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672Y1 - 트럭의 적재함 구조 - Google Patents

트럭의 적재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672Y1
KR200309672Y1 KR20020038507U KR20020038507U KR200309672Y1 KR 200309672 Y1 KR200309672 Y1 KR 200309672Y1 KR 20020038507 U KR20020038507 U KR 20020038507U KR 20020038507 U KR20020038507 U KR 20020038507U KR 200309672 Y1 KR200309672 Y1 KR 200309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ck
transfer screw
loading box
loading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38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한
Original Assignee
김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한 filed Critical 김원한
Priority to KR20020038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6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6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럭의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통상적인 트럭(T)의 차체 후방에 리어게이트(1a)와 사이드게이트(1b)의 결합을 통해 적재함(1)이 일체로 형성되는 트럭의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의 바닥면에 V자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철판 등의 부재를 연속적으로 연결한 경사가이드(3)를 사이에 두고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 이송스크류(2)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이송스크류(2)의 전방에는 이송스크류(2)를 구동할 수 있도록 유압 모터(4a)와 이 유압모터(4a)의 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스크류(2)를 구동시키는 감속기(4b)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4)이 이송스크류(2)에 일대일 대응되는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2)의 구동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덤프방식을 채용하지 않으면서도 동력에 의해 트럭의 후방으로 적재물을 보다 용이하게 하역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트럭의 적재함 구조{Loading Box Structure of Truck}
본 고안은 트럭의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낱알 형태의 곡물이나 사료 혹은 모래와 같은 적재물을 운반하는 통상적인 트럭의 일체형 적재함을 변형하여 트럭의 적재함 바닥면 쪽에 다수개의 이송스크류를 경사가이드 사이에 병렬로 배치하고, 트럭 전방 일측에 상기 각 이송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덤프방식을 채용하지 않으면서도 동력에 의해 트럭의 후방으로 적재물을 보다 용이하게 하역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낱알형태로 수확되는 각종 곡물이나 사료 혹은 모래와 같은 대량의 적재물을 운반하기 위한 이송수단으로는 일반 트럭이나 덤프트럭과 같은 특수 상용차량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일반 트럭이나 덤프트럭은 적재물을 탑재할 수 있는 적재함을 갖추고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반 트럭(20)에 마련된 통상의 적재함(10)은 플로어(11)의 양측면에 사이드게이트(12)를 마련함과 동시에 후면에 리어게이트(13)를 마련하여 각각 힌지(14) 결합을 통해 적재함 형상으로 만들어 적재물을 탑재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적재함(10)에 적재물을 운반할 때에는 사이드게이트(12)와 리어게이트(13)를 수직적으로 닫아서 고정하고, 적재된 화물(적재물)을 하역할 때에는 일측 사이드게이트(12)와 리어게이트(13)를 모두 열거나 사이드게이트(12) 또는 리어게이트(13)를 선택적으로 열고 작업자가 플로어(11)에 올라가서 지상으로 낙하시켜 하역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또한, 플로어(11)에 적재물을 적재할 때에는 상기 하역 시와 같이 사이드게이트(12)와 리어게이트(13)를 모두 열거나 사이드게이트(12) 또는 리어게이트(13)를 선택적으로 열고 작업자가 지상에서 플로어(11)에 직접 적재하거나 동력을 이용한 별도의 적재 수단을 통해 적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트럭(20)의 적재함(10)에 낱알 형태로 수확되는 각종 곡물이나 사료 혹은 모래와 같은 대량의 적재물을 운반하여 하역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하역하거나 기타 하역 작업을 위한 보조 기구를 이용하여 하역 작업을 실시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어려울 뿐 아니라 긴 작업시간을 소요하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덤프트럭과 같은 특수 목적의 상용차량의 경우는 일반 트럭에서의 하역 작업 시 단점을 보완하여 유압작동펌프를 이용하여 적재함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의 운반과 하역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도 하다.
한편, 최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량으로 곡물이나 사료 등을 운반하기 위해 좀더 발전되고 개량적인 운반시설이 필요하게 되면서 곡물 혹은 사료를 운반하기 위한 별도의 곡물적재함(100)을 탑재한 트럭(200)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곡물적재함(100)을 탑재한 트럭(200)은 상기 곡물 혹은 사료와 같이 수 톤 내지 수십 톤에 이르는 곡물 혹은 사료를 대량으로 이송하기 위해 일반 트럭을 특수하게 개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곡물적재함(10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양으로 제공되고 있다.
즉, 도 3a 및 도 3b에는 상기 곡물적재함(100)과는 다른 형태의 곡물적재함(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곡물적재함(100)은, 용기체 형상의 본체(110) 내부로 동력수단(120)을 갖는 이송스크류(130)가 설치되고, 이 이송스크류(130)에 대응하여 하나의 토출구(140)가 본체(110)의 하부에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곡물적재함(100)은 트럭(200)과 같은 운반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어지는 탑재형과, 또 다른 형태로서 바퀴가 구성되어 트랙터 등의 후미로 연결되는 트레일러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탑재형 곡물적재함(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트럭(200)과 같은 운반차량에 탑재되어 이동되어지는 바, 이러한 종래 곡물적재함(100) 자체에는 탑재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트럭(200)과 같은 운반차량에 탑재 또는 하역하는 작업 시 별도의 탑재보조도구(지게차등)를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상기한 곡물적재함(100)의 경우, 상기 이송스크류(130)가 곡물적재함(100)의 바닥 쪽에 하나 혹은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토출구(140)를 통해 곡물이 토출되도록 설치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곡물적재함(100) 속에 적재된 곡물이나 사료와 같은 적재물(150)을 토출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일반 트럭의 적재함에서 대량의 적재물을 하역할 때 수작업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별도의 곡물적재함을 탑재하는 트럭의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적인 트럭의 일체형 적재함을 변형하여 트럭의 적재함 바닥면 쪽에 다수개의 이송스크류를 경사가이드 사이에 병렬로 배치하고, 트럭 전방 일측에 상기 각 이송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적재함을 들어올리는 덤프방식을 채용하지 않으면서도 동력에 의해 트럭의 후방으로 적재물을 보다 용이하게 하역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트럭의 적재함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 트럭의 적재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탑재형 곡물적재함이 트럭에 탑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종래 탑재형 곡물적재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종래의 곡물적재함을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럭의 적재함 플로어에 다수개의 이송스크류가 병렬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럭의 적재함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트럭의 측면 쪽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스크류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트럭의 배면에서 바라 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적재함 1a : 리어게이트
1b : 사이드게이트 2 : 이송스크류
2a : 이송날개 2b : 축
2c : 고정브라켓트 3 : 경사가이드
3a : 골 4 : 동력전달수단
4a : 유압모터 4b : 감속기
5 : 보조지지대 6 : 캐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적인 트럭의 차체 후방에 리어게이트와 사이드게이트의 결합을 통해 적재함이 일체로 형성되는 트럭의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경사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 이송스크류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이송스크류의 전방에는 이송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구조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가이드는 V자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철판 등의 부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적재함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경사가이드의 V자형 골에 각각 대응하여 이송스크류가 배치되면서 이 이송스크류의 일측단(트럭의 전방 쪽)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고, 그 타측단은 고정브라켓트를 매개로 경사가이드에 지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모터와, 이 유압모터의 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감속기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고,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이 상기 이송스크류에 일대일 대응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이송스크류의 구동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어게이트는 트럭의 후방에서 힌지 결합을 통해 적재함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사이드게이트는 개폐할 수 없는 구조를 갖으면서 일정 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수 톤에서 수십 톤 가량의 낱알 형태의 곡물이나 사료와 같은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적재물에 의해 양 측면의 사이드게이트에 매우 큰 하중이 작용할 때, 사이드게이트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 측면의 사이드게이트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럭의 적재함 플로어에 다수개의 이송스크류가 병렬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럭의 적재함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트럭의 측면 쪽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스크류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트럭의 배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트럭(T)의 적재함(1)이 탑재형이 아닌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이드게이트(1b)와 리어게이트(1a)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일체형 적재함(1)을 갖추고 있는 통상의 트럭에 마련된 적재함(1)을 개조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하역 작업을 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적재함(1)은 상/하로 들어 올리는 덤프방식을 취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럭의 적재함 구조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트럭(T) 차체의 후방에 리어게이트(1a)와 사이드게이트(1b)로 구성된 일체형 적재함(1)이 마련되고, 상기 적재함(1)의 바닥면에 경사가이드(3)를 사이에 두고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 이송스크류(2)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2)의 전방에 이송스크류(2)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4)이 마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4에서는 상기 이송스크류(2)가적재함(1)의 배치된 경사가이드(3) 사이에 4열로 설치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상기 이송스크류(2)를 4열로 배치한 이유는 적재함(1)의 폭을 고려한 것으로, 4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가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2)는 하나의 축(2b) 상에 다수개의 이송날개(2a)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통상적인 스크류 장치를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송스크류(2)의 일측단(트럭의 전방 쪽)은 상기 동력전달수단(4)에 연결되어 있고, 그 타측단(트럭의 후방, 즉 적재물이 하역되는 쪽임)은 고정브라켓트(2c)에 의해 지지 고정되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송스크류(2)로 하나의 이송라인을 구성한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이송스크류(2)를 상호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적재함(1)의 전후방 길이가 매우 길 경우, 하나의 이송스크류(2)만으로 전체 이송라인을 구성하게 되면, 축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이송스크류(2)를 설치할 때는 축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적재함(1)의 길이에 따라 하나 혹은 몇 개의 이송스크류(2)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이송라인을 구성할 것인가 하는 것은 설계 시 선택 사항에 해당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가이드(3)가 4개의 골(3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대략 V자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철판 등의 부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적재함(1)의 바닥면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경사가이드(3)의 각 골(3a)에 하나씩 이송스크류(2)가 대응 배치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이송스크류(2) 작동시 경사가이드(3)의 각 V자형 골(3a)을 따라 낱알 형태의 곡물이나 사료와 같은 적재물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가이드(3)는 상기 적재물 하역 작업 시 적재물이 이동하는 이동 통로로써, 원활한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적재물이 경사가이드(3)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와 이송스크류(2)가 위치한 골 쪽으로 지속적으로 모아지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송스크류(2)에 의해 적재물이 이동하게 됨에 따라 원활한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4)은 트럭(T)의 전면 캐빈(6)과 적재함(1)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각각의 이송스크류(2)에 일대일 대응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일대일 대응 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동력전달수단(4)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모터(4a)와, 이 유압모터(4a)의 동력을 공급받아 이송스크류(2)의 축(2b)을 구동시키는 감속기(4b)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적용하고 있는 유압을 이용한 동력전달수단(4)은 공지 공용된 관용적 기술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송스크류(2)와의 연결 구조 및동력 전달을 위한 작동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리어게이트(1a)가 종래 기술에서 전술한 통상의 리어게이트(13)와 마찬가지로 트럭(T)의 후방에서 힌지 결합을 통해 적재함(1)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적재함(1)에 적재물을 적재할 때에는 리어게이트(1a)를 닫아 트럭(T)의 후방에 위치한 이송스크류(2)의 토출 부위를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1)에서 적재물을 하역하고자 할 때에는 리어게이트(1a)를 개방하여 트럭(T)의 후방으로 이송스크류(2)에 의한 하역 작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게이트(1b)는 종래 기술에서 전술한 통상의 사이드게이트(12)와는 달리 개폐할 수 없는 구조를 갖으면서 일정 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수 톤에서 수십 톤 가량의 낱알 형태의 곡물이나 사료와 같은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이때, 상기 리어게이트(1a)의 높이가 사이드게이트(1b)의 높이 보다 낮게 설계된 경우에는 적재물 적재 시 리어게이트(1a) 쪽으로 적재물이 노출되어 이동 중 유출될 수 있음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어게이트(1a) 쪽에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커버를 마련하여 적재함(1) 및 적재물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함(1)의 양 측면 사이드게이트(1b) 사이에 보조지지대(5)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배치하고 있다.
이는 수십 톤의 적재물을 상기 적재함(1)에 적재할 경우, 적재물에 의해 양측면 사이드게이트(1b)에 매우 큰 하중이 작용하여 사이드게이트(1b)가 벌어질 수 있음으로, 이와 같은 매우 큰 하중이 작용할 때, 보조지지대(5)를 통해 하중을 지탱하여 사이드게이트(1b)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트럭의 적재함 구조에 따르면, 적재함(1)이 탑재형이 아닌 트럭(T) 차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 탑재형 곡물적재함(1)의 문제점이었던 트럭(T)에 곡물적재함(1)을 탑재하기 위한 별도의 탑재보조도구(지게차등)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1) 자체를 수 톤에서 수십 톤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대용량의 적재함(1)으로 구성할 수 있는 상태에서 적재물 하역 작업 시 적재함(1)을 덤프방식으로 들어올려서 하역하지 않더라도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개의 이송스크류(2)를 통해 한꺼번에 트럭(T)의 후방으로 하역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수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물론, 상기 다수개 배치된 각각의 이송스크류(2)에 대한 작동은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함으로 하역 작업 조건에 따라 사용자(하역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통상적인 트럭의 일체형 적재함을변형하여 트럭의 적재함 바닥면 쪽에 다수개의 이송스크류를 경사가이드 사이에 병렬로 배치하고, 트럭 전방 일측에 상기 각 이송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덤프방식을 채용하지 않으면서도 동력에 의해 트럭의 후방으로 적재물을 보다 용이하게 하역 작업을 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하역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이 탑재형이 아닌 트럭 차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 탑재형 곡물적재함의 문제점이었던 트럭에 곡물적재함을 탑재하기 위한 별도의 탑재보조도구(지게차등)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가진다.

Claims (5)

  1. 통상적인 트럭(T)의 차체 후방에 리어게이트(1a)와 사이드게이트(1b)의 결합을 통해 적재함(1)이 일체로 형성되는 트럭의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의 바닥면에 경사가이드(3)를 사이에 두고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 이송스크류(2)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이송스크류(2)의 전방에는 이송스크류(2)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4)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3)는 V자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철판 등의 부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적재함(1)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경사가이드(3)의 V자형 골(3a)에 각각 대응하여 이송스크류(2)가 배치되면서 이 이송스크류(2)의 일측단(트럭의 전방 쪽)은 상기 동력전달수단(4)에 연결되고, 그 타측단은 고정브라켓트(2c)를 매개로 경사가이드(3)에 지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4)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모터(4a)와, 이 유압모터(4a)의 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스크류(2)를 구동시키는 감속기(4b)가 하나의세트로 구성되고, 이러한 동력전달수단(4)이 상기 이송스크류(2)에 일대일 대응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이송스크류(2)의 구동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게이트(1a)는 트럭(T)의 후방에서 힌지 결합을 통해 적재함(1)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사이드게이트(1b)는 개폐할 수 없는 구조를 갖으면서 일정 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수 톤에서 수십 톤 가량의 낱알 형태의 곡물이나 사료와 같은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물에 의해 양 측면의 사이드게이트(1b)에 매우 큰 하중이 작용할 때, 사이드게이트(1b)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 측면의 사이드게이트(1b)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보조지지대(5)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적재함 구조.
KR20020038507U 2002-12-26 2002-12-26 트럭의 적재함 구조 KR200309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8507U KR200309672Y1 (ko) 2002-12-26 2002-12-26 트럭의 적재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8507U KR200309672Y1 (ko) 2002-12-26 2002-12-26 트럭의 적재함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672Y1 true KR200309672Y1 (ko) 2003-04-03

Family

ID=4056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38507U KR200309672Y1 (ko) 2002-12-26 2002-12-26 트럭의 적재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6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311A1 (en) * 2007-07-30 2009-02-05 Seoho Electric Co., Ltd, Container transfer vehicles system, 4 wheel driving device and 4 wheel handling device thereof
KR102166071B1 (ko) * 2020-06-17 2020-10-15 에코필드 유한회사 균등 적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311A1 (en) * 2007-07-30 2009-02-05 Seoho Electric Co., Ltd, Container transfer vehicles system, 4 wheel driving device and 4 wheel handling device thereof
KR102166071B1 (ko) * 2020-06-17 2020-10-15 에코필드 유한회사 균등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3094A (en) Grain cart equipped with independently driven drag auger
US3578186A (en) Vehicle unloader
CA2088711C (en) Dump truck with conveyor dispensing system
US2421128A (en) Means for handling loads in vehicles
US3317066A (en) Trailer van and conveyor
CN115556836A (zh) 车辆装载箱的舱壁结构
KR200309672Y1 (ko) 트럭의 적재함 구조
CN213619506U (zh) 一种推送式自卸散装粮食运输半挂车
KR200316118Y1 (ko)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KR200338499Y1 (ko) 곡물이송적재함
KR101045466B1 (ko)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CA2171879A1 (en) Shiftable Cargo Container for Truck-Tractor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US6174022B1 (en) Elongated cargo opening in cargo van side wall
KR200468113Y1 (ko)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KR102166071B1 (ko) 균등 적재장치
CN211567767U (zh) 发酵物料自卸转运车
US4087129A (en) Cargo gate operators
KR200357024Y1 (ko) 자주식 수레의 적재장치
KR100203081B1 (ko) 곡물 운반용 트레일러
KR200344466Y1 (ko) 적재물 운반차량의 하역장치
CN213474193U (zh) 自卸运料斗
CN217558129U (zh) 一种新型机械化平仓仓门
CN210680504U (zh) 一种螺旋式输送自卸车厢及装有该装置的自卸车
KR200292914Y1 (ko) 곡물 이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