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573B1 - 조 크러셔 - Google Patents

조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573B1
KR101143573B1 KR1020090037166A KR20090037166A KR101143573B1 KR 101143573 B1 KR101143573 B1 KR 101143573B1 KR 1020090037166 A KR1020090037166 A KR 1020090037166A KR 20090037166 A KR20090037166 A KR 20090037166A KR 101143573 B1 KR101143573 B1 KR 101143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ever
jaw
toggle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367A (ko
Inventor
하용간
Original Assignee
하용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간 filed Critical 하용간
Priority to KR102009003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57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25Jaw clearance or overloa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10Shape or construction of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46Shape or construction of frames, housings o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암석 파쇄 시 스윙 조의 파쇄력을 증대시키는 레버형 배력수단의 레버와 레버편심축 조립체가 일체화된 조 크러셔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조 크러셔는 파쇄실이 제공되며 파쇄실의 일측에는 고정 조 플레이트가 장착된 프레임과, 고정 조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스윙 조 플레이트가 장착되고 암석 파쇄 시 고정 조 플레이트 쪽으로 왕복운동을 반복하는 스윙 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 크러셔는 암석 파쇄를 위해 작동하는 스윙 조의 파쇄력을 증대시키는 레버형 배력수단을 더 구비한다. 레버형 배력수단은, 스윙 조의 타측에 이격 배치되는 레버와, 레버의 상부가 매달리는 레버편심축 조립체와, 레버의 하부와 상기 스윙 조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토글판을 가지는 레버조립체 및 외곽지지체와, 외곽지지체 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레버와 상부 토글판에 의해서 연결되어 암석의 파쇄 크기와 암석의 파쇄력을 감당하는 간격조절지지체를 가지는 파쇄크기조절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 크러셔{JAW CRUSHER}
본 발명은 암석 파쇄 시 스윙 조의 파쇄력을 증대시키는 레버형 배력수단이 구비된 조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크러셔(crusher)는 광석, 또는 기타 고체 원료를 적당한 크기로 파쇄하는 기계이며, 폭약에 의해 파쇄된 바위 조각들은 조 크러셔(jaw crusher)를 이용하여 1차 파쇄하게 된다. 이러한 조 크러셔는 다른 크러셔(파쇄기)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유지보수에 거의 비용이나 시간이 소모되지 않아 경제성이 우수하여 1차 파쇄기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조 크러셔는 싱글토글(single toggle)형 크러셔, 더블토글(double toggle)형 크러셔, 그리고 다지(dodge)형 크러셔로 구분할 수 있고, 다지형 크러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싱글토글형 크러셔는 구조가 단순하고 무게가 가벼워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더블토글형 크러셔는 대용량이 요구되는 곳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싱글토글형 크러셔의 장점과 더블토글형 크러셔의 장점을 모두 가진 크러셔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결과물로써,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 0441918 호"의 "조 크러셔"라는 명칭의 발명을 제안하였다.
전술한 "특허등록 제 0441918 호"를 살펴보면, 조 크러셔는 스윙 조의 상부에 장석형 지지장치가 마련되고, 스윙 조 하부를 토글플레이트를 통하여 밀어서 파쇄력을 공급하는 레버형 배력수단이 스윙 조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다. 레버형 배력수단은 편심회전축을 가진 드럼형 구동부와 드럼형 구동부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스윙 조와 연결되는 레버부를 구비하는데, 드럼형 구동부는 레버부의 상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조 크러셔는 편심회전축이 회전하면 드럼형 구동부가 편심운동을 하면서 레버부와 접촉하게 되고, 드럼형 구동부의 구동력이 레버부를 통하여 수배로 증가하여 스윙 조를 밀게된다. 그 결과 레버부를 통하여 파쇄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경도가 아주 높은 암석 등을 용이하게 파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어링 등과 같은 부품에 무리한 힘이 전달되지 않아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전술한 "특허등록 제 0441918 호"에서는 드럼형 구동부와 레버부가 독립적으로 배치되고, 스윙 조의 하부를 뒤쪽으로 잡아당기는 텐션스프링에 의해서 레버부의 상부가 드럼형 구동부와 밀착되기 때문에 레버부의 상부가 드럼형 구동부의 움직임을 추종하는데 약간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은 파쇄 속도가 고속으로 올라갈수록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그 결과 레버부와 드럼형 구동부의 순간적인 이격으로 접촉면이 마모되고 소음이 발생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텐션스프링의 세기를 강하게 조정함으로써 완화시킬 수 있으나 강도가 강한 스프링을 사용해야하고, 스프링이 자주 파손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암석 파쇄 시 스윙 조의 파쇄력을 증대시키는 레버형 배력수단의 레버부와 레버구동부를 일체화함으로써, 작동 시 레버부가 레버구동부를 추종하는데 따른 종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조 크러셔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2개의 토글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레버가 레버구동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더라도 레버가 스윙 조를 앞뒤로만 구동할 수 있고 스윙 조를 밀어주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 크러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일단에 장착된 고정 조 플레이트와, 고정 조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스윙 조 플레이트를 장착하고 상단부에서 프레임의 상단부에 요동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 조 플레이트와 스윙 조 플레이트는 프레임과 더불어 쐐기형 파쇄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스윙 조와, 스윙 조의 배면을 고정 조 플레이트 쪽으로 밀어서 암석 등을 파쇄하는 동력을 공급하는 레버형 배력수단을 가진 조 크러셔에 있어서,
레버형 배력수단은,
스윙 조의 배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레버,
레버의 상단부와 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된 레버편심축 조립체,
레버편심축 조립체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상부 토글판, 상부 토글시트, 및 상부 토글 시트하우징,
레버편심축 조립체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하부 토글판, 하부 토글시트, 및 하부 토글 시트하우징, 및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파쇄력을 감당하는 파쇄크기조절부로 구성된 조 크러셔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 크러셔는 스윙 조에 파쇄력을 증대시키는 레버와, 레버를 구동시키는 레버편심축을 일체화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레버가 구동드럼을 추종하는데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숙하고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함과 아울러 파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 크러셔는 상부 토글판 및 하부 토글판을 구비함으로써, 레버가 레버편심축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더라도 레버 상부의 전후 운동성분만을 스윙 조에 전달하면서 파쇄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종래 더블토글 조 크러셔와 비교하더라도 상부 토글판 및 하부 토글판의 상하운동 각도가 종래 조 크러셔들에 비해 작기 때문에 토글판 및 토글시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토글판 및 하부 토글판이 수평으로 겹치게 배치되어 있어 조 크러셔의 전체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 크러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 크러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 크러셔(100)는, 고정 조 플레이트(116)가 설치되는 프레임(112)과, 투입된 암석을 가압하여 파쇄하는 스윙 조(122)와, 스윙 조(122)를 항상 뒤쪽에서 당기고 있는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부(14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 크러셔(100)는 암석의 파쇄 크기 및 암석 파쇄를 위해 작동하는 스윙 조(122)에게 파쇄력을 공급하는 레버형 배력수단(150)을 더 구비한다.
먼저, 프레임(112)은 내부에 파쇄실(114)이 제공된다. 파쇄실(114)의 일측면 상에는 고정 조 플레이트(116)가 장착된다. 고정 조 플레이트(116)는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며, 파쇄실(114) 쪽으로 노출된 고정 조 플레이트(116)의 일측면 상에는 파쇄돌조가 형성된다. 한편, 파쇄실(114)의 상부에는 파쇄할 암석이 투입되는 투입구(114a)가 제공되며, 파쇄실(114)의 하부에는 파쇄된 암석이 배출되는 배출구(114b)가 제공된다.
스윙 조(122)는 파쇄실(114)의 타측, 즉 고정 조 플레이트(116)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고정 조 플레이트(116)와 마주보는 일측면에는 스윙 조 플레이트(124)가 장착된다. 스윙 조(122)의 상부는 대형 핀(126)에 의해 요동운동가능하게 프레임(112)의 상부에 장착된다. 한편, 스윙 조 플레이트(124)의 하부는 스윙 조(122)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스톱퍼(128)에 안착되고, 스윙 조 플레이트(124)의 상부는 스윙 조 플레이트(124)를 하측으로 눌러 스톱퍼(128)에 밀착시키는 웨지(wedge; 130) 및 스윙 조(122)를 관통하여 웨지(130)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32)에 의해서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 조 플레이트(116)와 마주보는 스윙 조 플레이트(124)에도 웨지(130) 및 체결볼트(132)에 간섭되지 않게 파쇄돌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스윙 조(122)의 타측으로는 텐션부(140)가 프레임(112)의 타측 하부에 지지되게 배치된다.
텐션부(140)는 프레임(112)의 타측 하부에서 연장되는 브라켓(144)에 의해서 타단이 지지되고, 일단은 스윙 조(122)의 타측 하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텐션조절로드(142)와, 텐션조절로드(142)의 타단에 끼워지는 텐션스프링(146)을 구비한다. 텐션스프링(146)은 스윙 조(122)에게 후방으로의 장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레버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레버조립체를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레버형 배력수단(150)은 레버조립체(152)와, 파쇄크기조절부(170)로 이루어진다.
레버조립체(152)는 스윙 조(122)의 배면에 이격 배치되는 레버(154)와, 레버(154)의 상부가 매달리는 레버편심축 조립체(162)를 구비한다.
레버(154)는 암석 파쇄 시 파쇄력을 견딜 수 있도록 두꺼운 철판으로 제조됨과 아울러 모멘트가 크고 깊숙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레버(154)는 대략 스윙 조(122)의 배면을 따라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제1등판(154a)과, 제1등판(154a)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제1등판(154a)의 배면 측으로 연장되는 제2등판(154b)과, 등판들(154a, 154b)의 좌우측을 마감하는 측면판(154c)으로 이루어진다. 즉, 레버(154)는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두 장의 측면판(154c)들과 측면판(154c)의 스윙 조(122) 쪽과 아래쪽 변들을 서로 연결하여 둔각을 이루는 등판들(154a, 154b)이 결합되어 스윙 조(122) 쪽과 아래쪽은 막히고 파쇄크기조절부(170) 쪽은 열려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제2등판(154b)의 연장단 하부와 스윙 조(122)의 배면 하부는 텐션조절로드(142)에 간섭되지 않게 하부 토글판(156)에 의해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제2등판(154b)의 연장단 하부 및 스윙 조(122)의 배면 하부에는 하부 토글 시트하우징(158) 및 스윙 조 토글 시트하우징(160)이 마련되고, 하부 토글 시트하우징(158) 및 스윙 조 토글 시트하우징(160) 내에는 하부 토글판(156)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는 하부 토글시트(158a, 160a)가 내장된다.
한편, 레버편심축 조립체(162)는 프레임(112)의 타측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레버편심축 조립체(162)는 프레임(112)의 배면 상부에 결합되는 편심축하우징(164)에 설치되며,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의 양측에는 피트먼 베어링(166)이 끼워지고, 각각의 피트먼 베어링(166)의 외측에는 메인베어링(168)이 끼워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트먼 베어링(166)은 편심축하우징(164) 내에 한정되고, 메인베어링(168)은 메인베어링하우징(169)에 한정된다. 그리고 메인베어링하우징(169)은 암석 파쇄력과 레버(154)의 자중을 감당할 수 있도록 프레임(112)에 형성된 장착홈(118)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에는 모터(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통상의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통상의 풀리와 플라이 휠(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 크러셔의 평면도이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파쇄크기조절부(170)는 암석의 파쇄 크기와 아울러 암석 파쇄력을 감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쇄크기조절부(170)는 프레임(112)의 타측 하부에서 프레임(11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174a)과, 한 쌍의 측판(174a)의 연장부를 연결하는 뒷판(174b)으로 이루어진 외곽지지체(172) 및 외곽지지체(172)의 내부에 형성되는 간격조절지지체(176)를 구비한다.
간격조절지지체(176)는 뒷판(174b)의 내측면 상에서 스윙 조(122) 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하부수평판(178a, 178b)과, 상하부수평판(178a, 178b)의 연장단부를 마감하는 쉼 지지판(178c)을 구비한다. 쉼 지지판(178c)의 양단은 측판(174a)과 연결된다. 또한, 간격조절지지체(176)는 쉼 지지판(178c)의 일측면 양측에서 스윙 조(122) 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소측판(180a)과, 소측판(180a)의 상부 및 하부를 마감하는 바닥판(180b) 및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구성된 덮개판(180c)을 구비하고, 바닥판(180b) 및 덮개판(180c) 사이에는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레버(154)의 배면 상에는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과 상부 토글판(184)에 의해서 연결되는 상부 토글 시트하우징(186)이 형성된다.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 및 상부 토글 시트하우징(186) 내에는 상부 토글판(184)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는 상부 토글시트(182a, 186b)가 내장된다.
한편,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과 쉼 지지판(178c) 사이에는 다수의 쉼판(188; 도 4참조)이 배치되는데, 이를 위해서 쉼 지지판(178c)과 덮개판(180c)의 타단 사이에는 쉼판(188)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된다. 또한, 쉼판(188)을 용이하게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과 쉼 지지판(178c) 사이에 삽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하부수평판(178a, 178b)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유압잭(192)이 내장되며, 유압잭(192)의 전면에는 쉼 지지판(178c) 및 쉼판(188)을 관통하여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에 밀착되는 밀대(194)가 구비된다. 밀대(194)는 유압잭(192)에서 연장되는 유압잭로드(193)와 접촉된다. 한편, 쉼판(18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194)가 관통되는 절개홈(196)이 쉼판(188)의 하부에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부수평판(178a)에는 유압잭(192)을 출입시킬 수 있는 유압잭작동구(198)가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조 크러셔(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외부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레버편심축 조립체(162)가 회전하면, 레버(154)는 레버편심축 조립체(162)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부 토글판(156)을 통해 레버(154) 상부의 전후 운동성분만을 스윙 조(122)에 전달하여 스윙 조(122)를 구동시킨다. 스윙 조(122)가 구동되면, 스윙 조(122)는 고정 조 플레이트(116)를 향하여 왕복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스윙 조(122)가 고정 조 플레이트(116) 쪽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투입구(114a)를 통해 파쇄할 암석을 투입한다. 투입구(114a)에 투입된 암석은 스윙 조(122)와 함께 왕복운동을 하는 스윙 조 플레이트(124)의 압력에 의해서 파쇄실(114) 내에서 파쇄된 후, 배출구(114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골재를 얻을 수 있다.
파쇄할 암석의 파쇄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유압작동구(198)를 통해 유압잭(192)을 삽입시킨 상태 하에서 유압잭(192)을 작동시켜 유압잭로드(193)를 신장시켜 밀대(194)를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밀대(192)가 가압되면, 밀대(194)는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을 스윙 조(122) 쪽으로 밀게 된다. 이와 같이 밀대(194)가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을 밀어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과 쉼 지지판(178c) 사이에 유동공간이 발생하면, 쉼판(188)을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하여 파쇄될 암석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쉼판(188)을 삽입하게 되면, 레버(154) 및 스윙 조(122)가 고정 조 플레이트(116) 쪽으로 이동되어 암석을 잘게 파쇄하게 되고, 쉼판(188)을 인출하게 되면, 반대로 레버(154) 및 스윙 조(122)가 고정 조 플레이트(116)의 대향하는 쪽으로 이동되어 암석을 크게 파쇄하게 된다. 이때,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과, 다수의 쉼판(188)과 쉼 지지판(178c)은 텐션부(140)의 텐션스프링(146)에 의해서 밀착되어 암석 파쇄력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의 회전으로 인해 작동하는 레버(154)는 스윙 조(122)의 파쇄력을 증대시키는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레버형 배력수단을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최초에 레버(154), 상부 토글판(184) 및 하부 토글판(156)이 도면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배치된 상태 하에서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의 회전으로 인해 레버(154), 상부 토글판(184) 및 하부 토글판(156)이 링크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레버(154)가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의 회전에 의해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의 방사상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부 토글판(156)은 최초 위치(가)에서 스윙 조(122)를 도면에 도시된 (나)지점까지 밀게 되고, 레버(154)가 최초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되면, 하부 토글판(156)은 도면에 도시된 (다)지점까지 스윙 조(122)를 최대한 밀게 된다. 다시 레버(154)가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의 방사상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부 토글판(156)은 도면에 도시된 (라)지점까지 안내된다.
여기서 하부 토글판(156)이 이동한 거리는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의 회전에 따라 레버(154)의 상단이 움직이는 거리의 약 반이며, 스윙 조(122)를 구동하는 구동력은 증가시켜 스윙 조(122)의 파쇄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 크러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레버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레버조립체를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 크러셔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쉼판을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버형 배력수단을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조 크러셔 112 : 프레임
114 : 파쇄실 116 : 고정 조 플레이트
118 : 장착홈 122 : 스윙 조
124 : 스윙 조 플레이트 126 : 대형 핀
140 : 텐션부 150 : 레버형 배력수단
152 : 레버조립체 156 : 하부 토글판
162 : 레버 편심축 조립체 170 : 파쇄크기조절부
172 : 외곽지지체 176 : 간격조절지지체

Claims (10)

  1. 프레임(112)의 일단에 장착된 고정 조 플레이트(116)와, 상기 고정 조 플레이트(116)와 마주보는 스윙 조 플레이트(124)를 장착하고 상단부에서 상기 프레임(112)의 상단부에 요동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조 플레이트(116)와 스윙 조 플레이트(124)는 상기 프레임(112)과 더불어 쐐기형 파쇄실(114)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스윙 조(122)와, 상기 스윙 조(122)의 배면을 상기 고정 조 플레이트(116) 쪽으로 밀어서 암석이나 광물을 파쇄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레버형 배력수단(150)을 가진 조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레버형 배력수단(150)은,
    상기 스윙 조(122)의 배면에 이격되어 둔각을 갖도록 배치되는 레버(154)와, 상기 레버(154)의 상단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된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와, 상기 레버(154)의 둔각부분 위쪽에 결합되는 상부 토글판(184)과, 상기 레버(154)의 하단부와 상기 스윙조(12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토글판(156)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토글판(184)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토글판(184)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파쇄력을 감당하는 파쇄크기조절부(17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54)는 상기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두 장의 측면판들(154c)과 상기 측면판들(154c)의 상기 스윙 조(122) 쪽과 아래쪽 변들을 서로 연결하는 등판들(154a, 154b)이 결합되어 상기 스윙 조(122) 쪽과 아래쪽은 막히고 상기 파쇄크기조절부(170) 쪽은 열려 있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54) 하단부 및 상기 스윙 조(122)의 배면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토글판(156)을 결합시키기 위한 하부 토글 시트하우징(158) 및 스윙 조 토글 시트하우징(160)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 토글 시트하우징(158) 및 상기 스윙 조 토글 시트하우징(160) 내에는 상기 하부 토글판(156)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는 하부 토글시트(158a, 160a)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편심축 조립체(162)는 상기 프레임(112)에 결합되는 편심축하우징(164)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편심축 조립체(162)의 양측에는 피트먼 베어링(166)이 끼워지고, 각각의 상기 피트먼 베어링(166)의 외측에는 메인베어링(168)이 끼워지며, 상기 피트먼 베어링(166)은 편심축하우징(164) 내에 한정되고, 상기 메인베어링(168)은 메인베어링하우징(169)에 한정되며, 상기 메인베어링하우징(169)은 암석 파쇄력과 상기 레버(154)의 자중을 감당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12)에 형성된 장착홈(118)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크기조절부(170)는 그 골격을 이루는 외곽지지체(172)와, 상기 외곽지지체(172)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지지체(176)로 구성되며,
    상기 외곽지지체(172)는 상기 프레임(112)의 타측에서 상기 프레임(11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174a)과, 상기 측판(174a)의 연장부를 연결하는 뒷판(174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조절지지체(176)는 상기 뒷판(174b)의 내측면 상에서 상기 스윙 조(122)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하부수평판(178a, 178b)과, 상기 상하부수평판(178a, 178b)의 연장단부를 마감하면서 양단이 상기 측판(174a)에 연결되는 쉼 지지판(178c)과, 상기 쉼 지지판(178c)의 일측면 양측에서 상기 스윙 조(122)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소측판(180a)과, 상기 소측판(180a)의 상부 및 하부를 마감하는 바닥판(180b) 및 덮개판(180c)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180b) 및 상기 덮개판(180c) 사이에는 상기 상부 토글판(184)이 결합되기 위한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54)에는 상기 상부 토글판(184)이 결합되기 위한 상부 토글 시트하우징(186)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 및 상기 상부 토글 시트하우징(186) 내에는 상기 상부 토글판(184)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는 상기 상부 토글시트(182a, 186a)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과 상기 쉼 지지판(178c) 사이에는 다수의 쉼판(188)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그러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쉼 지지판(178c)과 상기 덮개판(180c)의 타단 사이에는 상기 쉼판(188)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쉼판(188)을 용이하게 상기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과 상기 쉼 지지판(178c) 사이에 삽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수평판(178a, 178b)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유압잭(192)이 내장되며, 상기 유압잭(192)의 전면에는 상기 쉼 지지판(178c) 및 상기 쉼판(188)을 관통하여 상기 간격조절 토글 시트하우징(182)에 밀착되는 밀대(194)가 구비되고, 상기 밀대(194)는 상기 유압잭(192)에서 연장되는 유압잭로드(193)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80c)은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
KR1020090037166A 2009-04-28 2009-04-28 조 크러셔 KR101143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166A KR101143573B1 (ko) 2009-04-28 2009-04-28 조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166A KR101143573B1 (ko) 2009-04-28 2009-04-28 조 크러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367A KR20100118367A (ko) 2010-11-05
KR101143573B1 true KR101143573B1 (ko) 2012-05-09

Family

ID=4340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166A KR101143573B1 (ko) 2009-04-28 2009-04-28 조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5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12B1 (ko) * 2014-02-05 2014-09-22 정태현 죠 크러셔의 수치판과 동치판의 간격조절장치
CN106622459A (zh) * 2017-01-20 2017-05-10 方松 一种矿石碎矿系统
KR20230158886A (ko) 2022-05-12 2023-11-21 케이피산업 주식회사 조 크러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2533A (zh) * 2015-08-14 2015-11-11 重庆市鑫圣陶瓷有限公司 用于制作陶瓷的破碎装置
CN110560205B (zh) * 2019-10-10 2020-12-04 东阳市伟程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石料生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0145A (en) * 1979-04-24 1983-10-18 Ibag-Vertrieb Gmbh Stone crusher
KR0176297B1 (ko) * 1996-07-12 1999-03-20 박병준 죠-크라셔의 출구간격 조절장치
KR20020024779A (ko) * 2000-09-26 2002-04-01 안자키 사토루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
KR20030053203A (ko) * 2001-12-22 2003-06-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텅스텐 볼케노 방지를 위한 금속배선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0145A (en) * 1979-04-24 1983-10-18 Ibag-Vertrieb Gmbh Stone crusher
KR0176297B1 (ko) * 1996-07-12 1999-03-20 박병준 죠-크라셔의 출구간격 조절장치
KR20020024779A (ko) * 2000-09-26 2002-04-01 안자키 사토루 조크러셔의 출구간극 조정기구
KR20030053203A (ko) * 2001-12-22 2003-06-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텅스텐 볼케노 방지를 위한 금속배선 형성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12B1 (ko) * 2014-02-05 2014-09-22 정태현 죠 크러셔의 수치판과 동치판의 간격조절장치
CN106622459A (zh) * 2017-01-20 2017-05-10 方松 一种矿石碎矿系统
KR20230158886A (ko) 2022-05-12 2023-11-21 케이피산업 주식회사 조 크러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367A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573B1 (ko) 조 크러셔
CN104902999B (zh) 活动颚安装组件
CN208356994U (zh) 一种建筑用石子破碎机
CN211660100U (zh) 一种煤矿开采用粉碎筛分装置
KR100768569B1 (ko)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CN208912152U (zh) 一种新型矿用破碎机
TW200904535A (en) Crusher, method for crushing materi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rusher
US4899942A (en) Jaw crusher
KR100278063B1 (ko)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
JP6343668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ー、破砕プラント及び破砕方法
CN102380435A (zh) V形破碎腔颚式破碎机
WO2018113959A1 (en) Jaw crusher support frame
CN203044128U (zh) 一种锤击式筛分破碎一体机
US20080217452A1 (en) Jaw Crusher
CN210752843U (zh) 颚式破碎机
KR101823310B1 (ko) 수평 이동 파쇄부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KR101237705B1 (ko) 목재 파쇄기
CN101940961A (zh) 一种新型颚式破碎机颚板间隙调整装置
GB2466032A (en) Jaw crusher
US800278A (en) Rock-crusher.
KR200306703Y1 (ko) 죠 크러셔의 이동플레이트 하부 결합구조
CN218834591U (zh) 一种硅料颚式破碎机
KR102211423B1 (ko) 싱글 롤 타입 롤 크러셔
CN220405911U (zh) 一种防止堵塞的破碎机用上料装置
KR101062739B1 (ko) 푸싱장치를 갖춘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