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832B1 -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및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및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832B1
KR100784832B1 KR20067011636A KR20067011636A KR100784832B1 KR 100784832 B1 KR100784832 B1 KR 100784832B1 KR 20067011636 A KR20067011636 A KR 20067011636A KR 20067011636 A KR20067011636 A KR 20067011636A KR 100784832 B1 KR100784832 B1 KR 10078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vibration motor
substrate
main body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701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807A (ko
Inventor
히데히로 우치우미
카즈오 모리타
토시오 스즈키
토모히데 아오야기
타케시 코가와
미츠구 쿠도
Original Assignee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진동 모터 본체에 어떠한 설계 변경을 행하지 않고, 납땜된 장소가 회로 기판으로 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및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을 제공함.
(해결수단) 모터 홀더(30)에 있어서 탄성 홀더(8)가 부착된 진동 모터 본체(2)를 파지하는 모터 파지부(31)와, 모터 홀더(30)에 있어서 회로 기판(3)을 따라 배치되는 모터 지지부(32),(32)와의 연결 부분을 진동 모터 본체(2)의 안쪽으로 선단이 띠볼록형상이 되도록 제 1 맞닿음부(52),(52), 제 2 맞닿음부(53),(53)를 설치하면서, 탄성을 가지는 활형상으로 굽어진 모터 홀더(30)를 형성한다. 이 모터 홀더(30)에 의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하고, 또 고정 강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및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SURFACE MOUNT-TYPE VIBRATION MOTOR AND FIXATION METHOD FOR SURFACE MOUNT-TYPE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및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모터 홀더를 구비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및, 그의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전자 부품은, 조립제조상, 리플로 납땜(reflow solding)을 이용한 기판 표면 실장형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이 많다. 이러한 전자부품은, 크림 납땜이 인쇄된 회로 기판(이하, 필요에 따라 기판이라 한다)의 소정 위치에 얹어 놓아 가열로 내에서 용융된 크림 납땜에 의해 처리후, 각 전자부품은 기판상에 고착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부품과 마찬가지로, 최근에는 일부의 휴대 전화기 등에 사용되고 있는 진동 모터 본체도, 그 모터 하우징을 피복해서 유지하는 모터 파지부와, 모터 파지부를 기판상에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를 갖는 모터 홀더와, 기판에 설치된 급전랜드(급전단자영역)와 접속되는 진동 모터 본체에 급전하는 급전단자를 구비한 표면 실장형 부품, 즉,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로서의 리플로(reflow)부품으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는, 용융된 납땜에 의해 기판에 직접 고착되도록 공정이 변경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특허문헌2)
특허 문헌1: 일본특개평11-234943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특개2003-14379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는, 다른 일반적인 전자부품에 비해 사이즈와 중량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 등을 잘못하여 떨어뜨렸을 때에, 중량(자중)에 따른 관성력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가해지게 된다. 그 때문에 표면실장형 진동 모터는, 종래의 다른 전자 부품에 비해서 납땜된 장소에는 보다 큰 힘이 가해지게 되어, 기판의 고착면으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는, 진동 발생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는 스스로의 구동 동작에 의해 발생된 진동력이 동작 중 항상 가해지게 된다. 그 때문에 다른 전자부품에 비해 남땜된 장소에는, 흔들려 도는 큰힘이 그때마다 가해지므로, 기판상에서 더욱 떨어지기 쉽게 되는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급전단자와 기판상에 설치된 급전랜드를 납땜하는 접점 장소에도 상기와 동일한 떨어짐의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급전단자와 납땜되는 기판 표면의 접점 장소가 떨어져 버린 경우에는, 진동 모터 본체가 통전(通電) 불량에 의해 구동되지 않는 중대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과제는, 회로 기판에 납땜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가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회로 기판측으로의 부착구조가 용이하고 보다 안정된 고착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동작시의 진동을 충분하게 통체 케이스측에 전할 수 있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출력축 단부에 편심 분동(偏心分銅)이 부착된 진동 모터 본체와, 상기 진동 모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 모터 본체를 기판상에 얹어놓는 모터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홀더의 일부를 상기 기판상에 리플로 납땜에 의해 납땜 고정하는 표면 실장형의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는 1매의 금속 박판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진동 모터 본체의 외주를 피복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를 유지하는 모터 파지부와, 상기 기판상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축의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기판과 맞닿는 모터 지지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모터 파지부에서 상기 모터 지지부로 이어지는 연결부분을, 절결부(切缺部)를 둔 탄성을 갖도록 활형상(arc shape)으로 굽힘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기재의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의 상기 모터 지지부의 일단부에, 상기 기판상에 있어 상기출력축의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기판과 맞닿는 확장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 홀더의 상기 확장 지지부의 선단(head end)을, 상기 편심 분동의 중심(重心)위치보다도 상기 출력축의 선단측이며, 상기 편심 분동의 선단부보다도 상기 출력축의 후단측의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기재의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의 상기 모터 파지부는, 상기 진동 모터 본체에 부착된 때에, 상기 진동 모터 본체의 외주를 따라 주위(周圍) 통형상으로 신장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 홀더의 상기 모터 지지부는 상기 모터 홀더의 상기 모터 파지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진동 모터 본체의 외주(外周)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동일한 평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3 기재의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의 상기 모터 지지부에 있어서의 일단(一端)에, 상기 기판과 맞닿고,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상기 진동 모터 본체의 내측으로 신장하는 제1맞닿음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 홀더의 상기 모터 지지부에 있어서의 타단(他端)에, 상기 기판과 맞닿고,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상기 진동 모터 본체의 내측으로 신장하는 제 2 맞닿음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4 기재의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닿음부와 상기 제 2 맞닿음부는, 상기 기판상에서 서로 교대로 짜맞춰지고, 상기 짜맞추어진 장소에 간극을 갖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1∼청구항 5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와 상기 모터 파지부의 사이에, 상기 진동 모터 본체를 피복하는 탄성 홀더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7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청구항 6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는 상기 기판에 설치된 급전랜드와 납땜되는 급전단자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급전단자는, 그 일부에 탄성을 가지는 만곡부(灣曲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출력축의 단부에 편심 분동이 부착된 진동 모터 본체와, 상기 진동 모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 모터 본체를 기판상에 얹어 놓는 모터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에 리플로 납땜에 의해 납땜고정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는, 상기 진동 모터 본체의 외주를 피복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를 유지하는 모터 파지부와, 상기 기판상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축의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기판과 맞닿는 모터 지지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모터 지지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진동 모터 본체를 유지하는 상기 모터 파지부의 최상부 위치에 탄성지지체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는, 상기 기판에 설치된 급전랜드와 납땜되는 급전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단자는, 탄성을 가지는 만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에 있어서, 출력축의 단부에 편심 분동이 부착된 진동 모터 본체와, 상기 진동 모터 본체의 외주를 피복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를 유지하는 모터 파지부와, 상기 기판상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축의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기판과 맞닿는 모터 지지부를 갖고, 상기 모터 파지부와 상기 모터 지지부와의 연결부분을 활형상으로하는 1매의 금속박판으로부터 형성된 모터 홀더를 구비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를, 서로 끼워맞춰 조립시키는 것에 의해 틀체를 형성하는 1쌍의 통체 케이스에 있어서의 한쪽의 케이스와 내부 기판과의 사이에 고정되는 상기 기판상에, 리플로 납땜에 의해 납땜 고정하고, 상기 한쪽의 케이스와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사이에 탄성지지체를 배치하며, 상기 1쌍의 통체 케이스의 조립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체를 통해서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를 내부 기판과 통체 케이스의 사이에 끼워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모터 파지부와 상기 모터 지지부의 연결부분이, 탄성을 가지는 활형상으로 구부러지게 이루어진 상기 모터 홀더세부(細部)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모터와 상기 기판을 조합시켰을시,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력에 대해, 납땜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연결부분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모터 파지부와 상기 모터 지지부와의 연결부분에 의해서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상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확장 지지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동이 상기 기판에 근접 또는 떨어지는 듯한 강한 힘이,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상기 회로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확장 지지부가 상기 기판에 보다 강하게 접합하고 있으므로,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상기 회로 기판을 안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납땜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해서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분동이 기판에 근접 또는 떨어지는 듯한 힘이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전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 확장 지지부가 힘을 받아내는 것에 의해,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상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진 힘을 저감시키므로, 상기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확장 지지부는 상기 회로기판상에 놓여질 때에,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를 안정하게 평면상에 얹어 설치할 수 있다. 즉, 편심 분동의 중심위치측으로 모터 본체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모터 파지부의 좌우 양단부에 상기 모터 지지부가 설치된 상기 모터 홀더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회로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좌우 단부 근방에 설치된 상기 모터 파지부와 상기 모터 지지부와의 연결 부분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또한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상기 회로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좌우 단부 근방에 설치된 상기 모터 파지부와 상기 지지부와의 연결부분에 의해,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회로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므로,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맞닿음부 및 상기 제 2 맞닿음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상기 회로 기판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상기 회로 기판과의 고착력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회로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상기 힘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맞닿음부 및 상기 제 2 맞닿음부에 의해서, 상기 기판과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의 고착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상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단위면적당의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으로 부터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 1 과 제 2 맞닿음부에 의해 절결된 모터 홀더에 대한 상기 연결 부분의 띠폭(width of band)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연결 부분에서의 탄성계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모터 홀더의 재질에 관계 없이 상기 연결 부분의 탄성 계수를 적절한 수치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맞닿음부 및 상기 제 2 맞닿음부에 의해서 구분된 상기 간극 위치에, 표면장력에 의해 부풀어 올라 응고된 납땜이 스며들므로, 납땜면적이 확대되어 상기 제 1 맞닿음부 및 제 2 맞닿음부와, 상기 기판 납땜면을 강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상기 기판으로부터 떨어뜨리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부풀어 올라 응고된 납땜부분에 의해서,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를 안정하게 걸어 부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상기 기판을 따른 힘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부풀어 올라 응고된 납땜에 의해서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를 걸어 부착시키므로,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상기 기판을 따른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성 홀더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진동 모터 본체로부터 상기 모터 홀더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탄성 홀더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상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성 홀더에 의해 상기 모터 파지부를 통해서 상기 모터 홀더의 상기 모터 지지부로 전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모터 지지부와 상기 기판과의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실장형 진동 모터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만곡부를 가지는 1쌍의 급전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급전단자와 상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만곡부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급전단자와 상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어 상기 모터 홀더와 마찬가지로 진동흡수하는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만곡부를 가지는 1쌍의 급전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급전단자와 상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만곡부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급전단자와 상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어, 상기 모터 홀더와 동일한 진동 흡수의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성 지지체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통체 케이스가 끼워 맞춰졌을때, 모터 파지부가 기판의 평면방향으로 쓰러지는 힘을 지지하여, 상기 모터 홀더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탄성 지지체에 의해서 흡수, 또는 받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시의 상기 진동 모터 본체의 진동을 효율 좋게 통체 케이스측에 전할 수 있다. 더욱이 기판이 진동해서 다른 소리를 발생하는 것도 방지 할 수 있다. 또,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성 지지체 의해, 상기 모터 파지부를 통해서 상기 모터 홀더의 상기 모터 지지부에 전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모터 지지부와 상기 기판과의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만곡부를 가지는 상기 급전단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급전단자와 상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만곡부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급전단자와 상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상기 급전 단자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판과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의 고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와의 간극을 탄성지지체의 탄성부재로 충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가해지는 거의 모든 방향에서의 힘을, 상기 탄성지지체에 의해서 안정하게 지지하여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기판면으로부터의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진동 모터의 진동력을 통체 케이스측에 확실하게 전하는 것에도 유리하다. 또한 동시에 상기 급전단자와 상기 기판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상기 급전 단자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5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구비되는 진동 모터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구비되는 모터 홀더로 형성하기 전단계의 금속판을 나타낸 전개도(展開圖)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구비되는 모터 홀더를 나타낸 좌측면도(a), 정면도(b), 저면도(c)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구비되는 모터 홀더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구비되는 모터 홀더와 회로 기판과의 접합면의 개략을 나타내기 위한 저면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와 회로 기판과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짜맞춤 개략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탄성 지지체를 부착한 때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2: 진동 모터 본체
3: 회로 기판 4: 편심 분동
7: 급전단자 7a: 고정부
7b: 만곡부 7c: 평면부
8: 탄성 홀더 21: 모터 하우징
24: 출력축 25: 엔드 브라켓
30: 모터 홀더 31: 모터 파지부
32: 모터 지지부 50: 금속판
51: 장방형부 52: 제 1 맞닿음부
53: 제 2 맞닿음부 54: 누름부
55,56: 확장지지부 57: 제 3 맞닿음부
58: 제 4 맞닿음부 59: 납땜 수용부
60: 공극부 63: 탄성지지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및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방법에 관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3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의 일예를 나타낸다.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크림 납땜이 인쇄된 기판, 소위 회로 기판(3)(도9 참조)의 기판면상의 납땜 접합면에 리플로 납땜되는 표면 실장 부품이며, 주로 휴대 기기에 구비되는 무음 진동 알람용 전자부품이다. 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는 도 4 에 나타낸 바의 진동 모터 본체(2)가 내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 진동 모터 본체(2)에는, 회전 구동 기구 부품의 대부분을 수납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모터 하우징(21)이 구비되어 있다.
또, 모터 하우징(21)의 내부에는 축받이부(도시않음)가 배치되어 이 축받이 부에서, 회전하는 진동 모터 본체(2)의 출력축(24)을, 그 선단이 모터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회전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있다.
또, 모터 하우징(21)의 타단측에는 모터 하우징(21)의 타단을 막아주는 덮개체 형상의 엔드 브라켓(end bracket;25)이 부착되어 있다. 이 엔드 브라켓(25)에는 진동 모터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된 브러쉬(도시않음)와, 상기 브러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편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진동 모터 본체(2)의 출력축(24)에는, 출력축(24)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대략 부채꼴형으로되는 편심 분동(4)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진동 모터 본체(2)의 엔드 브라켓(25)의 단면에는 상기 단자편(7)이 회로 기판측으로 향해 신장하는 고정부(7a),(7a)에 부착되어 있다. 이 고정부(7a),(7a)의 회로 기판측의 단부에는, 탄성을 갖도록 일부가 굽어진 만곡부(7b),(7b)가 상기 접속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만곡부(7b),(7b)의 회로 기판면을 따라 신장하는 평면부(7c),(7c)는, 회로 기판측에 설치된 급전랜드(도시않음)에 면(面) 대향하여 납땜되게 되어 있다. 이들 고정부(7a),(7a)와 만곡부(7b),(7b)와 평면부(7c),(7c)에 의해 급전단자(7),(7)가 구성되어 있다.
또, 진동 모터 본체(2)의 모터 하우징(21)의 원통 외주에는, 모터 하우징(21)을 피복하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된 시트를 원통형상으로 한 탄성 홀더(8)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탄성 홀더(8)의 외주면에는,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의 1매의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된 모터 홀더(30)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탄성 홀더(8)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 어 있지만, 탄성 홀더(8)는 내열성이 뛰어난 재질이면 좋아, 예들 들면, 불소 고무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또한 모터 하우징(21)의 외주를 피복하는 탄성을 갖는 수지 코팅과 같이, 동일한 내열 탄성 효과가 얻을 수 있는 것이 있으면,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5는, 상기 도 6과 도 7의 모터 홀더(30)의 형상으로 굽어지게 형성하기 이전의 가공소재로 되는 금속판(50)을 나타낸 것이다. 이 금속판(50)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의 축방향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의 변(邊)을 가지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 장방형부(5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장방형부(51)에 있어서 상기 변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측에는, 상기 변과 직교하도록 잘림부를 갖고 복수(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4개)의 제 1 맞닿음부(52),(52)‥가 빗의 이(齒)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장방형부(51)의 상기 변과 직교하는 방향의 타단측에는, 잘림부를 갖고 복수(본실시예의 형태에서는 3개)의 제 2 맞닿음부(53),(53)·가 제 1 맞닿음부(52),(52)‥와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맞닿음부(52),(52)‥및 제 2 맞닿음부(53),(53)·를 회로 기판에 평면으로 맞닿음하도록 굽어지게 형성한 때에, 각 제 1 맞닿음부(52),(52)‥의 선단부분의 사이에는 제 2 맞닿음부(53)의 선단부분이 짜맞춰져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제 2 맞닿음부(53)의 측벽과 제 1 맞닿음부(52)의 측벽(단면)이 근접해서 거의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장방형부(51)의 상기 변과 직교하는 양측벽의 중앙부에는 누름편(54)이 장방형부(51)의 외측으로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장방형부(51)의 한쪽의 누름편(54)이 형성된 측벽에 있어서의 양 각부(角部) 근방에는, 장방형부(51)의 바깥쪽으로 상기 누름편(54)과 동일 방향으로 신장하는 확장 지지부(55),(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확장 지지부(55),(56)의 단부는, 모터 홀더(30)가 진동 모터 본체(2)에 부착될 때에, 회로 기판상에 있어서 편심 분동(4)의 중심(G)보다도 출력축(24)의 선단측이고, 편심 분동(4)의 선단부보다도 출력축(24)의 후단측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한쪽의 확장 지지부(55)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측벽에는, 장방형부(51)의 안쪽이고, 상기 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신장하는 장방형의 제 3 맞닿음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쪽의 확장 지지부(56)에 있어서의 한쪽의 확장 지지부(55)와 대향하는 측벽에는, 장방형부(51)의 안쪽이고, 상기 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신장하는 장방형의 제 4 맞닿음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맞닿음부(57)에 있어서 장방형부(51)의 안쪽의 측벽과, 제 4 맞닿음부(58)에 있어서 장방형부(51)의 바깥쪽의 측벽과는,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4 맞닿음부(58)의 상기 변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회로 기판에 맞닿도록 형성된 때에, 제 1 맞닿음부(52)와 제 3 맞닿음부(57)와의 사이에 있고, 그들의 선단 부분의 측벽에 제 4 맞닿음부(58)의 선단 부분의 측벽이 맞닿도록 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의해 설명한 금속판(50)을 형성해서 얻은 모터 홀더(3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탄성 홀더(8)가 부착된 진동 모터 본체(2)를 유지하는 모터 파지부(31)는, 장방형부(51)의 상기 누름편(54),(54)을 좌우에 원통형상의 탄성 홀더(8)의 외주를 따라서 굽힘으로서 형성된다.
또, 모터 홀더(30)에 있어서의, 상기 회로 기판면을 따라 배치되는 부분, 즉, 모터 지지부(32),(32), 확장 지지부(55),(56), 제 1 맞닿음부(52),(52)‥, 제 2 맞닿음부(53),(53)·, 제 3 맞닿음부(57) 및, 제 4 맞닿음부(58)는, 장방형부(51)의 양단부분 근방을, 진동 모터 본체(2)의 안쪽으로 선단이 띠(band)볼록형이 되도록 상기 맞닿음부를 설치하면서 탄성을 가지는 활형상으로 굽힘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모터 홀더(30)에 있어서의, 제 1 맞닿음부(52),(52)‥, 제 2 맞닿음부(53),(53)·, 제 3 맞닿음부(57) 및, 제 4 맞닿음부(58)의 선단부분은, 서로 어긋나게 걸어맞춤된다. 이때에 짜맞추어지는 각각의 맞닿음부의 맞추어지는 장소에는 간극이 생긴다. 또, 모터 홀더(30)의 제 1 맞닿음부(52),(52)‥,제 2 맞닿음부(53),(53)·, 제 3 맞닿음부(57) 및, 제 4 맞닿음부(58)의 선단부분측에는, 용융된 납땜을 받아들이는 납땜수용부(59),(59)‥가 형성된다. 또 이때에, 모터 홀더(30)의 모터 파지부(31)와 모터 지지부(32)와의 연결부분에는, 제 1 맞닿음부(52),(52)‥및 제 2 맞닿음부(53),(53)·에 의해 잘려진 공극부(60),(60)‥가 형성된다.
계속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모터 홀더(30)의 모터 파지부(31)에, 탄성홀더(8)을 감아 붙인 진동 모터 본체(2)를 삽입한 후에, 도6(b)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편(54),(54)을 진동 모터 본체(2)쪽으로 접어 구부린다. 이것에 의해 진동 모터 본체(2)는 모터 홀더(30)에 대한 출력축 방향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도면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진동 모터 본체(2)에 부착된 편심 분동(4)이 모터 홀더(30)의 내경의 치수보다 큰 경우, 모터 본체와 모터 홀더를 먼저 맞춰 붙인 후, 편심 분동(4)을 모터 본체의 출력축(24)에 뒤에 붙임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진동 모터 본체(2)와, 급전 단자(7),(7)와, 탄성 홀더(8)와, 모터 홀더(30)를 구비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회로 기판의 크림 납땜이 인쇄된 소정 위치에 얹어 놓여져, 회로 기판과 함께 가열로 속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에 용융된 크림 납땜은,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 있어서의 도8에 표시된 사선 해칭 부분인 곳의 모터 지지부(32), 확장 지지부(55),(56), 제 1 맞닿음부(52),(52)‥, 제 2 맞닿음부(53),(53)·, 제 3 맞닿음부(57), 제 4 맞닿음부(58)와의 회로 기판면 및, 가느다란 크로스 해칭 부분의 급전단자(7),(7)의 평면부(7c),(7c)와 회로 기판의 급전랜드를 각각 납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가열로에 의해 리플로 납땜처리가 끝난 표면 실장형 모터(1)는, 상기 해칭면에서의 납땜 접촉면 외에, 모터 지지부(32) 외주, 상기 납땜 수용부(59),(59)‥를 비롯한 판재의 측단면에도 부풀어 올라 응고된 납땜이 퍼져 버린다. 그 부풀어 오른 상태는 상기 제 1 맞닿음부(52),(52)‥, 제 2 맞닿음부(53),(53)·의 간극, 제 3 맞닿음부(57), 제 4 맞닿음부(58)에서 조합된 간극 에도 충진되어 접합면적이 실질적으로 향상되어 보다 강한 접합 강도가 얻어진다.
이어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를 휴대 기기에 부착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의 구체적인 부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기기에는 서로 끼워 맞춰짐으로서 틀체를 형성하는 1쌍의 통체 케이스(A와B)가 구비되어 있다. 이 한쪽의 케이스(A)와,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가 납땜된 회로 기판(3)이,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쪽의 케이스(B)에 의해 회로 기판(3)의 저부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한쪽의 케이스(A)와의 사이에는, 판형의 탄성지지체(63)가 부착되어 있어, 상기 1쌍의 케이스를 끼워 맞춰 접합한 때에,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한쪽의 케이스(A)에 의해 탄성 지지체(63)를 통해서 회로 기판(3)쪽으로 눌려 가압됨과 동시에, 회로 기판(3)에 의해 다른쪽의 케이스(B)쪽으로부터도 눌려 가압되도록 끼워진다. 또, 탄성 지지체(63)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쪽에 부착해도 좋고, 상기 한쪽의 케이스(A)쪽에 부착해도 좋고, 사이에 개재하는 것으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회로 기판(3)에 설치된 급전랜드(도시않음)로부터 급전단자(7),(7)를 통해서 통전되어 모터 하우징내의 로우터를 구동하여 출력축단에 편심 분동(4)을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편심 분동(4)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의 하우징 전체에 스스로 진동이 가해지는 것과 동시에,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가 부착된 회로 기판(3)을 통해서, 통체 케이스인 휴대 기기 전체에 진동을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는, 상기 도 3에 나타낸 만곡부(7b),(7b)를 갖는 급전단자(7),(7)가 구비되어 있어, 급전단자(7),(7)와 회로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만곡부(7b),(7b)에 의해 탄성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의 급전단자(7),(7)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키므로 납땜 장소의 접속 상태가 안정하여 신뢰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는, 모터 파지부(31)와 모터 지지부(32),(32)와의 연결부분(도9에 표시된 W)이 탄성을 가지는 활형상으로 형성된 모터 홀더(3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연결 부분에 의해 탄성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들 이상의 효과는 반대로, 통체 케이스가 떨어진 경우 등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있다. 즉, 진동 모터 본체(2)를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에 대해 보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는, 상기 누름편(54),(54)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신장하는 모터 파지부(31)의 좌우단부에 모터 지지부(32),(32)가 설치된 모터 홀더(3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좌우 단부 근방에 설치된 모터 파지부(31)와 모터 지지부(32),(32)와의 연결부분(도면에 나타낸 W)에 의해 효과적으로 힘을 탄성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과의 납땜된 개소에 전해지는 힘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는, 제 1 맞닿음부(52),(52)‥ 및, 제 2 맞닿음부(53),(53)·의 형상에 의해 형상이 결정되는 공극부(60),(6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공극부(60),(60)‥의 모터 홀더(30)에 대한 띠폭 등의 비율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부분의 탄성계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는, 제 1 맞닿음부(52),(52)‥ 및 제 2 맞닿음부(53),(53)·, 제 3 맞닿음부(57) 및 제 4 맞닿음부(58)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회로 기판(3)과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의 납땜된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회로 기판(3)과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의 납땜 고착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과의 납땜된 장소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힘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는, 납땜 수용부(59),(5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납땜 수용부(59),(59)‥에 수용된 납땜에 의해, 제 1 맞닿음부(52),(52)‥와 제 2 맞닿음부(53),(53)·및, 제 3 맞닿음부(57)와 제 4 맞닿음부(58)를 일체로 고착시킬수 있다. 그 때문에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 회로 기판(3)에 따른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부풀어 올라 응고된 납땜에 의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를 걸어 부착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는, 확장 지지부(55),(5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편심 분동(4)이 회로 기판(3)에 근접하는 힘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확장 지지부(55),(56)의 선단이 회로 기판(3)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 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상기 휴대 기기에 부착된 때에, 탄성 지지체(63)를 통해서 회로 기판(3)쪽으로 눌려 가압되므로, 회로 기판(3)과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과의 고착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휴대 기기의 낙하 등에 의해 다른쪽의 케이스(B)로부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 가해지는 힘(도 9에 나타낸 F)을 탄성지지체에 의한 지지점에서 지지하여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는, 탄성 홀더(8)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낙하 등의 외부충격에 대해 모터 홀더(30)로부터 진동 모터 본체(2)에 직접 가해지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켜 진동 모터 본체(2)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탄성 홀더(8)에 의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회로 기판(3)으로부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동시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의 급전단자(7),(7)와 회로 기판(3)과의 납땜된 장소에 전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회로 기판(3)으로부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의 급전 단자(7),(7)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모터 파지부(1)와 모터 지지부(32),(32)와의 연결 부분에 의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회로 기판(3)으로부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 진동 모터(1)는, 상기 좌우 단부 근방에 설치된 모터 파지부(31)와 모터 지지부(32),(32)와의 연결 부분에 의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회로 기판(3)으로부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제 1 맞닿음부(52),(52)‥, 제 2 맞닿음부(53),(53)·, 제 3 맞닿음부(57) 및, 제 4 맞닿음부(58)에 의해, 고착력이 증대됨과 동시에,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의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회로 기판(3)으로부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로 회로 기판(3)에 따른 힘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부풀어 올라 응고된 납땜에 의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를 걸어 부착할 수 있으므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로 회로 기판(3)에 따른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회로 기판(3)으로부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편심 분동(4)이 회로 기판(3)에 근접하는 힘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진 경우에, 확장 지지부(55),(56)의 선단부가 받는 힘에 의해,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 회로 기판(3)을 납땜한 장소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회로 기판(3)으로부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가 회로 기판(3)에 얹어 놓여진 단계에 있어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는 확장 지지부(55),(5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에 편심 분동(4)이 회로 기판(3)에 근접하도록 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가 회로 기판(3)에 대해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공극부(60),(60)‥의 모터(30)에 대한 띠폭 비율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부분의 탄성 계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금속판(50)의 재질에 관계없이 상기 연결 부분의 탄성 계수를 적절한 수치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상기 휴대 기기에 부착된 때에, 탄성지지체(63)를 통해서 회로 기판(3)쪽으로 눌려 가압되므로, 회로 기판(3)으로부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는, 상기 휴대 기기에 부착된 때에, 회로 기판(3)쪽뿐만 아니라, 한쪽의 케이스(A)에도 탄성부재를 통해서 진동을 전할 수 있으므로, 효율좋게 진동 모터 전체의 진동을 휴대 기기쪽에 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출력축(24) 단부에 편심 분동(偏心分銅; 4)이 부착된 진동 모터 본체(2)와,
    상기 진동 모터 본체(2)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 모터 본체(2)를 기판(3)상에 얹어놓는 모터 홀더(30)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홀더(30)의 일부를 상기 기판(3)상에 리플로 납땜(reflow solding)에 의해 납땜 고정하는 표면 실장형의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30)는 1쌍의 금속 박판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진동 모터 본체(2)의 외주를 피복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2)를 유지하는 모터 파지부(31)와, 상기 기판(3)상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축(24)의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기판(3)과 맞닿는 모터 지지부(32)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모터 파지부(31)에서 상기 모터 지지부(32)로 이어지는 연결부분(W)을,
    절결부(切缺部)를 둔 탄성을 갖도록 활형상(arc shape)으로 굽힘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30)의 상기 모터 지지부(32)의 일단부에, 상기 기판(3)상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축(24)의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기판(3)과 맞닿는 확장 지지부(55, 56)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 홀더(30)의 상기 확장 지지부(55, 56)의 선단(先端)을, 상기 편심 분동(4)의 중심(重心)위치보다도 상기 출력축(24)의 선단측이며, 상기 편심 분동(4)의 선단부보다도 상기 출력축(24)의 후단측의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30)의 상기 모터 파지부(31)는, 상기 진동 모터 본체(2)에 부착된 때에 상기 진동 모터 본체(2)의 외주를 따라 주위(周圍) 통형상으로 신장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 홀더(30)의 상기 모터 지지부(32)는 상기 모터 홀더(30)의 상기 모터 파지부(31)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진동 모터 본체(2)의 외주부터 바깥방향으로 동일한 평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30)의 상기 모터 지지부(32)에 있어서의 일단(一端)에, 상기 기판(3)과 맞닿고, 상기 기판(3)에 납땜되는 상기 진동 모터 본체(2)의 내측으로 신장하는 제1맞닿음부(52)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 홀더(30)의 상기 모터 지지부(32)에 있어서의 타단(他端)에, 상기 기판(3)과 맞닿고, 상기 기판(3)에 납땜되는 상기 진동 모터 본체(2)의 내측으로 신장하는 제2맞닿음부(5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맞닿음부(52)와 상기 제2맞닿음부(53)는, 상기 기판(3)상에서 서로 교대로 짜맞춰지고, 상기 짜맞추어진 장소에 간극을 갖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2)와 상기 모터 파지부(31)와의 사이에, 상기 진동 모터 본체(2)를 피복하는 탄성 홀더(8)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2)는, 상기 기판(3)에 설치된 급전랜드와 납땜되는 급전단자(7)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급전단자(7)는, 그 일부에 탄성을 가지는 만곡부(7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8. 출력축(24)의 단부에 편심 분동(4)이 부착된 진동 모터 본체(2)와,
    상기 진동 모터 본체(2)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 모터 본체(2)를 기판(3)상에 얹어 놓는 모터 홀더(30)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홀더(30)의 일부를 상기 기판(3)에 리플로 납땜에 의해 납땜고정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30)는, 상기 진동 모터 본체(2)의 외주를 피복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2)를 유지하는 모터 파지부(31)와, 상기 기판(3)상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축(24)의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기판(3)과 맞닿는 모터 지지부(32)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모터 지지부(32)와는 반대측의 상기 진동 모터 본체(2)를 유지하는 상기 모터 파지부(31)의 최상부 위치에 탄성지지체(63)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2)는, 상기 기판(3)에 설치된 급전랜드와 납땜되는 급전단자(7)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단자(7)는, 탄성을 가지는 만곡부(7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10. 출력축(24)의 단부에 편심 분동(4)이 부착된 진동 모터 본체(2)와,
    상기 진동 모터 본체(2)의 외주를 피복해서 상기 진동 모터 본체(2)를 유지하는 모터 파지부(31)와,
    기판(3)상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축(24)의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기판(3)과 맞닿는 모터 지지부(32)를 갖고,
    상기 모터 파지부(31)와 상기 모터 지지부(32)와의 연결부분(W)을 활형상으로 하는 1매의 금속박판으로 형성된 모터 홀더(30)를 구비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를,
    서로 끼워맞춰 조립시키는 것에 의해 틀체를 형성하는 1쌍의 통체 케이스(A, B)에 있어서의 한쪽의 케이스(A)와 다른 쪽의 케이스(B)와의 사이에 고정되는 상기 기판(3)상에, 리플로 납땜에 의해 납땜 고정하고,
    상기 한쪽의 케이스(A)와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와의 사이에 탄성지지체(63)를 배치하며,
    상기 1쌍의 통체 케이스(A, B)의 조립에 의해 상기 탄성지지체(63)를 통해서 상기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1)를 통체 케이스(A)와 통체 케이스(B)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
KR20067011636A 2003-12-26 2004-12-21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및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 KR100784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35657 2003-12-26
JP2003435657A JP2005198366A (ja) 2003-12-26 2003-12-26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の固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807A KR20060107807A (ko) 2006-10-16
KR100784832B1 true KR100784832B1 (ko) 2007-12-14

Family

ID=3473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11636A KR100784832B1 (ko) 2003-12-26 2004-12-21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및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25555B2 (ko)
JP (1) JP2005198366A (ko)
KR (1) KR100784832B1 (ko)
CN (1) CN100450648C (ko)
TW (1) TW200524252A (ko)
WO (1) WO20050647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620788A (en) * 2004-08-10 2006-06-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Surface mounting type vibration motor and mounting structure
JP4891645B2 (ja) * 2006-04-14 2012-03-0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モータ
US8013486B2 (en) 2007-05-09 2011-09-06 Minebea Motor Manufacturing Corporation Vibration motor holding structure and vibration motor
JP4397939B2 (ja) 2007-05-24 2010-01-13 ミネベアモータ株式会社 振動モータの保持構造および振動モータ
JP5060197B2 (ja) * 2007-08-06 2012-10-31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の基板実装構造
JP5074935B2 (ja) * 2008-01-21 2012-11-14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5279401B2 (ja) * 2008-08-11 2013-09-04 株式会社日本計器製作所 表面実装用ファンモータ
JP5590968B2 (ja) * 2010-05-31 2014-09-1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表面実装用モータ
JP5875218B2 (ja) * 2010-05-31 2016-03-0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表面実装用モータ
JP5510088B2 (ja) * 2010-06-08 2014-06-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
TW201235826A (en) * 2011-02-22 2012-09-01 Cotron Corp Electronic device
KR101381877B1 (ko) * 2012-08-16 2014-04-07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JP5658225B2 (ja) * 2012-12-26 2015-01-2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小型モータ
GB2510189A (en) * 2013-01-29 2014-07-30 Johnson Electric Sa Vibration Safe Motor Fixation in an Actuator
TWM567655U (zh) * 2018-06-01 2018-10-01 正崴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馬達模組與具有馬達模組之控制器
US10796679B1 (en) * 2020-02-11 2020-10-06 Donald F. Powell Automated wind chime
CN112372170B (zh) * 2020-11-18 2022-04-29 嵊州市龙凯机械加工厂 一种电机安装支架的制造方法
US11876429B2 (en) * 2021-04-23 2024-01-16 Nidec Corporation Vibration motor and hapt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214A (ja) * 1996-04-30 1997-11-11 Kokusai Electric Co Ltd バイブレータ保持構造
EP0840424A1 (en) * 1996-04-22 1998-05-06 Seiko Epson Corporation Small-sized motor and motor driver
JPH11114496A (ja) * 1997-10-13 1999-04-27 Toyo Commun Equip Co Ltd 小型バイブレータの構造
JP2001309004A (ja) * 2000-04-27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子機器及びそれに弾性部材を介して装着する小型直流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168B2 (ja) * 1994-04-11 1998-03-11 狭山精密工業株式会社 振動モータ、振動モータが組み込まれるケーシング、並びに振動モータが組み込まれる振動発生装置
US6133657A (en) * 1994-09-20 2000-10-17 Motorola, Inc. Vibrator bracket
JPH09271155A (ja) * 1996-03-29 1997-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円筒型振動発生モータの取付方法
GB2353844B (en) * 1996-08-29 2001-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brator holding device
JP3172487B2 (ja) 1998-02-19 2001-06-04 三洋電機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2003143799A (ja) 2001-11-05 2003-05-16 C I Kasei Co Ltd 超小型振動モータ組立体
JP4891645B2 (ja) * 2006-04-14 2012-03-0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モ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0424A1 (en) * 1996-04-22 1998-05-06 Seiko Epson Corporation Small-sized motor and motor driver
JPH09290214A (ja) * 1996-04-30 1997-11-11 Kokusai Electric Co Ltd バイブレータ保持構造
JPH11114496A (ja) * 1997-10-13 1999-04-27 Toyo Commun Equip Co Ltd 小型バイブレータの構造
JP2001309004A (ja) * 2000-04-27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子機器及びそれに弾性部材を介して装着する小型直流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4252A (en) 2005-07-16
JP2005198366A (ja) 2005-07-21
US20090218896A1 (en) 2009-09-03
KR20060107807A (ko) 2006-10-16
US7825555B2 (en) 2010-11-02
CN1922776A (zh) 2007-02-28
WO2005064770A1 (ja) 2005-07-14
CN100450648C (zh)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832B1 (ko)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 및 표면 실장형 진동 모터의 부착 방법
US7619335B2 (en) Vibration motor
US7589446B2 (en) Surface mount type vibration motor and fixation structure
US7709983B2 (en) Vibration motor holding structure and vibration motor
JP5074935B2 (ja) 振動モータ
WO2005099067A1 (ja)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それを搭載した携帯通信機器
US6542381B1 (e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vibrator
JP5304791B2 (ja) 振動装置
JP4269638B2 (ja) 樹脂パッケージの超音波溶着方法
EP3703229A1 (en) Rotary apparatus
JP4204116B2 (ja) 振動機保持装置
JP2006304491A (ja)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
JP2000228844A (ja) バイブレータおよびバイブレータの保持構造
WO2006104003A1 (ja)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取付構造
CN108631732B (zh) 表面安装型器件及其制造方法
JP2003309397A (ja) 電子デバイスの構造
JP3408470B2 (ja) 電子機器
US6150924A (en) Surface-mounted electromagnetic sound generating body
JP2008283758A (ja) 振動モータの保持構造および振動モータ
JPH10303678A (ja) 圧電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71817A (ja) 振動モータ
KR20110022998A (ko) 진동 모터
JP2002096025A (ja) 振動発生用小型モータ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携帯電子機器
JP2000032784A (ja) 振動波駆動装置
JP2002291195A (ja) 電磁振動体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