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286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 그것에사용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 그것에사용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286B1
KR100763286B1 KR1020050093850A KR20050093850A KR100763286B1 KR 100763286 B1 KR100763286 B1 KR 100763286B1 KR 1020050093850 A KR1020050093850 A KR 1020050093850A KR 20050093850 A KR20050093850 A KR 20050093850A KR 100763286 B1 KR100763286 B1 KR 100763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layer
side chain
composition
binder resin
hydrox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074A (ko
Inventor
기미노리 오시오
아키라 구마자와
도모유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0Layers for protecting or enhancing the electron emission, e.g. MgO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유전체층 측의 표면의 기판 또는 전극 중 어느 하나에 구리가 존재하는 PDP의 전면판 또는 배면판에 있어서, 소성후에 유전체층 내에 기포가 남지 않고, 충분한 평탄성이 얻어진 유전체층을 사용한 PDP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상기 유전체층의 소성후의 두께가 5∼15㎛ 이고, 소성전의 유전체층이 (a) 무기 분말, 및 (b) 측쇄에 수산기를 갖고,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양이, 모노머 구성 단위당의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평균 개수로 환산하여, 1 모노머 구성 단위당 0.4 개 이상인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소성후에 유전체층 내에 기포가 남지 않고, 충분한 평탄성을 얻을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배면판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 그것에 사용되는 조성물{FRONT PLATE AND REAR PLATE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COMPOSITION FOR USE THEREIN}
도 1 은 와플 구조형 셀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면판 10: 유리 기판
11: 전극 110: 투명 전극
112: 버스 전극 12: 유전체층
12A: 미소성 유전체층 16: 스페이서층
19: 보호막 2: 배면판
20: 기판 21: 어드레스 전극
22: 유전체층 24: 리브
26: 형광체층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28470호
본 발명은, 기체 방전을 사용한 자발광 형식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이하, PDP라고 기재한다) 에 사용되는 전면판 및 배면판, 그것에 사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다수의 미세한 셀을 자기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대화면, 박형, 경량, 플랫이라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실현할 수 없었던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고, 그의 보급이 도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PDP는, 2장의 대향하는 유리 기판에 각각 규칙적으로 배열한 한 쌍의 전극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Ne, Xe, He 등을 주체로 하는 희가스를 봉입한 구조이다. 이들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극 주변의 미소한 셀내에서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각 셀을 발광시켜서 표시를 하고 있다. PDP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셀을 선택적으로 방전 발광시키는 것으로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이 PDP에는, 직류형 (DC형) 과 교류형 (AC형) 이 있고, 쌍방 모두 표시 기능이나 구동 방법의 차이에 의해서, 추가로 리프레시 구동 방식과 메모리 구동 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AC형 PDP의 구성예로서 도 1 에 와플 구조형 셀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요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셀 구조로서는 그 외에도 스트레이트 구조 등이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투명전극 (110) 과 버스전극 (112) 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전극 (11) 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전면판 (1), 및 상기 복합 전극 (11) 과 직교하도록 어드레스 전극 (21) 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배면판 (2) 이 대향하여 배치되고,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표시 소자이다. 상기 전면판 (1) 은 표시면이 되는 투명 유리 기판 (10) 을 갖고 있고, 이 유리 기판 (10) 의 내측, 즉 배면판 (2) 측에는 상기 복합 전극 (11) 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복합 전극 (11) 을 덮도록 유전체층 (12) 이 형성되고, 이 유전체층 (12) 상에는 패터닝된 스페이서층 (16)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유전체층 (12) 및 스페이서층 (16) 의 표면에는 MgO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막 (19)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면판 (2) 의 기판 (20) 의 전면판 (1) 측에는, 상기의 어드레스 전극 (21) 이 배치되고, 이 어드레스 전극 (21) 을 덮도록 유전체층 (22) 이 형성되고, 이 유전체층 (22) 상에 하기의 발광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복합 전극 (11) 과 어드레스 전극 (21) 이 교차하는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발광부는 다수의 셀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다수의 셀은, 상기 유전체층 (22) 상의 종횡방향으로 형성된 리브 (24)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리브 (24) 의 벽면과 리브내의 유전체층 (22) 의 표면, 즉 각 셀의 내면과 저면을 덮도록 하여 형광체층 (26) 이 형성되어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는, 전면판의 복합 전극 사이에 교류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장을 형성함으로써, 셀 내에서 방전이 이루어지고, 이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층 (26) 을 발광시킨다.
이러한 전면판, 배면판의 유전체층으로서는 특허문헌 1 과 같은 유리 분말 및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전체층 측의 표면의 기판 또는 전극 중 어느 하나에 구리가 존재하는 경우, 구리 표면에서 거품이 발생하고, 소성후에도 유전체층 속에 기포가 남는 경우가 있어, 충분한 평탄성을 얻을 수 없고, 양호한 유전체층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비용이나 도전성, 이용 용이성의 점에서 PDP의 유전체층 측의 표면의 기판 또는 전극 중 어느 하나에 구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그 경우, 소성시에 구리 표면에서 거품이 발생하고, 소성후에도 유전체층 속에 기포가 남아, 충분한 평탄성을 얻을 수 없고, 양호한 유전체층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지 성분으로서 수산기를 갖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측쇄의 수산기의 비율이 많은 경우는 소성시의 열수축이 커지고, 수축시에 크랙이 들어가기 양호한 유전체층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PDP의 전면판이나 배면판에 사용되는 유전체층의 경우, 소성시의 열수축에 의한 크랙으로 PDP 자체가 불량품이 될 우려가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러한 현상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 등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소성후의 유전체층의 두께를 5∼15㎛ 으로 하고, 소성전의 유전체층이 무기 분말, 및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양이, 모노머 구성 단위당의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평균 개수로 환산하여, 1 모노머 구성 단위당 0.4 개 이상인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유전체층으로 하는 것으로, 유전체층 측의 표면의 기판 또는 전극 중 어느 하나에 구리가 존재하는 PDP의 전면판 또는 배면판에 사용되는 유전체층에 있어서, 소성후에 유전체층 내에 기포가 남지않고, 충분한 평탄성이 얻어진 유전체층을 사용한 PDP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을 작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유전체층 측의 표면의 기판 또는 전극 중 어느 하나에 구리가 존재하는 PDP의 전면판 또는 배면판에 있어서, 소성후에 유전체층 내에 기포가 남지않고, 충분한 평탄성이 얻어진 유전체층을 사용한 PDP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면판 및 배면판의 유전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하기의 순서로 상세히 설명한다.
[A]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
[B]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C] PDP용 유전체층 형성용 시트형 미소성체
[D] PDP용의 전면판의 제조 방법 및 PDP용의 배면판의 제조 방법
[A]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
본 발명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은, 적어도 무기 분말, 및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은,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를 조성물 속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무기 분말을 분산시켜 페이스트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로서는, 유전체층의 연화점의 제어와 무기 분말의 분산성의 관점에서, 측쇄 말단에 수산기를 함유하는 수산기 함유 수지가 사용된다.
조성물의 연화점을 소성 온도보다 낮게 함으로써, 소성후에 유전체층에 기포가 남지 않고 충분한 평탄성이 유지된 양호한 유전체를 얻을 수 있다. 조성물의 연화점이 소성 온도보다 높은 경우, 도전체에 기포가 남지 않고, 충분한 평탄성이 유지된 도전체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에 수산기가 많은 경우, 무기 분말의 분산성이 증가하고, 무기 분말의 입자가 작고 균일하게 되어, 평탄성의 향상이나 하층에서 접하고 있는 금속물의 석출 방지 등, 소성후의 유전체의 품질이 향상된다.
(a) 무기 분말
본 발명에 사용하는 무기 분말은, 소성함으로써 유리화하는 유리프릿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PbO-SiO2계, PbO-B2O3-SiO2계, ZnO-SiO2계, ZnO-B2O3-SiO2계, BiO-SiO2계, BiO-B2O3-SiO2계, PbO-B2O3-SiO2-Al2O3계, PbO-ZnO-B2O3-SiO2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세라믹스 (코디라이트 등), 금속 등의 무기 분말을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무기 분말로서, 구체적으로는, 산화코발트, 산화철, 산화크롬, 산화니켈, 산화구리, 산화망간, 산화네오듐, 산화바나듐, 산화세리움티펙옐로우, 산화카드뮴, 산화루테늄, 실리카, 마그네시아, 스피넬 등 Na, K, Mg, Ca, Ba, Ti, Zr, Al 등의 각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분말의 입자 직경은, 평균 입경이 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8㎛ 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평균 입경이 10㎛ 이하이면, 소성후의 유전체 표면의 평탄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평균 입경이 0.1㎛ 이상에서는 소성시에 미세한 공동이 형성되지 않고 절연 불량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분말의 형상으로서는, 구형, 블록형, 플레이크형, 덴드라이트형을 들 수 있고, 그 단독 또는 두 가지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 분말은 물성치가 다른 미립자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특히, 유리프릿과 열연화점이 다른 세라믹스 분말 등을 사용함으로써, 소성시의 수축률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무기 분말은,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 형상, 물성치의 조합 등을 바꿔 배합하는 것이 좋다.
무기 분말은, 모든 유기 성분 (유기 용제, 바인더 수지 등을 포함한다)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0∼1000 질량부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바인더 수지로서,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수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다음에 예로 드는 것과 같은 수산기를 도입 가능 한 모노머를 중합 또는 공중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산기를 도입 가능한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스)아크릴산에스테르, 에틸렌성불포화카르복시산, 그 외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벤질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폴리프로필렌모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폴리프로필렌모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에틸프탈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i-프로필아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i-부틸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타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3-에틸헥실아크 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모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모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계피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무수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무수시트라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그 외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메스)아크릴산에스테르의 예시 화합물을 푸마레이트로 바꾼 푸마르산 에스테르류, 말레이트로 바꾼 말레산 에스테르류, 크로토네이트로 바꾼 크로톤산 에스테르류, 이타코네이트로 바꾼 이타콘산 에스테르류, α-메틸스티렌, o-비닐톨루엔, m-비닐톨루엔, p-비닐톨루엔, o-클로로스티렌, m-클로로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o-메톡시스티렌, m-메톡시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아세트산비닐, 부티르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3-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바인더 수지의 측쇄에 있어서의 수산기량은, 바인더 수지의 모노머 구성 단위당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평균 개수로 환산하여, 1 모노머 구성 단위당 0.4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내의 수산기 함유량이 1 구성 단위당 0.4 개 이상이면 무기 분말의 분산성이 양호하고, 유전체 연화점의 제어가 가능하고, 충분한 평탄성이 유지된 양호한 유전체층이 얻어진다.
또한, 바인더 수지의 측쇄에 있어서의 수산기량이, 바인더 수지의 모노머 구성 단위당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평균 개수로 환산하여, 1 모노머 구성 단위당 0.4 개 이상이기 때문에, 무기 분말을 바인더 수지와 수소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무기 분말의 분산성이 증가한다. 그것에 의하여 무기 분말의 입자가 작고 균일하게 되어, 유전체층으로서의 질이 향상된다. 층의 질 향상에 의해, 예를 들어 하층의 금속 석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자의 큰 부분이 덩어리 상태가 됨으로써 발생하는 조성물층의 선상의 요철 (선 발생) 이나 크레이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c)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a) 무기 분말, 및 (b)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고, 그 용도에 따라 추가로 다른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다.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와 다른 바인더 수지를 조합하여도 좋다. 다른 바인더 수지로서는, 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나, 추가로, 이들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에틸렌성 불포화카르복시산이나 (메스)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과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과 부틸알데히드와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부티랄수지 등의 폴리비닐알코올류, δ-발레로락톤, ε-카프로락톤, β-프로피오락톤, α-메틸-β-프 로피오락톤, β-메틸-β-프로피오락톤, α-메틸-β-프로피오락톤, β-메틸-β-프로피오락톤, α,α-디메틸-β-프로피오락톤, β,β-디메틸-β-프로피오락톤 등의 락톤류가 개환 중합한 폴리에스테르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알킬렌글리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디올류, 말레산, 푸마르산, 글루탈산, 아디핀산 등의 디카르복시산류와의 축합 반응으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펜타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류, 비스페놀A, 히드로퀴논, 디히드록시시클로헥산 등의 디올류, 및 디페닐카보네이트, 포스겐, 무수숙신산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카보네이트류를 들 수 있다. 이상의 바인더 수지는 단독으로도 또한 2종 이상에서의 혼합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와 다른 바인더 수지의 총합 100 질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의 비율을 30 질량부 이상, 다른 바인더 수지의 비율을 70 질량부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의 비율이 50 질량부 이상, 다른 바인더 수지의 비율이 5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의 비율이 70 질량부 이상, 다른 바인더 수지의 비율이 30 질량부 이하이다. 다른 바인더 수지의 비율이 증가하면, 무기 분말의 분산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용제로서는, 바인더 수지를 용이하게 용해할 수 있 는 유기용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유기용제로서는, 에테르류, 케톤류, 에스테르류, 알코올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종 이상의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용제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아세테이트, 글리세린트리아세테이트, 글리세린트리라우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틸아세톤, 아세토페논, 이소포론, 에틸-N-부틸케톤, 디아세톤알코올(4-히드록시-4-메틸-2-펜타논), 디이소부틸케톤, 디이소프로필케톤, 디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디-N-프로필케톤, 메틸-N-아밀케톤(아밀메틸케톤), 메틸시클로헥사논, 메틸-N-부틸케톤, 메틸-N-프로필케톤, 메틸-N-헥실케톤, 메틸-N-헵틸케톤, 아디핀산디에틸, 아세틸시트르산트리메틸, 아세틸시트르산트리에틸, 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 아세트아세트산메틸, 아세트아세트산에틸, 아세트아세트산부틸, 벤조산이소아밀, 벤조산메틸, 벤조산에틸, 벤조산부틸, 벤조산프로필, 벤조산벤질, 포름산이소아밀, 포름산이소부틸, 포름산에틸, 포름산부틸, 포름산프로필, 포름산헥실, 포름산벤질, 포름산메틸,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트리부틸,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알릴, 아세트산이소아밀, 아세트산메틸이소아밀, 아세트산메톡시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제2헥실, 아세트산-2-에틸헥실, 아세트산-2-에틸부틸, 아세트산시클로헥실, 아세트산메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제2부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벤질, 아세트산메틸시클로헥실, 옥살산디아밀, 옥살산디메틸, 옥살산디에틸, 옥살산디부틸, 타르타르산디에틸, 타르타르산디부틸, 스테아르산아밀, 스테아르산메틸, 스테아르산에틸, 스테아르산부틸, 락트산아밀,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락트산부틸, 프탈산에스테르, γ-부티로락톤, 프로피온산이소아밀, 프로피온산메틸, 프로피온산에틸, 프로피온산부틸, 프로피온산벤질, 마론산디이소프로필, 마론산디메틸, 마론산디에틸, 마론산디부틸, 부티르산이소아밀, 부티르산이소프로필, 부티르산메틸, 부티르산에틸, 부티르산부틸, 알칸류, 톨루엔, 헥산류, 시클로헥산, 시클로헥센, 시클로펜탄, 할로겐화탄화 수소, 함질소화합물,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3-메톡시-3-메틸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의 알킬에테르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비점 250℃ 이하의 유기용제, 특히 비점 100℃∼200℃ 의 유기용제가 바람직하다. 이상의 용제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도 된다. 복수의 용제를 조합한 경우, 공비하는 온도가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200℃ 인 것이 제조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용제는 (b)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용제를 30∼50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0∼30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250 질량부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성의 제어를 위해, 본래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단량체를 첨가할 수 있다. 단량체로서는, 상기 서술한 (b)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에서 예시한 모노머를 들 수 있지만,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모노머 (이하, 다관능성 모노머라고 한다) 가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킬렌글리콜의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디메타크릴레이트류,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의 다가 알코올의 폴리아크릴레이 트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류나 그들의 디카르복실산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소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가소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가소제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비점이 200℃ 이상으로 실온에서 액체의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가소제의 예로서는, 프탈산디메틸이나 프탈산디에틸, 프탈산디부틸이나 프탈산디헵틸, 프탈산디-2-에틸헥실이나 프탈산디이소부틸, 프탈산디이소노닐, 프탈산디이소데실이나 프탈산디부톡시에틸, 프탈산디부틸벤질, 프탈산디옥틸이나 부틸프타릴부틸글리콜레이트 등의 프탈산계 화합물, 아디핀산디메틸이나 아디핀산디에틸, 아디핀산디부틸이나 아디핀산디헵틸, 아디핀산디-2-에틸헥실이나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아디핀산디이소노닐, 아디핀산디이소데실이나 아디핀산디부톡시에틸, 아디핀산디부틸벤질, 아디핀산디옥틸 등의 아디핀산계 화합 물, 세바신산디메틸이나 세바신산디에틸, 세바신산디부틸이나 세바신산디헵틸, 세바신산디-2-에틸헥실이나 세바신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노닐, 세바신산디이소데실이나 세바신산디부톡시에틸, 세바신산디부틸벤질, 세바신산디옥틸 등의 세바신산계 화합물, 아젤라인산디메틸이나 아젤라인산디에틸, 아젤라인산디부틸이나 아젤라인산디헵틸, 아젤라인산디-2-에틸헥실이나 아젤라인산디이소부틸, 아젤라인산디이소노닐, 아젤라인산디이소데실이나 아젤라인산디부톡시에틸, 아젤라인산디부틸벤질, 아젤라인산디옥틸 등의 아젤라인산계 화합물, 인산트리에틸이나 인산트리페닐, 인산트리크레딜이나 인산트리크시레닐, 인산크레딜페닐 등의 인산계 화합물, 디옥틸세바케이트나 메틸아세틸리시노레이트 등의 지방산계 화합물, 디이소데실-4,5-에폭시테트라히드로프탈레이트 등의 에폭시계 화합물, 트리멜리트산트리부틸이나 트리멜리트산트리-2-에틸헥실, 트리멜리트산트리n-옥틸이나 트리멜리트산트리이소데실 등의 트리멜리트산계 화합물, 그 외, 올레산부틸이나 염소화파라핀, 폴리부텐이나 폴리이소부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는, (b)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20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10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0 질량부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무기 분말,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 및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성분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혼 련하는 혼련 공정을 포함하는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인더 수지, 무기 분말의 혼합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바인더 수지, 무기 분말을 한번에 혼합해도 되고, 미리 바인더 수지를 유기용제에 용해시켜 바인더 성분을 조정한 뒤 이 바인더 성분에 무기 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할 수도 있다. 이하, 후자의 방법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지만, 각 성분의 혼합 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우선, 유기용제 및 바인더 수지를 교반기로 혼합함으로써, 바인더 수지를 용해시켜 바인더 성분을 조정한다. 이 때, 단량체나 가소제, 분산제, 점착성 부여제, 표면 장력 조정제, 안정제, 거품 제거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바인더 성분을 조정한 후, 이 바인더 성분 중에 무기 분말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조정하고, 이 혼합물을 혼련함으로써 무기 분말을 분산시킨다. 통상의 보존 상태에 있어서, 무기 분말은 대기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그 표면에 물에 연유되는 수산기를 갖고 있다. 따라서, 표면에 수산기를 도입하기 위해서 무기 분말자체에 특별한 처리를 행할 필요는 없지만, 건조하에 장시간 보존되어 있던 경우 등은, 필요에 따라, 사용 전에 무기 분말을 흡습시킨 뒤 바인더 성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혼련 공정을 거쳐, 무기 분말을 분산시킨 혼합물은 그대로 본 발명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 PDP용 유전체층 형성용 시트형 미소성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시트형 미소성체는, 이형 지지 필름상에 본 발명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 도막을 건조시킴으로써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을 형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 시트형 미소성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 및 배면판의 유전체층의 형성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트형 미소성체는,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의 표면을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이형 필름에 의해 보호되어, 저장, 반송, 및 취급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시트형 미소성체는, 무기 분말이 균일하게 분산한 본 발명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높은 막평탄성을 갖는다. 또한, 소성시에 수축 (shrink) 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균열 등이 없는 균일한 막두께를 갖는 유전체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품질이 좋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형 미소성체는 사용 기한은 있지만, 미리 제조해 두고 소정 기간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경우에 바로 사용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의 효율화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형 미소성체는,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의 양면을 용이하게 박리 가능한 이형 필름에 의해 보호한 형태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가능한 지지 필름상에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보호층으로서 보호 필름을 피복한다.
본 발명의 시트형 미소성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지지 필름으로서는, 지지 필름상에 제막된 각 층을 지지 필름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각 층을 유리 기판상에 전사할 수 있는 이형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막두께 15∼12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가소성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전사가 용이해지도록 이형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필름상에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을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정하고, 지지 필름상에 어플리케이터, 바코터, 와이어바코터, 롤코터, 커튼플로코터 등을 사용하여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다. 특히 롤코터가 막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또한 두께가 두꺼운 막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막을 건조시킨 후,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의 표면에는 미사용시에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 필름을 점착하는 것이 좋다. 이 보호 필름으로서는, 실리콘을 코팅 또는 인화한 두께 15∼125㎛ 정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폴리에틸렌필름 등이 바람직하다.
[D] PDP용 전면판의 제조 방법 및 PDP용 배면판의 제조 방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시트형 미소성체로부터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 유리 기판의 전극 설치면에 노출한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을 조합하여, 지지 필름상에서 가열 롤러를 이동시킴으로써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을 기판의 표면에 열압착시킨다.
열압착은, 기판의 표면 온도를 80∼140℃ 로 가열하고, 롤압 1∼5kg/cm2, 이동속도 0.1∼10.0m/분의 범위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유리 기판은 예열되어 있어도 되고, 예열 온도로서는 예를 들어 40∼100℃ 의 범위가 선택된다.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상으로부터 박리한 보호 필름은, 순차 권취 롤러로 롤 형태로 권취하여 보존하면 재이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기판의 표면에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을 가열접착한 후,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으로부터 지지 필름을 박리하여,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을 표면에 노출시킨다.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으로부터 박리한 지지 필름도 또한 순차 권취 롤러로 롤 형태로 감아 권취하여 보존하면 재이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유리 기판의 표면에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을 형성한 후, 500℃∼700℃ 에서 소성함으로써,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에 포함되는 유리프릿이 소결되어 유전체층이 된다. 소성 공정에서,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에 포함되는 유기물은 휘발, 분해되어, 유전체층에는 유기 성분은 실질적으로 남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판이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한 후,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유전체층을 MgO 등의 보호막으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DP용 배면판의 경우, 유리 기판 등의 기판의 전극 설치면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이후, 공지된 방법에 의해 리브 (배리어리브) 및 형광체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배면판이 얻어진다. 배면판의 경우, 상 기 전극은 어드레스 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 공정후의 전면판의 유전체층의 막두께는 5∼20㎛ 이고, 바람직하게는 5∼1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 이다. 소성후의 막두께가 20㎛ 이하인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의 수축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소성후의 막두께가 5㎛ 이상이면 유전체층으로서의 충분한 특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배면판의 유전체층의 막두께는 5∼15㎛ 이고, 바람직하게는 7∼12㎛ 이다. 소성후의 막두께가 15㎛ 이하이면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의 수축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소성후의 막두께가 5㎛ 이상이면 유전체층으로서의 충분한 특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막두께는 표면의 구리 접촉면으로부터의 두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전체층 측의 표면의 적어도 기판 또는 전극 중의 어느 하나의 일부는 구리이다. 특히 전극에 구리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면판 및 배면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이 사용됨으로써, 유전체층 측의 표면의 적어도 기판 또는 전극 중의 어느 하나의 일부에 사용되고 있는 구리보다 발생하는 거품이 적고, 거품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연화점이 소성온도보다도 낮기 때문에 소성후에 유전체층에 거품이 혼입되어 있지 않고, 평탄성이 높은 유전체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하층 (기판, 전극) 에 존재하는 금속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고, 질이 좋은 유전체층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7, 비교예 1∼2
(1)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정
하기 표 1 에 기재된 조성 (단위는 질량부) 에 따라서,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 가소제로서 프탈산디부틸 25 질량부 및 용제로서 아세트산3-메톡시부틸 100 질량부를 교반기로 3시간 혼합함으로써 유기 성분을 조정후, 그 유기 성분 (고형분 50%) 50 질량부와 유리프릿 75 질량부를 혼련함으로써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2) PDP용 유전체층 형성용 시트형 미소성체의 제조
얻어진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을 38㎛ 두께의 실리콘계 이형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퓨렉스A43: 테이진 듀퐁 필름(주)사 제조) 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필름상에 립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도막을 100℃ 에서 6분간 건조시켜 용제를 완전히 제거하고, 하기 표 1 에 기재된 두께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을 지지 필름상에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상에 25㎛ 두께의 실리콘계 이형 PET 필름 (퓨렉스A24: 테이진 듀퐁 필름(주)사 제조) 을 부착하여 PDP용 유전체층 형성용 시트형 미소성체를 제조하였다.
(3) PDP용의 전면판 또는 배면판의 형성
(2) 에서 얻어진 PDP용 유전체층 형성용 시트형 미소성체의 실리콘계 이형 PET 필름 (퓨렉스A24: 테이진 듀퐁 필름(주)사 제조) 을 박리하면서, 미리 80℃ 로 가열해 놓은 구리 전극이 형성된 하기 표 1 에 기재된 패널에 핫롤 라미네이터에 의해 105℃ 에서 라미네이트하였다. 에어 압력은 3kg/cm2 로 하고, 라미네이트 속도는 1.0 m/min 으로 하였다.
(4) 유전체층의 평가
상기 (3) 에서 얻어진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의 지지 필름인 실리콘계 이형 PET 필름 (퓨렉스A23: 테이진 듀퐁 필름(주)사 제조) 을 박리한 후,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막의 하기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외관 관찰을 하였다. 또한, 촉침식 표면 조도계로 표면 조도를 계측하였다. 또한, 소성후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승온 스피드 6.0℃/min 로 가열시켜 580℃ 에서 30분간 유지하는 소성 처리를 한 후, 촉침식 표면 조도계로 표면 조도 및 소성후 막두께를 계측하였다. 또한, 거품의 발생에 의한 결함의 방지, 크랙내성, 내전압에 관해서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유전체층의 외관 관찰을 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 에 기재한다.
(소성전의 막두께)
소성전의 막두께. 단위 ㎛.
(전면판 또는 배면판)
상기 공정 (3) 에 있어서 형성한 패널.
A: 전면판
B: 배면판
(지지 필름 박리후의 외관 관찰)
A: 선 및 크레이터 등의 결함은 보이지 않았다.
C: 선 및 크레이터 등의 결함이 보였다.
(소성전의 표면 조도 Rmax)
촉침식 표면 조도계로써 표면 조도를 계측하였다. 단위 ㎛.
(소성후의 표면 조도 Rmax)
촉침식 표면 조도계로써 표면 조도를 계측하였다. 단위 ㎛.
(소성후의 막두께)
소성후의 막두께. 단위 ㎛.
(거품의 발생에 의한 결함의 방지)
소성후, 외관 관찰을 하였다.
A: 거품의 발생에 의한 결함은 보이지 않는다.
C: 거품의 발생에 의해 유전체층속에 기포가 남아 결함이 보였다.
(크랙 방지)
소성후, 외관 관찰을 하였다.
A: 유전체층에 크랙이 보이지 않는다.
C: 유전체층에 크랙이 보였다.
(내전압)
소성후, 내전압을 측정하였다.
A: 면내에서 값이 안정적이다.
C: 면내에서 내전압에 편차가 보인다.
Figure 112005056511221-pat00001
주):
(b-1):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60/40 (중량%) 공중합체 (Mw=15.000)
(b-2):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50/50 (중량%) 공중합체 (Mw=15.000)
(b-3):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바인더 수지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77/23 (중량%) 공중합체 (Mw=15.000)
이 결과는, 본 발명의 특정한 조성물을 사용한 유전체층에 있어서, 무기 분말의 분산성이 양호하고, 소성후의 평탄성, 거품의 발생에 의한 결함의 방지 특성, 크랙 방지 특성, 내전압 특성이 우수하고, 그에 따라 형성된 PDP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의 특성도 양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 그것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무기 분말의 분산성이 높고, 균일하며, 크랙, 선 발생 등의 결함이 없는 유전체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오방전이나 점결손이 없는 고품질의 화상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유전체층에,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양이, 모노머 구성 단위당의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평균 개수로 환산하여, 1 모노머 구성 단위당 0.4 개 이상인 바인더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적어도 유전체층 측의 표면의 기판 또는 전극 중 어느 하나에 구리가 존재하는 PDP의 전면판 또는 배면판에 있어서, 소성후의 유전체층 내에 기포가 남지 않고, 충분한 평탄성이 얻어진 유전체층을 사용한 PDP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을 작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소성후의 두께를 5∼15㎛ 으로 함으로써, 소성시의 열수축에 의해서 유전체층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막고, 양호한 유전체층을 사용한 PDP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을 작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PDP용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무기 분말, 및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양이, 모노머 구성 단위당의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평균 개수로 환산하여, 1 모노머 구성 단위당 0.4 개 이상인 바인더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전면판 및 배면판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크랙이 없는 충분히 평탄한 유전체층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 및 상기 전극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유전체층을 적어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전면판으로서,
    상기 유전체층 측의 표면의 적어도 상기 기판 또는 상기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일부가 구리이고, 상기 유전체층의 소성후의 두께가 5∼20㎛ 이며,
    소성전의 상기 유전체층은, (a) 무기 분말 및 (b)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유전체층이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측쇄에 수산기를 갖고,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양이 모노머 구성 단위당의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평균 개수로 환산하여, 1 모노머 구성 단위당 0.4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전면판.
  2.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 및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덮도록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유전체층을 적어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배면판으로서,
    상기 유전체층 측의 표면의 적어도 상기 기판 또는 상기 어드레스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일부가 구리이고, 상기 유전체층의 소성후의 두께가 5∼15㎛ 이고,
    소성전의 상기 유전체층은, (a) 무기 분말 및 (b)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유전체층이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측쇄에 수산기를 갖고,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양이 모노머 구성 단위당의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평균 개수로 환산하여, 1 모노머 구성 단위당 0.4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배면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a) 무기 분말 및 (b)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며,
    상기 바인더 수지는, 측쇄에 수산기를 갖고,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양이 모노머 구성 단위당의 측쇄에 포함되는 수산기의 평균 개수로 환산하여, 1 모노머 구성 단위당 0.4 개 이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유전체층 형성용 조성물.
KR1020050093850A 2004-10-06 2005-10-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 그것에사용되는 조성물 KR100763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93643 2004-10-06
JP2004293643A JP4215700B2 (ja) 2004-10-06 2004-10-06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の前面板及び背面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074A KR20060052074A (ko) 2006-05-19
KR100763286B1 true KR100763286B1 (ko) 2007-10-04

Family

ID=3637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850A KR100763286B1 (ko) 2004-10-06 2005-10-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 그것에사용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15700B2 (ko)
KR (1) KR100763286B1 (ko)
CN (1) CN1944303B (ko)
TW (1) TW2006118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4655A1 (en) * 2011-11-14 2013-05-23 Inolex Investment Corporation Natural silicone replacements for silicone fluids in personal care formulations
CN103021571A (zh) * 2012-12-18 2013-04-03 安徽金大仪器有限公司 一种含有邻苯二甲酸二异壬酯的导电浆料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383A (ja) * 1998-06-22 2000-01-11 Jsr Corp 無機粒子含有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1135222A (ja) * 1999-11-02 2001-05-18 Fujitsu Ltd ガス放電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8765C (zh) * 1995-06-12 2006-01-25 东丽株式会社 感光性膏状物、等离子体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19980065367A (ko) * 1996-06-02 1998-10-15 오평희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383A (ja) * 1998-06-22 2000-01-11 Jsr Corp 無機粒子含有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1135222A (ja) * 1999-11-02 2001-05-18 Fujitsu Ltd ガス放電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4303A (zh) 2007-04-11
TW200611882A (en) 2006-04-16
KR20060052074A (ko) 2006-05-19
CN1944303B (zh) 2010-06-16
JP2006107947A (ja) 2006-04-20
JP4215700B2 (ja)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28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전면판 및 배면판, 그것에사용되는 조성물
JP200709558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部材の焼成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部材の製造方法。
EP1627406B1 (en) Unbaked laminate for producing front plate of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front plate of plasma display device
TWI298818B (ko)
JPH1110023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装置のバリアリブを作成するための複合材料および方法
JP3938919B2 (ja) 無機ペースト組成物、無機ペースト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製造用シート状未焼成体
JP2003115261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3640276B2 (ja) 転写シート
JP200501157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転写フィルム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7868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誘電体層形成用転写フィルム
JP200521676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無機粉体含有樹脂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5264138A (ja) ガラス粉末含有樹脂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521345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無機粉体含有樹脂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4426767B2 (ja) 誘電体層用組成物、グリーンシート、誘電体層形成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1998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無機粉体含有樹脂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WO2004113449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転写フィルム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57230A (ja) ガラス粉末含有樹脂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903789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
JP200521345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無機粉体含有樹脂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4243243A (ja) 厚膜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9400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 분말 및 이를 이용한 격벽 필름
JP2005232357A (ja) 無機粒子含有樹脂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誘電体層の製造方法
JPH10255649A (ja) 転写シート及びインキ層形成方法
JPH11135008A (ja) 転写シート
JP2001019474A (ja) ガラスペースト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