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040B1 - 절첩식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040B1
KR101509040B1 KR20130018003A KR20130018003A KR101509040B1 KR 101509040 B1 KR101509040 B1 KR 101509040B1 KR 20130018003 A KR20130018003 A KR 20130018003A KR 20130018003 A KR20130018003 A KR 20130018003A KR 101509040 B1 KR101509040 B1 KR 10150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hinge
guide
connecting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168A (ko
Inventor
최병민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2013001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04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중간부분과, 상기 중간부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제1측벽;과, 상기 연결부분에 연결되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절첩이 신속하게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상자{folding box}
본 발명은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중간부분과, 상기 중간부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제1측벽;과, 상기 연결부분에 연결되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절첩이 신속하게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절첩상자는 한국등록실용 제20-0407979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하부판(10)의 양단측 가장자리 상단에 형성된 측벽 두께의 낮은 돌출단(11)의 내측요함구(11a)와 양장측 가장자리 상단에 형성된 측벽 2배 두께의 높은 돌출단(12)의 내측요함구(12a)에 장,단측벽(20)(30)의 하단에 돌출된 축대(21)(31)의 양쪽 축핀(21a)(31a)을 압입시켜 하부판(10)의 장,단측가장자리에서 양 장,단측벽(20)(30)이 전개 또는 절첩될수 있도록 굴대 설치된 절첩식 상자에 있어서 양 단측벽(30)과 상접하는 양 장측벽(20)의 양측변 외측면에 종으로 상,중,하 통공(23a)(23b)(23c)을 형성시킨 결속대(22)를 직각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이와 대응지게 양 단측벽(30)의 양측변 외측함입부(32)에는 장측벽(20) 결속대(22)의 상,중,하 통공(23a)(23b)(23c)에 삽입 될수 있는 크기의 외측선단이 경사진 상,중,하 돌출구(33a)(33b)(33c) 형성시키고 양단측벽(30)의 외측상단부에 돌출된 이중 횡리브(34)(35)의 사이간격 함입단의 좌우양쪽 끝단에는 종통공(36a)을 관통시킨 외측격편(36)을 형성시키고 외측의 중간 내부쪽에 체결돌기(51)를, 하부쪽에 사선방향탄력편(52)을, 그리고 외부면 외측쪽 가운데에 외향경사진 삼각돌기(53)를 각각 형성시킨 체결구(50)를 좌우양쪽 외측격편(36)의 내부쪽으로 외측 체결돌기(51)가 상돌출구(33a)의 중앙을 관통시킨 통공(37)을 통해 외부로 돌출이되고 하부쪽의 사선방향 탄력편(52)이 외측격편(36) 내부의 하면에 상접이 되고 외부면의 외향경사진 삼각돌기(53)가 외측격편(36)의 종통공(36a)에 끼워지도록 삽입시키고 이렇게 좌우양쪽의 외측격편에 삽입된 양쪽체결구(50)의 사이에 손잡이 함입단(41)이 중간부에 형성된 작동대(40)를 양쪽 외측접속부(42)로서 양쪽체결구(50)의 접속요함부(54)에 압입으로 연결시켜서 좌우양쪽 체결구의 하부쪽 사선방향 탄력편(52)으로 상향 탄발되는 작동대(40)를 손잡이 함입단(11)으로 하향으로 눌렀을 때 체결구의 외측 체결돌기(51)가 이와 상접하는 장측벽(20) 양측변 외측면 상부단 내측에 형성시킨 체결홈(24)의 상부 내측돌기(24a)에 걸려 있다가 하향하면서 분리가 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장측벽(20)과 단측벽(30)의 탈착과정이 복잡하고 구조도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절첩이 신속하게 될 수 있는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중간부분과, 상기 중간부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제1측벽;과, 상기 연결부분에 연결되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부분과 상기 연결부분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중간부분의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부분과 상기 연결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중간부분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재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양끝단이 상기 연결부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분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중간부분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누름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도록 절첩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 내측에는 후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분에는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끼움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구멍은 상기 걸림부재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고리가 상기 중간부분의 경사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제2측벽이 절첩될 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힌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힌지편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편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회동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의 폭방향 자유단 끝으로부터 상기 회동가이드돌기까지 거리는 상기 힌지편에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회동가이드돌기까지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측벽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편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분에는 절첩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하는 제1절개홈이 형성된 제1힌지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지지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1힌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분에는 상기 제1힌지지지부에 삽입되는 제2힌지축이 형성되고, 절첩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하는 제2절개홈이 형성된 제2힌지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제2측벽 중 하나에는 리브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리브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중간부분과, 상기 중간부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제1측벽;과, 상기 연결부분에 연결되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절첩이 신속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분과 상기 연결부분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중간부분의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부분과 상기 연결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절첩이 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중간부분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재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양끝단이 상기 연결부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분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여, 단순한 구조로 절첩이 신속하게 되고 펼쳐진 상태에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부분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누름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도록 절첩손잡이부가 형성되어, 걸림부재의 누름부를 사용자가 엄지로 누를때 검지, 중지, 약지 등으로 손잡이부를 잡을 수 있게 되어, 상자를 절첩할 경우 상기 제1측벽이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절첩시 제1측벽이 손에서 미끄러지면서 바닥면에 부딪혀서 큰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부재 하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경사지게 배치되어,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탄성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줄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 내측에는 후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분에는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끼움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구멍은 상기 걸림부재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단순한 구조로 상기 중간부분에 설치될 수 있는 동시에 슬라이딩도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고리가 상기 중간부분의 경사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분을 지지하는 상기 걸림부재의 양측의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제2측벽이 절첩될 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힌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힌지편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편이 벌어지면서 회동가이드돌기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편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회동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의 폭방향 자유단 끝으로부터 상기 회동가이드돌기까지 거리는 상기 힌지편에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회동가이드돌기까지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측벽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편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2측벽이 뉘어진 상태에 있을때는 상기 힌지편이 좌우로 벌어질 수 있어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상기 중간부분에는 절첩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하는 제1절개홈이 형성된 제1힌지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지지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1힌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분에는 상기 제1힌지지지부에 삽입되는 제2힌지축이 형성되고, 절첩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하는 제2절개홈이 형성된 제2힌지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측벽이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중간부분과 상기 연결부분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제2측벽 중 하나에는 리브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리브삽입홈이 형성되어, 상자를 절첩하여 적층했을 때 적층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절첩식 상자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가이드부 및 힌지편 부분확대도.
도 5는 상자가 절첩되었을 때 도 4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2의 중간부분과 연결부분을 조립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 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중간부분과 연결부분을 조립할 때 처음 공정을 나타내 주는 사시도.
도 7a는 도 7의 a-a단면도.
도 8은 도 2의 중간부분과 연결부분을 조립할 때 두번째 공정을 나타내 주는 사시도.
도 8a는 도 8의 b-b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를 적층하는 상태를 나타내 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 절첩과정을 나타내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2의 제1측벽회동축부 확대도.
도 12는 도 3의 제1측벽회동축부 부분 수평 단면도.
도 13은 도 2의 가이드부 및 힌지편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 절첩손잡이부 정면 확대도.
도 15는 도 14의 절첩손잡이부 수직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 수평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에서 걸림부재를 뺀 상태의 중간부분과 연결부분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수직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가이드고리 부분에 걸림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수직 단면도.
도 21은 도 19에서 걸림부재가 아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절첩식 상자는, 바닥면(100);과 상기 바닥면(100)에 설치되며, 중간부분(210)과, 상기 중간부분(21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분(220)을 포함하는 제1측벽(200);과, 상기 연결부분(220)에 연결되는 제2측벽(300);과, 상기 제1측벽(200)과 상기 제2측벽(30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걸림부재(400)를 포함한다.
바닥면(100)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닥면(100)은 길이가 긴 변에는 제1측벽연결부(110)가 형성되고, 길이가 짧은 변에는 제2측벽연결부(120)가 형성된다.
제1,2측벽연결부(110, 120)는 바닥면(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측벽연결부(110)보다 제2측벽연결부(120)가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측벽연결부(110)에는 제1측벽힌지설치부(112)가 다수개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힌지설치부(112)는 상하방향 및 상자의 내측방향으로 개방된 제1삽입홈(112a)과, 제1삽입홈(112a)에 연통되며 제1삽입홈(112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개방되는 제2삽입홈(112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삽입홈(112a)이 상자의 내측방향으로 개방되어, 바닥면(100)의 제1측벽연결부(110)는 이하 서술되는 중간부분(210)이 직립시 중간부분(210)을 지지한다.
나아가, 제1측벽힌지설치부(112)에는 제1삽입홈(112a)의 양측 및 제2삽입홈(112b)에 연통되도록 절개부(112d)가 형성된다. 절개부(112d)는 하부 및 상자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측벽힌지설치부(112)에는 제2삽입홈(112b)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드경사면(112c)이 형성된다. 가이드경사면(112c)은 이하 서술되는 제1측벽회동축부(215)의 축돌기(215e)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어 제2삽입홈(112b)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제1측벽연결부(110)의 외측면 양측에는 연결부분연결부(330)가 안착되는 안착홈(111)이 형성된다.
제2측벽연결부(120)에는 제2측벽고정돌기(350)가 삽입되는 고정돌기삽입홈(121)이 여러개 형성된다.
바닥면(100)에서 제1측벽연결부(110)와 제2측벽연결부(120) 사이에는 가이드부(130)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30)는 이하 서술되는 제2측벽(300)이 절첩될 때 가이드한다.
가이드부(130)는 제1측벽연결부(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0)는 중심각이 90도인 원호형상의 판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30)의 외측면에는 원호형상의 가이드홈(131)이 형성된다.
가이드부(130)에는 이하 서술되는 힌지편(340)을 지지하는 지지벽(134)이 형성된다.
가이드부(130)에는 가이드부(13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벽(133)이 형성되어, 가이드부(130)의 외측면과 이격벽(133)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홈(132)이 형성된다.
이격벽(133)은 좌우길이보다 상하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바닥면(100)의 하면에는 바닥리브(14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리브(140)로 인해, 바닥면(100)의 하면에는 측벽리브삽입홈(141)이 형성된다.
제1측벽(200)은 바닥면(100)에 설치되며, 중간부분(210)과, 중간부분(21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분(220)을 포함한다.
중간부분(210)과 연결부분(220)이 연결되는 부분은 중간부분(210)의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간부분(210)과 연결부분(220)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부분(210)은 사다리꼴 모양의 판재로 형성된다.
중간부분(210)의 외측면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제1상하가이드홈(211)이 형성된다.
또한, 중간부분(210)에는 제1상하가이드홈(211)에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끼움구멍(21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끼움구멍(212)는 슬릿형상으로 형성된다. 끼움구멍(212)은 이하 서술되는 걸림부재(400)의 슬라이딩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나아가, 중간부분(210)의 내벽에는 제1상하가이드홈(211)의 양측에 연통되도록 보조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중간부분(210)의 외측면에는 상하가이드홈(211)과 교차되는 제2상하가이드홈(219)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중간부분(210)의 양측 경사면 부분에는 제2상하가이드홈(219)의 외측을 둘러싸는 가이드고리(217)가 형성된다.
즉, 가이드고리(217)는 중간부분(210)의 양측 경사면을 따라 형성된다.
중간부분(210)의 양측 경사면 부분에는 가이드고리(217)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절개부(219a)가 형성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210)에는 이하 서술되는 걸림부재(400)의 누름부(420)의 반대편에 배치되도록 절첩손잡이부(216)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216)는 제2상하가이드홈(219)의 중간 하부에 형성된다.
손잡이부(216)는 상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216c)과, 경사면(216c)의 끝단에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턱(216b)을 포함한다. 중간부분(210)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리브 중에서, 경사면(216c)하부에 배치되는 보강리브 상부에는 절개부(216d)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216c)과 걸림턱(216b)과 절개부(216d)로 인해 절첩시 검지, 중지, 약지 등이 들어갈 수 있는 손잡이홈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자를 절첩하기 위해 누름부(420)를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누를때 검지,중지, 약지 등을 손잡이부(216)의 손잡이홈에 넣어서 엄지와 반대방향으로 움켜쥘수 있게 되어 제1측벽(200)이 절첩이 완료될 때까지 손에서 미끌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측벽(200)이 절첩될 때 바닥면(100)과 부딪히지 않게 되어 큰 소리가 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부딪히는 충격으로 인해 상자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중간부분(210)에는 경사면(216c) 하부에 배치되도록 통공(216a)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210)에는 절첩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하는 제1절개홈(218)이 형성된 제1힌지지지부(214)가 형성되고, 제1힌지지지부(214)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1힌지축(213)이 형성된다. 제1힌지지지부(214)와 제1힌지축(213)은 중간부분(210)의 경사면 끝단(213a)에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힌지축(213)은 여러개 형성되며, 중간부분(210)의 경사면을 따라 배치된다.
제1힌지축(213)은 제2상하가이드홈(219)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1힌지지지부(214)는 제2상하가이드홈(219)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1힌지축(213)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부분(210)의 하부에는 제1측벽회동축부(215)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회동축부(215)는 중간에 배치되는 회동가이드(215a)와, 회동가이드(215a)의 양측에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회동축부(215b)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동가이드(215a)와 회동축부(215b) 사이에는 이격공간(215c)이 형성된다.
회동가이드(215a)는 상부가 중간부분(210)에 연결되며, 하단이 상자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동축부(215b)는 상부가 중간부분(210)에 연결되는 지지편(215d)과, 상기 지지편(215d)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축돌기(215e)를 포함한다.
축돌기(215e)는 끝단에 상자 내측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가이드(215a)는 제1측벽힌지설치부(112)의 제1삽입홈(112a)에 삽입되고, 회동축부(215b)의 축돌기(215e)는 제1측벽힌지설치부(112)의 제2삽입홈(112b)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1측벽회동축부(215)는 형성되어, 원활하게 탄성변형되어 중간부분(210)을 용이하게 바닥면(100)에 조립할 수 있고, 중간부분(210)이 원활하게 절첩될 수 있다.
연결부분(220)은 직삼각형의 판재로 형성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분(220)의 경사면에는 제1힌지지지부(214)에 삽입되는 제2힌지축(223)이 형성되고, 절첩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하는 제2절개홈(222a)이 형성된 제2힌지지지부(222)가 형성된다.
제2힌지축(223)와 제2힌지지지부(222)은 연결부분(220)의 경사면의 끝단(226)에 경사면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힌지지지부(222)에는 제1힌지축(213)이 삽입된다.
제2힌지지지부(222) 및 제2힌지축(223)은 제1힌지지지부(214) 및 제1힌지축(21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절개홈의 방향만 반대로 형성된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분(220)의 경사면에는 중간부분(210)의 상기 절개부(219a)에 삽입되는 돌출편(225)이 형성된다.
연결부분(220)의 수직한 변에는 제2측벽(3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측벽연결부(224)가 형성된다.
제2측벽연결부(224)는 여러개의 회동축(224a)과 여러개의 상기 회동축(224a)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돌기(224b)를 포함한다.
중간부분(210)과 연결부분(220)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결부분(220)을 접어진 상태로 중간부분(210) 위에 배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2힌지지지부(222)에 제1힌지축(213)을 삽입하고, 제2힌지축(223)은 제1힌지지지부(214)에 삽입시켜서 서로 결합시킨다. 결합이 완료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분(220)의 돌출편(225)이 이하 서술되는 걸림부재(400)의 바부분(410)의 양끝단(411)의 뒤쪽으로 오도록 연결부분(220)을 회전시켜서 펼친다. 이와 같이 단순한 공정을 통해 조립이 완료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2힌지지지부(214, 222)와 제1,2힌지축(213, 223)으로 인해 제1측벽(20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연결부분(220)의 제2힌지지지부(222)가 제1힌지축(213)과 중간부분(210)의 경사면 끝단(213a)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부분(220)이 내외측 어느 방향으로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중간부분(210)과 연결부분(220)이 서로 분리가 되지 않는다.
제2측벽(300)은 직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연결부분(220)에 연결된다.
제2측벽(300)은 제1측벽(200)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제2측벽(300)의 양측에는 연결부분(220)에 연결되는 연결부분연결부(330)가 형성된다.
연결부분연결부(330)는 제1측벽(20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결부분(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연결부분연결부(330)에는 걸림돌기(224b)가 삽입되는 관통공(331)이 형성되고, 회동축(224a)이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축지지부(332)가 형성된다.
제2측벽(300)의 연결부분연결부(330)의 하부에는 가이드부(130)의 외측에 배치되어 가이드부(130)에 의해 가이드되는 힌지편(340)이 형성된다.
힌지편(340) 내측에는 가이드홈(131)에 삽입되는 회동가이드돌기(341)가 형성된다.
힌지편(340) 하부 일측에는 삽입부(342)가 형성되어, 바닥면(100)에 형성된 삽입홈(132)에 삽입된다. 즉, 힌지편(340)의 일부인 삽입부(342)가 삽입홈(132)에 삽입된다.
힌지편(340)의 외측에는 삽입부(342)를 둘러싸는 걸림리브(343)가 형성된다. 삽입부(342)가 삽입홈(132)에 삽입될때, 걸림리브(343)는 이격벽(133)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힌지편(340) 및 삽입홈(132)으로 인해 제2측벽(300)이 직립상태에 있을 때, 이격벽(133)이 힌지편(340)이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힌지편(340)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회동가이드돌기(341)가 가이드홈(131)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측벽(300)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132)의 폭방향 자유단 끝으로부터 상기 회동가이드돌기(341)까지 거리(D)는 상기 힌지편(340)에서 상기 삽입홈(132)에 삽입되는 부분인 삽입부(342)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회동가이드돌기(341)까지 거리(d)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측벽(300)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편(340)은 상기 삽입홈(132)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제2측벽(300)이 뉘어진 상태에 있을때(절첩된 상태에 있을 때)는 삽입부(342)는 삽입홈(132)으로부터 이탈되어 힌지편(340)이 좌우로 벌어질 수 있어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나아가, 바닥면(100)과 제2측벽(300) 중 하나에는 리브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리브삽입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측벽(300)의 외측면에 강도보강을 위한 측벽리브(320)가 형성된다. 측벽리브(320)는 바닥면(100)에 형성된 측벽리브삽입홈(141)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절첩상태에 있는 상자를 적층시켜 놓았을 때 측벽리브(320)와 바닥리브(140)가 겹쳐지는 만큼 적층된 높이를 낮출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이 높아진다.
제2측벽(300)의 외측에는 손잡이(310)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걸림부재(400)는 제1측벽(200)과 제2측벽(30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걸림부재(400)는 중간부분(21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걸림부재(400)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430)가 구비된다.
걸림부재(40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부분(410)과, 바부분(410)의 중간 상부에 배치되는 누름부(420)와, 바부분(410)의 하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경사지게 배치되는 탄성부재(430)를 포함한다.
바부분(410)은 제2상하가이드홈(219) 내부에 배치되며, 바부분(410)의 양측은 가이드고리(217)를 통과한다.
즉, 가이드고리(217)는 걸림부재(400)가 상하로 슬라이딩될 때 걸림부재(400)의 양측을 가이드한다.
도 16 및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를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걸림부재(400)의 바부분(410)의 양끝단은 연결부분(220)의 돌출편(225)의 외측에 배치되어, 즉, 걸림부재(400)의 바부분(410)의 양끝단이 가이드고리(217)와 돌출편(225) 사이에 끼워져서, 걸림부재(400)의 바부분(410)은 빗장 역할을 하여 중간부분(210)과 연결부분(220)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즉, 걸림부재(400)의 바부분(410)의 양끝단은 중간부분(210)과 연결부분(220)의 외측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결부분(220)이 회동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즉, 걸림부재(400)의 바부분(410)의 양끝단은 연결부분(220)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지지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부분(410)의 양끝단(411)은 탄성부재(430)가 탄성변형될 때 가이드고리(217) 안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400)가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돌출편(225)을 지지하던 걸림부재(400)의 양끝단(411)의 구속이 해제되어 제1측벽(200)을 접을 수 있게 된다.
누름부(420)는 상하가이드홈(211) 내부에 배치되며, 누름부(420)의 양측에는 중간부분(210)의 상기 보조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보조가이드돌기(423)가 형성된다.
누름부(420)의 내측에는 중간부분에 후크돌기(422)가 형성된다. 후크돌기(422)는 두개가 형성되며, 두개의 후크돌기(42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후크돌기(422)는 중간부분(210)의 끼움구멍(212)에 삽입되어 가이드된다.
누름부(420)의 외측면에는 홈(421)이 형성되고, 홈(421)에는 누름부(420)를 누르는 방향을 표시해주는 표시부(421a)가 형성된다.
표시부(421a)는 아래를 향하는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고, 표시부(421a)는 구멍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탄성부재(430)는 바부분(41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상자 비사용시에는 사용자가 걸림부재(400)의 누름부(420)를 아래로 누른다. 이로 인해, 탄성부재(430)는 중심부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뉘어지고, 바부분(410)은 아래로 하강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분(220)이 직립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바부분(410)의 양끝단(411)이 하부로 하강되어, 연결부분(220)이 중간부분(210)에 대해 회동가능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중간부분(210)을 상자 안쪽으로 밀어넣으면 중간부분(210)과 연결부분(220)의 외측면이 서로 근접해지도록 절첩된다. 연결부분(220)이 절첩될 때, 연결부분(2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측벽(300)도 상자 안쪽으로 절첩되어 연결부분(220)의 위쪽에 위치된다. 절첩이 완료된 후에 누름부(420)를 누르는 힘을 없애면 탄성부재(430)는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원터치로 상자의 절첩이 신속하게 될 수 있다.
상자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제2측벽(300)을 상자 바깥쪽으로 들어올리면 제1측벽(200)은 펼쳐져서 직립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바닥면 210 : 중간부분
220 : 연결부분 300 : 제2측벽
400 : 걸림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중간부분과, 상기 중간부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제1측벽;
    상기 연결부분에 연결되는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분과 상기 연결부분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중간부분의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부분과 상기 연결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 내측에는 후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분에는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끼움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구멍은 상기 걸림부재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돌기는 두개가 형성되며, 두개의 상기 후크돌기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중간부분의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6. 삭제
  7. 삭제
  8.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중간부분과, 상기 중간부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제1측벽;
    상기 연결부분에 연결되는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제2측벽이 절첩될 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힌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힌지편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편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회동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의 폭방향 자유단 끝으로부터 상기 회동가이드돌기까지 거리는 상기 힌지편에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회동가이드돌기까지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측벽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편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힌지편이 좌우로 벌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9.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며, 중간부분과, 상기 중간부분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제1측벽;
    상기 연결부분에 연결되는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분에는 절첩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하는 제1절개홈이 형성된 제1힌지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지지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1힌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분에는 상기 제1힌지지지부에 삽입되는 제2힌지축이 형성되고, 절첩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하는 제2절개홈이 형성된 제2힌지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분을 접혀진 상태로 상기 중간부분 위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힌지지지부에 상기 제1힌지축을 삽입하고, 상기 제2힌지축을 상기 제1힌지지지부에 삽입시켜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10. 삭제
KR20130018003A 2013-02-20 2013-02-20 절첩식 상자 KR10150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8003A KR101509040B1 (ko) 2013-02-20 2013-02-20 절첩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8003A KR101509040B1 (ko) 2013-02-20 2013-02-20 절첩식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168A KR20140104168A (ko) 2014-08-28
KR101509040B1 true KR101509040B1 (ko) 2015-04-07

Family

ID=5174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8003A KR101509040B1 (ko) 2013-02-20 2013-02-20 절첩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653A (ko) * 2016-09-05 2018-03-15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파렛트 적층체의 결합구조
KR102377648B1 (ko) * 2021-10-22 2022-03-24 주식회사 레마 양측 개별 확장구조를 갖는 수납용 폴딩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563A (ja) * 1999-03-12 2000-09-19 Gifu Plast Ind Co Ltd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US6460717B1 (en) * 2001-08-29 2002-10-08 Rehrig Pacific Company Inwardly folding container
KR200407979Y1 (ko) * 2005-11-22 2006-02-06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사용이 간편한 절첩식 상자
JP2012020743A (ja) * 2010-07-12 2012-02-02 Meiji Rubber & Chem Co Ltd 組立自在な合成樹脂製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563A (ja) * 1999-03-12 2000-09-19 Gifu Plast Ind Co Ltd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US6460717B1 (en) * 2001-08-29 2002-10-08 Rehrig Pacific Company Inwardly folding container
KR200407979Y1 (ko) * 2005-11-22 2006-02-06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사용이 간편한 절첩식 상자
JP2012020743A (ja) * 2010-07-12 2012-02-02 Meiji Rubber & Chem Co Ltd 組立自在な合成樹脂製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168A (ko)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040B1 (ko) 절첩식 상자
JP2014133580A (ja) 段ボール製トレイ
JP2006062429A (ja) 台車
KR200451812Y1 (ko) 절첩상자
TWI464094B (zh) 收容箱
JP5459714B2 (ja) 折畳コンテナ
JP2005231723A (ja) 組立式合成樹脂製容器
KR101515509B1 (ko) 절첩식 상자
JP4167962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502623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KR101698127B1 (ko) 절첩식 상자의 커버 구조
JP6308973B2 (ja) 収納具
JP4577764B2 (ja) 組立式合成樹脂製容器
JP7278568B2 (ja) 組立てボックス
JP6736059B2 (ja) 棒体抜止機構
JP6266470B2 (ja) 折畳み容器
JP7334960B2 (ja) 嵩上部材及び嵩上部材付き容器
JP6216564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7150347B2 (ja) 仕切体
JP4128915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743406B2 (ja) 間仕切りパネル
JP2003102576A (ja) 着脱型ストッパ及び引出し
JP4560664B2 (ja) 天板付家具
KR20170003634U (ko) 보행자에게 상황 알림을 위한 상황알림판
JP4243010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