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455B1 -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 Google Patents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455B1
KR102505455B1 KR1020220073864A KR20220073864A KR102505455B1 KR 102505455 B1 KR102505455 B1 KR 102505455B1 KR 1020220073864 A KR1020220073864 A KR 1020220073864A KR 20220073864 A KR20220073864 A KR 20220073864A KR 102505455 B1 KR102505455 B1 KR 102505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ide plates
protrusion
side pla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락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피 filed Critical (주)케이엠피
Priority to KR102022007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B65D11/2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to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작하게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접이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수용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밑판(10); 상기 밑판(10)의 사변마다 수평하게 장착되고, 상기 밑판(10)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져 수납공간을 마련해주는 측판(20); 상기 전후측 측판(20)의 외면 양측에 각각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좌우측 측판(20)들과 맞물려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잠금부재(30); 상기 밑판(10)과 측판(20)에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고, 상기 밑판(10)으로부터 측판(20)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밑판으로부터 측판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힌지홈부와 힌지돌부가 고정된 축을 기점으로 회전하는 구조가 아니라 측판을 따라 힌지돌부가 힌지홈부 내에서 힌지블록을 기점으로 공전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측판이 세워질 때는 힌지돌부가 힌지덮개와 긴밀하게 맞물려 측판의 유동을 차단해주고, 측판이 접어질 때는 힌지돌부와 힌지덮개의 물림이 해제되어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A folding box that guarantees excellent durability and ease of use with a sturdy hinge structure}
본 발명은 납작하게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접이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밑판으로부터 측판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힌지홈부와 힌지돌부가 고정된 축을 기점으로 회전하는 구조가 아니라 측판을 따라 힌지돌부가 힌지홈부 내에서 힌지블록을 기점으로 공전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측판이 세워질 때는 힌지돌부가 힌지덮개와 긴밀하게 맞물려 측판의 유동을 차단해주고, 측판이 접어질 때는 힌지돌부와 힌지덮개의 물림이 해제되어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수납하는 상자는 가정은 물론 산업과 농업 등에서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사용빈도가 높다.
이러한 상자는 편리함과 다양한 활용도로 인하여 종이, 목재,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조되고 있다.
여기서 종이상자는 접는 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종이 특성상 견고함이 떨어져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반면 플라스틱 상자는 종이상자에 비해 견고하여 수명이 긴 장점이 있으나, 딱딱하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상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효율적인 보관이 어렵다.
따라서 근래에는 아래의 특허문헌과 같이 납작하게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접이식 상자가 개발되었다.
즉, 접이식 상자는 밑판과 측판들을 분리 구성하고, 밑판과 측판을 힌지로 연결하여 밑판으로부터 측판을 접거나 세워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이식 상자는 밑판에 원통형의 힌지홈이 형성되고, 측판에는 힌지홈에 삽입되어 측판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원통형의 힌지축이 형성된다.
즉, 측판은 밑판에 형성된 힌지홈의 중심을 기점으로 회전하여 밑판에 접혀지거나 세워지게 구성된다.
여기서 힌지홈에 힌지축을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힌지홈에 개방통로가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힌지축이 개방통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면, 힌지홈으로부터 힌지축이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물론 개방통로의 방향설정과 힌지홈과 힌지축을 과도한 억지끼움으로 형성할 경우 힌지축의 이탈을 차단할 수는 있다.
그러나 힌지홈과 힌지축이 강하게 맞물려져 있으므로 접고 펴는 과정에서 높은 마찰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즉, 측판을 접는 과정에서도 높은 마찰이 발생하므로 사용자가 세워진 측판들을 하나씩 접어줘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할 경우 마찰로 인해 힌지홈이나 힌지축이 마모되어 유격이 생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밑판으로부터 측판이 유동하게 되어 운반시 소음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힌지축이 개방통로를 통해 이탈되어 측판이 분리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1840호 발명의 명칭: 접이식 상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밑판으로부터 측판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힌지홈부와 힌지돌부가 고정된 축을 기점으로 회전하는 구조가 아니라 측판을 따라 힌지돌부가 힌지홈부 내에서 힌지블록을 기점으로 공전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측판이 세워질 때는 힌지돌부가 힌지덮개와 긴밀하게 맞물려 측판의 유동을 차단해주고, 측판이 접어질 때는 힌지돌부와 힌지덮개의 물림이 해제되어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납작하게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접이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수용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밑판(10); 상기 밑판(10)의 사변마다 수평하게 장착되고, 상기 밑판(10)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져 수납공간을 마련해주는 측판(20); 상기 전후측 측판(20)의 외면 양측에 각각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좌우측 측판(20)들과 맞물려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잠금부재(30); 상기 밑판(10)과 측판(20)에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고, 상기 밑판(10)으로부터 측판(20)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전후측 측판(20)은, 상기 좌우측 측판(20)과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세워지도록 양단에 좌우방향을 향해 외면과 단차지게 돌출되는 내측돌부(21); 상기 좌우측 측판(20)에 삽입되도록 내측돌부(21)의 외면 상하측에 전후방향을 향해 소정 크기로 돌출되는 고정돌부(22); 상기 잠금부재(30)들을 각각 좌우로 벌림 및 오므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외면 양측에 잠금부재(30)가 감싸지게 돌출되는 고정후크(23); 상기 잠금부재(30)들이 간섭되어 벌림 이동력이 축적되도록 외면 양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간섭돌부(24); 상기 잠금부재(30)와 맞물려 오므림 이동이 제한되도록 외면 양측에 전후방향을 향해 소정 크기로 관통되는 제한슬릿(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좌우측 측판(20)은, 상기 내측돌부(21)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세워지도록 양단에 좌우방향을 향해 내면과 단차지게 돌출되는 외측돌부(26); 상기 고정돌부(22)가 삽입되도록 외측돌부(26)의 상하측에 전후방향을 향해 소정 크기로 관통되는 고정슬릿(27); 상기 잠금부재(3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양단에 외측돌부(26)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돌출되는 포켓돌부(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잠금부재(30)는, 상기 전후측 측판(20)의 외면 양측에 좌우측 측판(20)을 향해 각각 벌림과 오므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막대형 잠금몸체(31); 상기 잠금몸체(31)의 일단에 상하방향을 향해 외면과 단차지게 돌출되어 전후측 측판(20)에 감싸지는 걸림돌부(32); 상기 잠금몸체(31)의 일단에 소정 형상으로 돌출되어 사용자로부터 오므림 이동력을 전달받는 손잡이(33); 상기 잠금몸체(31)의 타단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벌림과 오므림 이동에 따라 좌우측 측판(20)에 삽입 및 이탈되는 빗장돌부(34); 상기 잠금몸체(31)와 손잡이(33)에 각각 경사지게 돌출되어 전후측 측판(20)으로부터 좌우측 측판(20)을 향해 벌림 이동력을 부가하는 탄성돌부(35); 상기 잠금몸체(31)의 타단과 전후측 측판(20)과 마주하는 일면 중앙에 상하측과 내측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벌림 이동과 오므림 이동을 제한받는 제한돌부(36);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힌지수단(40)은, 상기 밑판(10)의 사변에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판(20)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벽부(41); 상기 힌지벽부(41)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내측방향과 상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함몰 형성된 힌지홈부(42); 상기 힌지홈부(42)의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부(42)의 내측과 상측을 복개하여 측판(20)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하는 힌지덮개(43); 상기 힌지홈부(42)와 대향하는 측판(20)의 단부마다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부(4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블록(44); 상기 힌지블록(44)의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덮개(43)에 구속되어 밑판(10)으로부터 측판(2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돌부(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힌지수단(40)은, 상기 전후측 측판(20)이 배치되는 전후측 힌지벽부(41)는 밑판(10)의 상측에 접혀진 전후측 측판(20)을 수용하는 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좌우측 측판(20)이 배치되는 좌우측 힌지벽부(41)는 밑판(10)의 상측에 접혀진 전후측 측판(20)과, 전후측 측판(20)에 접혀진 좌우측 측판(20)을 수용하는 높이로 돌출되되, 상기 힌지벽부(41)는 측판(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간섭이 차단되도록 내측 가장자리에 측판(20)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진 힌지곡면(4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힌지덮개(43)는, 상기 힌지홈부(42)의 양측에 힌지벽부(41)의 높이까지 수직하게 돌출되어 내/외측으로 힌지돌부(45)의 이탈을 차단하는 수직덮개(43a); 상기 수직덮개(43a)의 상단에 힌지벽부(41)로부터 힌지돌부(45)를 구속 가능한 틈새를 두고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어 상측으로 힌지돌부(45)의 이탈을 차단하는 수평덮개(43b);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덮개(43b)는, 상기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힌지돌부(45)가 힌지홈부(42)에 억지끼움으로 통과 삽입되도록 외측에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각도로 경사져 틈새의 확장 변형력을 전달받는 경사면(43b-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힌지덮개(43)는, 상기 수직덮개(43a)와 수평덮개(43b)의 사이에 힌지블록(44)을 따라 공전하는 힌지돌부(45)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위치와 크기로 돌출되고, 상기 측판(2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힌지돌부(45)와 맞물리거나 소정의 틈새를 두고 이격되어 측판(20)의 유동을 차단하거나 최소화시키는 보조덮개(43c);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힌지돌부(45)는, 상기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상/하/좌/우면(45a)(45b)(45c)(45d)을 갖는 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면(45a)은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수평덮개(43b)의 하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면(45b)은 측판(2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덮개(43b)의 외면에 밀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우면(45d)은 측판(2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보조덮개(43c)의 하면과 마주하거나 밀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판(20)이 세워질 때는 힌지돌부(45)가 힌지덮개(43)와 맞물려 측판(20)의 유동을 차단해주고, 측판(20)이 접어질 때는 힌지돌부(45)와 힌지덮개(43)의 물림이 해제되어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힌지수단(40)은, 상기 힌지블록(44)의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수평덮개(43b)와 힌지벽부(41) 사이에 배치되어 밑판(10)으로부터 측판(20)의 유동을 최소화하며 힌지돌부(45)의 강성을 높여주는 보조돌부(46);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힌지수단(40)은, 상기 힌지돌부(45)와 마주하는 힌지벽부(41)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부(42)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배출하며 공구를 통해 힌지홈부(42)로부터 힌지돌부(45)를 이탈시켜 측판(20)의 분리를 유도하는 힌지통로(47);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밑판으로부터 측판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힌지홈부와 힌지돌부가 고정된 축을 기점으로 회전하는 구조가 아니라 측판을 따라 힌지돌부가 힌지홈부 내에서 힌지블록을 기점으로 공전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측판이 세워질 때는 힌지돌부가 힌지덮개와 긴밀하게 맞물려 측판의 유동을 차단해주고, 측판이 접어질 때는 힌지돌부와 힌지덮개의 물림이 해제되어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측판이 접혀진 수평자세에서만 힌지돌부가 힌지덮개에 억지끼움으로 통과 삽입되게 형성함으로써, 물품수납이나 운반시 힌지돌부가 외부로 이탈하려는 응력발생 상황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어 의도하지 않는 측판의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측판이 접혀진 상태에서 힌지덮개와 힌지벽부 사이에 보조돌부를 구성함으로써, 측판이 접혀진 상태에서도 보조돌부가 힌지덮개에 간섭되어 측판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힌지돌부와 마주하는 힌지벽부에 힌지통로를 구성함으로써, 힌지홈부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배출시켜 끼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공구의 진입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측판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밑판과 측판 및 잠금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전후측 측판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좌우측 측판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잠금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잠금부재가 측판을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힌지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1의 A-A선 방향으로 절개하여 힌지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밑판과 측판이 힌지수단을 통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A-A선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측판이 힌지수단을 통해 밑판으로부터 세워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A-A선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밑판과 측판이 힌지수단을 통해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A-A선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납작하게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접이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도 1처럼 밑판(10)과 측판(20) 및 잠금부재(30)와 힌지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내측은 물품이 수납되는 상자의 안쪽인 내부를 지칭하고, 외측은 상자의 바깥쪽인 외부를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내면은 물품이 수납되는 상자의 안쪽을 바라보는 부위를 지칭하고, 외면은 상자의 바깥쪽을 바라보는 부위를 지칭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밑판(10)은 도 1 및 도 2처럼 물품을 수용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라스틱 판재이다.
이러한 밑판(10)은 이물질이 배출되며 공기가 순환되도록 소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고, 강성이 증가되도록 소정 패턴의 리브가 형성된다.
여기서 밑판(10)은 도 1기준으로 전후측에 위치하는 가로변이 좌우측에 위치하는 세로변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측판(2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라스틱 판재로, 도 1 및 도 2처럼 밑판(10)의 사변마다 수평하게 접혀진 자세에서 장착된다.
이러한 측판(20)은 사용시 밑판(10)의 변부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져 내부에 수납공간을 마련해준다.
즉, 측판(20)은 4개로 구성되는데, 밑판(10)의 가로변에 장착되는 전후측 측판(20)과, 밑판(10)의 세로변에 장착되는 좌우측 측판(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밑판(1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전후측 측판(20)은 좌우측 측판(20)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길이가 짧은 전후측 측판(20)이 밑판(10)의 상측에 접혀지고, 길이가 긴 좌우측 측판(20)은 전후측 측판(20)의 상측에 접혀지게 된다.
여기서 전후측 측판(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돌부(21), 고정돌부(22), 고정후크(23), 간섭돌부(24), 제한슬릿(25)이 형성된다.
내측돌부(21)는 전후측 측판(20)의 양단에 좌우방향을 향해 외면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즉, 전후측 측판(20)이 세워지면, 내측돌부(21)는 미리 세워진 좌우측 측판(20)의 외측돌부(26)와 서로 맞물려진다.
고정돌부(22)는 내측돌부(21)의 외면 상하측에 전후방향을 향해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다.
즉, 전후측 측판(20)이 세워지면, 고정돌부(22)들은 미리 세워진 좌우측 측판(20)의 고정슬릿(27)에 삽입된다.
고정후크(23)는 전후측 측판(20)의 외면 양측에 잠금부재(30)가 감싸지게 고리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고정후크(23)는 잠금부재(30)들을 각각 좌우로 벌림 및 오므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간섭돌부(24)는 전후측 측판(20)의 외면 양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즉, 간섭돌부(24)는 후술하는 잠금부재(30)의 탄성돌부(35)가 간섭되어 오므림 이동시 탄성돌부(35)로 벌림 이동력이 축적되게 해준다.
제한슬릿(25)은 전후측 측판(20)의 외면 양측에 전후방향을 향해 소정 크기로 관통 형성된다.
즉, 제한슬릿(25)은 잠금부재(30)의 제한돌부(36)를 수용하여 잠금부재(30)의 오므림 이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좌우측 측판(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돌부(26)와 고정슬릿(27) 및 포켓돌부(28)가 형성된다.
외측돌부(26)는 좌우측 측판(20)의 양단에 좌우방향을 향해 내면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즉, 좌우측 측판(20)이 세워진 상태에서 전후측 측판(20)이 세워지면, 외측돌부(26)는 내측돌부(21)와 맞물려진다.
이러한 외측돌부(26)로 인해 좌우측 측판(2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양단이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ㄷ형으로 형성된다.
고정슬릿(27)은 외측돌부(26)의 상하측에 전후방향을 향해 소정 크기로 관통 형성된다.
즉, 좌우측 측판(20)이 세워진 상태에서 전후측 측판(20)이 세워지면, 고정슬릿(27)으로 고정돌부(22)가 삽입되어 모든 측판(20)들이 단일체로 결합된다.
포켓돌부(28)는 좌우측 측판(20)의 양단에 외측돌부(26)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포켓돌부(28)와 외측돌부(26) 사이에는 후술하는 잠금부재(30)의 빗장돌부(34)를 구속시키는 잠금공간이 마련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재(30)는 도 1 및 도 2처럼 전후측 측판(20)의 외면 양측에 각각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잠금부재(30)는 좌우측 측판(20)들과 맞물려 전후측 측판(20)들이 접어지는 것을 차단해준다.
이러한 잠금부재(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몸체(31), 걸림돌부(32), 손잡이(33), 빗장돌부(34), 제한돌부(36)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잠금몸체(31)는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으로 형성되고, 전후측 측판(20)의 외면 양측에 좌우측 측판(20)을 향해 각각 벌림과 오므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벌림 이동은 도 6의 좌측 잠금몸체(31)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오므림 이동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걸림돌부(32)는 잠금몸체(31)의 일단에 상하방향을 향해 잠금몸체(31)의 외면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부(32)는 전후측 측판(20)에 형성된 고정후크(23)에 감싸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속된다.
손잡이(33)는 잠금몸체(31)의 일단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원형이나 각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33)는 사용자로부터 잠금몸체(31)의 오므림 이동력을 전달받는다.
빗장돌부(34)는 잠금몸체(31)의 타단에 외측돌부(26)와 포켓돌부(28) 사이에 삽입 가능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빗장돌부(34)의 끝단 외면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후측 측판(20)이 세워질 때 빗장돌부(34)의 경사면이 포켓돌부(28)에 간섭되면, 경사면에 의해 빗장돌부(34)가 전후측 측판(20)의 중앙으로 오므림 이동한다.
탄성돌부(35)는 잠금몸체(31)의 상하단과 손잡이(33)의 일단에 각각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즉, 탄성돌부(35)는 전후측 측판(20)으로부터 좌우측 측판(20)을 향해 벌림 이동력을 부가해준다.
제한돌부(36)는 잠금몸체(31)의 타단과 전후측 측판(20)과 마주하는 일면 중앙에 상하측과 내측을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빗장돌부(34)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제한돌부(36)는 리브에 간섭되어 잠금몸체(31)의 벌림 이동을 제한받는다.
그리고 빗장돌부(34)와 탄성돌부(35) 사이에 형성된 제한돌부(36)는 제한슬릿(25)에 간섭되어 잠금몸체(31)의 오므림 이동을 제한받는다.
즉, 빗장돌부(34)는 도 6처럼 탄성돌부(35)에 의해 전후측 측판(20)의 양단으로 상시 돌출된 상태를 갖는다.
여기서 좌우측 측판(20)이 세워진 상태에서 접혀진 전후측 측판(20)을 세워주면, 포켓돌부(28)에 간섭되는 빗장돌부(34)는 도어의 데드볼트처럼 전후측 측판(20)내로 함몰된 이후 외측돌부(26)와 포켓돌부(28) 사이로 즉시 돌출된다.
즉, 전후측 측판(20)은 빗장돌부(34)에 의해 좌우측 측판(20)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고, 좌우측 측판(20)은 전후측 측판(20)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측판(20)을 접을 경우 손잡이(33)를 오므림 방향으로 당겨주면, 빗장돌부(34)가 전후측 측판(20)내로 인입되면서 포켓돌부(28)와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전후측 측판(20)을 내측으로 밀어주면, 밑판(10)의 상측으로 접혀지고, 전후측 측판(20)이 접혀지면, 좌우측 측판(20)의 고정도 해제됨에 따라 전후측 측판(20)의 상측으로 접혀지게 밀어주면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수단(40)은 도 1 및 도 2처럼 밑판(10)과 측판(20)에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어 밑판(10)으로부터 측판(20)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켜준다.
이러한 힌지수단(4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10)에 형성되는 힌지벽부(41)와 힌지홈부(42) 및 힌지덮개(43) 그리고 측판(20)에 형성되는 힌지블록(44)과 힌지돌부(45)로 구분되게 구성된다.
힌지벽부(41)는 측판(20)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밑판(10)의 사변에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전후측 측판(20)이 배치되는 전후측 힌지벽부(41)는 밑판(10)의 상측에 접혀진 전후측 측판(20)을 수용하는 높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좌우측 측판(20)이 배치되는 좌우측 힌지벽부(41)는 밑판(10)의 상측에 접혀진 전후측 측판(20)과, 전후측 측판(20)에 접혀진 좌우측 측판(20)을 모두 수용하는 높이로 돌출된다.
이때, 힌지벽부(41)의 내측 가장자리는 측판(20)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진 힌지곡면(41a)이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곡면(41a)은 측판(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간섭을 차단시켜준다.
힌지홈부(42)는 힌지블록(44)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으로, 힌지벽부(41)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내측방향과 상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함몰 형성된다.
힌지덮개(43)는 힌지홈부(42)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ㄱ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힌지덮개(43)는 힌지홈부(42)의 내측과 상측을 복개하여 힌지돌부(45)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한다.
이러한 힌지덮개(43)는 수직덮개(43a)와 수평덮개(43b)로 구분되게 형성된다.
수직덮개(43a)는 힌지홈부(42)의 양측에 힌지벽부(41)의 높이까지 수직하게 돌출되어 내/외측으로 힌지돌부(45)의 이탈을 차단한다.
수평덮개(43b)는 수직덮개(43a)의 상단에 힌지벽부(41)로부터 힌지돌부(45)를 구속 가능한 틈새를 두고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어 상측으로 힌지돌부(45)의 이탈을 차단한다.
여기서 수평덮개(43b)의 외측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43b-1)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43b-1)은 도 9와 같이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힌지돌부(45)가 힌지홈부(42)에 억지끼움으로 통과 삽입되도록 순간적으로 틈새가 확장되게 유도한다.
이때, 힌지덮개(43)는 수직덮개(43a)와 수평덮개(43b)의 사이에 보조덮개(43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덮개(43c)는 도 10처럼 힌지블록(44)을 따라 공전하는 힌지돌부(45)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위치와 크기로 돌출 형성된다.
즉, 보조덮개(43c)는 도 11과 같이 측판(2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힌지돌부(45)와 맞물리거나 소정의 틈새를 두고 이격되어 측판(20)의 유동을 차단하거나 최소화시켜준다.
힌지블록(44)은 힌지홈부(42)와 대향하는 측판(20)의 단부마다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블록(44)은 도 10 및 도 11처럼 힌지홈부(42)에 삽입되고, 힌지벽부(41)의 내면과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한다.
힌지돌부(45)는 힌지블록(44)의 양측에 힌지덮개(43)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힌지돌부(45)는 힌지덮개(43)에 구속되어 밑판(10)으로부터 측판(2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켜준다.
이러한 힌지돌부(45)는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상/하/좌/우면(45a)(45b)(45c)(45d)을 갖는 각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면(45a)은 도 10처럼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수평덮개(43b)의 하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하면(45b)은 도 11처럼 측판(2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덮개(43b)의 외면에 밀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우면(45d)은 측판(2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보조덮개(43c)의 하면과 마주하거나 밀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힌지돌부(45)는 도 10과 같이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를 기준으로 두께에 비해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힌지홈부(42)의 좌측 중앙에서 힌지덮개(43)와 간섭 없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힌지돌부(45)는 도 11처럼 측판(20)이 수직하게 세워질수록 힌지블록(44)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하면서 힌지덮개(43)와의 간섭부위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측판(20)이 세워지면, 힌지돌부(45)가 힌지덮개(43)와 긴밀하게 맞물려 측판(20)의 상하유동이 차단된다.
반대로 도 11 및 도 10의 역순처럼 측판(20)이 수평하게 접어질수록 힌지블록(44)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공전하면서 힌지덮개(43)와의 간섭부위가 점진적으로 해제된다.
따라서 측판(20)이 접어질 때는 힌지돌부(45)와 힌지덮개(43)의 물림이 해제되어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측판(20)을 내측으로 조금만 기울어주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접어지게 된다.
한편, 힌지수단(40)은 도 7 및 도 8처럼 힌지블록(44)의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돌부(46)와, 힌지돌부(45)와 마주하는 힌지벽부(41)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힌지통로(47)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보조돌부(46)는 도 10처럼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수평덮개(43b)와 힌지벽부(41) 사이에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보조돌부(46)는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밑판(10)으로부터 측판(20)의 좌우유동을 최소화해줌과 함께 힌지돌부(45)의 강성을 높여준다.
힌지통로(47)는 힌지홈부(42)의 유입되는 이물질을 배출시켜 원활한 접이작동을 유도한다.
그리고 공구를 통해 힌지홈부(42)로부터 힌지돌부(45)를 이탈시켜 측판(20)의 분리를 유도한다.
즉, 도 12와 같이 힌지통로(47)를 통해 공구를 수평덮개(43b)와 힌지돌부(45) 사이에 삽입한 다음 외측으로 돌려주면, 힌지홈부(42)로부터 힌지돌부(45)를 이탈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측판(20)이 손상되어 교체나 정비가 필요한 경우 힌지통로(47)를 통해 측판(20)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
아울러 힌지홈부(42)에 접착성이나 고착성 이물질이 끼인 경우 힌지통로(47)를 통해 신속하게 조치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밑판
20: 측판
21: 내측돌부
22: 고정돌부
23: 고정후크
24: 간섭돌부
25: 제한슬릿
26: 외측돌부
27: 고정슬릿
28: 포켓돌부
30: 잠금부재
31: 잠금몸체
32: 걸림돌부
33: 손잡이
34: 빗장돌부
35: 탄성돌부
36: 제한돌부
40: 힌지수단
41: 힌지벽부
41a: 힌지곡면
42: 힌지홈부
43: 힌지덮개
43a: 수직덮개
43b: 수평덮개
43b-1: 경사면
43c: 보조덮개
44: 힌지블록
45: 힌지돌부
45a: 상면
45b: 하면
45c: 좌면
45d: 우면
46: 보조돌부
47: 힌지통로

Claims (11)

  1. 납작하게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접이식 상자에 있어서,
    물품을 수용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밑판(10);
    상기 밑판(10)의 사변마다 수평하게 장착되고, 상기 밑판(10)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져 수납공간을 마련해주는 측판(20);
    상기 전후측 측판(20)의 외면 양측에 각각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좌우측 측판(20)들과 맞물려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는 잠금부재(30);
    상기 밑판(10)과 측판(20)에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고, 상기 밑판(10)으로부터 측판(20)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힌지수단(40)은,
    상기 밑판(10)의 사변에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판(20)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벽부(41);
    상기 힌지벽부(41)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내측방향과 상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함몰 형성된 힌지홈부(42);
    상기 힌지홈부(42)의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부(42)의 내측과 상측을 복개하여 측판(20)의 이탈이 차단되게 구속하는 힌지덮개(43);
    상기 힌지홈부(42)와 대향하는 측판(20)의 단부마다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부(4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블록(44);
    상기 힌지블록(44)의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덮개(43)에 구속되어 밑판(10)으로부터 측판(2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돌부(4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힌지수단(40)은,
    상기 전후측 측판(20)이 배치되는 전후측 힌지벽부(41)는 밑판(10)의 상측에 접혀진 전후측 측판(20)을 수용하는 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좌우측 측판(20)이 배치되는 좌우측 힌지벽부(41)는 밑판(10)의 상측에 접혀진 전후측 측판(20)과, 전후측 측판(20)에 접혀진 좌우측 측판(20)을 수용하는 높이로 돌출되되,
    상기 힌지벽부(41)는 측판(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간섭이 차단되도록 내측 가장자리에 측판(20)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진 힌지곡면(41a);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힌지덮개(43)는,
    상기 힌지홈부(42)의 양측에 힌지벽부(41)의 높이까지 수직하게 돌출되어 내/외측으로 힌지돌부(45)의 이탈을 차단하는 수직덮개(43a);
    상기 수직덮개(43a)의 상단에 힌지벽부(41)로부터 힌지돌부(45)를 구속 가능한 틈새를 두고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어 상측으로 힌지돌부(45)의 이탈을 차단하는 수평덮개(43b);
    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덮개(43b)는,
    상기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힌지돌부(45)가 힌지홈부(42)에 억지끼움으로 통과 삽입되도록 외측에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각도로 경사져 틈새의 확장 변형력을 전달받는 경사면(43b-1);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힌지덮개(43)는,
    상기 수직덮개(43a)와 수평덮개(43b)의 사이에 힌지블록(44)을 따라 공전하는 힌지돌부(45)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위치와 크기로 돌출되고, 상기 측판(2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힌지돌부(45)와 맞물리거나 소정의 틈새를 두고 이격되어 측판(20)의 유동을 차단하거나 최소화시키는 보조덮개(43c);
    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힌지돌부(45)는,
    상기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상/하/좌/우면(45a)(45b)(45c)(45d)을 갖는 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면(45a)은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수평덮개(43b)의 하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면(45b)은 측판(2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덮개(43b)의 외면에 밀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우면(45d)은 측판(2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보조덮개(43c)의 하면과 마주하거나 밀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측판(20)이 세워질 때는 힌지돌부(45)가 힌지덮개(43)와 맞물려 측판(20)의 유동을 차단해주고, 측판(20)이 접어질 때는 힌지돌부(45)와 힌지덮개(43)의 물림이 해제되어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힌지수단(40)은,
    상기 힌지블록(44)의 양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판(20)이 수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수평덮개(43b)와 힌지벽부(41) 사이에 배치되어 밑판(10)으로부터 측판(20)의 유동을 최소화하며 힌지돌부(45)의 강성을 높여주는 보조돌부(46);
    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힌지수단(40)은,
    상기 힌지돌부(45)와 마주하는 힌지벽부(41)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부(42)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배출하며 공구를 통해 힌지홈부(42)로부터 힌지돌부(45)를 이탈시켜 측판(20)의 분리를 유도하는 힌지통로(47);
    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잠금부재(30)는,
    상기 전후측 측판(20)의 외면 양측에 좌우측 측판(20)을 향해 각각 벌림과 오므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막대형 잠금몸체(31);
    상기 잠금몸체(31)의 일단에 상하방향을 향해 외면과 단차지게 돌출되어 전후측 측판(20)에 감싸지는 걸림돌부(32);
    상기 잠금몸체(31)의 일단에 소정 형상으로 돌출되어 사용자로부터 오므림 이동력을 전달받는 손잡이(33);
    상기 잠금몸체(31)의 타단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벌림과 오므림 이동에 따라 좌우측 측판(20)에 삽입 및 이탈되는 빗장돌부(34);
    상기 잠금몸체(31)와 손잡이(33)에 각각 경사지게 돌출되어 전후측 측판(20)으로부터 좌우측 측판(20)을 향해 벌림 이동력을 부가하는 탄성돌부(35);
    상기 잠금몸체(31)의 타단과 전후측 측판(20)과 마주하는 일면 중앙에 상하측과 내측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벌림 이동과 오므림 이동을 제한받는 제한돌부(36);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측판(20)은,
    상기 좌우측 측판(20)과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세워지도록 양단에 좌우방향을 향해 외면과 단차지게 돌출되는 내측돌부(21);
    상기 좌우측 측판(20)에 삽입되도록 내측돌부(21)의 외면 상하측에 전후방향을 향해 소정 크기로 돌출되는 고정돌부(22);
    상기 잠금부재(30)들을 각각 좌우로 벌림 및 오므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외면 양측에 잠금부재(30)가 감싸지게 돌출되는 고정후크(23);
    상기 잠금부재(30)들이 간섭되어 벌림 이동력이 축적되도록 외면 양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간섭돌부(24);
    상기 잠금부재(30)와 맞물려 오므림 이동이 제한되도록 외면 양측에 전후방향을 향해 소정 크기로 관통되는 제한슬릿(25);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측판(20)은,
    상기 내측돌부(21)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세워지도록 양단에 좌우방향을 향해 내면과 단차지게 돌출되는 외측돌부(26);
    상기 고정돌부(22)가 삽입되도록 외측돌부(26)의 상하측에 전후방향을 향해 소정 크기로 관통되는 고정슬릿(27);
    상기 잠금부재(3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양단에 외측돌부(26)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돌출되는 포켓돌부(28);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20073864A 2022-06-17 2022-06-17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KR102505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864A KR102505455B1 (ko) 2022-06-17 2022-06-17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864A KR102505455B1 (ko) 2022-06-17 2022-06-17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455B1 true KR102505455B1 (ko) 2023-03-06

Family

ID=8550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864A KR102505455B1 (ko) 2022-06-17 2022-06-17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4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031Y1 (ko) * 1999-07-19 2000-02-15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조립이간편한절첩식상자
JP2009029484A (ja) * 2007-07-30 2009-02-12 Sanko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11037499A (ja) * 2009-08-17 2011-02-24 Mitsubishi Plastics Inc 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2012224361A (ja) * 2011-04-19 2012-11-15 Sanko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
KR20130091947A (ko) * 2012-02-09 2013-08-20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KR101831840B1 (ko) 2015-11-17 2018-02-23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접이식 상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031Y1 (ko) * 1999-07-19 2000-02-15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조립이간편한절첩식상자
JP2009029484A (ja) * 2007-07-30 2009-02-12 Sanko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11037499A (ja) * 2009-08-17 2011-02-24 Mitsubishi Plastics Inc 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2012224361A (ja) * 2011-04-19 2012-11-15 Sanko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
KR20130091947A (ko) * 2012-02-09 2013-08-20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KR101831840B1 (ko) 2015-11-17 2018-02-23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접이식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481B1 (en) Collapsible movable cart
CN107428436B (zh) 容器组件
US4982863A (en) Portable box
EP2436492B1 (en) Container assembly
US7584830B2 (en) Suitcase and desk combination device
US20090256454A1 (en) Containers and container system
US5251731A (en) Collapsible suitcase
US7086510B2 (en) Expandable luggage and expansion mechanism
KR200445540Y1 (ko) 접이식 수납함
US20090114653A1 (en) Storage container with locking handle
PT1437306E (pt) Mecanismo de fecho de um recipiente para transporte
US20100012672A1 (en) Case with deployable structure
EP0911268A1 (en) Collapsible container
CN107157058A (zh) 具有偏移支撑构件的行李物品
KR102505455B1 (ko) 견고한 힌지구조로 우수한 내구성과 사용편의성을 보장하는 접이식 상자
RU2302361C2 (ru) Коробка для сверл
AU2018204276A1 (en) A Reconfigurable Container
KR200372597Y1 (ko) 회전 트레이 화장품 용기의 구조
PT2354025E (pt) Caixa
JP6621670B2 (ja) 収納カゴ
KR200485956Y1 (ko) 레져용 탈착식 소품선반
JP5791182B2 (ja) グリップカバーと、支持部と、回転および固定可能な中棒とを備えるポケット傘
KR100369451B1 (ko) 수납형 침대
KR101277459B1 (ko) 접이식 수납체
KR200322234Y1 (ko) 수납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