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569B1 -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569B1
KR100768569B1 KR1020070016479A KR20070016479A KR100768569B1 KR 100768569 B1 KR100768569 B1 KR 100768569B1 KR 1020070016479 A KR1020070016479 A KR 1020070016479A KR 20070016479 A KR20070016479 A KR 20070016479A KR 100768569 B1 KR100768569 B1 KR 100768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crusher
grooves
crushing
movable plate
construction was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민호
이상훈
이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주식회사 도요이디아이
금강도시환경 주식회사
중동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주식회사 도요이디아이, 금강도시환경 주식회사, 중동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Priority to KR1020070016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5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2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공정에 사용되고, 가동판이 고정판 방향으로 전후 작동을 하면서 투입되는 폐콘크리트 및 폐아스콘덩어리를 파쇄하는 죠크라샤에 있어서, 가동판과 고정판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다수의 세로홈들이 형성된 라이닝이 고정 설치되되, 상기 세로홈은 상부홈과 하부홈으로 구분되어 상부홈보다 하부홈이 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부홈과 대응되는 전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파쇄보조돌기들이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크라샤를 개시한다.
폐콘크리트, 폐아스콘, 가동판, 고정판, 세로홈, 파쇄보조돌기

Description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Jaw crushers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도 1은 종래의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와 도 3은 종래의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에서 가동판과 고정판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를 나타낸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에서 가동판과 고정판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에서 가동판과 고정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40: 편심축
50: 플라이휘일 60: 구동모터
100: 가동판 110: 라이닝
120: 세로홈 122: 상부홈
124: 하부홈 130: 파쇄보조돌기
140: 둔덕 200: 가동판
210: 라이닝 220: 세로홈
222: 상부홈 224: 하부홈
230: 파쇄보조돌기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공정에 사용되는 죠크라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판과 고정판의 하단부분에 파쇄보조돌기를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하여 파쇄 효율성을 향상시킨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죠크라샤는 충격력과 압축력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중 폐콘크리트 및 폐아스콘덩어리를 1차적으로 파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과 도 2에는 종래의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죠크라샤는 하우징(10)이 구비되고, 하우징(10) 내의 일측에는 고정판(30)이 설치되며, 고정판(30)과 대향되게 가동판(20)이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판(30)과 가동판(20)에는 서로 대향되는 면에 라이닝(22)(32)이 조립 설치되되, 이 라이닝(22)(32)에는 폐콘크리트를 잡아주어 파쇄를 도와주는 다수의 세로홈(24)(34)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판(20)은 상단이 편심축(40)에 연결 설치되며, 편심축(40)은 구동모터(6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플라이휠(50)에 연결된다. 따라서 플라이휠(50)이 회전하게 되면 가동판(20)이 고정판(30)방향으로 전후 운동을 하면서 가동판(20)과 고정판(30) 사이로 투입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플라이휠(50)과 가동판(20) 사이의 상호 연동 관계는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 및 작동되는 종래의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는 가동판과 고정판의 라이닝에 형성된 세로홈이 상단부터 하단까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폐콘크리트를 파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는 폐콘크리트를 통상적으로 250㎜∼200㎜의 사이즈로 파쇄하는데 사용하였다.
이러한 죠크라샤를 이용하여 폐콘크리트를 통해 순환골재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종래에는 죠크라샤에서 폐콘크리트를 250㎜∼200㎜의 사이즈로 1차 파쇄한 후에, 이를 더블 죠크라샤에서 100㎜∼80㎜의 사이즈로 2차 파쇄한 다음, 이를 다시 콘크러셔나 임팩트크러셔에서 40㎜ 이하로 3차 파쇄하여 원하는 순환골재를 획득하였다. 물론, 1차, 2차, 3차 파쇄의 사이사이에는 자석선별기가 설치되어 원래 폐콘크리트에 내제되어 있는 철근, 철편 등의 금속을 분리해 내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에는 40㎜ 이하의 순환골재를 확보하려면 대체로 3차에 걸친 파쇄 공정이 요구되며, 따라서 생산성 및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1차 파쇄와 2차 파쇄 사이에 설치된 자석선별기가 효율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는 폐콘크리트를 80㎜ 정도의 사이즈로 파쇄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죠크라샤와 더블 죠크라샤의 사이에 설치된 자석선별기는 재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2차 파쇄와 3차 파쇄 사이에만 자석선별기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1차 파쇄 시 걸러진 철근을 선별하지 않으면 2차 파쇄로 옮겨질 때 폐콘크리트와 철근, 철편 등이 다시 믹싱되면서 장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생긴다.
또한, 죠크라샤에 따른 1차 파쇄 작업에서 2차 파쇄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3차 파쇄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3차 파쇄 과정에서 기계적인 무리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콘크러셔나 임팩트크러셔에서 200㎜ 정도의 폐콘크리트를 40㎜이하 혹은 그이하의 사이즈로 파쇄하는 것은 매우 힘들기 때문에 기계적인 무리가 생기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동판과 고정판의 하단 부분에 파쇄보조돌기를 더 형성하여 투입되는 폐콘크리트를 80㎜ 정도의 작은 사이즈로 파쇄하는 것이 가능한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는 가동판이 고정판 방향으로 전후 작동을 하면서 투입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하는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에 있어서, 가동판과 고정판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다수의 세로홈들이 형성된 라이닝이 고정 설치되되, 상기 세로홈은 상부홈과 하부홈으로 구분되어 상부홈보다 하부홈이 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부홈과 대응되는 전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파쇄보조돌기들이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파쇄보조돌기들은 하방향으로 20°내지 30°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홈과 대응되는 전면에는 둔덕이 형성되고, 이 둔덕 상에 상기 파쇄보조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에서 가동판과 고정판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에서 가동판과 고정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는 하우징(10)이 구비되고, 하우징(10) 내의 일측에는 고정판(200)이 설치되며, 고정판(200)과 대향되게 가동판(100)이 설치된다. 그리고 가동판(100)은 상단이 편심 축(40)에 연결 설치되며, 편심축(40)은 구동모터(6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플라이휠(50)에 연결된다. 따라서 플라이휠(50)이 회전하게 되면 가동판(100)이 고정판(200)방향으로 전후 운동을 하면서 가동판(100)과 고정판(200) 사이로 투입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플라이휠(50)과 가동판(100) 사이의 상호 연동 관계는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죠크라샤에서 가동판(100)과 고정판(200)의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동판(100)과 고정판(200)에는 서로 대향되는 면에 라이닝(110)(210)이 조립 설치되되, 이 라이닝(110)(210)에는 폐콘크리트를 잡아주 어 파쇄를 도와주는 다수의 세로홈(120)(2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세로홈(120)(220)은 상부홈(122)(222)과 하부홈(124)(224)으로 구분되어 상부홈(122)(222)보다 하부홈(124)(224)이 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부홈(124)(224)과 대응되는 전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파쇄보조돌기(130)(230)들이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때, 파쇄보조돌기(130)(230)들은 하부홈(124)(224)을 가로질러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고, 하부홈(124)(224)과 하부홈(124)(224)의 사이에만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홈(122)(222)과 하부홈(124)(224)의 폭이 다를 뿐만 아니라 하부홈(124)(224)의 전면에는 파쇄보조돌기(130)(230)들이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판(100)과 고정판(200)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파쇄 범위를 갖게 된다. 즉, 가동판(100)과 고정판(200) 사이에 폐콘크리트가 투입되면 상부에서는 250㎜∼200㎜의 사이즈로 파쇄가 이루어지게 되고, 하부에서는 좀더 세밀하게 100㎜∼80㎜의 사이즈로 파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쇄보조돌기(130)(230)들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되, 그 경사 각도는 20°내지 30°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동판(100)이 편심축(40)의 회전에 따라 파쇄 목적으로 고정판(200) 방향으로 전후 운동을 할 때 크랭크 운동과 유사하게 전진했다가 하방향으로 약간 내려오면서 후진하는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파쇄보조돌기(130)(230)들이 폐콘크리트들을 파쇄하는 것과 동시에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하방향으로 끌어내릴 수 있 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파쇄보조돌기(130)(230)는 걸고리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판(100)에 설치된 라이닝(110)의 하부에 둔덕(140)을 형성하고 이 둔덕(140)에 파쇄보조돌기(130)들을 형성하여 폐콘크리트가 둔덕(140)에 의해 더 협소해진 공간을 통과하면서 작은 사이즈로 파쇄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폐콘크리트가 둔덕(140)에 걸려 협소해진 공간을 통과하기 위해 천천히 하강하다가 파쇄보조돌기(130)(230)들에 의해 파쇄된 후에는 경사지게 설치된 파쇄보조돌기(130)(230)들이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하방향으로 강제로 끌어내리기 때문에 폐콘크리트들의 걸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작은 사이즈로 파쇄가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죠크라샤는 가동판과 고정판 사이에 투입된 폐콘크리트를 가동판과 고정판의 상부에서 먼저 250㎜∼200㎜의 사이즈로 파쇄한 후, 하부에서 이를 좀더 세밀하게 파쇄하여 100㎜∼80㎜의 사이즈로 파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죠크라샤를 통과한 폐콘크리트는 최종적으로 100㎜∼80㎜의 작은 사이즈로 일정하게 파쇄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죠크라샤를 이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폐콘크리트를 죠크라샤에서 250㎜∼200㎜의 사이즈로 1차 파쇄한 후, 이를 더블 죠크라샤에서 100㎜∼80㎜의 사이즈로 2차 파쇄한 다음, 이를 다시 콘크러셔나 임팩트크러셔에서 40㎜ 이하로 3차 파쇄하여 원하는 순환골재를 획득하는 공정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죠크라샤에서 폐콘크리트를 100㎜∼80㎜의 사이즈로 1차 파쇄한 다음, 더블 죠크라샤를 거치지 않고 직접 콘크러셔나 임팩트크러셔를 통해 40㎜ 이하로 2차 파쇄하는 작업 공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40㎜ 이하의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순환골재를 획득하는 작업 공정이 단순하고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에서 폐콘크리트를 100㎜∼80㎜의 사이즈로 파쇄한 다음, 더블 죠크라샤를 거치지 않고 직접 콘크러셔나 임팩트크러셔를 통해 40㎜ 이하로 파쇄할 수 있기 때문에 40㎜ 이하의 순환골재를 획득하는 작업 공정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더블 죠크라샤 작업 공정이 생략되더라도 죠크라샤에서 폐콘크리트를 100㎜∼80㎜의 사이즈로 잘게 파쇄하여 콘크러셔나 임팩트크러셔로 보내기 때문에 콘크러셔나 임팩트크러셔의 기계적 무리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죠크라샤에서 폐콘크리트를 파쇄할 때 철근과 폐콘크리트가 확실히 분리되기 때문에 자석선별기를 이용한 철근 분리률이 효율적이고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 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가동판이 고정판 방향으로 전후 작동을 하면서 투입되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하는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에 있어서,
    가동판과 고정판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다수의 세로홈들이 형성된 라이닝이 고정 설치되되, 상기 세로홈은 상부홈과 하부홈으로 구분되어 상부홈보다 하부홈이 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부홈과 대응되는 전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파쇄보조돌기들이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보조돌기들은 하방향으로 20°내지 30°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의 하부홈과 대응되는 전면에는 둔덕이 형성되고, 이 둔덕 상에 상기 파쇄보조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KR1020070016479A 2007-02-16 2007-02-16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Expired - Fee Related KR100768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479A KR100768569B1 (ko) 2007-02-16 2007-02-16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479A KR100768569B1 (ko) 2007-02-16 2007-02-16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569B1 true KR100768569B1 (ko) 2007-10-19

Family

ID=3881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47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8569B1 (ko) 2007-02-16 2007-02-16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56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890A1 (zh) * 2011-05-01 2012-11-08 浙江黑白矿山机械有限公司 无齿齿板破碎副
CN104874434A (zh) * 2015-05-21 2015-09-02 郑州大学 烧结砖用往复式颚式破碎机
KR101823310B1 (ko) * 2017-11-17 2018-01-31 이기성 수평 이동 파쇄부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CN109046692A (zh) * 2018-09-06 2018-12-21 武威市津威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建筑垃圾破碎装置
KR102082444B1 (ko) 2019-11-22 2020-02-27 일승산업 주식회사 마그네틱 라이너를 적용한 건설폐기물용 죠크라샤
KR102119260B1 (ko) 2019-11-22 2020-06-04 일승산업 주식회사 마그네틱 라이너를 적용한 건설폐기물용 죠크라샤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방법
CN113083408A (zh) * 2021-04-01 2021-07-09 苏轶 一种利用建筑固体废物制作再生混凝土骨料的方法
CN113680792A (zh) * 2021-08-21 2021-11-23 刘秀梅 一种建筑垃圾粉碎再利用设备
WO2022120891A1 (zh) * 2020-12-10 2022-06-16 毛雪梅 一种多功能破碎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779A (ko) * 2000-09-26 2002-04-01 안자키 사토루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
JP2002301388A (ja) * 2001-04-06 2002-10-15 Yasuaki Okuya 鋳物用の破砕バケット
JP2003112146A (ja) * 2001-10-03 2003-04-15 Mizu Chemicals:Kk 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
JP2003154491A (ja) * 2001-11-19 2003-05-27 Tsuruya Tabei Seisakusho:Kk 容器減容機
KR200356956Y1 (ko) 2004-04-22 2004-07-21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KR100566959B1 (ko) 2005-09-14 2006-03-31 우광개발주식회사 재생 굵은골재용 모르타르 박리기
KR100676374B1 (ko) 2005-10-05 2007-02-01 삼환환경 주식회사 완충장치를 갖는 폐기물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779A (ko) * 2000-09-26 2002-04-01 안자키 사토루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
JP2002301388A (ja) * 2001-04-06 2002-10-15 Yasuaki Okuya 鋳物用の破砕バケット
JP2003112146A (ja) * 2001-10-03 2003-04-15 Mizu Chemicals:Kk 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
JP2003154491A (ja) * 2001-11-19 2003-05-27 Tsuruya Tabei Seisakusho:Kk 容器減容機
KR200356956Y1 (ko) 2004-04-22 2004-07-21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KR100566959B1 (ko) 2005-09-14 2006-03-31 우광개발주식회사 재생 굵은골재용 모르타르 박리기
KR100676374B1 (ko) 2005-10-05 2007-02-01 삼환환경 주식회사 완충장치를 갖는 폐기물 선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890A1 (zh) * 2011-05-01 2012-11-08 浙江黑白矿山机械有限公司 无齿齿板破碎副
CN104874434A (zh) * 2015-05-21 2015-09-02 郑州大学 烧结砖用往复式颚式破碎机
KR101823310B1 (ko) * 2017-11-17 2018-01-31 이기성 수평 이동 파쇄부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CN109046692A (zh) * 2018-09-06 2018-12-21 武威市津威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建筑垃圾破碎装置
KR102082444B1 (ko) 2019-11-22 2020-02-27 일승산업 주식회사 마그네틱 라이너를 적용한 건설폐기물용 죠크라샤
KR102119260B1 (ko) 2019-11-22 2020-06-04 일승산업 주식회사 마그네틱 라이너를 적용한 건설폐기물용 죠크라샤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방법
WO2022120891A1 (zh) * 2020-12-10 2022-06-16 毛雪梅 一种多功能破碎机
CN113083408A (zh) * 2021-04-01 2021-07-09 苏轶 一种利用建筑固体废物制作再生混凝土骨料的方法
CN113680792A (zh) * 2021-08-21 2021-11-23 刘秀梅 一种建筑垃圾粉碎再利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569B1 (ko)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EP0588382A2 (en) Jaw crusher
CN109174928B (zh) 一种回收处理建筑废料设备的操作方法
US20120234952A1 (en) Conjugate anvil hammer mill
CN103041893B (zh) 反击破碎机的板锤
CN101632953A (zh) 双辊双腔三击式破碎机
KR102196593B1 (ko)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시스템
CN210787565U (zh) 一种出料口间隙可调节的箱式破碎机
KR102082444B1 (ko) 마그네틱 라이너를 적용한 건설폐기물용 죠크라샤
KR101161423B1 (ko) 골재파쇄를 위한 죠크라샤의 만곡판
KR101143573B1 (ko) 조 크러셔
KR100768570B1 (ko) 도로용 순환골재 획득방법
KR101252448B1 (ko) 죠크라셔의 파쇄물 간격조절구
KR20110025421A (ko) 파쇄기
EP2644275B1 (en) Jaw crusher
CN201470425U (zh) 双辊双腔三击式破碎机
CN203018133U (zh) 反击破碎机用组合堆焊式锤头
CN203018132U (zh) 反击式破碎机用组合式高锰锤头
CN112456841B (zh) 一种建筑固体废弃物回收再利用方法
KR100931470B1 (ko) 골재 파쇄 햄머 크러셔
KR100874831B1 (ko) 파쇄기
KR20130142714A (ko) 임팩트 크라샤 분쇄 날
KR102119260B1 (ko) 마그네틱 라이너를 적용한 건설폐기물용 죠크라샤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방법
KR200379037Y1 (ko)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
CN209934809U (zh) 一种矿石加工碎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4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