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392Y1 - 접철식 운반 상자 - Google Patents

접철식 운반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392Y1
KR200339392Y1 KR20-2003-0031880U KR20030031880U KR200339392Y1 KR 200339392 Y1 KR200339392 Y1 KR 200339392Y1 KR 20030031880 U KR20030031880 U KR 20030031880U KR 200339392 Y1 KR200339392 Y1 KR 200339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ng side
folding
sta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칼스로지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칼스로지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칼스로지스틱
Priority to KR20-2003-0031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접철식 운반 상자는 오프닝/폴딩 조작을 편리하게 하고, 오프닝 및 폴딩 상태의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향하는 장측에 저단을 형성하고, 이 저단의 양측에 대향하는 단측 고단을 형성하며, 이 단측 고단의 상면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판(1), 이 하판의 장측 저단에서 수직 상태로 오프닝 되고 수평 상태로 폴딩 가능하도록 하판(1)의 장측 저단에 선회 가능 구조로 대향 장착되며, 그 양측에 다수의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장측판(3, 5), 이 한 쌍의 장측판(3, 5)이 장착된 하판(1)의 경사진 단측 고단에서 수직 미만의 상태로 오프닝 되고, 폴딩 된 장측판(3, 5) 상에 수평 상태의 폴딩이 가능하도록 단측 고단에 선회 가능한 구조로 대향 장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11)와 결합되도록 그 양측에 다수의 결합 홈(13)을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단측판(7, 9), 이 장측판(7, 9)에서 탄성적으로 전 후진되면서 단측판에 결합되어 오프닝 상태를 잠그는 오프닝 잠금부(A), 및 이 오프닝 잠금부가 잠금 해제된 폴딩 상태에서 단측판(7, 9)을 하판(1)의 장측 저단에 고정시켜 폴딩 상태를 잠그는 폴딩 잠금부(B)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운반 상자 {FOLDABLE CARRYING BOX}
본 고안은 접철식 운반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판의 측부에 장측판과 단측판이 힌지 구조로 장착된 상자의 오프닝/폴딩 조작을 편리하게 하고, 오프닝 및 폴딩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접철식 운반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을 비롯한 각종 물품들을 담아서 이송시키는 데 사용되는 상자는 물품들을 담을 수 있도록 고정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크기의 공간을 가지는 상자는 농산물이나 각종 물품들을 담았을 때에는 별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물품들을 담지 않은 상태로 이송 시에는 불필요하게 큰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물류 비용을 많이 발생시킨다.
따라서, 빈 상태일 때 부피를 저감시키고, 이로 인하여 이송을 편리하게 하는 접철식 운반 상자가 요구되고 있다.
이 요구에 따라 개발된 접철식 운반 상자는 사각형의 하판에 네 개의 측판을 수 개의 경첩으로 조립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을 복잡하게 하여, 제작 시 많은 비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조립 공정을 간단하게 하는 접철식 운반 상자가 개발되고 있다. 이 접철식 운반 상자는 하판에 접철 구조로 장착되는 다수의 측판으로 인하여, 사용 시 수회에 걸쳐 측판을 오프닝 조작케 하고, 이송 시 수회에 걸쳐 측판을 폴딩 조작케 함으로서, 오프닝 및 폴딩 조작을 불편하게 한다.
또한, 이 접철식 운반 상자는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측판을 하판에 폴딩 시키므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약해지면 폴딩 상태에서 측판과 하판의 잠금 상태가 느슨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오프닝/폴딩 조작을 편리하게 하고, 오프닝 및 폴딩 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접철식 운반 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운반 상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운반 상자의 오프닝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운반 상자의 오프닝 및 폴딩 과정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운반 상자의 폴딩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운반 상자의 하판과 단측판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6은 오프닝 잠금부의 사시도.
도 7은 폴딩 잠금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판(下板) 1a : 상면
3, 5 : 장측판(長側板) 7, 9 : 단측판(短側板)
11 : 결합 돌기 13 : 결합 홈
15 : 록킹 부재 17 : 록킹 홈
18 : 탄성부 19 : 반발 돌기
21 : 걸림 돌기 23 : 간극
A : 오프닝 잠금부 B : 폴딩 잠금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운반 상자는, 대향하는 장측에 저단을 형성하고, 이 저단의 양측에 대향하는 단측 고단을 형성하며, 이 단측 고단의 상면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장측 저단에서 수직 상태로 오프닝(opening) 되고 수평 상태로 폴딩(folding) 가능하도록 하판의 장측 저단에 선회 가능 구조로 대향 장착되며, 그 양측에 다수의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장측판,
상기 한 쌍의 장측판이 장착된 하판의 경사진 단측 고단에서 수직 미만의 상태로 오프닝 되고, 폴딩 된 장측판 상에 수평 상태의 폴딩이 가능하도록 단측 고단에 선회 가능한 구조로 대향 장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도록 그 양측에 다수의 결합 홈을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단측판,
상기 장측판에서 탄성적으로 전 후진되면서 단측판에 결합되어 오프닝 상태를 잠그는 오프닝 잠금부, 및
상기 오프닝 잠금부가 잠금 해제된 폴딩 상태에서 단측판을 하판의 장측 저단에 고정시켜 폴딩 상태를 잠그는 폴딩 잠금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판의 단측 고단의 상면은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은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프닝 잠금부는 각 장측판에서 장측 방향 양단으로 전후진 하도록 장측판에 슬라이드 구조로 장착되는 록킹(locking) 부재, 및
상기 록킹 부재의 선단을 각 장측판의 장측 방향 양단에서 오프닝 되는 단측판에 결합시키도록 오프닝 상태에서 록킹 부재의 선단 대향측 단측판에 구비되는 록킹 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딩 잠금부는 하판 상에 장측판이 폴딩 된 상태에서 하판의 장측 저단의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하판의 장측 저단에 형성되고, 장측 방향 양단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걸림 돌기, 및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도록 걸림 돌기에 대향하는 단측판의 내측에 구비된 간극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운반 상자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닝/폴딩 조작을 편리하게 하고, 오프닝 및 폴딩 상태에서 측판의 잠금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철식 운반 상자는 하판(下板, 1), 한 쌍의 장측판(長側板, 3, 5), 한쌍의 단측판(短側板, 7, 9), 오프닝 잠금부(A), 및 폴딩 잠금부(B)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기 하판(1)은 이 접철식 운반 상자의 베이스 부분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인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하판(1)은 장측과 단측을 가지는 직사각형 구조로 형성되며, 대향하는 장측은 저단(底段)으로 형성되고, 대향하는 단측은 고단(高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판(1)의 구조는 장측의 저단에 장착되는 장측판(3, 5)이 먼저 하판(1)에 폴딩 되고, 폴딩 된 장측판(3, 5) 위에 단측의 고단에 장착되는 단측판(7, 9)이 폴딩 되게 한다.
또한, 이 하판(1)의 단측 고단은 상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면(1a)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판(1)의 단측 고단의 경사진 상면(1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측판(3, 5)의 폴딩 조작에 따라 별도의 조작 없이 단측판(7, 9)이 내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저절로 폴딩 될 수 있게 한다.
즉, 단측판(7, 9)은 장측판(3, 5)의 오프닝 상태가 해제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미만으로 상태로 기울어지면서 항상 폴딩 되려는 작용력을 받고 있다.
이 단측판(7, 9)이 상기와 같은 폴딩 작용력을 받고 원활히 폴딩 되도록 하판(1)에서 단측 고단의 상면(1a)은 상자의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은 라운드 구조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한 쌍의 장측판(3, 5)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판(1)의 각 장측 저단에 요철 구조로 상호 결합되고, 이 요철부를 힌지(미도시)로 연결하므로 하판(1)의 각 장측 저단에 수직 범위 내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장측판(3, 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상태로 오프닝 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로 폴딩 될 수 있도록 하판(1)에 대향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장측판(3, 5)은 그 양측에 다수의 결합 돌기(1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오프닝 상태에서 단측판(7, 9)과의 결합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한 쌍의 단측판(7, 9)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판(1)의 각 단측 고단에 요철 구조로 상호 결합되고, 이 요철부를 힌지(미도시)로 연결하므로 하판(1)의 각 단측 고단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단측판(7, 9)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와 수직 미만의 범위 내의 상태로 오프닝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샅이 수평 상태로 폴딩 될 수 있도록 하판(1)에 대향 장착되어 있다.
또한, 단측판(7, 9)은 그 양측에 다수의 결합 홈(13)을 구비하고 있고 있다. 이 결합 홈(13)은 오프닝 상태에서 장측판(3, 5)의 상기한 결합 돌기(11)와 견고히 결합된다.
한편, 상기 오프닝 잠금부(A)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판(1)에 장착되는 장측판(3, 5)과 단측판(7, 9)의 오프닝 상태를 잠그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오프닝 잠금부(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측판(3, 5) 상에서 탄성적으로 전 후진되도록 구성되는 록킹 부재(15), 및 이 록킹 부재(15)에 결합되는 록킹 홈(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록킹 부재(15)는 각 장측판(3, 5)에 슬라이드 구조로 장착되어, 장측 방향의 양단으로 전후진 하도록 그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록킹 부재(15)는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하여 장측판(3, 5)의 장측 방향의 중심으로 후진되고, 탄성부(18)의 탄성력에 의하여 장측 방향의 양단으로 전진된다. 이를 위하여 탄성부(18)는, 록킹 부재(15)가 슬라이드 작동되는 장측판(3, 5)에 구비된 반발 돌기(19)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록킹 홈(17)은 록킹 부재(15)의 선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이 선단의 대향측 각 단측판(7, 9)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록킹 홈(17)과 록킹 부재(15)의 선단이 결합되면, 한 쌍의 장측판(3, 5)과 한 쌍의 단측판(7, 9)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프닝 상태는 견고히 유지된다.
이 때, 수직 미만 상태로 오프닝 되는 단측판(7, 9)은 자체의 폴딩 작용력에도 불구하고 장측판(3, 5)의 장측 방향으로 척력을 받아서 장측판(3, 5)의 장측 방향 길이 만큼 오프닝 된다(도 2 참조).
상기와 같이 오프닝 된 한 쌍의 장측판(3, 5)과 한 쌍의 단측판(7, 9)은 양측에 구비된 록킹 부재(15)를 조작하여 오프닝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장측판(3, 5)을 폴딩시키는 조작만으로 상호 폴딩 된다(도 3, 4 참조).
이와 같이 오프닝 잠금부(A)의 오프닝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폴딩 된 상태에서, 상기 폴딩 잠금부(B)는 단측판(7, 9)을 하판(1)의 장측 저단에 고정시켜 폴딩 상태를 견고히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폴딩 잠금부(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측에 구비되는 걸림 돌기(21)와 이 걸림 돌기(21)에 대향하는 단측판(7, 9)측에 구비되는 간극(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21)는 하판(1) 상에 장측판(3, 5)이 폴딩 된 상태에서 하판(1)의 장측 저단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하판(1)의 장측 저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21)에 의하여 장측판(3, 5)의 오프닝/폴딩 조작이 간섭을 받지 않도록 걸림 돌기(21)에 대향하는 장측판(3, 5)에는 회피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21)는 장측 방향의 내측에서 양단으로 가면서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21)의 경사면은 상기 단측판(7, 9)에 형성되는 간극(23)과 결합되면서 단측판(7, 9)을 장측 방향으로 밀면서 간극(23)을 유도하여 간극(23)이 형성된 단측판(7, 9)의 폴딩 조작을 자연스럽게 하고, 아울러 상기 척력에 의하여 단측판(7, 9)의 폴딩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한다.
이 간극(23)은 상기와 같이 폴딩 상태가 견고하게 될 수 있도록 걸림 돌기(21)에 대향하는 단측판(7, 9)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접철식 운반 상자는 하판의 장측 저단에 장측판을 선회 가능 구조로 장착하고, 하판의 단측 고단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단측판을 선회 가능구조로 장착하며, 장측판과 단측판의 대향측에 오프닝 잠금부를 구비하고, 하판과 단측판의 대향측에 폴딩 잠금부를 구비함으로서, 오프닝 잠금부를 조작하면서 장측판을 오프닝 하는 조작으로 상자의 오프닝 상태를 완료하고, 오프닝 잠금부를 조작하면서 장측판을 폴딩 하는 조작으로 상자의 폴딩 상태를 완료하므로 오프닝/폴딩 조작을 편리하게 하며, 이 폴딩 상태에서 폴딩 잠금부가 단측판을 하판에 결합시킴으로서 폴딩 잠금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다.

Claims (4)

  1. 대향하는 장측에 저단을 형성하고, 이 저단의 양측에 대향하는 단측 고단을 형성하며, 이 단측 고단의 상면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장측 저단에서 수직 상태로 오프닝 되고 수평 상태로 폴딩 가능하도록 하판의 장측 저단에 선회 가능 구조로 대향 장착되며, 그 양측에 다수의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장측판,
    상기 한 쌍의 장측판이 장착된 하판의 경사진 단측 고단에서 수직 미만의 상태로 오프닝 되고, 폴딩 된 장측판 상에 수평 상태의 폴딩이 가능하도록 단측 고단에 선회 가능한 구조로 대향 장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도록 그 양측에 다수의 결합 홈을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단측판,
    상기 장측판에서 탄성적으로 전 후진되면서 단측판에 결합되어 오프닝 상태를 잠그는 오프닝 잠금부, 및
    상기 오프닝 잠금부가 잠금 해제된 폴딩 상태에서 단측판을 하판의 장측 저단에 고정시켜 폴딩 상태를 잠그는 폴딩 잠금부를 포함하는 접철식 운반 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단측 고단의 상면은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은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운반 상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 잠금부는 각 장측판에서 장측 방향 양단으로 전후진 하도록 장측판에 슬라이드 구조로 장착되는 록킹 부재, 및
    상기 록킹 부재의 선단을 각 장측판의 장측 방향 양단에서 오프닝 되는 단측판에 결합시키도록 오프닝 상태에서 록킹 부재의 선단 대향측 단측판에 구비되는 록킹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운반 상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잠금부는 하판 상에 장측판이 폴딩 된 상태에서 하판의 장측 저단의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하판의 장측 저단에 형성되고, 장측 방향 양단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걸림 돌기, 및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도록 걸림 돌기에 대향하는 단측판의 내측에 구비된 간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운반 상자.
KR20-2003-0031880U 2003-10-10 2003-10-10 접철식 운반 상자 KR200339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880U KR200339392Y1 (ko) 2003-10-10 2003-10-10 접철식 운반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880U KR200339392Y1 (ko) 2003-10-10 2003-10-10 접철식 운반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392Y1 true KR200339392Y1 (ko) 2004-01-24

Family

ID=4934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880U KR200339392Y1 (ko) 2003-10-10 2003-10-10 접철식 운반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39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12Y1 (ko) 2008-11-14 2011-01-13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절첩상자
WO2017086503A1 (ko) * 2015-11-17 2017-05-26 인팩글로벌(주) 접이식 상자
KR102159968B1 (ko) * 2019-06-28 2020-09-25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KR200494137Y1 (ko) * 2021-02-18 2021-08-09 현기훈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KR20220107512A (ko) * 2021-01-25 2022-08-02 하성아 조립식 슬라이드 수납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12Y1 (ko) 2008-11-14 2011-01-13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절첩상자
WO2017086503A1 (ko) * 2015-11-17 2017-05-26 인팩글로벌(주) 접이식 상자
KR101831840B1 (ko) 2015-11-17 2018-02-23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접이식 상자
KR102159968B1 (ko) * 2019-06-28 2020-09-25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KR20220107512A (ko) * 2021-01-25 2022-08-02 하성아 조립식 슬라이드 수납함
KR102503482B1 (ko) 2021-01-25 2023-02-24 하성아 조립식 슬라이드 수납함
KR200494137Y1 (ko) * 2021-02-18 2021-08-09 현기훈 가변형 벌크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489B2 (en) Portable storage device
US6843386B2 (en) Biased latch hinge
US7556165B2 (en) Collapsible box
US8069533B2 (en) Coupling device for a baby crib frame structure
US9883724B2 (en) Storage insert for travel suitcase
AU2004220107B2 (en) Collapsible container
ES2692330T3 (es) Contenedor plegable
BR112017012490B1 (pt) Maleta para o transporte de carga, arranjo e processo para a manipulação de uma maleta
US7077445B2 (en) Dual lever locking hook
AU2018252625A1 (en) Folding box
KR200339392Y1 (ko) 접철식 운반 상자
US7032765B2 (en) Container with over center corner latches
JP2007161258A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KR20020062714A (ko) 접철식 운반상자
KR101358789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JP2002068187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CN219447618U (zh) 可折叠容器
KR101698127B1 (ko) 절첩식 상자의 커버 구조
CA2330996C (en) Biased latch hinge
JPH1114752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CN116216039A (zh) 可折叠容器
CN216581579U (zh) 收纳箱模块
US20080169284A1 (en) Storage container
JP200237073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H10297630A (ja) 折畳み式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