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163B1 - 내부 연결 구조를 갖는 스틱형 점화 코일 - Google Patents

내부 연결 구조를 갖는 스틱형 점화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163B1
KR100759163B1 KR1020050009780A KR20050009780A KR100759163B1 KR 100759163 B1 KR100759163 B1 KR 100759163B1 KR 1020050009780 A KR1020050009780 A KR 1020050009780A KR 20050009780 A KR20050009780 A KR 20050009780A KR 100759163 B1 KR100759163 B1 KR 10075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rimary
spool
case
annular proj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611A (ko
Inventor
쥰이찌 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6004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22Sales kio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01F2038/122Ignition, e.g. for IC engines with rod-shaped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스틱형 점화 코일은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박막 시트(21), 서브-조립체(40) 및 케이스(46)를 구비한다. 상기 환형 돌출부(25, 30)는 반경방향 외측에 배열되는 일차 코일(17)의 상단부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박막 시트(21)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의 외주 및 일차 코일(17)을 커버한다. 상기 서브-조립체(40)는 박막 시트(21)를 통해서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의 외주에 압입된다. 전기 절연성의 서브-조립체(40)는 일차 권선(19)의 리드부를 지지한다. 상기 케이스(46)는 원통형 부재(40)의 외주에 압입된다.
환형 돌출부, 박막 시트, 서브-조립체, 케이스, 원통형 부재

Description

내부 연결 구조를 갖는 스틱형 점화 코일 {STICK-SHAPED IGNITION COIL HAVING INTERNAL CONNECTING STRUCTURE}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화 코일의 코일부 및 제어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화 코일에서의 서브-조립체에 연결된 일차 스풀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브-조립체에 연결된 일차 스풀의 평면도.
도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차 스풀의 사시도.
도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점화 코일에서의 서브-조립체에 연결된 일차 스풀의 개략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화 코일에서의 서브-조립체에 연결된 일차 스풀의 개략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점화 코일의 코일부 및 제어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
도8a, 도8b 및 도8c는 각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일차 스풀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9a 및 도9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일차 스풀을 도 시하는 개략 확대 측면도.
도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일 케이스 및 회로 케이스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코일부
11: 중심 코어
13: 이차 코일
14: 이차 스풀
15: 이차 권선
17: 일차 코일
18: 일차 스풀
19: 일차 권선
21: 박막 시트
23, 75: 외부 코어
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300, 310: 칼라부
26, 31: 홈부
27, 32: 돌출부
35: 환형 홈
40, 65: 서브-조립체
45: 제어부
46: 회로 케이스
51: 점화장치
52: 단자
61: 수축성 튜브
70: 보강 링
85, 89, 94, 95: 원호부
90: 경사면
92: 라운드부
본 발명은 점화 플러그에 공급되는 고전압 전력을 발생시켜 내연기관에서의 혼합 가스를 점화시키는 스틱형 점화 코일에 관한 것이다.
스틱형 점화 코일은 코일부, 제어부 및 타워부를 구비한다. 상기 코일부는 점화 코일의 축방향 중간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제어부는 점화 코일의 상단부 측에 위치한다. 상기 타워부는 점화 코일의 하단부 측에 위치한다. 상기 코일부는 중심 코어, 일차 코일 및 이차 코일을 수용하는 원통형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점화장치(igniter)를 수용하는 박스형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케이스 및 박스형 케이스는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원통형 케이스 및 박스형 케이스는 상호 연결된다.
도10에 도시하듯이, JP-A-2000-277362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점화 코일은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긴 원통형 코일 케이스(120) 및 회로 케이스(125)를 구비한다. 상기 코일 케이스(120)는 중심 코어, 일차 코어 및 이차 코어(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한다. 상기 회로 케이스(125)는 커넥터(126)를 구비하며, 전기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한다. 상기 코일 케이스(120) 및 회로 케이스(125)는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 케이스(120)의 상부 외주가 다수의 돌출부(121)를 통해서 회로 케이스(125)의 저부에 형성된 구멍부에 압입된다. 상기 돌출부(121)는 코일 케이스(120)의 외주에 형성되며, 돌출부(121)는 코일 케이스(120)가 회로 케이스(125)에 압입될 때 가압되어 변형된다.
점화 코일의 코일부의 외경은 근년에 있어서 감소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중심 코어, 일차 코어 및 이차 코어를 수용하는 코일 케이스는 JP-A-2003-51416에 개시된 종래의 점화 코일에서 벽 두께가 감소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 얇은 벽 두께를 갖는 코일 케이스는 그 불충분한 강성으로 인해 회로 케이스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없다. 따라서, 코일 케이스의 상단부는 회로 케이스의 구멍부에 압입되며, 이어서 코일 케이스 및 구멍부 사이의 압입부는 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접착제(glue)로 충진될 필요가 있다. 이 구조에서, 연결 과정은 복잡해진다. 뿐만 아니라, 일차 코일의 일차 권선의 리드부(lead portion)를 지지하기 위해 일차 스풀(spool)의 단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일차 스풀의 외경이 커진다.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일차 코일 및 이차 코일을 수용하는 코일부의 벽 두께가 감소되고, 일차 코일의 일차 권선의 리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외부 스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가 소형화되는 구조를 갖는 스틱형 점화 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틱형 점화 코일은 이차 코일, 일차 코일, 다수의 환형 돌출부 및 케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이차 코일은 이차 스풀 및 이차 권선을 구비한다. 상기 이차 권선은 이차 스풀 주위에 권취된다. 상기 일차 코일은 일차 스풀 및 일차 권선을 구비한다. 상기 일차 권선은 일차 스풀 주위에 권취된다. 이차 코일 및 일차 코일은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열된다. 상기 돌출부는 일차 코일 및 이차 코일 중 하나의 코일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되는 다른 코일의 상단부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다. 케이스는 환형 돌출부의 외주에 압입된다.
상기 스틱형 점화 코일은 박막 시트(sheet)를 구비한다. 상기 박막 시트는 일차 코일 및 이차 코일 중 하나의 코일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되는 다른 코일의 외주를 커버한다. 박막 시트는 또한 환형 돌출부의 외주를 커버한다. 이 구조에서, 케이스는 박막 시트를 통해서 다수의 환형 돌출부의 외주에 압입된다.
상기 스틱형 점화 코일은 박막 시트를 통해서 환형 돌출부의 외주에 압입되는 원통형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원통형 부재는 전기 절연성 부재이다. 원통형 부재는 일차 권선 및 이차 권선 중 하나의 리드부를 지지한다. 이 구조에서, 케이스는 원통형 부재의 외주에 압입된다.
상기 스틱형 점화 코일은 수축성(shrinkable) 튜브, 환형 부재 및 원통형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수축성 튜브는 박막 시트 대신에 일차 권선 및 이차 권선 중 하나의 권선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되는 다른 권선의 외주를 커버한다. 상기 환형 부재는 환형 돌출부의 외주에 압입된다. 환형 부재는 전기 절연성 부재이다. 원통형 부재는 일차 권선 및 이차 권선 중 하나의 리드부를 지지한다. 케이스는 원통형 부재의 외주에 압입된다.
최하측에 배열되는 다른 돌출부에 대해 상측에 배열되는 환형 돌출부는 그 상측에 외주를 갖는다. 외주는 라운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제1 실시예)
도1 및 도2에 도시하듯이, 점화 코일은 서브-조립체(sub-assembly)(40)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는 코일부(10) 및 제어부(45)로 구성된다. 점화 코일의 중간부인 코일부(10)는 내연기관의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플러그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된다. 상기 코일부(10)는 플러그구멍의 유입부 및 중간부 위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점화 코일의 상단부인 제어부는 실린더 블록(도시되지 않음)의 윗면에 장착된다.
중심 코어(11), 이차 코일(13), 일차 코일(17), 박막 시트(21) 및 외부 코어(23)가 상기 코일부(10)에 중심에서 외주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다. 상기 이차 코일(13)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이차 스풀(14) 및 상기 이차 스풀(14)의 외주 둘레에 권취되는 이차 권선(15)을 구비한다. 상기 이차 스풀(14)은 전기 절연성의 것이다. 상기 일차 코일(17)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일차 스풀(18) 및 상기 일차 스풀(18)의 외주 둘레에 권취되는 일차 권선(19)을 구비한다. 상기 일차 스풀(18)은 전기 절연성이다. 상기 박막 시트(21)는 박막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박막 시트(21)는 일차 권선(19)을 원주방향으로 커버하는 본체부(21a)를 갖는다. 상기 외부 코어(23)는 박막 시트(21)의 본체부(21a)의 외주측에 제공된다.
코일부(10)에서 이차 스풀(14)의 외주측에 위치되는 일차 스풀(18)의 상단부의 외주에는 제1 칼라부(25) 및 제2 칼라부(30)가 형성된다. 박막 시트(21)는 상기 제1 및 제2 칼라부(25, 30)를 원주방향으로 커버하는 연장부(21b)(도2 참조)를 갖는다. 코일부(10)에서 이차 권선(15) 및 일차 스풀(18) 사이에 형성된 갭 및 일차 권선(19) 및 박막 시트(21) 사이에 형성된 갭은 전기 절연성 수지(도시되지 않음)로 충진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하듯이, 도2에서의 일차 스풀(18)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칼라부(25) 및 제2 칼라부(30)는 일차 스풀(18)의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호 이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의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환형 홈(35)(도4 참조)이 형성된다. 일차 권선(19)은 제2 칼라부(30)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주위에 권취된다.
소정의 원주방향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제1 홈부(26)(도3 참조)가 일차 스풀(18)의 반경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도록 제1 칼라부(25)에 형성된다. 소정의 원주방 향 길이를 갖는 두 개의 돌출부(27)가 일차 스풀(18)의 반경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도록 제1 칼라부(25)에 형성된다. 제1 홈부(26) 및 돌출부(27)는 일차 스풀(18)의 원주 방향으로 번갈아 배열된다.
소정의 원주방향 길이를 갖는 두 개의 제2 홈부(31)가 반경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도록 제2 칼라부(30)에 형성된다. 소정의 원주방향 길이를 갖는 두 개의 돌출부(32)가 반경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도록 제2 칼라부(30)에 형성된다. 제1 칼라부(25)의 제1 홈부(26) 및 돌출부(27) 뿐만 아니라, 제2 칼라부(30)의 제2 홈부(31) 및 돌출부(32)가 원주방향으로 번갈아 배열된다.
제2 칼라부(30)의 제2 홈부(31)는 일차 스풀(18)의 원주 방향으로 제1 칼라부(25)의 제1 홈부(26)에 대해 실질적으로 90°만큼 변위되어 엇갈려있다. 따라서, 제1 홈부(26), 환형 홈(35) 및 제2 홈부(31)는 일차 스풀(18)의 외주에 실질적으로 지그재그 형상, 즉 크랭크 형상을 갖는 굴곡 공간(bent space)(37)을 형성한다.
도1을 참조하면, 서브-조립체(40)는 전기 절연성 재료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서브-조립체(40)는 길이방향으로 외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서브-조립체(40)의 상부(두꺼운 벽부(41))는 그 하부(얇은 벽부(43))보다 내경이 작다. 두꺼운 벽부(41)의 내경은 일차 스풀(18)의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두꺼운 벽부(41)는 박막 시트(21)의 연장부(21b)를 통해서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의 외주에 압입된다(도2 참조). 따라서, 두꺼운 벽부(41)는 일차 권선(19) 및 박막 시트(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봉한다. 두 꺼운 벽부(41)는 일차 권선(19)의 리드부(19a)를 지지하는 브래킷(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도4를 참조하면, 일차 권선(19)은 제1 칼라부(25)의 제1 홈부(26), 환형 홈(35) 및 제2 칼라부(30)의 제2 홈부(31)로 형성되는 굴곡 공간(37)의 주위에 권취되는 한 쌍의 리드부(19a)를 갖는다. 일차 권선(19)의 리드부(19a)는 서브-조립체(40)의 두꺼운 벽부(41)에 제공되는 브래킷에 의해 지지된다. 서브-조립체(40)의 얇은 벽부(43)는 외부 코어(23)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어부(45)는 수용부(47), 커넥터부(48) 및 연결부(49)를 구비하는 회로 케이스(46)를 갖는다. 박스형으로 형성되는 회로 케이스(46)는 점화장치(51)를 수용한다. 수용부(47)의 마이너스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부(48)는 점화장치(51) 및 일차 권선(19) 양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52)를 수용한다. 수용부(47) 내의 점화장치(51) 주위 공간은 전기 절연성 열경화 수지(도시되지 않음)로 충진된다. 수용부(47)의 하부 평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49)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이다. 연결부(49)의 내경은 서브-조립체(40)의 외경보다 약간 작다. 서브-조립체(40)는 일차 스풀(18)에 압입되고 연결부(49)는 서브-조립체(40)에 압입되며, 따라서 제어부(45)는 코일부(1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스틱형 점화 코일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이차 코일(13)은 일차 코일(17)의 내주에 삽입된다. 중심 코어(11)는 이차 코일(13)의 내주에 삽입되며, 따라서 코일부(10)가 조립된다.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제어부(45)는 코일부(10)에 연결된다. 서브-조립체(40)는 일차 코일(17)의 외주에 조립되는 박막 시트(21) 및 외부 코어(23) 양자에 연결된다.
서브-조립체(40)의 두꺼운 벽부(41)는 일차 스풀(18)의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의 원주로 커버하는 박막 시트(21)의 연장부(21b)의 외주에 압입된다. 동시에, 서브-조립체(40)의 얇은 벽부(43)는 외부 코어(23)의 외주와 결합된다. 이 상황에서, 도4를 참조하면, 일차 권선(19)의 리드부(19a)는 제2 칼라부(30)의 돌출부(32)와 제1 칼라부(25)의 돌출부(27) 중 하나에 후크되며, 따라서 리드부(19a)는 돌출부(27, 32)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크랭크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따라서 리드부(19a)는 제1 칼라부(25)의 제1 홈부(26), 환형 홈(35) 및 제2 칼라부(30)의 제2 홈부(31)로 형성되는 굴곡 공간(37)을 따라서 배열된다.
도1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45)의 회로 케이스(46)에 점화장치(51) 및 단자(52)가 배열되고, 상기 제어부(45)가 코일부(10)에 연결된다. 회로 케이스(46)의 연결부(49)는 서브-조립체(40)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압입되며, 연결부(49)는 코일부(10)에 대해 축방향으로 및 그 반경방향으로 위치된다. 서브-조립체(40)의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일차 권선(19)의 리드부(19a)는 단자(52)에 연결된다. 연결부(49)는 서브-조립체(40)를 서브-조립체(40)의 내주 쪽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서브-조립체(40)(도2 참조)는 박막 시트(21)의 연장부(21b)를 일차 스풀(18)의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의 외주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회로 케이스(46)에 형성된 공간에 전기 절연성 열경화 수지가 분사되고, 따라서 용융 수지가 회로 케이스(46)내의 공간에 걸쳐서 유동한다. 따라서, 이차 권선(15) 및 일차 스풀(18) 사이에 형성된 갭, 일차 권선(19) 및 박막 시트(21) 사이에 형성된 갭 등은 전기 절연성 열경화 수지로 충진될 수 있다.
코일부(10)의 중간 외주부는, 종래의 수지제 케이스의 벽 두께의 실질적으로 1/2 내지 1/3의 범위에 있는 벽 두께를 갖는 박막 시트(21)로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부(10)는 외경이 현저히 감소된다.
상기 구조에서, 일차 스풀(18) 상에는 두 개의 칼라부(25, 30)가 형성된다. 일차 스풀(18) 상에는 적어도 두 개의 칼라부(25, 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 일차 스풀(18) 및 서브-조립체(40) 사이의 접촉 면적은, 일차 권선(19)의 수용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 일차 스풀(18) 상에 하나의 칼라부(30)만 형성되는 구조에 비해 커진다. 일차 스풀(18) 및 서브-조립체(40) 사이의 연결부의 강성은 칼라부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부(10)의 중간 외주부가 종래의 수지제 코일 케이스만큼 단단하지 않은 박막 시트(21)로 형성되더라도, 일차 스풀(18)은 회로 케이스(46)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칼라부(25, 30)가 박막 시트(21)와 접촉하는 연결부에 가해지는 압축력은, 서브-조립체(40)의 내주에 가해지는 압축력의 분석 결과에 따라 증가된다.
제1 및 제2 칼라부(25, 30)를 실질적으로 커버하는 박막 시트(21)의 연장부(21b)는 서브-조립체(40)에 의해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상에 가압된다. 그 결과, 서브-조립체(40) 및 일차 스풀(18) 사이의 갭은 상기 연장부(21b)에 의해 확실하게 밀봉된다. 따라서, 서브-조립체(40) 및 일차 스풀(18) 사이의 갭으로부터의 수지 등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일차 권선(19)의 리드부(19a)는 서브-조립체(40)에 의해 지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리드부(19a)는 제1 칼라부(25)의 제1 홈부(26), 환형 홈(35) 및 제2 칼 라부(30)의 제2 홈부(31)로 형성되는 굴곡 공간(37)의 주위에 권취된다. 그러므로, 일차 스풀(18),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의 외주에 추가 부재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일차 권선(19)의 리드부(19a)를 지지하기 위해 일차 스풀(18)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는 외경이 감소될 수 있다.
일차 코일(17) 및 외부 코어(23)는 박막 시트(21)에 의해 구분되며, 따라서 내부 스트레인(strain), 즉 가열 및 냉각에 의해 외부 코어(23)에 발생하는 변형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도5에 도시하듯이, 일차 스풀(18)의 상단부의 외주에는 제1 칼라부(55), 제2 칼라부(56) 및 제3 칼라부(57)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칼라부(55, 56, 57)는 일차 스풀(18)의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각각 상호 이격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 칼라부(55, 56, 57)의 각각은 다수의 홈(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이 변형예의 점화 코일의 구조는 제1, 제2 및 제3 칼라부(55, 56, 57)가 배제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일차 스풀(18) 및 서브-조립체(40) 사이의 접촉 면적은 제1, 제2 및 제3 칼라부(55, 56, 57)를 형성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칼라부, 즉 축방향 단부측에 배열되는 제1 및 제3 칼라부(55, 57) 사이의 거리가 증가된다. 그 결과, 일차 스풀(18) 및 서브-조립체(40) 사이의 연결부의 축방향 길이가 증가하며, 따라서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 특히 휨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6에 도시하듯이, 중간 외주부가 박막 시트(21) 대신에 수축성 튜브(61)로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일차 스풀(18) 및 서브-조립체(65) 사이에 보강 링(70)이 삽입된다. 특히, 상기 보강 링(70)은 일차 스풀(18)의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의 외주에 압입된다. 보강 링(70)은 길이 방향으로 내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보강 링(70)의 상부(두꺼운 벽부(71))는 보강 링(70)의 하부(얇은 벽부(73))보다 외경이 크다. 상기 두꺼운 벽부(71) 및 얇은 벽부(73)는 일차 스풀(18)의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의 외주에 압입된다. 수축성 튜브(61)는 일차 권선(19)을 원주방향으로 커버하는 본체부(63) 및 보강 링(70)의 얇은 벽부(73)를 원주방향으로 커버하는 연장부(62)를 구비한다. 서브-조립체(65)는 길이 방향으로 외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서브-조립체(65)의 상부(두꺼운 벽부(67))는 하부(얇은 벽부(66))보다 내경이 작다. 서브-조립체(65)의 얇은 벽부(66)는 두꺼운 벽부(67)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루트부(root portion)를 갖는다. 상기 얇은 벽부(66)의 루트부는 보강 링(70)의 두꺼운 벽부(71)의 외주에 압입된다.
상기 보강 링(70)은 일차 스풀(18)의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의 외주에 압입된다. 상기 수축성 튜브(61)는 일차 권선(19)의 외주 및 보강 링(70)의 얇은 벽부(73)에 부착된다. 수축성 튜브(61)가 가열되고 수축성 튜브(61)가 수축됨으로써, 수축성 튜브(61)는 일차 권선(19)의 외주 및 보강 링(70)의 얇은 벽부(73)와 긴밀하게 접촉된다. 따라서, 수축성 튜브(61)의 외주에 외부 코어(75)가 조립되며, 서브-조립체(65)의 얇은 벽부(66)는 보강 링(70)의 두꺼운 벽부(71)에 압입된다. 이렇게 해서, 조립 과정이 완료된다.
제2 실시예에서 플러그부의 중간 외주부는 박막 시트(21) 대신에 수축성 튜브(61)로 구성된다. 수축성 튜브(61)는 박막 시트(21)뿐 아니라 얇은 벽 두께를 가지며, 따라서 코일부의 외경이 감소될 수 있다. 회로 케이스(46)는 일차 스풀(18)의 제1 및 제2 칼라부(25, 30)를 통해서 일차 스풀(18)에 연결되며, 그로 인해 일차 스풀(18) 및 서브-조립체(65) 사이의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링(70)은 서브-조립체(65)가 수축성 튜브(61)의 외주측에 압입될 때 수축성 튜브(61)의 연장부(62)가 박리되는 것을 보호한다. 특히, 보강 링(70)의 하부인 얇은 벽부(73)는 보강 링(70)의 소직경부를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얇은 벽부(73) 및 두꺼운 벽부(71) 사이에는 단차부(step portion)가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보강 링(70)의 외주에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는 수축성 튜브(61)의 연장부(62)로 커버된다. 그러므로, 보강 링(70)의 상부인 두꺼운 벽부(71)의 외경은, 보강 링(70)의 하부인 얇은 벽부(73)를 커버하는 수축성 튜브(6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두꺼운 벽부(71) 및 수축성 튜브(61)의 외주는 실질적으로 편평해지며, 그 사이에 단차부가 축방향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연장부(62)가 박리되지 않고, 그로 인해 일차 스풀(18) 및 서브-조립체(65)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를 통한 전기 절연성 수지의 누설이 억제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는, 도7에 도시하듯이, 코일부(10)로부터 서브-조립체(40)가 배제되고, 제1 실시예의 코일부(10)의 구조에서 제어부(45)의 회로 케이스(46)로부 터 점화장치(51)가 배제되어 있다. 즉, 회로 케이스(46)의 연결부(49)가 박막 시트(21)의 연장부(21b)를 통해서 일차 스풀(18)의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의 외주에 대해, 그 사이에 서브-조립체(40)를 삽입하지 않고 직접 압입된다. 일차 권선(19)의 리드부는 공간, 즉 일차 스풀(18)의 제1 및 제2 칼라부(25, 30) 사이에 형성되는 굴곡 공간(37)(도4 참조)을 통과한 후 단자(52)에 연결된다. 이 구조에서, 일차 스풀(18)은 제1 및 제2 칼라부(25, 30)를 통해서 회로 케이스(46)에 확실하게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박막 시트(21) 및 일차 스풀(18) 사이의 갭은 회로 케이스(46)의 연결부(49)에 의해 확실하게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코일부(10)는 서브-조립체(40)를 배제시킴으로써 외경이 더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고, 그로 인해 플러그부(10)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점화장치(51)는 제어부(45)의 회로 케이스(46)의 외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변형예)
일차 스풀(18)의 변형예에 대해 후술한다. 하기의 변형예는 상기 실시예의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하기의 변형예 및 상기 실시예의 구조는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도8a에 도시하듯이, 일차 스풀(18)의 제1 변형예는 일차 스풀(18)의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호 이격되는 제1 칼라부(80) 및 제2 칼라부(82)를 갖는다. 제1 및 제2 칼라부(80, 82)의 벽 두께 t는 각각 실질적으로 1mm 이다. 일차 스풀(18)의 상단부 근처에 위치되는 제1 칼라부(80)의 상부 외주에, 즉 제어부(45)의 회로 케이스(46)의 측부에는 모떼기 에지(81)가 형성된다. 즉, 제1 칼라부(80)의 상부 원주는 부분적으로 원주방향으로 깎아낸(shaved) 형상을 갖는 모떼기 에지(81)가 되도록 형성된다. 모떼기 에지(81)는 대략 0.5 mm의 모떼기 폭 c를 갖는다. 모떼기 에지(81)는 제1 칼라부(80)의 상단 면(80a)에 대해 대략 45°의 모떼기 각도α를 갖는다.
도8b에 도시하듯이, 일차 스풀(18)의 제2 변형예는,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제1 칼라부(84) 및 제2 칼라부(86)를 갖는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칼라부(84)의 상부 외주에는 원호부(arc portion)(85)가 형성된다. 원호부(85)의 단면은 제1 칼라부(84)의 원주 방향에 대해 대략 사분원(quadrant)이다. 원호부(85)의 사분원-형상 단면의 반경 r은 대략 0.5mm 이다.
도8c에 도시하듯이, 일차 스풀(18)의 제3 변형예는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제1 칼라부(88) 및 제2 칼라부(91)를 갖는다. 일차 스풀(18)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칼라부(88)의 상단 면은 경사면(90)이다. 제1 칼라부(88)의 상부 외주에는 원호부(89)가 형성된다. 상기 원호부(89)의 단면은 제1 칼라부(88)의 원주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원호 형상이다. 원호부(89)의 원호형 단면의 반경 r은 대략 1mm이다. 제1 칼라부(88)의 경사면(90)은 도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제1 칼라부(25)의 윗면에 대해 대략 30°의 각도(θ)로 하향 경사진다.
도9a에 도시하듯이, 일차 스풀(18)의 제4 변형예는 제1 칼라부(300)를 갖는다. 제1 칼라부(300)의 상부 원주에는 라운드부(92)가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92)는 편평부(93) 및 원호부(94, 95)를 갖는다. 원호부(94, 95)는 편평부(93)를 통해서 상호 연결된다. 상기 편평부(93)는 대략 45°의 각도(θ)로 하향 경사진 다. 편평부(93)의 길이는 대략 0.3mm 이다. 라운드부(92)의 단면의 반경 r은 대략 0.5mm 이다.
도9b에 도시하듯이, 일차 스풀(18)의 제5 변형예는 제1 칼라부(310)를 갖는다. 제1 칼라부(310)의 상부 원주에는 라운드부(96)가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96)는 중앙 편평부(97) 및 편평부(98, 99)를 갖는다. 편평부(98, 99)는 중앙 편평부(97)를 통해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중앙 편평부(97) 및 편평부(98, 99)는 각각 대략 0.3mm의 길이를 갖는다. 편평부(98)는 대략 30°의 각도(θ1)로 하향 경사진다. 중앙 편평부(97)는 대략 45°의 각도(θ2)로 하향 경사진다. 중앙 편평부(99)는 대략 60°의 각도(θ3)로 하향 경사진다. 일차 스풀(18)의 제1 내지 제5 변형예의 제2 칼라부는 제1 칼라부(80, 84, 99, 300, 310)의 형상과 동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변형예에 따르면, 일차 스풀(18)은 모떼기 에지(81), 원호부(85, 89), 라운드부(92, 96) 등을 갖는 제1 칼라부(80, 84, 88, 300, 301) 중 하나를 갖는다. 일차 스풀(18)의 상단부가 회로 케이스(46)에 압입될 때, 일차 스풀(18)의 외주는 처음에 회로 케이스(46)의 연결부(49)의 개방 단부 가장자리와 상향 접촉한다. 이 상황에서, 회로 케이스(46)는 모떼기 에지(81) 등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일차 스풀(18)의 상단부에 매끄럽게 압입될 수 있다. 모떼기 에지(81), 원호부(85, 89), 라운드부(92, 96) 등은 매끄러운 삽입을 위해 일차 스풀에 의도적으로 형성되며, 일차 스풀(18)의 제조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형성되는 라운드부와 구별되어야 한다.
칼라부(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의 개수가 둘일 때, 일차 스풀(18)의 상부에 있는 환형 돌출부의 외주의 상측은 라운딩, 즉 모떼기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차 스풀(18)의 상측은 회로 케이스(46)가 일차 스풀(18)에 삽입되는 측이다. 칼라부의 개수가 적어도 셋일 때, 일차 스풀(18)의 상부 및/또는 중간부에 있는 칼라부의 외부 원주의 상측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차 스풀(18)은 회로 케이스(46)에 쉽게 압입될 수 있다.
환형 돌출부의 라운드부는 원호형상부(85, 89, 92, 96) 및/또는 모떼기 에지(81)일 수도 있다. 원호형상부(85, 89, 92, 96)의 반경 r은 대략 0.3mm 내지 2.0mm 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모떼기 에지(81)의 모떼기 폭 c는 대략 0.3mm 내지 2.0mm 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원호형상부(85, 89, 92, 96)의 반경 r은 칼라부(84, 88, 300, 310)의 벽 두께 t의 대략 삼분의 일 내지 삼분의 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모떼기 에지(81)의 모떼기 폭 c는 상기 벽 두께 t의 대략 사분의 일 내지 사분의 삼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부(85, 89, 92, 96)와 적어도 하나의 모떼기부(81)로 형성될 수 있다.
스틱형 점화 코일은 코일부(10) 및 회로 케이스(46)를 구비한다. 코일부(10)는 중심 코어(11)의 원주방향 외측에 배열되는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을 구비한다. 상기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은 박막 시트(21)로 커버될 수도 있다. 상기 박막(21)은 서브-조립체(40, 65) 및 외부 코어(23)로 커버될 수도 있다.
박막 시트(21)는 제3 실시예의 코일부(10)로부터 배제될 수도 있다. 이 경 우에, 코일부(10)는 박막 시트가 배제된 회로 케이스(46)와,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 칼라부(25, 30)를 구비하는 제1 형태의 코일부(10)로 지칭된다. 제1 형태의 코일부(10)에서,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의 수용부는 회로 케이스(46)이다. 이차 스풀(14)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되는 일차 스풀(18)은 칼라부(25, 30)를 통해서 반경방향으로 회로 케이스(46)와 연결된다. 제1 형태의 코일부(10)의 구조에서, 일차 스풀(18) 및 회로 케이스(46) 사이의 연결 강도는, 칼라부(25, 30)가 형성되지 않거나 칼라부(25, 30) 중 하나만 형성되어 있는 코일부의 구조보다 높아진다.
제3 실시예의 코일부(10)는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 칼라부(25, 30), 회로 케이스(46) 및 박막 시트(21)를 구비하는 제2 형태의 코일부(10)로 지칭된다. 제2 형태의 코일부(10)에서,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의 수용부는 박막 시트(21)이다. 박막 시트(21)는 일차 코일(17)의 일차 스풀(18)에 형성된 칼라부(25, 30)를 원주방향으로 커버한다. 일차 스풀(18)은 칼라부(25, 30) 및 박막 시트(21)를 통해서 회로 케이스(46)와 반경방향으로 연결된다. 제2 형태의 코일부(10)에서는, 종래의 수지제 코일 케이스 대신에 박막 시트(21)가 사용되며, 따라서 코일부(10)의 외경이 감소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차 스풀(18) 및 회로 케이스(46)는 칼라부(25, 30)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며, 따라서 그 사이의 연결 강도가 향상된다. 박막 시트(21)의 연장부(21b)는 일차 스풀(18) 및 회로 케이스(46) 사이에 삽입되며, 따라서 회로 케이스(46) 및 일차 스풀(18) 사이의 갭, 박막 시트(21) 및 일차 권선(19) 사이의 갭이 확실히 밀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코일부(10)는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 칼라부(25, 30), 회로 케이스(46), 박막 시트(21) 및 서브-조립체(원통형 부재)(40)를 구비하는 제3 형태의 코일부(10)로 지칭된다. 제3 형태의 코일부(10)에서,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의 수용부는 박막 시트(21)이다. 박막 시트(21)는 일차 코일(17)의 일차 스풀(18)에 형성된 칼라부(25, 30)를 원주방향으로 커버한다. 서브-조립체(40)는 박막 시트(21)를 원주방향으로 커버한다. 일차 스풀(18)은 칼라부(25, 30), 박막 시트(21) 및 서브-조립체(40)를 통해서 회로 케이스(46)와 반경방향으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JP-A-11-16753에 개시된 점화 코일은 외주측에 배열되는 일차 스풀이 링과 결합되는 상단부를 갖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링은 일차 스풀 및 코일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고 전기 절연성 수지로 충진되는 갭을 밀봉할 뿐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코일 케이스는 종래의 코일 케이스와 벽 두께가 동일하며, 벽 두께가 감소되지 않는다.
제3 형태의 코일부(10)의 구조에서는, 종래의 수지제 코일 케이스 대신에 박막 시트(21)가 사용되며, 따라서 코일부(10)의 외경이 감소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차 스풀(18) 및 회로 케이스(46)는 칼라부(25, 30)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며, 따라서 그 사이의 연결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박막 시트(21)의 연장부(21b)는 일차 스풀(18) 및 서브-조립체(40) 사이에 삽입되며, 따라서 서브-조립체(40) 및 일차 스풀(18) 사이의 갭, 박막 시트(21) 및 일차 권선(19) 사이의 갭이 확실히 밀봉될 수 있다. 일차 권선(19)의 리드부는 서브-조립체(40)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일차 스풀(18)의 지지부는 소형화될 수 있다. 이차 칼라부(30)의 제2 홈부(31) 는 일차 스풀(18)의 원주 방향으로 제1 칼라부(25)의 제1 홈부(26)로부터 대략 90°엇갈려 있다. 따라서, 일차 권선(19)의 리드부는 코일부(10)의 외경을 증가시키지 않고 제1 및 제2 칼라부(25, 30)에 의해 쉽고 확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코일부(10)의 외주에는 외부 코어(23)가 제공되며, 따라서 일차 권선(19)의 외주측에 외부 코어(23)가 조립될 때 일차 권선(19)은 손상되지 않도록 박막 시트(2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코일부(10)는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 칼라부(25, 30), 회로 케이스(46), 수축성 튜브(61), 보강 링(환형 부재)(70) 및 서브-조립체(원통형 부재)(65)를 구비하는 제4 형태의 코일부(10)로 지칭된다. 제4 형태의 코일부(10)에서,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의 수용부는 수축성 튜브(61)이다. 수축성 튜브(61)는 보강 링(70)을 통해서 일차 코일(17)의 일차 스풀(18)에 형성되는 칼라부(25, 30)를 원주방향으로 커버한다. 상기 서브-조립체(65)는 수축성 튜브(61) 및 보강 링(70)을 원주방향으로 커버한다. 일차 스풀(18)은 칼라부(25, 30), 보강 링(70) 및 서브-조립체(65)를 통해서 회로 케이스(46)와 반경방향으로 연결된다. 제4 형태의 코일부(10)의 구조에서는, 종래의 수지제 코일 케이스 대신에 수축성 튜브(61)가 사용되며, 따라서 코일부(10)의 외경이 감소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차 스풀(18) 및 회로 케이스(46)는 칼라부(25, 30), 보강 링(70) 및 서브-조립체(65)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며, 따라서 그 사이의 연결 강도가 향상된다. 일차 권선(19)의 리드부는 서브-조립체(65)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일차 스풀(18)의 지지부가 소형화될 수 있다. 보강 링(70)이 일차 스풀(18) 및 서브-조립체(65) 사이 에 배열되며, 따라서 서브-조립체(65)가 회로 케이스(46)에 압입될 때 수축성 튜브(61)의 상단부는 변형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수축성 튜브(61)는 박막 시트(21)와 등가물이며, 코일부(10)에는 필요에 따라 수축성 튜브(61) 또는 박막 시트(21)가 사용될 수 있다.
일차 코일(17)은 코일부(10)의 반경방향으로 이차 코일(13)에 대해 내주 측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도, 전류는 점화장치(51)에 의해 공급 및 차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점화 코일 뿐 아니라 일차 및 이차 코일(13, 17)을 사용하여 고전압 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칼라부의 개수는 적어도 두 개일 수 있다. 칼라부의 개수 및 다양한 치수들은, 일차 스풀이 예를 들어 박막 시트(21)를 통해서 회로 케이스(46)에 압입된 후에 상기 박막 시트(21)에 칼라부가 반경방향으로 가압되는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칼라부의 다양한 치수는 예를 들면, 높이, 즉 각 칼라부의 반경방향 연장 정도, 칼라부의 폭, 즉 일차 스풀(18)의 축방향으로의 칼라부의 길이, 일차 스풀(18)의 원주 방향에 대한 칼라부의 단면 형상 및 상호 인접하는 칼라부 사이의 거리와 같은 것이다.
리드부(19a)는 제1 및 제2 홈부(26, 31)와 환형 홈(35)으로 형성되는 굴곡 공간(37)의 주위에 권취된다. 굴곡 공간(37)은 전기 절연성 수지제의 통로일 수도 있다. 일차 권선(19) 및 박막 시트(21) 사이에 형성되는 갭은 전기 절연성 수지로 충진된다.
서브-조립체(40, 65)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환형 형상이 다. 서브-조립체(40, 65)는 일차 권선(19)의 리드부의 지지부를 갖는다. 서브-조립체(40, 65)는 제어부(45)의 회로 케이스(46) 및 일차 스풀(18) 사이의 경계면으로서 작용한다. 서브-조립체(40, 65)는 소정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서브-조립체(40, 65)의 내주는 일차 스풀(18)에 압입되기에 적합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서브-조립체(40, 65)의 외주는 회로 케이스(46)에 압입되기에 적합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서브-조립체(40, 65)의 외경 및/또는 내경은 그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브-조립체(40, 65)의 상부 및 하부는 서로 다른 외경 및/또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서브-조립체(40, 65)는 코일부(10)에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차 스풀(18)의 상부 및 서브-조립체(65) 사이에 삽입되는 보강 링(70)은, 코일부(10)의 최외측 원주부에 수축성 튜브(61)가 제공될 때, 수축성 튜브(61)를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보강 링(70)의 외경 및/또는 내경은 그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강 링(70)의 상부 및 하부는 서로 다른 외경 및/또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보강 링(70)은 코일부(10)에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박막 시트(21)는 100℃ 내지 150℃와 같은 온도 조건에서 내열성을 갖는 수지로 제조된다. 박막 시트(21)는 일차 스풀(18) 및 외부 코어(23)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을 갖는다. 박막 시트(21)는 그 두께가 대략 0.05mm 내지 0.4mm 의 범 위에 있도록 사출성형 또는 압출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박막 시트(21)는 외부 코어(23)의 외주측에 배열될 수도 있다. 박막 시트(21) 대신에 수축성 튜브(16)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45)의 회로 케이스(46)는 점화장치(51) 및 단자(52)를 구비할 수도 있다. 회로 케이스(46)는 코일부(10)에 압입되는 원통형의 연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5)의 회로 케이스(46)가 점화장치(51) 등을 구비할 때, 회로 케이스(46), 점화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45)가 코일부(10)에 구비된 일차 코일(17)과 일차 코일(13) 중 하나를 제어한다. 회로 케이스(46)가 점화장치(51)를 구비하지 않을 때, 코일부(10)는 회로 케이스(46)를 통해서 외부 점화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상기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예 및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틱형 점화 코일에 따르면, 일차 및 이차 코일을 수용하는 코일부의 벽 두께가 감소되고, 일차 코일의 일차 권선의 리드부를 지지하기 위해 외부 스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가 소형화될 수 있다.

Claims (21)

  1. 스틱형 점화 코일이며,
    이차 스풀(14) 및 상기 이차 스풀(14)의 주위에 권취되는 이차 권선(15)을 구비하는 이차 코일(13),
    일차 스풀(18) 및 상기 일차 스풀(18)의 주위에 권취되는 일차 권선(19)을 구비하고, 상기 이차 코일(13)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열되는 일차 코일(17),
    상기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의 코일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되는 다른 코일의 상단부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 및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의 외주에 압입되는 케이스(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의 외주를 커버하는 박막 시트(21)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46)는 박막 시트(21)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의 외주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6) 및 박막 시트(21) 사이에 삽입되는 원통형 부재(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6)는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를 제어하는 회로 케이스(46)인 스틱형 점화 코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최하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30, 57, 82, 86, 91) 중 다른 하나에 대해 상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55, 80, 84, 88, 300, 31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상부에 외주를 가지며,
    상기 외주는 라운드부(81, 85, 89, 92, 96)를 형성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의 상단부는,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가 케이스(46)에 압입되는 쪽에 위치되는 스틱형 점화 코일.
  7. 스틱형 점화 코일이며,
    이차 스풀(14) 및 상기 이차 스풀(14)의 주위에 권취되는 이차 권선(15)을 구비하는 이차 코일(13),
    일차 스풀(18) 및 상기 일차 스풀(18)의 주위에 권취되는 일차 권선(19)을 구비하고, 상기 이차 코일(13) 및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열되는 일차 코일(17),
    상기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의 코일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되는 다른 코일의 상단부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
    박막 시트(21) 및
    상기 박막 시트(21)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의 외주에 압입되는 케이스(46)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시트는,
    (a)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의 코일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되는 다른 코일의 외주 및
    (b)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의 외주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6)는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를 제어하는 회로 케이스(46)인 스틱형 점화 코일.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최하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30, 57, 82, 86, 91) 중 다른 하나에 대해 상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55, 80, 84, 88, 300, 31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상부에 외주를 가지며,
    상기 외주는 라운드부(81, 85, 89, 92, 96)를 형성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의 상단부는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가 케이스(46)에 압입되는 쪽에 위치되는 스틱형 점화 코일.
  11. 스틱형 점화 코일이며,
    이차 스풀(14) 및 상기 이차 스풀(14)의 주위에 권취되는 이차 권선(15)을 구비하는 이차 코일(13),
    일차 스풀(18) 및 상기 일차 스풀(18)의 주위에 권취되는 일차 권선(19)을 구비하고, 상기 이차 코일(13)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열되는 일차 코일(17),
    상기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의 코일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되는 다른 코일의 상단부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
    박막 시트(21),
    상기 박막 시트(21)를 통해서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의 외주에 압입되고, 일차 권선(19) 및 이차 권선(15) 중 하나의 권선의 리드부를 지지하는 전기 절연성의 원통형 부재(40) 및
    상기 원통형 부재(40)의 외주에 압입되는 케이스(46)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시트는,
    (a)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의 코일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되는 다른 코일의 외주 및
    (b)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의 외주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는 일차 코일(17)의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제1 환형 돌출부(25, 55, 56, 80, 84, 88, 300, 310) 및 제2 환형 돌출부(30, 56, 57, 82, 86, 91)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환형 돌출부(25, 55, 56, 80, 84, 88, 300, 310)는 일차 코일(17)의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홈부(26)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환형 돌출부(30, 56, 57, 82, 86, 91)는 일차 코일(17)의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홈부(31)를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홈부(26)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홈부(31)에 대해 상기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의 원주 방향으로 엇갈려 있고,
    상기 일차 권선(19) 및 이차 권선(15) 중 하나의 권선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되는 다른 권선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홈부(26), 제1 환형 돌출부(25, 55, 56, 80, 84, 88, 300, 310) 및 제2 환형 돌출부(30, 56, 57, 82, 86, 91)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 공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홈부(31)로 형성되는 굴곡 공간(3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스틱형 점화 코일.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시트(21)의 외주측에 배열되는 외 부 코어(23)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6)는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를 제어하는 회로 케이스(46)인 스틱형 점화 코일.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최하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30, 57, 82, 86, 91) 중 하나에 대해 상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55, 80, 84, 88, 300, 31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상부에 외주를 가지며,
    상기 외주는 라운드부(81, 85, 89, 92, 96)를 형성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의 상단부는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가 케이스(46)에 압입되는 쪽에 위치되는 스틱형 점화 코일.
  17. 스틱형 점화 코일이며,
    이차 스풀(14) 및 상기 이차 스풀(14)의 주위에 권취되는 이차 권선(15)을 구비하는 이차 코일(13),
    일차 스풀(18) 및 상기 일차 스풀(18)의 주위에 권취되는 일차 권선(19)을 구비하고, 상기 이차 코일(13)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열되는 일차 코일(17),
    상기 일차 권선(19) 및 이차 권선(15) 중 하나의 권선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 되는 다른 권선의 외주를 커버하는 수축성 튜브(61),
    상기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의 코일에 대해 외주측에 배열되는 다른 코일의 상단부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의 외주에 압입되는 전기 절연성의 환형 부재(70),
    상기 환형 부재(70)의 외주에 압입되고, 일차 권선(19) 및 이차 권선(15) 중 하나의 권선의 리드부를 지지하는 전기 절연성의 원통형 부재(65) 및
    상기 원통형 부재(65)의 외주에 압입되는 케이스(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 튜브(61)는 상기 환형 부재(70)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상단부를 갖는 스틱형 점화 코일.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6)는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를 제어하는 회로 케이스(46)인 스틱형 점화 코일.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최하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30, 57, 82, 86, 91) 중 하나에 대해 상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55, 80, 84, 88, 300, 31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상부에 외주를 가지며,
    상기 외주는 라운드부(81, 85, 89, 92, 96)를 형성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21.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코일(17) 및 이차 코일(13) 중 하나의 상단부는 상기 다수의 환형 돌출부(25, 30, 55, 56, 57, 80, 82, 84, 86, 88, 91, 300, 310)가 케이스(46)에 압입되는 쪽에 위치되는 스틱형 점화 코일.
KR1020050009780A 2004-02-04 2005-02-03 내부 연결 구조를 갖는 스틱형 점화 코일 KR100759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8308 2004-02-04
JPJP-P-2004-00028308 2004-02-04
JP2004364596A JP4487190B2 (ja) 2004-02-04 2004-12-16 スティック型点火コイル
JPJP-P-2004-00364596 2004-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611A KR20060041611A (ko) 2006-05-12
KR100759163B1 true KR100759163B1 (ko) 2007-09-14

Family

ID=3481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780A KR100759163B1 (ko) 2004-02-04 2005-02-03 내부 연결 구조를 갖는 스틱형 점화 코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29812B2 (ko)
JP (1) JP4487190B2 (ko)
KR (1) KR100759163B1 (ko)
CN (1) CN1652265B (ko)
DE (1) DE10200500505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2960A (ja) * 2006-03-09 2007-09-20 Denso Corp 点火コイル
JP2007242961A (ja) * 2006-03-09 2007-09-20 Denso Corp 点火コイル
JP2007242959A (ja) * 2006-03-09 2007-09-20 Denso Corp 点火コイル
JP4329823B2 (ja) * 2006-07-27 2009-09-09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747767B2 (ja) * 2011-09-28 2015-07-15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219891A1 (de) * 2012-10-31 2014-04-30 Robert Bosch Gmbh Zündspule mit entkoppelter Elektronikbaugruppe
JP6089960B2 (ja) * 2013-05-21 2017-03-08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JP6428094B2 (ja) * 2014-09-25 2018-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219A (ja) 1996-09-11 1998-04-07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2000277362A (ja) 1999-03-24 2000-10-06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1244135A (ja) 2000-02-28 2001-09-07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3303724A (ja) 2001-05-08 2003-10-24 Denso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12353A1 (ko) * 1968-07-05 1970-03-20 Lucas Industries Ltd
JPH09232160A (ja) * 1996-02-20 1997-09-05 Sumitomo Wiring Syst Ltd 点火コイル装置
JP3602267B2 (ja) * 1996-07-12 2004-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点火コイル装置
US5706792A (en) * 1996-12-10 1998-0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grated ignition coil and spark plug
ES2275786T3 (es) * 1997-02-14 2007-06-16 Denso Corporation Bobina de encendido tipo varilla, con estructura mejorada contra fisuras o descargas dielectricas.
US6028501A (en) * 1997-08-07 2000-02-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Ignition coil having a toroidal magnet
DE20012401U1 (de) * 2000-07-18 2001-11-29 Robert Bosch Gmbh, 70469 Stuttgart Stabspule für Zündanlagen
JP2003051416A (ja) * 2001-05-31 2003-02-21 Denso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4491725B2 (ja) * 2003-12-03 2010-06-30 株式会社デンソー 細径点火コイ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219A (ja) 1996-09-11 1998-04-07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2000277362A (ja) 1999-03-24 2000-10-06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1244135A (ja) 2000-02-28 2001-09-07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3303724A (ja) 2001-05-08 2003-10-24 Denso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87190B2 (ja) 2010-06-23
JP2005252233A (ja) 2005-09-15
CN1652265A (zh) 2005-08-10
DE102005005053A1 (de) 2005-09-15
US7129812B2 (en) 2006-10-31
CN1652265B (zh) 2010-11-24
DE102005005053B4 (de) 2014-11-20
US20050168313A1 (en) 2005-08-04
KR20060041611A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163B1 (ko) 내부 연결 구조를 갖는 스틱형 점화 코일
EP1253606B1 (en) Stick-type ignition coil having improved structure against crack or dielectric discharge
US9548156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048632B1 (en) Ignition coil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4329510B2 (ja) 点火コイル
US6836203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676778B1 (ko) 점화 플러그용 스틱형 점화 코일 장치
JP4969770B2 (ja) スティック型点火コイル及びその1次コイルアセンブリの組付け方法
JP3550643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4441872B2 (ja) スティック形点火コイル及びその円筒部材
WO2016063951A1 (ja)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US6192873B1 (en) Ignition coil having spring for connecting the same to spark plug
US6662794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705289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629983B2 (ja) 点火コイル
JPH097861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587024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4032692B2 (ja) 点火コイル
JP7476618B2 (ja) 点火コイル
KR20060041686A (ko) 스틱형 점화 코일 및 이의 단자 조립체
JP4333387B2 (ja) スティック形点火コイル
JP4042041B2 (ja) 点火コイル
JP3644282B2 (ja) 点火コイル
JP3795639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5142589A (ja) 点火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130

Effective date: 200706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