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602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602B1
KR100812602B1 KR1020060096441A KR20060096441A KR100812602B1 KR 100812602 B1 KR100812602 B1 KR 100812602B1 KR 1020060096441 A KR1020060096441 A KR 1020060096441A KR 20060096441 A KR20060096441 A KR 20060096441A KR 100812602 B1 KR100812602 B1 KR 10081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signal
delay
clock
inve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96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602B1/ko
Priority to US11/819,801 priority patent/US7567483B2/en
Priority to TW096125123A priority patent/TWI338307B/zh
Priority to CN2007101479225A priority patent/CN101154434B/zh
Priority to JP2007225503A priority patent/JP200809100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Landscapes

  • Dram (AREA)
  • Pulse Circuit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의 교차점이 기준신호에 일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클럭입력부;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클럭입력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3 클럭입력부;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지연값으로 지연시켜 제4 클럭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딜레이부; 및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클럭지연조절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반도체, 메모리, 클럭, 명령어, 지연값, 셋업타임, 홀드타임.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도1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3A와 도3B는 도2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위상비교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딜레이 체인과 딜레이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6은 도2에 도시된 신호선택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130 : 신호입력부 140 : 딜레이체인
150 : 딜레이 제어부 160,170 : 위상비교기
180 : 신호선택부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과 명령어 신호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반도체 장치들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등에서 데이터를 요구하게 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요구하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그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데이터 요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반도체 장치들로 구성된 시스템의 동작속도가 빨라지고,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기술이 발달하면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저장하도록 요구받아 왔다. 고속으로 데이터를 입출력시키기 위해서,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은 다음, 입력받는 시스템 클럭에 동기되어 데이터를 입/출력시킬 수 있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가 개발되었다. 동기식 메모리 장치로도 요구되는 데이터 입출력속도를 만족시키기가 충분하지 않아서,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각각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DDR(Double Data Rate) 동기식 메모리 장치가 개발되었다.
DDR 동기식 메모리 장치는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각각 데이터를 입출력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클럭의 한 주기 안에서 2개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한다. 즉, DDR 동기식 메모리 장치는 클럭신호의 라이징 에지 및 폴링에지에 각각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입력받아 저장해야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DDR 동기식 메모리 장치는 시스템 클럭과 그 반전된 클럭을 기준신호에 대응하여 입력받아 내부회로에 전달하게 된다. DDR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입력되는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각각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입력되는 시스템 클럭의 듀티비가 맞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도1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조된 이후에 다수개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는 모듈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모두 9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D1 ~ D9)가 하나의 모듈을 구성하고 있다. 9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D1 ~ D9)의 일측 영역에는 터미네이션 저항(R1,R2)이 배치된다. 터미네이션 저항은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임피턴스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9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D1 ~ D9)의 사이 사이에는 각각 전송라인(TL1 ~ TL10)이 배치된다.
첫번째 전송라인(TL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 신호는 각 전송라인(TL1 ~ TL10)을 통해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전달된다. 또한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도 각 전송라인(TL1 ~ TL10)을 통해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전달된다. 그러나, 모듈안에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배치되는 위치가 서로 다름으로 인해, 각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연결된 전송라인의 길이가 다르다. 또한, 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를 전달하는 전송라인도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 는다. 그로 인해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전달되는 클럭신호의 지연값이 각각 다르게 된다.
또한, 각 전송라인의 임피던스와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단이 서로 매치되지 않기 때문에,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두 클럭신호, 정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의 지연값이 서로 다르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그 반전된 클럭신호의 입력타이밍이 서로 다름으로 해서, 기준신호(VREF)에 대응하여 클럭신호 또는 반전된 클럭신호를 입력받는 마진이 서로 달라진다. 기준신호는 일반적으로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가 클럭킹되는 구간의 1/2 레벨을 유지하는 신호이다. 가장 바람직한 경우는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가 만나는 지점이 기준신호와 일치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모듈의 어떤 위치에 있느냐에 의해서 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의 지연값이 달라져서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가 만나는 지점과 기준신호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가 만나는 지점과 기준신호와의 차이값의 허용범위가 있는데, 이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클럭신호를 제대로 입력받기도 어렵고, 입력받았다 하더라도 동작마진이 너무 줄어드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의 교차점이 기준신호에 일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이 가지게 되는 입력타이밍의 미스매치를 보정할 수 있는 다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배지하고 있는 모듈과 그 모듈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클럭입력부;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클럭입력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3 클럭입력부;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지연값으로 지연시켜 제4 클럭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딜레이부; 및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클럭지연조절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소정의 지연값으로 지연시켜 제4 클럭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는 지연값으로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제4 클럭신호로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클럭입력부;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클럭입력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3 클럭입력부; 상기 기준신호에 대응하여 명령어신호를 입력받아 제1 내부명령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입력부;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클럭지연조절부; 상기 제1 내부명령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지연값을 지연시켜 제2 내부명령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지연부; 및 상기 제2 내부명령어 신호를 상기 제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신호에 대응하여 명령어신호를 입력받아 제1 내부명령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내부명령어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지연값을 지연시켜 제2 내부명령어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내부명령어 신호를 상기 제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클럭신호 및 반전된 클럭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전송라인들; 상기 제1 전송라인들에 의해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가 각각 지연되는 정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미스매치를 보정하기 위한 제1 클럭입력회로를 구비하는 제1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제1 전송라인들에 전달된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전송라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들에 의해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가 각각 지연되는 정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미스매치를 보정하기 위한 제2 클럭입력회로를 구비하는 제2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전송라인을 통해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를 입력받는 제1 메모리 장치와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입력받는 제2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모듈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가 상기 제1 전송라인에 의해 지연되는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클럭신호 또는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지연시키는 제1 지연단계; 및 상기 제2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가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에 의해 지연되는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클럭신호 또는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지연시키는 제2 지연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모듈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1 클럭입력부(110), 제2 클럭입력부(120), 제3 클럭입력부(130), 딜레이체인(140), 딜레이제어부(150), 위상비교기(160), 위상비교기(170) 및 신호선택부(180)를 구비한다.
제1 클럭입력부(110)는 시스템 클럭신호(CLK)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CLKB)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CLKO)를 출력한다. 제2 클럭입력부(120)는 시스템 클럭신호(CLK)와 기준신호(VREF)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천이하는 제2 클럭신호(CLKR)를 출력한다. 제3 클럭입력부(130)는 반전된 클럭신호(CLKB)와 기준신호(VREF)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천이하는 제3 클럭신호(CLKF)를 출력한다. 딜레이체인(140)은 제1 클럭신호(CLKO)를 지연시켜 제4 클럭신호(CLKD)를 출력한다. 딜레이제어부(150)는 제어신호(Dctrl)에 응답하여 딜레이체인(140)의 지연값을 제어한다. 제1 위상비교기(160)는 제4 클럭신호(CLKD)와 제2 클럭신호(CLKR)의 위상을 비교한다. 제2 위상비교기(170)는 제4 클럭신호(CLKD)와 제3 클럭신호(CLKF)의 위상을 비교한다. 신호선택부(180)는 제1 위상비교기(160)와 제2 위상비교기(170)의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제어신호(Dctrl)를 출력한다.
도3A와 도3B는 도2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3A의 기준신호는 클럭신호가 천이하는 폭의 1/2 레벨의 전압레벨을 가지고 있는 신호이다. 이 때 입력된 클럭신호와 반전되 클럭신호가 서로 다른 값으로 지연되어, 클럭신호(CLK)와 반전된 클럭신호(CLKB)의 교차점이 기준신호(VREF)와 만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3B의 경우는 노이즈등으로 기준신호가 클럭 천이구간의 1/2 레벨이 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2와 도3A와 도3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클럭신호(CLK)와 반전된 클럭신호(CLKB)의 교차점과 기준신호(VREF)과의 차이값은 도3A에 오차값(VIX)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제 모듈에 다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배치시키면,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오차값(VIX)이 달라지게 된다. 이는 클럭신호(CLK)와 반전된 클럭신호(CLKB)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전달될 때까지 각 전송라인들의 저항값이 서로 완전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오차값(VIX)이 발생했을 때에, 오차값(VIX)을 없애도록 보정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모듈에 다수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이 각각 오차값(VIX)을 없애도록 보정을 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된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가 서로 다른 값으로 지연되었을 경우, 기준신호(VREF)에서 서로 만나지 않는다. 이 경우 클럭신호의 지연값을 조정하던지, 반전된 클럭신호의 지연값을 조정하던지 또는 2개 클럭신호의 지연값을 모두 조정하여 2개의 클럭신호가 기준신호(VREF)에서 교차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1 클럭입력부(110)는 클럭신호(CLK)와 그 반전된 신호(CLKB)의 교차점에 대응하여 천이하는 클럭신호(CLKO)을 출력한다. 제2 클럭입력부(120)는 클럭신호(CLK)와 기준신호(VREF)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천이하는 제2 클럭신호(CLKR)를 출력한다. 제3 클럭입력부(130)는 반전된 클럭신호(CLKB)와 기준신호(VREF)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CLKF)를 출력한다.
모듈에 입력되는 클럭신호(CLK,CLKB)가 오차값(VIX)이 없었다 하더라도, 하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과정에서 오차값(VIX)이 생기게 되면, 제1 클럭신호(CLKO)는 원하는 시점이 아닌 타이밍에서 천이하게 된다. 위상비교기(160,170)는 각각 클럭신호(CLKD)와 클럭신호(CLKR)의 위상과 클럭신호(CKLD)와 클럭신호(CLKF)의 위상을 비교한다.
위상비교기(160)는 클럭신호(CLKO)와 클럭신호(CLKR) 중 어느 것이 앞서 있는지 혹은 뒤처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클럭신호(CLKO)가 클럭신호(CLKR)보다 위상이 뒤에 있는 경우 업신호(Dup)가 하이레벨로 출력되며, 이 값은 신호선택부(180)을 거쳐서 제어신호(Dctrl)가 되어 딜레이제어부(150)로 전달된다. 딜레이제어부(150)는 제어신호(Dctrl)에 따라 딜레이 체인(140)에서 클럭신호(CLKO)가 지연되는 값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신호선택부(180)는 인에이블신호(R/F)에 응답하여 두 위상비교기(140,150)의 출력중 하나의 출력을 딜레이제어부(15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위상비교기(160)는 클럭신호(CLK)의 천이 타이밍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고, 위상비교기(170)는 클럭신호(CLKB)의 천이 타이밍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최종적으로 위상비교기(160) 또는 위상비교기(170)에서 위상비교한 두 입력클럭의 위상이 일치하면 신호선택부에서 더 이상 제어신호(Dctrl)가 출력되지 않아 더이상 딜레이제어부(150)는 딜레이체인(140)의 지연값을 조절하지 않는다. 이 때의 지연고정된 클럭(CLKD)을 메인회로에서는 어드레스 신호, 데이터 신호, 명령어 신호등을 래치하는 기준신호로 사용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신호(CLK)와 반전된 클럭신호(CLKB)가 지연되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어서, 두 클럭신호(CLK,CLKB)의 교차점이 기준신호(VREF)에서 만나지 못하고 있다. 두 클럭신호(CLK,CLKB)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만들어지는 클럭신호(CLKO)가 메인회로로 전달되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기준신호가 된다. 따라서 두 클럭신호(CLK,CLKB)의 교차점이 기준신호(VREF)에서 만나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생성된 클럭신호(CLKO)를 기준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데이터, 어드레스, 명령어등을 입력받아 내부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정해진 동작마진보다 더 좁은 동작마지을 가질수 있고, 동작상 에러가 생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두 클럭신호(CLK,CLKB)의 교차점과 기준신호(VREF)의 오차값(VIX)을 줄이기 위해 클럭입력부(110)에 2개의 클럭입력부(120,130)와 딜레이 체인(140), 딜레이제어부(150), 위상비교기(160), 위상비교기(170), 신호선택부(18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제1 클럭입력부(120)는 기준신호(VREF)와 클럭신호(CLK)가 교차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천이하는 클럭신호(CLKR)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2 클럭입력부(130)는 기준신호(VREF)와 클럭신호(CLKB)가 교차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천이하는 클럭신호(CLKF)를 생성한다. 위상비교기(160)는 딜레이체인(140)을 거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CLKD)와, 클럭신호(CLKF)의 위상을 비교하고, 그 결과신호인 업신호(Dup)를 신호선택부(180)로 출력한다. 위상비교기(170)는 딜레이체인(140)을 거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CLKD)와, 클럭신호(CLKF)의 위상을 비교하고, 그 결과신호인 다운신호(Ddp)를 신호선택부(180)로 출력한다. 신호선택부(180)는 다운신호 또는 업신호를 제어신호(Dctrl)로 선택하여 딜레이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제어신호(Dctrl)가 하이레벨인 경우에는 딜레이제어부(140)에서 딜레이체인(140)의 지연값을 증가시키고, 로우레벨인 경우에는 딜레이제어부(140)에서 딜레이체인(140)의 지연값을 감소시킨다.
두 위상비교기(160)에서 입력되는 클럭신호들의 위상차이가 없어지게 되면, 락킹상태가 된다. 락킹상태의 클럭신호(CLKD)가 메인회로로 전달되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기준신호가 된다. 락킹상태에서는 입력되는 클럭신호(CLK) 및 그 반전된 클럭신호(CLKD)의 교차지점이 기준신호(VREF)와 정확하게 일 치하지 않더라도, 메인회로로 출력되는 클럭신호(CLKD)의 천이기준점이 기준신호와 정확하게 일치하게 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기준신호(VREF)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 명령어신호,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는다. 따라서 기준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데이터 신호, 명령어 신호, 어드레스 신호들의 입력타이밍과 클럭신호(CLK) 및 그 반전된 클럭신호(CLKD)와는 맞지 않더라도 클럭신호(CLKD)의 천이 타이밍과는 최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그로 인해,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데이터 신호, 명령어 신호, 어드레스 신호들을 입력받고, 처리하는데 있어서 최대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3B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신호가 노이즈등으로 예정될 레벨보다 하강하는 경우에도 기준신호(VREF)와 입력되는 클럭신호(CLK) 및 그 반전된 클럭신호(CLKD)의 교차지점이 맞지 않게된다. 그러나, 락킹상태에서는 메인회로로 출력되는 클럭신호(CLKD)의 천이기준점이 기준신호와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기 때문에, 기준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데이터 신호, 명령어 신호, 어드레스 신호들의 입력타이밍과 클럭신호(CLKD)의 천이 타이밍과는 최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그로 인해,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데이터 신호, 명령어 신호, 어드레스 신호들을 입력받고, 처리하는데 있어서 최대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위상비교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4에 도2에 도시된 위상비교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위상을 비교할 수 있는 회로를 제시하였으나, 다양한 형태의 위상비교기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도5는 도2에 도시된 딜레이 체인과 딜레이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5에 딜레이 체인은 다수의 단위 딜레이(예를 들면 140A)를 직렬연결하여 쉬프터 레지스터에서 출력되는 값에 대응하는 수의 단위딜레이를 클럭신호(CLKO)가 지나가도록 한다. 딜레이제어부(150)는 제어신호(Dctrl)과 클럭신호(CLKO)를 입력받아 쉬프팅신호(UP,DN)을 출력하는 신호조합부(150A)와, 쉬프팅신호(UP,DN)에 응답하여 다수의 출력신호중 활성화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레프터 또는 라이트로 쉬프팅시키는 쉬프터레지스터(150B)를 구비한다.
도6은 도2에 도시된 신호선택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신호선택부(180)는 2개의 전송게이트(T1,T2)를 구비하여, 인에이블 신호(RF)에 응답하여 두 위상비교기(160,170)에서 출력되는 비교결과신호(Dup,Ddn)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신호(Dctrl)로 출력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클럭신호 입력부(210,220,230)와, 명령어 신호 입력부(240), 딜레이체인(250A, 250B, 250C), 딜레이 제어부(260A, 260B, 260C)와, 위상비교기(270A, 270B), 래치부(290), 신호선택부(280)를 구비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결과값을 이용하여 클럭신호의 지연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명령어 신호의 지연값을 조절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명령어 신호 를 입력받는 명령어신호입력부(240), 딜레이체인(250C), 딜레이제어부(260C)와 래치부(29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딜레이체인(250A,250B)과 딜레이제어부(260A,260B)와, 위상비교기(270A,270B)와, 신호선택부(280)를 이용하여 클럭신호(CLK)와 반전된 클럭신호(CLKB)의 교차점이 기준신호에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딜레이제어부(260C)로 출력한다. 딜레이제어부(260C)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딜레이체인(250C)에서 명령어 신호가 지연되는 지연값을 제어한다. 래치부(290)는 딜레이 체인(250C)에서 출력되는 명령어신호를 클럭신호 입력부(210)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치한다.
래치부(290)에 입력되는 명령어 신호는 클럭신호(CLK)와 반전된 클럭신호(CLKB)의 교차점이 기준신호에 따라 얼마나 뒤틀렸지에 대응하여 지연되었기 때문에, 클럭신호 입력부(210)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가장 적절한 타이밍에 래치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실시예에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입력되는 클럭신호(CLK)와 반전된 클럭신호(CLKB)의 지연시간에 대응하여 클럭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이 아니라 명령어신호를 지연시켜 가장 적절한 타이밍에 내부에 래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모듈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던지에 관계없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시스템 클럭의 최적의 타이밍에 명령어신호, 어드레스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의 입력신호들를 래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입력신호, 예를 들면, 어드레스, 명령어, 데이터등의 셋업 및 홀드 타이밍에 대한 마진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메모리 모듈은 모듈안의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시스템 클럭의 최적의 타이밍에 명령어신호, 어드레스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의 입력신호들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모듈에 데이터를 보다 신뢰성있게 저장시키거나 출력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메모리 모듈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Claims (24)

  1.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클럭입력부;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클럭입력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3 클럭입력부;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지연값으로 지연시켜 제4 클럭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딜레이부; 및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클럭지연조절부
    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부는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딜레이체인;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딜레이체인의 지연값을 제어하기 위한 딜레 이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지연조절부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기 위한 제1 위상비교기;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기 위한 제2 위상비교기; 및
    상기 제1 위상비교기와 상기 제2 위상비교기의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비교기와 상기 제2 위상비교기는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위상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부는
    선택신호의 제1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위상비교기의 출력을 상기 딜레이제어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전송게이트; 및
    상기 선택신호의 제2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상비교기의 출력을 상기 딜레이 제어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전송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소정의 지연값으로 지연시켜 제4 클럭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는 지연값으로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제4 클럭신호로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신호가 상기 제4 클럭신호로 지연되는 값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1 비교단계;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2 비교단계; 및
    상기 제1 비교단계와 상기 제2 비교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클럭신호가 상기 제4 클럭신호로 지연되는 값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방법.
  8.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클럭입력부;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클럭입력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3 클럭입력부;
    상기 기준신호에 대응하여 명령어신호를 입력받아 제1 내부명령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입력부;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클럭지연조절부;
    상기 제1 내부명령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지연값을 지연시켜 제2 내부명령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지연부; 및
    상기 제2 내부명령어 신호를 상기 제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
    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지연부는
    상기 제1 내부명령어 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제2 내부명령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 딜레이체인;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명령어 딜레이체인의 지연값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딜레이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지연조절부는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제1 딜레이체인;
    상기 제3 클럭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제2 딜레이체인;
    상기 제1 딜레이체인의 출력과 상기 제1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기 위한 제1 위상비교기;
    상기 제2 딜레이체인의 출력과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기 위한 제2 위상비교기;
    상기 제1 및 제2 위상비교기의 비교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택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딜레이체인의 지연값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딜레이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딜레이체인의 지연값을 제어하기 위한 제2 딜레이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신호에 대응하여 명령어신호를 입력받아 제1 내부명령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내부명령어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지연값을 지연시켜 제2 내부명령어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내부명령어 신호를 상기 제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치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 및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1 비교단계;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2 비교단계; 및
    상기 제1 비교단계와 상기 제2 비교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동방법.
  13. 클럭신호 및 반전된 클럭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전송라인들;
    상기 제1 전송라인들에 의해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가 각각 지연되는 정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미스매치를 보정하기 위한 제1 클럭입력회로를 구비하는 제1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제1 전송라인들에 전달된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전송라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들에 의해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가 각각 지연되는 정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미스매치를 보정하기 위한 제2 클럭입력회로를 구비하는 제2 메모리 장치
    를 구비하는 메모리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입력회로는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클럭입력부;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클럭입력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3 클럭입력부;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지연값으로 지연시켜 제4 클럭신 호로 출력하기 위한 딜레이부; 및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클럭지연조절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부는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딜레이체인;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딜레이체인의 지연값을 제어하기 위한 딜레이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지연조절부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기 위한 제1 위상비교기;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기 위한 제2 위상비교기; 및
    상기 제1 위상비교기와 상기 제2 위상비교기의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입력회로는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클럭입력부;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클럭입력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3 클럭입력부;
    상기 기준신호에 대응하여 명령어신호를 입력받아 제1 내부명령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입력부;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클럭지연조절부;
    상기 제1 내부명령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지연값을 지연시켜 제2 내부명령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지연부; 및
    상기 제2 내부명령어 신호를 상기 제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치하기 위한 래치부
    를 구비하는 메모리 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지연부는
    상기 제1 내부명령어 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제2 내부명령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 딜레이체인;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명령어 딜레이체인의 지연값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딜레이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지연조절부는
    상기 제2 클럭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제1 딜레이체인;
    상기 제3 클럭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한 제2 딜레이체인;
    상기 제1 딜레이체인의 출력과 상기 제1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기 위한 제1 위상비교기;
    상기 제2 딜레이체인의 출력과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기 위한 제2 위상비교기;
    상기 제1 및 제2 위상비교기의 비교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택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딜레이체인의 지연값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딜레이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딜레이체인의 지연값을 제어하기 위한 제2 딜레이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20. 제1 전송라인을 통해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를 입력받는 제1 메모리 장치와 제1 및 제2 전송라인을 통해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입력받는 제2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모듈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가 상기 제1 전송라인에 의해 지연되는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클럭신호 또는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지연시키는 제1 지연단계; 및
    상기 제2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반전된 클럭신호가 상기 제1 및 제2 전송라인에 의해 지연되는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클럭신호 또는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지연시키는 제2 지연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모듈의 구동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단계는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소정의 지연값으로 지연시켜 제4 클럭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는 지연값으로 상기 제1 클럭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제4 클럭신호로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의 구동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신호가 상기 제4 클럭신호로 지연되는 값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1 비교단계;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2 비교단계; 및
    상기 제1 비교단계와 상기 제2 비교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클럭신호가 상기 제4 클럭신호로 지연되는 값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의 구동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단계는
    시스템 클럭신호와 반전된 시스템 클럭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클럭신호와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와 상기 기준신호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3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신호에 대응하여 명령어신호를 입력받아 제1 내부명령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차이 또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내부명령어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지연값을 지연시켜 제2 내부명령어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내부명령어 신호를 상기 제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래치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메모리 모듈의 구동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 및 상기 제3 클럭신호와의 위상차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2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1 비교단계;
    상기 제4 클럭신호와 상기 제3 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2 비교단계; 및
    상기 제1 비교단계와 상기 제2 비교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의 구동방법.
KR1020060096441A 2006-09-29 2006-09-29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12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41A KR100812602B1 (ko) 2006-09-29 2006-09-29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819,801 US7567483B2 (en) 2006-09-29 2007-06-29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TW096125123A TWI338307B (en) 2006-09-29 2007-07-10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and memory modul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2007101479225A CN101154434B (zh) 2006-09-29 2007-08-24 半导体存储器件及其操作方法
JP2007225503A JP2008091006A (ja) 2006-09-29 2007-08-31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41A KR100812602B1 (ko) 2006-09-29 2006-09-29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602B1 true KR100812602B1 (ko) 2008-03-13

Family

ID=3925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441A KR100812602B1 (ko) 2006-09-29 2006-09-29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67483B2 (ko)
JP (1) JP2008091006A (ko)
KR (1) KR100812602B1 (ko)
CN (1) CN101154434B (ko)
TW (1) TWI3383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4795A (ja) * 2009-08-19 2011-03-03 Renesas Electronics Corp 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
KR20140080382A (ko) * 2012-12-20 2014-06-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는 테스트를 수행하는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JP6203631B2 (ja) * 2013-12-26 2017-09-27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における差動ストローブ信号のクロスポイントレベルの調整方法
KR102163431B1 (ko) * 2014-03-05 2020-10-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KR102088221B1 (ko) * 2016-11-23 2020-03-12 주식회사 디비하이텍 메모리 접근 시간 측정 시스템
US10373658B2 (en) * 2017-06-30 2019-08-06 SK Hynix Inc. Semiconductor modules
US10892002B2 (en) 2018-10-24 2021-01-12 Micron Technology, Inc. Selectively controlling clock transmission to a data (DQ) system
CN113228178A (zh) * 2019-12-30 2021-08-06 成都海光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调节存储器系统的读取速度方法、比较电路及存储器系统
CN112737573A (zh) * 2020-12-21 2021-04-30 南京极景微半导体有限公司 一种基于菊花链的时钟偏斜校准系统、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394373B1 (en) 2021-10-07 2022-07-1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anaging flip flop circui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779A (ko) * 1997-06-23 1999-01-15 구자홍 메모리 테스터의 타이밍 신호 자동 보정장치
JPH11261408A (ja) 1998-01-08 1999-09-24 Fujitsu Ltd 位相インターポレータ、タイミング信号発生回路、および、該タイミング信号発生回路が適用される半導体集積回路装置並びに半導体集積回路システム
JP2001111394A (ja) 1999-10-12 2001-04-20 Fujitsu Ltd 遅延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7139B2 (ja) 1995-09-06 2004-10-13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データ保持回路
JPH1116349A (ja) 1997-06-26 199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JP2000163965A (ja) * 1998-11-27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KR100317317B1 (ko) 1998-12-31 2002-01-16 김영환 반도체입력장치의셋업/홀드타임제어회로
KR100287184B1 (ko) 1999-02-23 2001-04-16 윤종용 동기식 디램 반도체 장치의 내부 클럭 지연 회로 및 그 지연 방법
JP3434773B2 (ja) * 2000-03-21 2003-08-11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クロック入力回路
JP2002358796A (ja) * 2001-05-30 2002-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KR100422572B1 (ko) * 2001-06-30 2004-03-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레지스터 제어 지연고정루프 및 그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JP2003044349A (ja) * 2001-07-30 2003-02-14 Elpida Memory Inc レジスタ及び信号生成方法
JP4812976B2 (ja) * 2001-07-30 2011-11-09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レジスタ、メモリモジュール及びメモリシステム
JP2004104681A (ja) * 2002-09-12 2004-04-02 Renesas Technology Corp 入力バッファ回路
KR100486268B1 (ko) * 2002-10-05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듀티싸이클 보정을 수행하는지연동기루프 회로 및 이의 듀티싸이클 보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779A (ko) * 1997-06-23 1999-01-15 구자홍 메모리 테스터의 타이밍 신호 자동 보정장치
JPH11261408A (ja) 1998-01-08 1999-09-24 Fujitsu Ltd 位相インターポレータ、タイミング信号発生回路、および、該タイミング信号発生回路が適用される半導体集積回路装置並びに半導体集積回路システム
JP2001111394A (ja) 1999-10-12 2001-04-20 Fujitsu Ltd 遅延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80263A1 (en) 2008-04-03
TW200816226A (en) 2008-04-01
TWI338307B (en) 2011-03-01
CN101154434B (zh) 2012-07-04
US7567483B2 (en) 2009-07-28
JP2008091006A (ja) 2008-04-17
CN101154434A (zh)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60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7249290B2 (en) Deskew circuit and disk array control device using the deskew circuit, and deskew method
TWI521537B (zh) 半導體記憶裝置及其操作方法
KR10081518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91085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786867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792291B2 (en) I/O circuit with phase mixer for slew rate control
US753527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283955B2 (en) Double data rate interface
US7710171B2 (en) Delayed locked loop circuit
US825346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864715B1 (en) Windowing circuit for aligning data and clock signals
US6798241B1 (en) Methods for aligning data and clock signals
KR20120030354A (ko) 메모리 시스템 내에서 쓰기 레벨링을 위한 시작 값들을 조정하는 방법
CN111418015A (zh) 用于存储器装置中的命令同步的技术
US69154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ly adjusting clock skew in a variably loaded memory bus
US7298188B2 (en) Timing adjustment circuit and memory controller
US7737744B2 (en) Register controlled delay locked loop circuit
US7626417B2 (en) On-die-termination control circuit and method
KR10084580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제어 회로 및 방법
US20070216456A1 (en) Delay locked loop and method of locking a clock signal
US11100968B2 (en) Memory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training the memory systems
KR102409744B1 (ko) 데이터 수신 회로
KR20130002671A (ko) 반도체 장치
US6597202B1 (en) Systems with skew control between clock and data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