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840B1 - 접이식 상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840B1
KR101831840B1 KR1020160057423A KR20160057423A KR101831840B1 KR 101831840 B1 KR101831840 B1 KR 101831840B1 KR 1020160057423 A KR1020160057423 A KR 1020160057423A KR 20160057423 A KR20160057423 A KR 20160057423A KR 101831840 B1 KR101831840 B1 KR 10183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astening
support
guid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817A (ko
Inventor
박영석
Original Assignee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83,92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137175A1/en
Priority to JP2016218334A priority patent/JP2017095177A/ja
Priority to CN201610982337.6A priority patent/CN106809467A/zh
Publication of KR2017005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3/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는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부에서 각각 직립되어 있으며 상부 모서리에 복수개의 측면 프레임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좌측 지지대 및 우측 지지대, 그리고, 상기 밑판의 전면 및 후면 모서리부에서 각각 직립되어 있으며 상부 모서리에 복수개의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전면 지지대 및 후면 지지대를 갖는 밑판 프레임, 제1 측판 및 상기 제1 측판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제1 상부 외곽 프레임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지지대 체결 부재를 갖는 제1 하부 외곽 프레임부, 그리고,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가 구비된 제1 측면 외곽 프레임부를 각각 갖는 좌측면 프레임 및 우측면 프레임, 그리고, 제2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제2 상부 외곽 프레임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 지지대 체결 부재를 갖는 제2 하부 외곽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 체결 돌기를 수용 결합하는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 결합공이 구비된 제2 측면 외곽 프레임부를 각각 갖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상자{FOLDING BOX}
본 발명은 접이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을 수용하는 상자로써, 물품이나 부품을 수용하지 않는 경우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켜 적층 보관 또는 운반이 가능한 접이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류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물품의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한 포장 상자가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그에 따라 회수 비용 절감과 재사용이 가능한 포장 상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접이식 상자는 물품의 보관 또는 운반을 마치고 상자를 회수하는 경우 부피를 줄임으로써 회수 및 보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접이식 상자에 관한 종래 기술들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KR 20-0148319호의 "전개가 용이한 포장용 상자"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0-1265724호의 "접이식 포장상자"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들은 밑판과 상기 밑판의 가장 자리 끝단부에 체결되는 전후면판과 측면판으로 구성된 접이식 상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자를 회수할 경우에는 밑판, 전후면판 및 측면판을 완전 분리하거나 평판 형태로 전개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자 본연의 내구성 및 중량이 있는 액체류를 수용할 경우에는 포장 상자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조립과 분리에 많은 공정 또는 시간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조립과 분리의 용이성을 개선하고, 전후면판과 측면판의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0-1427699호의 "화물 운송용 접이식 포장박스"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10-2013-0119344호의 "재사용 포장박스"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개선된 종래기술들 또한 상자를 회수할 경우에 밑판과 측면판을 상호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 및 부재를 이용하여 밴드로 체결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KR 20-0148319 (Y1) '전개가 용이한 포장용 상자' 2. KR 10-1265724 (B1) '접이식 포장상자' 3. KR 10-1427699 (B1) '화물 운송용 접이식 포장박스' 4. KR 10-2013-0119344 (A) '재사용 포장박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자를 회수할 경우 밑판과 측면판을 분리하지 않고 상자를 손쉽게 접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물품의 운반 및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자 형태로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재조립이 가능한 접이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자의 조립시 밑판과 측면판들 간에 견고한 고정 지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상자의 견고성을 확보하여 다양한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튼튼한 접이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는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부에서 각각 직립되어 있으며 상부 모서리에 복수개의 측면 프레임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좌측 지지대 및 우측 지지대, 그리고, 상기 밑판의 전면 및 후면 모서리부에서 각각 직립되어 있으며 상부 모서리에 복수개의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전면 지지대 및 후면 지지대를 갖는 밑판 프레임, 제1 측판 및 상기 제1 측판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제1 상부 외곽 프레임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지지대 체결 부재를 갖는 제1 하부 외곽 프레임부, 그리고,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가 구비된 제1 측면 외곽 프레임부를 각각 갖는 좌측면 프레임 및 우측면 프레임, 그리고, 제2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제2 상부 외곽 프레임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 지지대 체결 부재를 갖는 제2 하부 외곽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 체결 돌기를 수용 결합하는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 결합공이 구비된 제2 측면 외곽 프레임부를 각각 갖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 체결부는 각각 한 쌍의 제1 체결 돌기 수평 걸림턱, 제1 체결 돌기 수직 걸림턱 및 제1 체결 돌기 체결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는 각각 한 쌍의 제2 체결 돌기 수평 걸림턱, 제2 체결 돌기 수직 걸림턱 및 제2 체결 돌기 체결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지지대 체결 부재는 한 쌍의 제1 지지대 체결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대 체결 부재는 한 쌍의 제2 지지대 체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는 지지대 고정 돌기 결합공 및 체결부 지지 돌기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지지대 체결 부재는 상기 지지대 고정 돌기 결합공에 수용 결합되는 지지대 고정 돌기 및 상기 체결부 지지 돌기를 수용 결합하는 체결부 지지 돌기 결합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지지대 및 상기 후면 지지대는 각각 상부 모서리에 마련된 복수개의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 프레임 및 상기 후면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에 회동을 통해 직립 수용되어 지지되는 가이드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는 가이드 지지 돌기 수용홈, 한쌍의 측방 확장부 고정단 및 가이드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지지 돌기는 외부로 확장된 한 쌍의 측방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외곽 프레임부는 수평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2개의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부가 대응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부에 탄성적으로 수용되어 추가적으로 상기 좌측면 프레임 및 우측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을 상호 고정 결합하는 프레임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고정 부재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일단에 마련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전단에 형성된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전단에 형성된 스토퍼 및 상기 고정바의 타단에 마련된 고정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외곽 프레임부는 고정단 관통공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 고정 부재를 수용하는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홈, 고정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 리브, 손잡이부 걸림턱 및 스토퍼 걸림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 외곽 프레임부는 상기 고정단을 수용 결합하는 고정단 결합공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에 의하면, 상자 회수시 밑판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며 분리가 어려운 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호 이탈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부피를 최소화하여 적층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에 의하면,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 지지대 체결 부재와 프레임 체결 돌기를 이용하여 전후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을 밑판 프레임에 대해 용이하게 접거나 펼쳐서 고정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에 의하면, 지지대 체결 부재 이외에 가이드 지지 돌기 및 프레임 고정 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밑판 프레임, 측면 프레임 및 전후면 프레임을 상호 복수적으로 고정 결합하여 지지를 함으로써, 물품의 보관 또는 운반시 가해지는 다양한 외부 충격이나 하중에도 파손 또는 분리되지 않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일 요부인 측면 프레임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일 요부인 프레임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일 요부인 전후면 프레임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의 도 1의 'A' 영역인 측면 프레임 체결부의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의 측면 프레임 체결부에 체결된 측면 프레임을 펼친 상태도 및 접은 상태도,
도 11은 도 1의 'B' 영역인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의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에 체결된 전후면 프레임을 펼친 상태도,
도 13은 도 12의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에 체결된 전후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15는 도 1의 'C' 영역인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의 확대도,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도 15의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에 가이드된 후 지지된 가이드 지지 돌기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E-E'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9 및 도 20은 각각 프레임 고정 부재의 탄성부에 탄성력을 부가한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요부 사시도 및 요부 정면도,
도 21 및 도 22는 각각 프레임 고정 부재의 탄성부에 부여된 탄성력을 제거하면서 측면 프레임과 전후면 프레임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요부 사시도 및 요부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회수를 위한 부피 축소를 위해 밑판 프레임 위에 우측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4는 도 23의 우측면 프레임 위에 좌측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5는 도 24의 좌측면 프레임 위에 전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6은 도 25의 좌측면 프레임 위에 후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펼친 상태에서 적층시킨 상태도, 그리고,
도 2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접은 상태에서 적층시킨 상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도면인 사시도, 정면도, 확대도, 상태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28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구성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그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일 요부인 측면 프레임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일 요부인 프레임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일 요부인 전후면 프레임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의 도 1의 'A' 영역인 측면 프레임 체결부의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의 측면 프레임 체결부에 체결된 측면 프레임을 펼친 상태도 및 접은 상태도, 도 11은 도 1의 'B' 영역인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의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에 체결된 전후면 프레임을 펼친 상태도, 도 13은 도 12의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에 체결된 전후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15는 도 1의 'C' 영역인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의 확대도,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도 15의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에 가이드된 후 지지된 가이드 지지 돌기의 사시도 및 정면도, 그리고, 도 18은 도 17의 E-E'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1)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써, 밑판 프레임(100), 좌측면 프레임(200), 우측면 프레임(201), 전면 프레임(300), 후면 프레임(301) 및 프레임 고정 부재(500)를 포함한다.
밑판 프레임(100)은 밑판(110) 및 밑판(110)의 네 모서리부로부터 각각 수직방향으로 직립 돌출된 지지대(120)를 포함한다.
밑판(110)은 강도가 있는 합성 수지 수재로 마련되며, 디자인적 요소 및 경량화를 위한 특정 패턴의 절개공(112)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이다. 밑판(110)은 강도 보강을 위해 후술할 좌우측면 프레임(200, 201) 및 전후면 프레임(300, 301)의 외곽 프레임부(210, 230, 310, 330), 메인 지지 프레임부(250, 350) 및 보조 지지 프레임부(255, 355)와 동일한 프레임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120)도 밑판(100)과 동일한 강도가 있는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견고성과 상자 전체의 지지력 확보를 위해 바람직하다. 지지대(120)는 밑판(110)의 좌우측 모서리부에서 직립된 좌측 지지대(122) 및 우측 지지대(124) 및 좌우측 지지대(122, 124)보다 직립 높이가 높도록 전면 및 후면 모서리부에서 각각 직립된 전면 지지대(125) 및 후면 지지대(126)를 포함한다. 지지대(120)는 좌우측면 프레임(200,201) 및 전후면 프레임(300,301)을 밑판 프레임(100)에 밀착하도록 접었을 때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즉 전후면 지지대(125, 126)는 좌우측 지지대(122, 124)보다 직립 높이가 높도록 마련되어 전후면 프레임(300, 301)이 접혀진 좌우측면 프레임(200, 201) 위에 상호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덮으면서 포개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와 달리 좌우측 지지대(122, 124)를 전후면 지지대(125, 126)보다 직립 높이를 높게 하여 전후면 프레임(300, 301)을 먼저 밑판 프레임(100) 위에 접여서 포갠 후, 좌우측면 프레임(200, 201)을 전후면 프레임(300, 301) 위에 접여서 포갤 수 도 있다.
좌측 지지대(122) 및 우측 지지대(124)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부 모서리에 복수개의 측면 프레임 체결부(123)가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측면 프레임 체결부(123)는 각각 좌우 한 쌍의 체결 돌기 수평 걸림턱(123a), 체결 돌기 수직 걸림턱(123b) 및 체결 돌기 체결홈(123c)이 마련되어 있다.
체결 돌기 체결홈(123c)은 측면 프레임 체결부(123)의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해 각각 소정 예각(θ1,θ2)이 되도록 사선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전면 지지대(122) 및 후면 지지대(124)의 각 상부 모서리에는 복수개의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127) 및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128)가 각각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127)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좌우 한 쌍의 체결 돌기 수평 걸림턱(127a), 체결 돌기 수직 걸림턱(127b) 및 체결 돌기 체결홈(127c)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지지대 고정 돌기 결합공(127d) 및 중앙 상부에 체결부 지지 돌기(127e)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 돌기 체결홈(127c)도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127)의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해 각각 소정 예각이 되도록 사선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128)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지지 돌기 수용홈(128a), 좌우 한 쌍의 측방 확장부 고정단(128b) 및 가이드단(128c)을 포함한다.
가이드 지지 돌기 수용홈(128a)은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펼친 상태로 전환하는 전면 프레임(300) 및 후면 프레임(301)의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지지 돌기(380)를 가이드단(128c)을 통해 슬라이딩 수용 결합한다. 수용 결합시 가이드 지지 돌기 수용홈(128a)을 향해 내측으로 확장된 측방 확장부 고정단(128b)이 가이드 지지 돌기(380)의 양 측 외부로 확장된 측방 확장부(382)와 탄성적으로 접촉 결합을 하게 된다.
좌측면 프레임(200)과 우측면 프레임(20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260)과 측판(260)의 네 모서리부에 상부 외곽 프레임부(210), 하부 외곽 프레임부(230) 및 측면 외곽 프레임부(24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좌측면 프레임(200)과 우측면 프레임(201)은 내부에 강도 및 지지력 보강을 위한 가로 지지 프레임부(252)와 세로 지지 프레임부(254)를 갖는 메인 지지 프레임부(250) 및 가로 지지 프레임부(252)와 세로 지지 프레임부(254)에 각각 사선 방향으로 연결된 보조 지지 프레임부(255)가 마련되어 측판(260)의 더욱 견고히 지지하고 있다.
측판(260)은 강도가 있는 합성 수지 수재로 마련되며, 디자인적 요소 및 경량화를 위한 특정 패턴의 절개공(26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각 프레임부(210, 230, 240, 250, 255)도 측판(260)과 동일한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제조의 편의성 및 강도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상부 외곽 프레임부(210)는 수평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2개의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부(220)가 대응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부(220)는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홈(222)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 고정바 통과공(225)이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수용 리브(224), 손잡이부 걸림턱(226) 및 스토퍼 걸림공(228)을 포함하고 있다.
하부 외곽 프레임부(230)에는 하부를 향해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대 체결 부재(270)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대 체결 부재(270)는 하부 외곽 프레임부(23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대 체결 돌기(272)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대 체결 돌기(272)는 측면 프레임 체결부(123)의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해 각각 소정 예각(θ1,θ2)이 되도록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 돌기 체결홈(123c)을 따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측면 프레임 체결부(123)에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면 지지대 체결 부재(270)와 좌측 지지대(122) 및 우측 지지대(124) 간 결합이 완료되게 되게 된다. 따라서, 측면 프레임(200, 201)이 밑판 프레임(10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을 하게 되어 도 9 및 도 10과 같이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좌측면 프레임(200) 및 우측면 프레임(201)이 밑판 프레임(100)에 대해 펼친 상태나 접은 상태인 경우 체결 돌기 수직 걸림턱(123b) 및 체결 돌기 수평 걸림턱(123a)에 각각 걸리어 고정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대 체결 돌기(272)가 측면 프레임 체결부(12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면 외곽 프레임부(240)는 상부 일부에 측판(260)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단 관통공(2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판(260)에 대해 내부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242)가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 프레임(300)과 후면 프레임(30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360)과 측판(360)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상부 외곽 프레임부(310), 하부 외곽 프레임부(330) 및 측면 외곽 프레임부(34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면 프레임(300)과 후면 프레임(301)은 내부에 강도 및 지지력 보강을 위한 가로 지지 프레임부(352)와 세로 지지 프레임부(354)를 갖는 메인 지지 프레임부(350) 및 가로 지지 프레임부(352)와 세로 지지 프레임부(354)에 각각 사선 방향으로 연결된 보조 지지 프레임부(355)가 마련되어 있어 측판(360)의 더욱 견고히 지지하고 있다.
측판(360)은 강도가 있는 합성 수지 수재로 마련되며, 디자인적 요소 및 경량화를 위한 특정 패턴의 절개공(362)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프레임부(310, 330, 340, 350, 355)도 측판(360)과 동일한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외곽 프레임부(310)는 접이식 상자를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390)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외곽 프레임부(330)에는 하부를 향해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대 체결 부재(370) 및 가이드 지지 돌기(380)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대 체결 부재(370)는 하부 외곽 프레임부(33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대 체결 돌기(372) 및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대 고정 돌기(374) 및 후방에서 함몰된 체결부 지지 돌기 결합공(376)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대 체결 돌기(372)는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127)의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해 각각 소정 예각이 되도록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 돌기 체결홈(127c)을 따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127)에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를 통해 지지대 체결 부재(370)와 전측 지지대(125) 및 후면 지지대(125)가 결합이 완료되게 되게 된다. 따라서, 전후면 프레임(300, 301)이 밑판 프레임(10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을 하게 되어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이 펼쳐 지거나 접힐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전면 프레임(300) 및 후면 프레임(301)이 밑판 프레임(100)에 대해 펼친 상태나 접힌 상태인 경우 체결 돌기 수직 걸림턱(127b) 및 체결 돌기 수평 걸림턱(127a)에 각각 걸리어 고정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대 체결 돌기(372)가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12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대 고정 돌기(374)는 전면 프레임(300) 및 후면 프레임(301)이 밑판 프레임(100)에 대해 수직으로 직립된 펼친 상태가 되면 지지대 고정 돌기 결합공(127d)에 수용 결합된다. 이때, 체결부 지지 돌기 결합공(376)은 체결부 지지 돌기(127e)를 수용 결합한다. 이 두 가지의 추가 수용 결합에 의해 펼친 상태에 있는 전면 프레임(300)과 후면 프레임(301)은 각각 전면 지지대(125) 및 후면 지지대(126)에 직립된 상태로 더욱 견고히 고정 지지되게 된다.
측면 외곽 프레임부(340)는 측판(360)과 평행한 방향으로 프레임 체결 돌기(242)를 수용 결합하는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 결합공(342)이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판(360)에 대해 내부 수직 방향으로 고정단 결합공(34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프레임 체결 돌기(242)와 프레임 체결 돌기 결합공(342)은 상호 위치를 치환하여 각각 전후면 프레임(300, 301) 및 좌우측면 프레임(200, 201)에 구비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가이드 지지 돌기(380)는 양측 외부로 확장된 측방 확장부(382)를 포함한다.가이드 지지 돌기(380)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펼친 상태로 전환하는 전면 프레임(300) 및 후면 프레임(301)을 따라 가이드단(128c)을 통해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128)에 슬라이딩 수용 결합한다. 수용 결합시 측방 확장부(382)가 가이드 지지 돌기 수용홈(128a)을 향해 내측으로 확장된 측방 확장부 고정단(128b)과 탄성적으로 접촉 결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128)에 의해 전면 프레임(300) 및 후면 프레임(301)은 펼친 상태에서 각각 전면 지지대(125) 및 후면 지지대(126)에 직립된 상태로 더욱 견고히 고정 지지되게 된다.
프레임 고정 부재(5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고정바(505), 고정바(505)의 일단에 마련된 손잡이부(510), 손잡이부(510)의 전단에 형성된 한 쌍의 탄성부(520), 탄성부(520)의 전단에 형성된 가이드부(550), 가이드부(550)의 전단에 형성된 스토퍼(530) 및 고정바(505)의 타단에 마련된 고정단(540)을 포함한다.
프레임 고정 부재(500)는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부(220)에 수용 결합되어 있다. 수용 결합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프레임 고정 부재(500)를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홈(222)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고정단(540)부터 2개의 수용 리브(2240)에 각각 형성된 프레임 고정바 통과공(225)을 차례로 통과시킨 다음 스토퍼 걸림공(228)에 스토퍼(530)의 전단이 걸릴 때까지 전진시킨다. 스토퍼(530)의 전단이 스토퍼 걸림공(228)에 걸리면 고정단(540)은 후술할 고정단 관통공(246)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되며, 가이드부(550) 및 탄성부(520)는 각각 2개의 수용 리브에 각각 마련된 프레임 고정바 통과공(225)에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손잡이부(510)는 손잡이부 걸림턱(226)과 소정 이격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된다.
탄성부(520)는 고정바(505)의 위아래 일단으로부터 고정단(540) 방향을 향해 한 쌍이 타원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탄성부(520)는 손잡이부(510)를 잡아당겨 고정바(505)가 뒤로 후퇴하여 손잡이부(510)가 손잡이부 걸림턱(226)에 걸리면 프레임 고정바 통과공(225)의 위아래 수용 리브(224) 부분에 각각 걸려 수직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원래 모양으로 팽창하려는 탄성력을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510)를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고정단(540) 방향으로 스토퍼(530)가 스토퍼 걸림공(228)에 걸려 멈출 때까지 고정바(505)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탄성부(520)는 고정바(505)의 위아래 일단으로부터 고정단(540) 방향에 대해 소정 예각으로 연장된 직선 바 형태이거나 타원 대신 원형 형태로 연장 돌출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가이드부(550)는 고정바(505)의 전후진 시 고정바 통과공(225)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바(505)의 전체 이동을 가이드한다.
고정단(540)은 고정바(505)의 후진에 의해 고정단 관통공(246) 내로 수축되었다가 고정바(505)의 전진에 의해 고정단 관통공(246)으로부터 돌출되면서 고정단 결합공(345)에 결합되게 된다. 이를 통해 측면 프레임(200,201)과 전후면 프레임(300, 301) 간 펼친 상태에서의 상호 고정 지지력을 더욱 증대시키게 된다.
고정단(540)은 고정단 결합공(345)에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해 고정바(505)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으로 종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1)의 사용 방법을 도 19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은 각각 프레임 고정 부재의 탄성부에 탄성력을 부가한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요부 사시도 및 요부 정면도, 도 21 및 도 22는 각각 프레임 고정 부재의 탄성부에 부여된 탄성력을 제거하면서 측면 프레임과 전후면 프레임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요부 사시도 및 요부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회수를 위한 부피 축소를 위해 밑판 프레임 위에 우측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4는 도 23의 우측면 프레임 위에 좌측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5는 도 24의 좌측면 프레임 위에 전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6은 도 25의 좌측면 프레임 위에 후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펼친 상태에서 적층시킨 상태도, 그리고, 도 2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접은 상태에서 적층시킨 상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각각 프레임 고정 부재의 탄성부에 탄성력을 부가한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요부 사시도 및 요부 정면도, 도 21 및 도 22는 각각 프레임 고정 부재의 탄성부에 부여된 탄성력을 제거하면서 측면 프레임과 전후면 프레임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요부 사시도 및 요부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회수를 위한 부피 축소를 위해 우측면 밑판 프레임 위에 우측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4는 도 23의 우측면 프레임 위에 좌측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5는 도 24의 좌측면 프레임 위에 전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6은 도 25의 좌측면 프레임 위에 후면 프레임을 접은 상태도, 도 2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펼친 상태에서 적층시킨 상태도, 그리고, 도 2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접은 상태에서 적층시킨 상태도이다.
도 26과 같이 접혀진 본 발명의 한 실싱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1)를 물품의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해 펼치기 위해서는 우선 도 12와 같이 전후면 지지대(125, 126)로부터 지지대 체결 부재(370)를 회동시켜 전후면 프레임(300, 301)을 직립시킨다. 그런 다음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의 측면 프레임(200, 201)을 도 9와 같이 지지대 체결 부재(270)를 회동시켜 좌측 지지대(122) 및 우측 지지대(124)로부터 측면 프레임(200, 201)을 서서히 직립시킨다. 이때 손가락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점선 직선 화살표 방향과 같이 마주한 양 손잡이부(510)가 접근하도록 서로 잡아 당기면 고정단(540)이 고정단 관통공(246) 내로 수축되게 된다. 이후 측면 프레임(200, 201)의 직립이 완성되면 프레임 체결 돌기(242)가 프레임 체결 돌기 결합공(342)에 수용되면서 측면 프레임(200, 201)과 전후면 프레임(300, 301) 간 펼침 상태에서의 1차 고정 결합력이 생기게 된다. 그런 다음 도 21 및 도 22와 같이 손잡이부(51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520)의 탄성력에 의해 프레임 고정 부재(500)가 실선 직선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고정단(540)이 고정단 결합공(345)에 수용 결합되면서 측면 프레임(200, 201)과 전후면 프레임(300, 301) 간 펼침 상태에서의 추가적인 2차 고정 결합력이 생기게 된다.
펼쳐진 접이식 상자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양 손잡이부(510)가 접근하도록 잡아 당기면 고정단(540)이 고정단 관통공(246) 내로 수축되므로 회동을 통해 측면 프레임(200, 201)을 도 23 및 도 24와 같이 각각 밑판 프레임(100) 위에 순서대로 접은 후 다시 도 25 및 도 26과 같이 회동을 통해 접혀진 측면 프레임(200, 201) 위에 전후면 프레임(300, 301)을 접으면 된다.
한편,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가 각각 펼친 상태 및 접은 상태에서 각각 적층 보관이 가능하므로 협소 공간에서도 보관 및 운반의 편리성이 담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1)에서는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128) 및 프레임 고정 부재(500)를 구비하였으나 프레임 체결 돌기(242)와 프레임 체결 돌기 결합공(342) 간의 고정 결합력이 소정 이상인 일정 조건에서는 선택적으로 생략하고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접이식 상자는 운반 또는 보관이 요구되는 다양한 물건이나 부품을 손쉽게 안전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보관이 끝난 경우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켜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하여 다양한 물품 또는 부품 적재 산업 분야에 널리 적용하여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0: 밑판 프레임 110: 밑판
112, 262, 362: 절개공 120: 지지대
122: 좌측 지지대 123: 측면 프레임 체결부
123a, 127a: 체결 돌기 수평 걸림턱 123b, 127b: 체결 돌기 수직 걸림턱
123c, 127c : 체결 돌기 체결홈
124: 우측 지지대 125: 전면 지지대
126: 후면 지지대 127: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
127d: 지지대 고정 돌기 결합공 127e: 체결부 지지 돌기
128: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 128a: 가이드 지지 돌기 수용홈
128b: 측방 확장부 고정단 128c: 가이드단
200: 좌측면 프레임 201: 우측면 프레임
210, 310: 상부 외곽 프레임부 220: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부
222: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홈 224: 수용 리브
225: 고정바 통과공 226: 손잡이부 걸림턱
228: 스토퍼 걸림공 230, 330: 하부 외곽 프레임부
240, 340: 측면 외곽 프레임부 242: 프레임 체결 돌기
246: 고정단 관통공 250, 350: 메인 지지 프레임부
252, 352: 가로 지지 프레임부 254, 354: 세로 지지 프레임부
255, 355: 보조 지지 프레임부 260, 360: 측판
270, 370: 지지대 체결 부재 272, 372: 지지대 체결 돌기
300: 전면 프레임 301: 후면 프레임
342: 프레임 체결 돌기 결합공 345: 고정단 결합공
374 : 지지대 고정 돌기 376: 체결부 지지 돌기 결합공
380 : 가이드 지지 돌기 382: 측방 확장부
390 : 손잡이
500: 프레임 고정 부재 505: 고정바
510: 손잡이부 520: 탄성부 530: 스토퍼 550: 가이드부
540: 고정단

Claims (7)

  1.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부에서 각각 직립되어 있으며 상부 모서리에 복수개의 측면 프레임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좌측 지지대 및 우측 지지대, 그리고, 상기 밑판의 전면 및 후면 모서리부에서 각각 직립되어 있으며 상부 모서리에 복수개의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전면 지지대 및 후면 지지대를 갖는 밑판 프레임,
    제1 측판 및 상기 제1 측판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제1 상부 외곽 프레임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지지대 체결 부재를 갖는 제1 하부 외곽 프레임부, 그리고,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가 구비된 제1 측면 외곽 프레임부를 각각 갖는 좌측면 프레임 및 우측면 프레임, 그리고,
    제2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제2 상부 외곽 프레임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 지지대 체결 부재를 갖는 제2 하부 외곽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 체결 돌기를 수용 결합하는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 결합공이 구비된 제2 측면 외곽 프레임부를 각각 갖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 체결부는
    각각 한 쌍의 제1 체결 돌기 수평 걸림턱, 제1 체결 돌기 수직 걸림턱 및 제1 체결 돌기 체결홈
    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는
    각각 한 쌍의 제2 체결 돌기 수평 걸림턱, 제2 체결 돌기 수직 걸림턱 및 제2 체결 돌기 체결홈
    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지지대 체결 부재는
    한 쌍의 제1 지지대 체결 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대 체결 부재는
    한 쌍의 제2 지지대 체결 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는
    지지대 고정 돌기 결합공 및 체결부 지지 돌기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지지대 체결 부재는 상기 지지대 고정 돌기 결합공에 수용 결합되는 지지대 고정 돌기 및 상기 체결부 지지 돌기를 수용 결합하는 체결부 지지 돌기 결합공
    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전면 지지대 및 상기 후면 지지대는
    각각 상부 모서리에 마련된 복수개의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 프레임 및 상기 후면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에 회동을 통해 직립 수용되어 지지되는 가이드 지지 돌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후면 프레임 가이드 지지부는
    가이드 지지 돌기 수용홈, 한쌍의 측방 확장부 고정단 및 가이드단
    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지지 돌기는
    외부로 확장된 한 쌍의 측방 확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지지 돌기 수용홈은 접은 상태에서 펼친 상태로 전환하는 상기 전면 프레임 및 상기 후면 프레임의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가이드 지지 돌기를 상기 가이드단을 통해 슬라이딩 수용 결합하며,
    상기 수용 결합시 상기 가이드 지지 돌기 수용홈을 향해 내측으로 확장된 상기 한 쌍의 측방 확장부 고정단이 상기 가이드 지지 돌기의 양 측 외부로 확장된 상기 한 쌍의 측방 확장부와 탄성적으로 접촉 결합을 하게 되는
    접이식 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제1 상부 외곽 프레임부는
    수평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2개의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부가 대응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부에 탄성적으로 수용되어 추가적으로 상기 좌측면 프레임 및 우측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을 상호 고정 결합하는
    프레임 고정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상자.
  7. 제6항에서,
    상기 프레임 고정 부재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일단에 마련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전단에 형성된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전단에 형성된 스토퍼 및 상기 고정바의 타단에 마련된 고정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외곽 프레임부는
    고정단 관통공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 고정 부재를 수용하는 프레임 고정 부재 수용홈, 고정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 리브, 손잡이부 걸림턱 및 스토퍼 걸림공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 외곽 프레임부는
    상기 고정단을 수용 결합하는 고정단 결합공이 더 구비되어 있는
    접이식 상자.
KR1020160057423A 2015-11-17 2016-05-11 접이식 상자 KR101831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83,921 US20170137175A1 (en) 2015-11-17 2016-06-16 Folding container
JP2016218334A JP2017095177A (ja) 2015-11-17 2016-11-08 折り畳み式箱
CN201610982337.6A CN106809467A (zh) 2015-11-17 2016-11-08 折叠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429 2015-11-17
KR20150161429 2015-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817A KR20170057817A (ko) 2017-05-25
KR101831840B1 true KR101831840B1 (ko) 2018-02-23

Family

ID=5871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423A KR101831840B1 (ko) 2015-11-17 2016-05-11 접이식 상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31840B1 (ko)
CN (1) CN106809467A (ko)
WO (1) WO201708650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648B1 (ko) 2021-10-22 2022-03-24 주식회사 레마 양측 개별 확장구조를 갖는 수납용 폴딩박스
KR20220107512A (ko) * 2021-01-25 2022-08-02 하성아 조립식 슬라이드 수납함
KR20220163148A (ko) 2021-06-02 2022-12-09 박예원 폴딩박스에 적용되는 컵홀더용 덮개
KR102505455B1 (ko) 2022-06-17 2023-03-06 (주)케이엠피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KR20230095232A (ko)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레마 폴딩박스에 대한 사용성 확장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7460A (zh) * 2019-06-12 2019-09-10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物流筐
CN110254896A (zh) * 2019-07-22 2019-09-20 常熟市发东塑业有限公司 敞口式周转折叠箱
KR102080325B1 (ko) * 2019-07-26 2020-02-21 (주)케이엠피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KR102408058B1 (ko) * 2020-08-21 2022-06-13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CN114033045A (zh) * 2021-11-19 2022-02-11 三东筑工(德州)有限公司 一种紧急救援用装配式建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031Y1 (ko) * 1999-07-19 2000-02-15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조립이간편한절첩식상자
KR200339392Y1 (ko) 2003-10-10 2004-01-24 주식회사 칼스로지스틱 접철식 운반 상자
KR100480197B1 (ko) 2002-07-12 2005-03-31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철식 운반상자
KR200395104Y1 (ko) * 2005-06-14 2005-09-07 주식회사진양테크 접철식 상자
KR200445098Y1 (ko) 2008-08-13 2009-06-30 주식회사 다진아이앤씨 접철식 상자
KR200451812Y1 (ko) 2008-11-14 2011-01-13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절첩상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1991B (de) * 1998-11-18 2004-08-26 Steco Logistic Gmbh Behälter aus mehreren platten
JP2002337863A (ja) * 2001-05-11 2002-11-27 Sanko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733289B2 (ja) * 2001-05-15 2011-07-2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折り畳みコンテナ
JP4713768B2 (ja) * 2001-05-31 2011-06-29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パレット容器
JP4652036B2 (ja) * 2004-12-08 2011-03-16 三甲株式会社 蓋付き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942043B2 (ja) * 2007-11-28 2012-05-30 三甲株式会社 折畳コンテナー
JP5459714B2 (ja) * 2010-07-23 2014-04-02 三甲株式会社 折畳コンテナ
JP5413981B2 (ja) * 2010-07-30 2014-02-12 三甲株式会社 折畳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031Y1 (ko) * 1999-07-19 2000-02-15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조립이간편한절첩식상자
KR100480197B1 (ko) 2002-07-12 2005-03-31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철식 운반상자
KR200339392Y1 (ko) 2003-10-10 2004-01-24 주식회사 칼스로지스틱 접철식 운반 상자
KR200395104Y1 (ko) * 2005-06-14 2005-09-07 주식회사진양테크 접철식 상자
KR200445098Y1 (ko) 2008-08-13 2009-06-30 주식회사 다진아이앤씨 접철식 상자
KR200451812Y1 (ko) 2008-11-14 2011-01-13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절첩상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512A (ko) * 2021-01-25 2022-08-02 하성아 조립식 슬라이드 수납함
KR102503482B1 (ko) 2021-01-25 2023-02-24 하성아 조립식 슬라이드 수납함
KR20220163148A (ko) 2021-06-02 2022-12-09 박예원 폴딩박스에 적용되는 컵홀더용 덮개
KR102377648B1 (ko) 2021-10-22 2022-03-24 주식회사 레마 양측 개별 확장구조를 갖는 수납용 폴딩박스
KR20230095232A (ko)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레마 폴딩박스에 대한 사용성 확장유닛
KR102505455B1 (ko) 2022-06-17 2023-03-06 (주)케이엠피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817A (ko) 2017-05-25
CN106809467A (zh) 2017-06-09
WO2017086503A1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840B1 (ko) 접이식 상자
JP2017095177A (ja) 折り畳み式箱
US7195128B2 (en) Foldable transportation container
US11807414B2 (en) Collapsible crate
US20170137212A1 (e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CA2770936C (en) Extension frame for a transport box or a pallet
KR101288947B1 (ko)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
KR101358789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KR20180053920A (ko) 절첩식 상자
JP5681927B2 (ja) 運搬用容器
TWM503147U (zh) 置物箱之結構改良(二)
KR20090007636U (ko)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철식 바구니
KR101702347B1 (ko) 포장박스
KR200455143Y1 (ko) 접철 조립식 쓰레기함
EP3339205A1 (en) Folding container
US20140326718A1 (en) Foldable storage box
KR200373841Y1 (ko) 플라스틱제의 접철식 상자
CN214986755U (zh) 一种包装结构
JP3182614U (ja) 組合せ式収納箪笥
KR102074270B1 (ko) 절첩식 상자
KR200249717Y1 (ko) 절첩식 운반수레
KR200490395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적층 수납바구니
TWM594584U (zh) 置物箱之改良結構(十四)
KR200373835Y1 (ko) 플라스틱제의 접철식 상자
JPH11198936A (ja) 運搬用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