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138B1 - 탑차 적재함 - Google Patents

탑차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138B1
KR102553138B1 KR1020220021359A KR20220021359A KR102553138B1 KR 102553138 B1 KR102553138 B1 KR 102553138B1 KR 1020220021359 A KR1020220021359 A KR 1020220021359A KR 20220021359 A KR20220021359 A KR 20220021359A KR 102553138 B1 KR102553138 B1 KR 102553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loading box
cargo
center
p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한웅
오동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덕아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덕아이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덕아이엠티
Priority to KR1020220021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charge and discharge with push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6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the chains or belts being fixed to a rigid pusher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적재함의 바닥을 이루는 플랫폼 프레임 위에 여러 개가 배열되어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 화물을 활주시키는 그레비티 롤러, 상기 그레비티 롤러 위로 주행하도록 적재함 내에 설치되고, 화물이 적재함의 앞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 및 적재함의 뒤쪽으로 화물을 밀어서 이동시키는 드래그 스톡, 상기 플랫폼 프레임에 장치되고, 상기 드래그 스톡이 고정된 체인을 거는 스프로킷 휠을 전동기로 정역회전시켜 상기 드래그 스톡을 적재함의 전후방으로 주행시키는 드라이브 유닛, 상기 플랫폼 프레임의 좌우 양쪽에 장착되어 상기 드래그 스톡의 주행을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 레일, 상기 드래그 스톡을 지지하고 매끄럽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드래그 스톡의 좌우 양쪽 하부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르는 사이드 롤러, 상기 플랫폼 프레임의 가운데에 장착되어 상기 체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드래그 스톡을 지지하고 매끄럽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드래그 스톡의 가운데 하부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센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르는 센터 롤러를 포함하는 탑차 적재함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탑차 적재함{CARGO TRUCK LOADING BOX}
본 발명은 종이 상자나 골판지, 하드보드지 따위의 각종 화물을 안정적으로 싣고 운반하기 위한 화물자동차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탑재한 화물이 수송 중에 움직이거나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잡아 주어 화물 운송의 편의성과 적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탑차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개차형 상용화물차는 비, 눈, 이슬, 서리 따위의 기상 환경과 외부적 요인으로부터 화물을 보호할 수 없고, 화물이 수송 중에 쏠림현상이나 관성력 등에 의해 도로로 쉽게 쏟아질 수 있는 반면, 유개차형 화물차는 외부적 요인으로부터 화물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탑재 및 적재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적어도 한쪽 측면에 도어가 달린 박스나 컨테이너 모양의 유개 적재함을 갖춘 탑차가 화물 운송용 차량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탑차와 같은 유개차형 화물차의 적재함 앞쪽에 고하중의 화물을 실을 경우 차량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치우치고 운전대(steering wheel)가 너무 뻑뻑해서 운전이 상당히 힘들 뿐만 아니라 차량의 급제동에 따른 관성력으로 인해 화물이 쏠리면서 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탑차의 적재함 바닥은 지면으로부터 약 80~145cm 정도에 위치되므로 지면과 높이차가 커서 무거운 화물을 싣고 내리는 상하차 작업이 매우 어렵고 불편할 수밖에 없다.
즉, 물류 창고 등에서 탑차의 적재함에 많은 양의 화물을 싣기 위해서는 그 입구까지 화물을 올려놓는 1차 작업과 안쪽까지 옮겨서 적재하는 2차 작업이 필요하고, 화물을 내릴 경우에도 동일한 작업 단계가 필요하여 상하차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는 화물을 탑차의 적재함에 싣고 내리는 상하차 작업이 편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컨베이어의 작동에 따라 화물을 기계적으로 이송하는 것에 불과하여 상하차 과정에서 자칫 화물이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2113346 B1(2020.05.18) KR 10-2027059 B1(2019.09.24) KR 10-2271365 B1(2021.06.24) KR 20-0180602 Y1(2000.02.19) KR 10-1858828 B1(2018.05.10) KR 10-1166206 B1(2012.07.1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탑차 적재함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적재함 내부에 적재한 화물이 수송 중에 외부의 충격이나 움직임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잡아 주어 안전하게 보호하며, 아울러 화물을 안정성 있게 적재하여 흔들림 및 덜컹거리는 소음이 없어 차량의 주행(운전)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탑차 적재함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화물을 안정성 있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탑차 적재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탑차 적재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적재함의 바닥을 이루는 플랫폼 프레임(platform frame) 위에 여러 개가 배열되어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 화물을 활주시키는 그레비티 롤러(gravity roller), 상기 그레비티 롤러 위로 주행하도록 적재함 내에 설치되고, 화물이 적재함의 앞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 및 적재함의 뒤쪽으로 화물을 밀어서 이동시키는 드래그 스톡(drag stock), 상기 플랫폼 프레임에 장치되고, 상기 드래그 스톡이 고정된 체인(chain)을 거는 스프로킷 휠(sprocket wheel)을 전동기로 정역회전시켜 상기 드래그 스톡을 적재함의 전후방으로 주행시키는 드라이브 유닛(drive unit), 상기 플랫폼 프레임 위의 좌우 양쪽에 장착되어 상기 드래그 스톡의 주행을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 레일(side guide rail), 상기 드래그 스톡을 지지하고 매끄럽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드래그 스톡의 좌우 양쪽 하부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다수 부착되어 상기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르는 사이드 롤러(side roller), 상기 플랫폼 프레임의 가운데에 상기 그레비티 롤러의 높이보다 낮게 장착되어 상기 체인을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 가이드 레일(center guide rail) 및 상기 드래그 스톡을 지지하고 매끄럽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드래그 스톡의 가운데 하부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부착되어 상기 센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르는 센터 롤러(center roller)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 적재함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적재함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도 화물을 기계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옮길 수 있어 화물차량의 화물 하역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함 내부에 탑재한 화물이 수송 중에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화물 운송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플랫폼 프레임의 뒤쪽에 일정 범위 내에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치되고, 화물이 적재함의 뒤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버티어 지지하는 무버블 서포트(movable support)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적재함 내부에 적재한 화물이 수송 중에 외부의 충격이나 움직임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 중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잡아 주어 안전하게 보호하고, 화물을 안정성 있게 적재하여 흔들림 및 덜컹거리는 소음이 없어 차량의 주행(운전)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무버블 서포트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플랫폼 프레임의 뒤쪽에 상기 그레비티 롤러의 높이보다 낮게 고정되어 이동의 안내 및 범위를 제한하는 트랙(track), 상기 트랙 내에서 적재함의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앞쪽에 화물을 지지하기 위한 프롭(prop)이 구비된 보기(bogie), 상기 보기의 가운데에 피벗(pivot)으로 연결되어 자중 및 마찰저항에 의한 제동 작용으로 상기 보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시켜 주는 폴 로크(pawl lock) 및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트랙의 가운데에 고정되고, 상기 폴 로크의 물림 및 제동 작용에 의해 상기 보기의 이동을 막는 래칫 바(ratchet bar)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프롭은 상기 보기의 앞쪽에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부착되어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거나 수직으로 펴서 세울 수 있고, 상기 프롭의 후면과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거나 수직으로 펴서 상기 프롭이 상기 보기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고정하는 브레이스(brace)가 상기 프롭의 후면에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고, 상기 브레이스는 상기 프롭과 상기 보기를 힌지 이음으로 연결하는 너클(knuckle)과의 접촉 간섭으로 상기 보기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프롭이 상기 보기에 대하여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을 때 상기 프롭의 누르는 작용에 의해 상기 폴 로크가 피벗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칫 바와 물림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됨으로써 적재함 내부에 적재한 화물이 차량의 주행 중 흔들리거나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차 작업의 편리성 및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보기의 들림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트랙의 양쪽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stopper), 상기 프롭에 상기 보기의 이동 시 손으로 들거나 붙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 홀(hand hole)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신속성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내부에 화물을 안전하게 싣고 운반할 수 있어 적재 안전성과 수송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화물 운송 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적재함의 내부에 화물을 안정성 있게 적재하고 수송 중에 외부의 충격이나 움직임으로 자유로이 유동하거나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잡아 주어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 시 불안정한 유동이나 소음 없이 이동할 수 있어 주행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화물의 적재 범위를 설정하여 상하차, 적재, 운송 작업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작업자가 적재함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도 화물을 기계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옮길 수 있어 화물차량의 화물 하역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드래그 스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무버블 서포트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무버블 서포트의 작동 이해를 돕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무버블 서포트의 작동 이해를 돕기 위한 국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B)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후면에 여닫이식 도어가 달린 직육면체 박스 모양으로 이루어져 화물자동차의 차대(F) 위에 설치하는 것으로,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크게 플랫폼 프레임(10), 그레비티 롤러(20), 드래그 스톡(30), 드라이브 유닛(40), 사이드 가이드 레일(50), 사이드 롤러(31), 센터 가이드 레일(60) 및 센터 롤러(32)를 포함하고 있다.
<플랫폼 프레임(10)>
플랫폼 프레임(10)은 적재함(B)의 바닥을 이루는 것으로, 화물자동차의 차대(F)에 고정하는 서브 프레임 위에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막기 위한 크로스 멤버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 및 고정되고, 이 크로스 멤버 위에 화물을 올려놓기 위해 일정한 폭과 넓이의 바닥 패널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플랫폼 프레임(10)은 휨 강성 및 강도를 보장하는 두께를 가지는 소정의 단면 형상으로 알루미늄 합금제 등을 압출하여 성형한 여러 개의 중공형 판재 또는 패널, 각재, 파이프, 앵글 등을 연결 및 조립하여 마치 직사각형의 골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레비티 롤러(20)>
그레비티 롤러(20)는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 화물을 활주시키도록 적재함(B)의 바닥을 이루는 플랫폼 프레임(10) 위에 여러 개가 배열되어 있다.
즉, 그레비티 롤러(20)는 좌우 양쪽의 사이드 가이드 레일(50)과 센터 가이드 레일(60)의 사이에 여러 개를 좁은 간격으로 각각 나열하고, 그 자체의 베어링으로 지지된 회전축을 사이드 가이드 레일(50)과 센터 가이드 레일(60)에 고정함으로써 외력 등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미끄럼마찰을 회전마찰로 바꾸어 운동의 저항을 줄여 화물이 플랫폼 프레임(10) 위로 부드럽게 미끄러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그레비티 롤러(20)로는 내부에 소형모터와 감속기를 내장한 일명 파워 몰러(power moller)와 자유 롤러(free roller)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드래그 스톡(30)>
드래그 스톡(30)은 화물이 적재함(B)의 앞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고, 아울러 적재함(B)의 뒤쪽으로 화물을 밀어서 이동시키기 위해 그레비티 롤러(20) 위로 주행 가능하게 적재함(B)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드래그 스톡(30)의 좌우 양쪽 하부에는 사이드 롤러(31)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다수 부착되어 있다.
즉, 사이드 롤러(31)는 드래그 스톡(30)을 지지하고 매끄럽게 이동시키기 위해 사이드 가이드 레일(50)을 따라 구르도록 드래그 스톡(30)의 좌우 양쪽 하부에 돌출시킨 사이드 브래킷(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드래그 스톡(30)의 가운데 하부에는 센터 롤러(32)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센터 롤러(32)는 드래그 스톡(30)을 지지하고 매끄럽게 이동시키기 위해 센터 가이드 레일(60)을 따라 구르도록 드래그 스톡(30)의 가운데 하부에 돌출시킨 센터 브래킷(3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드래그 스톡(30)의 가운데 하부는 드라이브 유닛(40)을 구성하는 체인(41)에 고정되어 있다.
즉, 드래그 스톡(30)의 가운데 하부에는 센터 브래킷(33)이 고정되어 있고, 그 센터 브래킷(34)에는 센터 롤러(32)가 부착되어 있으며, 아울러 센터 브래킷(34)의 전후 양쪽은 체인(41)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드래그 스톡(30)은 화물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지탱하기 위해 형강, 봉재, 강관, 철판 등을 일정 형태로 가공하고 연결(용접) 및 조립하여 휨 강성 및 강도를 보장하는 두께를 가지는 마치 직사각형 벽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드라이브 유닛(40)>
드라이브 유닛(40)은 드래그 스톡(30)을 적재함(B)의 전후방으로 주행시키기 위해 플랫폼 프레임(10)에 장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브 유닛(40)은 체인(41)을 거는 스프로킷 휠(42)을 전동기(43)로 정역회전시키고, 그 스프로킷 휠(42)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체인(41)을 적재함(B)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전동기(43)는 체인(41)을 정역 방향으로 구동하여 그 체인(41)에 고정된 드래그 스톡(30)을 적재함(B)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로킷 휠(42)은 체인(41)을 구동하기 위해 전동기(43)의 출력축에 직결되어 있고, 아울러 체인(41)을 적재함(B)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기 위해 플랫폼 프레임(10)의 앞쪽에 위치하여 체인(41)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제1종동스프로킷 휠(42a) 및 그 제1종동스프로킷 휠(42a)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플랫폼 프레임(10)의 뒤쪽에 위치하여 체인(41)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제2종동스프로킷 휠(42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동기(43)는 적재함(B)에 장치되는 스위치나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유무선 장치를 사용해 작업자가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스프로킷 휠(42)과 전동기(43)는 플랫폼 프레임(10)의 아래쪽에 설치한 별도의 박스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스프로킷 휠(42)과 제1종동스프로킷 휠(42a) 및 제2종동스프로킷 휠(42b)의 회전축은 각각 플랫폼 프레임(10)에 설치된 유닛 베어링(unit bearing)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전동기(43)로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으며, 컨트롤러 등으로부터 신호 전류에 의해 시동(구동) 및 운전이 용이하고, 부하에 적합한 기종을 선택하기 쉽고, 소음 및 진동이 작고, 배기공해가 없는 통상의 전동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신호에 따른 전압 입력을 회전각으로 바꾸어 정지 및 반전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서보 모터나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스텝 모터를 채용할 수 있고, 그밖에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구동에 필요한 힘으로 출력하도록 조절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 작동이 확실하고 자동 원격조작이 가능하며 속도의 조정과 정지·역전 등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모터나 엔진 등에 의해서 구동되는 유압펌프로 발생시킨 고압을 작동축에 주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사이드 가이드 레일(50)>
사이드 가이드 레일(50)은 드래그 스톡(30)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주행을 안내하기 위해 플랫폼 프레임(10) 위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 나란히 대칭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사이드 가이드 레일(50)은 드래그 스톡(30)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용이케 하기 위한 사이드 롤러(31)가 이탈됨 없이 원활하게 구르도록 플랫폼 프레임(10)의 상면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 볼팅, 용접, 리벳팅 등의 접합 방법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가이드 레일(50)은 휨 강성 및 강도를 보장하는 두께를 가지는 마치 'ㄷ' 자 단면 형상으로 알루미늄 합금제 등을 압출하여 성형한 ㄷ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터 가이드 레일(60)>
센터 가이드 레일(60)은 체인(41)의 이동 및 드래그 스톡(30)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주행을 안내하기 위해 플랫폼 프레임(10)의 가운데에 그레비티 롤러(20)의 높이보다 낮게 고정되어 있다.
즉, 센터 가이드 레일(60)은 전동기(4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스프로킷 휠(42)에 의해 적재함(B)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거리 내에서 이동하는 체인(41)을 삽입하여 화물로부터 보호하고 처짐을 방지하며, 이와 더불어 드래그 스톡(30)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용이케 하기 위한 센터 롤러(32)가 이탈됨 없이 원활하게 구르도록 안내하여 드래그 스톡(30)이 자연스럽게 적재함(B)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센터 가이드 레일(60)은 휨 강성 및 강도를 보장하는 두께를 가지는 마치 'ㄷ' 자 단면 형상으로 알루미늄 합금제 등을 압출하거나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무버블 서포트(70)>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버블 서포트(70)는 적재함(B) 내의 화물이 적재함(B)의 뒤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버티어 지지하는 것으로, 플랫폼 프레임(10)의 뒤쪽 상면에 일정 범위 내에서 화물의 지지 위치를 조정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이러한 무버블 서포트(70)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크게 트랙(71), 보기(72), 폴 로크(74) 및 래칫 바(76)를 포함하고 있다.
트랙(71)은 보기(72)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안내 및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플랫폼 프레임(10)의 뒤쪽에 그레비티 롤러(20)의 높이보다 낮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트랙(71)의 양쪽 상부에는 보기(72)가 외력에 의해 일정한 범위 이상으로 들리거나 트랙(7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7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랙(71)의 전후 양쪽 끝부분은 보기(72)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벽체로 막혀 있다.
보기(72)는 트랙(71) 내에 적재함(B)의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고, 상면이 평평하며 그 앞쪽에는 화물을 지지하기 위한 프롭(73)이 구비되어 있다.
즉, 보기(72)는 프롭(73)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고 매끄럽게 이동시키기 위해 양쪽 전후에 트랙(71)을 따라 구르는 바퀴가 다수 부착되어 있고, 그 전방(적재함의 앞쪽)으로는 이동하지만 후방(적재함의 뒤쪽)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폴 로크(74)가 래칫 바(76)의 이에 걸려서 움직이지 않게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프롭(73)은 보기(72)의 상면에 대하여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거나 수직으로 펴서 세울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아래쪽의 테두리 부분이 보기(72)의 앞쪽에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프롭(73)은 보기(72)의 상면에 대하여 90도 각도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그 하단이 보기(72)의 앞쪽 상면과 제1힌지(77)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프롭(73)의 상부에는 보기(72)의 이동 시 손으로 들거나 붙잡을 수 있도록 핸들 홀(73a)이 적재함(B)의 전후 방향으로 뚫려 있다.
그리고 프롭(73)은 보기(72)에 대하여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을 때 누르는 작용에 의해 폴 로크(74)의 상단을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프롭(73)의 접힘 시 누르는 작용에 의해 폴 로크(74)가 피벗(6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래칫 바(76)와 물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폴 로크(74)는 자중에 의해 래칫 바(76)의 이와 물리고 마찰저항에 의한 제동 작용으로 보기(72)가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기(72)의 가운데에 피벗(65)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무게중심이 피벗(65) 아래의 래칫 바(76)와 물리는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단이 보기(72)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있다.
즉, 폴 로크(74)는 자중과 외력에 의해 피벗(65)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움직이면서 그 하단의 후크 부분이 항시 래칫 바(76)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tooth)의 홈 속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보기(72)가 적재함(B)의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의 잠금을 유지시키거나 잠금을 푸는 역할 및 기능을 한다.
래칫 바(76)는 폴 로크(74)의 물림 및 제동 작용에 의해 보기(72)의 이동을 막을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상면은 톱니꼴로 형성되어 있고, 트랙(71)의 가운데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즉, 래칫 바(76)는 폴 로크(74)와의 물림으로 보기(72)가 적재함(B)의 전방으로는 이동하지만 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폴 로크(74)의 하단이 걸려서 움직이지 않게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스(78)는 프롭(73)의 후면과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거나 수직으로 펴서 프롭(73)이 보기(72)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앞쪽의 테두리 부분이 프롭(73)의 후면에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브레이스(78)의 앞쪽은 프롭(73)의 후면과 제2힌지(79)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스(78)는 프롭(73)과 보기(72) 간의 힌지 이음(hinged joint)을 위한 너클(77a)과의 접촉 간섭으로 보기(72)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B)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재함(B)의 후방에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내부로 화물을 상차 시에는 화물의 적재 범위를 설정하고, 그 설정에 따라 드라이브 유닛(40)을 작동시켜 드래그 스톡(3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적당히 이동시키고, 적재함(B)의 플랫폼 프레임(10) 위에 올려진 화물을 그레비티 롤러(20)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밀어서 이동시킴으로써 상차, 적재, 운송 작업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스(78)를 프롭(73)과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고, 그 상태에서 프롭(73)을 보기(72)에 대하여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음으로써 적재함(B)의 후방에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내부로 화물을 상차, 적재, 운송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함(B)의 내부에 화물을 적재한 후에는 무버블 서포트(70)의 프롭(73)을 제1힌지(77)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보기(72)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우고, 브레이스(78)를 제2힌지(79)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프롭(73)의 뒷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펴서 고정한 다음, 그 프롭(73)의 앞면이 화물에 밀착되도록 보기(72)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적재함(B) 내에 적재된 화물이 적재함(B)의 뒤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버티어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프롭(73)의 하면은 보기(72)의 상면과 맞닿은 상태가 되어 보기(72)의 앞쪽으로 90도 이상은 회전하지 않고, 이와 함께 브레이스(78)의 지지 작용으로 인해 보기(72)의 뒤쪽으로 접히지 않아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스(78)의 뒷면은 제1힌지(77)를 구성하는 너클(77a)과의 접촉 간섭으로 더는 회전하지 않고 보기(72)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로크(74)는 무게중심이 래칫 바(76)와 물리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또 보기(72)는 적재함(B)의 전방으로는 이동하지만 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폴 로크(74)가 래칫 바(76)의 이에 걸려서 움직이지 않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폴 로크(74)의 하단 부분은 자중에 의해 피벗(7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래칫 바(76)의 홈형 이 속에 물려서 항시 보기(72)가 저절로 적재함(B)의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고, 상단 부분은 보기(72)의 상면 위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롭(73)을 보기(72)에 대하여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을 때에는 보기(72)의 상면 위로 돌출되는 폴 로크(74)의 상단과 접촉, 즉 폴 로크(74)가 프롭(73)의 누르는 작용에 의해 피벗(6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래칫 바(76)와 물림 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기 때문에 화물의 상하차에 따른 간섭을 해제함은 물론 보기(72)의 구름 운동을 이용하여 화물을 자연스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재함(B) 내부의 화물을 전후 양쪽에서 드래그 스톡(30)과 무버블 서포트(70)로 안정성 있게 적재할 수 있으므로 수송 중에 외부의 충격이나 움직임으로 자유로이 유동하거나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잡아 주어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나아가 화물차량의 주행 시 불안정한 유동이나 소음 없이 이동할 수 있어 주행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적재함(B) 내의 화물을 하차 시에는 드라이브 유닛(40)을 작동시켜 드래그 스톡(30)의 위치를 적재함(B)의 후방 출입구 쪽으로 서서히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적재함(B)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도 적재함(B) 내부에 적재된 화물을 출입구까지 자동으로 옮길 수 있어 화물차량의 화물 하역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B)은 내부에 화물을 안전하게 싣고 내릴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화물 상하차 작업의 편의성과 운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적재함(B) 내의 앞쪽에서는 드래그 스톡(30)이 화물을 버티어 지지하고, 뒤쪽에서는 무버블 서포트(70)가 화물을 버티어 지지하기 때문에 화물을 더욱 안정성 있게 적재하여 수송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력으로부터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플랫폼 프레임(platform frame) 20: 그레비티 롤러(gravity roller)
30: 드래그 스톡(drag stock) 31: 사이드 롤러(side roller)
32: 센터 롤러(center roller) 33: 사이드 브래킷(side bracket)
34: 센터 브래킷(center bracket)
40: 드라이브 유닛(drive unit) 41: 체인(chain)
42: 스프로킷 휠(sprocket wheel) 43: 전동기(motor)
50: 사이드 가이드 레일(side guide rail)
60: 센터 가이드 레일(center guide rail)
70: 무버블 서포트(movable support) 71: 트랙(track)
71a: 스토퍼(stopper) 72: 보기(bogie)
73: 프롭(prop) 73a: 핸드 홀(hand hole)
74: 폴 로크(pawl lock) 75: 피벗(pivot)
76: 래칫 바(ratchet bar) 77: 제1힌지(hinge)
77a: 너클(knuckle) 78: 브레이스(brace)
79: 제2힌지(hinge)

Claims (5)

  1. 적재함(B)의 바닥을 이루는 플랫폼 프레임(10) 위에 여러 개가 배열되어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 화물을 활주시키는 그레비티 롤러(20);
    상기 그레비티 롤러(20) 위로 주행하도록 적재함(B) 내에 설치되고, 화물이 적재함(B)의 앞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 및 적재함(B)의 뒤쪽으로 화물을 밀어서 이동시키는 드래그 스톡(30);
    상기 플랫폼 프레임(10)에 장치되고, 상기 드래그 스톡(30)이 고정된 체인(41)을 거는 스프로킷 휠(42)을 전동기(43)로 정역회전시켜 상기 드래그 스톡(30)을 적재함(B)의 전후방으로 주행시키는 드라이브 유닛(40);
    상기 플랫폼 프레임(10) 위의 좌우 양쪽에 장착되어 상기 드래그 스톡(30)의 주행을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 레일(50);
    상기 드래그 스톡(30)을 지지하고 매끄럽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드래그 스톡(30)의 좌우 양쪽 하부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다수 부착되어 상기 사이드 가이드 레일(50)을 따라 구르는 사이드 롤러(31);
    상기 플랫폼 프레임(10)의 가운데에 상기 그레비티 롤러(20)의 높이보다 낮게 장착되어 상기 체인(41)의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 가이드 레일(60);
    상기 드래그 스톡(30)을 지지하고 매끄럽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드래그 스톡(30)의 가운데 하부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부착되어 상기 센터 가이드 레일(60)을 따라 구르는 센터 롤러(32); 및
    상기 플랫폼 프레임(10)의 뒤쪽에 장치되고, 적재함(B) 내의 화물이 뒤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버티어 지지하는 무버블 서포트(70);
    를 포함하며,
    상기 무버블 서포트(7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플랫폼 프레임(10)의 뒤쪽에 상기 그레비티 롤러(20)의 높이보다 낮게 고정되어 이동의 안내 및 범위를 제한하는 트랙(71);
    상기 트랙(71)의 범위 내에서 적재함(B)의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보기(72);
    상기 보기(72)의 앞쪽에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부착되어 상기 보기(72)와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거나 수직으로 펴서 세워 화물을 지지하는 프롭(73);
    상기 보기(72)의 가운데에 피벗(65)으로 연결되어 자중 및 마찰저항에 의한 제동 작용으로 상기 보기(72)가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시켜 주는 폴 로크(74);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트랙(71)의 가운데에 고정되고, 상기 폴 로크(74)의 물림 및 제동 작용에 의해 상기 보기(72)의 이동을 막는 래칫 바(76); 및
    상기 프롭(73)의 후면에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부착되어 상기 프롭(73)의 후면과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거나 수직으로 펴서 상기 프롭(73)이 상기 보기(72)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고정하는 브레이스(78);
    를 포함하되,
    상기 브레이스(78)는 상기 프롭(73)과 상기 보기(72) 간의 힌지 이음(hinged joint)을 위한 너클(77a)과의 접촉 간섭으로 상기 보기(72)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프롭(73)이 상기 보기(72)에 대하여 겹쳐지게 수평으로 접을 때 상기 프롭(73)의 누르는 작용에 의해 상기 폴 로크(74)가 피벗(6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칫 바(76)와 물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 적재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72)의 들림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트랙(71)의 양쪽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71a); 및
    상기 프롭(73)에 상기 보기(72)의 이동 시 손으로 들거나 붙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 홀(73a);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 적재함.
KR1020220021359A 2022-02-18 2022-02-18 탑차 적재함 KR102553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359A KR102553138B1 (ko) 2022-02-18 2022-02-18 탑차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359A KR102553138B1 (ko) 2022-02-18 2022-02-18 탑차 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138B1 true KR102553138B1 (ko) 2023-07-10

Family

ID=8715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359A KR102553138B1 (ko) 2022-02-18 2022-02-18 탑차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13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84A (ja) * 1994-02-28 1996-01-23 Daikyo Webasto Co Ltd 車輌トランク用仕切り
JP2000016142A (ja) * 1998-06-30 2000-01-18 Eastern Giken Kk 移動荷役装置を備えたトラック貨物室
KR200180602Y1 (ko) 1999-12-14 2000-05-01 주식회사한빛특장 이동식 적재함 바닥
KR20080006872A (ko) * 2006-07-14 2008-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 내 화물고정장치
KR101166206B1 (ko) 2010-05-28 2012-07-20 박만복 화물차의 화물상하차 장치
KR20160081009A (ko) * 2014-12-30 2016-07-08 현종헌 운반용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
KR101858828B1 (ko) 2016-09-06 2018-05-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택배차량용 컨베이어 장치
KR102027059B1 (ko) 2018-03-27 2019-09-30 조인형 화물차량에서의 적재물 앞쏠림방지 자동 작동장치
KR102113346B1 (ko) 2018-03-07 2020-05-22 (주)한성특장차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KR102271365B1 (ko) 2020-01-22 2021-06-29 조인형 화물차량에서의 적재물 앞쏠림방지 작동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84A (ja) * 1994-02-28 1996-01-23 Daikyo Webasto Co Ltd 車輌トランク用仕切り
JP2000016142A (ja) * 1998-06-30 2000-01-18 Eastern Giken Kk 移動荷役装置を備えたトラック貨物室
KR200180602Y1 (ko) 1999-12-14 2000-05-01 주식회사한빛특장 이동식 적재함 바닥
KR20080006872A (ko) * 2006-07-14 2008-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화물 적재 공간 내 화물고정장치
KR101166206B1 (ko) 2010-05-28 2012-07-20 박만복 화물차의 화물상하차 장치
KR20160081009A (ko) * 2014-12-30 2016-07-08 현종헌 운반용 화물차량의 대차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 및 하차방법
KR101858828B1 (ko) 2016-09-06 2018-05-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택배차량용 컨베이어 장치
KR102113346B1 (ko) 2018-03-07 2020-05-22 (주)한성특장차 화물의 적재와 꺼냄이 용이한 탑차
KR102027059B1 (ko) 2018-03-27 2019-09-30 조인형 화물차량에서의 적재물 앞쏠림방지 자동 작동장치
KR102271365B1 (ko) 2020-01-22 2021-06-29 조인형 화물차량에서의 적재물 앞쏠림방지 작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40116B2 (en) Method and mechanism for operating movable and retractable top cover of convertible railway freight compartment
US20130094931A1 (en) Extending vehicle platform having a built-In ramp
CN103097192A (zh) 与载重车辆的至少一个承载平面相毗邻的可折叠的侧面扩展件
US20120006814A1 (en) Logistics panel and containers
KR102553138B1 (ko) 탑차 적재함
CN206749638U (zh) 载货汽车及其载货车箱
EP3165402B1 (en) Foldable superstructure for vehicles
CN210174866U (zh) 顶盖装置及铁路货车
KR102545504B1 (ko) 탑차 적재함용 화물지지장치
KR101411388B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
US7118158B2 (en) Truck trailer with movable sidewalls
GB2123466A (en) Curtain sided railway goods vehicle
CN207225366U (zh) 一种双向驱动的铁路货运敞车的卷曲式可折叠顶盖
CN220562620U (zh) 一种车载货物装卸系统
CN220562610U (zh) 一种平板车及具有其的搬运装置
KR102409363B1 (ko) 특장차의 화물 상하차용 리프트 게이트
JP3285758B2 (ja) 荷物運搬車両
CN213862477U (zh) 一种新型平板拖车
CN217623594U (zh) 一种房建工程用运料车
CN113833333B (zh) 悬挑式立体车库
JP5318999B1 (ja) 荷台の幌装置
JP4041578B2 (ja) コンテナシャ−シ用渡し板
CN110182498B (zh) 一种用于竖式箱体的车架及运输车
CN116788141A (zh) 一种车载货物装卸系统
JP2000153737A (ja) 貨物自動車用のステ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