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058B1 -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 Google Patents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058B1
KR102408058B1 KR1020200105014A KR20200105014A KR102408058B1 KR 102408058 B1 KR102408058 B1 KR 102408058B1 KR 1020200105014 A KR1020200105014 A KR 1020200105014A KR 20200105014 A KR20200105014 A KR 20200105014A KR 102408058 B1 KR102408058 B1 KR 10240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fastening
hinged
rear frames
right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3364A (ko
Inventor
박예원
박영석
Original Assignee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박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박예원 filed Critical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5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0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7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all walls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to collaps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05Side walls formed with an aperture or a movable portion arranged to allow removal or insertion of con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사각판재 형상의 밑판 프레임, 상기 밑판 프레임의 양 단측변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로 기립되거나 또는 내측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후방 프레임, 상기 밑판 프레임의 양 장측변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로 기립되거나 또는 내측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는 좌우측 프레임, 상기 좌우측프레임에 장착되며 끝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후방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후방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을 상호 체결 및 분리시키는 체결장치, 상기 전후방 프레임 또는 좌우측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방향으로 개방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일면을 개방시키는 오픈패널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측면 패널의 일부분이 외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복수 개의 상자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도 물품의 출납이 용이하여 사용성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Folding Box}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물품을 수용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자의 측면패널을 절첩시켜 부피 축소가 가능하되, 측면패널이 직립된 상태에서 측면패널의 일부구간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접이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자는 실생활에서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필수적이며, 가정, 산업현장 또는 농업현장 등에서 물품 등을 수납 및 저장할 경우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상자는 편리함과 다양한 활용도로 인하여 종이, 목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된 상자가 실용화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재질 중에서 종이로 제조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나 접는 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종이 특성상 견고함이 떨어져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한편,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 종이 상자에 비해 견고하여 수명이 긴 장점이 있으나, 외형이 딱딱하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상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상자에 물품을 수납하지 않을 경우)에 상자 자체를 별도로 보관할 때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72778호 "접이식 플라스틱 운반상자"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전면패널, 후면패널,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을 바닥패널의 상면에 접을 수 있으나, 전·후면패널 및 좌·우측패널이 바닥패널에 별도로 고정 결합되지 않아 패널들이 접철된 상자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자에 수용되는 다량의 물품에 따른 하중을 잘 견디지 못해 운송하거나 사용 중에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상자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만 상자의 내부 공간부에 수용된 물품을 출납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복수 개의 상자를 적층 시키게 되면, 물품의 출납이 자유롭지 못하여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72778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소 적은 힘으로도 절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면이 외측방향으로 개방가능하게 마련되어 복수 개의 상자가 적층된 상태에서도 물품의 출납이 용이하여 사용성이 향상된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사각판재 형상의 밑판 프레임, 상기 밑판 프레임의 양 단측변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로 기립되거나 또는 내측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마련되는 전후방 프레임, 상기 밑판 프레임의 양 장측변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로 기립되거나 또는 내측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는 좌우측 프레임, 상기 좌우측프레임에 장착되며 끝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후방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후방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을 상호 체결 및 분리시키는 체결장치, 상기 전후방 프레임 또는 좌우측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방향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일면을 개방시키는 오픈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방 프레임 또는 좌우측 프레임에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에 상기 오픈패널이 장착되되, 상기 오픈패널은 하단부가 출입구의 하부측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전후방 프레임 또는 좌우측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상기 오픈패널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내측면 상단부에는 전후방 프레임 또는 좌우측 프레임과 체결 및 분리를 위한 체결장치가 장착될 수 있도록 캐비티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의 하부측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고, 출입구의 양측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장치와 대응되도록 착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구의 상부측 중앙부의 내측면에는 하부방향으로 지지리브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캐비티에 장착된 상기 체결장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측면 패널의 일부분이 외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복수 개의 상자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도 물품의 출납이 용이하여 사용성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의 (a)는 전방프레임의 내측면에서 제1 고정돌기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b)는 외측면에서 제1 고정돌기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4의 (a)는 좌측프레임의 외측면에서 제2 고정돌기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b)는 내측면에서 제2 고정돌기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가 절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1에서 하나의 오픈패널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1에서 한 쌍의 오픈패널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8의 (a)는 오픈패널의 외측면에서 체결돌기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b)는 오픈패널의 내측면에서 체결돌기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패널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1000)는 밑판 프레임(100), 전후방 프레임(210, 220), 좌우측 프레임(310, 320), 체결장치(500) 및 오픈패널(6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밑판 프레임(10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저면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판 프레임(100)의 상면 가장자리는 전후방 프레임(210,220) 및 좌우측 프레임(310,320)과의 결합을 위해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전,후단부(102) 및 좌,우측단부(103)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단부에는 다수의 전후방 프레임 체결부(110)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단부에는 다수의 좌우측 프레임 체결부(130)가 함몰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전,후단부(102)는 접이식 상자(1000)의 단측변에 해당되고, 상기 좌,우측단부(103)는 접이식 상자의 장측변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후방 프레임(210, 220)은 상기 밑판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내측방향으로 절첩되도록 마련되는 요소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전후방 프레임의 하단에는 전후방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의 제1 고정돌기(20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돌기는 상기 전후방 프레임 체결부(110)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1 고정돌기(201)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힌지 역할을 하는 힌지돌기(22)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전후방 프레임이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돌기(2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후방 프레임 체결부(110)는, 상기 제1 스토퍼돌기(24)와 대응되는 제1 스토퍼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토퍼돌기(24)는 제1 고정돌기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직사각형상의 돌기이며, 이와 대응되는 제1 스토퍼홀(112)도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전후방프레임의 양 끝단부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편에는 체결홈(20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후방 프레임(210, 220)의 양단부가 절곡됨으로써 힌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용이하게 되어 밑판 프레임(100)의 상면으로 접철이 용이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판 프레임(100)에 접철된 좌우측 프레임(310, 320)을 수용하면서 밑판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 프레임의 하단에는 복수 개의 하부돌기(204)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돌기와 대응되는 밑판 프레임(100)의 전,후단부에는 곡률홈(104)이 형성된다.
상기 곡률홈(104)은 전,후단부(102)의 내측 일부구간에만 형성되며 소정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전후방 프레임(210, 220)의 회동 동작에 간섭되지 아니하며, 전후방 프레임이 기립된 경우, 하부돌기(204)의 외측면은 곡률홈(104)의 내측면에 걸려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절곡편에는 고정구(21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202)이 절곡편의 측면에 측방으로 함몰 형성되는데 반해, 상기 고정구(212)는 절곡편의 전후방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21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 프레임(210,220)이 내측방향으로 절첩되었을 때, 상기 좌, 우측단부(103)에 형성된 고정돌기(132)에 끼움 결합되는 요소이며, 이에 따라 상기 좌우측 및 전후방 프레임은 절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좌우측 프레임(310, 320)은 상기 밑판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내측방향으로 절첩되도록 마련되는 요소이다.
이 때, 상기 좌우측 프레임은 상자의 측부를 이루는 프레임 중 장측변에 해당되는 프레임이고, 전후방 프레임은 단측변에 해당되는 프레임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하단에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의 제2 고정돌기(30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돌기가 상기 좌우측 프레임 체결부(130)에 힌지 연결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돌기(301)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힌지역할을 하는 힌지돌기(32)와,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프레임이 내측방향으로 회동 절첩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지지돌기(34)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 프레임 체결부(130)는 상기 제2 고정돌기(30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외측 상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캐비티(302)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는 후술할 체결장치(500)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부이다.
다음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장치(500)는 일정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캐비티(302)에 삽입되고 탄성력에 의해 끝단부가 상기 체결홈(202)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전후방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을 상호 체결 및 분리시키는 요소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체결장치(500)은,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고정바(502), 상기 고정바의 전단(일단)에 마련된 손잡이(510), 상기 고정바의 일부구간에 형성된 탄성부재(530), 상기 고정바의 후단(타단)에 마련된 고정단(520), 상기 고정단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단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된 스토퍼(54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장치(500)는 좌,우측 프레임에 형성된 캐비티(302)에 각각 한 쌍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10)부분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를 내측방향으로 당겨 고정단이 전후방 프레임의 체결홈(20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전후방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을 체결 및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바(502)의 배면 중앙부에는 가이드돌기(504)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504)와 대응되는 좌우측 프레임(310, 320)에는 가이드홀(32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322) 및 가이드돌기(504)는 상기 체결장치(500)가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기 것으로, 상기 가이드돌기(504)는 가이드홀(322) 내부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상기 가이드홀(322)은 상기 가이드돌기(504)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홀에 끼움 삽입된 상태로 좌,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체결장치(500)가 상기 캐비티(30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탄성부재(530)는 끝단이 개방된 타원형상으로, 그 형상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도록 마련된 부재이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바를 중심으로 상,하로 대향되게 곡률을 가지며, 평소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대응되는 캐비티의 상,하면에 형성된 걸림턱(부호미표시)에 의해 지지되어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내측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에 따라 내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고정단(520)은 상기 체결홈(20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요소이다.
상기 스토퍼(540)는, 상기 고정단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캐비티(302)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리브(L)의 측면에 걸려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고정단이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요소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520)이 체결홈(202)에서 제거됨에 따라 전후방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은 내측방향으로 절첩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는 부피가 축소되며 이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보관이 용이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후방 프레임(210, 220) 또는 좌우측 프레임(310, 3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일부구간이 개폐가능한 오픈패널(600)이 힌지결합된다.
상기 오픈패널(600)은 전후방프레임 및/또는 좌우측 프레임에 장착되어 접이식 상자의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 요소이다.
도6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310,320)에 각각 오픈패널(600)이 마련되는 것을 실시례로 하였으나, 상기 오픈패널은 좌우측 프레임 및 전후방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도2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프레임(310)에 상기 오픈패널(600)이 장착되는 것을 실시례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좌측 프레임에는 오픈패널이 장착되어 상기 좌측 프레임의 일부구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출입구(E)가 형성된다.
상기 오픈패널(600)은, 오픈패널의 하단부가 출입구의 하부측과 힌지결합되어 접이식 상자의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오픈패널(600)은 상기 출입구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픈패널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610)가 형성되고 내측면 상단부에는 체결장치(6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캐비티(620)가 형성된다.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출입구의 하부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610)와 대응되도록 체결홈(312)이 형성되고, 출입구의 양측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장치(630)와 대응되도록 착탈홈(314)이 형성된다.
아울러, 이 때, 상기 출입구의 상부측 중앙부의 내측면에는 하부방향으로 지지리브(316)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316)는 상기 캐비티(620)에 장착된 체결장치(630)를 지지하는 요소이다.
상기 체결장치(630)는 앞서 설명한 체결장치(50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장치(63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전단(일단)에 마련된 손잡이, 상기 고정바의 일부구간에 형성된 탄성부재, 상기 고정바의 후단(타단)에 마련된 고정단, 상기 고정단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단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체결장치(630)의 손잡이의 내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였다.
즉, 체결장치(630)의 고정단이 좌측 프레임(310)에 형성된 착탈홈(314)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오픈패널이 좌측 프레임에 결합 및 분리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장치(6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픈패널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돌기(610)는 양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힌지역할을 하는 회전돌기(612)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홈(312)은 상기 체결돌기(6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9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픈패널의 캐비티(620)에는 지지부재(640)가 추가로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재(640)는 한 쌍의 체결장치(630)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체결장치가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상호 내측방향으로 당겨질 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후면을 지지하여 상기 체결장치의 손잡이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요소이다.
상기 지지부재는(640)는 캐비티의 중앙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캐비티의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부재(640)가 체결되어질 수 있도록 삽입홀(622) 및 고정돌기(624)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64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한 쌍의 걸림돌기(642)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는 서로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의 전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편(64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620)에는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6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삽입홀(62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622)의 외측방향에는 절곡편(644)이 걸림고정되도록 고정돌기(624)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고정돌기(624)는 캐비티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에는 좌우측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622)와 관통홀은 상호 연통되어 상기 지지부재(640)의 걸림돌기(642)가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접이식 상자
100:밑판 프레임
110:전후방 프레임 체결부
102:전,후단부
103:좌,우측단부
104:곡률홈
112:제1스토퍼홀
130:좌우측 프레임 체결부
132:고정돌기
210:전방 프레임
201:제1 고정돌기
202:체결홈
204:하부돌기
212:고정구
22:힌지돌기
24:스토퍼돌기
220:후방 프레임
310:좌측 프레임
301:제2 고정돌기
32:힌지돌기
34:지지돌기
302:캐비티
312:체결홈
314:착탈홈
316:지지리브
320:우측 프레임
322:가이드홀
500:체결장치
502:고정바
504:가이드돌기
510:손잡이
520:고정단
530:탄성부재
540:스토퍼
L:리브
E:출입구
600:오픈패널
610:체결돌기
612:회전돌기
620:캐비티
622:삽입홀
624:고정돌기
630:체결장치
640:지지부재
642:걸림돌기
644:절곡편

Claims (3)

  1. 사각판재 형상의 밑판 프레임;
    상기 밑판 프레임의 양 단측변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로 기립되거나 또는 내측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후방 프레임;
    상기 밑판 프레임의 양 장측변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로 기립되거나 또는 내측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는 좌우측 프레임;
    상기 좌우측프레임에 장착되며 끝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후방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후방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을 상호 체결 및 분리시키는 체결장치;
    상기 전후방 프레임 또는 좌우측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방향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일면을 개방시키는 오픈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오픈패널은 상기 전후방 프레임 또는 좌우측 프레임에 형성된 출입구의 하부측과 힌지 결합되어 외측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오픈패널의 내측면 상단부에는 전후방 프레임 또는 좌우측 프레임과 체결 및 분리를 위한 체결장치가 후면부 측으로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차폐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티의 중앙부에는 상기 체결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서로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전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편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캐비티에는 한 쌍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외측방향에는 상기 절곡편이 걸림 고정되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상부측 중앙부의 내측면에는 하부방향으로 지지리브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캐비티에 장착된 상기 체결장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KR1020200105014A 2020-08-21 2020-08-21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KR10240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014A KR102408058B1 (ko) 2020-08-21 2020-08-21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014A KR102408058B1 (ko) 2020-08-21 2020-08-21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364A KR20220023364A (ko) 2022-03-02
KR102408058B1 true KR102408058B1 (ko) 2022-06-13

Family

ID=8081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014A KR102408058B1 (ko) 2020-08-21 2020-08-21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0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5105A1 (en) * 2008-11-06 2011-09-08 Georg Utz Holding Ag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778B1 (ko) 2015-03-04 2015-11-27 최진형 조립식 상자
WO2017086503A1 (ko) * 2015-11-17 2017-05-26 인팩글로벌(주) 접이식 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5105A1 (en) * 2008-11-06 2011-09-08 Georg Utz Holding Ag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364A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463B2 (en) Animal enclosure
US4082389A (en) Collapsible camp supply unit
US20110115350A1 (en) Folding tv cabinet
US9980461B2 (en) Collapsible pet crate
US20200247583A1 (en) Collapsible crate with retractable wall
US20170042301A1 (en) Luggage with a collapsible structure
KR102408058B1 (ko)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WO2017024287A1 (en) Multipurpose crate with legs
KR101963744B1 (ko) 다용도 수납함
CZ288121B6 (cs) Sestavitelná přepravní nádoba tvaru kvádru
CN211108839U (zh) 一种具有锁定装置的斜插式物流箱
KR20180109007A (ko) 접이식 상자
KR101318873B1 (ko) 이동가능한 접이식 수납함
KR102155441B1 (ko) 현수 수납장
KR101250958B1 (ko)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JP4771347B2 (ja) 折畳式ペットキャリーボックス
KR200481094Y1 (ko) 다면 개폐 서랍장
KR102622955B1 (ko) 견고한 체결구조와 우수한 내구성 및 사용편의성을갖는 접철식 경량 보관상자
KR200447313Y1 (ko) 절첩식 포켓용 뜰채
KR200491800Y1 (ko) 수용 공간 확보형 캐리어 가방
KR20130065563A (ko) 절첩식 상자의 커버 구조
KR101277459B1 (ko) 접이식 수납체
JPH0637480U (ja) 収納ボックス
KR101250957B1 (ko)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