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946U - 절첩식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8946U KR20090008946U KR2020080002799U KR20080002799U KR20090008946U KR 20090008946 U KR20090008946 U KR 20090008946U KR 2020080002799 U KR2020080002799 U KR 2020080002799U KR 20080002799 U KR20080002799 U KR 20080002799U KR 20090008946 U KR20090008946 U KR 2009000894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locking device
- wall
- groove
-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벽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벽과 도어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장치와 제2고정장치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사용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잠금 및 열림을 할 수 있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절첩, 접철, 상자, 도어
Description
본 고안은 측벽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측벽 일부를 개방할 수 있는 절첩식 상자로서, 한국등록실용 제344593호(이하, 종래기술)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측벽(1)을 상부경첩축(1a)으로 내측상부로 올리고 양장측벽의 분리된 상,하부판(2)(3)을 상,하, 중간경첩축(2a)(4a)(3a)으로 내향 절첩할 수 있는 공지의 절첩식 운반상자에 있어서, 일장측벽의 상,하부판(2)(3)에 상,하중간판(4)(5)을 별개체로 분리하여 별도의 중간경첩축(5a)과 하경첩축(6a)으로 외향 절첩되게 설치시키고 상중간판(4)의 상부중간에 외부로 돌출되게 직사각형 포켓(10)을 형성하여 좌우양쪽의 상,하부에 외측유통로(11)와 내부삽입구(12)를, 외측벽의 중간 상부가 제거된 하부중심에는 지주삽입구(14)를 각각 형성시키고 이 직사각형 포켓(10) 내부에는 작동판(20)을 삽입하여 좌우양쪽 하부단이 내부삽입구(12)의 스프링(13)에 탄발되고 상부쪽 양쪽돌 기(21)가 양쪽유통로(11) 내부에 끼워져서 상하 유동거리를 일정하게 하고 좌우 양쪽 상단에 돌출시킨 걸림편(22)을 이와 상접하는 상부판의 좌우양쪽에 형성시킨 작은포켓(25)에 끼워지도록 하고 작동판(20)의 하부중심으로 돌출시킨 지주(23)를 지주삽입구(14)에 삽입시켜서 중간 상부가 제거된 하부상단의 누름돌출편 (24)을 눌러 작동판(20)을 상하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상자의 측벽 일부를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담긴 상자가 상하로 여러개 적재된 상태에서도, 적재된 상자를 일일이 내려놓지 않고, 각 상자의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가운데 측벽과 중간판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였고, 잠금장치가 가운데에만 있었기 때문에, 상,하중간판을 보다 견고하게 닫을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닫힘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잠금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절첩식 상자는, 측벽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절첩식 상자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측벽을 고정시키는 제1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절첩식 상자는, 상기 도어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측벽을 고정시키는 제2잠금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절첩식 상자에서, 상기 제2잠금장치는, 상기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제1걸림턱;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있는 홈; 상기 홈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빗장편; 상기 빗장편에 형성되어 있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걸림턱에 상기 제2걸림턱이 걸리면, 상기 측벽과 상기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걸림턱에서 제2걸림턱이 이탈되면, 상기 측벽과 상기 도어의 열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잠금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도어의 닫힘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는 측벽에 도어가 형성되어 있어, 다단으로 적재된 상자의 내용물을 쉽게 넣거나 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에는 측벽과 도어를 고정시키는 제1잠금장치와 제2잠금장치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잠금 및 열림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 절첩식 상자는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가 접힌 상태로 열리기 때문에, 다단으로 적재된 상자에 있어서, 위에 있는 상자의 도어를 열어도 아래에 있는 상자의 사용에 간섭이 생기지 않으며, 도어를 열기 위해 필요한 공간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는 잠금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고안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제1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제2잠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상부도어에 제1잠금장치가 삽입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제1잠금장치의 잠금 및 열림이 이루어지는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상부도어에 제2잠금장치가 삽입된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 제2잠금장치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 제2잠금장치의 열림이 이루어지는 횡단면도이며,
도 11은 종래기술인 절첩식 상자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10)는 양 단측벽(50)과, 양 장측벽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단측벽(50)과 장측벽의 하부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판(60)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측벽(50)과 장측벽의 상부에는 상판(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판(60)의 하단에는 절첩식 상자(10)를 지지하는 지지부(6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61)가 돌출 형성되었으므로 상부가 개방된 기타 다른 절첩식 상자(10) 등의 상부에 상기 지지부(61)를 끼워 적재할 수 있고, 상기 절첩식 상자(10)의 하역 작업시 손 등이 낄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상판(70)은 절첩식 상자(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양 단측벽(50)과 장측벽의 상부 끝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절첩식 상자(10)의 상부가 폐쇄되도록 별도의 뚜껑이나 도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판(70)의 상단에는 홈(7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절첩식 상자(10)의 상부에 기타 다른 상자가 적재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홈(71)에 손을 삽입한 후, 적재된 다른 상자를 쉽게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70)의 하단에는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절첩식 상자(10)가 접혀져 상판(70)과 하판(60)이 맞닿아 있을 경우에 상기 홈(76)에 손을 삽입한 후, 상판(70)을 들어올림으로써 절첩식 상자(10)를 쉽게 펼 수 있다.
상기 단측벽(50)은 상판(70)에 형성되어 있는 경첩축(72)에 의해, 절첩식 상자(10)의 내측 상부로 올려져 절첩된다.
상기 장측벽은 상측벽(30)과 하측벽(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측벽(30)의 상단은 상판(70)에 형성되어 있는 경첩축(73)에 의해, 절첩식 상자(10) 내부로 절첩되고, 상기 하측벽(40)의 하단은 하판(60)에 형성되어 있는 경첩축(63)에 의해 절첩식 상자(10) 내부로 절첩된다.
상기 상측벽(30)의 하단과 하측벽(40)의 상단에는, 상기 상측벽(30)과 하측벽(40)을 연결하는 경첩축(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벽(30)과 하측벽(40)은 상기 경첩축(35)에 의해 절첩식 상자(10)의 내향으로 절첩된다.
상기 상측벽(30)의 중앙에는 상기 상측벽(30)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벽(30)과 별개로 분리된 상부도어(30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측벽(30)의 측면에는, 후술할 제1잠금장치(100)의 슬라이딩부(120)가 삽입되는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측벽(40)의 중앙에는 상기 하측벽(40)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측벽(40)과 별개로 분리된 하부도어(4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측벽의 일부를 개방하는 도어는 상부도어(300)와 하부도어(400)로 분리하여 형성할 수 있지만,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도어(400)의 하단은 경첩축(450)에 의해 하측벽(40)과 연결되며, 절첩식 상자(10)의 외부로 절첩된다.
상기 하부도어(400)의 상단과 상부도어(300)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도어(300)와 하부도어(400)를 연결하는 경첩축(35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도어(300)와 하부도어(400)는 상기 경첩축(350)에 의해 절첩식 상자(10)의 외향으로 절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10)는 측벽에 도어가 형성되어 있어 측벽이 개방될 수 있으므로, 다단으로 적재된 상자의 내용물을 쉽게 넣거나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절첩식 상자(10)는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도어(300)가 하부도어(400)에 포개어져 상부도어(300)와 하부도어(400)가 접힌 상태로 열리기 때문에, 다단으로 적재된 상자에 있어서, 위에 있는 상자의 도어를 열어도 아래에 있는 상자의 사용에 간섭이 생기지 않으며, 도어를 열기 위해 필요한 공간도 줄일 수 있다.
상기 상부도어(300)의 좌측과 우측에는 상기 상부도어(300)의 외부로 돌출된 사각형 형상의 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틀의 안쪽에는 홈(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340)의 너비는 후술할 제1잠금장치(100)의 손잡이부(110)가 상기 홈(340)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1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시킨다.
상기 상부도어(300)의 좌측 끝단과 우측 끝단에는 상기 홈(340)과 연통 되는 홈(3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370)은 상기 상부도어(300)를 닫았을 때, 상기 상측벽(30)에 형성되는 홈(32)과 연통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잠금장치(100)는 손잡이부(110)와 슬라이딩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사각형 형상인 판의 둘레에 상측벽,하측벽,좌측벽,우측벽이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둘러싸여 있고, 상기 상,하,좌,우 네측벽의 안쪽에는 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의 각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홈(111)에 손을 삽입한 후, 측벽을 밀어 상기 손잡이부(11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의 뒤쪽에는 상측벽과 하측벽의 끝단과 이어지도록, 돌출부(1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10)가 홈(340)에 삽입되어 이동할 때, 상기 상부도어(300)와 손잡이부(110)의 마찰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의 좌측 끝단에는 'ㄴ'형상의 슬라이딩부(120)가 상기 손잡이부(110)에 이어져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120)의 좌측에는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고, 위쪽과 아래쪽에는 탄성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112)의 일부분이 슬라이딩부(120)로부터 분리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120)와 탄성부(112) 사이에는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112)에는 돌출면(123)이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면(123)의 좌측에는 경사면(124)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에는 경사면(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124,125)는 상기 돌출면(123)에서 멀어질수록, 경사가 완만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잠금장치(100)의 손잡이부(110)는 상부도어(300)에 형성되는 홈(340)에 삽입되고, 슬라이딩부(120)는 홈(370)에 삽입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장치(10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부(120)가 홈(32)에 삽입되면 상측벽(30)과 상부도어(300)의 잠금이 이루어지고, 이와는 반대로, 슬라이딩부(120)가 홈(32)에서 이탈되면 상측벽(30)과 상부도어(300)의 열림이 이루어진다.
상기 홈(370)의 내부에는 돌출부(3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17)는 상기 슬라이딩부(120)가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112)를 수축 및 이완시킨다.
이때, 상기 돌출부(317)의 위치는 상기 탄성부(112)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홈(370)의 위쪽과 아래쪽에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딩부(120)가 홈(32)에 삽입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120)의 경사면(124)이 상기 돌출부(317)에 걸리면 탄성부(112)가 수축되고, 상기 돌출부(317)가 상기 돌출면(123)을 지나 경사면(125)에 걸리면 상기 탄성부(112)가 이완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120)를 홈(32)에서 이탈할 때, 상기 슬라이딩부(120)의 경사면(125)이 상기 돌출부(317)에 걸리면 탄성부(112)가 수축되고, 상기 돌출부(317)가 상기 돌출면(123)을 지나 경사면(124)에 걸리면 상기 탄성부(112)가 이완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17)가 상기 탄성부(112)의 경사면(124)에 걸리면 상측벽(30)과 상부도어(300)의 열림이 유지되고, 반대로, 상기 돌출부(317)가 상기 탄성부(112)의 경사면(125)에 걸리면 상측벽(30)과 상부도어(300)의 잠금이 유지된 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120)의 마찰면적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홈(370)의 내벽에는 돌출부(37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도어(300)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도어(300)의 상단에서 하부쪽으로 파인 수용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31)의 내부에는 후술할 제2잠금장치(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320)의 너비는 제2잠금장치(200)가 상기 홈(330)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잠금장치(20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시킨다.
상기 수용부(331)의 중앙에는 전면의 일부를 절취한 절취부(333)가 형성되어 있어, 제2잠금장치(200)의 작동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31)의 좌측과 우측의 전면에는 제2잠금장치(200)의 돌기(220)가 삽입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330)이 뚫려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잠금장치(200)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제2잠금장치(200)의 상측 중앙의 전면에는 홈(215)이 파여 있고, 상기 홈(215)은 벽(210)에 의해 나누어진다.
따라서, 상기 벽(210)은 상기 제2잠금장치(2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잠금장치(200)의 좌측과 우측의 전면에는 돌기(2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220)는 수용부(331)의 전면에 형성되는 구멍(330)에 삽입되어, 상기 돌기(220)가 상기 구멍(330)의 상측 내주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잠금장치(200)를 수용부(331)에 고정시 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돌기(220)는, 상기 제2잠금장치(200)를 상기 수용부(331)에 수월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돌기(220)의 아래로 갈수록 경사를 완만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330)의 너비는 제2잠금장치(200)에 형성되는 돌기(220)가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돌기(22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시킨다.
상기 제2잠금장치(200)의 우측 하단에는 돌기(27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271)는 상기 수용부(331)의 우측 하단에 뚫려 있는 구멍(332)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271)가 상기 구멍(332)에 삽입되면, 상기 제2잠금장치(200)의 열림이 유지된다.
이때, 상기 제2잠금장치(200)의 우측면에는, 상기 제2잠금장치(200)의 중앙 쪽으로 파인 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잠금장치(200)의 우측 하단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2잠금장치(200)의 뒤쪽 상단에는, 상기 수용부(331) 뒷면의 상단과 맞닿는 돌출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잠금장치(200)의 좌측과 우측의 상단에는 제2걸림턱(2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걸림턱(230)은 뒷측벽(231)과 우측벽(233)이 'ㄱ'형상으로 이어져 있고, 상기 뒷측벽(231)과 우측벽(233)의 상단을 덮는 상부벽(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뒷측벽(231)과, 우측벽(233)과, 상부벽(231)의 안쪽에는 공간(23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측벽(30)에는 제1걸림턱(33)이 상기 제2걸림턱(23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걸림턱(33)에 제2걸림턱(230)이 걸리면, 상기 상측벽(30)과 상부도어(300)의 잠금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걸림턱(33)에서 제2걸림턱(230)이 이탈되면, 상기 상측벽(30)과 상부도어(300)의 열림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측벽(30)의 좌측과 우측에는 고리(31)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도어(300)에는 상기 고리(31)에 대응되도록 걸림구(310)를 형성시켜서, 상기 상측벽(30)과 상부도어(300)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10)에는 상부도어(300)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어 상측벽(30)과 상부도어(300)를 고정시키는 제1잠금장치(100)와, 상부도어(3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측벽(30)과 상부도어(300)를 고정시키는 제2잠금장치(20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절첩식 상자(10)는 도어를 자주 사용할 경우에 제1잠금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한 후에 제2잠금장치(200)만 사용하여 편리하게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고, 도어를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견고하게 닫아 놓아야 할 경우에는 제1잠금장치(100)와 제2잠금장치(200)를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잠금 및 열림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자는, 특히, 상자의 내용물을 측면에서 쉽게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상자에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은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제1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제2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 상부도어에 제1잠금장치가 삽입된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제1잠금장치의 잠금 및 열림이 이루어지는 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상부도어에 제2잠금장치가 삽입된 종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제2잠금장치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 제2잠금장치의 열림이 이루어지는 횡단면도.
도 11은 종래기술인 절첩식 상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자 30 : 상측벽 31 : 고리 32 : 홈
33 : 제1걸림턱 35 : 경첩축 40 : 하측벽 50 : 단측벽
60 : 하판 61 : 지지부 63 : 경첩축 70 : 상판
71 : 홈 72 : 경첩축 73 : 경첩축 76 : 홈
100 : 제1잠금장치 110 : 손잡이부 111 : 홈 112 : 탄성부
113 : 돌출부 120 : 슬라이딩부 121 : 구멍 122 : 홈
123 : 돌출면 124 : 경사면 125 : 경사면 200 : 제2잠금장치
210 : 벽 215 : 홈 220 : 돌기 230 : 제2걸림턱
231 : 뒷측벽 232 : 상부벽 233 : 우측벽 234 : 공간
240 : 홈 250 : 돌출부 271 : 돌기 300 : 상부도어
310 : 걸림구 317 : 돌출부 320 : 홈 330 : 구멍
331 : 수용부 332 : 구멍 333 : 절취부 340 : 홈
350 : 경첩축 370 : 홈 371 : 돌출부 400 : 하부도어
450 : 경첩축
Claims (3)
- 측벽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절첩식 상자에 있어서,상기 도어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측벽을 고정시키는 제1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도어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측벽을 고정시키는 제2잠금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2잠금장치는,상기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제1걸림턱;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있는 홈;상기 홈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빗장편;상기 빗장편에 형성되어 있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하되,상기 제1걸림턱에 상기 제2걸림턱이 걸리면, 상기 측벽과 상기 도어의 잠금 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걸림턱에서 제2걸림턱이 이탈되면, 상기 측벽과 상기 도어의 열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2799U KR20090008946U (ko) | 2008-03-03 | 2008-03-03 | 절첩식 상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2799U KR20090008946U (ko) | 2008-03-03 | 2008-03-03 | 절첩식 상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8946U true KR20090008946U (ko) | 2009-09-08 |
Family
ID=4129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2799U KR20090008946U (ko) | 2008-03-03 | 2008-03-03 | 절첩식 상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8946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5770B1 (ko) | 2019-05-23 | 2020-08-19 | 엔피씨(주) | 절첩식 상자 |
KR102159968B1 (ko) | 2019-06-28 | 2020-09-25 | 엔피씨(주) | 절첩식 상자 |
-
2008
- 2008-03-03 KR KR2020080002799U patent/KR20090008946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5770B1 (ko) | 2019-05-23 | 2020-08-19 | 엔피씨(주) | 절첩식 상자 |
KR102159968B1 (ko) | 2019-06-28 | 2020-09-25 | 엔피씨(주) | 절첩식 상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87329B2 (en) | Sleeve pack assembly with latching mechanism | |
JP4779617B2 (ja) | 折り畳み式コンテナ | |
KR200395104Y1 (ko) | 접철식 상자 | |
KR20090008946U (ko) | 절첩식 상자 | |
EP1160169A2 (en) | A plastic box with collapsible walls provided with folding support legs | |
KR200428399Y1 (ko) | 보조 수납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용 포장상자 | |
JP2000255563A (ja) |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 |
JP2002068187A (ja) | ボックスパレット | |
JP5291580B2 (ja) | 折り畳み式コンテナ | |
JP2006305107A (ja) | コンパクト容器 | |
KR20130065563A (ko) | 절첩식 상자의 커버 구조 | |
JP4713768B2 (ja) | パレット容器 | |
KR101250958B1 (ko) |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 |
KR101063736B1 (ko) | 본체와 회전부가 일체로 형성된 종이케이스 | |
KR20090007050U (ko) | 딸기상자 | |
KR200386480Y1 (ko) | 컨테이너 | |
KR200442280Y1 (ko) | 컨테이너 | |
JP4575090B2 (ja) | 折り畳み容器 | |
KR200344593Y1 (ko) | 장측벽 일부를 개방 할수 있는 절첩식 상자 | |
KR102622955B1 (ko) | 견고한 체결구조와 우수한 내구성 및 사용편의성을갖는 접철식 경량 보관상자 | |
KR200322234Y1 (ko) | 수납상자 | |
JP6333641B2 (ja) | コンテナ段積み係合構造 | |
KR200395620Y1 (ko) | 포장상자 | |
JP2010070215A (ja) | プラスチック容器 | |
KR200380829Y1 (ko) | 밀폐용기용 손잡이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