18, 20, 16)와 플레이트(96)는 이후 하중 지지 칼럼을 형성하는 바, 이 칼럼은 래칭 수단(40)과 결합하는 소요 형성부(예를 들면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칼럼(222)은 주름 측부 및 외벽(20, 18)을 추가 금속 플레이트(98)로 보강하고 이 보강부에 부착되는 'U'형 섹션(97)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U'형 섹션(97)의 레그들은 상기 'U'형 섹션(97)의 베이스가 래칭 수단(40)과 결합되는 소요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98)에 부착된다.
상기 칼럼(322)은 'U'형 섹션(99)의 레그들을 사용하여 주름 측벽(20)을, 래칭 수단(40)과 결합하는 소요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는 'U'형 섹션(99)의 베이스로 보강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단지 예시적으로만 기재되었으며, 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세부적인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9)

  1. 주름진 측벽들, 단부 벽들, 플로어, 지붕, 하나의 단부 벽내의 도어, 및 콘테이너 내부에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지지 수단은 상기 측벽들의 각각의 주름들과 연관된 하중 지지 칼럼들, 및 그 각각이 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를 수용하는 다수의 트레이들을 포함하는, 화물 콘테이너로서,
    상기 트레이들은 이들 트레이를 칼럼들상의 상이한 높이에서 광범위한 가능한 래칭 위치들중 임의의 한 위치에서 콘테이너의 대향 측부들 상의 하중 지지 칼럼들에 래치 결합시키게 되어 있는 래칭 수단을 구비하는 화물 콘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칼럼들은 상기 래칭 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 개구들을 포함하는 화물 콘테이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칼럼들은 상기 콘테이너 벽들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화물 콘테이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은 소정 위치로 편위(bias)되는 스프링 장착된 볼트를 포함하는 화물 콘테이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는 그 대향하는 측부들 상에 플로어 래칭 수단을 갖는 보조 플로어 패널들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하중 지지 칼럼은 콘테이너 플로어 위에 보조 플로어가 생성되도록 보조 플로어 패널들을 콘테이너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플로어 래칭 수단과 결합될 수 있는 플로어 장착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화물 콘테이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의 플로어는 상기 플로어상의 팰릿의 편평 베이스의 하측 부분으로 이동 장치가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콘테이너의 벽들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오목 채널을 구비하는 화물 콘테이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동 장치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이동 장치는, 이동 장치의 가지들(tines)이 플로어에 얹혀있는 팰릿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지가 그 상면이 콘테이너의 플로어 아래에 위치한 채로 실질적으로 채널들 내부에 배치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가지들은 상면이 플로어 위로 상승되어 팰릿을 플로어로부터 분리 상승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 화물 콘테이너.
  8. 주름진 측벽들, 단부 벽들, 플로어, 지붕, 및 하나의 단부 벽내의 도어를 구비하는 화물 콘테이너 내에 차량을 지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테이너 내에서 운송될 차량의 앞바퀴들은 상기 콘테이너의 측부에서 측부로 연장되는 제 1 트레이상에 위치되고, 뒷바퀴들은 역시 콘테이너의 측부에서측부로 연장되는 제 2 트레이상에 위치되며, 상기 트레이들은 콘테이너의 지붕을 향해 상승되는 바, 트레이들중 하나는 나머지 트레이와 다른 높이로 상승되고, 상기 트레이들은 주름진 측벽에 배치된 하중 지지 칼럼들에 각각 다른 높이에서 래칭되며, 따라서 상기 차량은 콘테이너의 플로어에 대해 일정 각도로 지지되는, 화물 콘테이너 내에 차량을 지지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들을 상승시키는 단계는 적어도 두 개의 상승 단계들을 포함하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트레이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로 상승되어 하중 지지 칼럼에 래칭되고, 다음 단계에서는 하나의 트레이가 해제되어 이 트레이의 높이가 하중 지지 칼럼에 래칭되기 전에 다른 높이로 변경되는, 화물 콘테이너 내에 차량을 지지하는 방법.
KR1020040037727A 2003-05-28 2004-05-27 운송 장치 KR200401033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312183A GB0312183D0 (en) 2003-05-28 2003-05-28 Transport apparatus
GB0312183.7 2003-05-28
GB0326327.4 2003-11-12
GB0326327A GB2402123B (en) 2003-05-28 2003-11-12 Transport apparatus
EP04251618A EP1481843B1 (en) 2003-05-28 2004-03-22 Transport apparatus for cars
EM04251618.7 2004-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337A true KR20040103337A (ko) 2004-12-08

Family

ID=3356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727A KR20040103337A (ko) 2003-05-28 2004-05-27 운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006261A1 (ko)
JP (1) JP2004352363A (ko)
KR (1) KR20040103337A (ko)
CN (1) CN15726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0947A (zh) * 2020-12-24 2021-05-18 苏州中车轨道交通车辆有限公司 一种胶轮低地板车体支撑转运一体化装置
CN114852543A (zh) * 2022-06-20 2022-08-05 北京鸿通供应链管理有限公司 一种用于装载加固运输货物的平台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2417B2 (en) * 2004-07-15 2010-07-27 Gatewood Products, Llc Modular reusable vehicle shipping crate
US7350662B2 (en) * 2004-07-15 2008-04-01 Gatewood Products, Llc Modular reusable vehicle shipping crate
CN101311080B (zh) * 2007-05-25 2011-06-15 南通中集特种运输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运车箱
CN101318586B (zh) * 2007-06-04 2010-07-21 南通中集特种运输设备制造有限公司 车货两用集装箱
WO2014017917A2 (en) 2012-07-27 2014-01-30 Van Uden Finance B.V. Passenger car transport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cars for transport
WO2014121381A1 (en) * 2013-02-11 2014-08-14 Newterra Ltd. Support arrangements for water treatment tank
US9399535B2 (en) * 2013-02-11 2016-07-26 Newterra Ltd. Support arrangements for water treatment tank
CN112644592B (zh) * 2020-12-30 2023-09-08 天和骏行智能装备(福建)有限公司 一种轻量化专用车厢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34373A (en) * 1986-02-10 1988-03-22 Atlantis Projects Inc. Transportation van having load elevating platform located therein
JPH041118Y2 (ko) * 1986-07-31 1992-01-14
US4797049A (en) * 1986-12-18 1989-01-10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System for loading motor vehicles into standard cargo-carrying enclosu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0947A (zh) * 2020-12-24 2021-05-18 苏州中车轨道交通车辆有限公司 一种胶轮低地板车体支撑转运一体化装置
CN114852543A (zh) * 2022-06-20 2022-08-05 北京鸿通供应链管理有限公司 一种用于装载加固运输货物的平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06261A1 (en) 2005-01-13
CN1572673A (zh) 2005-02-02
JP2004352363A (ja)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891B2 (en) Removable frame systems for vehicle shipping
RU2584043C2 (ru) Складная интермодаль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платформа
US6071062A (en) Apparatus for lift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a container
US20050180833A1 (en) Transport container for wind turbine blades
EP3601101B1 (en) Vehicle transport structures
US10654396B2 (en) Motorcycle carrier with retractable wheels
US20040247422A1 (en) Cargo roller system for cargo handling
US8757943B2 (en) Intermodal transport platform
US89110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loading, and unloading various types of goods
KR101473976B1 (ko) 코일 운송을 위한 컨테이너
AU2010215087B2 (en) Logistics panel and containers
KR20040103337A (ko) 운송 장치
US3618999A (en) Convertible securement apparatus for securing standard containers and nonstandard cargo on vehicles
US202200639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volume of materials transported in a shipping container, truck, and/or semi trailer
WO2008004083A2 (en) Container lifting device
EP1481843B1 (en) Transport apparatus for cars
US20170291623A1 (en) Motorcycle Carrier with Retractable Wheels
GB2402123A (en) Transport container for cars
AU2013205208B2 (en) Logistics container rails
CA3140348A1 (en) Detachable body securing mechanism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