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812Y1 - 절첩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812Y1
KR200451812Y1 KR2020080015195U KR20080015195U KR200451812Y1 KR 200451812 Y1 KR200451812 Y1 KR 200451812Y1 KR 2020080015195 U KR2020080015195 U KR 2020080015195U KR 20080015195 U KR20080015195 U KR 20080015195U KR 200451812 Y1 KR200451812 Y1 KR 200451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pressing
protrusion
locking
fol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304U (ko
Inventor
박창섭
Original Assignee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5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81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8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상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측벽에 연결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제2측벽이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절첩상자에 관한 것이다.
Figure R2020080015195
절첩, 상자

Description

절첩상자{A foldable box}
본 고안은 절첩상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측벽에 연결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제2측벽이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재가 설치되는 절첩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절첩상자는 한국등록실용 제20-0407979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하부판(10)의 양단측 가장자리 상단에 형성된 측벽 두께의 낮은 돌출단(11)의 내측요함구(11a)와 양장측 가장자리 상단에 형성된 측벽 2배 두께의 높은 돌출단(12)의 내측요함구(12a)에 장,단측벽(20)(30)의 하단에 돌출된 축대(21)(31)의 양쪽 축핀(21a)(31a)을 압입시켜 하부판(10)의 장,단측가장자리에서 양 장,단측벽(20)(30)이 전개 또는 절첩될수 있도록 굴대 설치된 절첩식 상자에 있어서 양 단측벽(30)과 상접하는 양 장측벽(20)의 양측변 외측면에 종으로 상,중,하 통공(23a)(23b)(23c)을 형성시킨 결속대(22)를 직각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이와 대응지게 양 단측벽(30)의 양측변 외측함입부(32)에는 장측벽(20) 결속대(22)의 상,중,하 통공 (23a)(23b)(23c)에 삽입 될수 있는 크기의 외측선단이 경사진 상,중,하 돌 출구(33a)(33b)(33c) 형성시키고 양 단측벽(30)의 외측상단부에 돌출된 이중 횡리브(34)(35)의 사이간격 함입단의 좌우양쪽 끝단에는 종통공(36a)을 관통시킨 외측격편(36)을 형성시키고 외측의 중간 내부쪽에 체결돌기(51)를, 하부쪽에 사선방향탄력편(52)을, 그리고 외부면 외측쪽 가운데에 외향경사진 삼각돌기(53)를 각각 형성시킨 체결구(50)를 좌우양쪽 외측격편(36)의 내부쪽으로 외측 체결돌기(51)가 상돌출구(33a)의 중앙을 관통시킨 통공(37)을 통해 외부로 돌출이 되고 하부쪽의 사선방향 탄력편(52)이 외측격편(36) 내부의 하면에 상접이 되고 외부면의 외향경사진 삼각돌기(53)가 외측격편(36)의 종통공(36a)에 끼워지도록 삽입시키고 이렇게 좌우양쪽의 외측격편에 삽입된 양쪽체결구(50)의 사이에 손잡이 함입단(41)이 중간부에 형성된 작동대(40)를 양쪽 외측접속부(42)로서 양쪽 체결구(50)의 접속요함부(54)에 압입으로 연결시켜서 좌우양쪽 체결구의 하부쪽 사선방향 탄력편(52)으로 상향 탄발되는 작동대(40)를 손잡이 함입단(11)으로 하향으로 눌렀을 때 체결구의 외측 체결돌기(51)가 이와 상접하는 장측벽(20) 양측변 외측면 상부단 내측에 형성시킨 체결홈(24)의 상부 내측돌기(24a)에 걸려 있다가 하향하면서 분리가 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장측벽(20)과 단측벽(30)의 탈착과정이 복잡하고 구조도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개의 측벽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절첩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절첩상자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측벽에 연결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제2측벽이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은 상기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재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를 슬라이딩 시키는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2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전달부가 걸리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누름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 양측에는 날개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절첩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측벽에 연결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제2측벽이 걸 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을 한손으로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고 절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은 상기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2측벽이 상기 경사면을 타고 원활하게 직립상태로 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재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를 슬라이딩 시키는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2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전달부가 걸리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전달부가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전달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탈착이 원활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누름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 양측에는 날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누름부는 사용시에는 탄성변형되며 비사용시에는 상기 날개부는 탄성변형되지 않아서 상기 누름부가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탈착이 원할하게 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고안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상자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상자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C-C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D-D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측벽과 제2측벽 분리 상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상자 절첩상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절첩상자는, 바닥면(100)과, 상기 바닥면(100)에 설치되는 제1측벽(200)과, 상기 바닥면(100)에 설치되며, 상기 제1측벽(200)에 연결되는 제2측벽(3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벽(200)에는 상기 제2측벽(300)이 걸리는 걸림돌기(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300)에는 상기 걸림돌기(220)를 누르는 누름부재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00)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여러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100)의 가장자리인 각 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110, 120)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가 긴 변의 돌출부(110)는 길이가 짧은 변의 돌출부(120)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110,120)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이 순차적으로 절첩될 수 있다.
돌출부(110, 120)에는 절개홈이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제1측벽(200)은 바닥면(100)의 길이가 긴 변의 돌출부(110) 상부에 설치된다.
제1측벽(200)의 하부에는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240)가 형성되어, 바닥면(100)에 힌지 등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측벽(200)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단에 걸림턱(210)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턱(21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끼움공(211)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측벽(200)에는 제2측벽(300)이 걸리는 걸림돌기(220)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20)는 제1측벽(200)의 양측단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20)는 제1측벽(2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제1측벽(200)에 일단이 연결된다.
이로 인해, 걸림돌기(220)는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도 4,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20)는 제1측벽(200)의 끝단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220)의 내측면에는 경사면(221)이 형성되어, 양측에 배치되는 걸림돌기(220)의 사이간격은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더 가까워지게 된다.
제2측벽(300)은 바닥면(100)의 길이가 짧은 변의 돌출부(120) 상부에 설치된다.
제2측벽(300)의 하부에는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340)가 형성되어, 바닥면(100)에 힌지 등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측벽(300)의 외측 양단에는 끼움공(211)에 삽입되는 끼움돌기(33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측벽(300)은 걸림돌기(220)에 의해 제1측벽(200)에 연결된다.
제2측벽(300)에는 걸림돌기(220)를 누르는 누름부재가 설치되어, 제1측벽(200)으로부터 이탈도 가능해진다.
상기 누름부재는 누름부(320)와 상기 누름부(320)를 슬라이딩 시키는 전달부(31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320)는 속이 빈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돌출부(322)가 형성된다.
누름부(320) 양측에는 가이드돌기(32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누름부(320)는 외측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누름판(324)과 이음부(323)에 의해 연결된다.
누름판(324)은 이음부(323)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누름부(320)의 이음부(323) 양측에는 날개부(325)가 돌출형성된다.
자유상태의 날개부(325)는 양측 날개부(325)의 사이간격이 외측으로 향할수록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전달부(310)는 일단에 하부로 절곡된 제1절곡부(311)가 형성되며, 타단에 하 부로 절곡된 제2절곡부(313)가 형성된다.
제1절곡부(311)와 제2절곡부(313) 사이에는 단차부(312)가 계단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310)는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되는 제1삽입공(314)과 제2삽입공(315)이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달부(310)에는 제1삽입공(314)과 제2삽입공(315)에 각각 연통되며, 내측이 개방되는 제1절개공(316)과 제2절개공(317)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부재는 네개가 구비되어 두개의 제2측벽(3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2측벽(300)의 외측면에는 제1안착부(302)와 제1안착부(302)에 연통되는 제2안착부(303)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제2측벽(300)에는 전달부(310)의 제1절곡부(311)가 걸리는 제1걸림돌기(301)가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301)는 제1안착부(302)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2측벽(30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양측에 배치되는 전달부(310)가 모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착부(302)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부 또는 하부에 제2걸림돌기(307)와 제3걸림돌기(308)가 배치된다.
제2걸림돌기(307)와 제3걸림돌기(308)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제2걸림돌기(307)와 제3걸림돌기(308)는 제2삽입공(315)과 제1삽입공(314)에 각각 삽입되어, 전달부(310)는 제2측벽(30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측벽(300) 양단에는 누름부(320)의 누름판(324)이 관통되는 관통공(306)이 형성된다.
관통공(306)은 제2안착부(302)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2측벽(300)에는 제2안착부(302) 내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돌기(32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출부(305)가 돌출형성된다.
가이드돌출부(305)의 외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측벽(300)에는 제2안착부(302)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경사면(304)이 형성되어, 날개부(325)를 지지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누름부(320)와 전달부(310)의 조립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부(320)는 제2안착부에 근접하도록 배치시킨 후에, 누름부(320)를 상자의 중심방향으로 누른다.
이로 인해, 누름부(320)는 가이드돌출부(305)의 경사진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2측벽(300)과 가이드돌출부(305) 사이에 가이드돌기(321)가 배치된다.
이어서, 누름부(320)를 제1측벽(200)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누름판(324)을 관통공(306)에 관통시킨다.
전달부(310)는 제1절개공(316)과 제2절개공(317)에 제3걸림돌기(308)와 제2걸림돌기(307)가 각각 삽입되도록 제1안착부(302)에 배치시킨 후에, 제1측벽(200)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제3걸림돌기(308)와 제2걸림돌기(307)가 제1삽입공(314) 와 제2삽입공(315)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3걸림돌기(308)와 제2걸림돌기(307)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누름부(320)와 전달부(310)의 조립은 완료된다.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의 탈착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측벽(200)을 직립시킨 후에, 제2측벽(300)도 바깥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측벽(300)은 걸림돌기(220)의 경사면(221)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걸림돌기(220)는 탄성변형되어 양측에 배치되는 걸림돌기(220)의 사이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측벽(300)은 경사면(221)을 타고 원활하게 직립상태로 될 수 있다.
계속적으로 제2측벽(300)을 회전시키면, 끼움돌기(330)는 끼움공(211)에 삽입되고, 제2측벽(300)은 걸림턱(210)에 걸려서 더이상 바깥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20)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며 걸림돌기(220)와 걸림턱(210) 사이에 제2측벽(300)의 양단은 배치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은 서로 결합되게 된다. 즉, 별도의 작업 없이 제2측벽(300)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은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의 결합시 또는 상기 누름부재에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누름부(320)의 누름판(324)은 제2측벽(300)의 양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된다.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을 서로 분리시키는 과정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양측에 배치된 전달부(310)를 제1측벽(200)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누름부(320)도 슬라이딩된다.
한편, 전달부(310)는 제1걸림돌기(301), 제2걸림돌기(307), 제3걸림돌기(308)에 의해 걸려서 일정길이가 슬라이딩되면 더이상 슬라이딩되지 않아서, 전달부(310)가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달부(3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탈착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325)는 탄성변형되어 두개의 날개부(325) 사이 간격은 좁아지면서, 누름부(320)의 누름판(324)은 제2측벽(300)의 양단보다 돌출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측벽(300)의 양단을 구속하고 있던 걸림돌기(220)는 누름판(324)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걸림돌기(220)의 사이 간격은 벌어지게 되고 제2측벽(300)은 상자의 중심쪽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작업자가 제2측벽(300)을 상자의 중심방향으로 밀게 되면 끼움돌기(330)는 끼움공(21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써,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은 서로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측벽(300)을 구속하는 걸림돌기(220)를 미는 상기 누름부재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은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이 서로 분리되는 과정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전달부(310)를 슬라이딩시키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변형되었던 날개부(325)는 원상태로 복귀되어 누름부(320)의 누름판(324)은 제2측벽(300)의 양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누름부(320)의 날개부(325)는 사용시에는 탄성변형되며 비사용시에는 탄성변형되지 않아서 누름부(320)가 걸림돌기(220)를 누르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탈착이 원할하게 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200)을 상자 내측으로 회전시켜서 제2측벽(300)의 상부에 배치시키면 상자의 절첩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첩상자는, 특히, 두개의 측벽을 순차적으로 바닥면에 적층시켜서 절첩시키는 방식의 절첩상자에 적합하다.
도 1은 종래의 절첩식 상자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상자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상자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6은 도 2의 C-C 단면도.
도 7은 도 2의 D-D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측벽과 제2측벽 분리 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상자 절첩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바닥면 200 : 제1측벽
210 : 걸림턱 211 : 끼움공
220 : 걸림돌기 221 : 경사면
300 : 제2측벽 301 : 제1걸림돌기
302 : 제1안착부 303 : 제2안착부
304 : 경사면 305 : 가이드돌출부
306 : 관통공 307 : 제2걸림돌기
308 : 제3걸림돌기 310 : 전달부
311 : 제1절곡부 312 : 단차부
313 : 제2절곡부 320 : 누름부
321 : 가이드돌기 322 : 돌출부
323 : 이음부 324 : 누름판
325 : 날개부 330 : 끼움돌기

Claims (2)

  1. 삭제
  2.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측벽;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측벽에 연결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제2측벽이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누름부재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를 슬라이딩 시키는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제2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전달부가 걸리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누름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 양측에는 날개부가 돌출형성되는 절첩상자.
KR2020080015195U 2008-11-14 2008-11-14 절첩상자 KR200451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195U KR200451812Y1 (ko) 2008-11-14 2008-11-14 절첩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195U KR200451812Y1 (ko) 2008-11-14 2008-11-14 절첩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04U KR20100005304U (ko) 2010-05-25
KR200451812Y1 true KR200451812Y1 (ko) 2011-01-13

Family

ID=4424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195U KR200451812Y1 (ko) 2008-11-14 2008-11-14 절첩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8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40B1 (ko) * 2012-02-09 2013-11-29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KR101373713B1 (ko) * 2012-02-09 2014-03-13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KR101831840B1 (ko) 2015-11-17 2018-02-23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접이식 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270B1 (ko) * 2018-05-09 2020-02-06 (주)케이엠피 절첩식 상자
KR102503482B1 (ko) * 2021-01-25 2023-02-24 하성아 조립식 슬라이드 수납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92A (ko) * 2001-11-12 2003-05-22 주식회사 쓰리지소프트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3디로 제작된 건설/건축물제공방법과 그 관리시스템
KR20030039429A (ko) * 2001-11-13 2003-05-22 오경식 한약재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KR20030073835A (ko) * 2002-03-13 2003-09-19 한국섬유기술연구소 감즙 분말 및 인공광원을 이용한 천연 감즙 염색포 제조방법
KR200339392Y1 (ko) 2003-10-10 2004-01-24 주식회사 칼스로지스틱 접철식 운반 상자
KR200339429Y1 (ko) 2003-10-24 2004-01-28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절첩식 상자
KR200373835Y1 (ko) 2004-11-05 2005-01-21 최진형 플라스틱제의 접철식 상자
KR100480197B1 (ko) 2002-07-12 2005-03-31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철식 운반상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92A (ko) * 2001-11-12 2003-05-22 주식회사 쓰리지소프트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3디로 제작된 건설/건축물제공방법과 그 관리시스템
KR20030039429A (ko) * 2001-11-13 2003-05-22 오경식 한약재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KR20030073835A (ko) * 2002-03-13 2003-09-19 한국섬유기술연구소 감즙 분말 및 인공광원을 이용한 천연 감즙 염색포 제조방법
KR100480197B1 (ko) 2002-07-12 2005-03-31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철식 운반상자
KR200339392Y1 (ko) 2003-10-10 2004-01-24 주식회사 칼스로지스틱 접철식 운반 상자
KR200339429Y1 (ko) 2003-10-24 2004-01-28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절첩식 상자
KR200373835Y1 (ko) 2004-11-05 2005-01-21 최진형 플라스틱제의 접철식 상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40B1 (ko) * 2012-02-09 2013-11-29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KR101373713B1 (ko) * 2012-02-09 2014-03-13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KR101831840B1 (ko) 2015-11-17 2018-02-23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접이식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04U (ko) 201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812Y1 (ko) 절첩상자
US7628382B2 (en) Nail extractor, moulding remover and pry bar tool with indexable head
US5730542A (en) Joint for a playen
TWM550964U (zh) 薄型鉸鏈
CN109018639B (zh) 卡板箱
EP2937580A1 (en) Hinge structure
US9647375B2 (en) Power connector products with improved safety shutters
US20090020528A1 (en) Box Assembly that is Assembled Easily and Quickly
US7352566B2 (en) Common lock for dual-usage portable computer
KR102159968B1 (ko) 절첩식 상자
US7156682B1 (en) Electric socket
KR102145770B1 (ko) 절첩식 상자
KR200407979Y1 (ko) 사용이 간편한 절첩식 상자
CN112012426B (zh) 对嵌式锁扣板材及扣合方法
CN212507192U (zh) 对嵌式锁扣板材
US10800018B2 (en) Crimping tool
JP6370656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KR101509040B1 (ko) 절첩식 상자
JP2010529393A (ja) 異形品を相手異形品に取外し可能に結合するための取付け装置
JP2020033042A (ja) 折畳コンテナ
JP2002248883A (ja) 綴じ具
JP4577764B2 (ja) 組立式合成樹脂製容器
US6471536B1 (en) Zero Insertion Force socket having mechanical fastening device
JP4502623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DE202008010973U1 (de) Netzstromadapter mit austauschbarem Ste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