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769B1 -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769B1
KR100777769B1 KR1020050122902A KR20050122902A KR100777769B1 KR 100777769 B1 KR100777769 B1 KR 100777769B1 KR 1020050122902 A KR1020050122902 A KR 1020050122902A KR 20050122902 A KR20050122902 A KR 20050122902A KR 100777769 B1 KR100777769 B1 KR 10077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guide member
paper feed
image forming
fe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880A (ko
Inventor
가즈히코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10Selective handling processes
    • B65H2301/13Relative to size or orientation of the material
    • B65H2301/132Relative to size or orientation of the material single face or double face
    • B65H2301/1321Prin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65H2511/414Identification of mode of ope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83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3Refeeding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8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duplex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시트를 화상 형성부에 공급하는 시트 공급 장치는 급지 롤러, 시트 적재부, 및 가이드 부재를 갖는다. 급지 롤러는 시트를 한 장씩 송출한다. 시트 적재부는 복수의 시트가 적재 가능하고, 시트를 급지 롤러에 가압한다.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위치와 퇴피(退避)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위치에서는, 양면 인쇄시에, 시트 재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반전(反轉)된 시트를 화상 형성부에 재공급한다. 퇴피 위치에서는, 급지 롤러측으로 이동하고, 시트 적재부의 시트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시트 공급 장치, 화상 형성 장치

Description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트 공급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시트 공급 장치의 일방향(一方向)으로부터 본 사시도, 및 타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시트 공급 장치의 급지 롤러와 가이드 부재를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시트 공급 장치의 가이드 부재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및 제 1∼제 3 캠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시트 공급 장치의 가이드 부재가 가이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및 제 1∼제 3 캠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트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트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화상 형성부
14 : 감광체 드럼 16 : 대전기
18 : 현상 장치 22 : 상 기입 장치
24 : 전사 롤러 26 : 반송 벨트
30 : 정착 장치 32 : 배출 롤러
36 : 재공급로 50 : 시트 공급 장치
52 : 급지 트레이 54 : 급지 롤러
58 : 가이드 부재 74, 76 : 스프링
78 : 스토퍼
본 발명은 급지 트레이(tray) 내에 적재된 시트를 송출할 때와, 양면 인쇄시에 시트 재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시트를 화상 형성부에 재공급할 때에, 시트 반송로(搬送路)의 전환이 가능한 시트 공급 장치, 및 이 시트 공급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급지 트레이 내에 적재된 시트를 1장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급지 롤러에서 송출된 시트는 반송로를 통해 화상 형성부에 반송되고, 시트 표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는, 시트에 양면 인쇄할 때에, 화상 형성부를 일단 통과한 시 트를 반전시켜 화상 형성부에 재공급하기 위한 시트 재공급로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는, 급지시에는 급지 트레이 내에 적재된 시트를 1장씩 송출하여 화상 형성부에 반송하고, 양면 인쇄시에는 시트 재공급로에 의해 시트를 재송시켜 화상 형성부에 재공급하도록 시트 반송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급지 트레이에 적재되는 시트와 급지 롤러의 사이에, 양면 시트 재공급로를 따라 공급되는 시트를 화상 형성부에 재공급하기 위한 재급지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재급지 가이드 부재는, 양면 인쇄시에는 공급 롤러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시트 재공급로를 따라 반송되는 시트를 화상 형성부에 안내한다. 급지시에는, 재급지 가이드 부재를 급지 롤러보다도 급지 방향 상류측에 모터로 회동시켜, 시트 반송로로부터 퇴피(退避)시킴으로써, 급지 롤러에 의해 급지 트레이 내의 시트를 송출할 때에 시트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 특허 2004-8563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국 공개 특허 2004-85632호 공보에 기재된 시트 공급 장치에서는, 급지 트레이로부터 시트를 송출할 때에, 재급지 가이드 부재를 급지 롤러보다도 급지 방향 상류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공간과, 재급지 가이드 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장치가 커지게 되고, 비용이 상승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의 급지시와 양면 인쇄시에 있어서의 시트 반송로의 전환을, 비용을 상승시키지 않고 공간을 절약하여 행할 수 있는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시트를 화상 형성부에 공급하는 시트 공급 장치로서, 시트를 한 장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와,
복수의 시트가 적재 가능하여, 시트를 상기 급지 롤러로 가압하는 시트 적재부와, 양면 인쇄시에 시트 재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반전된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부에 재공급하는 가이드 위치와, 상기 급지 롤러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시트 적재부의 시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부재를 갖는 시트 공급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가 가이드 위치와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양면 인쇄시에는, 가이드 부재가 가이드 위치로 이동하고, 시트 재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를 가이드하여 화상 형성부에 재공급한다. 또한, 시트의 급지시에는, 가이드 부재가 급지 롤러측에 이동함으로써, 시트 적재부의 시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시트가 급지 롤러에 가압되어, 급지 롤러에 의해 시트가 한 장씩 송출된다. 즉, 가이드 부재가 시트 급지시의 퇴피 위치와 시트를 재공급하는 가이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고, 시트의 반송로를 전환하기 위해, 양면 인쇄시에 시트가 급지 롤러에 간섭하거나, 급지시에 시트가 가이드 부재에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가이드 부재가 급지 롤러측의 퇴피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시트 의 반송로를 전환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의 이동 공간이 작게 되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는 시트 적재부에서의 시트의 급지시와 양면 인쇄시 시트의 반송로를 전환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의 이동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공급 장치의 최선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시트 공급 장치(50)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10)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4색의 토너 상(像)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12)에는, 4개의 감광체 드럼(14)이 상하 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감광체 드럼(14)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대전기(16), 현상 장치(18), 클리너(20)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대전기(16)와 현상 장치(18)의 사이에는, 감광체 드럼(14)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화상 기입 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각 감광체 드럼(14)의 상 기입 장치(22) 반대측에는, 감광체 드럼(14)에 대향하여, 4개의 전사 롤러(24)가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전사 롤러(24)의 주위에는 반송 벨트(26)가 감겨 있고, 반송 벨트(26)에 따라 시트(P)가 반송된다. 후술하는 시트 공급 장치(50)로부터, 또는 용지 트레이(44)로부터 용지 등의 시트(P)가 1장씩 급지된다. 시트(P)는 반송로(27)에 배치된 한 쌍의 반송 롤러(28)에 의해 반송 되고, 각각의 감광체 드럼(14)과 전사 롤러(24)와의 사이로 반송된다.
한편, 각 감광체 드럼(14)은, 각각 대전기(16)에 의해 표면이 소정의 전위로 대전된다. 그리고, 상 기입 장치(22)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되고 감광체 드럼(14)의 표면이 노광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 잠상이 현상 장치(18)에 의해 현상되고, 4개의 감광체 드럼(14)의 표면에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토너 상이 형성된다. 또한, 시트(P)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 드럼(14)의 표면에 잔류한 토너는 클리너(20)에 의해 회수된다.
감광체 드럼(14)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상은 반송 벨트(26)에 따라 반송되는 시트(P)에, 감광체 드럼(14)과 대향하는 전사 롤러(24)의 작용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사되고, 시트(P) 위에 4색의 토너 상이 중첩된다. 그 후, 시트(P) 위의 토너 상은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열 설치된 정착 장치(30)에서 가열 용융되고, 토너 상이 시트(P)에 정착된다. 정착 장치(30)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한 쌍의 배출 롤러(32)가 설치되어 있어, 시트(P)는 배출 롤러(32)에서 반송되고, 배출 트레이(34)에 배출된다.
한편, 시트(P)에 양면 인쇄를 행할 때에는, 화상 형성부(12)에서 시트(P)의 표면에 화상을 형성한 후, 배출 롤러(32)에서 시트(P)의 후단을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배출 롤러(32)를 역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시트(P)가 반전되어 양면 인쇄용의 재공급로(36)에 반송된다. 재공급로(36)에서는, 시트(P)는 복수 배치된 한 쌍의 반송 롤러(38)에 의해 반송되고, 후술하는 시트 공급 장치(50)를 통하여 반송로(27)의 반송 롤러(28)에 공급된다. 그리고, 시트(P)는 다시 화상 형성부(12)에 반송되고, 시트(P)의 이면(裏面)에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하방측의 장치 측부에는, 시트 공급 장치(50)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시트 공급 장치(50)는, 도 2의 (a), (b) 및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시트(P)가 적재 가능한 급지 트레이(52)를 구비하고 있다. 급지 트레이(52)의 급지 방향 하류측의 경사진 상방에는, 급지 롤러(54)가 배열 설치되어 있어,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지지축(54a)을 중심으로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52) 내에 적재된 시트(P)는 급지 트레이(52)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72)에 의해 급지 롤러(54)에 가압되고, 급지 롤러(54)가 시트(P)의 상면에 마찰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최상면의 시트(P)가 순차적으로 송출된다. 급지 롤러(54)의 하방부에는, 급지 롤러(54)에 압접되는 분리 롤러(56)가 배치되어 있어, 급지 롤러(54)와 분리 롤러(56)의 닙(nip)부에서 시트(P)가 1장씩 처리된다.
급지 롤러(54)와 분리 롤러(56)와의 닙(nip)부 보다도 급지 방향 상류측에는, 급지 트레이(52)의 상방부에 가이드 부재(58)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8)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롤러(54)의 외형과 대향하는 부분이 개구된 절결부(58a)가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58a)의 양측 선단이 급지 롤러(54)의 양편에 위치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58)는 급지 방향 상류측의 지지축(58b)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공급로(36)로부터 공급되는 시트(P)를 화상 형성부(12)에 재공급하는 가이드 위치(A, 도 5 참조)와, 급지 롤러(54)측으로 퇴피하여 급지 트레이(52)로부터의 시트 공급을 가능하게 하 는 퇴피 위치(B, 도 4 참조)와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8)에 절결부(58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58)가 퇴피 위치(B)에서 급지 롤러(54)와 간섭하지 않고, 급지 롤러(54)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가이드 부재(58)는 급지 방향 상류측의 지지축(58b)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58)의 이동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롤러(54)의 지지축(54a)에는, 급지 트레이(52)의 양단부에 돌출 설치된 회동자(52a)에 맞닿을 수 있는 제 1 캠(60)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54a)의 제 1 캠(60)의 외측에는, 분리 롤러(56)를 축지지하는 프레임(62)의 양단부와 맞닿을 수 있는 제 2 캠(6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54a)의 제 1 캠(60)의 내측에는, 가이드 부재(58)의 표면의 양단부와 맞닿을 수 있는 제 3 캠(66)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캠(60)과 제 2 캠(64)과 제 3 캠(66)은, 지지축(54a)의 회전에 의해 급지 롤러(54)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가이드 부재(58)를 이동시키는 제 3 캠(66)을 급지 롤러(54)와 일체로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 부재(58)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용의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52)는, 급지 방향 상류측의 지지축(53)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에 승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52)의 하부에는 스프링(72)이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72)의 가압력에 의해 급지 트레이(52)에 적재된 시트(P)를 급지 롤러(54)의 측으로 가압한다. 프레임(62)은 급지 방향 하류측의 지지축(62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프레임(62)의 하부에는 스프링(74)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74)의 가압력에 의해 프레임(62)이 급지 롤러(54)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분리 롤러(56)가 급지 롤러(54)에 압접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58)의 하부에는 스프링(76)이 설치되어 있어, 가이드 부재(58)는 스프링(76)의 가압력에 의해 스토퍼(stopper)(78)와 맞닿는 퇴피 위치(B)까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재공급로(36)의 하방부에는, 양면 인쇄시에 재공급로(36)를 따라 공급되는 시트(P)를 가이드 부재(58)와 급지 롤러(54)의 사이에 유도하는 안내 플레이트(80, 82)가 재공급로(36)를 사이에 끼고 대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58)와 급지 롤러(54)와의 대향부의 하류측에는, 시트(P)를 반송 롤러(28)로 유도하는 안내 플레이트(84, 86)가 시트(P)의 반송로(27)를 사이에 끼고 대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급지 트레이(52)의 급지 방향 하류측에는, 시트(P)의 급지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면(先端面)을 규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8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하방부에는, 용지 트레이(44)가 배치되어 있다. 용지 트레이(44) 내에는, 급지 트레이(52)와 다른 사이즈의 시트(P)가 적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용지 트레이(44)의 급지 방향 하류측에는, 적재된 시트(P)를 한 장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46)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급지 롤러(46)의 하류측에는, 시트(P)를 반송 롤러(28)로 유도하는 안내 플레이트(48)가 시트(P)의 반송로를 사이에 끼고 대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공급 장치(5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양면 인쇄시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부(12)를 통과하여 시트(P)의 표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배출 롤러(32)를 시트(P)의 후단을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역회전시켜, 시트(P)를 반전시켜 재공급로(36)에 반송한다. 시트(P)가 재공급로(36)에 도입되면,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해 급지 롤러(54)의 지지축(54a)을 회전시킨다. 지지축(54a)의 회전에 의해, 제 1 캠(60), 제 2 캠(64), 제 3 캠(66)이 일체가 되어 회동한다. 그리고, 제 1 캠(60)이 급지 트레이(52)의 회동자(52a)에 맞닿고, 제 2 캠(64)이 프레임(62)에 맞닿고, 제 3 캠(66)이 가이드 부재(58)에 맞닿는 위치에서 지지축(54a)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때, 도 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캠(60)이 급지 트레이(52)를 스프링(7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리기 때문에, 급지 트레이(52)에 적재된 시트(P)가 급지 롤러(54)와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제 2 캠(64)이 프레임(62)을 스프링(7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림으로써, 분리 롤러(56)가 급지 롤러(54)와의 압접 위치로부터 퇴피된다. 또한, 제 3 캠(66)이 가이드 부재(58)를 스프링(7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림으로써, 가이드 부재(58)가 퇴피 위치(B, 도 4 참조)로부터 가이드 위치(A)에 회동하고, 가이드 부재(58)와 급지 롤러(54)의 사이에 시트(P)가 통과 가능한 간격이 형성된다.
재공급로(36)를 공급하는 시트(P)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플레이트(80, 82)에 의해 급지 롤러(54)와 가이드 부재(58)의 대향부에 유도되고, 가이드 부재(58)를 따라 급지 롤러(54)와 가이드 부재(58)의 사이를 화살표 D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때, 분리 롤러(56)가 급지 롤러(54)의 압접 위치로부터 퇴피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P)가 부드럽게 급지 롤러(54) 아래를 통과하고, 안내 플레이트(84) 내지 안내 플레이트(86)에 의해 반송 롤러(28)에 유도된다. 그리고, 시트(P)는, 다시 화상 형성부(12)에 반송되어, 화상 형성부(12)에서 시트(P)의 이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52)로부터 시트(P)를 급지할 때는, 지지축(54a)의 회전에 의해 급지 롤러(54)를 회전시킨다. 지지축(54a)의 회전에 따라, 제 1 캠(60)과 회동자(52a)의 맞닿음, 제 2 캠(64)과 프레임(62)의 맞닿음, 및 제 3 캠(66)과 가이드 부재(58)의 맞닿음이 어긋난다(도 5 (b)의 맞닿은 상태 참조). 제 1 캠(60)과 회동자(52a)의 맞닿음이 어긋남으로써, 스프링(72)의 가압력에 의해 급지 트레이(52)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급지 트레이(52)에 적재된 시트(P)의 상면이 급지 롤러(54)에 가압된다. 제 2 캠(64)과 프레임(62)의 맞닿음이 어긋남으로써 스프링(74)의 가압력에 의해 프레임(62)이 꽉 눌려지고, 분리 롤러(56)가 급지 롤러(54)에 압접된다. 제 3 캠(66)과 가이드 부재(58)의 맞닿음이 어긋남으로써, 스프링(76)의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 부재(58)가 급지 롤러(54)측으로써 시트(P)측에 돌출하지 않는 퇴피 위치(B)에 회동한다.
이 상태에서, 급지 롤러(54)가 회전함으로써, 급지 트레이(52)에 적재된 최상면의 시트(P)가 급지 롤러(54)와 마찰 접촉하고, 최상면의 시트(P)가 송출된다. 그 때, 가이드 부재(58)가 퇴피 위치(B)로 이동하기 때문에, 시트가 가이드 부재(58)에 충돌하지 않는다. 송출된 시트(P)는 급지 롤러(54)와 분리 롤러(56)의 닙 부를 통과할 때에 처리되어 분리되고, 두 장째 이후의 시트(P)가 닙부를 통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시트 공급 장치(50)에 의해 송출된 시트(P)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로(27)에 배치된 반송 롤러(28)에 의해 화상 형성부(12)에 반송된다.
그 후, 급지 롤러(54)가 회전하면,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캠(60)이 회동자(52a)와 맞닿아 급지 트레이(52)를 아래로 누르고, 제 2 캠(64)이 프레임(62)과 맞닿아 분리 롤러(56)를 급지 롤러(54)로부터 퇴피시키며, 제 3 캠(66)이 가이드 부재(58)와 맞닿아 가이드 부재(58)를 가이드 위치(A)에 이동시킨다. 즉, 급지 롤러(54)의 회전에 따라, 급지 트레이(52) 상하 방향에의 이동과, 분리 롤러(56)의 급지 롤러(54)에의 압접 및 퇴피(압접 해제)와, 가이드 부재(58)의 퇴피 위치(B)와 가이드 위치(A)의 사이의 회동이 연동하여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제 1 캠(60)과 제 2 캠(64)과 제 3 캠(66)을 회전시키기 위한 전용의 모터가 불필요해져,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급지 롤러(54)가 일 회전할 때마다, 급지 트레이(52)가 상승 및 하강하는 동시에, 분리 롤러(56)의 급지 롤러(54)에의 압접, 퇴피가 반복됨으로써, 급지 트레이(52)에 적재된 시트(P)가 1장씩 송출된다. 그 때, 급지 롤러(54)가 일 회전할 때마다, 가이드 부재(58)가 퇴피 위치(B)와 가이드 위치(A)의 사이를 회동하기 위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트레이(52)가 상승하여 시트(P)가 급지 롤러(54)에 의해 송출된 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58)가 가이드 위치(A)로 이동함으로써, 급지 트레이(52)에 적재된 두 장째 이후의 시트(P)의 상면이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급지 트레이(52)에 적재된 두 장째 이후의 시트(P) 가 최상면의 시트(P)와 함께 급지 롤러(54)와 분리 롤러(56)의 사이를 통과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시트(P)의 중복 공급을 방지하여 안정한 시트(P)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반송되는 시트(P)와 충돌하여 잼(jam)을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공급 장치(50)에서는, 가이드 부재(58)가 급지 방향 상류측의 지지축(58b)을 중심으로 가이드 위치(A)와 퇴피 위치(B)와의 사이를 회동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58)의 이동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10)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작은 공간에서 시트(P)의 급지 트레이(52)로부터의 급지와 재공급로(36)로부터의 재반송을, 잼을 억제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급지 롤러(54)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부재(58)와 급지 트레이(52)가 거의 동시에 이동하기 때문에, 급지 트레이(52)가 상승하여 시트(P)가 송출될 때에 가이드 부재(58)가 퇴피 위치(B)로 이동하고, 시트(P)가 가이드 부재(58)에 충돌 하지 않는다. 또한, 양면 인쇄시에는, 급지 트레이(52)가 하강함과 동시에 가이드 부재(58)가 가이드 위치(A)로 이동하고, 시트(P)가 재공급로(36)로부터 부드럽게 반송로(27)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잼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58)의 퇴피 위치(B)로의 이동과 분리 롤러(56)의 압접 위치로의 이동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58)와 간섭하지 않고 송출된 시트(P)가 급지 롤러(54)와 분리 롤러(56)의 닙부에서 처리되고, 시트(P)가 1장씩 분리된다. 이 때문에, 시트(P)의 공급과 분리가 부드럽게 행해진다. 또한, 양면 인쇄시에는, 가이드 부재(58)의 가이드 위치(A)로의 이동과 분리 롤러(56)의 급지 롤러(54)로부터의 퇴피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트(P)가 재공급로(36)로부터 부드럽게 반송로(27)에 공급되어, 잼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최상면의 시트(P)가 급지 롤러(54)에 의해 송출된 후에, 가이드 부재(58)가 가이드 위치(A)로 이동하여 두 장째 이후의 시트(P)가 눌려지기 때문에, 시트(P)의 중복 공급을 방지하여 안정한 시트(P)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그 때, 가이드 부재(58)의 가이드 위치(A)로의 이동과 분리 롤러(56)의 급지 롤러(54)로부터의 퇴피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트(P)의 공급과 분리가 부드럽게 행해진다.
상기 시트 공급 장치(50)에 있어서, 제 1 캠(60)과 제 3 캠(66)의 부착 위치나 형상을 조정하고, 급지 트레이(52)가 이동하고 나서 가이드 부재(58)가 이동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급지 트레이(52)에 시트(P)가 최대량 적재되어 있어도, 급지 트레이(52)가 먼저 하강하기 때문에, 시트(P)에 의해 가이드 부재(58)의 가이드 위치(A)로의 이동이 저해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캠(64)과 제 3 캠(66)의 부착 위치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분리 롤러(56)가 이동하고 나서 가이드 부재(58)가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분리 롤러(56)가 퇴피하고 나서 가이드 부재(58)가 가이드 위치(A)로 이동하기 때문에, 급지 롤러(54)와 분리 롤러(56)로 닙된 시트(P)에 의해 가이드 부재(58)의 이동이 저해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시트 공급 장치(50)에서는, 급지시의 이동의 타이밍으로서, 분리 롤러(56)가 급지 롤러(54)에 맞닿고, 급지 트레이(52)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가이 드 부재(58)가 퇴피 위치(B)에 회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분리 롤러(56)와 급지 롤러(54)의 사이가 열려 있으면 시트(P)가 그 사이에 들어가기 때문에, 이것을 회피함과 동시에, 가이드 부재(58)가 급지 트레이(52)에 적재된 시트(P)를 누르고 나서, 가이드 부재(58)를 퇴피시키기 위해서다. 이것에 의해, 시트(P)의 중복 공급을 한층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급지 후의 이동의 타이밍으로서는, 시트(P)가 적재된 급지 트레이(52)가 하강하기 시작하고(시트(P)가 급지 롤러(54)로부터 떨어짐), 분리 롤러(56)가 급지 롤러(54)로부터 퇴피하고, 가이드 부재(58)가 가이드 위치(A)에 회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분리 롤러(56)보다도 가이드 부재(58)가 먼저 내려가면, 시트(P)가 만곡(灣曲)하여 잼의 발생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급지 트레이(52)가 배열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화상 형성 장치의 하방부 전방에 개폐 가능한 수동 급지 트레이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급지 롤러(54)는, 수동 급지 트레이 내의 시트(P)의 송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동 급지 롤러로 하고, 가이드 부재(58)는, 양면 인쇄시의 재공급로(36)로부터의 시트(P)를 안내하는 가이드 위치(A)와 수동 급지 롤러측에서 시트(P)의 송출을 가능하게 하는 퇴피 위치(B)의 사이를 회동시키도록 구성한다. 급지 트레이(52)를 개폐 가능한 수동 급지 트레이로 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전방의 급지부를 공간 절약할 수 있어, 장치를 보다 한층 소형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공급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중복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시트 공급 장치(100)에서는, 가이드 부재(58)의 절결부(58a)의 양측의 선단부에 필름 시트(102)가 설치되어 있다. 필름 시트(102)의 길이는, 가이드 부재(58)가 가이드 위치(A)로 이동했을 때에, 필름 시트(102)의 선단이 가이드 플레이트(88)에 맞닿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필름 시트(102)는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 수지제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접착제로 가이드 부재(58)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시트 공급 장치(100)에서는, 가이드 부재(58)가 가이드 위치(A)로 회동했을 때에, 분리 롤러(56)가 급지 롤러(54)로부터 퇴피하여 필름 시트(102)의 선단이 가이드 플레이트(88)에 맞닿는다. 이 필름 시트(102)에 의해 가이드 부재(58)와 가이드 플레이트(88)의 연결이 부드럽게 되고, 양면 인쇄시에 재공급로(36)를 따라 공급되는 시트(P)가 부드럽게 반송로(27)의 반송 롤러(28)에 반송된다. 또한, 필름 시트(102)는 가이드 부재(58)의 절결부(58a)의 양측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58)가 퇴피 위치(B)에 회동했을 때에(도 4 참조), 필름 시트(102)가 급지 롤러(54)와 간섭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공급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중복한 설명 은 생략한다.
도 7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시트 공급 장치(110)에서는, 가이드 부재(58)의 절결부(58a)의 양측의 선단부에, 각각 2개의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8)의 4개의 오목부(112)에는, 회동자(114)가 축부(114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동자(114)는, 가이드 부재(58)가 가이드 위치(A)로 이동했을 때에, 가이드 플레이트(88)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시트 공급 장치(110)에서는, 가이드 부재(58)가 가이드 위치(A)에 회동했을 때에, 분리 롤러(56)가 급지 롤러(54)로부터 퇴피하여 회동자(114)의 둘레면이 가이드 플레이트(88)에 맞닿는다. 양면 인쇄시에는, 재공급로(36)를 따라 공급되는 시트(P)가 회동자(114)와 급지 롤러(54)와의 사이를 통과하기 때문에, 시트(P)와 가이드 부재(58)의 마찰이 감소되어, 시트(P)는 회동자(114)의 회전에 의해 부드럽게 반송된다. 그리고, 시트(P)는 가이드 플레이트(88)에서 가이드되어 반송로(27)의 반송 롤러(28)에 반송된다. 또한, 회동자(114)는, 가이드 부재(58)의 절결부(58a)의 양측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58)가 퇴피 위치(B)에 회동했을 때에(도 4 참조), 회동자(114)가 급지 롤러(54)와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급지 롤러(54)와 분리 롤러(56)의 닙부에서 급지 트레이(52)로부터 급지되는 시트(P)를 처리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급지 롤러와 패드(pad)를 압접하여 시트(P)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시트의 급지시와 양면 인쇄시에 있어서의 시트 반송로의 전환을, 비용을 상승시키지 않고 공간을 절약하여 행할 수 있다.

Claims (17)

  1. 시트(sheet)를 화상 형성부에 공급하는 시트 공급 장치로서,
    시트를 한 장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와,
    복수의 시트가 적재 가능하고, 시트를 상기 급지 롤러로 가압하는 시트 적재 수단과,
    양면 인쇄시에 시트 재공급부(再供給部)에 의해 공급되는 반전된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부에 재공급하는 가이드(guide) 위치와, 상기 급지 롤러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의 시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퇴피(退避)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부재를 갖는 시트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시트의 급지 방향 상류측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시트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급지 롤러와의 간섭을 없게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시트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이 상기 급지 롤러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캠(cam)에 의해 제어되는 시트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단(先端)에는,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판에 맞닿는 필름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시트 공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단에는,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판에 맞닿는 회동자가 설치되어 있는 시트 공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시트 적재 수단으로부터의 시트의 급지마다 상기 가이드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위치에서 상기 시트 적재 수단에 적재된 시트를 누르는 시트 공급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롤러와의 사이에 시트를 압접(壓接)하여 처리하는 분리 부재와,
    상기 분리 부재를 상기 급지 롤러로부터 퇴피시키는 압접 해제부를 더 갖는 시트 공급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과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의 이동이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트 공급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과 상기 압접 해제부에 의한 상기 분리 부재의 이동이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트 공급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 롤러의 회전과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이 연동하도록 구성된 시트 공급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이 동시에 이동하는 시트 공급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이 이동하고 나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이동하는 시트 공급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분리 부재가 동시에 이동하는 시트 공급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가 이동하고 나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이동하는 시트 공급 장치.
  16.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를 통과한 후에 반전된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부에 재공급하기 위한 시트 재공급부와,
    시트를 화상 형성부에 공급하는 시트 공급 장치를 갖고,
    상기 시트 공급 장치는,
    시트를 한 장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와,
    복수의 시트가 적재 가능하고, 시트를 상기 급지 롤러로 가압하는 시트 적재 수단과,
    양면 인쇄시에 상기 시트 재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반전된 시트를 상기 화상 형성부에 재공급하는 가이드 위치와, 상기 급지 롤러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의 시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공급 장치에 설치된 상기 시트 적재 수단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전방(前方)에 배열 설치된 수동 급지 트레이이며, 상기 수동 급지 트레이 내의 시트가 상기 화상 형성부에 공급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122902A 2005-06-21 2005-12-14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777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80587 2005-06-21
JP2005180587A JP4710430B2 (ja) 2005-06-21 2005-06-21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880A KR20060133880A (ko) 2006-12-27
KR100777769B1 true KR100777769B1 (ko) 2007-11-20

Family

ID=3757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902A KR100777769B1 (ko) 2005-06-21 2005-12-14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03559B2 (ko)
JP (1) JP4710430B2 (ko)
KR (1) KR100777769B1 (ko)
CN (1) CN10042286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5181B2 (ja) * 2005-06-22 2010-06-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003370A2 (en) 2006-03-08 2008-12-17 Nsk Ltd., Feed screw mechanism and steering device
JP2008247495A (ja) * 2007-03-29 2008-10-16 Brother Ind Ltd シート搬送装置、及び両面記録装置
JP5331398B2 (ja) * 2007-07-30 2013-10-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および給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339883B2 (ja) * 2008-12-18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5495681B2 (ja) * 2009-09-07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47798B2 (ja) * 2010-02-26 2015-01-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取扱装置
JP5565343B2 (ja) * 2010-07-30 2014-08-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25879B2 (ja) * 2011-06-24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850276B1 (ko) * 2012-01-03 2018-04-1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0561373B2 (en) 2017-01-31 2020-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pological evolution of tumor imagery
JP2022016967A (ja) * 2020-07-13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3244A (en) * 1975-04-15 1978-09-12 Kurt Ruenzi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individual sheets from a stack through an office machine
US4131273A (en) * 1977-05-13 1978-12-26 Oce-Industries Inc. Record card feeding apparatus
US4131271A (en) * 1977-06-13 1978-12-26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olding
US4186662A (en) * 1977-08-22 1980-02-05 A. B. Dick Company Duplexing copying system
US4456238A (en) * 1981-03-31 1984-06-26 Ricoh Company, Ltd. Duplex tray for duplex copying machine and the like
US5022640A (en) * 1985-10-28 1991-06-11 Xerox Corporation Auto-duplex/simplex feeder module
US4660963A (en) 1985-12-30 1987-04-28 Xerox Corporation Auto duplex reproduction machine
JPH02178675A (ja) * 1988-12-29 1990-07-11 Seikosha Co Ltd 両面印字装置
JPH0331167A (ja) * 1989-06-27 1991-02-08 Canon Inc 給紙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AU658365B2 (en) * 1991-06-26 1995-04-13 Kabushiki Kaisha Ace Denken Device for conveying and arranging paper sheet
JPH09100071A (ja) * 1995-10-04 1997-04-15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該シート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5839032A (en) * 1996-03-08 1998-11-1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electably controlled sheet discharge paths
JP3715390B2 (ja) * 1996-12-12 2005-11-09 富士通株式会社 像形成装置
US6078760A (en) * 1997-07-14 2000-06-20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nverse and re-fixing sub-mode
KR100207734B1 (ko) * 1997-08-14 1999-07-15 윤종용 양면 인쇄용 인쇄기기의 용지 반전장치
KR100529121B1 (ko) * 2001-06-04 2005-11-1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용지 반전기구 및 이를 구비한 프린터
JP2004085632A (ja) * 2002-08-22 2004-03-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475181B2 (ja) 2005-06-22 2010-06-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880A (ko) 2006-12-27
US20060285904A1 (en) 2006-12-21
US7503559B2 (en) 2009-03-17
CN100422863C (zh) 2008-10-01
JP4710430B2 (ja) 2011-06-29
CN1885182A (zh) 2006-12-27
JP2007001673A (ja)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769B1 (ko)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716605B1 (ko)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9452902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738473B2 (en) Sheet detecting apparatus,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37605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7384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079727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10737182B (zh) 成像设备
JPH092744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06701A (ja) 画像形成装置
JP4804080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62508B2 (ja) 記録材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2478898B (zh) 片材后处理装置及具备该片材后处理装置的图像形成系统
EP3342735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066945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004092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3155155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22999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534878B2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90872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給紙機構
JP2017048013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7171406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9548B2 (ja) 両面画像形成装置
JPH08314355A (ja) 電子写真印刷装置
JPH03120148A (ja) シート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