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055U - 절첩식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055U
KR20090002055U KR2020070014292U KR20070014292U KR20090002055U KR 20090002055 U KR20090002055 U KR 20090002055U KR 2020070014292 U KR2020070014292 U KR 2020070014292U KR 20070014292 U KR20070014292 U KR 20070014292U KR 20090002055 U KR20090002055 U KR 200900020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folding box
hinge
present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섭
Original Assignee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4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055U/ko
Publication of KR20090002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0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9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semidetachable components, i.e. with some side walls hinged to each other or to a base panel and the other side walls being detachable to allow collapsing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측벽과 측벽을 고정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는, 파지부와, 걸림턱과, 돌기가 형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로인해 체결부가 좌, 우로 움직여 측벽의 개, 폐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측벽의 하부에 위치한 하판; 상기 측벽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측벽의 외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을 세우고, 눕히는데 용이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절첩식 상자, 힌지

Description

절첩식 상자{folding box}
본 고안은 체결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측벽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측벽과 하판을 연결하는 힌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측벽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상기 측벽을 세우고, 눕히는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첩식 상자는 보관과 적재 등 공간활용에 혁신을 일으킨 제품으로 보관비 및 운송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크게 높인 제품이다.
한국공고실용 1995-281에는 조립 및 절첩이 간편하고, 강성이 뛰어나며 조립 및 절첩된 상자들의 적층이 용이한 절첩식 상자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형상맞춤 방식을 이용하여 측벽과 측벽을 고정하였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측벽과 힌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힌지가 파손되면 측벽 내 지는 상자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측벽에 손잡이가 없어, 상기 측벽을 세우고, 눕힐 때,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첩식 상자의 측벽과 측벽을 연결할 때, 탄성력을 갖는 체결부를 형성하여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측벽과 하판을 연결하는 상기 힌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측벽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상기 측벽을 세우고, 눕히는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 절첩식 상자는 측벽과 측벽을 고정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는, 파지부와, 걸림턱과, 돌기가 형성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측벽의 하부에 위치한 하판; 상기 측벽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측벽의 외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절첩식 상자는 형상맞춤 방식을 이용하여 측벽과 측벽을 고정하였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였다.
또한, 기존의 절첩식 상자는 측벽과 힌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힌지가 파손되면 측벽 내지는 상자 전체를 교체해야 했다.
또한, 기존의 절첩식 상자는 측벽에 손잡이가 없어, 상기 측벽을 세우고, 눕히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는 측벽과 측벽을 연결할 때, 탄성력을 갖는 체결부를 형성하여 측벽의 개, 폐를 조절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측벽과 하판을 연결하는 힌지의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측벽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상기 측벽을 세우고, 눕힐 때,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절첩식 상자의 측벽과 측벽을 연결할 때, 탄성력을 갖는 체결부를 형성하여 측벽의 개, 폐를 조절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측벽과 하판을 연결하는 상기 힌지의 교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측벽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상기 측벽을 세우고, 눕힐 때,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절첩식 상자 체결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상부에서 바라본 체결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측면에서 바라본 체결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사용상태도이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고안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에는 단측벽(410)과 장측벽(420)을 연결하는 체결부재(100)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재(100)는 파지부(110)와, 걸림부(120)와, 돌기(135)가 형성된 탄성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파지부(110)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측벽과 하측벽, 그리고 상기 상측벽과 하측벽의 양쪽 끝단을 잇는 좌측벽과 우측벽이 형성되되, 이 네측벽을 이루는 뒷면은 막혀있고, 앞면은 개방되어 있다.
파지부(100)에는 후술하는 걸림부(120) 쪽으로 가깝도록, 상기 파지부(100)의 앞쪽과 뒤쪽을 관통하여 내벽을 갖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100) 구멍의 내벽에 손이 걸리도록 하여, 체결부재(100)를 좌, 우로 움직일 수 있다.
파지부(110)의 좌측벽과 우측벽에는 각각 탄성부(130)와 걸림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130)는 탄성력의 효과가 최대한으로 될 수 있도록, 중심이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원기둥의 끝단에는 'ㄴ'형태의 돌기(135)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130)는 파지부(110)와 조립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걸림부(120)에는 파지부(100)와 이어져, 상기 파지부(110)의 막힌 면에서 개방된 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1)과, 이 경사면(121)의 양끝에는 상기 파지부(110)의 상측벽 및 하측벽과 평행한 걸림턱(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121)은 절첩식 상자의 장측벽(420)을 세울 때, 슬라이드 형식으로 끼움공c(540)에 수월하게 삽입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걸림턱(122)은 상기 파지부(110)의 상벽 및 하벽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끼움공c(540)에 삽입되므로, 측벽이 저절로 눕혀지지 않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측벽(420)에는 측면 끝단에서 중심 쪽으로 홈이 형성되어 끼움공d(550)가 상기 홈과 연통 되도록 하되, 상기 끼움공d(550)는 장측벽(420)에서 반대쪽 장측벽(420)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측벽(420)의 홈에 체결부재(100)를 삽입한 후, 끼움공d(550) 에 돌기(135)를 끼움으로써, 상기 체결부재(100)를 장측벽(420)에 고정시 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절첩식 상자에는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과 하판(430)을 연결하는 힌지(200)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200)는 큰몸체(215)와 작은몸체(225)로 이루어져 있다.
큰몸체(215)는 직사각형 형상의 앞벽과 이 앞벽의 양끝에는 좌, 우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앞벽과 상기 좌, 우 측벽 사이에는 이를 이어주는 경사진 벽이 형성되고, 상기 큰몸체(215)의 하부벽은 상기 앞벽과 좌, 우 측벽보다 넓게 형성되어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과 하판(430)을 안정되도록 연결시켜 준다.
큰몸체(215)에는 앞벽에서 뒤쪽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벽이 상기 앞벽과 수직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큰몸체(215)가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큰몸체(215) 앞벽의 전방에는 다수의 돌기(210)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10)는 어떤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상기 돌기(210)는 위쪽으로 경사가 낮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에 결합시 이를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에는 하부면 끝단에서 위쪽으로 큰몸체(215)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에는 바깥쪽으로 관통되어 상기 홈과 연통되는 끼움공a(5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의 홈에 큰몸체(215)를 삽입한 후, 끼움공a(520)에 돌기(210)를 끼워 넣어, 상기 큰몸체(215)를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에 고정시 킬 수 있다.
위 실시 예에서는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의 홈에 큰몸체(215)를 고정시 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과 큰몸체(215)를 분리할 때에는 끼움공a(520)에 결합되어 있는 돌기(210)를 눌러 큰몸체(215)를 수축시킴으로써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과 큰몸체(215)를 분리시킬 수 있다.
작은몸체(225)는 큰몸체(215)의 하부와 이어지고, 상기 큰몸체(215)의 후방과 가깝도록 형성된 양 측벽과, 이 양 측벽의 뒤에 이어지도록 뒷벽이 형성되되, 상기 작은몸체(225) 하단의 뒤쪽으로는 라운드가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는 축돌기(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앞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작은몸체(225)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양 측벽의 중간에 상기 양 측벽과 평행한 측벽이 형성되어 있다.
하판(430)에는 상기 하판(430)의 상단 끝에서 하단 쪽으로 파이고, 상기 하판(430)의 내측벽이 개방되되, 상기 작은몸체(225)와 상응하여 결합되는 끼움공b(530)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공b(530)의 양측에는 상기 축돌기(220)와 상응하여 결합되는 홈(535)이 형성되어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과 하판(430)을 연결하는 중앙의 힌지(200)에 대해 설명하였다.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 중앙 힌지(200)의 큰몸체는 그 형상과 크기가 같지만, 단측벽(410)과 하판(430)이 연결되는 곳은 크기 이외에도 그 형상이 다르다.
단측벽(410)과 하판(430)이 연결되는 곳은 상기 하판(430)의 코너부분이 돌출되고, 측면이 곡선형상이기 때문에, 큰몸체(215)의 하부벽은 좌측 및 우측에 삽입되도록 각각 계단형상으로 형성하고, 측벽은 경사벽이 아닌 라운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장측벽(420)과 하판(430)이 연결되는 곳은 좌, 우측 코너부분이 돌출되거나 곡선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한쪽 측벽에만 경사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앙의 힌지(200)의 작은몸체(225)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상기 양 측벽의 중간에 상기 양 측벽과 평행한 측벽을 형성하였지만, 좌, 우측의 힌지(200)는 상기 중앙의 힌지(200)보다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좌, 우 측벽을 연결하는 뒷벽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힌지(200)는 단측벽(410) 및 장측벽(420)과 하판(430)에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힌지(200)가 파손될 경우 교체가 가능하다.
본 고안 절첩식 상자에는 RFID-Tag(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a,b(610,6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200)의 큰몸체(215)의 하부벽에 의해 상기 삽입공b(620)가 닫힐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커버가 없이도 삽입공b(620)에 삽입된 태그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위 실시 예에서는 끼움공a(520)를 단측벽(410)및 장측벽(420)에 형성하고 끼움공b(530)를 하판(430)에 형성하여 힌지(200)의 큰몸체(215)는 단측벽(410)및 장측벽(420)에 연결되고 작은몸체(225)는 하판(430)에 연결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위의 실시 예와는 달리 끼움공a(520)와 끼움공b(530)의 위치를 바꾸어 형성하여 힌지(200)가 상기 끼움공a(520)와 끼움공b(530)에 상응하도록 형성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장측벽(420) 외부에는 손잡이(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00)는 횡리브(310)의 외측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30)과, 상기 걸림턱(330)의 양 끝단부터 상기 장측벽(420)에 연결된 종리브(320)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300)로 인해 작업자가 절첩식 상자의 측벽을 세우고 눕히는데 용이하다.
관통공(510)은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곳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절첩식 상자의 측벽과 측벽을 연결할 때, 탄성력을 갖는 체결부(100)를 형성하여 측벽의 개, 폐를 조절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측벽과 하판(430)을 연결하는 상기 힌지(200)의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측벽에 손잡이(300)를 형성하여 상기 측벽을 세우고, 눕힐 때,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탄성력을 이용한 체결부를 형성하여 측벽의 개, 폐를 조절하는 절첩식 상자에 적합하다.
또한, 본 고안은 측벽과 하판을 연결하는 힌지를 교체가 가능한 절첩식 상자에 적합하다.
또한, 본 고안은 측벽의 외부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상기 측벽을 세우고, 눕히는데 용이한 절첩식 상자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고안 절첩식 상자 체결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상부에서 바라본 체결부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측면에서 바라본 체결부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 힌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체결부재 110 : 파지부 120 : 걸림부
121 : 경사면 122 : 걸림턱 130 : 탄성부
135 : 돌기 200 : 힌지 210 : 돌기
215 : 큰몸체 220 : 축돌기 225 : 작은몸체
300 : 손잡이 310 : 횡리브 320 : 종리브
330 : 걸림턱 410 : 단측벽 420 : 장측벽
430 : 하판 510 : 관통공 520 : 끼움공a
530 : 끼움공b 535 : 홈 540 : 끼움공c
550 : 끼움공d 610 : 삽입공a 620 : 삽입공b

Claims (3)

  1. 측벽과 측벽을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는, 파지부와, 걸림부과, 돌기가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하부에 위치한 하판;
    상기 측벽과 상기 하판을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외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KR2020070014292U 2007-08-29 2007-08-29 절첩식 상자 KR200900020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292U KR20090002055U (ko) 2007-08-29 2007-08-29 절첩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292U KR20090002055U (ko) 2007-08-29 2007-08-29 절첩식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055U true KR20090002055U (ko) 2009-03-04

Family

ID=4150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292U KR20090002055U (ko) 2007-08-29 2007-08-29 절첩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055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705B1 (ko) * 2010-05-13 2011-01-24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상자형 파렛트
KR101029110B1 (ko) * 2010-05-13 2011-04-13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상자형 파렛트
KR20190095320A (ko) * 2016-12-30 2019-08-14 언스트프리드 프라드 팽창식 운반박스
KR102145770B1 (ko) 2019-05-23 2020-08-19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KR102159968B1 (ko) 2019-06-28 2020-09-25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KR102377648B1 (ko) * 2021-10-22 2022-03-24 주식회사 레마 양측 개별 확장구조를 갖는 수납용 폴딩박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705B1 (ko) * 2010-05-13 2011-01-24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상자형 파렛트
KR101029110B1 (ko) * 2010-05-13 2011-04-13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상자형 파렛트
KR20190095320A (ko) * 2016-12-30 2019-08-14 언스트프리드 프라드 팽창식 운반박스
KR102145770B1 (ko) 2019-05-23 2020-08-19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KR102159968B1 (ko) 2019-06-28 2020-09-25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KR102377648B1 (ko) * 2021-10-22 2022-03-24 주식회사 레마 양측 개별 확장구조를 갖는 수납용 폴딩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2055U (ko) 절첩식 상자
JP4942043B2 (ja) 折畳コンテナー
JP4770691B2 (ja) ケースの嵌合構造
US6409076B1 (en) Combination storage box
US20090020528A1 (en) Box Assembly that is Assembled Easily and Quickly
KR101463269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KR101080822B1 (ko) 우산꽂이
KR20130002501U (ko) 과일 포장박스
KR200443105Y1 (ko) 파레트
JP4274718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3210971U (ja) 仕切付き折畳箱
KR200447246Y1 (ko) 절첩상자
EP1321064A1 (en) Collapsible storage box
KR200205032Y1 (ko) 생선 운반용 상자
JP6333641B2 (ja) コンテナ段積み係合構造
JP3619775B2 (ja) パック電池
KR102469806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함
KR101579751B1 (ko) 절첩식 골판지 상자
JP2003312639A (ja) 段ボール製包装箱
KR20180034293A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KR102408058B1 (ko) 일면이 개폐 가능한 접이식 상자
JP3141026U (ja) 手提げ箱兼用ダンボール箱
KR200395620Y1 (ko) 포장상자
KR20090008946U (ko) 절첩식 상자
KR200442280Y1 (ko)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