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968B1 - 절첩식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968B1
KR102159968B1 KR1020190077573A KR20190077573A KR102159968B1 KR 102159968 B1 KR102159968 B1 KR 102159968B1 KR 1020190077573 A KR1020190077573 A KR 1020190077573A KR 20190077573 A KR20190077573 A KR 20190077573A KR 102159968 B1 KR102159968 B1 KR 102159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in
locking
inclined surfa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일
최대현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9007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65D7/30Fastening devices for holding collapsible containers in erected state, e.g. integral with containe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65D9/22Fastening devices for holding collapsible containers in erected state, e.g. integral with container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각형의 변을 갖는 하판; 상기 하판의 각 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접하는 제1측판과 제2측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측판; 상기 제1측판의 기립을 유지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1측판에 구비되되 상기 제2측판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편이 연결되어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제2측판과 연결 또는 분리되는 록핀; 상기 제2측판에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록핀은 서로 분리된 제1록핀과 제2록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내측에 상기 제1록핀이 배치되는 제1걸림편과 외측에 상기 제2록핀이 배치되는 제2걸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록핀과 상기 제1걸림편 중 적어도 하나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록핀과 상기 제2걸림편 중 적어도 하나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1측판의 내측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편의 압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1측판의 외측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편의 압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구성에 의해 접힌 측판을 펼칠때 측판을 먼저 펼칠 필요없이 곧바로 기립시킬 수 있으며, 측판의 기립 이후에 제1측판을 외측면으로 개방 시킬 수 있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상자{Foldable Box}
본 발명은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힌 측판을 펼칠때 측판을 먼저 펼칠 필요없이 곧바로 기립시킬 수 있으며, 측판의 기립 이후에 제1측판을 외측면으로 개방 시킬 수 있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절첩식 상자들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2055호(특허문헌 1)에 게재된 바와 같이 측판을 내측으로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자는 내용물을 꺼내려면 개방되어 있는 상자의 상단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한편, 일부 또 다른 절첩식 상자들은 측판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어를 설치한 후에 도어만 외측으로 개방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도어 타입의 접이식 상자들은 도어만 개방되므로 도어보다 큰 내용물은 측면방향으로 넣을 수 없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8946호(특허문헌 2)와 같은 문헌이 있다.
한편, 일부 접이식 상자들은 측벽들은 외측으로 측벽 전체를 개방 할 수 있는 상자도 있으나, 이러한 상자들은 측벽을 펼치는데 우선 순위가 있다.
예를 들어 측벽이 모두 접힌 상자를 기준으로 측벽을 펼치고자 할 때, 먼저 펼쳐지는 측벽을 외측으로 완전히 펼쳐 놓은 후에, 접혀있는 다른 측벽을 기립 시키고, 이후에 상기 외측으로 펼쳐 놓은 측벽을 다시 기립시켜 고정하는 방식이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2055호(2009.03.04)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8946호(2009.09.0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측판이 모두 접힌 상자를 펼칠 때 측판을 외측으로 펼쳤다가 기립시키지 않고 바로 기립시킬 수 있는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접힌 측판 또는 펼쳐진 측판을 기립시키는 것이 용이한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측판이 기립됐을 때 비의도적으로 측판이 접히거나 펼쳐지지 않는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측판 기립시, 제2측판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측판의 기립 상태에서 제1측판이 기립될 때 제1측판과 제2측판의 결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록핀과 제2록핀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어 기립된 제1측판을 접거나 펼치는 것이 용이한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핀의 이탈이 방지되는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측판의 기립이 임시고정되어 측판의 기립이 용이한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측판이 기립된 상태에서 장측판인 제1측판을 외측으로 펼칠 수 있는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는, 다각형의 변을 갖는 하판; 상기 하판의 각 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접하는 제1측판과 제2측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측판; 상기 제1측판의 기립을 유지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1측판에 구비되되 상기 제2측판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편이 연결되어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제2측판과 연결 또는 분리되는 록핀; 상기 제2측판에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록핀은 서로 분리된 제1록핀과 제2록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내측에 상기 제1록핀이 배치되는 제1걸림편과 외측에 상기 제2록핀이 배치되는 제2걸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록핀과 상기 제1걸림편 중 적어도 하나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록핀과 상기 제2걸림편 중 적어도 하나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1측판의 내측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편의 압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1측판의 외측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편의 압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는,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1록핀에 형성되는 제1록핀경사면과, 상기 제1걸림편에 형성되고 상기 제1록핀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압축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2록핀에 형성되는 제2록핀경사면과, 상기 제2걸림편에 형성되고 상기 제2록핀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압축경사면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는, 상기 제1측판의 측면에 돌출편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편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판에는 측면과 내외측이 개방되어 상기 돌출편이 수용되는 수용홀과,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제1측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홀의 측부에 배치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는, 상기 돌출편의 테두리와 상기 수용홀을 형성하는 면의 테두리와 상기 삽입돌기의 테두리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는, 상기 제1록핀과 상기 제2록핀에 연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는, 상기 록핀은 상기 제1측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록핀에는 상기 제1측판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핀이 연결되되, 각각의 상기 연결핀에 상기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측판에는 상기 양측 록핀의 가이드가 모두 수용되는 가이드수용부가 형성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는, 상기 하판의 상부에는 기립유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하부에는 상기 기립유지돌기의 외측에 걸리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는, 상기 제1측판은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측판의 기립유지돌기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기립유지돌기와 외측기립유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판에는 상기 내측기립유지돌기와 외측기립유지돌기 사이의 공간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측판의 하부에는 상기 내측기립유지돌기와 상기 외측기립유지돌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 된다.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경사면간에 관계를 이용하여 록핀을 제2측판에서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측판이 모두 접힌 상자를 펼칠 때 측판을 외측으로 펼쳤다가 기립시키지 않고 바로 기립시킬 수 있다. 또한 펼쳐진 측판을 기립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를 당기지 않는 이상 록핀이 걸림편에 걸려있으므로, 모든 측판이 기립됐을 때 비의도적으로 측판이 접히거나 펼쳐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측판이 제1측판과 벌어지려고 하면 삽입돌기가 제1측판의 걸림돌기에 걸리므로 제2측판이 외부의 힘에 의해 벌어짐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측판, 제2측판에 경사면을 형성한 것은 제1측판의 기립시 제2측판이 하판을 기준으로 완벽하게 기립되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 있더라도 돌출편이 수용홀에 원활하게 수용되어 제1측판과 제2측판의 결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의 잠금핀을 동시에 제2측판과 분리시킬 수 있어 제1측판의 접힘 및 펼침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가 가이드수용부에 걸려 연결핀이 제1측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측판의 기립에 도움이 되고 제2측판의 기립이 임시고정되어 측판의 기립이 용이한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의 사시도
도 2(a) 내지 (d)는 접힌 측판들의 펼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3(a),(b)는 기립된 제1측판을 펼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록핀과 측판들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제1측판과 제2측판이 분리된 모습
도 6은 도 4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도 5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a),(b)는 각각 제1록핀이 압축된 모습과 제2록핀이 압축된 측면도
도 9a는 펼쳐진 제1측판의 기립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b는 접힌 제1측판의 기립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잠금핀이 당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a),(b)는 각각 잠금핀의 후면 사시도와 전면 사시도
도 12는 제1측판의 외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제2측판의 내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제2측판의 하측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15는 제1측판의 하측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16은 하판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17(a)는 제1측판(100)이 기립되어 끼움돌기가 끼움홈(910)에 끼워진 상태, 도 17(b)는 제1측판(100)이 외측으로 펼쳐 끼움돌기가 외측걸림돌기(121)보다 외측에 위치된 상태, 도 17(c)는 제1측판(100)이 내측으로 접혀 끼움돌기가 내측걸림돌기(121)보다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끼움돌기가 내측걸림돌기에 걸려 제2측판이 임시로 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10)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d)는 접힌 측판들의 펼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b)는 기립된 제1측판(100)을 펼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록핀(501,502)과 측판들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이 분리된 모습이고, 도 6은 도 4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a),(b)는 각각 제1록핀(501)이 압축된 모습과 제2록핀(502)이 압축된 측면도이고, 도 9a는 펼쳐진 제1측판(100)의 기립 과정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윗 도면부터 아래 도면으로 갈수록 제1측판(100)이 기립 상태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이며, 특히 도 9a의 중간 도면은 제1록핀(501)이 제2측판(200)에 밀려난 상태이고, 도 9b는 접힌 제1측판(100)의 기립 과정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윗 도면부터 아래 도면으로 갈수록 제1측판(100)이 기립 상태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이며, 특히 도 9b의 중간 도면은 제2록핀(502)이 제2측판(200)에 밀려난 상태이고, 도 10은 잠금핀(500)이 당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a),(b)는 각각 잠금핀(500)의 후면 사시도와 전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1측판(100)의 외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2측판(200)의 내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제2측판(200)의 하측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1측판(100)의 하측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하판(900)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7(a)는 제1측판(100)이 기립되어 끼움돌기가 끼움홈(910)에 끼워진 상태, 도 17(b)는 제1측판(100)이 외측으로 펼쳐 끼움돌기가 외측걸림돌기(121)보다 외측에 위치된 상태, 도 17(c)는 제1측판(100)이 내측으로 접혀 끼움돌기가 내측걸림돌기(121)보다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끼움돌기가 내측걸림돌기(121)에 걸려 제2측판(200)이 임시로 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명세서에서 측판이 하판(900)과 대략 직각을 이룰 때를 '기립'이라 하고, 측판이 기립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회전되면 '펼치다'라고 하며, 측판이 기립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회전되면 '접히다'라고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8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1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10)는, 다각형의 변을 갖는 하판(900); 상기 하판(900)의 각 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접하는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측판; 상기 제1측판(100)의 기립을 유지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1측판(100)에 구비되되 상기 제2측판(200)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편(621a,621b)이 연결되어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제2측판(200)과 연결 또는 분리되는 록핀(501,502); 상기 제2측판(200)에 형성된 걸림편(203a,203b);을 포함하되, 상기 록핀(501,502)은 서로 분리된 제1록핀(501)과 제2록핀(502)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203a,203b)은 내측에 상기 제1록핀(501)이 배치되는 제1걸림편(203a)과 외측에 상기 제2록핀(502)이 배치되는 제2걸림편(203b)을 포함하며, 상기 제1록핀(501)과 상기 제1걸림편(203a) 중 적어도 하나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록핀(502)과 상기 제2걸림편(203b) 중 적어도 하나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1측판(100)의 내측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편(621a,621b)의 압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1측판(100)의 외측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편(621a,621b)의 압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절첩식 상자(10)는, 경사면(511,512,211,212)간에 관계를 이용하여 록핀(501,502)을 제2측판에서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측판이 모두 접힌 상자(10)를 펼칠 때 측판을 외측으로 펼쳤다가 기립시키지 않고 바로 기립시킬 수 있다.
또한 접힌 측판 또는 펼쳐진 측판을 기립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1록핀(501)에 형성되는 제1록핀경사면(511)과, 상기 제1걸림편(203a)에 형성되고 상기 제1록핀경사면(511)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압축경사면(2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2록핀(502)에 형성되는 제2록핀경사면(512)과, 상기 제2걸림편(203b)에 형성되고 상기 제2록핀경사면(512)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압축경사면(2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록핀경사면(511)은 상기 제1록핀(501)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압축경사면(211)은 상기 제1걸림편(203a)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록핀경사면(512)은 상기 제2록핀(502)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압축경사면(212)은 상기 제2걸림편(203b)의 내면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펼쳐진 제1측판(100)을 기립시키는 경우, 제1측판(100)이 회전되면서 제1록핀경사면(511)이 제1압축경사면(211)을 면접촉한 채 지나가는데, 제1록핀(501)이 제1압축경사면(211)에 밀리는 힘에 탄성편(621a,621b)이 압축되므로, 제1록핀(501)이 접촉된 제2측판(2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접힌 제1측판(100)을 기립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반대로 접힌 제1측판(100)을 기립시키는 경우, 제1측판(100)이 회전되면서 제2록핀경사면(512)이 제2압축경사면(212)을 면접촉한 채 지나가는데, 이때 제2록핀(502)이 제2압축경사면(212)에 밀리는 힘에 탄성편(621a,621b)이 압축되므로, 제2록핀(502)이 접촉된 제2측판(2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펼쳐진 측판을 기립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측판(100)의 측면에 돌출편(120)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편(120)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된 걸림돌기(121)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판(200)에는 측면과 내외측이 개방되어 상기 돌출편(120)이 수용되는 수용홀(230)과, 상기 걸림돌기(121)와 상기 제1측판(10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홀(230)의 측부에 배치되는 삽입돌기(240)가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식 상자(10)를 전측 또는 후측에서 똑바로 바라볼 때, 돌출편(120)과 수용홀(230)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제2측판(200)이 제1측판(100)과 벌어지려고 하면 삽입돌기(240)가 제1측판(100)의 걸림돌기(121)에 걸리므로 제2측판(200)이 외부의 힘에 의해 벌어짐이 방지된다.
수용홀(230)은 내외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1측판(100)이 펼쳐지거나 접히는데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 돌출편(120)의 테두리와 상기 수용홀(230)을 형성하는 면의 테두리와 상기 삽입돌기(240)의 테두리에 경사면(123,231)이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수용홀(230)을 형성하는 제2측판(200)의 면들의 테두리 및 삽입돌기(240)의 테두리에 경사면(231)이 형성되고, 돌출편(120)의 테두리에도 경사면(123)이 형성된다. 이때 경사면들(123,231)은 단부로 갈수록 제1측판(100)의 두께 또는 제2측판(200)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편(120)이 수용홀(230)에 수용될 때,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간에 걸리는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측판(100), 제2측판(200)에 경사면(123,231)을 형성한 것은 제1측판(100)의 기립시 제2측판(200)이 하판(900)을 기준으로 완벽하게 기립되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 있더라도 돌출편(120)이 수용홀(230)에 원활하게 수용되어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의 결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록핀(501)과 상기 제2록핀(502)에 연결된 손잡이(81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손잡이(810)를 당기면 제1록핀(501)과 제2록핀(502)이 동시에 당겨져 제2측판(200)과 분리되므로 기립된 제2측판(200)을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손잡이(810)를 당기지 않는 이상 록핀(501,502)이 걸림편(203a,203b)에 걸려있으므로, 모든 측판이 기립됐을 때 비의도적으로 측판이 접히거나 펼쳐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록핀(501,502)은 상기 제1측판(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록핀(501,502)에는 상기 제1측판(10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핀(800)이 연결되되, 각각의 상기 연결핀(800)에 상기 손잡이(81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810)의 단부에 가이드(811)가 형성되며, 상기 제1측판(100)에는 상기 양측 록핀(501,502)의 가이드(811)가 모두 수용되는 가이드수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811)가 가이드수용부에 걸려 연결핀(800)이 제1측판(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가이드수용부는 제1측판(100)의 중심에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록핀(501,502) 및 연결핀(800)을 합쳐 잠금핀(500)이라 한다.
잠금핀(500)은 제1측판(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양측의 잠금핀(500)은 제1측판(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측판(100)에는 양측의 상기 가이드(811) 사이에 배치되는 가림편(748)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핀(800)의 제1가이드(811)와 제2가이드(811)는 가림편(748)에 의해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하판(900)의 상부에는 기립유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하부에는 상기 기립유지돌기의 외측에 걸리는 고정돌기(101a,101b)가 형성된다. 측판을 접고 펼치는 과정에서 먼저 펼쳐진 제2측판(200)은 제1측판(100)이 펼쳐져서 기립 고정될 때까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여 접히지 않게 된다. 또한 제1측판(100)의 기립 고정에도 도움이 된다.
상기 제1측판(100)은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측판(100)의 기립유지돌기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기립유지돌기(921a)와 외측기립유지돌기(923a)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판(100)에는 상기 내측기립유지돌기(921a)와 외측기립유지돌기(923a) 사이의 공간에 끼움홈(9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측판(100)의 하부에는 상기 내측기립유지돌기(921a)와 상기 외측기립유지돌기(923a)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끼움홈(910)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01a)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돌기(101a)가 끼움홈(910)에 끼워지면, 제1측판(100)이 독립적으로 기립된 상태에 도움이 된다. 즉 제1측판(100)이 기립된 상태에서 쉽게 접히거나 펼쳐지지 않아 사용이 용이하다.
기립유지돌기와 고정돌기(101a,101b)에 관한 사항은 다시 후술하도록 한다.
내측기립유지돌기(921a,921b)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반대로, 외측기립유지돌기(923a)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1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 잠금핀(500) -----
록핀(501,502)은 밀리거나 당겨지지 않은 경우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제1측판(100)의 측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2측판(200)에 걸리거나 제1,2걸림체수용홈(221,222)에 수용되는 것이다.
제1록핀(501)과 제2록핀(502)은 서로 동일한 형상이되 반대로 배치된 것이다. 따라서 잠금핀(500)의 생산이 용이하다.
록핀(501,502)은 연결핀(800)과 연결되는 연결체(610a,610b), 연결체(610a,610b)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편(621a,621b)이 형성된 제1연장체(620a,620b), 제1연장체(620a,620b)와 연결된 채 제1,2걸림체수용홈(221,222)에 수용되어 걸림편(203a,203b)에 걸리는 걸림체(630a,630b)를 포함한다.
탄성편(621a,621b)은 록핀(501,502) 당 상하측에 1 개씩 총 2개가 형성되며, 상측 탄성편(621a)과 하측 탄성편(621b)은 제1연장편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상하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측 탄성편(621a)과 하측 탄성편(621b)은 연결체(610a,610b)에서 걸림체(630a,630b)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탄성편(621a,621b)은 압축될수록 상측 탄성편(621a)과 하측 탄성편(621b)이 서로 가까워지며, 탄성편(621a,621b)의 경사진 정도가 감소된다.
제1록핀(501)은 걸림체(630a,630b)의 외면에 제1스토퍼(631a)가 위치되고, 제2록핀(502)은 걸림체(630a,630b)의 내면에 제2스토퍼(631b)가 위치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토퍼(631a)와 제2스토퍼(631b)는 제1측판(100)에 걸림으로써 록핀(501,502)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한다. 따라서 록핀(501,502)이 제2측판(200)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일정 거리만 슬라이딩한다. 자세한 걸림 구조는 후술한다.
한편, 연결핀(800)은 제1록핀(501)과 제2록핀(502)을 한꺼번에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연결핀(800)은 상기 가이드(811)와 상기 손잡이(810), 손잡이(810)에서 록핀(501,502)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체(820), 제2연장체(820)에서 분기되어 제1록핀(501)과 제2록핀(502)에 모두 연결되는 분기체(830)를 포함한다.
분기체(830)는 손잡이(810)에서 록핀(501,502)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상측 분기편(830a)과 하측 분기편(830b)을 포함한다.
분기체(830)의 테두리에는 보호리브(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리브는 잠금핀(500)의 이동시 제1측판(100)의 공간형성리브(750a,750b,750c) 및 제2상하리브(752)와 접촉되어 연결핀(800)이 받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여 잠금핀(5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록핀(501,502)의 연결체(610a,610b)에는 록핀(501,502)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슬라이딩홀(611a,611b)이 형성되며, 상측 분기편(830a)과 하측 분기편(830b)에는 상기 슬라이딩홀(611a,611b)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840a,840b)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810)를 당기면 연결핀(800)이 당겨지면서 슬라이딩돌기(840a,840b)가 제1록핀(501)과 제2록핀(502)을 당겨 제1록핀(501)과 제2록핀(502)이 제1,2걸림체수용홈(221,222)에서 이탈된다. 또한 제1측판(100)의 기립시 제1록핀(501)과 제2록핀(502)은 1 개의 연결핀(800)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각각이 별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810)는 도 8과 도 10과 같이 외측 또는 내측에서 볼 때 대략 오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띠 형상이며, 손가락이나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외측이 개방되어 있다.
----- 측판 -----
본 발명의 측판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2개의 제1측판(100)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2개의 제2측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측판(100)은 측방향 길이가 제2측판(200)의 측방향 길이보다 긴 장측판이고, 제2측판(200)은 단측판이다.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은 서로의 측부에 배치된다.
제1측판(100)의 상하길이는 제2측판(200)의 상하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측판이 모두 접히면 제2측판(200)이 제1측판(100)의 위에 배치된다.
--- 제1측판(100) ---
도 1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판(100)에는 잠금핀(500)이 수용되는 잠금핀수용부가 형성된다.
잠금핀수용부는 측판의 상측에 형성된다.
잠금핀수용부는 연결핀(800)이 수용되는 연결핀수용부(641), 연결핀수용부(641)와 연결된 상기 가이드수용부, 연결핀수용부(641)와 연결된 록핀수용부(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수용부는 가이드(811)가 수용되는 가이드수용홈(740), 가이드수용홈(740)의 외측에 배치되는 이탈방지편(744)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연결핀(800)은 한쪽의 단부에 배치된 가이드(811)가 이탈방지편(744)에 걸리고, 반대쪽에 배치된 슬라이딩돌기(840a,840b)가 록핀(501,502)의 슬라이딩홀(611a,611b)에 삽입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수용홈(740)을 형성하는 구성편들은 제1측판(100)에서 돌출 형성된 상편(741), 하편(742), 상편(741)과 하편(742)에 연결된 상기 이탈방지편(744), 상편(741)과 하편(742)에 상하단이 연결되어 이탈방지편(744)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편(748)을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편(744)은 상기 가이드(811)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제1측판(100)에는 탄성편(621a,621b)이 탄성 변형될 때 접촉되는 가이드편(710)이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편(710)은 제1록핀(501) 또는 제2록핀(502)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는 상측 가이드편(710)과 하측 가이드편(710)을 포함한다. 즉 제1측판(100)에는 총 4 개의 가이드편(710)이 형성된다.
상측 가이드편(710)은 제1측판(100)의 상단 테두리와 제2상하리브(752)와 연결된다.
하측 가이드편(710)은 후술될 제3공간형성리브(750c)와 제2상하리브(752)와 연결된다.
도 8,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판(100)을 전측 또는 후측에서 똑바로 볼 때, 제1록핀(501)의 상측에 배치된 상측 가이드편(710)은 연결핀(800)에서 제2측판(200)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진다. 반대로 제1록핀(501)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가이드편(710)은 연결핀(800)에서 제2측판(200)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진다.
이로 인해, 도 10과 같이 잠금핀(500)이 제1측판(100)의 중심방향으로 당겨지면 록핀(501,502)의 탄성편(621a,621b)이 압축되면서 가이드편(710)에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이후, 잠금핀(500)에 가해진 당김힘이 제거되어 록핀(501,502)이 제2측판(200)에 더 이상 밀리지 않으면 탄성편(621a,621b)이 압축되기 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가이드편(710)을 밀어내 잠금핀(500)이 원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도 8과 같이 제1측판(100) 기립 과정에서 록핀(501,502)이 제2측판(200)에 밀리면 록핀(501,502)의 탄성편(621a,621b)이 압축되면서 가이드편(710)에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이후, 제1측판(100)이 기립위치가 되어 록핀(501,502)이 제2측판(200)에 더 이상 밀리지 않으면 탄성편(621a,621b)이 압축되기 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가이드편(710)을 밀어내 록핀(501,502)이 원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잠금핀수용부는 측판의 테두리 또는 가이드편(710)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공간형성리브(750a,750b,750c)들을 더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공간형성리브(750a,750b,750c)들은 대략 잠금핀(50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3공간형성리브(750a,750b,750c)들은 가이드편(710)과 가이드수용홈(740)을 형성하는 구성편들과 제1측판(100)의 테두리와 연결된다.
제1공간형성리브(750a)는 대략 연결핀수용부(641)를 형성하고, 제2공간형성리브(750b)는 대략 록핀수용부(650)의 외측을 형성하고, 제3공간형성리브(750c)는 대략 록핀수용부(650)의 내측을 형성한다.
제1공간형성리브(750a)는 제2공간형성리브(750b)와 직접 연결된다.
제3공간형성리브(750c)는 제1록핀(501)과 제2록핀(502) 사이에 배치되며, 분기체(830)의 측부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록핀수용부(650)는 록핀(501,502)의 걸림체(630a,630b)가 관통 삽입되는 걸림체관통부(651), 연결체(610a,610b)가 관통 삽입되는 연결체관통부(653)를 포함한다.
걸림체관통부(651)와 연결체관통부(653)는 제3공간형성리브(750c)와 연결된 제1상하리브(751)와 제2상하리브(752)의 일부분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걸림체관통부(651)는 제1상하리브(751)에 형성되고, 연결체관통부(653)는 제2상하리브(752)에 형성된다.
한편, 제1측판(100)에는 제2록핀(502)의 제2스토퍼(631b)가 삽입 수용되는 제2스토퍼수용홀(103)이 내외측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2스토퍼(631b)는 제2스토퍼수용홀(103)에 삽입된 채 도 6, 도 7과 같이 제1측판(100)에 걸려 제2록핀(502)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한다.
제1스토퍼(631a)는 도4, 도 5와 같이 제1상하리브(751)에 걸려 제1록핀(501)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한다.
--- 제2측판(200) ---
제2측판(200)은 본판(도면부호 미도시)과, 상기 본판의 양측 단부에서 일정 각도를 가지며 제1측판(100)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벽(201)을 포함한다.
연장벽(201)에는 록핀(501,502)의 걸림체(630a,630b)가 수용되는 제1,2걸림체수용홈(221,222)이 형성된다.
제1,2걸림체수용홈(221,222)은 제1록핀(501)의 걸림체(630a,630b)가 수용되는 제1걸림체수용홈(221), 제2록핀(502)의 걸림체(630a,630b)가 수용되는 제2걸림체수용홈(222)을 포함한다.
제1걸림체수용홈(221)은 연장벽(201)의 내면의 일부 및 연장벽(201)의 제1측판(100)과 마주보는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제2걸림체수용홈(222)은 연장벽(201)의 외면의 일부 및 연장벽(201)의 제1측판(100)과 마주보는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펼쳐진 제1측판(100)의 기립시 제2록핀(502)의 걸림체(630a,630b)가 제2측판(200)에 걸리지 않고 곧바로 외면이 개방된 제2걸림체수용홈(222)에 수용될 수 있고, 접힌 제1측판(100)의 기립시 제1록핀(501)의 걸림체(630a,630b)가 제2측판(200)에 걸리지 않고 곧바로 내면이 개방된 제1걸림체수용홈(221)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 도 7,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압축경사면(212)은 연장벽(201)에 형성된 3 개의 리브(224)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 리브(224)는 제2록핀접촉리브(224)라 한다.
제2록핀접촉리브(224)는 상하길이 대비 좌우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제2록핀접촉리브(224)의 좌우길이는 대략 연장벽(201)의 좌우길이만큼 형성된다.
제2록핀접촉리브(224)는 제2측판(200)측 단부가 상기 본판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2록핀접촉리브(224)는 연장벽(20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한다.
연장벽(201)에서 제2록핀접촉리브(224)는 제2걸림체수용홈(222)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한편, 연장벽(201)에는 돌출편(120)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홀(230)이 형성된다.
수용홀(230)은 제1걸림체수용홈(221)과 제2걸림체수용홈(222) 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측판에는 하판(900)의 후술될 힌지부(930a,930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힌지삽입부(110a,110b)가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후술될 힌지부들(930a,930b)과 위치가 대응되도록 힌지삽입부(110a,110b)는 복수개가 형성되되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고정돌기(101a,101b)는 측판의 하면에 형성되되 서로 이격된 힌지삽입부(110a,110b) 사이에 배치된다.
----- 하판(900) -----
하판(900)은 접철식 상자(10)의 하면을 이루는 대략 판 형상이되, 상측으로 돌출된 전후측벽 및 좌우측벽을 갖는다.
상기 전후측벽의 상부 및 상기 좌우측벽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힌지부(930a,930b)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전술하였듯이 제1측판(100)의 상하길이가 제2측판(200)의 상하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제1측판(100)이 결합되는 전후측벽의 상하길이는 제2측판(200)이 결합되는 좌우측벽의 상하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측판이 모두 접히면 제1측판(100)이 제2측판(200)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힌지부(930a,930b)들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측판의 힌지삽입부(110a,110b)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힌지부(930a,930b)에는 측판의 힌지축(111a,111b)이 관통 삽입되는 힌지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힌지부(930a,930b)의 상면은 반원에 가까운 원호 형상이다.
전후측벽의 일부 힌지부(930a)에는 상기 끼움홈(910)과 내측기립유지돌기(921a)와 외측기립유지돌기(923a)가 형성된다.
한편, 좌우측벽은 상기 힌지삽입부(110b)가 삽입되는 공간의 외측이 막히도록 벽(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측판(200)은 상기 벽에 걸려 외측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제2측판(200)은 외측으로 회전되지 않으니 좌우측벽에는 내측기립유지돌기(921b)만 형성되면 된다. 내측기립유지돌기(921b)는 좌우측벽의 일부 힌지부(930b)에만 형성되면 된다.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판의 펼침 및 접힘 과정 -----
이하에서는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10)의 기립과 펼침 및 접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2(a)와 같이 모든 측판이 접힌 상태에서 도 1 및 도 3(a)와 같이 모든 측판이 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의 상태에서 접힌 제2측판(200)이 외측으로 회전되어 기립되면 도 2(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제2측판(200)의 고정돌기(101b)가 바닥판의 좌우측벽의 내측기립유지돌기(921b)의 경사면을 타고 가다가 내측기립유지돌기(921b)를 넘어가면 내측기립유지돌기(921b)에 걸린다. 따라서 제2측판(200)의 기립이 임시로 고정된다.
이후, 도 2(c)와 같이 접힌 제1측판(100)들이 외측으로 회전되어 기립되면 도 2(d)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제1측판(100)의 고정돌기(101a)가 바닥판의 전후측벽의 내측기립유지돌기(921a)의 경사면을 타고 가다가 내측기립유지돌기(921a)를 넘어가면 끼움홈(910)에 수용되어 내측기립유지돌기(921a)와 외측기립유지돌기(923a)에 걸려 제1측판(100)의 기립 고정에 도움이 된다.
보다 자세하게, 접힌 제1측판(100)이 기립상태가 되도록 점차 회전되는 과정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록핀(502)은 제2록핀경사면(512)이 제2압축경사면(212)과 접촉되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621a,621b)이 압축되면서 제2측판(200)으로부터 점차 밀려난다. 이후 제2록핀경사면(512)과 제2압축경사면(212)이 더 이상 서로 접촉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해서 제1측판(100)이 회전되면, 제2록핀(502)은 더 이상 제2측판(200)으로부터 밀리지 않으므로 탄성편(621a,621b)의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제2록핀(502)이 밀리기 전의 원위치로 복귀되어 제2록핀(502)의 걸림체(630a,630b)는 제2걸림체수용홈(222)에 수용된다. 따라서 제2록핀(502)의 걸림체(630a,630b)는 내면이 제2걸림편(203b)에 걸리므로, 제1측판(100)은 내측으로 회전될 수 없어 잠금핀(500)을 조작하지 않는 이상 제1측판(100)이 접히지 않는다.
한편, 제1측판(100)의 기립시, 제2측판(200)과의 접촉 없이 곧바로 제1걸림체수용홈(221)에 수용된 제1록핀(501)의 걸림체(630a,630b)는 외면이 제1걸림편(203a)에 걸리므로, 제1측판(100)은 내측으로 회전될 수 없어 잠금핀(500)을 조작하지 않는 이상 제1측판(100)이 펼쳐지지 않는다.
한편, 도 1과 도 3(a)와 같이 모든 측판이 기립된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제1측판(100)을 펼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양측의 잠금핀(500)의 손잡이(810)에 손가락을 넣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잠금핀(500)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잡아당긴다.
이로 인해, 양측 잠금핀(500)의 제1록핀(501)의 걸림체(630a,630b) 및 제2록핀(502)의 걸림체(630a,630b)가 제1걸림체수용홈(221) 및 제2걸림체수용홈(222)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제1측판(100)이 펼쳐질 때 제1록핀(501) 및 제2록핀(502)이 제2측판(200)의 연장벽(201)에 걸리지 않으므로 제1측판(100)이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양측의 잠금핀(500)을 동시에 제2측판과 분리시킬 수 있어 제1측판(100)의 접힘 및 펼침이 용이하다.
한편, 도 3(b)와 같이 제2측판(200)은 기립되고 제1측판(100)이 펼쳐진 상태에서 도 3(a)와 같이 제1측판(100)이 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제1측판(100)이 기립상태가 되도록 점차 내측으로 회전되다 보면, 제1록핀(501)은 제1록핀경사면(511)이 제1압축경사면(211)과 접촉되어 도 8(a)와 같이 탄성편(621a,621b)이 압축되면서 제2측판(200)으로부터 점차 밀려난다. 이후 계속해서 제1측판(100)이 내측으로 회전되면 제1록핀경사면(511)과 제1압축경사면(211)이 더 이상 서로 접촉되지 않아 제1록핀(501)은 제2측판(200)으로부터 밀리지 않고, 탄성편(621a,621b)이 복원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제1록핀(501)이 밀리기 전의 원위치로 복귀되어 제1록핀(501)의 걸림체(630a,630b)는 제1걸림체수용홈(221)에 수용된다. 따라서 제1록핀(501)의 걸림체(630a,630b)는 외면이 제1걸림편(203a)에 걸리므로 제1측판(100)은 외측으로 회전될 수 없어 잠금핀(500)을 조작하지 않는 이상 제1측판(100)이 펼쳐지지 않는다.
한편, 제1측판(100)의 기립시, 제2측판(200)과의 접촉 없이 곧바로 제2걸림체수용홈(222)에 수용된 제2록핀(502)의 걸림체(630a,630b)는 내면이 제2걸림편(203b)에 걸린다. 따라서, 제1측판(100)이 외측으로 회전될 수 없어 잠금핀(500)을 조작하지 않는 이상 제1측판(100)이 펼쳐지지 않는다.
한편, 도 2(d)와 같이 모든 측판이 기립된 상태에서 순서대로 모든 측판을 접어 절첩식 상자(10)가 도 2(a)처럼 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양측의 잠금핀(500)의 손잡이(810)에 손가락을 넣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잠금핀(500)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잡아당긴다.
이후, 도 2(d)의 상태에서 제1측판(100)들을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1 개씩 내측으로 회전시켜 도 2(b)와 같이 제1측판(100)이 접히게 한다. 이 과정에서 제1측판(100)의 고정돌기(101a)가 내측기립유지돌기(921a)를 지나 전후측벽의 끼움홈(910)로부터 이탈된다.
이후, 도 2(b)의 상태에서 제2측판(200)들을 1 개씩 내측으로 회전시켜 도 2(a)와 같이 제2측판(200)들이 모두 접히게 한다. 이 과정에서 제2측판(200)의 고정돌기(101b)가 내측기립유지돌기(921b)를 넘어 걸림이 해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제1측판 200 : 제2측판
211 : 제1압축경사면 212 : 제2압축경사면
500 : 잠금핀 501 : 제1록핀
502 : 제2록핀 511 : 제1록핀경사면
512 : 제2록핀경사면 630a,630b : 제1,2걸림체
800 : 연결핀 810 : 손잡이
811 : 가이드 900 : 하판
910 : 끼움홈 921a,921b : 내측기립유지돌기
923a,923b : 외측기립유지돌기

Claims (8)

  1. 다각형의 변을 갖는 하판;
    상기 하판의 각 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접하는 제1측판과 제2측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측판;
    상기 제1측판의 기립을 유지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1측판에 구비되되 상기 제2측판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편이 연결되어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제2측판과 연결 또는 분리되는 록핀;
    상기 제2측판에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록핀은 서로 분리된 제1록핀과 제2록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내측에 상기 제1록핀이 배치되는 제1걸림편과 외측에 상기 제2록핀이 배치되는 제2걸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록핀과 상기 제1걸림편 중 적어도 하나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록핀과 상기 제2걸림편 중 적어도 하나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1측판의 내측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편의 압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1측판의 외측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편의 압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절첩식 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1록핀에 형성되는 제1록핀경사면과, 상기 제1걸림편에 형성되고 상기 제1록핀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압축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2록핀에 형성되는 제2록핀경사면과, 상기 제2걸림편에 형성되고 상기 제2록핀경사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압축경사면을 포함하는 절첩식 상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의 측면에 돌출편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편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판에는 측면과 내외측이 개방되어 상기 돌출편이 수용되는 수용홀과,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제1측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홀의 측부에 배치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절첩식 상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테두리와 상기 수용홀을 형성하는 면의 테두리와 상기 삽입돌기의 테두리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절첩식 상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록핀과 상기 제2록핀에 연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절첩식 상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록핀은 상기 제1측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록핀에는 상기 제1측판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핀이 연결되되,
    각각의 상기 연결핀에 상기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측판에는 상기 양측 록핀의 가이드가 모두 수용되는 가이드수용부가 형성되는 절첩식 상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상부에는 기립유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하부에는 상기 기립유지돌기의 외측에 걸리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절첩식 상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은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측판의 기립유지돌기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기립유지돌기와 외측기립유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판에는 상기 내측기립유지돌기와 외측기립유지돌기 사이의 공간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측판의 하부에는 상기 내측기립유지돌기와 상기 외측기립유지돌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절첩식 상자
KR1020190077573A 2019-06-28 2019-06-28 절첩식 상자 KR102159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573A KR102159968B1 (ko) 2019-06-28 2019-06-28 절첩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573A KR102159968B1 (ko) 2019-06-28 2019-06-28 절첩식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968B1 true KR102159968B1 (ko) 2020-09-25

Family

ID=7270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573A KR102159968B1 (ko) 2019-06-28 2019-06-28 절첩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9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440Y1 (ko) * 2021-07-16 2021-10-13 (주)아이에스리빙 접이식 상자의 체결부 구조
KR20220142052A (ko) 2021-04-14 2022-10-21 현재형 접이식 캠핑박스
KR20230118363A (ko) 2022-02-04 2023-08-11 (주)케이엠피 접이식 상자
KR20230118362A (ko) 2022-02-04 2023-08-11 (주)케이엠피 접이식 상자
KR102622955B1 (ko) 2023-06-26 2024-01-09 에이치컨지스 주식회사 견고한 체결구조와 우수한 내구성 및 사용편의성을갖는 접철식 경량 보관상자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5914A2 (en) * 1989-02-24 1990-09-05 Ropak Corporation Collapsible container
KR20020062714A (ko) * 2002-07-12 2002-07-29 화산정공 주식회사 접철식 운반상자
KR200339392Y1 (ko) * 2003-10-10 2004-01-24 주식회사 칼스로지스틱 접철식 운반 상자
KR200344593Y1 (ko) * 2003-12-08 2004-03-19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장측벽 일부를 개방 할수 있는 절첩식 상자
KR20090002055U (ko) 2007-08-29 2009-03-04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절첩식 상자
KR20090008946U (ko) 2008-03-03 2009-09-08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절첩식 상자
KR20130091947A (ko) * 2012-02-09 2013-08-20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KR20140103420A (ko) * 2013-02-18 2014-08-27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5914A2 (en) * 1989-02-24 1990-09-05 Ropak Corporation Collapsible container
KR20020062714A (ko) * 2002-07-12 2002-07-29 화산정공 주식회사 접철식 운반상자
KR200339392Y1 (ko) * 2003-10-10 2004-01-24 주식회사 칼스로지스틱 접철식 운반 상자
KR200344593Y1 (ko) * 2003-12-08 2004-03-19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장측벽 일부를 개방 할수 있는 절첩식 상자
KR20090002055U (ko) 2007-08-29 2009-03-04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절첩식 상자
KR20090008946U (ko) 2008-03-03 2009-09-08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절첩식 상자
KR20130091947A (ko) * 2012-02-09 2013-08-20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KR20140103420A (ko) * 2013-02-18 2014-08-27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052A (ko) 2021-04-14 2022-10-21 현재형 접이식 캠핑박스
KR200494440Y1 (ko) * 2021-07-16 2021-10-13 (주)아이에스리빙 접이식 상자의 체결부 구조
KR20230118363A (ko) 2022-02-04 2023-08-11 (주)케이엠피 접이식 상자
KR20230118362A (ko) 2022-02-04 2023-08-11 (주)케이엠피 접이식 상자
KR102669929B1 (ko) * 2022-02-04 2024-05-29 (주)케이엠피 접이식 상자
KR102622955B1 (ko) 2023-06-26 2024-01-09 에이치컨지스 주식회사 견고한 체결구조와 우수한 내구성 및 사용편의성을갖는 접철식 경량 보관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968B1 (ko) 절첩식 상자
US9717314B2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shutter stand
US9132778B2 (en) Luggage board movement mechanism
US8944266B2 (en) Floor-mount service container and lid
US7652873B2 (en) Portable computer
US20190138052A1 (en) Interchangeable socket accessor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584830B2 (en) Suitcase and desk combination device
CN109835570B (zh) 可折叠容器
CA2282079A1 (en) Socket receiving device
US20160138753A1 (en) Document and electronic device holder
KR102145770B1 (ko) 절첩식 상자
KR200451812Y1 (ko) 절첩상자
CN105151108B (zh) 一种婴儿车可折叠座椅
CN212048291U (zh) 折叠收纳箱
CN106602340A (zh) 一种面板插座
US11787594B2 (en) Food receptacle
KR200461379Y1 (ko) 태블릿 컴퓨터 케이스
KR20210055991A (ko) 보냉상자
AU2004100032A4 (en) Elastic buckle
JP2004284641A (ja)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及び運搬用容器
JP6736059B2 (ja) 棒体抜止機構
US6945395B2 (en) CD storage case
CA2639718C (en) Floor-mount service container and lid
KR102424744B1 (ko) 절첩식 상자
TWI468270B (zh) 具收納座的工具盒結構(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