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815B1 -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 - Google Patents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815B1
KR100774815B1 KR1020010054624A KR20010054624A KR100774815B1 KR 100774815 B1 KR100774815 B1 KR 100774815B1 KR 1020010054624 A KR1020010054624 A KR 1020010054624A KR 20010054624 A KR20010054624 A KR 20010054624A KR 100774815 B1 KR100774815 B1 KR 100774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ggle block
toggle
frame
hydraulic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779A (ko
Inventor
도가시료오이찌
구로하라모또끼
야마다미쓰노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2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25Jaw clearance or overloa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소형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또한 조정시간이 짧은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를 제공한다.
고정치(固定齒)(11)와, 동치(動齒)(12)를 가진 조크러셔(10)의, 동치(12)의 배면 하단부와 토글플레이트(13)를 통하여 접촉하는 토글블록(30)의 배면에, 프레임(7)에 고정 설치되어 토글블록을 지지하는 토글블록 프레임을 가지며, 하부가 돌출하는 내림 구배면(句配面)(31)을 설치한다. 고정치(11)를 고정 설치한 프레임(7)의, 동치(12)의 배면에 고정 설치된 토글블록 프레임(32)에 토글블록(30)을 동치 (12)에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재치(載置)하는 탑재면(33)과, 토글블록(30)의 내림 구배면(31)과 구배면(34)과의 사이에 간극조정 심(shim)(36)을 삽입하고 토글블록 프레임(32)의 구배면(34)의 배면부에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를 설치한 토글블록(30)에 연결한다.
조크러셔, 고정치, 동치, 토글플레이트, 토글블록, 토글 프레임.

Description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ADJUSTER FOR CRUSHER}
도1은 본 발명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의 측면 일부 단면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도2의 B-B선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의 측면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의 작동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의 유압회로도.
도7은 자주식 조크러셔의 측면일부 단면도.
도8은 종래의 제1예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의 측면 단면도.
도9는 종래의 제2예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의 측면 단면도.
도10은 종래의 제3예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의 측면 단면도.
도11은 도10의 C-C 선 단면도.
도12는 종래의 제3예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의 유압회로도.
도13은 종래의 제4예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프레임, 10 : 조크러셔, 11 : 고정치,
12 : 동치, 13 : 토글플레이트, 20 : 프리텐션장치,
30 : 토글블록, 31 : 내림 구배면, 32 : 토글블록 프레임,
33 : 탑재면, 34 : 구배면, 35 : V형 개구부,
36 : 간극조정심, 40 :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
50 : 제1유압원, 51 : 피스톤회로, 52 : 제1전자변환밸브,
53 : 제2유압원, 54 : 헤드(head)회로, 55 : 보톰(bottom)회로,
56 : 제2전자변환밸브, 57 : 조작레버, 58 : 제어기
본 발명은 조크러셔(jaw crusher)의 고정치(固定齒)와 동치(動齒)와의 출구간극(出口間隙))을 조정하는 출구간극 조정기구(調整機構)에 관한 것이다.
조크러셔의 1예를 도7에 표시한 자주식(自走式) 조크러셔(10)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7에서 주행체(2)에는 호퍼(hopper)(3)와 피더(feeder)(4)와 조크러셔(10)와 벨트컨베이어(5)가 탑재되어 있다. 조크러셔(10)는 고정치(11)와 상대하여 요동하는 동치(12)를 구비하고 있어, 상부의 넓은 V자형을 형성하고 있다. 콘크리트나 암석 등의 피파쇄물(被破碎物)(6)은 호퍼(3)에 투입되고 피더(4)에 의하여 조크러셔(10)의 상부에 이송되어 조크러셔(10)내에서 파쇄되어서, 하부 출구에서 벨트 컨베이어(5)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제품으로 된다. 파쇄물의 입경(粒徑:입자의 지름)은 고정치(11)와 동치(12)와의 출구간극 δ에 의하여 결정된다. 장시간 파쇄를 지속하여 고정치(11)와 동치(12)가 마모된 경우, 또는 파쇄물의 입경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출구간극 δ를 정확하게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조크러셔는 출구간극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부터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에 대하여는 각종의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예컨데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쇼와 63-141638, 실용신안공개 쇼와 63-141639호 및 특허출원 헤이세이 9-535119호의 각 공보에 공개된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도8은 제1예의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쇼와 63-141638호 공보에 공개된 것의 측면도이다. 조크러셔(10)의 고정치(11)를 고정하고 있는 프레임(7)의, 동치(12)의 배면측에 설치된 가이드(60)에는 토글블록(toggle block)(61)이 동치(12)를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동치(12)의 배면하부에 설치된 제1접촉부(14)에는 토글플레이트(toggle plate)(13)의 선단부가 접촉되고 토글블록(61)의 전면부에 설치된 제2접촉부(15)에는 토글플레이트(13)의 기단부(基端部)가 접촉되어 있다. 토글블록(61)의 배면측의 프레임(7)에는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mechanical lock)장치(62)를 피스톤로드(63)측에 구비하고 있는 유압실린더(64)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피스톤로드(63)의 선단부와 토글블록(61)의 배면과는 롤러(65)를 통하여 접촉되어 있다. 동치(12)와 프레임(7) 사이에는 동치(12)의 하부를 항상 토글블록(61)측으로 배력(配力)(energize)하고 또한 토글플레이트(13)를 제1접촉부(14)와 제2접촉부(15) 사이에 유지하는 프리텐션(pretension)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프리텐션장치(20)는 프레임(7)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21)과 와셔(washer)(24)와의 사이에 협지된 스프링(23)과, 일단부가 동치(12)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스프링 (23) 및 와셔(24)를 관통하여 너트(25)에 의하여 체결된 로드(22)로 구성되어 있 다. 동치(12)는 상단부가 프레임(7)에 편심축(16)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어 편심축 (偏心軸)(16)을 회전하면 동치(12)는 요동하게 되어 있다.
조크러셔(10)의 작동 중에는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장치(62)는 로크(lock)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치(11)와 동치(12)와의 출구간극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도시되지 않은 유압장치를 조작하여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장치(62)의 로크를 해제한다. 그후 유압실린더(64)를 신축하여 출구간극을 조정하여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장치(62)를 재차 로크한다.
도9는 제2예의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쇼와 63-141639호 공보에 공개된 것의 측면도이다. 제1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동치(12)의 배면측의 프레임(7)에 고정 설치한 コ자형의 브래킷(70)의 배면측에는 유압 미캐니컬 로크장치(71)를 구비한 유압실린더(72)가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유압실린더(72)는 토글블록(73)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브래킷(70)과 토글블록(73)과의 사이에는 조정판(74)이 삽입되어 있다. 또 토글블록(73)의 상방(上方)의 프레임(7)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75)에는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장치(71)를 구비한 상부 유압실린더(76)가 직립(直立)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 유압실린더(76)는 토글블록(73)에 연결되어서 이것을 상방으로 끌어 올리어 고정하고 있다. 이 상부 유압실린더(76)는 동치(12)를 향하여 거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보울트(77)에 의해 브래킷(75)에 부착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여 부착되어 있다.
조크러셔(10)의 작동 중에는 토글블록(73)과 조정판(74)과, 브래킷(70)과는 밀접되어 있으며,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장치(71, 71)는 로크되어 있다. 출구간극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도시되지 않은 유압장치를 조작하여 유압실린더(72)와 상부 유압실린더(76)의 유압 미캐니컬 로크장치(71)를 해제한다. 그 다음 상부 유압실린더(76)의 보울트(77)를 이완하여 상부 유압실린더(76)를 약간 신장(extend)한다. 그 다음 유압실린더(72)를 신축(伸縮)하여 조정판(74)의 두께를 조정하여 출구간극을 조정하고 유압실린더(72)를 축소하여 조정판(74)을 밀접(密接)시킨다. 그 다음 상부 유압실린더(76)를 축소하여 보울트(77)를 조이고 각각의 유압 미캐니컬 로크장치(71, 71)를 로크한다.
도10은 제3예의 일본국 특허출원 헤이세이 9-535119호 공개공보에 공개된 출구간극 조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C-C선 단면도이다. 제1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10, 도11에서 토글블록(30)의 토글플레이트(13)와 반대측의 면에는 하부가 돌출한 내림 구배면(句配面)(31)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7)에 고정 설치된 토글블록 프레임(32)에는 토글블록(30)을 동치(12)를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탑재하는 탑재면(33)이 형성되어 있다. 또 토글블록 프레임(32)의 토글블록(30)에 상대하는 면에는 토글블록(30)의 상기 내림 구배면(31)과 합치하는 구배면(34)이 형성되어 있으며 탑재면(33)과 함께 V자형 개구부(35)를 형성하고 있다. 토글블록(30)의 내림 구배면(31)과 토글블록 프레임(32)의 구배면(34) 사이에는 간극조정 심(shim : 쐐기)(36)이 삽입되어 있다. 토글블록 프레임(32)에는 한쌍의 유압실린더(80, 80)가 부착되며 피스톤로드(81)와 토글블록(30)의 내림 구배면(31)측과는 연결핀(8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동치(12)와 토글블록 프레임(32) 사이에는 프리텐션(pretension)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도12는 제3예의 간극조정정치의 유압회로도이다. 유압원(83)의 출력회로와 유압실린더(80)의 헤드측 회로(85) 및 보톰측 회로(88)배관과는 전자변환밸브(8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자변환밸브(84)는 f, g, h의 3 위치를 가지며 f 위치에서는 유압실린더(80)를 축소하고 g 위치에서는 유압실린더(80)를 유지하며, h 위치에서는 유압실린더(80)를 신장(伸張)(extend)한다. 유압실린더(80)의 헤드측 회로(85)에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축전지)(86)와 압력스위치(87)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레버(57)와 전자변환밸브(84)와, 압력스위치(87)와는 제어기(5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동에 대하여 도10 및 도12에 의하여 설명한다. 파쇄작업중에는 전자변환밸브(84)는 g 위치에 있고 유압실린더(80)의 헤드측 회로(85) 및 보톰측 회로(88)는 닫혀 있다. 출구간극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조작레버(57)를 조작하여 제어기(58)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위해 전자변환밸브(84)를 h 위치로 하여 유압실린더(80)를 신장한다. 그 다음 간극조정심(36)을 조정하여 토글블록(30)의 위치를 정하고 출구간극을 조정한다. 그 다음 조작레버(57)를 조작하여 전자변환밸브 (84)를 f 위치로 하고 유압실린더(80)를 축소하여서 토글블록(30)과 간극조정심 (36)과 토글블록 프레임(32)과를 밀접시킨다.
도13은 제4예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의 평면도이다. 토글블록 프레임(32)과 토글블록(30)과의 관계는 제3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측면도에 의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면중 제3예의 것과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토글블록 프레임(32)의 중앙부에 장착된 1개의 유압실린더(90)는 토글블록(30)에 연결되어 있다. 유압실린더(90)의 좌우에는 토글블록(30)과 토글블록 프레임(32)과를 연결하는 한 쌍의 텐션로드(91, 91)가 설치되며, 각각의 후단부에 더블너트(92, 92)를 조여서 토글블록(30)을 토글블록 프레임(32)측에 밀접되게 하고있다.
파쇄작업 중에는 유압실린더(90)는 떠 있는 상태이며 더블너트(92)를 체결한 상태에 있다. 출구간극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더블너트(92, 92)를 이완하여 유압실린더(90)를 신장하고 간극조정심(36)의 두께를 조정하여 토글블록(30)위치를 정한다. 그 다음 유압실린더(90)를 축소하여 토글블록(30)과 간극조정심(36)과 토글블록 프레임(32)과를 밀접시키어 떠 있는 상태로 한 다음 더블너트(92, 92)를 조인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a) 제1예에 있어서는 파쇄작업 중에 토글플레이트(13)에 가해지는 큰 추력 (推力)은 모두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장치(62) 및 유압실린더(64)에 가해진다.
그 때문에 용량이 큰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장치(62) 및 유압실린더(64)가 필요하게 되어 장치가 대형으로 되며 코스트도 높아 진다.
b) 제2예에 있어서는 수직방향의 상부 유압실린더(76)가 필요하기 때문에 출구간극조정 시마다 보울트(77)를 이완하여 상부 유압실린더(76)를 신장하고 조정종료후에 다시 상부 유압실린더(76)를 축소시키어 보울트(77)로 조이지 않으면 안되며, 조정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코스트도 높다.
c) 제3예에 있어서는 도10의 측면도 및 도12의 유압회로도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간극조정심(36)에 간극이 있는 경우에는 토글블록(30)에 가해지는 추력은 모두 유압실린더(80)의 보톰측에 가해진다. 따라서 간극조정시에 조작레버(57)의 조작을 잘못하여 간극조정심(36)을 삽입한 부분에 간극이 존재하면 토글블록(30)에 큰 추력이 가해진 경우 유압실린더(80)의 보톰측 회로(88)배관이 파손할 우려가 있다.
d) 제4예에 있어서는 토글블록(30)의 위치고정을 위해서 텐션로드(91, 91)와 더블너트(92, 92)를 설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간극 조정 시마다 더블너트(92, 92)를 이완하고 조정 후 다시 조이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많은 작업시간을 요한다. 그 시간은 예컨대 30분 이상에도 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된 것이며, 소형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파손의 우려가 없이 또한 출구간극 조정시간을 단축하는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조크러셔의 간극조장장치의 발명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고정치와, 고정치(固定齒)에 대면(對面)하여 요동운동 하는 동치(動齒)와, 동치의 배면에 위치하여 토글플레이트를 통하여 동치와 접촉하는 토글블록과,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토글블록을 지지하는 토글블록 프레임을 가지며, 고정치와 동치와의 출구간극을 조정하는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토글블록은, 토글플레이트와 반대측의 면에 하부가 돌출하는 내림 구배면을 가지며, 상기 토글블록 프레임은 토글블록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탑재되는 탑재면과, 토글블록의 내림 구배면에 상대하여 설치된 구배면을 가지며, 상대하는 내림 구배면과 구배면과의 사이에 출입이 가능한 간극조정심을 가지며 토글블록 프레임의 구배면의 배면측에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글블록에 내림 구배면을 설치하고 프레임의 구배면과 결합하기 위해서 토글블록에 추력이 가해진 경우, 토글블록은 하향으로의 힘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수직 유압실린더는 필요치 않으며,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 추력은 프레임의 구배면이 받기 때문에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의 용량은 작아도 되며,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조정 시에는 간극조정심부에 간극이 있어도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가 슬라이딩하여 구배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파손의 염려가 없다. 또한 출구간극 조정은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의 신축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하고 조정시간이 단축되며 능률적이다.
본 발명에 관한 죠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의 1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2는 도1의 A-A선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서 조크러셔(10)의 프레임(7)에는 고정치(11)가 고정 설치되고 이에 대면하여 동치(12)가 편심축(16)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동치(12)의 배면측에는 토글블록 프레임(32)이 프레임(7)에 고정 설치되어 토글블록(3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동치(12)의 배면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1접촉부(14)에는 토글플레이트(13)의 선단부가 접촉되고 토글블록(30)의 전면에 설치된 제2접촉부(15)에는 토글플레이트(13)의 후단부가 접촉되어 있다.
토글블록(30)의 후면에는 하부가 돌출하는 내림 구배면(31)이 형성되어 있다. 토글블록 프레임(32)은 토글블록(30)을 동치(12)의 배면에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탑재하는 탑재면(33)과 토글블록(30)에 대면하는 면에 설치한 토글블록(30)의 내림 구배면(31)에 합치하는 구배면(34)에 의하여 V자형 개구부(35)를 형성하고 있다.
내림 구배면(31)과 구배면(34)의 사이에는 간극조정심(36)이 삽입되어 있다. 토글블록 프레임(32)의 구배면(34)의 배면측에는 한쌍의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 40)가 부착되어 있다.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 40)의 양측에는 항상 동치(12)의 하단부를 토글블록(30)측으로 배력하는 프리텐션장치(20, 20)가 설치되어 있다.
도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프리텐션장치(20)는 토글블록(30)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21)에 접촉된 스프링(23) 및 스프링(23)의 후단부에 접촉한 와셔(24)와, 일단부가 동치(12)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스프링(23) 및 와셔(24)에 관통하는 로드(22)와, 로드(22)를 와셔(24)에 조여주는 너트(25)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2의 B-B선 단면도인 도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의 피스톤로드(41)는 토글블록(30)에 연결핀(4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 다.
도4는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의 단면도이다 실린더(43)에는 피스톤로드(41)를 가진 피스톤(44)이 압입(壓入)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41)에는 유공 (油孔)(45)이 형성되어 피스톤(44)의 외측면에 연통되어 있다. 도4는 외부에서 유공(45)으로 유압유를 공급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피스톤(44)은 실린더(43)와의 사이의 마찰저항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유압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를 신축시키는 경우에는 도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유공(45)에 유압유를 공급하여 피스톤(44)의 외주부(外周部)의 실린더(43)를 도면중의 P부와 같이 팽창시키어 내경을 확대하고 이로 인하여 피스톤(44)과 실린더(43)사이의 마찰저항을 작게 하여서 피스톤(44)의 압입력을 감소하고, 실린더 헤드실(46) 또는 실린더 보톰실(47)에 유압유를 공급하여 피스톤(44)을 이동시킨다.
도6은 본 발명의 출구간극 조정기구의 유압회로도이다. 도6에서,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의 피스톤 로드(41)의 유공(45)과 제1유압원(50)을 접속하는 피스톤회로(51) 상에는 제1전자변환밸브(52)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와 제2유압원(53)과를 접속하는 헤드회로(54) 및 보톰회로(55) 상에는 제2전자변환밸브(56)가 설치되어 있다.
제1전자변환밸브(52)는 a, b의 2 위치를 가지며 a 위치에서는 피스톤 회로 (51)는 탱크(59)에 접속하고 b위치에서는 제1유압원(50)의 토출회로에 접속한다. 제2전자변환밸브(56)는 c, d, e의 3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c위치에서는 헤드회로 (54)는 제2유압원(53)에 접속하고, d위치에서는 헤드회로(54)와 보톰회로(55)는 탱크(59)에 접속하며, e 위치에서는 보톰회로(55)는 제2유압원(50)에 접속한다. 조작레버(57)는 제어기(58)를 통하여 제1전자변환밸브(52) 및 제2전자변환밸브 (56)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쇄작업시에는 토글블록(30)의 내림 구배면(31)은 간극조정심(35)을 통하여 토글블록 프레임(32)의 구배면(34)에 접촉되어 있다. 또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는 로크 상태에 있다. 따라서 동치(12)로부터의 큰 추력은 토글블록 프레임(32)이 받고 토글블록(30)의 전후방향의 요동은 유압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에 의하여 방지하게 된다.
출구간극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조작레버(57)를 조작하여 제어기(58)에서 제1전자변환밸브(5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1전자변환밸브(52)를 b위치로 변환하여, 피스톤회로(51)를 거쳐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의 피스톤(44)에 유압유를 공급하여서 실린더(43)를 팽창시킨다.
그 다음 조작레버(57)를 조작하여 제어기(58)에서 제2전자변환밸브(56)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e위치로 변환하여 보톰회로(55)에 유압유를 공급하여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를 신장시킨다. 그 다음 간극조정심(36)의 두께를 조정하여 출구간극을 조정한다. 그 다음 조작레버(57)를 조작하여 제2전자변환밸브 (56)를 c위치로 변환하여, 헤드회로(54)에 유압유를 공급하여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을 축소시키어 토글블록(30)과, 간극조정심(36)과, 토글블록 프레임(32)의 구배면(34)을 밀착시킨다. 그 다음 제1전자변환밸브(52)를 a위치로 변환하여 간극조정작업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간극조정 작업이 간단하며 작업시간도 예컨대 한 사람이 약 3분으로 마치며 종래의 것의 1예로서 상술한 30분에 비하여 대폭으로 단축할 수 가 있다. 파쇄작업 중에는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의 헤드회로(54) 및 보톰회로(55)는 드레인회로에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헤드회로(54)나 보톰회로(55)에 이상 유압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파손의 우려도 없다. 또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는 토글블록(30)의 요동방지와, 출구간극 조정시의 토글 블록(30)의 이동뿐이기 때문에 소형으로도 되고 장치의 소형화 및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글블록에 내림 구배면을 설치하고 프레임의 구배면과 결합하기 위해서 토글블록에 추력이 가해진 경우, 토글블록은 하향으로의 힘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수직 유압실린더는 필요치 않으며,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 추력은 프레임의 구배면이 받기 때문에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의 용량은 작아도 되며,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조정 시에는 간극조정심부에 간극이 있어도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가 슬라이딩하여 구배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파손의 염려가 없다. 또한 출구간극 조정은 유압식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의 신축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하고 조정시간이 단축되며 능률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로 구조가 간단하고 그 장치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조정시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출구간극 조정조작이 간편하고 그 조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프레임(7)에 고정 설치된 고정치(固定齒)(11)와,
    고정치(11)에 대면하여 요동운동하는 동치(動齒)(12)와,
    동치(12)의 후부측 프레임(7)에 고정설치된 토글블록 프레임(toggle block frame)(32)과,
    토글블록 프레임(32)에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지지된 토글블록(toggle block)(30)과,
    동치(12)와 토글블록(30) 사이에 결합된 토글플레이트(toggle plate)(13)로 구성된 조크러셔(jaw crusher) 고정치(11)와 동치(12)의 출구간극 조정기구로서,
    상기 토글블록(30)의 배면에 형성된 내림 구배면(句配面)(31)과, 상기 내림 구배면(31)과 상대하여 조크러셔 작동시에 상기 동치(12)로부터 추력을 받는 토글블록 프레임(32)의 구배면(34) 사이에 간극조정 심(shim)(36)이 발취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상기 구배면(34)의 배면측에 상기 간극조정심(36)의 삽입, 설치를 위한, 상기 구배면(34)과 상기 내림 구배면(31)의 간극을 조정하는 유압 미캐니컬 로크 실린더(40)를 상기 토글블록(30)에 결합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
KR1020010054624A 2000-09-26 2001-09-06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 KR100774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92089 2000-09-26
JP2000292089A JP4247807B2 (ja) 2000-09-26 2000-09-26 ジョークラッシャの出口隙間調整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779A KR20020024779A (ko) 2002-04-01
KR100774815B1 true KR100774815B1 (ko) 2007-11-07

Family

ID=1877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624A KR100774815B1 (ko) 2000-09-26 2001-09-06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19576B2 (ko)
EP (1) EP1190772B1 (ko)
JP (1) JP4247807B2 (ko)
KR (1) KR100774815B1 (ko)
CN (1) CN1257773C (ko)
DE (1) DE6010763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223B1 (ko) * 2001-08-16 2008-11-24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조 크러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24905D1 (de) * 2002-04-12 2009-01-08 Terex Pegson Ltd Backenbrecher mit hydraulischer überlastungseinrichtung
JP4119231B2 (ja) * 2002-11-28 2008-07-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ジョークラッシャ
JP4109539B2 (ja) * 2002-11-28 2008-07-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ジョークラッシャ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走式破砕機
JP3788427B2 (ja) * 2002-12-26 2006-06-21 河 龍干 ジョークラッシャー
US7344097B2 (en) * 2005-03-14 2008-03-18 Cedarapids, Inc. Jaw-type rock crusher with toggle plate tension bar
GB0519364D0 (en) * 2005-09-22 2005-11-02 Airbus Uk Ltd Assembly of aircraft components
WO2008055315A1 (en) * 2006-11-10 2008-05-15 Crushing & Mining Equipment Pty Ltd An adjustment assembly for a jaw crusher
KR100768569B1 (ko) * 2007-02-16 2007-10-19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KR101143573B1 (ko) * 2009-04-28 2012-05-09 하용간 조 크러셔
EP2564929B1 (en) * 2011-09-05 2015-04-15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Set of jaw crusher shims
CN103127976A (zh) * 2011-11-29 2013-06-05 洛阳宇航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铝厂阴极碳块粉碎的专用粉碎机
GB2502610B (en) * 2012-06-01 2019-07-10 Terex Gb Ltd Jaw crusher
CN104703701B (zh) * 2012-11-15 2017-03-22 山特维克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可动颚安装组件
CN105689046A (zh) * 2016-02-23 2016-06-22 海安欣凯富机械科技有限公司 破碎机
WO2018113958A1 (en) * 2016-12-21 2018-06-2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Jaw crusher retraction assembly
CN108150465B (zh) * 2018-02-02 2023-10-03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反击式破碎机排料口智能调节系统及反击式破碎机
CN108916152B (zh) * 2018-06-29 2020-08-14 北京精密机电控制设备研究所 一种高可靠联动气缸
CN108970793A (zh) * 2018-09-04 2018-12-11 天津市乐矿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矿山破碎机调节机构
US11602755B2 (en) 2019-08-27 2023-03-14 Eagle Crusher Company, Inc. Crusher with resettable relief system
AT523357B1 (de) * 2020-01-13 2022-05-15 Rubble Master Hmh Gmbh Vorrichtung für einen Brecher
CN112718049A (zh) * 2020-12-14 2021-04-30 赖新亮 一种除石机用深度碎石装置
CN112774770B (zh) * 2021-01-12 2022-05-27 江苏蓝遥净水剂有限公司 一种聚合氯化铝液体低能耗生产设备及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257A (ja) * 1992-12-08 1994-06-21 Kawasaki Heavy Ind Ltd ジョークラッシャの破砕間隙調整装置
JPH09956A (ja) * 1995-06-19 1997-01-07 Mitsubishi Heavy Ind Ltd 破砕機
KR0176297B1 (ko) * 1996-07-12 1999-03-20 박병준 죠-크라셔의 출구간격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0571A (en) 1963-05-14 1964-09-29 American Mach & Foundry Actuator
JPH0779959B2 (ja) 1986-12-03 1995-08-30 日揮株式会社 多管式反応器
JPS63141639A (ja) 1986-12-05 1988-06-14 Hitachi Ltd 分子配向薄膜の製法
JPS63141639U (ko) 1987-03-07 1988-09-19
JPS63141638U (ko) 1987-03-07 1988-09-19
JP3133766B2 (ja) 1996-03-29 2001-02-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ジョークラッシャの出口隙間調整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257A (ja) * 1992-12-08 1994-06-21 Kawasaki Heavy Ind Ltd ジョークラッシャの破砕間隙調整装置
JPH09956A (ja) * 1995-06-19 1997-01-07 Mitsubishi Heavy Ind Ltd 破砕機
KR0176297B1 (ko) * 1996-07-12 1999-03-20 박병준 죠-크라셔의 출구간격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223B1 (ko) * 2001-08-16 2008-11-24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조 크러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46709A (zh) 2002-05-01
JP4247807B2 (ja) 2009-04-02
CN1257773C (zh) 2006-05-31
DE60107636T2 (de) 2005-12-15
JP2002095987A (ja) 2002-04-02
EP1190772B1 (en) 2004-12-08
US20020036246A1 (en) 2002-03-28
KR20020024779A (ko) 2002-04-01
EP1190772A1 (en) 2002-03-27
DE60107636D1 (de) 2005-01-13
US6619576B2 (en) 200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815B1 (ko)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
KR100870223B1 (ko) 조 크러셔
US10399080B2 (en) Moveable jaw mounting assembly
US5799888A (en) Jaw crusher
JP2001525897A (ja) 用具を掘削機の操作アームに脱着可能に連結する装置
JPH09511172A (ja) 特に材料のリサイクル用に構成されたジョー付きクラッシャー
WO2002034393A1 (en) Jaw crusher unit
JP2808236B2 (ja) ジョ−クラッシャのトグルブロック位置調整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装置
JP3133766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の出口隙間調整機構
JP2007253054A (ja) ジョークラッシャ
KR0176297B1 (ko) 죠-크라셔의 출구간격 조절장치
US3166259A (en) Jaw crusher
JPH0545300B2 (ko)
KR200292661Y1 (ko) 죠 크러셔용 스윙 죠 조절 구조
JP2007253053A (ja) ジョークラッシャ
KR100634742B1 (ko) 죠 크러셔의 토글 블럭 수평위치 조절장치
JPH11129303A (ja) 複合直圧式型締装置のタイバーロック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749115B2 (ja) 上ノックアウト装置
JP3691576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
KR200342465Y1 (ko) 죠 크러셔의 출구 간격 조절장치
JPH07837A (ja) ジョークラッシャーのセッテング調整用クサビ装置
RU2230626C1 (ru)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машины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слябов
JPH0224530Y2 (ko)
JPH0716481A (ja) ジョークラッシャーの緊張装置
JPH0757996B2 (ja) 増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