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246Y1 - 절첩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246Y1
KR200447246Y1 KR2020070018231U KR20070018231U KR200447246Y1 KR 200447246 Y1 KR200447246 Y1 KR 200447246Y1 KR 2020070018231 U KR2020070018231 U KR 2020070018231U KR 20070018231 U KR20070018231 U KR 20070018231U KR 200447246 Y1 KR200447246 Y1 KR 200447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fixing piece
side wall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633U (ko
Inventor
박창섭
Original Assignee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8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24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2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절첩상자는 하판; 상기 하판에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하판에 힌지 결합되는 측벽;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결합홈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편의 끝단부는 상기 결합홈 보다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하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절첩상자에 의하면, 상기 하판의 결합홈에서 분리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더라도 상기 걸림홈에 함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에 의해 장측벽 또는 측벽이 상기 하판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절첩, 상자, 힌지

Description

절첩상자 {FOLDABLE BOX}
본 고안은 절첩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벽과 하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 절첩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첩식 상자는 보관과 적재 등 공간활용에 혁신을 일으킨 제품으로 보관비 및 운송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크게 높인 제품이다.
하지만, 측벽과 하판을 연결하는 힌지결합부인 결합돌기가 결합홈에서 빠지는 경우, 상기 측벽과 하판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판과 측벽을 힌지결합하는 결합돌기가 상기 하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절첩상자는 하판; 상기 하판에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하판에 힌지 결합되는 측벽;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결합홈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편의 끝단부는 상기 결합홈 보다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하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절첩상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상기 하판의 결합홈에서 분리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더라도 상기 걸림홈에 함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에 의해 장측벽 또는 측벽이 상기 하판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체결돌기에 형성된 경사부에 의해 상기 고정편을 상기 고정편삽입부에 보다 쉽게 삽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정편을 상기 고정편삽입부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상기 절개홈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고정편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을 보다 쉽게 고정편삽입부에 탈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정편을 상기 고정편삽입부에서 제거할 경우,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체결돌기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고정편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걸림부의 전면 측벽은 상기 고정편이 일정범위 이상으로 상기 고정편삽입부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안착홈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지 못한 상기 결합돌기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측벽이 접히는 경우, 상기 안착부 또는 상기 지지면에 의해 상기 측벽이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이음부에 의해, 상기 장측벽과 측벽이 하판에서 펴지는 경우, 상기 장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의 틈을 없애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상자의 분리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벽과 하판이 결합된 절첩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삽입홈의 확대도이며,
도 4b는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부와 고정편이 설치된 삽입홈의 확대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의 사시도이며,
도 6a 및 6b는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 안착부, 지지부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벽이 접혀진 절첩상자의 측면도이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고안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절첩상자는 하판(100); 상기 하판(100)에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하판(100)에 힌지 결합되는 측벽(300); 상기 측벽(30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11); 상기 결합홈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편(20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편(200)의 끝단부는 상기 결합홈 보다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결합돌기(311)가 상기 하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100)은 상부가 개구된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판(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판(100)과 일체로 이루어며, 상기 하판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판 형상의 체결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10)에는 삽입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11)은 후술할 힌지결합부(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결합부(3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111)의 상부로 상기 힌지결합부(310)가 이동가능하며, 상기 힌지결합부(310)가 상기 삽입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판(100)의 내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홈의 상부와 전면은 개방된다.
상기 삽입홈(111)의 내측벽에는 가이드부(120)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20)에 의해, 후술할 측벽(300)에 형성된 결합돌기(311)는 후술할 결합홈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부(120)는 상기 삽입홈(111)의 내측벽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입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120)의 하단부에는 편 형상의 지지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122)의 양끝단과 상기 삽입홈(111)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121)의 높이는 후술할 결합홈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21)의 상단면에는 안착홈(12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23)의 형상은 상기 결합돌기(311)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기(311)의 둘레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120)의 내측에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311)에 의해 상기 장측벽과 측벽(300)은 상기 하판(100)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311)의 상단부(즉, 상기 삽입홈(211)의 내측벽 상단부)에는 절개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33)는 상기 가이드부(311)의 끝단부에서 상기 체결부(11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부(133)의 내부에는 후술할 고정편(200)에 형성되는 걸림부(210)가 함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133)의 형상은 상기 걸림부(2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110)의 상부측 내부에는 고정편삽입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삽입부(130)은 상기 절개부(133)의 내측면(즉, 상기 삽입홈(211)의 내부를 바라보는면)에서 상기 체결부(110)의 내측부를 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삽입부(130)와 상기 절개부(133)는 서로 연통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110)의 상면에는 체결공(13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31)은 상기 고정편삽입부(130)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공(131)은 상기 고정편(200)이 상기 고정편삽입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할 체결돌기(220)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따른 절첩상자는 도 XX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판(100)의 각 측벽 최양측에 위치한 상기 삽입홈(211)의 내측벽 에는 상기 가이드부(120), 지지부(121), 그리고 결합홈(미도시) 만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판(100) 각 측벽의 최 양측에 위치한 삽입홈(211)의 내측벽에는 상술한 고정편삽입부(130), 절개부(133), 체결공(131) 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하판(100)에는 지지면(10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면(100)은 후술할 장측판(330)이 힌지 결합되는 하판(100) 측벽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삽입부(130)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사각판 형상의 고정편(200)이 삽입된다.
상기 고정편(200)의 전측에는 삽입부(230)가 형성되며, 후측에는 걸림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3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체결돌기(22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220)에는 경사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21)은 상기 삽입부(230)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윗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230)에는 절개홈(231)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231)은 상기 체결돌기(220)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ㄷ형의 관통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홈(231)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220)는 상기 고정편(200)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
상기 고정편(200)에서 상기 걸림부(210)는 상기 삽입부(230)보다 높은 곳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10)의 전면 측벽은 상기 고정편(200)이 일정범위 이상으로 상기 고정편삽입부(13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부(210)의 하부면에는 걸림홈(24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40)의 형상은 상기 결합돌기(311)가 함입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편(200)이 상기 고정편삽입부(13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걸림홈(240)(즉, 고정편(200)의 끝단부)은 상기 결함홈보다 상기 삽입홈(111)의 내부로 돌출되게 된다.
결합홈에서 분리된 결합돌기(311)가 가이드부(120)를 따라 이동하더라도 상기 걸림홈(240)에 함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에 의해 장측벽(330) 또는 측벽(300)이 상기 하판(10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하판(100)에는 2개의 장측벽(330)과, 2개의 측벽(300)이 힌지 결합된다.
상기 장측벽(330)과 측벽(300)에는 힌지결합부(310)와 상기 힌지결합부(310)에 형성된 결합돌기(311)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결합부(310)는 상기 장측벽(330)과 측벽(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결합부(310)의 좌우측면에는 결합돌기(31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311)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기둥형상의 바(ba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판(100)에 힌지 결합되는 상기 2개의 장측벽(330)과, 2개의 측벽(300)의 힌지점의 위치는 4개 모두 다르게 형성된다.
이는 4개의 장측벽(330)과 측벽(300)이 서로 위아래로 겹쳐진 상태로 상기 하판(100) 내부에 접혀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하판(100) 내부에서, 상기 장측벽(330)의 힌지점은 상기 측벽(300)의 힌지점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장측벽(330)의 높이는 상기 측벽(300)보다 높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2개의 장측벽(330)이 상기 하판(100) 내부에 함입되게 접힌 상태에서, 접힌 2개의 장측벽(330) 위로 2개의 측벽(300)이 접히게 된다.
상기 장측벽(330)의 가로방향 형상은 직선형으로 곧게 형성된다.
상기 측벽(300)의 양측벽 끝단부에는 이음부(301)가 형성된다.
상기 이음부(301)는 상기 측벽(300)의 양끝에서 상기 측벽의 내측 방향(즉, 상기 측벽(300)이 상기 하판(100)에서 접힌 상태에서 상기 하판(10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음부(301)의 바닥면에는 안착면(305)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300)이 상기 하판(100)에 접힐 때, 상기 안착면(305)은 후술할 안착부(303) 또는 상기 지지면(101)에 안착 된다.
상기 측벽(300)의 외측면의 끝단부(즉, 상기 안착면(305)의 반대 측면)에는 안착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330)는 상기 측벽(300)의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L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착부(330)의 형상은 안착면(305)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이음부(30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개의 측벽(300)이 상기 하판(100)에 접힐 때, 2개의 측벽 중 상대적으로 한판 내부의 힌지점이 낮은 측벽(100)은 힌지점이 높은 측벽(300)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아래에 위치하는 측벽(300)의 안착면(305)은 상기 지지면(101)에 안착되며, 접혀진 측벽(300) 위에 위치하는 측벽(300)의 안착면(305)은 아래에 위치하는 측벽(300)의 안착부(300)에 안착 된다.
상기 장측벽(330)과 측벽(300)이 상기 하판(100)에서 펼쳐지면, 상기 하판(100)의 상부에는 상기 장측벽(330)과 측벽(300)에 의해 둘러쌓이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음부(301)의 안착면(305)은 상기 장측벽(330)의 좌우측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음부(301)에 의해 장측벽(330)과 측벽(300) 사이의 틈이 없어지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상기 하판의 결합홈에서 분리된 상기 결합돌기(311)가 상기 가이드부(120)를 따라 이동하더라도 상기 걸림홈(240)에 함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에 의해 장측벽(330) 또는 측벽(300)이 상기 하판(10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체결돌기(220)에 형성된 경사부(221)에 의해 상기 고정편(200)을 상기 고정편삽입부(130)에 보다 쉽게 삽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정편(200)을 상기 고정편삽입부(130)에서 탈착시키는 경우, 상기 절개홈(231)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220)는 상기 고정편(200)의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200)을 보다 쉽게 고정편삽입부(130)에 탈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정편(200)을 상기 고정편삽입부(130)에서 제거할 경우, 상기 체결공(131)을 통해 상기 체결돌기(220)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고정편(200)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걸림부(210)의 전면 측벽은 상기 고정편(200)이 일정범위 이상으로 상기 고정편삽입부(13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120)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311)는 상기 결합홈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상기 지지부(121)와 상기 안착홈(123)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지 못한 상기 결합돌기(311)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안착부(303) 또는 상기 지지면(101)에 의해 상기 측벽(300)이 접힌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이음부(301)에 의해, 상기 장측벽(330)과 측벽(300)이 하판(100)에서 펼쳐지는 경우, 상기 장측벽(330)과 상기 측벽(300) 사이의 틈을 없애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절첩상자는, 하판과 측벽을 힌지결합하는 결합돌기가 상기 하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첩상자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상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상자의 분리도
도 3은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벽과 하판이 결합된 절첩상자의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삽입홈의 확대도이며,
도 4b는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결합부와 고정편이 설치된 삽입홈의 확대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의 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 안착부, 지지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벽이 접혀진 절첩상자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하판 110: 체결부
120: 가이드부 130: 고정편삽입부
200: 고정편 210: 걸림부
220: 체결돌기 300: 측벽
301: 이음부 303: 안착부
310: 힌지결합부 311: 결합돌기
330: 장측벽

Claims (1)

  1. 하판;
    상기 하판에 형성되는 요입홈 형상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하판에 힌지결합되는 측벽;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판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고정편삽입부;
    상기 고정편삽입부에 설치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에 의해 상기 측벽과 상기 하판은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편의 후측 끝단부는 상기 결합홈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하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상자.
KR2020070018231U 2007-11-12 2007-11-12 절첩상자 KR200447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231U KR200447246Y1 (ko) 2007-11-12 2007-11-12 절첩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231U KR200447246Y1 (ko) 2007-11-12 2007-11-12 절첩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33U KR20090004633U (ko) 2009-05-15
KR200447246Y1 true KR200447246Y1 (ko) 2010-01-11

Family

ID=4129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231U KR200447246Y1 (ko) 2007-11-12 2007-11-12 절첩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24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868Y1 (ko) 2001-12-12 2002-03-12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상부에 절첩식 상자를 설치시킨 패리트
KR200402534Y1 (ko) 2005-09-06 2005-12-01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힌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박스
KR100580886B1 (ko) 2004-02-12 2006-05-22 박기범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KR100627177B1 (ko) 2006-02-08 2006-09-25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868Y1 (ko) 2001-12-12 2002-03-12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상부에 절첩식 상자를 설치시킨 패리트
KR100580886B1 (ko) 2004-02-12 2006-05-22 박기범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KR200402534Y1 (ko) 2005-09-06 2005-12-01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힌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박스
KR100627177B1 (ko) 2006-02-08 2006-09-25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33U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701B2 (en) Folding container
US20100230406A1 (en) Folding container
JP2007168822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502823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921053B2 (ja) 運搬用容器
US20110049145A1 (en) Folding container
KR200447246Y1 (ko) 절첩상자
KR20090002055U (ko) 절첩식 상자
JP4789184B2 (ja) Snコンテナー
JP2005096815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KR100513556B1 (ko) 러기지 박스
KR101698127B1 (ko) 절첩식 상자의 커버 구조
JP4238188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051265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05126107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KR200322788Y1 (ko) 접이식 냉장고의 선반
JP4167962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078189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530643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の組み付け方法
KR101221199B1 (ko) 냉장고 선반커버
JP4791899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05298043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06188269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3923453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4319941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