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136A -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 Google Patents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136A
KR20190003136A KR1020170083648A KR20170083648A KR20190003136A KR 20190003136 A KR20190003136 A KR 20190003136A KR 1020170083648 A KR1020170083648 A KR 1020170083648A KR 20170083648 A KR20170083648 A KR 20170083648A KR 20190003136 A KR20190003136 A KR 20190003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shaft
vehic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020B1 (ko
Inventor
최원석
신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케이
Priority to KR1020170083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02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16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three side tipp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60P1/16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the hydraulic system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에 실린 화물을 후방과 양 측방 3방향으로 하차시킬 수 있는 덤핑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차량의 하부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어 적재함의 저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 결합수단과, 후방 양측으로 형성되는 제2 힌지 결합수단과, 프레임의 중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실린더를 구비하는 리프팅 장치를 갖는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차량의 프레임 중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힌지축과, 일측은 상기 제1 힌지축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프레임과,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힌지축과, 일단은 상기 링크프레임의 후방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삼각프레임과, 일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링크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3 힌지축과 연결되고 타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삼각프레임의 중간에 결합되는 제4 힌지축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덤핑장치를 이용하면, 실린더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가 설치높이가 높지 않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무게중심을 낮추어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운전석에서도 용이하게 조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The dumping device for a cargo box}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적재함을 후방과 양측방 중 선택적으로 적재함을 덤핑할 수 있도록 하되 실린더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가 설치높이가 높지 않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무게중심을 낮추어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덤프트럭은 적재함을 동력을 이용하여 60~70도 기울이도록 하여 적재물을 자동으로 경사를 따라 내리도록 하는 것으로 보통 토사나 골재에 주로 사용하고 기타 손상되어도 무방한 물품 등을 간편하게 하역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은 대형의 것을 연상하기 쉬우나 작은 규모의 공사현장에서 모래 등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나 목재 운반용 등의 용도로 1톤 정도의 소형의 것도 자주 볼 수 있다.
예전의 덤프트럭은 적재함을 후방으로만 기우려 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었으나 폭이 좁은 도로나 한정된 공간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에 하기의 선행기술 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이 후방으로뿐만 아니라 양측으로도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을 선회할 수 없는 좁은 도로와 같은 경우에 측방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덤핑장치가 개발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적재물을 하차시킬 수 있어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덤프트럭은 실린더를 포함하는 리프팅장치가 차지하는 설치높이가 높아서 대부분 높은 차고를 가지고 있으며 높게 위치한 적재함은 덤프트럭의 무게중심을 높이게 되어 차량의 안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특히 측방으로 하역하기 위하여 적재함을 측면으로 기울일 경우 차량의 전복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방향 즉 기울어지는 방향이 좌, 우, 후방을 결정하는 조작을 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하차하여 적재함 인근의 장치를 조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신속하고 편리한 작동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030811-0000호 (1986년04월09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401835-0000호 (2003년10월02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68366-0000호 (2004년11월10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87640-0000호 (2016년01월15일)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덤프트럭의 리프팅 장치의 설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운전석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후방이나 양측방 중 하나로 덤핑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측방으로 덤핑될 때 전복될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어 적재함의 저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 결합수단과, 후방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적재함의 저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힌지 결합수단과, 프레임의 중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을 미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여 적재함을 후방 및 양측 방향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경사지게 들어올리도록 하는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는 차량의 프레임 중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힌지축과, 일측은 각각 상기 제1 힌지축의 양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프레임과,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힌지축과, 일단은 상기 링크프레임의 후방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삼각프레임과, 일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링크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3 힌지축과 연결되고 타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삼각프레임의 중간에 결합되는 제4 힌지축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후방은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링크프레임의 전방 상부와 이격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프팅 장치의 제1 회전축이 장착되는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는 좌우 방향의 축을 작동축과 연결되며, 전방 끝단은 하부의 바이패스 버튼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회전제한 판넬을 구비하여;
트럭의 적재함이 측방으로 기울어지면서 한 쌍의 링크프레임 중 하나가 상승하여 회전제한 판넬과 밀착하여 후방이 상승하면 전방은 하강하여 바이패스 버튼을 눌러 실린더의 작동을 중지하여 적재함이 지면과의 각도가 40도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은 적재함의 저면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을 구비하는 상부 결합부와,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축이 안착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고정축이 하강하여 밀착하면 회전하여 고정축을 감싸는 훅을 구비하는 고정판과, 일측은 상기 고정판에 장착되고 타측은 하부 결합부에 장착되어 고정축이 이탈되었을 때 훅이 개방된 위치가 되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하부 결합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킹축에 장착되어 로킹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판의 회전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판의 회전을 방지하는 로킹편을 구비하고;
차량의 운전석에 장착되어 제1 와이어의 일 끝단을 회전 위치에 따라 밀거나 당기도록 하는 방향선택 레버와, 수직으로 입설되는 조작축에 장착되어 방향선택 레버에 의하여 조작축을 회전시키는 가동편과, 상기 조작축에 장착되어 좌측에 위치한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의 로킹축과 연결된 제2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 회전판넬과, 상기 조작축에 장착되어 우측에 위치한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의 로킹축과 연결된 제3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2 회전판넬을 포함하는 방향 선택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방향선택 레버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힌지 결합수단의 고정판이 회전가능하게 되고, 제1 와이어를 당긴 위치 또는 미는 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의 로킹축이 회전하여 로킹편이 일측 고정판은 회전하고 다른 측 고정판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 방향으로 적재함 기동이 가능 하여 폭이 좁은 길이나 공간이 협소한 장소 등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도 운행이 가능하다.
또한, 리프딩 장치의 실린더가 직접 적재함의 하부와 연결되지 않고 삼각프레임의 중간과 결합하여 비스듬하게 누워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설치 높이를 대폭 낮출 수 있어 적재함의 적재공간 손실이 없고 차량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덤핑 과정에서의 전복 우려를 줄여 안전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방으로 덤핑될 때 덤핑 각도를 최대 40도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여 상대적으로 전복에 취약한 측방향 덤핑이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운전석에 장착되는 방향선택 레버에 의하여 하차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덤핑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재함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으로 덤핑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으로 덤핑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측으로 덤핑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측으로 덤핑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측으로 덤핑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측으로 덤핑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제한 판넬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힌지 결합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힌지 결합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선택장치가 중립 상태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선택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적재함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재함 덤핑장치(1)는 차량의 하부 프레임(2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어 적재함(300)의 저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 결합수단(12)과, 후방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적재함(300)의 저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힌지 결합수단(13)과, 프레임(100)의 중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차량의 적재함(300)의 저면을 미는 실린더(118)를 구비하는 리프팅 장치(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운전석에 설치된 레버(152)를 조작하여 적재함(300)을 후방 및 양측 방향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리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리프팅 장치(11)는 차량의 프레임(200) 중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 회전축(111)과, 상기 제1 회전축(111)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힌지축(112)과, 일측은 각각 상기 제1 힌지축(112)의 양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프레임(113)과, 차량의 적재함(300)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114)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2 회전축(115)과, 상기 제2 회전축(115)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힌지축(116)과, 일단은 상기 링크프레임(113)의 후방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축(116)에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삼각프레임(117)과, 일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링크프레임(113)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3 힌지축(118a)과 연결되고 타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삼각프레임(117)의 중간에 결합되는 제4 힌지축(118b)과 연결되는 실린더(11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적재함이 후방으로 덤핑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내지 도 9는 적재함이 우측으로 덤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덤핑장치를 구성하는 실린더는 로드가 적재함의 저면에 직접 연결되며, 장치의 설치 높이를 줄이기 위해 텔레스코픽 타입의 실린더를 적용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실린더가 거의 수직으로 거치된 구조를 갖게 되므로 장치의 높이가 높아 덤프트럭을 연상할 때 전형적으로 차고가 높고 둔중해 보이는 형상을 가지게 되고 무게 중심이 높기에 차량의 안전성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 본원의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1)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의 리프팅 장치(11)에 의해, 링크프레임(113)과 삼각프레임(117)이 각각 프레임(200)과 적재함(3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119)은 삼각프레임(118)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구조로 적재함(300)을 최대한 덤핑하였을 경우에도 실린더(118)는 기울어진 상태가 되며 접혔을 경우에도 덤핑장치가 차지하는 높이가 높지 않아 낮은 무게중심을 가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나듯이, 오른쪽으로 적재함을 기울일 경우,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12, 13) 중 기울여지는 우측의 힌지를 단속하고 반대측(좌측)의 힌지는 분리가능하게 개방시킨 후 실린더(118)를 작동시키면 실린더(118)의 로드가 인출됨에 따라 리프팅장치(11)는 제1 회전축(11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삼각프레임(118)을 펼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삼각프레임의 끝단에서 제2 회전축(115)으로 회동되게 연결된 차량의 적재함(300)이 단속된 우측 힌지 결합수단을 기준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어 적재된 화물이 오른쪽으로 미끌어지면서 하차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제한 판넬의 작동을 도시한 것으로, 평면에서 볼 때 T자 형태를 갖는 판넬(14)을 상기 리프팅 장치(11)의 제1 회전축(111)이 장착되는 프레임(200)에 작동축(1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결합구성한다.
상기 판넬(14)의 후방은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링크프레임(113)의 전방 상부와 이격되고, 판넬의 전방에서는 상기 리프팅 장치(11)의 제1 회전축(111)이 장착되는 프레임(200)의 중심부에 작동축(141)으로 연결되며, 전방 끝단은 하부의 바이패스 버튼(142)에 근접 위치하도록 구성되도록 설치한다.
트럭의 적재함(300)이 측방으로 기울어지면서 한 쌍의 링크프레임(113) 사이에서 실린더(118)와 결합되어 있는 트러니언(19)이 제1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상승하면서 상기의 회전제한 판넬(14)을 타격하게 된다. 이 때 판넬의 후방이 상승하면서 작동축(141)을 중심으로 판넬의 전방이 하강하여 바이패스 버튼(142)을 누르게 되면 실린더 로드를 인출작용이 멈추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전복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적재함이 측방으로 40도의 각도로 기울어졌을 때, 상기 트러니언(19)이 회전제판 판넬(14)에 타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실시 예는 측방으로 덤핑 즉 적재함(300)을 기울일 경우에 후방과 비교하여 차량의 전폭이 좁아 차량이 전복될 우려가 증가하며 특히 지면에 별도로 고정되는 고정치가 없이 타이어 즉 바퀴에 의해서만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적재함(300)이 기울어짐에 따라 양측 바퀴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는 급격하게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측방으로 덤핑할 경우에는 안전각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본원은 회전제한 판넬(14)이 바이패스 버튼(142)을 누르는 구조를 제안하여 실린더(118)의 작동을 멈추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버튼(142)이 눌러지면 실린더(118)의 작동을 멈추게 할 수도 있지만, 로드를 인출하는 유체를 다른 경로로 흐르도록(bypass) 하는 구성도 실질적으로 실린더(118)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힌지 결합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은 제2 힌지 결합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12, 13)은 적재함(300)의 저면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121, 131)을 구비하는 상부 결합부(122, 132)와, 프레임(200)에 장착되어 고정축(121, 131)이 안착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안착홈(123, 133)을 구비하는 하부 결합부(124, 134)와, 상기 하부 결합부(124, 13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고정축(121, 131)이 하강하여 밀착하면 회전하여 고정축(121, 131)을 감싸는 훅(125, 135)을 구비하는 고정판(126, 136)과, 일측은 상기 고정판(126, 136)에 장착되고 타측은 하부 결합부(124, 134)에 장착되어 고정축(121, 131)이 이탈되었을 때 훅(125, 135)이 개방된 위치가 되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는 코일스프링(127, 137)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구조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원은 상기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12, 13)에 상기 하부 결합부(124, 134)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킹축(128, 138)에 장착되어 로킹축(128, 138)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판(126, 136)의 회전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판(126, 136)의 회전을 방지하는 로킹편(129, 139)을 구비하고;
차량의 운전석에 장착되어 제1 와이어(151)의 일측 끝단을 회전 위치에 따라 밀거나 당기도록 하는 방향선택 레버(152)와, 수직으로 입설되는 조작축(153)에 장착되어 방향선택 레버(152)에 의하여 조작축(153)을 회전시키는 가동편(154)과, 상기 조작축(153)에 장착되어 좌측에 위치한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12, 13)의 로킹축(128, 138)과 연결된 제2 와이어(155)와 연결되는 제1 회전판넬(156)과, 상기 조작축(153)에 장착되어 우측에 위치한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12, 13)의 로킹축(128, 138)과 연결된 제3 와이어(157)와 연결되는 제2 회전판넬(158)을 포함하는 방향 선택장치(15)를 구비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선택장치가 중립 상태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4는 적재함이 좌측으로 기동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적재함이 우측으로 기동할 때의 방향 선택장치의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내지 제3 와이어(151, 155, 157)는 자전거의 기어변속이나 브레이크 작동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원리로 피복의 내부에서 와이어가 움직이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제2 힌지결합수단의 하부 결합부(124)는 차량의 하부 프레임(200)과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도록 하되, 제1 힌지결합수단의 하부 결합부(114)는 차량의 하부 프레임(200)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방향선택 레버(152)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힌지 결합수단(12)의 고정판(126)이 코일스프링(127)에 의해 개방상태에 놓이게 되는 반면, 제 2힌지 결합수단(13)의 고정판은 상부 결합부의 고정축(131)과 결합되어 닫힘상태에 유지하므로, 실린더(118)를 작동시키면 적재함(300)이 후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또한 제1 와이어(161)를 당긴 위치 또는 미는 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12, 13)의 로킹축(128, 138)이 회전하여 로킹편(129, 139)이 일측 고정판(126, 136)은 회전하고 다른 측 고정판(126, 136)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적재함(300)이 측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에 상기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12, 13)의 결속을 직접 하차하여 결정한 후 작동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11 : 리프팅 장치
111 : 제1 회전축 112 : 제1 힌지축
113 : 링크프레임 114 : 고정브라켓
115 : 제2 회전축 116 : 제2 힌지축
117 : 삼각프레임 118 : 실린더
118a : 제3 힌지축 118b : 제4 힌지축
119: 트러니언
12 : 제1 힌지 결합수단
121 : 고정축 122 : 상부 결합부
123 : 안착홈 124 : 하부 결합부
125 : 훅 126 : 고정판
127 : 코일스프링 128 : 로킹축
129 : 로킹편
13 : 제2 힌지 결합수단
131 : 고정축 132 : 상부 결합부
133 : 안착홈 134 : 하부 결합부
135 : 훅 136 : 고정판
137 : 코일스프링 138 : 로킹축
139 : 로킹편
14 : 회전제한 판넬
141 : 작동축 142 : 바이패스 버튼
15 : 방향 선택장치
151 : 제1 와이어 152 : 방향선택 레버
153 : 조작축 154 : 가동편
155 : 제2 와이어 156 : 제1 회전판넬
157 : 제3 와이어 158 : 제2 회전판넬
200 : 프레임 300 : 적재함

Claims (4)

  1. 차량의 하부 프레임(2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어 적재함(300)의 저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 결합수단(12)과, 후방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적재함(300)의 저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힌지 결합수단(13)과, 프레임(100)의 중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차량의 적재함(300)의 저면을 미는 실린더(118)를 구비하는 리프팅 장치(11)를 구비하여 적재함(300)을 후방 및 양측 방향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경사지게 들어 올리도록 하는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11)는 차량의 프레임(200) 중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 회전축(111)과, 상기 제1 회전축(111)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힌지축(112)과, 일측은 각각 상기 제1 힌지축(112)의 양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프레임(113)과, 차량의 적재함(300)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114)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2 회전축(115)과, 상기 제2 회전축(115)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힌지축(116)과, 일단은 상기 링크프레임(113)의 후방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축(116)에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삼각프레임(117)과, 일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링크프레임(113)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3 힌지축(118a)과 연결되고 타측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삼각프레임(117)의 중간에 결합되는 제4 힌지축(118b)과 연결되는 실린더(11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T자 형태를 갖는 판넬(14)을 상기 리프팅 장치(11)의 제1 회전축(111)이 장착되는 프레임(200)에 작동축(1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결합하되,
    상기 판넬(14)의 후방은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링크프레임(113)의 전방 상부와 이격되고, 판넬의 전방에서는 상기 리프팅 장치(11)의 제1 회전축(111)이 장착되는 프레임(200)의 중심부에 작동축(141)으로 연결되며, 전방 끝단은 하부의 바이패스 버튼(142)에 근접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12, 13)은,
    적재함(300)의 저면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축(121, 131)을 구비하는 상부 결합부(122, 132)와,
    프레임(200)에 장착되어 고정축(121, 131)이 안착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안착홈(123, 133)을 구비하는 하부 결합부(124, 134)와,
    상기 하부 결합부(124, 13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고정축(121, 131)이 하강하여 밀착하면 회전하여 고정축(121, 131)을 감싸는 훅(125, 135)을 구비하는 고정판(126, 136)과,
    일측은 상기 고정판(126, 136)에 장착되고 타측은 하부 결합부(124, 134)에 장착되어 고정축(121, 131)이 이탈되었을 때 훅(125, 135)이 개방된 위치가 되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는 코일스프링(127, 137)과,
    상기 하부 결합부(124, 134)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킹축(128, 138)에 장착되어 로킹축(128, 138)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판(126, 136)의 회전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판(126, 136)의 회전을 방지하는 로킹편(129, 139)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힌지결합수단의 하부 결합부(124)는 차량의 하부 프레임(200)과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제1 힌지결합수단의 하부 결합부(114)는 차량의 하부 프레임(200)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석에 장착되어 제1 와이어(151)의 일 끝단을 회전 위치에 따라 밀거나 당기도록 하는 방향선택 레버(152)와,
    수직으로 입설되는 조작축(153)에 장착되어 방향선택 레버(152)에 의하여 조작축(153)을 회전시키는 가동편(154)과,
    상기 조작축(153)에 장착되어 좌측에 위치한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12, 13)의 로킹축(128, 138)과 연결된 제2 와이어(155)와 연결되는 제1 회전판넬(156)과,
    상기 조작축(153)에 장착되어 우측에 위치한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12, 13)의 로킹축(128, 138)과 연결된 제3 와이어(157)와 연결되는 제2 회전판넬(158)을 포함하는 방향 선택장치(15)를 더 구비하여;
    상기 방향선택 레버(152)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힌지 결합수단(12)의 고정판(126)이 회전가능하게 되고, 제1 와이어(161)를 당긴 위치 또는 미는 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제1 내지 제2 힌지 결합수단(12, 13)의 로킹축(128, 138)이 회전하여 로킹편(129, 139)이 일측 고정판(126, 136)은 회전하고 다른 측 고정판(126, 136)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KR1020170083648A 2017-06-30 2017-06-30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KR101988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648A KR101988020B1 (ko) 2017-06-30 2017-06-30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648A KR101988020B1 (ko) 2017-06-30 2017-06-30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36A true KR20190003136A (ko) 2019-01-09
KR101988020B1 KR101988020B1 (ko) 2019-06-17

Family

ID=6501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648A KR101988020B1 (ko) 2017-06-30 2017-06-30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0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1344A (zh) * 2019-09-26 2020-01-03 安徽华晟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粮食装卸用液压卸车机
KR102166071B1 (ko) 2020-06-17 2020-10-15 에코필드 유한회사 균등 적재장치
KR102300501B1 (ko) * 2021-06-08 2021-09-08 노기환 소형화물트럭용 덤프개조장치
CN113696985A (zh) * 2021-08-31 2021-11-26 湖南昕昱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陡坡、山地的工程运输车
WO2024003835A1 (en) * 2022-07-01 2024-01-04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Multidirectional tilting mechanis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631064B1 (ko) 2023-11-24 2024-01-30 에코필드 유한회사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033A (ko) * 1998-11-02 2000-06-05 최한식 3방향 덤프 트레일러
KR100323737B1 (ko) * 1999-05-19 2002-02-07 이시우 덤프장치
KR100401835B1 (ko) 2000-12-21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하적이 가능한 덤프트럭의 하적 장치
KR200368366Y1 (ko) 2004-09-02 2004-11-18 대동상공업주식회사 4방향 덤핑이 가능한 트레일러
KR101587640B1 (ko) 2014-05-16 2016-01-21 엘앤에스(주) 다방향 덤핑 이송 대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033A (ko) * 1998-11-02 2000-06-05 최한식 3방향 덤프 트레일러
KR100323737B1 (ko) * 1999-05-19 2002-02-07 이시우 덤프장치
KR100401835B1 (ko) 2000-12-21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하적이 가능한 덤프트럭의 하적 장치
KR200368366Y1 (ko) 2004-09-02 2004-11-18 대동상공업주식회사 4방향 덤핑이 가능한 트레일러
KR101587640B1 (ko) 2014-05-16 2016-01-21 엘앤에스(주) 다방향 덤핑 이송 대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1344A (zh) * 2019-09-26 2020-01-03 安徽华晟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粮食装卸用液压卸车机
CN110641344B (zh) * 2019-09-26 2020-09-15 安徽华晟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粮食装卸用液压卸车机
KR102166071B1 (ko) 2020-06-17 2020-10-15 에코필드 유한회사 균등 적재장치
KR102300501B1 (ko) * 2021-06-08 2021-09-08 노기환 소형화물트럭용 덤프개조장치
CN113696985A (zh) * 2021-08-31 2021-11-26 湖南昕昱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陡坡、山地的工程运输车
WO2024003835A1 (en) * 2022-07-01 2024-01-04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Multidirectional tilting mechanis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631064B1 (ko) 2023-11-24 2024-01-30 에코필드 유한회사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020B1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020B1 (ko)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US4204793A (en) Device for handling containers
CA2932134A1 (en) Weight distributed hydrovac
US7153084B2 (en) Boom clamp
US46218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rotatable tailgate assembly having service and out-of-service positions
US6132163A (en) Boom arm linkage mechanism
CN105283352B (zh) 可折叠后挡板、具有该可折叠后挡板的装载斗及具有该装载斗的车辆
US3722724A (en) Load carrying device with improved position control
US20220105852A1 (en) Handcart
US2468220A (en) Self-loading dump truck
JP2014169062A (ja) 荷役車両
CA2876681A1 (en) Belly dump trailer
US3478902A (en) Transport vehicle for bucket loaders
US6648420B1 (en) Tailgate apparatus for a dumpster-type dump truck
US20150337519A1 (en) Implement System for Machine
JP3751184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における安全装置
JP6858453B2 (ja) トラックの飛散防止装置
US3237792A (en) Front end high lift loading device
US3178042A (en) Retractable rear-view mirror assembly
US3985247A (en) Mid-carry loader
JP2522471Y2 (ja) 塵芥収集車の荷箱固縛装置
JPH0624901B2 (ja) 車両運搬車の安全装置
US3598267A (en) Loader assembly
AU716482B2 (en) Back-hoe and tipper
JPS6449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