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071B1 - 균등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균등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071B1
KR102166071B1 KR1020200073809A KR20200073809A KR102166071B1 KR 102166071 B1 KR102166071 B1 KR 102166071B1 KR 1020200073809 A KR1020200073809 A KR 1020200073809A KR 20200073809 A KR20200073809 A KR 20200073809A KR 102166071 B1 KR102166071 B1 KR 102166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loading device
present
load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행진
Original Assignee
에코필드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필드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에코필드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 B60P1/4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mounted o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09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시 분진이 비산되지 않고 적재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적재되고 특정한 부분에 적재된 적재물을 적재함 전체에 균등하게 적재할 수 있는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후면에 적재함이 형성되는 이동차량과 적재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재장치와 적재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키는 적재스크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균등 적재장치{Apparatus for uniform loading}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시 분진이 비산되지 않고 적재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적재되고 특정한 부분에 적재된 적재물을 적재함 전체에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할 수 있는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리프팅 장치는 차량의 프레임 중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힌지축과, 일측은 각각 상기 제1 힌지축의 양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프레임과,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힌지축과, 일단은 상기 링크프레임의 후방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삼각프레임과, 일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링크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3 힌지축과 연결되고 타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삼각프레임의 중간에 결합되는 제4 힌지축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적재함의 트랙에 구비되어 화물을 적/하역시키기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화물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을 적재함에서 평행으로 이동시키는 평행이동부; 및 상기 화물을 상기 평행이동부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행이동부는, 상기 적재함의 트랙 내부에서 트랙의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상기 트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평행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적재함의 트랙 내부에는 상기 트랙과 평행하게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평행이동부의 본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평행롤러가 포함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에 설치되는 화물차 적재함용 슬라이딩 보조 바닥장치에 있어서, 서로 동일하게 사각판 형태로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 바닥의 크로스 멤버에서 상호 이격되어 용접 고정되고, 중앙부에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보조 바닥 레일과; 길이 방향으로 양단이 절곡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바닥 레일의 가이드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후방에 고정핀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조 바닥 레일의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되고, 전방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스토퍼홀이 구비되고, 전방 양측면에 힌지홀이 구비되는 보조 바닥판; 및 "디귿자"형태로 양단이 절곡 형성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보조 바닥판의 스토퍼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바닥판의 힌지홀과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보조 바닥판의 상면에서 회동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하중분포 표시장치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에 따른 적재함의 하중분포를 디스플레이화 할 수 있도록 화물차의 하중분포를 감지하여 비교부에 입력하는 하중감지부와, 이 하중감지부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영상변환부에 신호를 입력하는 비교부, 이 비교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영상신호화 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입력하는 영상변환부와, 이 영상변환부를 통하여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적재함의 하중분포를 영상화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9-0003136 A (2019년01월09일) KR 10-2011-0000864 A (2011년01월06일) KR 20-0489976 Y1 (등록일자 2019년08월28일) KR 20-1998-039848 U (1998년09월15일)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할 수 있는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후면에 적재함(110)이 형성되는 이동차량(100);, 상기 적재함(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재장치(200);,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키는 적재스크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적재스크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적재물이 공급되는 호퍼(10)가 결합되는 결합장치(230); 상기 결합장치(230)에 형성되며, 개폐됨에 따라 적재물이 관통되는 게이트(2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적재스크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적재장치(2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110)에 고정 및 분리시키는 착탈장치(3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적재스크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적재스크류(4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410); 상기 회전축(410)의 외측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스크류 블레이드(4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적재스크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10)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5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덤프 트럭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적재함에 균등하게 적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류가 회전됨에 따라 적재되는 적재물이 적재함의 단부까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장치가 적재함의 상부에 안착되어 비산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장치가 적재함에서 착탈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덤프트럭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함의 하단에 복수의 로드셀이 형성됨에 따라 적재함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적재장치의 적재스크류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착탈장치가 형성된 적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균등 적재장치에 있어서, 후면에 적재함(110)이 형성되는 이동차량(100);, 상기 적재함(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적재장치(200);,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키는 적재스크류(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차량(100)은 자주식 또는 캐리어식으로 적재함(11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가 결합되는 결합면(111); 상기 적재함(110)의 후면에 형성되며, 힌지에 의하여 개방됨에 따라 적재물을 방출시키는 개방도어(112);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적재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복수의 로드셀(113);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는 적재함(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함체(220);, 상기 함체(220)의 하단에 형성되며, 적재물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덤프트럭에 적재되는 모래, 자갈, 콘크리트 등의 적재물이 균등하게 적재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에 적재되는 적재물은 상부에서 호퍼(10)에 의하여 공급되는 것으로 호퍼(10)가 이동할 수 없으므로 덤프트럭을 소정의 거리로 이동하여 적재함(110)에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덤프트럭으로 형성되어 후면에 적재함(110)이 형성되는 이동차량(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이동차량(100)은 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후면에 형성되는 적재함(110)은 적재물이 적재된다. 그리고 적재함(110)은 자주식 또는 캐리어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적재함(110)이 이동차량(100)의 후면에 안착되거나 후면에 연결장치가 형성되어 이동차량(100)에 의하여 견인된다. 이때, 캐리어식일 경우 적재함(110)의 하부에는 바퀴가 형성된다. 또한, 적재함(110)에 적재되는 적재물은 호퍼(10)에 의하여 공급되고 적재함(110)의 일단부가 상승함에 따라 타단부로 적재물이 방출된다. 이때, 적재함(110)은 후면에 힌지에 의하여 개폐되는 개방도어(112)가 형성됨에 따라 적재함(110)의 일단부가 상승하면 개방도어(112)가 개방된다. 그리고 적재함(110)의 상부에 적재장치(200)가 결합되는 결합면(111)이 형성되며, 결합면(111)은 개방되어 형성된다. 결합면(111)에 결합되는 적재장치(200)에 의하여 적재함(110)은 밀페되어 이동차량(100)이 이동 중 적재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적재함(110)에 적재된 적재물에 의하여 비산 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장치(200)는 적재함(110)에 안착되는 함체(220)가 형성되며, 함체(220)는 적재함(110)에 착탈 가능하다. 그리고 함체(220)의 하부는 적재물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함체(220)의 내부에 적재스크류(400)가 형성된다. 적재스크류(400)는 함체(220)의 내부에 형성되거나 관통홀로 일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적재장치(200)에 의하여 균등하게 적재되는 적재물은 적재함(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로드셀(113)에 의하여 적재물이 균등하게 적재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때, 로드셀(113)은 적재함(110)의 하부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PC, 테블릿, 휴대용 단말기 및 차량의 표출장치 중 선택된 하나에 무게를 표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적재함(1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적재물이 균등하게 적재되도록 유도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복수로 형성되며, 적재함(110)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격판(210);을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격판(210)은 적재물을 균일하게 적재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격판(210)은 적재물의 방출에 따라 가변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적재장치(200)의 단으로 유연한 재질의 격판(2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적재장치(200)는 스크류 하단과 이격되도록 복수의 격판(210)이 형성되며, 격판(210)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압력 및 하중에 의하여 유연하게 이동한다. 그리고 격판(210)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적재스크류(400)를 통해 전달되는 적재물이 일정하게 적재함(110)에 적재된다. 또한, 격판(210)은 적재함(110)의 일단부가 상승하면 하단이 중력 및 적재물의 하중에 의하여 개방도어(112)와 같이 적재함(110)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적재물이 원활하게 방출되도록 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적재물이 공급되는 호퍼(10)가 결합되는 결합장치(230); 상기 결합장치(230)에 형성되며, 개폐됨에 따라 적재물이 관통되는 게이트(24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230)에 형성되며, 상기 호퍼(10)가 접합되는 결합체(231); 상기 결합체(231)에 형성되며, 상기 호퍼(10)를 고정하는 고정장치(232);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231)는 비산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실링재;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230)는 유연성이 확보된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240)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240)를 이동시키는 유압장치(250);를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240)는 복수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2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장치(2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적재장치(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적재물이 공급되는 호퍼(10)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장치(230)는 적재장치(200)의 상부 일단부에 형성되어 결합장치(230)를 통해 공급되는 적재물이 적재스크류(400)를 통해 적재함(110)에 균등하게 적재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장치(230)는 적재장치(200)의 상부 일단부에 형성되나 적재스크류(400) 및 결합장치(230)의 고장에 의하여 적재물이 균등하게 공급되지 않을 경우 다른 결합장치(230)에 호퍼(10)가 결합되도록 결합장치(230)가 등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결합장치(230)는 호퍼(10)가 접합되는 결합체(231)가 형성되며, 결합체(231)의 내부에는 실링재가 형성되어 비산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결합장치(230)는 호퍼(10)가 접합되어 적재물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유연성이 확보되는 주름관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장치(230)의 하단에는 게이트(240)가 형성되며, 게이트(240)는 유압장치(250)에 의하여 이동된다. 게이트(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결합장치(230)에서 이동하거나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이동한다. 유압장치(250)는 이동차량(100)의 유압에 의하여 게이트(240)를 이동시키거나 실린더에 의하여 게이트(240)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재장치(200)는 호퍼(10)가 결합되어 적재물이 공급되는 결합장치(230)가 형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110)에 고정 및 분리시키는 착탈장치(3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착탈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 1브라켓(310); 상기 제 1브라켓(310)과 결합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는 제 2브라켓(320);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착탈장치(300)는 상기 적재장치(20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적재함(110)에 걸리는 걸림판(330);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330)에 의하여 상기 적재장치(200)가 상기 적재함(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착탈장치(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착탈장치(300)는 적재장치(200)와 적재함(110)에 각각 형성되어 적재장치(200)가 이동차량(10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착탈장치(300)는 적재함(110)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제 1브라켓(310)과 제 1브라켓(3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는 제 2브라켓(320)이 형성된다. 제 1브라켓(310)과 제 2브라켓(320)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적재장치(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착탈장치(300)는 적재장치(20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적재함(11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판(330)에 형성된다. 걸림판(330)은 적재장치(200)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적재함(110)의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때, 걸림판(330)은 적재장치(200)와 접하는 위치에 사선으로 형성되는 고정판이 형성되어 걸림판(330)의 강도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적재장치(200)의 걸림판(330)이 적재함(110)에 걸린 후 제 1브라켓(310)과 제 2브라켓(320)이 서로 결합되어 적재장치(200)를 고정한다.
따라서, 착탈장치(300)는 적재함(110)에 적재장치(200)가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있어서, 상기 적재스크류(4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410); 상기 회전축(410)의 외측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스크류 블레이드(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10)은 상기 적재장치(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10)은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10)은 상기 적재함(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420)는 상기 회전측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회전축(410)에 형성되는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420)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재스크류(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적재스크류(400)는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결합장치(230)를 통해 공급되는 적재물을 적재함(110)에 균등하게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적재스크류(400)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410)과 회전축(410)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 블레이드(420)가 형성된다. 회전축(410)은 적재장치(200)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부에서 하강하는 적재물을 적재함(110)에 균등하게 적재시킨다. 이때, 회전축(410)이 복수로 형성될 경우 등간격으로 배치되거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410)은 적재장치(200)의 내부에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전면에서 하면으로 향할수록 위치가 낮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킨다. 또한, 회전축(410)은 적재장치(200)에서 하단으로 하강하여 적재함(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적재함(110)에 적재된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킨다. 이때, 회전축(410)을 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는 실린더에 의하여 회전축(410)을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축(410)의 외측에 형성되는 스크류 블레이드(420)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간격은 다양하게 형성되나 적재물의 직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410)이 회전하면 스크류 블레이드(420)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적재물이 적재함(110)에 가이드되어 균등하게 적재된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재스크류(400)는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410)과 스크류 블레이드(420)에 의하여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균등 적재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10)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50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차량(100)의 유압에 의하여 구동하는 회전모터(510); 상기 회전모터(510)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410)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적재스크류(40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기어(520)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5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520)와 상기 구동기어(530)를 연결하는 연결체인(540);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균등 적재장치는 실시예 5-4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적재스크류(400)는 일방향 및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전장치(5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회전장치(500)는 회전축(4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동차량(100)의 유압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러한 회전장치(500)는 적재장치(200)의 단부에 형성되며, 이동차량(100)의 유압에 의하여 구동하는 회전모터(510)가 형성된다. 회전모터(510)의 단부에 회전기어(520)가 형성되며, 회전기어(520)는 회전축(410)의 구동기어(530)에 연결되어 회전축(410)을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기어(520)와 구동기어(530)는 서로 접하여 회전축(410)을 회전시키거나 연결체인(540)에 의하여 결합됨에 따라 회전기어(520)가 회전할 때 구동기어(530)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축(410)을 회전시킨다. 복수의 회전축(410)이 형성될 경우 서로 이웃하는 회전축(410)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킴에 따라 적재물이 이동하여 적재함(110)에 균등하게 적재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축(410)의 구동기어(530)와 회전기어(520)는 연결체인(540)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회전모터(510)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회전축(410)의 회전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전장치(500)는 이동차량(100)의 유압에 의하여 구동하는 회전모터(510)에 의하여 회전축(410)을 회전시켜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함(110)에 적재하는 특징을 가진다.
10: 호퍼 100: 이동차량
110: 적재함 111: 결합면
112: 개방도어 113: 로드셀
200: 적재장치 210: 격판
220: 함체 230: 결합장치
231: 결합체 232: 고정장치
240: 게이트 250: 유압장치
300: 착탈장치 310: 제 1브라켓
320: 제 2브라켓 330: 걸림판
400: 적재스크류 410: 회전축
420: 스크류 블레이드 500: 회전장치
510: 회전모터 520: 회전기어
530: 구동기어 540: 연결체인

Claims (5)

  1. 후면에 적재함(110)이 형성되는 이동차량(100);
    상기 적재함(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재장치(200);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키는 적재스크류(400);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적재물이 공급되는 호퍼(10)가 결합되는 결합장치(230);
    상기 결합장치(230)에 형성되며, 개폐됨에 따라 적재물이 관통되는 게이트(240);
    상기 적재장치(2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110)에 고정 및 분리시키는 착탈장치(300);
    를 포함하는 균등 적재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스크류(4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410);
    상기 회전축(410)의 외측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스크류 블레이드(420);를 포함하는 균등 적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10)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500);를 포함하는 균등 적재장치.

KR1020200073809A 2020-06-17 2020-06-17 균등 적재장치 KR102166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09A KR102166071B1 (ko) 2020-06-17 2020-06-17 균등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09A KR102166071B1 (ko) 2020-06-17 2020-06-17 균등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071B1 true KR102166071B1 (ko) 2020-10-15

Family

ID=7288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809A KR102166071B1 (ko) 2020-06-17 2020-06-17 균등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064B1 (ko) * 2023-11-24 2024-01-30 에코필드 유한회사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848U (ko) 1996-12-20 1998-09-15 박병재 화물차 적재함의 하중분포 표시장치
KR200309672Y1 (ko) * 2002-12-26 2003-04-03 김원한 트럭의 적재함 구조
KR200409087Y1 (ko) * 2005-11-28 2006-02-17 김원한 사료 운반차량의 사료이송붐 구조
KR20110000864A (ko) 2009-06-29 2011-01-06 윤영만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KR20190003136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제이엠케이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KR200489976Y1 (ko) 2018-07-03 2019-10-14 주식회사 삼성특장 화물차 적재함용 슬라이딩 보조 바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848U (ko) 1996-12-20 1998-09-15 박병재 화물차 적재함의 하중분포 표시장치
KR200309672Y1 (ko) * 2002-12-26 2003-04-03 김원한 트럭의 적재함 구조
KR200409087Y1 (ko) * 2005-11-28 2006-02-17 김원한 사료 운반차량의 사료이송붐 구조
KR20110000864A (ko) 2009-06-29 2011-01-06 윤영만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KR20190003136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제이엠케이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KR200489976Y1 (ko) 2018-07-03 2019-10-14 주식회사 삼성특장 화물차 적재함용 슬라이딩 보조 바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064B1 (ko) * 2023-11-24 2024-01-30 에코필드 유한회사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2115A (en) Modular articulated railcar
US2585169A (en) Motor-operated material handling equipment
EP0788958A2 (en) Bi-tri-level deck system for a railcar
CA1299221C (en) Dump truck with integrated spreader system
CA2088711C (en) Dump truck with conveyor dispensing system
KR102166071B1 (ko) 균등 적재장치
CN110341572A (zh) 输送带自卸车车厢
CN115556836A (zh) 车辆装载箱的舱壁结构
CN210709756U (zh) 链条式传动运粮专用车
US2267526A (en) Automobile truck
US2314647A (en) Batch charging apparatus for concrete mixers
CN214827443U (zh) 一种散料卸船用料仓
US3263844A (en) Vehicle mounted conveyor
CN102295111B (zh) 滑动顶槽式散货集装箱
US3738707A (en) Device for dumping beet boxes
CN212605109U (zh) 一种翻斗式矿车
CN211765176U (zh) 一种可自卸料的罐式自卸车厢
CN210191284U (zh) 一种新型运砂车
CN115072189A (zh) 散装货集装箱
CN105269684A (zh) 前进后出上料控制仓
CN213736754U (zh) 集装箱及具有其的运输车
CN212174199U (zh) 一种带自锁装置的后卸式斜井箕斗
KR102502346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CN215665053U (zh) 一种安装于半挂车车底盘上的集装箱
CN216333866U (zh) 方便卸料的挡板周转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