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570B1 -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570B1
KR101577570B1 KR1020150007053A KR20150007053A KR101577570B1 KR 101577570 B1 KR101577570 B1 KR 101577570B1 KR 1020150007053 A KR1020150007053 A KR 1020150007053A KR 20150007053 A KR20150007053 A KR 20150007053A KR 101577570 B1 KR101577570 B1 KR 10157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ase
wall
fold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인
서병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밴플러스
한국파렛트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밴플러스, 한국파렛트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밴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0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65D88/524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and one or more side walls being foldable along an additional media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 벽체는,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면 하부 벽체와, 하단부가 상기 전면 하부 벽체의 상단부에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면 상부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측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하부 벽체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하측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의 상단부는, 제1 폴딩 힌지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하중 감당 능력이 큰 전면 벽체의 측방 프레임에 상기 제1 폴딩 힌지를 배치함으로써 내구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Foldable Container wherein front wall has folding hinges}
본 발명은 접이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교적 하중 감당 능력이 큰 전면 벽체의 측방 프레임에 제1 폴딩 힌지를 배치함으로써 내구성이 증가되는 접이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freight container, cargo container)는, 해상 화물 운송에 많이 쓰이는 직육면체 형상의 철제 용기로서, 그 길이에 따라 20피트형, 40피트형, 40피트-하이큐브형 등의 중대형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 규격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해 운송용으로는 상기 표준 규격 제품보다 짧은 길이의 6피트형, 8피트형, 10피트형, 12피트형 컨테이너 등 소형 컨테이너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는, 철제를 용접하여 고정된 박스 형상으로 제조되므로 항상 동일한 형상과 부피를 가지게 되므로,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한 후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 선박에 적재되는 경우, 적재될 수 있는 빈 컨테이너의 개수가 선박의 적재 허용 중량을 고려할 때 매우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박에 적재되는 빈 컨테이너의 개수가 적어지면, 전체적인 물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이식 컨테이너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가로(L), 세로(W), 높이(H)가 다양한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표준 규격 컨테이너와의 호환성을 위하여 높이(H)가 세로(W)보다 더 길게 만들어야만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의 접이식 컨테이너는, 이렇게 컨테이너의 높이(H)가 세로 길이(W)보다 더 길게 만들어진 경우에, 도어가 형성된 전면 벽체의 상하 방향 높이(H)가 베이스의 세로 길이(W)보다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하단부에 1개의 회전 중심을 가지는 전면 벽체를 컨테이너의 내부로 접어서 수납하기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교적 하중 감당 능력이 큰 전면 벽체의 측방 프레임에 제1 폴딩 힌지를 배치함으로써 내구성이 증가 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접이식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방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지붕;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면 벽체; 상기 전면 벽체의 후방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후면 벽체;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벽체의 상단부는 상기 지붕의 측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벽체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벽체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벽체의 상단부는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붕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한 조립 위치와, 상기 베이스에 근접하도록 하강한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는, 수직하게 배치된 조립 위치와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도록 눕혀진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며, 상기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는, 수직하게 배치된 조립 위치와 서로 마주하도록 눕혀진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며, 상기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와 측면 벽체는,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지붕과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벽체는,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면 하부 벽체와, 하단부가 상기 전면 하부 벽체의 상단부에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면 상부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는, 상기 전면 벽체의 상하 방향 길이가 길어지도록 펼쳐지는 언폴딩 위치와, 상기 전면 벽체의 상하 방향 길이가 짧아지도록 접혀지는 폴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측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하부 벽체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하측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의 상단부는, 제1 폴딩 힌지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폴딩 힌지는,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 상부 힌지와,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상부 힌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하부 힌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상부 힌지와 상기 제1 하부 힌지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상부 힌지와 상기 제1 하부 힌지 각각은,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인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회전축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제1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베이스의 전단부는, 컨테이너의 외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면 상부 벽체가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상부 힌지의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하부 힌지의 제1 베이스는 서로 마주하여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가 상기 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상부 힌지의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하부 힌지의 제1 베이스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상부 힌지의 제1 베이스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힌지의 제1 베이스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미리 정한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가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상부 힌지의 제1 베이스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힌지의 제1 베이스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제1 상부 힌지의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하부 힌지의 제1 베이스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면 상부 벽체는,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에 도어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부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하부 벽체는,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에 도어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하부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부는, 제2 폴딩 힌지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폴딩 힌지는, 상기 제1 폴딩 힌지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됨으로써 상기 전면 벽체의 중앙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폴딩 힌지는,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상부 힌지와,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상부 힌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하부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힌지와 제2 하부 힌지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상부 힌지와 제2 하부 힌지 각각은, 상기 상부 도어 또는 하부 도어의 외부 표면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인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에 대하여 미리 정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제2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회전축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판형 부재인 경사부와, 상기 제1 회전축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경사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베이스의 상면과 상기 경사부의 상면 및 상기 제2 힌지부를 서로 결합시켜 보강하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면 상부 벽체가,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측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하부 벽체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하측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의 상단부는, 제1 폴딩 힌지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므로, 비교적 하중 감당 능력이 큰 전면 벽체의 측방 프레임에 상기 제1 폴딩 힌지를 배치함으로써 내구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이식 컨테이너의 제1 폴딩 힌지와 제2 폴딩 힌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8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8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8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8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8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8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8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를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8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 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 벽체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 벽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전면 벽체의 상단부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후면 벽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후면 벽체의 상단부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지붕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측면 벽체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우측 상단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로킹 로드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로킹 로드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로킹 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로킹 로드의 상단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로킹 로드의 로킹 로드 힌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에 도시된 제1 폴딩 힌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제1 폴딩 힌지를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7은 도 2에 도시된 제1 폴딩 힌지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에 도시된 제2 폴딩 힌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제2 폴딩 힌지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10에 도시된 전면 상부 벽체가 전면 하부 벽체에 대하여 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제2 폴딩 힌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 벽체가 접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 벽체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측면 벽체가 접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이식 컨테이너의 제1 폴딩 힌지와 제2 폴딩 힌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2는 도 18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36은 도 18에 도시된 접이식 컨테이너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10)는, 해상 화물 운송에 많이 쓰이는 직육면체 형상의 철제 컨테이너(freight container, cargo container)로서, 베이스(20)와, 지붕(30)과, 전면 벽체(40)와, 후면 벽체(50)와, 측면 벽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의 크기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L) 3,658mm, 세로(W) 2,438mm, 높이(H) 2,591mm로서, 높이(H)가 세로(W)보다 더 길다.
상기 베이스(20)는, 가로(L) 3,658mm 세로(W) 2,438mm인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전방 프레임(21)과, 후방 프레임(22)과 측방 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21)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22)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상기 전방 프레임(21)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방 프레임(2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21)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3) 전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22)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3) 후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0)의 네 코너에는, 트레일러 샤시(Trailer Chassis) 또는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 등에 마련된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의 잠금장치(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코너 캐스팅(25)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코너 캐스팅(25)의 구조는,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과 동일한 구조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20)의 네 코너에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베이스 포스트(24)의 하단부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21) 및 후방 프레임(22)에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포크 삽입구(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크 삽입구(26)는, 상기 전방 프레임(21)으로부터 상기 후방 프레임(22)까지 관통되어 있다.
상기 측방 프레임(23)의 양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포스트(24) 사이에는, 철판 부재인 베이스 판넬(27)이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판넬(27)은, 일반적인 컨테이너에 많이 사용되는 물결 무늬 형상의 코로게이트 판넬(corrugate panel)이다.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평판 형상의 플로어(28)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붕(30)은, 상기 베이스(20)의 상방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전방 프레임(31)과, 후방 프레임(32)과 측방 프레임(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31)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31)의 중앙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벽체(40)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는 키퍼(411)가 수용될 수 있는 홈인 키퍼 수용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32)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상기 전방 프레임(31)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방 프레임(3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31)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33) 전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32)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33) 후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붕(30)의 네 코너에는, 트레일러 샤시(Trailer Chassis) 또는 컨테이너 핸들링 장비 등에 마련된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규격의 잠금장치(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코너 캐스팅(35)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코너 캐스팅(35)은 상기 베이스(20)의 코너 캐스팅(25)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코너 캐스팅(35)의 구조는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과 동일한 구조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붕(30)의 네 코너에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루프 포스트(34)의 상단부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루프 포스트(34)는, 상기 베이스 포스트(24)와 마주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33)에는, 포크 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포크 삽입구(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크 삽입구(36)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33) 중 하나로부터 나머지 측방 프레임(33)까지 관통되어 있다.
상기 지붕(30)의 전단부의 내면 좌우 단부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전면 벽체 잠금 장치(45)의 로킹 로드(451)의 캠(452)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두 쌍의 키퍼(312)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붕(30)의 후단부의 내면 좌우 단부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후면 벽체 잠금 장치(54)의 로킹 로드(541)의 캠(542)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두 쌍의 키퍼(321)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로킹 로드(451, 541)와 상기 키퍼(312, 321)의 결합 구조는, 상하 방향 압축력과 인장력 및 좌우 방향 압축력과 인장력을 모두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붕(30)은, 도 18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한 조립 위치와, 상기 베이스(20)에 근접하도록 하강한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전면 벽체(40)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20)의 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전면 상부 벽체(40a)와, 전면 하부 벽체(40b)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벽체(40)의 상하 방향 길이(H)는 상기 측면 벽체(60)의 좌우 방향 길이(W)보다 더 길다.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하단부가 상기 전면 하부 벽체(40b)의 상단부에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는, 상방 프레임(41)과 상측 측방 프레임(431)과 상부 도어(44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방 프레임(41)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43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방 프레임(41)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상측 측방 프레임(431) 상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 도어(441)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며, 복수 개의 도어 힌지(443)에 의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431)에 결합되어 있는 문(door)이다.
상기 전면 하부 벽체(40b)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20)의 전단부에 전면 벽체 회전 중심(P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 하부 벽체(40b)는, 하방 프레임(42)과 하측 측방 프레임(432)과, 하부 도어(4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방 프레임(42)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상기 상방 프레임(41)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방 프레임(4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돌출부(4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43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방 프레임(42)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하측 측방 프레임(432) 하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432)의 하단부 양측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하부 벽체(40b)의 하단부를 상기 베이스(20)의 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하부 피봇 브라켓(42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피봇 브라켓(423)에는, 상기 전면 벽체 회전 중심(P1)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피봇 구멍(4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봇 구멍(424)은, 상기 베이스(20)의 전단부에 피봇 핀(미도시)에 의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부 도어(442)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전면 하부 벽체(40b)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며, 복수 개의 도어 힌지(443)에 의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432)에 결합되어 있는 문(door)이다.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431)과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43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연장된 한 쌍의 측방 프레임(43)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 도어(441)와 상기 하부 도어(44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연장된 한 쌍의 도어(44)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431)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432) 상단부는, 제1 폴딩 힌지(48)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벽체(40)의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 폴딩 힌지(48)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힌지(48a)와, 제1 하부 힌지(48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 힌지(48a)는,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43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힌지로서, 제1 베이스(481)와, 제1 힌지부(482)와, 돌출부(48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481)는, 상면이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431)의 하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사각 판형 부재이다.
상기 제1 베이스(481)의 전단부는, 도 1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전방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힌지부(482)는, 상기 제1 베이스(481)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 회전축(C1)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하부 힌지(48b)는, 도 25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힌지이다.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베이스(481)는, 하면이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432)의 상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사각 판형 부재이다.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힌지부(482)는,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의 제1 힌지부(482)에 피봇 핀(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의 제1 베이스(48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베이스(481) 상면에는, 미리 정한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48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의 제1 베이스(481)와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베이스(481)는 서로 마주하여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483)는 반대편에 위치한 제1 베이스(481)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의 제1 베이스(481)와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베이스(481)는 상기 돌출부(483)의 높이(G)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는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회전될 수는 없다.
한편,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의 제1 베이스(481)는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베이스(481)에 대하여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펼쳐짐으로써,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의 제1 베이스(481)가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베이스(481)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결국,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컨테이너의 전방 외측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폴딩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상부 도어(441)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도어(442)의 상단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폴딩 힌지(49)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2 폴딩 힌지(49)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제1 폴딩 힌지(48)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벽체(40)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폴딩 힌지(49)는 후술할 한 쌍의 로킹 로드(4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폴딩 힌지(49)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 힌지(49a)와, 제2 하부 힌지(49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부 힌지(49a)는, 상기 상부 도어(44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힌지로서, 제2 베이스(491)와, 제2 힌지부(492)와, 경사부(493)와, 보강부(49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베이스(491)는, 하면이 상기 상부 도어(441) 하단부 외부 표면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이다.
상기 제2 힌지부(492)는, 상기 경사부(493)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 회전축(C1) 상에 위치한다.
상기 경사부(493)는, 상기 제2 베이스(491)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회전축(C1)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판형 부재로서, 상기 제2 베이스(491)에 대하여 미리 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힌지부(492)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베이스(491)로부터 미리 정한 높이(H2)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494)는, 상기 제2 베이스(491)의 상면과 상기 경사부(493)의 상면 및 상기 제2 힌지부(492)의 외부 표면을 서로 결합시켜 보강하는 판형 부재이다.
상기 제2 하부 힌지(49b)는,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상부 힌지(49a)와 서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힌지이다.
상기 제2 하부 힌지(49b)의 제2 베이스(491)는, 하면이 상기 하부 도어(442)의 상단부 외부 표면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이다.
상기 제2 하부 힌지(49b)의 제2 힌지부(492)는,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상부 힌지(49a)의 제2 힌지부(492)에 피봇 핀(미도시)에 의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부 힌지(49a)의 제2 베이스(491)와 상기 제2 하부 힌지(49b)의 제2 베이스(491)는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 상부 힌지(49a)의 제2 베이스(491)는 상기 제2 하부 힌지(49b)의 제2 베이스(491)에 대하여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접혀짐으로써, 상기 제2 상부 힌지(49a)의 제2 베이스(491)와 상기 제2 하부 힌지(49b)의 제2 베이스(491)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는, 상기 제1 폴딩 힌지(48)와 상기 제2 폴딩 힌지(49)에 의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벽체(40)의 상하 방향 길이가 길어지도록 펼쳐지는 언폴딩 위치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벽체(40)의 상하 방향 길이가 짧아지도록 접혀지는 폴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도어(44)의 외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4)를 잠그기 위하여 제4 회전축(C4)을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수직하게 배치된 로킹 로드(4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로킹 로드(46)는, 상측 로킹 로드(461)와, 하측 로킹 로드(462)와, 로킹 핸들(464)을 포함하며, 상기 제4 회전축(C4)을 중심으로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부 도어(441)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다.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는, 길게 연장된 원형 단면의 막대 부재로서, 상기 상부 도어(441)의 외면에 상기 제4 회전축(C4)을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제4 회전축(C4)을 중심으로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부 도어(441)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다.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는, 길게 연장된 원형 단면의 막대 부재로서, 상기 하부 도어(442)의 외면에 상기 제4 회전축(C4)을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제4 회전축(C4)을 중심으로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부 도어(442)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다.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에는,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를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킹 핸들(46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의 상단부 및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의 하단부에는 각각 캠(46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의 상단부는 로킹 로드 힌지(47)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상기 로킹 로드 힌지(47)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471)와, 제2 힌지(472)와, 연결 부재(4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힌지(471)는,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힌지로서, 제2 회전축(C2)을 원의 중심으로 형성된 한 쌍의 원형 구멍인 제1 구멍(476)과, 상기 제1 구멍(476)에 삽입되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핀(474)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힌지(472)는,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힌지로서, 상기 제1 힌지(471)와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3 회전축(C3)을 원의 중심으로 형성된 한 쌍의 원형 구멍인 한 쌍의 제2 구멍(477)과, 상기 제2 구멍(477)에 삽입되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핀(47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회전축(C2) 및 제3 회전축(C3)은,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4 회전축(C4)에 대하여 수직하다.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 및 하측 로킹 로드(462)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회전축(C2) 및 제3 회전축(C3)은, 상기 제1 회전축(C1)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 및 하측 로킹 로드(462)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회전축(C2) 및 제3 회전축(C3)은, 상기 제1 회전축(C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 부재(473)는, 상기 제1 힌지(471)와 상기 제2 힌지(472)를 서로 연결시키는 평판 부재로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는 제1 연결공(478)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제2 연결공(47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재(473)의 제1 연결공(478)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의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핀(474)은 상기 제1 구멍(476) 및 상기 제1 연결공(478)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힌지(471)와 연결 부재(473)를 서로 결합시키며, 상기 제1 힌지(471)의 제1 구멍(476)과 제1 핀(474)는 상기 제2 회전축(C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단단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473)의 제1 연결공(478)은, 상기 제1 핀(474)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전축(C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유격을 가지므로,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상기 언폴딩 위치와 상기 폴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의 상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미리 정한 범위 내에서 증감될 수 있도록 허용된다.
상기 연결 부재(473)의 제2 연결공(479)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구멍(477)가 동일한 직경의 원형 구멍이다.
상기 제2 핀(475)은 상기 제2 구멍(477) 및 상기 제2 연결공(479)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힌지(472)와 연결 부재(473)를 서로 결합시키며, 상기 제2 힌지(472)의 제2 구멍(477)과 제2 핀(475)은 상기 제3 회전축(C3)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단단하게 결합된다.
결국, 상기 연결 부재(473)의 상단부는 상기 제1 힌지(471)와 제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부재(473)의 하단부는 상기 제2 힌지(472)와 제3 회전축(C3)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킹 로드 힌지(47)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와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를 상기 제4 회전축(C4)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로킹 핸들(464)을 상기 제4 회전축(C4)을 중심으로 회전 시키면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 및 하측 로킹 로드(462)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와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가 상기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회전축(C2) 및 제3 회전축(C3)이 상기 제1 회전축(C1)과 수직하므로,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의 상단부는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와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회전축(C2) 및 제3 회전축(C3)이 상기 제1 회전축(C1)과 평행하므로, 상기 상측 로킹 로드(461)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로킹 로드(462)의 상단부는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다.
상기 도어(44)에 장착된 로킹 로드(46)의 상하 캠(463)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키퍼(411, 421)가 마련되어 있는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키퍼(411, 421) 중 상측의 키퍼(411)은 상기 전면 벽체(40)의 상방 프레임(41)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하측의 키퍼(421)는 상기 전면 벽체(40)의 하방 프레임(42)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도어(44)에 장착된 로킹 핸들(464)과 캠(463)과 키퍼(411, 421)는, 일반적인 컨테이너에 사용되는 것들과 동일한 구조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면 벽체(40)의 상방 프레임(41)의 내면에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벽체 잠금 장치(4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면 벽체 잠금 장치(4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며, 양단부에 캠(452)이 마련되어 있는 로킹 로드(451)와, 상기 로킹 로드(451)를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킹 핸들(453)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방 프레임(41)에 장착된 상기 전면 벽체 잠금 장치(45)의 캠(452) 및 상기 지붕(3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장착된 키퍼(312, 321)는, 상기 도어(44)에 장착된 캠(463) 및 키퍼(411, 421)와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후면 벽체(50)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상기 전면 벽체(40)의 후방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20)의 후단부에 후면 벽체 회전 중심(P2)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방 프레임(51)과, 하방 프레임(52)과 측방 프레임(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방 프레임(51)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방 프레임(52)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상기 상방 프레임(51)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방 프레임(5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철제 프레임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방 프레임(51)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53) 상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방 프레임(52)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53) 하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후면 벽체(50)의 상방 프레임(51)의 내면에는, 도 9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벽체 잠금 장치(5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후면 벽체 잠금 장치(54)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며, 양단부에 캠(542)이 마련되어 있는 로킹 로드(541)와, 상기 로킹 로드(541)를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킹 핸들(543)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후면 벽체 잠금 장치(54)의 각 구성은 상기 전면 벽체 잠금 장치(45)의 각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측방 프레임(53)의 하단부 양측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벽체(50)의 하단부를 상기 베이스(20)의 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하부 피봇 브라켓(5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피봇 브라켓(521)에는, 상기 후면 벽체 회전 중심(P2)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피봇 구멍(5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봇 구멍(522)은, 상기 베이스(20)의 후단부에 피봇 핀(미도시)에 의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벽체(50)가 상기 베이스(20)의 후단부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는 후면 벽체 회전 중심(P2)은, 상기 전면 벽체(40)가 상기 베이스(20)의 전단부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는 전면 벽체 회전 중심(P1)보다 미리 정한 높이(H1)만큼 더 높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면 벽체(40)와 후면 벽체(50)는, 도 18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치된 조립 위치와 상기 베이스(20)와 마주하도록 눕혀진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수납 위치에 있는 후면 벽체(50)는, 상기 수납 위치에 있는 전면 벽체(40)의 상측에 포개진다.
이때,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벽체(40)가 눕혀져 수납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후면 벽체(50)가 수직하게 세워져 조립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접혀서 폴딩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면 벽체(40) 상단과 상기 후면 벽체(50)의 하단 사이에는 작업자가 상기 플로어(28) 위에 서서 작업할 수 있는 작업 공간(W1)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 벽체(60)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부 벽체(61)와, 하부 벽체(62)와, 중간 힌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벽체(61)는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상단부에 상부 힌지(64)가 복수 개 결합되어 있다. 이 상부 힌지(64)에 의하여, 상기 상부 벽체(61)의 상단부가 상기 지붕(30)의 측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 벽체(62)는, 상기 상부 벽체(61)와 마찬가지로 사각형 철제 프레임 구조물로서, 상기 상부 벽체(61)의 하방에 배치되며, 하단부에 하부 힌지(65)가 복수 개 결합되어 있다. 이 하부 힌지(65)에 의하여, 상기 하부 벽체(62)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20)의 측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간 힌지(6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벽체(61)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벽체(62)의 상단부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이다.
상기 중간 힌지(63)는, 상기 측면 벽체(60)가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측면 벽체(60)가 좌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접혀지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벽체(61)와 하부 벽체(62)는, 도 18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치된 조립 위치와 내측으로 접혀서 서로 마주하도록 눕혀진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다.
결국, 상기 지붕(30)이 수납 위치로 하강하게 되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벽체(40)와 후면 벽체(50)와 측면 벽체(60)는, 상기 지붕(30)과 베이스(20) 사이의 공간에 수납되는 구조이다. 이때,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벽체(60)는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후면 벽체(5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접이식 컨테이너(1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가 조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포크 리프트의 포크를 상기 지붕(30)의 포크 삽입구(36)에 삽입시켜서 상기 지붕(30)의 위치를 고정한 후, 상기 도어(44)를 통하여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전면 벽체(40)의 전면 벽체 잠금 장치(45)의 로킹 로드(451)를 상기 지붕(30)의 키퍼(312)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어서, 외부에서 작업자가 상기 전면 벽체(40)를 내측으로 밀게 되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벽체(40)가 상기 전면 벽체 회전 중심(P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20)의 플로어(28) 위에 눕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는 폴딩 위치에 위치한 상태이며, 적절한 완충 유닛(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전면 벽체(40)는 천천히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전면 벽체(40)를 수납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후면 벽체(50)의 후면 벽체 잠금 장치(54)의 로킹 로드(541)를 상기 지붕(30)의 키퍼(321)로부터 분리시키고, 외부에서 작업자가 상기 후면 벽체(50)를 내측으로 밀게 되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벽체(50)가 상기 후면 벽체 회전 중심(P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면 벽체(40) 위에 눕혀지게 된다. 이때, 적절한 완충 유닛(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후면 벽체(50)는 천천히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안전핀(미도시)을 상기 측면 벽체(60)로부터 분리시키고, 외부에서 작업자가 상기 측면 벽체(60)를 내측으로 밀면서, 상기 지붕(30)을 지지하고 있는 포크 리프트를 서서히 하강시키게 되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벽체(61)와 하부 벽체(62)가,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접혀서 서로 마주하도록 눕혀지게 된다.
여기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30)이 완전히 하강하여 수납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루프 포스트(34)의 하단부와 상기 베이스 포스트(24)의 상단부가 서로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벽체(40)와 후면 벽체(50)와 측면 벽체(60) 모두가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지붕(30)과 전면 벽체(40)와 후면 벽체(50)와 측면 벽체(60)가 상기 조립 위치로 위치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언폴딩 방지 유닛(미도시)을 작동시키면,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의 폴딩(folding)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폴딩 작업이 완료된 접이식 컨테이너(10)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을 조립 위치로 다시 펼치는 언폴딩(unfolding)작업은, 상술한 폴딩(folding) 작업의 역순으로 수행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의 접이식 컨테이너(10)는,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측 측방 프레임(431)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하부 벽체(40b)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하측 측방 프레임(432)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431)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432)의 상단부는, 제1 폴딩 힌지(48)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므로, 비교적 하중 감당 능력이 큰 상기 전면 벽체(40)의 측방 프레임(43)에 상기 제1 폴딩 힌지(48)를 배치함으로써 내구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는, 상기 제1 폴딩 힌지(48)가,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43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 상부 힌지(48a)와,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432)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하부 힌지(48b)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1 폴딩 힌지(48)가 상하 대칭적인 형태로 강건하게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는,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와 상기 제1 하부 힌지(48b)가,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와 상기 제1 하부 힌지(48b) 각각은,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43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인 제1 베이스(481)와, 상기 제1 회전축(C1)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481)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제1 힌지부(482)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와 상기 제1 하부 힌지(48b)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강건하게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는, 상기 제1 베이스(481)의 전단부가 컨테이너의 외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컨테이너의 전방 외측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는,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의 제1 베이스(481)와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베이스(481)는 서로 마주하여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상기 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의 제1 베이스(481)와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베이스(481)는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회전될 수는 없으며,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컨테이너의 전방 외측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폴딩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는,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의 제1 베이스(48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베이스(481)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미리 정한 높이(G)를 가지는 돌출부(48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483)가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의 제1 베이스(48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베이스(481)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제1 상부 힌지(48a)의 제1 베이스(481)와 상기 제1 하부 힌지(48b)의 제1 베이스(481)는 상기 돌출부(483)의 높이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를 가능한 90도에 가깝게 수직하게 세우는 것이 용이하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측방 프레임(43)을 통하여 상하 방향 하중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는,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가,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431)에 도어 힌지(443)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부 도어(441)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하부 벽체(40b)가,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432)에 도어 힌지(443)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하부 도어(44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441)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도어(442)의 상단부는, 제2 폴딩 힌지(49)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므로, 상기 상부 도어(441)의 말단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상부 도어(441)와 하부 도어(442)가 동시에 열리고 동시에 닫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는, 상기 제2 폴딩 힌지(49)가, 상기 제1 폴딩 힌지(48)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됨으로써 상기 전면 벽체(40)의 중앙부에 있으므로, 상기 제2 폴딩 힌지(49)가 상기 제1 폴딩 힌지(48)와 협력하여 다양한 하중을 분산하여 감당하기 용이하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40a)의 폴딩 구조가 강건하게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는, 상기 제2 폴딩 힌지(49)가, 상기 상부 도어(44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상부 힌지(49a)와, 상기 하부 도어(442)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상부 힌지(49a)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하부 힌지(49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힌지(49a)와 제2 하부 힌지(49b)는 상기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상부 힌지(49a)와 제2 하부 힌지(49b) 각각은, 상기 상부 도어(441) 또는 하부 도어(442)의 외부 표면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인 제2 베이스(491)와, 상기 제2 베이스(491)에 대하여 미리 정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제2 베이스(491)로부터 상기 제1 회전축(C1)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판형 부재인 경사부(493)와, 상기 제1 회전축(C1)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경사부(493)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제2 힌지부(492)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2 힌지부(492)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베이스(491)로부터 미리 정한 높이(H2)만큼 돌출되도록 구현하기 용이하며, 상기 제2 폴딩 힌지(49)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강건하게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10)는, 상기 제2 베이스(491)의 상면과 상기 경사부(493)의 상면 및 상기 제2 힌지부(492)를 서로 결합시켜 보강하는 보강부(49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폴딩 힌지(49)의 내구성과 하중 감당력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폴딩 힌지(49)가 한 쌍이 마련되어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제2 폴딩 힌지(49)가 상기 도어(44)에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473)의 제1 연결공(478)이 상기 제1 핀(474)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전축(C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유격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그 대신에 또는 그와 함께 상기 연결 부재(473)의 제2 연결공(479)이 상기 제2 핀(475)에 대하여 상기 제3 회전축(C3)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접이식 컨테이너 20: 베이스
21: 전방 프레임 22: 후방 프레임
23: 측방 프레임 24: 베이스 포스트
25: 코너 캐스팅 26: 포크 삽입구
27: 베이스 판넬 28: 플로어
30: 지붕 31: 전방 프레임
32: 후방 프레임 33: 측방 프레임
34: 루프 포스트 35: 코너 캐스팅
36: 포크 삽입구 40: 전면 벽체
40a: 전면 상부 벽체 40b: 전면 하부 벽체
41: 상방 프레임 42: 하방 프레임
43: 측방 프레임 44: 도어
45: 전면 벽체 잠금 장치 46: 로킹 로드
47: 로킹 로드 힌지 48: 제1 폴딩 힌지
48a: 제1 상부 힌지 48b: 제1 하부 힌지
49: 제2 폴딩 힌지 49a: 제2 상부 힌지
49b: 제2 하부 힌지 50: 후면 벽체
51: 상방 프레임 52: 하방 프레임
53: 측방 프레임 54: 후면 벽체 잠금 장치
60: 측면 벽체 61: 상부 벽체
62: 하부 벽체 63: 중간 힌지
64: 상부 힌지 65: 하부 힌지
311: 키퍼 수용부 312: 키퍼
321: 키퍼 411: 키퍼
421: 키퍼 422: 돌출부
423: 하부 피봇 브라켓 424: 피봇 구멍
431: 상측 측방 프레임 432: 하측 측방 프레임
441: 상부 도어 442: 하부 도어
443: 도어 힌지 451: 로킹 로드
452: 캠 453: 로킹 핸들
461: 상측 로킹 로드 462: 하측 로킹 로드
463: 캠 464: 로킹 핸들
471: 제1 힌지 472: 제2 힌지
473: 연결 부재 474: 제1 핀
475: 제2 핀 476: 제1 구멍
477: 제2 구멍 478: 제1 연결공
479: 제2 연결공 481: 제1 베이스
482: 제1 힌지부 483: 돌출부
491: 제2 베이스 492: 제2 힌지부
493: 경사부 494: 보강부
521: 하부 피봇 브라켓 522: 피봇 구멍
541: 로킹 로드 542: 캠
543: 로킹 핸들 C1: 제1 회전축
C2: 제2 회전축 C3: 제3 회전축
C4: 제4 회전축 P1: 전면 벽체 회전 중심
P2: 후면 벽체 회전 중심

Claims (10)

  1.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방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지붕;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면 벽체;
    상기 전면 벽체의 후방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후면 벽체;
    수직하게 배치된 조립 위치와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도록 눕혀진 수납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며,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붕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한 조립 위치와, 상기 베이스에 근접하도록 하강한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는, 수직하게 배치된 조립 위치와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도록 눕혀진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며,
    상기 전면 벽체와 후면 벽체와 측면 벽체는,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지붕과 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벽체는,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전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면 하부 벽체와, 하단부가 상기 전면 하부 벽체의 상단부에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면 상부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는, 상기 전면 벽체의 상하 방향 길이가 길어지도록 펼쳐지는 언폴딩 위치와, 상기 전면 벽체의 상하 방향 길이가 짧아지도록 접혀지는 폴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상측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하부 벽체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하측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의 상단부는, 제1 폴딩 힌지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 힌지는,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 상부 힌지와,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상부 힌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하부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힌지와 상기 제1 하부 힌지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상부 힌지와 상기 제1 하부 힌지 각각은,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인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회전축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제1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의 전단부는, 컨테이너의 외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상부 벽체가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상부 힌지의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하부 힌지의 제1 베이스는 서로 마주하여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가 상기 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상부 힌지의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하부 힌지의 제1 베이스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힌지의 제1 베이스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힌지의 제1 베이스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미리 정한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상부 벽체가 상기 언폴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상부 힌지의 제1 베이스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힌지의 제1 베이스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제1 상부 힌지의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하부 힌지의 제1 베이스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상부 벽체는, 상기 상측 측방 프레임에 도어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부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하부 벽체는, 상기 하측 측방 프레임에 도어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하부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부는, 제2 폴딩 힌지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딩 힌지는, 상기 제1 폴딩 힌지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됨으로써 상기 전면 벽체의 중앙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딩 힌지는,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상부 힌지와,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상부 힌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하부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힌지와 제2 하부 힌지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상부 힌지와 제2 하부 힌지 각각은,
    상기 상부 도어 또는 하부 도어의 외부 표면에 결합되는 판형 부재인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에 대하여 미리 정한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제2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회전축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판형 부재인 경사부와, 상기 제1 회전축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경사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의 상면과 상기 경사부의 상면 및 상기 제2 힌지부를 서로 결합시켜 보강하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KR1020150007053A 2015-01-14 2015-01-14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KR10157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053A KR101577570B1 (ko) 2015-01-14 2015-01-14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053A KR101577570B1 (ko) 2015-01-14 2015-01-14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570B1 true KR101577570B1 (ko) 2015-12-14

Family

ID=5502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053A KR101577570B1 (ko) 2015-01-14 2015-01-14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5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8375A (ja) 2011-07-29 2013-02-07 Hokkaido Seikan Kogyo Kk 折畳み型コンテナ
KR101258612B1 (ko) 2013-01-10 2013-04-26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접이식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8375A (ja) 2011-07-29 2013-02-07 Hokkaido Seikan Kogyo Kk 折畳み型コンテナ
KR101258612B1 (ko) 2013-01-10 2013-04-26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접이식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12B1 (ko) 접이식 컨테이너
US11618488B2 (en) Foldable container and apparatus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same
JP6472900B2 (ja) 折畳み式コンテナ
CN109896183B (zh) 货运集装箱的前拐角柱及其前壁
US109470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psible container
KR20060046708A (ko) 접을 수 있는 화물컨테이너
KR102029340B1 (ko) 코너부 락킹구조를 갖는 접이식 컨테이너
CN1868831B (zh) 超长折叠箱
US20060016807A1 (en) Foldable freight container
KR101587588B1 (ko) 하방 프레임 잠금 장치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CN203727813U (zh) 多功能钢制折叠托盘箱
KR101577570B1 (ko)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KR101626091B1 (ko) 완충 유닛이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KR101993713B1 (ko) 접이식 모듈화 부스
KR101577001B1 (ko) 로킹 로드에 폴딩 힌지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KR101984837B1 (ko) 펜스를 구비한 파렛트
CN107472721B (zh) 折叠集装箱
JP2016172598A (ja) 廃棄物運搬用折り畳みコンテナ
EP3730419B1 (en) Container
JP3714451B2 (ja) 梱包用コンテナ
KR20160087717A (ko) 전면 벽체의 상단부가 접혀지는 접이식 컨테이너
KR200438174Y1 (ko) 회전식 철제 포장박스
KR101626090B1 (ko) 전면 벽체의 하단부가 접혀지는 접이식 컨테이너
CN220683547U (zh) 一种用于运输中大型客车的框架式集装箱
KR102055327B1 (ko) 사이드패널 접철용 토션바모듈을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