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064B1 -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064B1
KR102631064B1 KR1020230165708A KR20230165708A KR102631064B1 KR 102631064 B1 KR102631064 B1 KR 102631064B1 KR 1020230165708 A KR1020230165708 A KR 1020230165708A KR 20230165708 A KR20230165708 A KR 20230165708A KR 102631064 B1 KR102631064 B1 KR 10263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load
pressure
loading devic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행진
Original Assignee
에코필드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필드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에코필드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3016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 B60P1/4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mounted o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vibratory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fluids, e.g. having direct contact between fluid and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45Adaptations for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6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bunkers o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4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 B65G69/0425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with vibrating or sha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4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 B65G69/0433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with screw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을 균등 적재함과 동시에 압출공기를 공급하여 적재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후면에 적재함이 형성되는 이동차량과 적재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장치와 적재장치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키는 균등장치와 적재장치의 내부에 압력을 가하며, 적재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압송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Discharge Apparatus for Air-Pressure of Loading Article}
본 발명은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을 균등 적재함과 동시에 압출공기를 공급하여 적재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리프팅 장치는 차량의 프레임 중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힌지축과, 일측은 각각 상기 제1 힌지축의 양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프레임과,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힌지축과, 일단은 상기 링크프레임의 후방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삼각프레임과, 일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링크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3 힌지축과 연결되고 타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삼각프레임의 중간에 결합되는 제4 힌지축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분진을 흡입하는 회전 가능한 흡입붐과 반원을 그리게 구부러져 형성되는 사이클론 배출구가 연결된 흡입파이프가 설치되 덤프방식으로 하역이 가능한 탱크와, 상기 탱크내의 공기를 흡입해 진공상태로 만들어 흡입붐과 흡입파이프로 분진이 흡입 적재되게 하는 진공흡입장치와, 상기 진공흡입장치로 분진이 적재된 탱크에 압축공기를 주입해 적재된 분진을 하역시키는 압송하역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분말을 적재하여 이송하도록 상부에 분말을 투입하는 맨홀이 형성된 분말적재함이 구비된 분말이송 특장차에 있어서, 상기 분말적재함의 상부에 형성된 맨홀에는, 맨홀덮개를 회전시켜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자동맨홀덮개 개폐장치와; 상기 맨홀덮개를 자동으로 잠금하는 자동잠금장치와; 적재되는 분말이 맨홀 부분에서 산과 같이 쌓인 분말을 공기를 이용하여 붕괴시키는 분말붕괴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하중분포 표시장치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에 따른 적재함의 하중분포를 디스플레이화 할 수 있도록 화물차의 하중분포를 감지하여 비교부에 입력하는 하중감지부와, 이 하중감지부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영상변환부에 신호를 입력하는 비교부, 이 비교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영상신호화 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입력하는 영상변환부와, 이 영상변환부를 통하여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적재함의 하중분포를 영상화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9-0003136 A (2019년01월09일) KR 10-1998-0072067 A (1998년10월26일) KR 10-1047851 B1 (2011년07월04일) KR 20-1998-039848 U (1998년09월15일)
본 발명은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을 균등 적재함과 동시에 압출공기를 공급하여 적재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것으로 후면에 적재함(110)이 형성되는 이동차량(100); 상기 적재함(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장치(200);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키는 균등장치(300);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압력을 가하며, 적재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압송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균등장치(300); 압송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적재함(11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111); 상기 적재함(110)의 후면에 형성되며, 힌지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적재함(1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1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균등장치(300); 압송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적재물이 공급되는 투입슈트(214)가 결합되는 결합장치(210); 상기 결합장치(2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로 작업물이 투입될때 상기 적재함(110) 내부의 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하고 압송 배출시에는 차단되도록 하는 배기장치(2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균등장치(300); 압송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결합장치(21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서 개폐되는 투입맨홀(211); 상기 투입맨홀(211)을 고정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서 이동하는 결합클램프(21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균등장치(300); 압송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균등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적재물을 이동시켜 균등 적재시키는 이송컨베이어장치(310);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3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챔버(320); 상기 회전챔버(320)와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착탈챔버(3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균등장치(300); 압송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31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311); 상기 회전축(311)의 외측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31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균등장치(300); 압송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적재물의 하단에 공압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230); 상기 진동장치(230)에 형성되며, 상기 압송장치(400)에서 압출공기가 전달되는 공기압출장치(2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균등장치(300); 압송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진동장치(23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진동챔버(231); 상기 진동챔버(231)의 내부에 형성되며, 압출공기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캔버스(23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균등장치(300); 압송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압송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압출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410); 상기 공급부(4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이 배출되는 배출부(4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차량(100); 적재장치(200); 균등장치(300); 압송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압력 또는 적재물의 적재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250); 상기 측정센서(250)와 연결되며, 적재물의 적재량에 따라 상기 균등장치(300) 및 상기 압송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6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덤프 트럭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적재함에 균등하게 적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축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블레이드가 회전됨에 따라 상부에서 공급되는 적재물이 적재함의 양측으로 각각 균등 적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장치가 적재장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비산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장치의 내부로 압출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장치의 하단에 적재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가 형성되어 적재물을 적재장치에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의 적재물이 적재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재장치가 승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커버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흡입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균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균등장치가 적재장치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적재장치에 설치된 진동장치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진동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압송장치가 설치된 적재장치의 후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있어서, 후면에 적재함(110)이 형성되는 이동차량(100); 상기 적재함(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장치(200);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키는 균등장치(300);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압력을 가하며, 적재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압송장치(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차량(100)은 자주식 또는 캐리어식으로 적재함(11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1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111);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10)의 후면에 형성되며, 힌지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적재함(1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12);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균등장치(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을 덤프트럭에 균등하게 적재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플라이애쉬, 생석회, 밀가루 등의 다양한 분말로 형성되는 다양한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한 후 압출 공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과 같은 이동차량(100)에 적재되는 적재물은 상부에서 투입슈트(214)에 의하여 공급되는 것으로 투입슈트(214)가 이동할 수 없으므로 덤프트럭을 소정의 거리로 이동하여 적재함(110)에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하는 것이다. 또한,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은 내부에서 비산함에 따라 적재가 균등하게 진행되지 않음과 동시에 배출할 때 정량이 배출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균등하게 적재함(110)과 동시에 압출공기를 공급하여 적재물을 이탈시키지 않고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때,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트럭으로 형성되는 이동차량(100)이 형성되며, 이동차량(100)은 후면에 적재함(110)이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차량(100)은 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적재함(110)이 자주식 또는 캐리어식으로 형성되어 이동차량(100)에 의하여 이동한다. 이때, 적재함(110)은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장치(200)가 안착되는 것으로 적재함(110)은 양측이 상부로 연장되거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또한, 적재함(110)은 도 3을 참조하면,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장치(200)의 전면을 승하강시키는 승강부(111)가 형성되며, 승강부(111)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형성되는 실린더로 형성되거나 롤러로 형성됨에 따라 적재물이 적재장치(200)의 후면으로 가이드되어 포집되도록 한다. 이는 적재물이 후면으로 포집되어 적재장치(200)에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적재함(110)의 후면에는 힌지로 형성되어 적재장치(200)의 전면이 상승할 때 적재장치(200)의 후면이 회전하도록 각도조절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각도조절부(112)는 걸림체가 형성되어 적재장치(200)가 적재물의 무게에 의하여 후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재함(110)에 적재되는 적재장치(200)는 사각 또는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균등장치(300)가 형성되어 상부에서 공급되는 적재물이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균등하게 적재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은 압송장치(400)에 의하여 압출공기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이는 압출공기에 의하여 적재장치(2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하는 균등장치(300)가 형성되며, 균등장치(300)에 의하여 균등하게 적재된 적재물은 압출공기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적재물이 공급되는 투입슈트(214)가 결합되는 결합장치(210); 상기 결합장치(2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로 작업물이 투입될때 상기 적재함(110) 내부의 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하고 압송 배출시에는 차단되도록 하는 배기장치(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21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서 개폐하는 투입맨홀(211);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투입맨홀(211)을 고정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서 이동하는 결합클램프(212);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투입맨홀(211)은 적재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재;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210)에 형성되며, 개폐됨에 따라 적재물이 관통되는 게이트(213);를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213)에 형성되며, 상기 투입슈트(214)에서 공급됨에 따라 비산되는 비산물을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는 흡입함체; 상기 흡입함체에 연결되며, 비산물을 흡입하는 흡입펌프; 상기 흡입펌프에 형성되며, 비산물을 여과하는 적재물필터;를 포함한다.
(실시예 2-8)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투입슈트(214)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213)의 상부에 밀착되는 밀착부재(2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재장치(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적재장치(200)는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이 적재되는 것으로 적재물이 공급되는 투입슈트(214)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적재장치(200)는 도 2를 참조하면, 적재함(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공장, 창고, 차량에 의하여 적재물이 공급되는 투입슈트(214)가 결합되는 결합장치(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장치(210)는 적재장치(200)의 상부에 형성되나 중심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투입슈트(214)에서 공급되는 적재물이 적재장치(200)의 앞뒤로 균일하게 적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적재장치(200)는 투입슈트(21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투입맨홀(211)이 형성된다. 이때, 투입맨홀(211)은 사각, 원형 중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213)에 결합된다. 그리고 투입맨홀(211)은 게이트(213)에 하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투입맨홀(211)와 게이트(213) 사이에는 실링재가 형성되어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게이트(213)에는 투입슈트(214)에 의하여 적재물이 공급될 때 비산하는 비산물이 적재장치(2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비산물을 흡입하는 흡입장치(216)가 형성된다. 이때, 흡입장치(216)는 도 6을 참조하면, 게이트(213)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게이트(213)의 외측에 흡입함체(216a)가 형성되어 게이트(213)와 투입슈트(214) 사이로 배출되는 비산물을 흡입한다. 그리고 흡입함체(216a)는 흡입관에 의하여 흡입펌프(216b)와 연결되어 비산물을 흡입하며, 흡입펌프(216b)에는 적재물필터(216c)가 형성됨에 따라 비산물은 여과하고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투입맨홀(211)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게이트(213)의 상단 외측으로 복수로 형성되는 결합클램프(212)가 형성되며, 결합클램프(212)는 투입맨홀(211)의 외측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실린더에 의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된다. 이때, 결합클램프(212)는 일단이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고, 결합클램프(212)의 외측면은 실린더가 연결되어 실린더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결합클램프(212)가 회전하여 투입맨홀(211)의 상부를 고정한다. 그리고 투입맨홀(211)은 결합브라켓이 형성되어 투입맨홀(211)이 적재장치(200)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결합브라켓은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적재장치(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플랜트에 결합되는 것으로 투입맨홀(211)이 파손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적재장치(200)의 게이트(213)에 삽입되는 투입슈트(214)는 게이트(213)에 삽입되는 것으로 투입슈트(214)의 외측에는 밀착부재(215)가 형성되어 게이트(213)와 투입슈트(214) 사이로 적재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밀착부재(215)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복수의 고무, 시트 등이 서로 적층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2-9)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220)에 형성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21); 상기 배출구(221)에 형성되며,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적재물을 여과하는 여과장치(222);를 포함한다.
(실시예 2-10)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2-9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222)에 형성되며, 회전함에 따라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송풍장치(223);를 포함한다.
(실시예 2-11)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2-10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221)에 형성되어 배출공기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기장치(2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배기장치(220)는 적재장치(200)로 작업물이 투입될때 상기 적재함(110) 내부의 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하고 압송 배출시에는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기장치(220)는 도 2를 참조하면, 적재장치(200)의 게이트(213)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적재장치(200)의 상부 후면에 형성됨에 따라 적재물이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적재될 때 공기가 원활히 방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기장치(220)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21)가 형성되며, 배출구(221)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21)에는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적재물이 여과되는 여과장치(222)가 형성된다. 이때, 여과장치(222)는 여과필터로 형성됨에 따라 적재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과장치(222)에는 송풍장치(223)가 형성되어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량에 따라 적재장치(200)의 공기압을 조절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균등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장치(310);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3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챔버(320); 상기 회전챔버(320)와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착탈챔버(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310)는 상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회전챔버(320)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3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21);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310)에 형성되며, 내부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착탈챔버(33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31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관통하는 거치장치(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균등장치(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균등장치(300)는 적재장치(200)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어 상부에서 투입되는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균등장치(300)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적재장치(20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적재장치(200)의 내부 상단에 형성되는 이송컨베이어장치(310)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한다. 이때, 이송컨베이어장치(310)는 복수로 형성되나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장치(310)는 적재물이 쌓이지 않고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균등하게 적재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장치(310)의 일단부는 적재장치(200)의 전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챔버(320)에 안착되고, 이송컨베이어장치(310)의 타단부는 적재장치(200)의 후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착탈챔버(330)에 안착된다.
또한, 회전챔버(320)는 적재장치(200)의 전면 외측으로 돌출되나 실링부재에 의하여 밀폐되어 적재장치(200)의 내부 공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회전챔버(320)에는 회전모터(321)가 형성되어 베어링에 의하여 이송컨베이어장치(310)가 원활히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챔버(320)와 타단부에 형성되는 착탈챔버(330)는 적재장치(200)의 후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착탈챔버(330)는 고정장치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고정장치는 클램프로 형성되며, 고정장치에 의하여 착탈챔버(330)가 적재장치(200)와 밀착 및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착탈챔버(330)와 이송컨베이어장치(310)는 일체로 형성되어 착탈챔버(330)가 분리될 때 이송컨베이어장치(310)도 분리되는 것으로 적재장치(200)의 후면에는 착탈챔버(330)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결합홀로 이송컨베이어장치(310)가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적재장치(200)의 상단에는 착탈챔버(330)와 함께 이탈되는 이송컨베이어장치(310)를 거치하여 원활히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거치대가 관통하는 거치장치(270)가 형성되며, 거치장치(270)는 개폐됨에 따라 거치대가 관통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31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311); 상기 회전축(311)의 외측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312);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11)은 상기 적재장치(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11)은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11)은 상기 적재함(1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복수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12)는 상기 회전측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12)는 상기 결합장치(210)를 중심으로 양측이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장치(31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송컨베이어장치(310)는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투입슈트(214)에 의하여 공급되는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송컨베이어장치(310)는 도 7을 참조하면,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311)과 회전축(311)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블레이드(312)가 형성된다. 회전축(311)은 적재장치(200)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부에서 하강하는 적재물을 적재함(110)에 균등하게 적재시킨다. 이때, 회전축(311)이 복수로 형성될 경우 복수가 서로 대응되도록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축(311)은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나 전면에서 하면으로 향할수록 위치가 낮아지도록 경사짐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311)은 적재장치(200)에서 하단으로 하강하여 적재함(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적재함(110)에 적재된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킨다.
그리고 회전축(311)의 외측에 형성되는 블레이드(312)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간격은 다양하게 형성되나 적재물의 직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311)이 회전하면 블레이드(312)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적재물이 적재함(110)에 가이드되어 균등하게 적재되는 것이다. 이때, 블레이드(312)는 적재장치(200)의 상부 중심에 형성되는 결합장치(210)에서 공급되는 적재물이 적재장치(200)의 전면과 후면으로 균등 분배되어 적층되도록 회전축(311)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블레이드(312)가 형성된 복수의 회전축(311)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블레이드(31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회전축(311)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며, 외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적재물이 적재장치(200)의 측벽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블레이드(312)에 의하여 전면과 후면으로 전달되어 균등 적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송컨베이어장치(310)는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311)과 블레이드(312)에 의하여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적재물의 하단에 공압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230); 상기 진동장치(230)에 형성되며, 상기 압송장치(400)에서 압출공기가 전달되는 공기압출장치(24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진동장치(23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진동챔버(231);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진동챔버(231)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압출장치(240)에서 전달되는 압출공기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캔버스(232);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진동캔버스(232)의 하단에 형성되며, 압출공기가 관통하는 관통부재(233);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출장치(240)에 형성되며, 상기 압송장치(400)와 연결되는 연결관(241); 상기 연결관(241)이 결합되며, 상기 진동장치(230)의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장치(242);를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242)에 형성되며, 상기 진동장치(23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는 분사관; 상기 분사관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압출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재장치(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적재물에 진동을 가하여 배출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재장치(200)는 하단에서 압출공기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로 떨림에 따라 진동으로 적재물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230)가 형성된다. 이때, 진동장치(230)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복수가 형성됨에 따라 적재물에 진동을 가하여 적재물이 적재장치(200)에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진동장치(230)는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가 형성되는 진동챔버(231)가 형성되며, 진동챔버(231)는 적재장치(200)의 하단에서 적재함(110) 방면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진동챔버(231)의 내부에 형성되어 압출공기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캔버스(232)가 형성된다. 진동캔버스(232)는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진동챔버(231)로 관통하도록 진동홀에 설치되는 것으로 진동캔버스(232)는 적재장치(200)의 하단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진동캔버스(232)의 하단에는 압출공기가 관통하여 진동캔버스(232)로 압출공기가 전달되도록 관통부재(233)가 형성되며, 관통부재(233)는 진동캔버스(232)가 적재물의 하중에 의하여 진동챔버(231)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진동캔버스(232)는 진동장치(230)에 연결되어 압송장치(400)에서 압출공기가 전달되는 공기압출장치(240)가 형성되며, 공기압출장치(240)는 진공장치와 압송장치(400)를 연결하는 연결관(241)이 형성되고 연결관(241)이 단부에는 진동장치(230)의 내부에서 압출공기를 분사하는 분사장치(242)가 형성된다. 이때, 분사장치(242)는 진동챔버(231)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는 분사관이 형성되며, 분사관에는 압출공기가 진동캔버스(232) 방면으로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압출장치(240)에 의하여 압출공기가 분사되면 진동캔버스(232)가 상부와 하부로 진동을 발생함에 따라 적재물의 하단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적재장치(200)에 적재된 적재물이 압송장치(400)에 의하여 배출된 후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남은 적재물은 적재장치(200)가 적재함(110)에서 전면이 상승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압출공기가 분사되면 진동캔버스(232)에서 진동이 발생함에 따라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부착된 적재물은 진동에 따라 원활히 배출되는 것이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압송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압출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410); 상기 공급부(4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이 배출되는 배출부(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압송장치(400)는 상기 적재장치(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410)는 공장 또는 차량에 설치된 콘프레셔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410)와 연결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서 압출공기가 분사되는 분사부(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430)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410)와 연결되어 압출공기를 분배하는 분배배관(431); 상기 분배배관(431)에 연결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로 압출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배관(432);을 포함한다.
(실시예 6-6)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2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를 관통하는 배출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압송장치(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압송장치(400)는 적재장치(2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압출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압력에 의하여 적재물을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압송장치(400)는 도 11을 참조하면, 적재장치(2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적재장치(200) 내부로 압출공기를 공급하여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을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때, 압송장치(400)는 적재장치(2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압출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410)가 형성되며, 공급부(410)는 적재물이 배출되는 공장 또는 차량에 설치된 콘프레셔와 결합되어 압출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공급부(410)와 연결되어 적재장치(200)의 내부로 압출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430)가 형성되며, 분사부(430)는 공급부(410)와 연결되어 압출공기를 분배하는 분배배관(431)이 형성된다. 이때, 분배배관(431)은 공기압출장치(240)로 압출공기를 전달함과 동시에 분배배관(431)에 형성되는 분사배관(432)으로 압출공기를 전달한다. 또한, 분사배관(432)은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적재장치(200)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적재장치(200)의 내부 압력이 높아져 분말로 형성되는 적재물이 배출되는 배출부(420)가 형성되며, 배출부(420)는 적재장치(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적재물을 공급받는 공장, 현장 등의 저장챔버와 연결되어 적재물이 전달된다. 그리고 배출부(420)는 적재장치(2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적재물이 배출되는 배출공간이 형성되며, 배출공간은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적재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압력 또는 적재물의 적재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250); 상기 측정센서(250)와 연결되며, 적재물의 적재량에 따라 상기 균등장치(300) 및 상기 압송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6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25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250); 상기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센서(250);를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25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적재물의 적재량을 측정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는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260)에 형성되며, 적재물의 적재량에 따라 상기 적재장치(200)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서버; 상기 조절서버에 형성되며, 상기 압송장치(400)를 개폐하는 개폐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재장치(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적재장치(200)는 적재장치(200)의 압력 또는 적재량을 측정하여 적재물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재장치(200)는 도 2를 참조하면, 내부의 압력, 적재물의 하중, 적재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250)가 형성되며, 측정센서(250)는 적재장치(20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250)와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센서(250)가 형성된다. 이때, 하중측정센서(250)는 로드셀로 형성되며, 하중측정센서(250)는 복수로 형성됨에 따라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의 양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센서(250)는 적재장치(200)의 전면과 후면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적재물의 적재량을 측정하는 감지센서가 형성되며, 감지센서는 적외선 등으로 적재물의 높이를 인지하여 적재장치(200)의 적재량을 예측한다.
이와 같이 측정센서(250)에 의하여 측정된 적재장치(200)의 압력, 적재량에 따라 제어장치(260)에서 균등장치(300), 압송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260)는 적재장치(200)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서버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서버는 배기장치(220)를 제어하여 적재물이 적재될 때 적재장치(20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60)는 개폐서버가 형성되어 압송장치(400)의 공급부(410)와 배출부(420)를 개폐하여 적재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100: 이동차량 110: 적재함
111: 승강부 112: 각도조절부
200: 적재장치 210: 결합장치
211: 결합커버 212: 결합클램프
213: 게이트 214: 호퍼
215: 밀착부재 216: 흡입장치
216a: 흡입함체 216b: 흡입펌프
216c: 적재물필터 220: 압력배출장치
221: 배출구 222: 여과장치
223: 송풍장치 230: 진동장치
231: 진동챔버 232: 진동캔버스
233: 관통부재 240: 공기압출장치
241: 연결관 242: 분사장치
250: 측정센서 260: 제어장치
270: 거치장치 300: 균등장치
310: 회전장치 311: 회전축
312: 블레이드 320: 회전챔버
321: 회전모터 330: 착탈챔버
400: 압송장치 410: 공급부
420: 배출부 430: 분사부
431: 분배배관 432: 분사배관

Claims (10)

  1. 후면에 적재함(110)이 형성되는 이동차량(100);
    상기 적재함(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장치(200);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균등하게 적재시키는 균등장치(300);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압력을 가하며, 적재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압송장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압력 또는 적재물의 적재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250);
    상기 측정센서(250)와 연결되며, 상기 측정센서(25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균등장치(300) 및 상기 압송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60);를 포함하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1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111);
    상기 적재함(110)의 후면에 형성되며, 힌지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적재함(1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12);를 포함하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적재물이 공급되는 투입슈트(214)가 결합되는 결합장치(210);
    상기 결합장치(2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로 작업물이 투입될때 상기 적재함(110) 내부의 공기가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하고 압송 배출시에는 차단되도록 하는 배기장치(220);를 포함하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21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서 개폐되는 투입맨홀(211);
    상기 투입맨홀(211)을 고정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상부에서 이동하는 결합클램프(212);를 포함하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등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적재물을 이동시켜 균등 적재시키는 이송컨베이어장치(310);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3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챔버(320);
    상기 회전챔버(320)와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착탈챔버(330);를 포함하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31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축(311);
    상기 회전축(311)의 외측에 형성되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312);를 포함하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적재물의 하단에 공압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230);
    상기 진동장치(230)에 형성되며, 상기 압송장치(400)에서 압출공기가 전달되는 공기압출장치(240);를 포함하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동장치(23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진동챔버(231);
    상기 진동챔버(231)의 내부에 형성되며, 압출공기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캔버스(232);를 포함하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송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압출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410);
    상기 공급부(4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적재장치(200)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이 배출되는 배출부(420);를 포함하는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10. 삭제
KR1020230165708A 2023-11-24 2023-11-24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KR10263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5708A KR102631064B1 (ko) 2023-11-24 2023-11-24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5708A KR102631064B1 (ko) 2023-11-24 2023-11-24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064B1 true KR102631064B1 (ko) 2024-01-30

Family

ID=8971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5708A KR102631064B1 (ko) 2023-11-24 2023-11-24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06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4852A (en) * 1980-04-03 1984-11-27 North American Car Corporation Hopper bottom unit
KR19980039848U (ko) 1996-12-20 1998-09-15 박병재 화물차 적재함의 하중분포 표시장치
KR19980072067A (ko) 1998-07-14 1998-10-26 강순행 진공 흡입적재 및 압송하역 차량
JP2000335704A (ja) * 1999-05-28 2000-12-05 Odagiri Shatai:Kk 生ゴミ発酵処理車
KR101047851B1 (ko) 2010-12-27 2011-07-11 한빛테크원 (주) 분말이송 특장차
KR101752903B1 (ko) * 2017-02-16 2017-07-03 (주)케이씨이피중공업 압송탱크로리의 분진 포집장치
KR101787325B1 (ko) * 2017-05-26 2017-11-15 (주)케이씨이피중공업 압송 배출식 건식 진공흡입차
KR20190003136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제이엠케이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KR102166071B1 (ko) * 2020-06-17 2020-10-15 에코필드 유한회사 균등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4852A (en) * 1980-04-03 1984-11-27 North American Car Corporation Hopper bottom unit
KR19980039848U (ko) 1996-12-20 1998-09-15 박병재 화물차 적재함의 하중분포 표시장치
KR19980072067A (ko) 1998-07-14 1998-10-26 강순행 진공 흡입적재 및 압송하역 차량
JP2000335704A (ja) * 1999-05-28 2000-12-05 Odagiri Shatai:Kk 生ゴミ発酵処理車
KR101047851B1 (ko) 2010-12-27 2011-07-11 한빛테크원 (주) 분말이송 특장차
KR101752903B1 (ko) * 2017-02-16 2017-07-03 (주)케이씨이피중공업 압송탱크로리의 분진 포집장치
KR101787325B1 (ko) * 2017-05-26 2017-11-15 (주)케이씨이피중공업 압송 배출식 건식 진공흡입차
KR20190003136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제이엠케이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KR102166071B1 (ko) * 2020-06-17 2020-10-15 에코필드 유한회사 균등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7663B2 (en) Bottom dump pneumatic material handling system
CN108861369A (zh) 一种agv小车柔性烟丝输送系统
KR101803157B1 (ko) 벌크차량의 분립체 화물 적재 시스템
US20060204353A1 (en) Unloader for discharging dry materials from bulk bags
KR102631064B1 (ko)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JPS59501588A (ja) ばら材料を荷卸し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230013683A1 (en) Storage Silo Apparatus with an Integrated Vertical Conveyor
KR20010044806A (ko) 곡물 운송용 적재함
CN114920026A (zh) 一种用于散装楼房仓楼上廒间进出粮的系统
US9051137B2 (en) Cement silo loading system
AU2010224310B2 (en) Pneumatic Material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CN210191284U (zh) 一种新型运砂车
CN207813153U (zh) 一种全通过式筒仓
CN207918069U (zh) 一种长距离粉料有船入岸输送系统
CN105775793A (zh) 一种散粮集装箱装料机
CN217457992U (zh) 一种用于散装楼房仓楼上廒间进出粮的系统
JP3811948B2 (ja) アンローダ、その清掃方法および清掃装置
CN217349914U (zh) 除尘组件以及集装箱拆箱装置
CN219859200U (zh) 一种供砂输送系统
CA2375762A1 (en) A bulk container unloader
CN213111606U (zh) 卸料系统
CN216548589U (zh) 一种皮带配料计量小车
US11760584B2 (en) Flow control for bottom dump pneumatic material handling
CN216376657U (zh) 一种集装箱自卸车粉体卸料设备及其伸缩料斗机构
CN216234454U (zh) 污泥输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