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686A - 스틱형 점화 코일 및 이의 단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틱형 점화 코일 및 이의 단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686A
KR20060041686A KR1020050010323A KR20050010323A KR20060041686A KR 20060041686 A KR20060041686 A KR 20060041686A KR 1020050010323 A KR1020050010323 A KR 1020050010323A KR 20050010323 A KR20050010323 A KR 20050010323A KR 20060041686 A KR20060041686 A KR 20060041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erminal
spool
winding
termina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174B1 (ko
Inventor
노리히또 후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60041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01F2038/122Ignition, e.g. for IC engines with rod-shaped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스틱형 점화 코일은 코일부(10), 절연 링형 단자 조립체(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코일부(10)는 중심 코어(11), 제1 코일(17) 및 제2 코일(13)을 포함한다. 단자 조립체(40)는 제1 코일(17)의 제1 스풀(18) 상단부 상에 가압 끼워 맞춤된다. 단자 조립체(40)는 제1 코일(17)의 제1 권취부(19)의 단부 쌍을 보유하기 위한 제1 단자(46, 47)와, 제1 및 제2 권취부(19,15) 사이에 연결된 실행전압 억제 다이오드(60)를 갖는다. 제어부(50)는 단자 조립체(40) 상에 가압 끼워 맞춤된 절연 상부 케이스(51) 및 상부 케이스(51) 내에 배치된 점화장치(56)를 포함한다.
스틱형 점화 코일, 코일부, 단자 조립체, 제어부, 점화장치, 실행전압 억제 다이오드

Description

스틱형 점화 코일 및 이의 단자 조립체 {STICK-TYPE IGNITION COIL AND TERMINAL ASSEMBLY THEREFO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화 코일을 사용하는 점화 장치의 회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점화 코일의 일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종단면도.
도3은 도2의 선3-3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4는 도3에서 단자 조립체만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종래 점화 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부
40 : 단자 조립체
50 : 제어부
56 : 점화장치
60 : 실행전압 억제 다이오드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스파크 플러그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및 상기 점화 코일용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틱형 점화 코일은 축 방향으로 가운데 부분에 제공된 코일부, 일단부(상단부)에 제공된 제어부, 그리고 타단부(하단부)에서의 타워부를 갖는다. 코일부에서는 중심 코어, 제1 코일, 제2 코일 등이 원통형 코일 케이스에 수용된다. 제어부에서는 전자 제어 회로[점화장치 (igniter)]가 박스형 상부 케이스에 수용된다. 코일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는 각각 성형된 후 서로 연결된다. 점화장치는 제1 코일 내에 유동하는 전류를 차단시킴으로써 제2 코일이 고전압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점화 코일에 의한 점화 시점을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실행전압 (on-voltage)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실행전압은 제1 코일로의 전류 공급이 꺼짐 조건에서 켜짐 조건으로 변화할 때 소정의 전압에 반대방향으로 제2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의미한다. 상기 실행전압은 점화 시점(제1 전류 꺼짐 시점)과 다른 시점에 발생된다. 그러므로, 엔진은 스파크 플러그가 상기 실행전압에 응답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킬 때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스파크 플러그가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전압 미만으로 실행전압의 전압 준위를 억제함으로써 실행전압으로 인한 부정적인 효과를 제한할 수 있다. 종래의 점화 코일(미국 특허 제6095125호, 미국 특허 제6032658호, 및 일본 특허 제10-176647A호)에서는, 일례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압은 제1 코일(80)의 일단부(81)에 인가되고 스위칭 전력 트랜지스터(82)는 타단부에 연결된다. 제너 (Zener) 다이오드(85)는 실행전압이 역전압이 되는 방식으로 스파크 플러그(87)에 연결된 제2 코일(84)의 저전압측과 제1 코일(80) 사이에 연결된다. 제너 다이오드 (85) 및 전력 트랜지스터(82)는 제어부의 점화장치의 회로판에 장착된다.
상기 종래 점화 코일의 제어부 직경 치수가 크므로 상기 코일의 헤드부는 커지게 된다. 특히, 전력 트랜지스터 및 제너 다이오드가 점화장치의 회로판 상에 정상적으로 배열되면 (평면으로 도시된 평면 영역)횡방향 영역이 커진다. 그러므로, 점화장치의 크기는 제어부인 상부 케이스의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코일부의 외경은 엔진 헤드에서의 플러그 구멍의 내경의 감소에 대처하기 위해 감소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점화장치의 크기가 코일 헤드부의 치수에 영향을 미치므로 코일 헤드부의 부피 및 직경을 감소시키는 것은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코일부의 부피 및 직경의 감소는 실행전압 억제 제너 다이오드가 점화장치의 회로판 상에 장착된 종래의 점화장치 코일 내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행전압 억제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소형 코일부 및 감소식 직경의 코일 본체부를 갖는 스틱형 점화 코일을 제공하고, 스틱형 점화 코일용 단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 코일은 적어도 코일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코일부는 중심 코어, 중심 코어의 반경 방향으로 제공된 제1 및 제2 코일, 스풀(spool)들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있는 것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제공된 박막 시트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회로 케이스, 회로 케이스 내에 수용된 단자 및 점화장치 등을 포함한다.
점화장치는 제2 코일이 응답식으로 고전압을 발생시키도록 제1 코일 내의 전 류 유동을 차단한다. 제1 코일에서 제1 권취부 (winding;19)는 절연 및 원통형 제1 스풀 상에 권취된다. 유사하게, 제2 코일에서 제2 권취부는 절연 및 원통형 제2 스풀 상에 권취된다. 점화 코일의 반경 방향으로, 제2 코일은 내부에 제공될 수 있고 제1 코일은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코일이 내부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코일이 외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권취부의 일단부를 보유하는 제2 스풀의 연장부에 부착된 제2 단자는 상단부 표면 상에 연장되어 다이오드에 연결된다.
단자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거나 링형이며 축방향의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단자 조립체의 내주면은 외측 스풀에 가압 끼워맞춤(press-fitted)되는 데 적절한 형상과 치수를 갖는다. 단자 조립체의 외주면은 상부 케이스 내에 가압 끼워맞춤되는 데 적절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단자 조립체의 내주면의 내경 및 외주면의 외경은 전체적인 축 길이에 걸쳐 동일하거나 부분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 단자 조립체는 적어도 하단측에 제1 링형부과 상단측에 제2 링형부를 갖는다. 제1 링형부는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제공된 스풀(외측 스풀)의 상단부에 가압 끼워맞춤되고, 제2 링형부는 그 위에 단자 및 다이오드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단자 조립체는 3가지 기능을 갖는다.
제1 기능은 코일의 외측 스풀과 제어부의 상부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것을 돕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1 링형부의 내주면은 외측 스풀의 상단부의 외주면에 가압 끼워맞춤되고, 제어부의 상부 케이스는 단자 조립체의 외주면에 가압 끼워맞춤된다. 단자 조립체는 코일부와 제어부 사이의 중간 부품이며 두 부품 중 하 나의 부품일 수 있다.
제2 기능은 제1 권취부의 양 단부를 모두 보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단자 조립체는 단자 조립체의 중공부를 통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권취부의 양 단부를 보유하는 한 쌍의 제1 단자를 갖는다. 각각의 제1 단자는 단자 조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제1 권취부의 단부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부를 갖는다. 제2 스풀에 부착된 제2 단자의 연장부는 제2 링형부의 상단부 표면 상에 노출된다. 제1 링형부는 박막 시트를 통해 외측 스풀에 가압 끼워맞춤될 수 있고, 제1 링형부의 하부측에 제공된 제3 링형부는 외측 코어에 가압 끼워맞춤될 수 있다.
제3 기능은 실행전압 억제 다이오드를 지지하는 것이다. 다이오드는 실행전압보다 높은 내전압을 갖는다. 이것은 실행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 (켜짐 시점에 발생된 전압에 역방향)으로 제1 권취부의 일단부 (배터리측)와 제2 권취부의 저전압측 단부 사이에 배열된다. 다이오드는 본체(요소) 및 양단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리드 와이어를 갖는다. 본체는 제2 링형부의 상단부 표면 상에 접선방향으로 배열된다. 하나의 리드 와이어 및 다른 리드 와이어는 각각 제1 단자들 중의 하나와 제2 단자의 연장부를 향하여 정밀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다이오드는 미리 단자 조립체에 부착되고 이후 다이오드 및 제1 단자는 제1 단자를 단자 조립체에 부착시키는 동시에 서로 결합되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한 이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내연기관용 점화 장치는 도1에 도시된다. 점화 장치는 제1 코일(17) 및 제2 코일(13)을 포함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을 사용한다. 제1 코일(17)은 배터리 전압(B)에 연결된 일단부(21a) 및 스위칭 전력 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타단부(21b)를 갖는다. 실행전압 억제 다이오드(60)는 실행전압에 의해 다이오드(60)가 역편향된 방향으로 제1 코일(17)의 일단부(21a)와 제2 코일(13)의 일단부(저전압측 단부;16a) 사이에 연결된다. 제2 코일(13)의 타단부(고전압측 단부)(16b)는 스파크 플러그(P)에 연결된다. 다이오드(60)는 트랜지스터(Tr)의 꺼짐에 의해 제1 코일(17)로의 전류 공급이 꺼질 때 제2 코일(13)이 높은 스파크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은 허용하지만, 트랜지스터(Tr)의 켜짐에 의해 제1 코일(17)로의 전류 공급이 켜질 때에는 제2 코일(13)이 높은 전압(실행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을 제한한다.
도2는 점화 코일의 제어부(50) 및 코일부(10)의 일부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제어부(50)는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하고 전력 트랜지스터(Tr)의 켜짐 및 꺼짐을 제어한다. 코일부(10)는 축 방향에서 중앙부에 있고 엔진 헤드의 플러그 구멍(도시 생략) 내에 삽입된다. 상단부에 제공된 제어부(50)는 엔진 열 커버의 상부면 상에 착좌된다. 코일부(10) 및 제어부(50)는 절연 링형 케이스인 단자 조립체(40)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코일부(10)에서, 중심 코어(11), 제2 코어(13), 제1 코어(17), 박막 시트(22) 및 외부 코어(23)가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주 연부 쪽으로 배치된다. 제2 코일(13)은 절연 튜브형 제2 스풀(14)과, 스풀(14)의 외주면 상에 권취된 제2 권취부(15)를 포함한다. 제1 코일(17)은 절연 튜브형 제1 스풀(18) 및 스풀(18)의 외주면 상에 권취된 제1 권취부(19)를 포함한다. 도전성 제2 단자(48; 도3)는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된 제2 스풀(14)의 상단부에 부착된다. 상기 단자(48)는 도3의 우측에 도시되고 제2 권취부(15)의 일단부(16a)를 보유한다. 플랜지부(25)는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된 제1 스풀(18)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튜브형 박막 시트(22)는 제1 권취부(19)를 커버한다. 이의 상단부는 플랜지부(25) 너머로 연장되고 제1 스풀(18)의 상단부에 도달한다. 튜브형 얇은 외부 코어(23)는 제1 권취부(19)를 마주하는 부분에서 박막 시트(22)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에 배치된다. 박막 시트(22)는 절연성이고 조립 상태에서 제1 스풀(18)의 형상에 상응하는 튜브로 형상화된다. 이의 두께는 양호하게 0.1 mm 내지 0.3 mm 이다. 이는 제1 스풀(18)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축성 튜브 같은 다른 튜브가 박막 시트(22)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중심 코어(11)로부터 외부 코어(23)까지 측정된 코일부(10)의 외경은 약 17 mm 내지 19.9 mm 이다. 코일부(10)에서, 제1 스풀(18)의 상단부는 코일 헤드부(27b)를 형성하고 다른 부품은 코일 본체부(27a)를 형성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조립체(40)는 절연성이고, 상단부(41), 중간부(42), 및 하단부(43)를 갖는 링형상이다. 상단부(41)는 외경 및 내경 모두가 가장 작다. 하단부(43)는 외경과 내경 모두가 가장 크다. 중간부(42)의 외경 및 내경은 각각 상기 두 단부의 외경과 내경의 사이이다.
도4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부(41)는 반경 내향에 함몰부 (41a)를 갖는다. 중간부(42)의 내경은 일반적으로 플랜지부(25)의 외경과 동일하다. 하단부(43)의 내경은 외부 코어(23)의 외경에 대응한다. 중간부(42) 및 하단부(43)의 외경은 일반적으로 상부 케이스(51)의 연결 부품(54)의 내경과 동일하다. 상단부(41)의 내경은 23 mm 미만이며, 양호하게는 19 mm 미만이다.
제1 권취부(19)의 일단부(21a) 및 타단부(21b)는 제1 스풀(18)의 플랜지부(25) 및 단자 조립체(40)의 상단부(41)의 함몰부(41a)를 통과하는 상단부 표면으로 연장된다. 제2 단자(48)의 연장부(48a)는 상단부(41)의 중공부를 지나 상단부 표면에 노출된다.
또한, 단자 조립체(40)는 한 쌍의 도전성 제1 단자(46, 47)를 갖는다. 이들은 도3의 좌측에 도시된다. 하나의 제1 단자(46)는 U-형부(46a) 및 고정부(46b)를 갖는다. 부분(46a)은 제1 권취부(19)의 타단부(21b)를 보유하고 부분(46b)은 단자 조립체(40)에 고정된다. 다른 제1 단자(47)는 U-형부(47a) 및 고정부(47b)를 갖는다. 부분(47a)은 제1 권취부(19)의 일단부(21a)를 보유하고 부분(47b)은 단자 조립체(40)에 고정된다.
단자 조립체(40)의 상단부 표면 상에 다이오드(60)가 장착된다. 다이오드(60)는 본체(61) 및 본체(61)의 단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리드 와이어(62, 63)를 갖는다. 본체(61)는 다른 제1 단자(47)와 제2 단자(48)의 연장부(48a) 사이에 단자 조립체(40)의 접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하나의 리드 와이어(62)는 아치형으로 시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자(47)의 고정부(47b) 및 제1 권취부(19)의 일단부(21a)에 연결된다. 다른 리드 와이어(63)는 아치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단자(48)의 연장부(48a)에 의해 보유되고, 제2 권취부(15)의 일단부(16a)에 연결된다. 도2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이오드(60)는 점화 코일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점화장치(56)의 아래에 숨겨지도록 점화장치(56)의 밑면에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다이오드(60)는 반경 방향으로 점화장치(56)의 외주연부의 내부에 배치된다.
절연 수지(도시 생략)는 제2 권취부(15)와 제1 스풀(18) 사이 그리고 제1 권취부(19)와 박막 시트(22) 사이 등의 공간에 충전된다. 단자 조립체의 중간부(42)는 제1 스풀(18)의 상단부까지 연장되는 박막 시트(22)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 표면에 긴밀하게 부착되어 제1 권취부(19) 및 박막 시트(22)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
도2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50)의 회로 케이스(61)는 박스형 수용부(52), 커넥터부(53) 및 결합부(54)를 갖는다. 전력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하는 점화장치(56)는 수용부(51) 내에 배치된다. 커넥터부(53)는 수용부(52)로부터 연장되고 점화장치(56) 및 제1 권취부(19)가 연결된 단자(57)를 포함한다. 또한, 절연 수지(도시 생략)는 수용부(52) 내에 그리고 점화장치(56)의 주변에 충전된다. 수용부(52)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결합부(54)는 링 형상을 갖고, 일반적으로 단자 조립체(40)의 상단부(41)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결합부(54)는 제1 스풀(18)의 외주 연부 표면에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가압 끼워맞춤된 단자 조립체(40)의 외주연면에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가압 끼워맞춤된다. 그러므로, 제어부(50)는 코일부(10)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틱형 점화 코일은 다음의 방식으로 조립된다. 코일부(10) 및 제어부 (50)는 서로 개별적으로 조립된다. 이후, 제어부(50)는 단자 조립체(40)를 사용함으로써 코일부(10)에 조립된다. 단자 조립체(40)는 박막 시트(22)의 집적 유닛과, 제1 코일(17)의 외부에 끼워맞춤된 외부 코어(23)에 가압 끼워맞춤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60)는 단자 조립체(40) 상에 미리 장착된다. 리드 와이어(62)는 제1 단자(46, 47)가 부착될 때 고정부(47b)에 가압 끼워맞춤된다.
단자 조립체(40)의 하단부(43)는 외부 코어(23)의 외부 표면에 가압 끼워맞춤되고, 중간부(42)는 제1 스풀(18)의 플랜지부(25)를 커버하는 박막 시트(22)의 외부 표면에 끼워맞춤된다. 결과적으로, 제1 스풀(18)과 박막 시트(22) 사이의 공간은 단자 조립체(40)에 의해 밀봉된다. 여기에, 제1 권취부(19)의 일단부(21a) 및 타단부(21b)는 상향 연장된다. 그러므로, 단자 조립체(40)가 제1 스풀(18)에 가압 끼워맞춤될 때, 상기 단부(21a, 21b)는 제1 단자(47, 46)의 보유부(47a, 46a) 내에 삽입되어 보유된다.
이후, 제2 코일(13)은 제1 코일(17)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중심 코어(11)는 제2 코일(13)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때, 제2 스풀(14)에 부착된 제2 단자(48)의 연장부(48a)는 단자 조립체(40) 상에 장착된 다이오드(60)의 다른 리드 와이어(63)에 연결된다.
이후, 상부 케이스(51)의 결합부(54)는 상단부(41)의 외부 표면에 가압 끼워맞춤된다. 즉, 점화장치(56) 및 단자(57)가 회로 케이스(51) 내의 위치에 배치된 제어부(50)가 코일부(10)에 결합된다. 제1 권취부(19)의 타단부(21b)는 제1 단자(46)를 통해 제어부(50) 내의 점화장치(56) 및 단자(57)에 연결된다. 제2 권취부 (15)와 제1 스풀(18) 사이 그리고 제1 권취부(19)와 박막 시트(22)의 사이 등의 공간은 상부 케이스(51)의 공간에 용융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충전된다.
상기 실시예는 다음의 이점을 갖는다. 제1 권취부(19)와 제2 권취부(15) 사이의 다이오드는 실행전압을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점화 시점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고 엔진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리드 와이어(62)와 제1 단자(47) 사이의 연결 및 리드 와이어(63)와 제2 단자(48)의 연장부(48a) 사이의 연결은 용이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부(10)의 외경은 다양한 지점에서 감소될 수 있다. 첫째로, 코일부(10)의 외부 층은 코일 본체부(27a)에 배치된 박막 시트(22)에 의해 제공된다. 박막 시트(22)의 두께는 종래의 코일 케이스의 약 1/2과 1/3 사이이다. 그러므로, 상기 막 시트(22)는 코일부(10)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다.
상부 케이스(51), 즉 코일 헤드부(27b)의 반경 치수가 감소된다. 점화장치의 치수는 실질적으로 상부 케이스(51)의 반경 치수를 결정한다. 실행전압 억제 다이오드(60)가 점화장치(56)로부터 이격된 단자 조립체(40) 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점화장치(56)는 다이오드용 장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부 케이스(51) 및 코일 헤드부(27b)는 유사하게 반경 방향으로 감소될 수 있다.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코일부(10)의 횡방향 영역은 종래 코일 크기로부터 약 35% 감소될 수 있고, 점화 코일의 전체 중량은 종래 코일 중량으로부터 약 30% 감소될 수 있다.
제1 단자(46, 47), 제2 단자(48)의 연장부 및 다이오드(60)는 단자 조립체 (40)의 상단부(41)의 상단부 표면 상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단자 조립체(40)의 외경은 제1 단자(46) 등이 단자 조립체(40) 상에 제공될 때에도 확대될 필요가 없다.
코일부(10) 및 제어부(5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은 단자 조립체(40)가 코일부(10) 내에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제1 스풀(18)의 상단부에 가압 끼워맞춤되고 상부 케이스(51)가 단자 조립체(40)에 가압 끼워맞춤되기 때문이다. 제1 스풀(18) 및 상부 케이스(51)가 단단하게 결합됨으로써, 박막 시트(22)가 코일부(10)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코일부(10)와 제어부(50) 사이의 불충분한 결합은 발생하지 않는다. 단자 조립체(40)는 제1 스풀(18)을 커버하는 박막 시트(22)와 상부 케이스(51) 사이에 위치되고, 제1 스풀(18)과 박막 시트(22) 사이 및 제1 스풀(18)과 상부 케이스(51) 사이의 공간은 에폭시 수지가 누수되지 않도록 밀봉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단자 조립체(40)는 코일부(10)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코일부(10)와 제어부(50)를 결합시키고, 단자(46 내지 48) 및 다이오드(6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고, 제1 스풀(18)과 박막 시트(22) 사이를 밀봉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실행전압 억제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작은 크기의 코일부 및 감소된 직경의 코일 본체 부품을 갖는 스틱형 점화 코일을 제공하고, 스틱형 점화 코일을 위한 단자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중심 코어(11), 중심 코어(11) 및 제2 단자(48)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코일(17,13)을 구비하는 것으로, 제1 코일(17)은 제1 스풀(18) 및 제1 스풀(18) 주위에 권취된 제1 권취부(19)를 갖고, 제2 코일(13)은 제2 스풀(14) 및 제2 스풀(14) 주위에 권취된 제2 권취부(15)를 갖고, 제2 단자(48)는 제2 스풀(14)에 부착되고 제2 권취부(15)의 일단부를 보유하는, 코일부(10)와,
    제1 및 제2 스풀(18, 14) 중 하나이며 다른 것 보다 외측에 구비된 외측 스풀(18)의 상단부와 제1 코일(17)의 제1 권취부(19)의 단부(21a, 21b)를 보유하는 제1 단자(46, 47)에 가압 끼워맞춤된 절연 링형 단자 조립체(40)와,
    단자 조립체(40)에 가압 끼워맞춤된 제어부(50)를 포함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단자 조립체(40)는 제1 및 제2 권취부(19, 15)에 연결된 실행전압 억제 다이오드(60)를 포함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단자 조립체(40)에 가압 끼워맞춤된 절연 상부 케이스(51)와 상부 케이스(51) 내에 배치된 점화장치(56)를 포함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조립체(40)는 외측 스풀(18)에 가압 끼워 맞춤된 제1 링형부(42)와,
    제1 단자(46, 47) 및 다이오드(60)가 그 위에 장착된 제2 링형부(41)를 포함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단자(46, 47) 및 다이오드(60)는 제2 링형부(41)의 표면 상에 고정되고,
    제2 단자(48)는 제2 링형부(41)의 표면 상에 연장된 연장부(48a)를 갖는 스틱형 점화 코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60)는 점화장치(56)의 외부 주연부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배치된 스틱형 점화 코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10)는 외측 스풀(18)을 커버하는 박막 시트(22)를 포함하고,
    단자 조립체(40)의 제1 링형부(42)는 박막 시트(22)를 통해 외측 스풀(18)에 가압 끼워맞춤된 스틱형 점화 코일.
  8. 중심 코어(11), 제1 권취부(19)를 갖는 제1 코일(17)과, 제2 권취부(15) 및 제2 단자(48)를 갖는 제2 코일(13)을 구비하는 코일부(10)와, 점화장치(56)를 구비 하는 제어부(50)를 결합을 위한 스틱형 점화 코일의 단자 조립체(40)이며,
    다른 것 보다 더 외측에 배치된 제1 코일(17) 및 제2 코일(13) 중 하나인 외측 코일의 스풀의 상단부에 가압 끼워맞춤된 제1 링형부(42)와,
    제1 권취부(19)의 한 쌍의 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단자(46, 47)와, 제1 권취부(19)를 제2 권취부(15)에 연결시키는 실행전압 억제 다이오드(60)를 구비하는 제2 링형부(4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 하나는, 제2 링형부(41)의 상단부 표면에 고정되고 제1 권취부(19)의 일단부를 보유하는 하나의 보유부를 갖고, 다른 제1 단자는, 제2 링형부(41)의 상단부 표면에 고정되고 제1 권취부(19)의 타단부를 보유하는 다른 보유부를 가지며,
    제2 단자(48)는 제2 권취부(15)의 일단부를 보유하고, 제2 링형부(41)의 상단부 표면을 연장시키는 연장부(48a)를 갖고,
    상기 다이오드(60)는, 하나가 제1 단자(47)의 다른 보유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제2 단자(48)의 연장부(48a)에 연결되는, 한 쌍의 리드 와이어(62, 63)를 갖는 단자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46, 47)는 제2 링형부(41)의 상단부 표면 상에서 서로 밀접하게 위치되고,
    제2 단자(48)의 연장부(48a)는 멀리 떨어져 반경 방향으로 제1 단자(46, 47)로부터 대향측에 위치되고,
    다이오드(60)는 제2 단자(48)의 연장부(48a)와 다른 제1 단자(47) 사이에 배치된 단자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형부(42)는 23 mm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단자 조립체.
  11. 중심 코어(11)와 중심 코어(11)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것으로, 제1 스풀(18) 및 제1 스풀(18) 주위로 권취된 제1 권취부(19)를 갖는 제1 코일(17)과, 제2 스풀(14) 및 제2 스풀(14) 주위로 권취된 제2 권취부(15)를 갖는 제2 코일(13)을 구비하는 코일부(10)와,
    제1 스풀(18)의 상단부에 가압 끼워맞춤되고 제1 코일(17)의 제1 권취부(19)의 단부들을 보유하는 제1 단자를 구비하는 절연 링형 단자 조립체(40)를 포함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권취부(19)를 외부 전력 공급원(B)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 조립체(40)에 가압 끼워맞춤된 커넥터(53)를 더 포함하는 스틱형 점화 코일.
  13. 중심 코어(11), 중심 코어(11)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제1 권취부(19) 및 제2 권취부(15)를 구비하는 코일부(10)와,
    코일부(10)의 하나의 축 단부에 가압 끼워맞춤되고 제1 권취부(19) 및 제2 권취부(15)에 연결된 실행전압 억제 다이오드(60)를 포함하는 절연 링형 단자 조립체(40)와,
    단자 조립체(40)에 가압 끼워맞춤되고 제1 권취부(19)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점화장치(56)를 구비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며,
    다이오드(60)는 점화장치(56)의 외주연부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그리고 점화장치(56)로부터 코일부(10)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스틱형 점화 코일.
KR1020050010323A 2004-02-09 2005-02-04 스틱형 점화 코일 및 이의 단자 조립체 KR100689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32134 2004-02-09
JPJP-P-2004-00032134 2004-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686A true KR20060041686A (ko) 2006-05-12
KR100689174B1 KR100689174B1 (ko) 2007-03-08

Family

ID=3482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323A KR100689174B1 (ko) 2004-02-09 2005-02-04 스틱형 점화 코일 및 이의 단자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42080B2 (ko)
KR (1) KR100689174B1 (ko)
CN (1) CN100541683C (ko)
DE (1) DE10200500570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7370B2 (en) * 2006-03-09 2008-01-08 Denso Corporation Ignition coil
DE102006020170A1 (de) * 2006-05-02 2007-11-08 Robert Bosch Gmbh Zündspule, insbesonder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CN106158318A (zh) * 2016-08-11 2016-11-23 昆山凯迪汽车电器有限公司 笔式点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864B2 (ja) * 1984-07-26 1994-11-24 日本電装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装置
FR2641038B1 (ko) * 1988-12-23 1994-02-11 Marchal Equip Automobiles
JP2718237B2 (ja) * 1990-03-14 1998-02-25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H05315161A (ja) * 1992-05-12 1993-11-26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668904B2 (ja) 1995-06-09 2005-07-06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3505319B2 (ja) 1996-05-22 2004-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76647A (ja) 1996-12-19 1998-06-30 Denso Corp 点火コイル
DE29815475U1 (de) * 1998-08-28 1998-12-24 Beru Ag Zündspule für Verbrennungskraftmaschinen
JP3953667B2 (ja) * 1999-01-11 2007-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
DE19962279C2 (de) * 1999-01-19 2003-04-30 Bremi Auto Elek K Ernst Bremic Zündspule
JP2000228322A (ja) * 1999-02-08 2000-08-15 Hitachi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761537B2 (ja) 2003-05-29 2006-03-29 阪神エレクトリック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におけるダイオードの取付構造
JP4491725B2 (ja) * 2003-12-03 2010-06-30 株式会社デンソー 細径点火コ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42080B2 (en) 2006-11-28
CN100541683C (zh) 2009-09-16
DE102005005701B4 (de) 2015-02-05
US20050174206A1 (en) 2005-08-11
KR100689174B1 (ko) 2007-03-08
DE102005005701A1 (de) 2005-09-22
CN1655299A (zh)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0458T3 (es) Bobina de encendido del tipo de barra que tiene una estructura mejorada para evitar las fisuras o las descargas electricas.
US7710231B2 (en) Ignition coil
US20120222660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coil device
KR100689174B1 (ko) 스틱형 점화 코일 및 이의 단자 조립체
US6836203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441872B2 (ja) スティック形点火コイル及びその円筒部材
US20030080843A1 (en) Ignition coil having air layers as insulato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456181B2 (en) Ignition coil
JP2000182856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0130303A (ja) 点火コイル
JP3629983B2 (ja) 点火コイル
JP6019961B2 (ja)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JP4032692B2 (ja) 点火コイル
JP3705289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587024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760924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S6134912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795639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H08339931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H11230015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3257756A (ja) 円筒型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8025495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4262930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0208346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333387B2 (ja) スティック形点火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