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441B1 - 현수 수납장 - Google Patents

현수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441B1
KR102155441B1 KR1020190021770A KR20190021770A KR102155441B1 KR 102155441 B1 KR102155441 B1 KR 102155441B1 KR 1020190021770 A KR1020190021770 A KR 1020190021770A KR 20190021770 A KR20190021770 A KR 20190021770A KR 102155441 B1 KR102155441 B1 KR 102155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cabinet
roller
box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382A (ko
Inventor
곽승구
Original Assignee
곽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승구 filed Critical 곽승구
Priority to KR102019002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44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내부에 레일이 형성되며 이 레일을 따라 활주하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되, 롤러는 그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봉을 갖는 중공형 프레임, 롤러의 각 연결봉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체결유닛, 및 그 상부에 체결유닛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결봉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게 현수되며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복수의 물품을 담는 함으로 구성되는 현수 수납장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에 의하면, 물품을 담는 함이 복수로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이들 함이 그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마주보게 상호 접혀지고 다시 그 내부가 보이도록 일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시에는 펼쳐서 수납장 내부에 있는 물건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고 비사용 시에는 접혀지므로 수납장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서 공간활용성이 크며, 비사용 시에는 함의 내부가 보이지 않으므로 위생이나 미관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현수 수납장{Suspending Cabinet}
본 발명은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공중에 현수되며 상호 횡으로 인접하여 위치된 복수의 물품을 담는 함들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수납장은 라커(locker)와 같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며, 복수의 수납장이 사용되는 경우 단순하게 횡으로 밀착하여 인접되거나 종으로 적층된 채로 사용된다.
주방에 있어서 통상적인 물품의 수납공간은 싱크대 상부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 또는 하부장뿐이며, 별도의 수납장을 구비하는 경우 이 수납장을 싱크대에 안치하여 사용하거나 주방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시켜서 사용하여야 한다. 나아가서 복수의 수납장을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들을 단순하게 횡으로 밀착시키거나 종으로 적층시킨 채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수납장, 특히 주방에 사용되는 수납장은 이들이 복수로 사용되는 경우에 이를 위치시킬 만한 적당한 장소가 없으며 이들이 개별적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을 담는 함이 복수로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이들 함이 용이하게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품을 담는 함들이 공중에 현수되어 위치함으로써 손쉽게 이동이 가능한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한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레일이 형성되며 이 레일을 따라 활주하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되, 롤러는 그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봉을 갖는 중공형 프레임, 롤러의 각 연결봉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체결유닛, 및 그 상부에 체결유닛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결봉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게 현수되며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복수의 물품을 담는 함으로 구성되는 현수 수납장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함이 일측이 개방되는 박스 형태이고 짝수로 구성되며, 각 함은 인접하는 함과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서 각 함은 상호 연결된 채로 축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수납장은 각 박스의 내부가 폐쇄되도록 상호 마주보게 접혀지거나 각 박스의 내부가 일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함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탄성 스프링 및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탄성 왕복운동하는 이동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판상의 중앙 동체와 이 중앙 동체의 양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장한다. 중앙 동체는 상기 연결봉이 동체의 측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홈과 상기 스프링이 위치하도록 중앙 동체의 일부가 제거된 제1 절취부를 가지며, 제1 절취부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결합하는 제1 스프링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 동체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판상의 동체부를 포장하되 동체부에는 상기 결합홈과 협동하여 결합홈으로 삽입된 상기 연결봉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홈과 상기 스프링이 위치하도록 제1 절취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절취부를 갖는다. 제2 절취부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측이 결합하는 제2 스프링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유닛은 이동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부재의 상기 결합홈을 개방하고, 롤러의 연결봉을 이 결합홈으로 삽입한 후에, 다시 이동부재를 스프링의 힘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연결봉은 이동부재의 고정홈에 의해 체결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체결유닛은 고정부재에 의해 장의 상부에 부착되므로 장은 상기 롤러의 연결봉에 축회전 가능하게 현수된 채로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에 의하면, 물품을 담는 함이 복수로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이들 함이 그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마주보게 상호 접혀지고 다시 그 내부가 보이도록 일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시에는 펼쳐서 수납장 내부에 있는 물건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비사용 시에는 접혀지므로 수납장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서 공간활용성이 크고 함의 내부가 보이지 않으므로 위생이나 미관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은 물품을 담는 함이 공중에 현수되어 위치함으로써 손쉽게 이동 가능하고, 용이하게 함들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어서 사용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은 롤러가 구비된 프레임을 원하는 위치에 부착한 후에 각 함의 상부에 부착된 체결유닛을 간단하게 롤러의 연결봉에 결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롤러에 부착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수납장을 롤러의 연결봉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주방 싱크대 상부장 하부에 중공형 프레임이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내를 활주하는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체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체결유닛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함의 하나에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의 사용상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으로 도 9에 상응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수납장의 하부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00)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수납장은 롤러(10)가 구비된 중공형 프레임(5), 체결유닛(20) 및 복수의 물품을 담는 함(60,61,62,63)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들 각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중공형 프레임(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측에 개방부(7)를 갖는 사각형의 중공형 프레임으로, 내부에는 레일(8)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5)이 싱크대 상부장(1) 하측에 고정된 것을 보여준다. 도 1에는 편의상 프레임(5)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일체형으로 폐쇄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일반적으로는 일측 단부는 개방된 상태에서 후술될 롤러(10)가 삽입된 후 삽입된 롤러(10)가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퍼로 폐쇄된다.
중공형 프레임(5) 내에는 레일(8)을 따라 활주하는 롤러(10)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0)는 롤러 몸체(11)를 따라 바퀴(12)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레일(8)을 따라 구름운동을 할 수 있다. 도시된 바퀴(12)는 그 중간에 중앙 홈(13)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 홈(13)과 상기 레일(8)이 맞물림으로써 레일이 바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여 롤러(10)는 프레임(5)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몸체(11)에는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봉(15)이 구비된다. 연결봉(15)은 헤드(18)와 이 헤드 바로 위에 위치되는 결착부(17)를 가지며, 나사부(16)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11)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도시된 롤러(10)는 중앙 홈(13)을 갖는 바퀴(12)를 가지나, 본원 발명에는 이러한 홈을 갖지 않는 바퀴도 사용될 수 있다. 홈이 없는 바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프레임(5) 내부에 레일(8)이 형성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연결봉(15)은 몸체(11)에 나사고정되나 다른 적당한 방법으로 고정되어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체결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체결유닛(20)은 고정부재(30), 이 고정부재를 따라 탄성 왕복이동하는 이동부재(40) 및 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고정부재(30)는 판상의 중앙 동체(31)와 이 동체의 양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랜지(32)를 포장한다. 플랜지에는 결착홈(33)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51) 또는 리벳 등에 의해 고정부재를 후술할 물품을 담는 장(60)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중앙 동체(31)에는 상기 연결봉(15)이 동체(31)의 측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홈(34)과 상기 스프링(50)이 위치하도록 중앙 동체의 일부가 제거된 제1 절취부(36)를 구비한다. 제1 절취부(36)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결합하는 제1 스프링 결합부(37)가 형성된다. 결합홈(34)의 입구방향 일측에는 연결봉(15)이 결합홈(34)으로 삽입될 때 연결봉(15)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부(3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는 판상의 동체부(41)로 이루어지며, 이 동체부에는 상기 결합홈(34)과 협동하여 결합홈으로 삽입된 연결봉(15)을 결합홈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홈(42)과 고정부재(30)의 상기 제1 절취부(36)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절취부(44)가 형성된다. 제2 절취부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50)의 다른 일측이 결합하는 제2 스프링 결합부(45)가 형성된다. 이동부재에도 고정부재와 마찬가지로, 연결봉(15)이 결합홈(34)으로 삽입될 때 연결봉(15)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42)의 일측에 상기 제1 경사부(35)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제2 경사부(4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부재의 동체부(41) 양측에는 동체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48,49)이 형성되어서, 이동부재(40)가 고정부재(30)를 따라 활주하며 왕복운동을 할 때 이동부재를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절취부들(36,44)이 중앙 동체(31)와 동체부(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중앙 동체(31)와 동체부(41) 내부의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0)의 일측을 고정부재의 제1 스프링 결합부(37)에 결착하고 다른 일측을 이동부재의 제2 스프링 결합부(45)에 결착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유닛(20)이 완성되며, 이동부재(30)는 고정부재의 중앙 동체(31)를 따라 스프링(50)에 의한 탄성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체결유닛의 이동부재(30)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겨내는 힘을 가하며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결합홈(34)이 개방되며, 상기 힘을 제거하면 다시 이동부재가 원상복귀하면서 결합홈(34)이 폐쇄된다. 따라서, 결합홈(34)을 개방하고 이 결합홈으로 상기 롤러의 연결봉(15), 즉 연결봉의 결착부(17)를 삽입한 후에 다시 결합홈을 폐쇄하면, 연결봉(15)은 헤드(18)에 의해 이 결합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며 체결유닛(20)은 연결봉의 결착부(17)를 중심으로 축회전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는 언제든지 연결봉(15)을 체결유닛(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유닛(20)은 고정부재의 중앙 동체(31)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이동부재(4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도록 이동부재에 측면(48,4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갈음하여 또는 이와 장께 이동부재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부는 이동부재의 동체부(41)에 형성되는 가늘고 긴 안내 홈(46)과 이 홈을 관통하여 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38)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47)으로 구성된다.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을 담는 함(60~63)은 복수로 - 보다 구체적으로는 짝수로 - 구성된다. 도 6에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본원 발명에 따른 수납장(100)에 사용되는 함 중의 하나의 함(63)이 도시되어 있다. 함(63)의 상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체결 유닛(20)이 나사(51)(도 4또는 5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함(63)은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위치된 물건이 이탈하지 않도록 적절한 크기의 전면벽(65)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벽(65)은 박스 동체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문과 같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일련의 함 중 가장 외측에 있는 함(60,63)에는 손잡이(67)를 구비한다. 한편, 각 함은 인접하는 함과 힌지(66)로 연결되어 있다.
상호 힌지(66)로 연결된 일련의 함(60~63)을 그 상부에 고정된 체결유닛(20)의 결합홈(34)으로 롤러의 연결봉(15) - 연결봉의 결착부(17) -을 삽입함으로써 롤러(10)에 결착시키면, 각 함(60~63)은 연결봉(15)에 대해 체결유닛(20)을 매개로 하여 현수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각 함은 힌지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함은 이웃하는 함과 연결된 채로 롤러의 연결봉(15)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축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롤러(10)에 의해 레일(5)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9를 이용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수납장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7은 함(60)과 함(61) 그리고 함(62)과 함(63)이 그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상호 마주보게 접혀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수납장(100)은 가장 작은 공간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이제 가장 외측의 함(60,63)에 부착된 손잡이(67)를 잡고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함(60~63)은 힌지(66)에 의해 서로 연결된 채로 롤러(10)의 연결봉(15)을 중심으로 축회전(화살표 방향) 하면서 동시에 각 함과 연계된 롤러(10)는 중공형 프레임(5) 내를 활주하여서, 최종적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함(60~63)의 내부가 보이도록 수납장(100)이 펼쳐진다. 만일,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손잡이(67)를 잡고 내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도 8의 상태를 거쳐 수납장(100)이 접혀지는 상태(도 7)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00)은, 롤러가 구비된 프레임(5)을 원하는 위치에 부착한 후에, 각 함(60~63)의 상부에 부착된 체결유닛(20)을 간단하게 롤러의 연결봉(15)에 결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롤러에 부착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수납장을 롤러의 연결봉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수납장(100)은 프레임(5)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수납장이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에 관계없이 어느 때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10 내지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으로 도 9에 상응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수납장의 하부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수납장(100')은 전술한 수납장(100)과 동일한 구성을 갖되 또 다른 중공형 프레임(5')과 연결부재(70)를 부가적으로 갖는다는 점에서만 다르다. 또 다른 중공형 프레임(5')은 중공형 프레임(5)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중공형 프레임(5')은 싱크대 상부장(1)이 위치되는 측면벽(2)에 부착된다. 중공형 프레임(5)은 싱크대 상부장(1) 하부에 부착되어서 내부에 구비된 롤러(10)의 연결봉(15)이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나, 중공형 프레임(5')은 측면벽(2)에 부착되어서 그 내부에 구비된 롤러(10')의 연결봉(15')이 측면벽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L자형의 연결부재(70)의 일측에는 수납장(100')의 하부가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연결부재(70)의 다른 일측에는 중공형 프레임(5')의 롤러(10')의 연결봉(15')이 고정된다. 즉, 수납장(100')을 구성하는 각 함(60~63) 하부에는 중앙 홈(76)을 갖는 고정구(75)가 나사(79) 의해 부착되며, 이 중앙 홈(76)과 연결부재(70)의 제1 홈(71)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볼트(77)와 이 볼트(77)를 체결하는 너트(78)의 결합에 의해 각 함(60~63)의 하부가 연결부재(70)의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봉(15)은 롤러(10)의 몸체(11)에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므로, 연결봉(15')이 연결부재(7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제2 홈(72)을 관통하여 롤러(10')의 몸체에 결합함으로써 중공형 프레임(5')의 롤러(10')의 연결봉(15')이 연결부재(70)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수납장(100')은 그 하부가 연결부재(70)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수납장(100') 내부에 물건이 위치되더라도 각 함(61~64)을 열고 닫을 때 수납장(100)에 비해 안정감 있게 축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L자형의 연결부재(70)가 사용되었으나, 중공형 프레임(5')의 위치에 따라서는 일자형 연결부재(70)도 사용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원의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실시예는 4개의 함을 갖는 수납장을 도시하고 있으나, 2개, 6개 또는 8개의 함을 갖는 수납장도 가능하며, 3개, 5개, 7개와 같은 홀수의 함을 갖는 수납장도 가능하나 이 경우 하나의 함은 항상 개방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Claims (4)

  1. 내부에 레일이 형성되고 이 레일을 따라 활주하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되 롤러는 그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봉을 가지며, 싱크대 상부장의 하부에 부착되는 중공형 프레임,
    상기 롤러의 각 연결봉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체결유닛, 및
    그 상부에 체결유닛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결봉에 대해 축회전 가능하게 현수되며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복수의 물품을 담는 함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유닛은
    스프링,
    판상의 중앙 동체와 이 중앙 동체의 양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되 중앙 동체는 상기 연결봉이 동체의 측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홈과 상기 스프링이 위치하도록 중앙 동체의 일부가 제거된 제1 절취부를 가지며, 제1 절취부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결합하는 제1 스프링 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 동체를 따라 왕복이동하는 판상의 동체부를 포함하되 동체부에는 상기 결합홈과 협동하여 결합홈으로 삽입된 상기 연결봉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홈과 상기 스프링이 위치하도록 제1 절취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절취부를 가지며, 제2 절취부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측이 결합하는 제2 스프링 결합부가 형성되는 이동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수납장.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함이 일측이 개방되는 박스 형태이고 짝수로 구성되며, 각 함은 인접하는 함과 힌지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수납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수납장이 중공형 프레임과 복수의 연결부재를 더욱 포함하되 이 중공형 프레임은 싱크대 상부장이 위치되는 측벽에 부착되어서 그 내부에 구비된 롤러의 연결봉이 측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각 함의 하부가 축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측벽에 부착된 중공형 프레임의 롤러의 연결봉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수납장.
  4. 삭제
KR1020190021770A 2019-02-25 2019-02-25 현수 수납장 KR102155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770A KR102155441B1 (ko) 2019-02-25 2019-02-25 현수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770A KR102155441B1 (ko) 2019-02-25 2019-02-25 현수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382A KR20200103382A (ko) 2020-09-02
KR102155441B1 true KR102155441B1 (ko) 2020-09-11

Family

ID=7244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770A KR102155441B1 (ko) 2019-02-25 2019-02-25 현수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85Y1 (ko) * 2020-12-21 2021-06-22 주식회사 나래 상부장 하부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한 식기 건조대용 레일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547A (ja) * 2000-08-18 2002-02-26 Sun Wave Ind Co Ltd 対面式キッチンカウンタの開閉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1509A (ja) * 1990-12-21 1992-08-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収納棚
JPH0898727A (ja) * 1994-09-30 1996-04-16 Shinko:Kk 厨房内の収納構造
KR20170141456A (ko) * 2016-06-15 2017-12-26 주식회사 프라우안 현수형 싱크대용 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547A (ja) * 2000-08-18 2002-02-26 Sun Wave Ind Co Ltd 対面式キッチンカウンタの開閉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382A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39819A (en) Knockdown shelving
US4217012A (en) Storage unit
KR102114074B1 (ko) 수납용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100117499A1 (en) Telescopic storage device
US9433292B2 (en) Alignment guide
US20220218104A1 (en) Storage system
US20190152644A1 (en) New foldable box and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2155441B1 (ko) 현수 수납장
CN101498542A (zh) 冰箱储物盒分隔架
US20150342317A1 (en) Travel case
US20090243447A1 (en) Rotary Piece of Furniture
KR102115978B1 (ko) 양측이 개방되는 가구용 폴딩도어 장치
KR101006694B1 (ko) 청소도구함
CN219889962U (zh) 冷冻冷藏设备以及收纳设备
KR200466630Y1 (ko) 수건걸이
US202402008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ing a pocket recess of a freezer door
JPH0747328Y2 (ja) 収納容器
KR200472153Y1 (ko) 옷걸이 행거가 형성된 장난감 정리함
KR200496543Y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를 갖는 스틸 책장용 스틸 캐비넷
RU201085U1 (ru) Шкаф для табачной продукции
DE3310873A1 (de) Transportabler vorrats- und/oder lagerbehaelter fuer kleinteile oder dergleichen
KR102414414B1 (ko) 다방향 서랍
JP6380518B2 (ja) 収納付きヘッドボード
KR200355120Y1 (ko) 슬라이딩 선반 및 문짝이 장착된 디스크 보관함
KR200377278Y1 (ko) 씽크대 찬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