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708B1 - 광정보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광정보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708B1
KR100785708B1 KR1020040102323A KR20040102323A KR100785708B1 KR 100785708 B1 KR100785708 B1 KR 100785708B1 KR 1020040102323 A KR1020040102323 A KR 1020040102323A KR 20040102323 A KR20040102323 A KR 20040102323A KR 100785708 B1 KR100785708 B1 KR 10078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ptical
pregroov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998A (ko
Inventor
우치다마모루
오키츠이사오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11B7/24079Width or dept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11B7/24076Cross sectional shape in the radial direction of a disc, e.g. asymmetrical cross sectional sh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6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azo-dy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 G11B7/247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cyanin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9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 G11B7/249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as an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11B7/253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gla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11B7/253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11B7/253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 G11B7/253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polycarbonates [P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reflective layers
    • G11B7/259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reflective layers based on silver

Abstract

본 발명은 파장이 특히 640㎚~680㎚인 레이저광 등에 의한 기록광을 사용한 고밀도 및 고속도 기록에 있어서, 기록 파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의 방열특성을 향상시켜 기록속도가 보다 고속으로 대응한 기록영역에 있어서 기록재생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광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 파워가 광기록층(3) 내의 색소를 가열함과 동시에 그 열이 광기록층이나 광반사층(4)을 통하여 확산되어 가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서, 프리그루브(7)를 형성한 기판(2)과, 레이저광(9)을 흡수하는 색소로 구성된 광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광기록층(3)과, 레이저광(9)을 반사하는 광반사층(4)을 구비하고,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당해 광정보기록매체 직경방향에 있어서 프리그루브(7)의 단면적에 대해 광기록층이 차지하는 단면적의 비율이 30%~6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리그루브, 광기록층, 광반사층

Description

광정보기록매체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도 1은 광정보기록매체(1)의 요부(要部) 확대 단면도.
도 2는 광반사층(4)측의 형상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도 2와 같이 얻어진 곡선을 직선으로 근사한 광반사층(4)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 및 프리그루브 내 광반사층 비율의 계산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DC 지터와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DC 지터와 프리그루브(7) 내의 반사층 돌출 깊이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DC 지터와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두께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DC 지터와 프리그루브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경사각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DC 지터와 광기록층의 레벨링 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실시예 1, 2, 비교예 1, 2에 있어서 사용한 제1 화합물(아조 색소)의 구조식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실시예 3에 있어서 사용한 제2 화합물(아조 색소)의 구조식을 나타 낸 도면.
도 12는 실시예 1, 2, 3, 비교예 1, 2에 있어서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 광반사층 돌출 깊이, 프리그루브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두께, 프리그루브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경사각도, 광기록층의 레벨링값 및 DC 지터값을 나타낸 도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정보기록매체(실시예, 도 1) 2 : 기판
3 : 광기록층(광 흡수층) 4 : 광반사층
5 : 보호층 6 : 더미 기판
7 : 프리그루브 8 : 랜드
9 : 레이저광(기록광, 재생광) 10 : 기록 피트
11 : 제1 층계 12 : 제2 층계
13 : 제3 층계 14 : 제4 층계
15 : 개구부 레벨 선
본 발명은 광정보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광기록층으로서 예를 들면 투광성 기판상에 색소로 구성되며 적어도 광흡수물질등을 포함한 광기록층과, 금속막 등에 의한 광 반사층을 가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파장이 640~680㎚인 단파장 적색 레이저광에 의하여 고밀도 및 고속으로 기 록 및 재생이 가능한 광정보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파장이 640~680㎚(예를 들면 650~665㎚)인 반도체 레이저에 대응하는 유기색소화합물을 광 기록층으로 사용한 DVD-R나 DVD+R 등의 추기형(追記形)광정보기록매체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DVD-R이나 DVD+R 등의 광정보기록매체는, 종래 CD-R의 트랙 피치(track pitch) 1.6㎛, 기억 용량 600~650MB에 비해 트랙 피치는 0.74㎛로서 보다 좁은 피치로 되고 기억 용량은 4.7GB로서 대단히 고밀도로 되어 있다. 또한 기록 속도에 있어서, CD-R에서는 기준선속도가 1.2~1.4m/s인데 반해 DVD-R/+R에서는 기준선속도가 3.49m/s로서 대단히 고속화하고 있다. 한편 DVD-R/+R용의 기록기는 기준선속도의 8배의 기록속도를 갖는 8배속의 것은 실용화되어 있으나 16배속의 것은 현시점에서는 실용화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유기색소화합물을 광 기록층에 사용한 광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기록 속도가 저속인 때부터 고속인 때까지의 넓은 영역에 걸쳐 기록 재생 특성의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저속인 때부터 고속인 때까지의 각 기록 재생 특성을 충분히 만족하는 광정보기록매체는 얻지 못하고 있다.
고속기록에서는 기록 파워가 높기 때문에 기록 시에 발생하는 열량 내지 단위시간당 열량이 크게 되고, 열 왜곡의 문제가 나타나기 쉬워 기록 피트(pit)가 불규칙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반도체 레이저의 출사(出射) 파워 자체에 한계가 있어 고속기록에 대응할 수 있는 고감도의 색소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광기록층을 구성하는 유기색소재료의 물성으로서는 복소(複素)굴절율(이하 굴절율이라고 한다)을 더욱 높여 광기록층을 박막화하여 기록 시에 발생하는 열을 제어하는 것, 가능한 한 적은 기록 파워로 광기록층 내의 색소를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한편, 광기록층의 박막화 경향으로서는,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기준선속도 (1배속에 상당)가 3.49m/s (약 3.5m/s)인 기록 속도에 대해 그 평균 두께가 2배속에서 60㎚, 4배속에서 54㎚, 8배속에서 44~47㎚, 16배속에서 40㎚ 전후 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높은 굴절율을 얻기 위하여 색소에 대해 분자설계를 하더라도 그 화학적 구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고속기록에 대응할 수 있는 색소의 설계를 충분히 이행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저속 시에는 기록 파워가 너무 낮게 되기 때문에, 고속 때의 특성을 확보하려고 광기록층을 박막화할 경우에는 충분한 크기의 피트를 형성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속기록 특히 그 기록속도가 8배속 이상이 되면 후술하는 것과 같이 기록 파워가 높기 때문에 기록 시에 발생하는 열량이 커진다. 그래서 기판의 프리그루브 내의 광기록층형상, 또는 프리그루브 내에 있어서 광반사층형상이나 기판형상이라는 형상인자와, 색소분해 온도나 발열량 등의 열 물성 인자를 기록 시의 열 제어에 적합한 상태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록 파워를 낮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유기색소재료의 광흡수량을 늘리는 등의 색소광학설계도 필요하다.
한편, 고속기록에 맞춘 미디어 설계를 하면 광기록층의 두께가 얇아져 저속 기록에서는 형성된 피트의 물리적 크기가 작아진다. 그래서, 고속으로부터 저속까지의 적정한 기록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고, 높은 굴절률의 유기색소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피트를 광학적으로 크게 볼 수 있는 연구 및 고속기록 시의 방열 대책도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속으로부터 저속까지의 적정한 기록, 특히 고속에 보다 적합한 기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형상인자와 색소 열물성 인자를 열제어 내지 방열 대책에 적합한 상태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여러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레이저광, 특히 파장이 640㎚~680㎚인 레이저광 등을 사용한 고밀도 및 고속도 기록이 가능한 광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기록층에 대한 기록에 있어서 기록 파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의 제어를 고려하여 방열 특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광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기록층형상 내지 광반사층형상이라고 하는 형상인자 및 색소 열물성 인자를 고려한 광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는, 기록시 발열제어에 관한 색소 열물성 인자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큰 효과를 올리기는 곤란한 반면, 방열 제어에 관한 형상인자를 연구함으로써 발생열의 영향을 개선하는 데에는 큰 효과를 올릴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레이저 광 에 의한 기록 파워가 프리그루브 내의 색소 등 광 흡수 물질을 가열함과 동시에 그 열이 광기록층이나 광반사층을 통하여 확산되어 가는 것 및 이 확산되어 가는 열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첫 번째 발명은, 투광성을 가지면서 프리그루브(pre-groove)를 형성한 기판과, 이 기판위에 설치된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광기록층과, 이 광기록층위에 설치된 상기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을 통해 상기 광기록층에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학적으로 읽을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하는 광 정보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에서 당해 광정보기록매체의 직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내의 단면적에 대한 상기 광기록층이 차지하는 단면적의 비율이 30%~6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이다.
두 번째 발명은, 투광성을 가지면서 프리그루브(pre-groove)를 형성한 기판과, 이 기판위에 설치된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광기록층과, 이 광기록층위에 설치된 상기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을 통해 상기 광기록층에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학적으로 읽을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하는 광 정보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에서 당해 광정보기록매체의 직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내의 단면적에 대한 상기 광반사층이 차지하는 단면적의 비율이 37%~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이다.
세 번째 발명은, 투광성을 가지면서 프리그루브(pre-groove)를 형성한 기판과, 이 기판위에 설치된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광기록층과, 이 광기록층위에 설치된 상기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을 통해 상기 광기록 층에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학적으로 읽을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하는 광 정보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로 상기 광반사층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이다.
상기 프리그루브 내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층 비율은 30%~57%가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그루브 내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 비율은 43% ~70%가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그루브 내의 상기 광반사층의 돌출 깊이는 83㎚~140㎚가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그루브 내의 상기 광반사층의 돌출 깊이는 93㎚~140㎚가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그루브 내의 상기 광기록층의 두께는 35㎚~90㎚가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그루브 내로의 상기 광기록층의 두께는 35㎚~83㎚가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그루브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경사각도는 37.5°~60°가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그루브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경사각도는 38.5°~60°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기록층의 레벨링 값은 0.15~0.29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기록층의 레벨링 값은 0.15~0.26이 바람직하다.
기록시에 있어서 기준선속도는 3.49m/s가 바람직하다.
기록시에 있어서 기준 선속도를 S라 할 때, S×n(다만, n은 8이상의 정수)의 기록 속도에 대응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시에 있어서의 기준선속도를 S라고 했을 때에, S×n (다만, n은 8을 초과하는 정수)의 기록 속도에 대응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광의 기록파장은 640nm~680nm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정보기록매체를 도 1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원반상의 광정보기록매체(1)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광정보기록매체(1)의 직경방향의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즉 프리그루브(7)가 새겨져 있는 면에 대하여 수직이며 또한 프리그루브(7)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모식(模式)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광정보기록매체(1)는 투광성 기판(2)과 이 기판 위에 형성된 광기록층(3)(광흡수층)과, 이 광기록층(3) 위에 형성된 광반사층(4)과, 이 광반사층(4) 위에 형성된 보호층(5)을 갖는다. 한편, 보호층(5)의 상층에 소정 두께의 더미(dummy) 기판(6)을 적층하여 DVD 규격에서 필요로 하는 소정의 두께를 형성한다.
상기 기판(2)에는 나선(spiral) 상의 프리그루브(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프리그루브(7)의 좌우에는, 이 프리그루브 이외의 부분, 즉 랜드(8)가 위치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정보기록매체(1)에 레이저광(9)(기록광)을 조사했을 때에 광기록층(3)이 그 레이저광(9)의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발열하고 기판(2)측에 열 변질이 생겨 기록 피트(10)가 형성된다.
한편, 기판(2)과 광기록층(3)과는 제1 층계(層界)(11)에 의해 서로 접하고 있다.
광기록층(3)과 광반사층(4)과는 제2 층계(12)에 의해 접하고 있다.
광반사층(4)과 보호층(5)과는 제3 층계(13)에 의해 접하고 있다.
보호층(5)과 더미 기판(6)과는 제4 층계(14)에 의해 접하고 있다.
투광성의 기판(2)은, 레이저광에 대한 굴절률이, 예를 들면 1.5~1.7 정도의 투명도가 높은 재료로서 내충격성이 뛰어난 수지를 주로 하여 형성한 것,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유리판, 아크릴판, 에폭시판 등을 사용한다.
광기록층(3)은 기판(2) 위에 형성된 층으로서, 예를 들면 색소를 포함한 광흡수성의 물질(광흡수물질)로 된 층이고, 레이저광(9)을 조사함에 의해 발열, 용융, 승화, 변형 또는 변성을 수반하는 층이다. 이 광기록층(3)은 예를 들면 용제에 의해 용해한 아조 염료계 색소, 시아닌계 색소 등을 스핀코팅(spin coating)법 등의 수단으로 기판(2)의 표면에 고르게 코팅함으로써 형성한다.
광기록층(3)에 사용하는 재료는 임의의 사용할 수 있으나 광 흡수성 유기색소가 바람직하다.
광반사층(4)은 열전도율 및 광반사성이 높은 금속막으로서 예를 들면 금, 은, 동, 알루미늄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을 증착법, 스퍼터(sputter) 법 등의 수단으로 형성한다.
보호층(5)은 기판(2)과 마찬가지로 내충격성, 접착성에 뛰어난 수지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수지를 스핀코팅법에 의해 도포하고 여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이를 형성한다.
더미 기판(6)은 상기 기판(2)과 동등한 재료에 의해 구성하고 약 1.2㎜ 소정의 두께를 확보한다.
도 1에 있어서 광정보기록매체(1)의 각 부분의 치수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정한다. 특히 프리그루브(7)에 있어서 기판(2)과 광기록층(3)과의 제1 층계(11)에 있어서, 도 1 중 프리그루브(7)의 좌측 상우부(上隅部)를 A점으로 하고 좌측 하우부를 B점으로 하고 우측 하우부를 C점으로 하고 우측 상우부를 D점으로 한다.
또한 랜드(8) 위에 위치하는 광반사층(4)의 좌측 상우부를 E점이라 하고, 프리그루브(7)의 개구부에 랜드(8)로부터의 제1 층계(11)와 동일 레벨로 이어지는 개구부 레벨선(15)(가상 선)과 광반사층의 왼쪽 경사부와의 교차점을 F점이라 하고, 프리그루브(7) 안에 기판(2)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광반사층(4)의 좌측 하우부를 G점이라 하고 우측 하우부를 H점이라 하고, 개구부 레벨선(15)과 광반사층의 오른쪽 경사부와의 교점을 I점이라 하고, 랜드(8) 위에 위치하는 광반사층(4)의 우측 상우부를 J점이라 한다.
광반사층(4)이 프리그루브(7)쪽으로 향한 요부(凹部)의 최대폭(광정보기록매체(1)의 직경방향의 폭)을 Wdt(직선 EJ의 길이)라고 한다.
광반사층(4)이 프리그루브(7)쪽으로 향한 요부의 최소폭을 Wdb(직선 GH의 길이)라고 한다.
광기록층(3)의 프리그루브(7)에 있어서의 최대폭을 Wst(직선 AD의 길이)라고 한다.
광기록층(3)의 프리그루브(7)에 있어서의 최소폭을 Wsb(직선 BC의 길이)라고 한다.
광반사층(4)의 랜드(8)쪽으로 향한 철부(凸部)의 폭을 Wdl(직선 JE1의 길이)라고 한다.
광기록층(3)의 랜드(8)에 있어서의 폭을 Wsl(직선 DA1의 길이)라고 한다.
광기록층(3)과 광반사층(4)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랜드(8)의 제1 층계(11)의 레벨에서의 광기록층(3)의 폭을 Wx(직선 AF, ID의 길이)라고 한다.
광반사층(4)의 랜드(8)에 있어서 제2 층계(12)로부터 프리그루브(7)에 있어서 제2층계(12)까지의 깊이(색소그루브의 깊이)를 Hdg(직선 JE와 직선 GH 사이의 거리)라고 한다.
광기록층(3)의 랜드(8)에 있어서의 깊이를 Hdl(직선 JE와 직선 DA 사이의 거리)라고 한다.
프리그루브(7)의 깊이(기판그루브의 깊이)를 Hsg(직선 DA와 직선BC 사이의 거리)라고 한다.
프리그루브(7)에 있어서의 광기록층의 두께를 Hsd(직선 GH와 직선 BC 사이의 거리)라고 한다.
광반사층(4)의 광기록층(3) 안에 있어서 경사부의 각도(그루브 색소각도)를 α라고 한다.
광기록층(3)의 기판(2) 안에 있어서 경사부의 각도(그루브 기판각도)를 β라고 한다.
당해 광정보기록매체(1)의 단면형상 및 각각의 치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광정보기록매체(1)의 중앙의 구멍에 금속제의 압설기(spatula)를 집어넣어 광기록층(3)과 광반사층(4)의 사이의 제2 층계(12) 부분을 박리하고 분해했다.
그리고 나서, 광반사층(4) 측에 부착되어 있는 유기색소재료(광기록층(3))를 에탄올로 씻어 내고, 박리시 압설기에 의해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색소층 형상의 측정 샘플로서 측정에 사용했다.
또한 기판(2) 측에 부착되어 있는 색소층을 에탄올로 씻어 내고 박리시 압설기에 의해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기판(2) 형상의 측정 샘플로서 측정에 사용했다.
각각의 부분의 형상측정에는 AFM(Thermomicroscopes 회사제품 Autoprobe M5)을 사용했다.
도 2는 광반사층(4) 측의 형상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실제의 측정 형상은 곡선으로 되어 있으나 깊이, 반값폭(半値幅) 및 각도의 데이타를 사용하여 계산하기 쉽도록 직선으로 근사시킨다.
즉, 도 3은 도 2와 같이 얻어진 곡선을 직선으로 근사시킨 광반사층(4)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점선은 실제의 측정 형상을 나타내고 실선은 근사 형상을 나타낸다.
아울러 전술한 것과 같은 수법으로 기판(2)의 형상도 측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속기록시의 열제어 설계에 대해서 설명하면, 광정보기록매체(1)에 기록할 때의 레이저광(9)의 레이저 파워에 의해 프리그루브(7) 안의 유 기색소재료는 급격히 가열되어 각각의 열은 광기록층(3)이나 광반사층(4)을 통해 확산된다.
이 확산되는 열은 인접 부분의 트랙 사이나 프리그루브(7) 안으로 옮겨가, 그 부분은 어느 정도 따뜻하게 되어 말하자면 예열상태로 된다. 이 예열상태에서 다음의 기록을 위한 레이저광(9)이 조사되면, 이 예열의 영향을 받아 기록피트가 퍼지게 되어, 본래 기록될 기록마크와는 다른 기록피트(10)가 형성된다.
또한 레이저광(9)의 레이저 파워가 강하면 강할수록, 즉 고속기록이 되면 될수록 발생하는 열량은 많아진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DVD-R의 미디어에서는 1배속 기록(약 3.5m/s)에서 그 기록 파워(레이저 강도)는 6~10㎽ 전후이며, 4배속 기록에서는 15~20㎽ 전후, 8배속 기록에서는 25~30㎽ 전후, 16배속 기록에서는 40㎽ 이상의 기록 레이저 파워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요컨대 고속기록 대응의 미디어에 있어서 그 기록시에 발생하는 열이 인접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점점 중요하게 된다.
광정보기록매체(1)의 기록시에 발생하는 열을 제어하는 인자는 발열제어 및 방열제어로 대별할 수 있다.
발열제어는 광기록층(3)의 재료 자체의 발열량이나 분해 온도 등의 재료물성인자와 관계되고, 방열제어는 광기록층(3)이나 기판(2) 등의 형상인자, 즉 광기록층(3)의 두께나 광기록층(3)과 광반사층(4)의 사이의 제2 층계(12)의 형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유기색소재료 박막인 광기록층(3)은 금속 박막인 광반사층(4)과 폴리카보네이트 재료의 기판(2)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열전도성으로서는 플라스틱 재료인 폴리카보네이트(기판(2))보다도 금속(광반사층(4))쪽이 좋은 것은 자명하며, 방열제어는 형상인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열영향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발열제어에 의해 큰 효과를 얻는 것은 곤란한 반면, 광기록층(3)이나 기판(2)의 형상인자에 기초한 방열제어에 의해서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속기록시의 열제어에 의한 방열제어,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리그루브(7)에 있어서 광기록층(3) 및 광반사층(4)의 형상이 가장 지배적이라는 점에 주안점을 두었다.
특히, 이하의 항목에 의한 광기록층(3)의 형상은 고속기록시의 열제어(방열제어)에 대해서도 영향이 크다. 특히 항목 (1) 및 (2)가 영향이 크다.
(1)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의 광기록층비율, 즉 그 프리그루브 내의 광기록층비율은 도 1에 있어서 사다리꼴 ABCD의 면적에 대한 사다리꼴 FGHI의 면적의 비와 등가이다.
도 4는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의 계산식을 나타낸다.
(2)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광반사층 돌출 깊이(Hsg-Hsd).
(3)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두께(그루브 내 광기록층두께) Hsd.
(4)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경사각도 α.
(5) 광기록층의 레벨링 값 (Hsg-Hdg)÷Hsg.
(6)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광반사층(4)의 비율(그루브 내 광반사층 비율),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과 상관하여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광반사층(4)의 비율에 착안할 수도 있다. 도 4에 계산식을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과 마찬가지로 그루브 내 광반사층 비율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8배속 이상인 고속기록에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각 항목에 대해 아래와 같은 범위가 바람직하다.
(1)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은 30% ~63%로 한다.
30% 미만에서는 충분한 크기의 기록 피트(10)를 형성할 수 없다.
63%를 초과한 경우에는 도 5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DC 지터를 규격치 이내로 억제할 수 없다.
(2)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의 반사층 돌출 깊이(Hsg-Hsd)는 83㎚~140㎚로 한다.
83㎚ 미만에서는 도 6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DC 지터를 규격치 이내로 억제할 수 없다.
140㎚를 초과하면 프리그루브(7) 내에서의 색소량이 적어져 충분한 크기의 기록 피트(10)를 형성할 수 없다.
(3) 프리그루브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두께(Hsd)는 35㎚~90㎚로 한다.
35㎚ 미만에서는 프리그루브(7) 내에서의 색소량이 적어져 충분한 크기의 기록 피트(10)를 형성할 수 없다.
90㎚를 초과하면 도 7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DC 지터를 규격치 이내로 억제할 수 없다.
(4) 프리그루브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경사각도(α)는 37.5°~60°로 한다.
37.5°미만에서는 도 8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DC 지터를 규격치 이내로 억제할 수 없다.
60°를 초과하면 광반사층(4)의 형상이 크게 일그러지기 때문에 충분한 반사율을 확보할 수 없다.
(5) 광기록층의 레벨링값[(Hsg-Hdg)÷Hsg]는 0.15~0.29로 한다.
0.15 미만에서는 광반사층(4)의 형상이 크게 일그러지기 때문에 충분한 반사율을 확보할 수 없다.
0.29를 초과하면 도 9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DC 지터를 규격치 이내로 억제할 수 없다.
(6) 프리그루브 내 광반사층 비율은 37%~70%로 한다.
또한 8배속을 초과(예를 들면 16배속)하는 고속기록에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각 항목에 대해서
(1)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은 30% ~57%로 한다.
30% 미만에서는 충분한 크기의 기록 피트(10)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57%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도 5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DC 지터를 규격치 이내로 억제하기가 곤란하다.
(2)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반사층 돌출 깊이(Hsg-Hsd)는 93㎚~140㎚로 한다.
93㎚ 미만에서는 도 6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DC 지터를 규격치 이내로 억제하기가 곤란하다.
140㎚를 초과하면 프리그루브(7) 내에서의 색소량이 적어져 충분한 크기의 기록 피트(10)를 형성하기가 곤란하다.
(3) 프리그루브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두께 (Hsd)는 35㎚~83㎚로 한다.
35㎚ 미만에서는 프리그루브(7) 내에서의 색소량이 적어져 충분한 크기의 기록 피트(10)를 형성하기가 곤란하다.
83㎚를 초과하면 도 7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DC 지터를 규격치 이내로 억제하기가 곤란하다.
(4) 프리그루브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경사각도(α)는 38.5°~60°로 한다.
38.5°미만에서는, 도 8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DC 지터를 규격치 이내로 억제하기가 곤란하다.
60°를 초과하면 광반사층(4)의 형상이 크게 일그러지기 때문에 충분한 반사율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
(5) 광기록층의 레벨링값[(Hsg-Hdg)÷Hsg]은 0.15~0.26로 한다.
0.15 미만에서는 광반사층(4)의 형상이 크게 일그러지기 때문에 충분한 반사율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
0.26 을 초과하면 도 9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DC 지터를 규격치 이 내로 억제하기가 곤란하다.
(6) 프리그루브 내 광반사층 비율은 37% ~70%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항목 (1)~(5)는 각각 독립하여 고속기록시의 열제어에 작용한다.
8배속 이상인 고속기록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각 항목 (1)~(5) 중 하나 이상은 규정한 범위 내에서 형상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 각 항목 (1)~(5) 중 항목(1), (2)는 특히 영향이 크기 때문에 어느 한쪽 항목 또는 양쪽 항목에서 규정한 범위 내에서 형상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기판(2), 광기록층(3) 및 광반사층(4) 등의 형상이 미디어의 고속기록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줄지를 조사한 결과의 데이타를 설명한다.
도 5는 DC 지터와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DC 지터가 13%를 초과하는 비대칭값을 가로축에 취하고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을 세로축에 취하고 있다.
여기에서 “DC 지터”란 “Data to Clock Jitter”를 말하며 광정보기록매체(1)를 1회전시켰을 때의 지터값으로서 기록 피트(10)의 흔들림을 나타낸다. 이 DC 지터가 13%를 초과하면 DVD-R의 경우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에러 신호(PI error)가 이의 규격치 280을 초과하기 쉽게 된다.
‘비대칭 값’이란 DVD-R에 있어서 기록 피트(10)의 피트 길이(3T부터 14T까지의 길이)에 대해서의 평균치에 있어서 본래 기록되어야 할 위치로부터의 어긋남을 말한다.
이 ‘비대칭 값’은 기록매체의 기록감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설계상 가능한 한 플러스 측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이 좋다는 것이 실험상 검증되었기 때문에, 비대칭 값으로는 고속기록의 경우는 -5%~15%의 범위가 바람직하여, 예를 들면 8배속일 때에는 -5%의 값에서부터 플러스 측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16배속일 때에는 5%의 값에서부터 플러스 측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1배속, 2배속, 4배속, 6배속, 8배속으로 기록 하여 얻은 DC 지터의 결과를 바탕으로 16배속의 기록결과를 예측한 것으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이 감소할수록(프리그루브 광반사층 비율이 증가할수록) DC 지터가 13%를 초과하는 비대칭 값이 플러스 측으로 시프트하여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프리그루브(7) 내에 광반사층(4)이 돌출하는 비율이 증가하면, 기록시의 발생열량이 광반사층(4)의 금속막에 의해 신속하게 방열확산 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그래프로부터 비대칭 값이 -5%일 때의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은 63% 이하가 바람직하고, 비대칭 값이 +5%일 때는 57% 이하가 바람직하다는 것이 뒷받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DC 지터와 프리그루브(7) 내의 반사층 돌출 깊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프리그루브(7) 내의 반사층 돌출 깊이가 길어질수록 DC 지터가 13%를 초과하는 비대칭 값이 플러스 측으로 시프트하여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그래프는 프리그루브(7) 내의 반사층 돌출 깊이가 8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3㎚ 이상인 것을 뒷받침한다.
다음으로 도 7은 DC 지터와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3)의 두께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프리그루브(7) 내의 광기록층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DC 지터가 13%를 초과하는 비대칭 값이 플러스 측으로 시프트하여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의 그래프는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두께가 9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3㎚ 이하인 것을 뒷받침한다.
다음으로 도 8은 DC 지터와 프리그루브(7)에 있어서 광기록층(3)의 경사각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경사각도가 가파를수록 DC 지터가 13%를 초과하는 비대칭 값이 플러스 측으로 시프트하여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프리그루브(7)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경사각도가 37.5°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8.5°이상인 것을 뒷받침한다.
다음으로 도 9는 DC 지터와 광기록층(3)의 레벨링값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레벨링 값이 작아질수록 DC 지터가 13%를 초과하는 비대칭 값이 플러스 측으로 시프트하여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의 그래프는 광기록층(3)의 레벨링값이 0.2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6 이하인 것을 뒷받침한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0에 도시한 제1 화합물(아조 색소) 0.2g을, 2, 2, 3, 3-테트라플루오르(tetrafluoro)-1-프로파놀(propanol) 10㎖에 용해하여 도포용액을 조제했다.
폴리카보네이트제이고 연속한 깊이 180㎚의 프리그루브(7)를 갖는 외경 120 ㎜, 두께 0.6㎜의 원반상의 기판(2)에 이 도포용액을 스핀 코팅법으로 도포하고 평균 색소막 두께 약 50㎚인 광기록층(3)을 형성했다.
또한 이 광기록층(3) 위에 은(Ag)을 스퍼터링하고, 두께 100㎚인 광반사층(4)을 형성했다.
또한 광반사층(4) 위에 자외선 경화수지 SD-318(다이니폰잉크 화학공업사 제품)을 스핀 코팅한 후 여기에 자외선을 조사해 경화시켜 보호층(5)을 형성했다.
이 보호층(5)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수지 접착제를 도포하고 전술한 것과 같은 재질 및 형상의 더미 기판(6)을 맞붙여 이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해 경화시켜 접착하여 추기형 광정보기록매체(1)를 형성했다.
한편, 기판(2)의 형상이나, 도포용액의 조제조건, 예를 들면 점성, 농도 등, 또한 그 도포용액을 스핀 코팅 법에 의해 도포할 때의 도포조건, 예를 들면 스핀 코트팅할 때의 회전수 등에 의해 광기록층(3) 및 광반사층(4) 등에 대해 원하는 형상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하여 광기록층(3)을 형성한 광정보기록매체(1)에 있어서, 파장 660㎚의 반도체 레이저(NA=0.65)를 탑재한 디스크 평가장치 DDU-1000(펄스테크 공업사 제품)을 사용해 EFM 신호를 선속도 28m/s로 8배속으로 고속기록을 했다.
기록 후 이 평가 장치를 사용해 레이저 출력을 0.7㎽로 하여 신호를 재생하고 반사율, 변조도, 에러 레이트. 지터를 측정했더니, 반사율 (Rtop)=45.3%, 변조도 (I14/Itop)=75.3%, 에러 레이트=1.4, 지터=6.5%였다.
한편, 각각의 규격치로서는 반사율이 45%보다 큰 것, 변조도가 60%보다 큰 것, 에러 레이트가 280 미만인 것, 지터는 8% 미만인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반사율, 변조도, 에러 레이트 및 지터 각각에 대해 이들의 규격치를 모두 만족한다.
또한 기록평가에 사용한 디스크와는 별도의 디스크를 준비하여 광반사층(4)과 광기록층(3)과의 계면(제2 층계(12))을 박리, 분해했다(분해방법 등은 전술한 대로이다).
이 분해물을 AFM 측정장치로 형상측정을 한 결과,
그루브 기판각도(β)=69.1°
기판그루브 폭(반값폭)=301㎚였다.
여기서 기판 그루브 폭에 있어서「반값폭」이란 기판 그루브 깊이(Hsg)의 중간의 위치에 있어서 폭의 값을 말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
[(Wst+Wsb)×Hsg÷2-(Wst-2×Wx+Wdb)×(Hsg-Hsd)÷2/(Wst+Wsb)×Hsg÷2]×100에 관련되는 각 수치는
Wst=370㎚
Wsb=232㎚
Hsg=180.2㎚
Wx=-9.4㎚
Wdb=131㎚
Hsd=71.4㎚
α=40.2°
Hdg=140.3㎚였다.
한편, Wx의 값이 마이너스 값이 되는 것은, 실제의 기판(2)의 형상이 둥그르스름한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을 근사해서 측정했기 때문에 그 오차에 의한 것이지만 실제의 기록매체 평가상 특별한 문제는 없었다.
이들의 값을 근거로 상기 각 항목,
(1)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
(2)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반사층 돌출깊이(Hsg-Hsd)
(3)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두께(Hsd)
(4) 프리그루브(7) 내에 있어서 광기록층의 경사각도(α)
(5) 광기록층의 레벨링 값[(Hsg-Hdg)÷Hsg]
에 대해서 계산한 값 및 DC 지터 값을 도 12의 도표에 도시한다.
<실시예 2>
평균 색소막 두께를 약 56㎚로 하여 실시예 1보다도 약 12% 두터운 막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추기형 광정보기록매체(1)를 작성하여 동일한 평가 및 해석을 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반사율, 변조도, 에러 레이트 및 지터를 측정한 결과 반사율(Rtop)=46.4%, 변조도(I14/Itop)=80.6%, 에러 레이트=2.1, 지터=7.4%이었다.
또한 형상측정 결과는,
기판 그루브 각도=69.1°
기판 그루브 폭(반값폭)=301㎚이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에 관련되는 각수치는,
Wst=370㎚
Wsb=232㎚
Hsg=180.2㎚
Wx=-1.9㎚
Wdb=122㎚
Hsd=79.9㎚
α=38.6°
Hdg=137.2㎚였다.
이들 값에 기초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상기 각 항목 (1)~(5)에 대해 계산한 값 및 DC 지터 값을 도 12 도표에 도시한다.
<실시예 3>
색소를 제1 화합물(도 10)에서 제2 화합물(도 11, 아조 색소)로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추기형 광정보기록매체(1)를 작성하여 평가 및 해석을 했다.
실시예 1과 같이 반사율, 변조도, 에러 레이트 및 지터를 측정한 결과 반사율 (Rtop)=53%, 변조도(I14/Itop)=76.1%, 에러 레이트=2.0, 지터=7.9%이었다.
또한 형상측정 결과는,
기판 그루브 각도=69.1도
기판 그루브 폭(반값폭)=301㎚였다.
한편 도 4에 보인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에 관련되는 각 수치는,
Wst=370㎚
Wsb=232㎚
Hsg=180.2㎚
Wx=-4.1㎚
Wdb=138㎚
Hsd=82.2㎚
α=39.2°
Hdg=127.5㎚였다.
이들 값을 기초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각 항목 (1)~(5)에 대해 계산한 값 및 DC 지터 값을 도 12의 도표에 도시한다.
<비교예 1>
평균 색소막 두께를 약 64㎚로 하여 실시예 1보다 약28% 두터운 막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로 하여 추기형 광정보기록매체(1)를 작성하여 같은 평가 및 해석을 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반사율, 변조도, 에러 레이트 및 지터를 측정한 결과 반사율 (Rtop)=45%, 변조도 (I14/Itop)=80.9%, 에러 레이트=314.0, 지터=14.1%이었다.
또한, 형상측정 결과는,
기판 그루브 각도=69.1°
기판 그루브 폭(반값폭)=301㎚였다.
한편, 도 4에 나타난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에 관련된 각수치는,
Wst=370㎚
Wsb=232㎚
Hsg=180.2㎚
Wx=8.7㎚
Wdb=127㎚
Hsd=94.4㎚
α=37.3°
Hdg=127.8㎚였다.
이들의 값에 기초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항목 (1)~(5)에 대해 계산한 값 및 DC 지터 값을 도 12 도표에 도시한다.
<비교예 2>
깊이 약 165㎚의 프리 그루브(7)를 갖는 기판(2)에 평균 색소막 두께 약 65㎚인 광기록층(3)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추기형 광정보기록매체(1)를 작성하여 동일한 평가 및 해석을 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반사율, 변조도, 에러 레이트 및 지터를 측정한 결과 반사율 (Rtop)=53.1%, 변조도 (I14/Itop)=77.1%, 에러 레이트=418.8, 지터=21.4%이었다.
또한, 형상 측정결과는,
기판 그루브 각도=69.1°,
기판 그루브 폭(반값폭)=302㎚이었다.
한편 도 4에 나타난 프리그루브 내 광기록층 비율에 관련되는 각 수치는,
Wst=365㎚
Wsb=239㎚
Hsg=163.4㎚
Wx=25.0㎚
Wdb=125㎚
Hsd=90.9㎚
α=37.4°
Hdg=115.5㎚이었다.
이들의 값에 기초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상기 각 항목 (1)~(5)에 대해 계산한 값 및 DC 지터 값을 도 12의 도표에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의한 하나의 효과는, 광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프리그루브 내의 광기록층비율이 30%~63%가 되도록 했기 때문에, 기록 피트가 형성될 때의 발열량을 적정하게 제어 가능하고, 기록 속도가 보다 고속으로 대응한 기록 영역에 있어서 기록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루브 내 광기록층비율에 착안하고 또한 프리그루브 내를 향해 돌출한 광반사층의 돌출깊이 또는 그루브 내 광반사층 비율 등을 고려함으로써, 기록시에 광기록층에서 발생한 열을 열전도율이 높은 광반사층측에 신속히 전달 확산시켜 방열의 제어를 유효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기록 속도가 특히 8배속 이상, 더 나아가 16배속이라는 매우 고속인 기록에 있어서 기록시에 발생하는 열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켜 적정한 기록 피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록 속도가 보다 고속 기록에 대응한 고밀도 기록이 가능한 미디어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9)

  1. 투광성을 가지면서 프리그루브(pre-groove)를 형성한 기판과, 이 기판위에 설치된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광기록층과, 이 광기록층위에 설치된 상기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을 통해 상기 광기록층에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학적으로 읽을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하는 광 정보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에서 당해 광정보기록매체의 직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내의 단면적에 대한 상기 광기록층이 차지하는 단면적의 비율이 30%~6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2. 투광성을 가지면서 프리그루브(pre-groove)를 형성한 기판과, 이 기판위에 설치된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광기록층과, 이 광기록층위에 설치된 상기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을 통해 상기 광기록층에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학적으로 읽을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하는 광 정보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에서 당해 광정보기록매체의 직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내의 단면적에 대한 상기 광반사층이 차지하는 단면적의 비율이 37%~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층 비율이 30%~5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 비율이 43%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의 상기 광반사층의 돌출 깊이가 83㎚~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의 상기 광반사층의 돌출 깊이가 93㎚~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의 상기 광기록층의 두께가 35㎚~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의 상기 광기록층의 두께가 35㎚~8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층의 경사각도가 37.5°~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그루브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층의 경사각도가 38.5°~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층의 레벨링값이, 0.15~0.2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층의 레벨링값이, 0.15~0.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13.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있어서의 기준선속도가 3.49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있어서의 기준선속도를 S라 할 때 S×n (다만, n은 8이상의 정수)의 기록 속도에 대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1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기록시에 있어서의 기준선속도를 S라 할 때 S×n (다만, n은 8을 초과하는 정수)의 기록 속도에 대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16.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의 기록파장이 640nm~68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17. 투광성을 가지면서 프리그루브(pre-groove)를 형성한 기판과, 이 기판위에 설치된 레이저광을 흡수하는 광기록층과, 이 광기록층위에 설치된 상기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을 통해 상기 광기록층에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학적으로 읽을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하는 광 정보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리그루브 내로 상기 광반사층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의 돌출 깊이가 83nm~14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의 돌출 깊이가 93nm~14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기록매체.
KR1020040102323A 2003-12-26 2004-12-07 광정보기록매체 KR100785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3005A JP2005190616A (ja) 2003-12-26 2003-12-26 光情報記録媒体
JPJP-P-2003-00433005 2003-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998A KR20050066998A (ko) 2005-06-30
KR100785708B1 true KR100785708B1 (ko) 2007-12-18

Family

ID=3454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323A KR100785708B1 (ko) 2003-12-26 2004-12-07 광정보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42406B2 (ko)
EP (1) EP1548716A3 (ko)
JP (1) JP2005190616A (ko)
KR (1) KR100785708B1 (ko)
CN (1) CN100456372C (ko)
HK (1) HK1075123A1 (ko)
TW (1) TWI2770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7259B (en) * 2004-12-07 2005-08-01 Ind Tech Res Inst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s
JP4660217B2 (ja) * 2005-01-31 2011-03-30 株式会社東芝 記憶媒体、再生方法、記録方法、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WO2007089041A1 (ja) * 2006-02-02 2007-08-09 Taiyo Yuden Co., Ltd. 光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記録方法
JP2008010107A (ja) * 2006-06-30 2008-01-17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装置
JP2008010129A (ja) * 2006-06-30 2008-01-17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402A (ja) * 1999-03-15 2000-09-29 Fuji Photo Film Co Ltd 光情報記録媒体
JP2002150563A (ja) * 2000-09-01 2002-05-24 Mitsubishi Chemicals Corp 光記録方法および光記録媒体
JP2002254822A (ja) * 2000-12-13 2002-09-11 Mitsui Chemicals Inc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88736A (ja) * 2002-03-27 2003-10-10 Mitsui Chemicals Inc 光情報記録媒体
JP2003312146A (ja) * 2002-04-25 2003-11-06 Mitsubishi Chemicals Corp 光学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14918D0 (en) * 1983-05-31 1983-07-06 Vickers Plc 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s
US5274623A (en) * 1990-07-19 1993-12-28 Fuji Photo Film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having high modulation degree
CA2065653A1 (en) * 1991-04-16 1992-10-17 Tadashi Koike Optical recording medium
JP2839062B2 (ja) 1993-03-30 1998-12-16 太陽誘電株式会社 書き込み可能な光情報記録媒体
JP3652017B2 (ja) * 1995-08-23 2005-05-25 三井化学株式会社 光記録媒体
US6287660B1 (en) * 1997-04-24 2001-09-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its substrate
TW374917B (en) 1997-05-28 1999-11-21 Mitsui Chemicals Inc Optical recording medium
JP3685922B2 (ja) * 1997-11-05 2005-08-24 Tdk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記録方法
JP3883277B2 (ja) 1998-01-27 2007-02-21 三井化学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78773B2 (ja) 1999-02-26 2008-04-23 三菱化学株式会社 金属キレート色素及び該色素を使用した光学記録媒体
JP2000268409A (ja) 1999-03-18 2000-09-29 Hitachi Maxell Ltd 光記録媒体
TW526474B (en) * 2000-02-14 2003-04-01 Taiyo Yuden Kk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N100480054C (zh) * 2000-04-17 2009-04-22 三菱化学株式会社 光学记录介质
JP2001344812A (ja) * 2000-06-02 2001-12-14 Fuji Photo Film Co Ltd 光情報記録媒体
US6673411B2 (en) * 2000-10-23 2004-01-06 Mitsui Chemicals, Inc. Optical recording medium
US20020106475A1 (en) * 2000-12-13 2002-08-08 Norihiko Mihara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002222542A (ja) 2001-01-26 2002-08-09 Taiyo Yuden Co Ltd 光情報記録媒体
JP2003140300A (ja) 2001-11-02 2003-05-14 Mitsui Chemicals Inc 光記録媒体
JP2004272983A (ja) 2003-03-06 2004-09-30 Ricoh Co Ltd 光記録再生方法
JP2006134518A (ja) * 2004-11-08 2006-05-25 Taiyo Yuden Co Ltd 光情報記録媒体
US7507524B2 (en) * 2005-09-06 2009-03-24 Mitsubishi Kagaku Media Co., Ltd. Azo-metal chelate dye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402A (ja) * 1999-03-15 2000-09-29 Fuji Photo Film Co Ltd 光情報記録媒体
JP2002150563A (ja) * 2000-09-01 2002-05-24 Mitsubishi Chemicals Corp 光記録方法および光記録媒体
JP2002254822A (ja) * 2000-12-13 2002-09-11 Mitsui Chemicals Inc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88736A (ja) * 2002-03-27 2003-10-10 Mitsui Chemicals Inc 光情報記録媒体
JP2003312146A (ja) * 2002-04-25 2003-11-06 Mitsubishi Chemicals Corp 光学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8716A2 (en) 2005-06-29
TWI277086B (en) 2007-03-21
CN1637896A (zh) 2005-07-13
KR20050066998A (ko) 2005-06-30
JP2005190616A (ja) 2005-07-14
US7542406B2 (en) 2009-06-02
CN100456372C (zh) 2009-01-28
EP1548716A3 (en) 2007-06-20
TW200522056A (en) 2005-07-01
HK1075123A1 (en) 2005-12-02
US20050169160A1 (en)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46189A (ja) 光記録媒体
KR100204455B1 (ko) 광기록매체
KR100785708B1 (ko) 광정보기록매체
US7727706B2 (en) Recording method for dye-based recordable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726846B1 (ko) 광정보기록매체
CN101379560B (zh) 光信息记录介质、以及其制造方法及记录方法
EP1667122B1 (en) Pigment-based write once type dvd medium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JPH04142981A (ja) 光記録媒体
JP5283573B2 (ja) 光情報記録媒体用色素及びそれを用いた光情報記録媒体
JP3543464B2 (ja) 光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方法
TW501127B (en) Optical recording medium
KR19990068052A (ko) 광학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2237100A (ja) 光記録媒体
JP3099276B2 (ja) 光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記録方法
JP4644216B2 (ja) 光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記録方法
WO2012114886A1 (ja) 追記型光記録媒体
JP3495589B2 (ja) 光記録媒体
JPH02201748A (ja) 光記録媒体
JP2002298444A (ja) 光情報記録媒体
JP2002222542A (ja) 光情報記録媒体
JP2002237101A (ja) 光記録媒体
JP2007242199A (ja) 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録方法
JP2007035081A (ja) 光情報記録媒体
JP2004178637A (ja) 光記録媒体
JP2005306027A (ja) 光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