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419B1 - 직선운동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직선운동안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419B1
KR100755419B1 KR1019980022418A KR19980022418A KR100755419B1 KR 100755419 B1 KR100755419 B1 KR 100755419B1 KR 1019980022418 A KR1019980022418 A KR 1019980022418A KR 19980022418 A KR19980022418 A KR 19980022418A KR 100755419 B1 KR100755419 B1 KR 10075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resin
ball
pair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001A (ko
Inventor
히데카즈 미치오카
가츠야 이다
마사히로 요시하시
히로아키 모치즈키
다다시 히로카와
Original Assignee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0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001A/ko
Priority to KR1020060085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333B1/ko
Priority to KR1020070023042A priority patent/KR100758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35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8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the bearing body fully encircling the guide rail or track
    • F16C29/0692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the bearing body fully encircling the guide rail or track the bearing body encircles a guide rail or track of non-circular cross-section, e.g. with grooves or protrusions, i.e. the linear bearing is suited to transmi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25Ball cages formed as a flexible belt, e.g. spacers connected by a thin fil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50Cages for rollers or needles formed of interconnected members, e.g. chains
    • F16C33/50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formed of interconnected members, e.g. chains formed as a flexible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Advancing Web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직선운동 안내장치는 전동체 전주부가 형성된 궤도부재 및 전동체를 통하여 궤도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블록에는 전동체 전주부, 상기 전동체 전주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동체 귀환통로 및 이들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방향전환로가 형성된다. 수지순환로 성형체는 한쌍의 부하 전동체 통로 구성부, 귀환통로 구성부 및 한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지순환로 성형체는 이동블록의 본체와 별체로 성형된다. (a)상기 부하 전동체 통로 구성부, (b)상기 귀환통로 구성부, (c)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중 하나, (d)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중 다른 하나 중 최소한 2 부분이 일체 구성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상기 수지순환로 성형체가 상기 이동블록 본체에 조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선운동 안내장치 {LINEAR MOTION GUI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지제의 통로구성부재를 이동부재 본체에 조립하는 방식으로 한 직선운동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미 직선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의 부하역(負荷域)의 볼 전주홈의 양측에지에 따라 신장하는 부하 볼통로 구성부, 볼 귀환통로 및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를, 수지성형에 의해 이동블록 본체와 일체 성형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일본국 특개평(特開平) 7-317762호 공보 참조).
즉, 수지성형에 있어 블록 본체를 금형내에 삽입하고, 볼 전주홈을 기준으로하여, 부하 볼통로 구성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 또는 볼 귀환통로 구성부를 블록 본체에 일체 성형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일체 성형타입의 이동블록에서는, 블록 본체를 금형내에 위치결정한다고 해도, 블록 본체가 대형인 경우에는 대형의 금형이 필요하게 된다. 대형의 금형을 만들면 되지만, 금형의 제작이 곤란하고, 현실적으로 크기가 제약받게 된다. 특히, 블록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볼 전주홈의 홈측에지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는 얇고 길게 되므로, 성형시에 부하 볼통로 구성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으로 녹은 수지가 회전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얇은 부분에는 수지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게이트의 수를 증가시키면 되지만, 블록 본체를 금형내에 삽입한 경우에는, 블록 본체가 방해가 되어 녹은 수지의 회전이 악화되어 버린다.
또, 이동블록이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을 사이에 둔 한 쌍의 윙부를 구비하고, 볼이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이 이동블록의 좌우 윙부의 내측면간에 4열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볼의 상하열이 궤도레일의 우측면이 이동블록의 대응하는 우측 윙부사이의 간격 및 궤도레일의 좌측면이 이동블록의 대응하는 좌측 윙부사이의 다른 간격에 배치되는 경우, 금형내에 삽입된 블록 본체가 방해가 되어 이동블록의 폭방향에의 녹은 수지의 회전도 악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로를 구성하는 수지순환로 성형체가 이동부재의 본체와 별체로 구성되어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이러한 수지순환로 성형체가 이동부재의 본체에 조립이 가능하여 순환경로를 설정하는 최대로 많은 수의 유닛 부품이 일체로 형성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선운동 안내장치는, 다음이 같이 구성된다.
즉, 전동체 전주부가 형성된 궤도부재, 및
이 궤도부재에 따라 다수의 전동체를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재를 구비하고,
이 이동부재에는, 상기 궤도부재의 전동체 전주부와 대응하는 전동체 전주부와, 이 전동체 전주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병행으로 형성되는 전동체 귀환통로와,상기 전동체 전주부와 전동체 귀환통로간을 접속하여 전동체를 순환시키는 한 쌍의 방향전환로가 형성된 직선운동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전동체 전주부의 양측에지에 따라 신장하는 한 쌍의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상기 귀환통로를 구성하는 귀환통로 구성부와, 상기 방향전환로의 내주안내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를 구비한, 전동체 순환 로를 구성하는 수지순환로 성형체로, 상기 수지순환로 성형체는 이동부재 본체와 별체로 성형되고,
(a) 상기 전동체 전주부 구성부, (b) 상기 귀환 통로 구성부, (c) 한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 중 하나, (d) 한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 중 다른하나 중 최소한 2개 부분이 일체 구성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상기 수지순환로 성형제가 상기 이동부재 본체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동체 순환로를 구성하는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이러한 (a)에서 (d)부분들의 조합의 실시예는 다음 3가지 양태를 포함한다.
제1예로서 상기 수지순환로 성형체는,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를 일체로 하고, 귀환통로 구성부를 별체로 구비한다.
제2예로서 상기 수지순환로 성형체는,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귀환통로 구성부와 한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를 일체로 하고, 다른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를 별체로 구비한다.
제3예로서 상기 수지순환로 성형체는,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 및 귀환통로 구성부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일체로 하고, 부하 전동체통로 구 성부 및 귀환통로 구성부를 길이방향 중도에서 2개로 분할하여 생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부재가 대형인 경우라도, 수지순환로 성형채는 이동부재 본체와는 별체 구성이므로, 종래의 이동부재 본체와 수지성형부를 일체 성형하는 경우와 같이 녹은 수지의 회전이 이동부재 본체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금형내 게이트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녹은 수지의 회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성형성이 양호하다. 특히 전동체 전주부의 측에지에 따른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는 두께가 얇아 녹은 수지가 회전하기 어려우긴로, 본 발명이 같이, 이동부재 본체와 별 체 구성으로 하는 것이 효이적이다
또, 수지순환로 성형체에 의해 연속하는 순환로를 구성했으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의 상대위치관계, 또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전동체 귀환통로간의 상대위치관계가 직접 위치결정되고, 순환로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전동체의 스무스한 이행이 보장된다.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는 전동체 전주부의 양측에지에 위치하므로,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바람직한 상대적 위치관계에 있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는 전 동체 전주부의 양단에 정확하게 일치하게 된다.
또,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전동체 귀환통로간의 상대위치관계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가 전동체 귀환통로 내주부와 정확히 접속되도록 한다.
특히, 전동체의 전주방향의 변화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귀환통로 구성부의 접속부 뿐만 아니라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의 접속 부에서도 발생한다.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의 접속 부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귀환통로 구성부의 접속부를 일체 성형으로 해 두면, 접속부의 조립이 불필요하고, 조립정밀도에 영향받지 않고 연속성이 확보된다.
또, 전동체 귀환통로에 대해서는 이동부재 본체에 천공한 관통공에 의해 구성하고,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전동체 전주부의 양측에지에 따라 신장하는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에 의해 구성하고,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의 최소한 어느 한 쪽이의 접속부를 일체 성형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무스한 접속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 부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를 일체로 성형하면, 이러한 구성부의 접속부내의 전동체의 스무스한 주행을 달성할 수 있어,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귀환통로 구성부가 없어도 전동체의 순환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한 구조로 인해 귀환통로구성부가 없는 만큼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전동체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유지하는 전동체 리테이너를구비하고, 전동체 리테이너의 측에지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순환로 전주에 걸쳐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에 궤도부재로부터 이동부재를 제거했을 때의 전동체 리테이너의 탈락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순환로 전주에 걸쳐 전동체 리테이너의 측에지부를 안내하는 리테이너 안내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전동체 리테이너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리테이너 안내부에 대해서도 연속성이 유지되므로, 이 전동체 리테이너를 통하여 전동체를 원활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또, 얇은 두께의 리테이너 안내부에 대해서도 금형내로 이동부재 본체를 삽입하지 않고 성형하므로, 게이트의 위치를 이동부재 본체에 제약받지 앉고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성형시에 구석구석까지 충분히 수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를 성형하는 도중에, 금형내에 형성된 전공간에 녹은 수지가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는 이동부재 본체 단면에 접합되는 박판부를 가지고, 이 박판부를 통하여,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 또는 귀환통로 구성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판부를 통하여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부하 전동체 전주로 구성부를연결함으로써,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간, 또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전동체 귀환통로 구성부간에 일그러짐이 있는 경우라도,박판부의 변형에 의해 흡수되고,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의 일단이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의 상대위치관계, 또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전동체 귀환통로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결정된다.
한편, 사이드 커버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가 사이드 커버에 의해 평탄한 이동부재 본체 단면에 가압되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의 자세(이동부재 본체 단면에 대한 방향)가 일그러져 있는 경우라도 박판부가 휘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의 자세가 교정된다.
또, 사이드 커버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가 단단히 조임고정되고,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의 위치어긋남도 없다.
본 발명의 장치는, 궤도부재는 궤도레일이고, 이동부재는 궤도레일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와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을 사이에 둔 한 쌍의 윙부를 구비한 이동블록으로서, 전동체는 궤도레일의 상면이 이동블록 하면이의 사이에 2열,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이 윙부의 내측면간에 상하 1열씩 합계 4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궤도부재는 궤도레일이고, 이동부재는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을 사이에 둔 한 쌍의 윙부를 구비한 이동블록으로서, 전동체는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이 이동블록의 좌우 윙부의 내측면간에 상하 2열씩 합계 4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를 4개 통합하여 일체로 연결해도 되고, 이동블록의 각 좌우 측면에서 좌우 2개씩 통합하여 일체로 연결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궤도부재는 궤도레일이고, 이동부재는 궤도레일의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와 궤도레일의 편측면(片側面)에 대향하는 윙부를 구비하고, 전동체는 궤도레일의 이동부재의 윙부와 대향하는 일측면에 1열, 궤도레일의 상면 각부에 1열 합계 2열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궤도부재는 궤도레일이고, 이동부재는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을 사이에 둔 한 쌍의 윙부를 구비한 이동블록으로서, 전동체는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이 이동블록의 좌우 윙부의 내측면간에 1열씩 합계 2열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궤도부재는 궤도레일이고, 이동부재는 궤도레일의 일측면에 따라 형성되는 이동블록으로서, 전동체는 궤도레일의 일측면이 이동블록간에 상하 2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궤도부재는 스플라인축이고, 이동부재는 스플라인축에 복수의 전동체열을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외통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좌우 측면에 2조씩 합계 4조의 전동체 전주부가 형성된 궤도레일이,
이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을 사이에 둔 한 쌍의 윙부를 구비하고, 이 한 쌍의 윙부 내측면에 상기 궤도레일에 형성된 전동체 전주부와 대응하는 2조씩 합계 4조의 부하 전동체 전주부가 형성된 이동블록을 구비하고,
이 이동블록에는, 상기 4조의 각 전동체 전주부와 병행으로 형성되는 4조의 전동체 귀환통로와, 상기 전동체 전주부와 전동체 귀환통로의 양단을 접속하는 방향전환로에 의해 4조의 무한순환로가 구비된 직선운동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무한순환로를 구성하는 부하 전동체 전주부의 양측에지에 따라 신장하는 한 쌍의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상기 귀환통로를 구성하는 귀환통로 구성부와, 상기 방향전환로의 내주안내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를 구비한 연속하는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이동블록 본체와는 별체로 성형하고,
이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상기 이동블록의 좌우 양 윙부에 형성되는 각 2조의 무한순환로를 구성하도록 2개로 나누어 형성하고,
각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부하 전동체 전주로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를 일체 성형하고, 귀환통로 구성부를 별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블록이 대형인 경우라도, 수지순환로 성형체는 이동블록 본체와는 별체 구성이므로, 종래의 이동블록 본체와 수지성형부를 일체 성형하는 경우와 같이 녹은 수지의 회전이 이동블록 본체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금형내 게이트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녹은 수지의 회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성형성이 양호하다. 특히 전동체 전주부의 측에지부에 따라 신장된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에서는 녹은 수지가 회전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이 같이, 이동부재 본체와 별체 구성으로 하는 것이 효이적이다.
특히, 좌우 각 2조의 무한순환로를 구성하는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좌우 2개로 분할하고 있으므로, 이동블록 본체의 폭이 큰 경우라도, 녹은 수지의 적당한 회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수지순환로 성형체에 의해 연속하는 순환로를 구성했으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의 상대위치관계, 또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전동체 귀환통로간의 상대위치관계가 직접 위치결정되고, 순환로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전동체의 스무스한 이행이 보장된다.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는 전동체 전주부의 양측에지에 위치하므로,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바람직한 상대적 위치관계에 있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는 전동체 전주부의 양단에 정확하게 일치하게 된다.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전동체 귀환통로간의 상대위치관계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가 전동체 귀환통로 내주부와 정확히 접속되도록 한다.
특히, 전동체의 전주방향의 변화는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의 접속부에서 발생한다.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의 접속부를 일체 성형으로 해 두면, 접속부의 조립이 불필요하고, 조립정밀도에 영향받지 않고 연속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전동체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유지하는 전동체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전동체 리테이너의 측에지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순환로 전주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전동체 리테이너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리테이너 안내부에 대해서도 연속성이 유지되므로, 이 전동체 리테이너를 통하여 전동체를 원활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또, 두께가 얇은 리테이너 안내부에 대해서도 금형내 이동블록 본체를 삽입하지 않고 성형하므로, 게이트의 위치를 이동블록 본체에 제약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성형시에 구석구석까지 충분히 수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를 성형하는 도중에, 금형내에 형성된 전공간에 녹은 수지가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는 이동블록 본체 단면에 접합되는 박판부를 가지고, 이 박판부를 통하여,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 또는 귀환통로 구성부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판부를 통하여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부하 전동체 전주로 구성부를 연결함으로써,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간, 또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전동체 귀환통로 구성부간에 일그러짐이 있는 경우라도, 박판부의 변형에 의해 흡수되고,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의 일단이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의 상대위치관계, 또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전동체 귀환통로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결정된다.
한편, 사이드 커버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가 사이드 커버에 의해 평탄한 이동부재 본체 단면에 가압되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의 자세(이동부재 본체 단면에 대한 방향)가 일그러져 있는 경우라도 박판부가 휘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의 자세가 교정된다.
또, 사이드 커버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가 단단히 조임고정되고,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의 위치어긋남도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직선운동 안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직선운동 안내장치(1)는, 대체로, 직선형으로 신장하는 궤도부재로서의 궤도레일(2)이, 이 궤도레일(2)에 따라 다수의 전동체로서의 볼(3)을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재로서의 이동블록(4)을 구비하고 있다.
궤도레일(2)은 단면이 4각형상의 긴 막대기형으로, 궤도레일(2)의 수평의 상면에 2조, 수직의 좌우 측면에 1조씩 합계 4조의 볼 전주홈(5,5,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블록(4)은, 궤도레일(2)의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6)와, 수평부(6)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여 궤도레일(2)의 좌우 측면에 대향하는 윙부(7,7)를 구비한 하방으로 개방된 단면이 コ자 형상의 블록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부(6) 하면에는 궤도레일(2)의 상면에 형성된 볼 전주홈(5,5)에 대응하는 2조의 볼 전주홈(8,8)이, 윙부(7,7)의 내측면에는 궤도레일(2)의 좌우 측면의 볼 전주홈(5,5)에 대응하는 각 1조의 볼 전주홈(8,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블록(4)에는, 4조의 각 볼 전주홈(8,8,8,8)이 병행으로 형성되는 4조의 볼 귀환통로(9,9,9,9)와, 상기 볼 전주홈(8,8,8,8)이 볼 귀환통로(9,9,9,9)의 양단을 접속하는 U자 파이프형의 방향전환로(10,10,10,10)에 의해 4조의 무한순환로가 구성되어 있다. 궤도레일(2) 상면측의 2조의 볼 전주홈(5,5)에 대응하는 볼 귀환통로(9,9)는 이동블록(4)의 수평부(6)에, 궤도레일(2)의 좌우 측면측의 1조씩의 볼 전주홈(5,5)에 대응하는 볼 귀환통로(9,9)는 이동블록(4)의 양 윙부(7,7)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4열의 볼(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체 리테이너로서의 볼 리테이너(12)를 통하여 일련으로 연결되어 있고, 볼 리테이너(12)에 안내되면서 순환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볼 리테이너(12)는, 각 볼(3)이 삽입되는 볼구멍(12a)이 형성된 가요성(可撓性)의 벨트부(12b)와, 각 볼(3)이 볼(3)의 사이에 제공되는 스페이서부(12c)를 구비하고, 벨트부(12b)의 측에지가 볼(3)의 외경보다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페이서부(12c)에는 각 볼(3)의 구면에 대응하는 구형(球形)의 지지요부(凹部)(12d)가 형성되고, 이 지지요부(12d)에 의해 볼(3)을 양측으로부터 지지하여 벨트부(12b)로부터의 볼(3)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벨트부(12b)의 양단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유단대형(有斷帶形)의 구성이지만, 벨트부(12b)의 양단을 연결한 무단형(無斷形)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동블록(4)은, 볼 전주홈(8,8,8,8)이 형성된 블록 본체(13)와, 블록 본체(13)에 조립되는 수지제의 수지순환로 성형체(20)와, 이 수지순환로 성형체(20)가 조립된 블록 본체(13)의 단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40,40)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지순환로 성형체(20)의 각 순환로는, 각각 볼 전주홈(8)의 양측에지에 따라 신장하는 한 쌍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 블록 본체(13)의 양 단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 및 블록 본체(13)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4)에 삽입되는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23)를 구비하고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부하 볼통로 구성부(21)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가 일체 구성되고, 수지파이프(23)가 별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와의 접속부가 일체 성형되어 일체의 수지프레임(24)을 구성하고, 4개의 수지파이프(23)를 분할하여 블록 본체(13)에 대하여 조립가능하게 하고 있다.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에는, 부하역에 있어서 볼 리테이너(12)의 벨트부(12b) 측에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볼(3)이 전동이행(轉動移行)할 때의 볼 리테이너(12)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동블록(4)을 궤도레일(2)로부터 제거했을 때에는, 벨트부(12b) 측에지를 안내부를 구성하는 안내홈(21a)에 걸어 볼 리테이너(12)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볼(3) 자체는 볼 리테이너(1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볼(3)은 안내홈(21a)의 턱부(21b)에 의해 지지되는 볼 리테이너(12)를 통하여 이동블록(4)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볼 전주홈의 양측에지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간의 개구폭은 볼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이고, 볼 리테이너(12)가 없으면 볼(3)은 탈락하는 구성이지만, 도 3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의 개구폭을 볼지름보다 작게 되도록 턱부(21b)의 돌출량을 설정하면, 도 3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리테이너(12)가 없어도 볼(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볼 리테이너(12)를 장전하는 경우와 볼(3)만을 장전하는 경우의 양쪽에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도 3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리테이너(12)가 없는 볼(3)만을 지지하도록,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의 개구폭을 볼지름보다 약간 작게 해 두어도 된다.
또, 무부하역(無負荷域)의 방향전환로(10) 및 볼 귀환통로(9)에도, 벨트부(12b) 측에지를 안내하는 안내홈(9c,10c)이 부하역의 안내홈(21a)에 연속하여 전체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리테이너(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각 볼 전주홈(8) 양측에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의 개구폭을 볼지름보다 작게 해 두면, 볼(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4세트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는, 블록 본체(13)의 수평부(6)의 하면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두께가 얇은 제1 연결판부(25)와, 블록 본체(13)의 수평부(6)와 양 윙부(7,7)의 코너부에 따라 블록 본체(13)의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단면이 L자형상의 한 쌍의 제2 연결판부(26,26)와, 블록 본체(13)의 양 윙부(7,7)의 하단면에 따라 블록 본체(13)의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제3 연결판부(27,2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서로 대향하는 제1 연결판부(25)의 좌우 양측에지와 좌우 한 쌍의 제2 연결판부의 상부에지가 수평부(6) 하면에 형성한 각 볼 전주홈(8,8)의 홈측에지에 위치하여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21,21)를 구성하고 있다. 또, 서로 대향하는 제2 연결판부(26)의 하부에지와 제3 연결판부(27)의 내측에지가, 윙부(7,7) 내측면에 형성한 볼 전주홈(8,8)의 홈측에지에 위치하여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21,21)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는 블록 본체(13)의 단면에 접합되는 박판부(29)를 구비하고, 이 박판부(29)를 통하여,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 및 수지파이프(23)가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와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가 박판부(29)를 통하여 일체 성형되고, 수지파이프(23)는 박판(29)에 형성된 삽입공(34)에 마개결합되어 위치결정 고정되어 있다.
박판부(29)는, 블록 본체(13)의 수평부(6) 단면에 대응하는 1 단판부(30)와, 윙부(7,7)의 단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3 단판부(32,32)와, 제1 단판부(30)와 제3 단판부(32,32)간을 연결하는 제2 단판부(31,3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단판부(30)에는 궤도레일(2) 상면측의 2열의 볼(3,3)에 대응하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가 돌출형성되고, 제3 단판부(32)에는 궤도레일(2) 측면측의 각 1열의 볼(3,3)에 대응하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 본체(13) 양단의 제1 단판부(30,30)의 하단부간에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제1 연결판부(25)의 양단이 결합되고, 제2 단판부(31,31)의 내측 에지부간에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제2 연결판부(26)의 양단이 결합되고, 제3 단판부(32)의 하부에지부간에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제3 연결판부(27)의 양단이 결합되어, 1개의 수지프레임(24)이 구성되어 있다.
각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22)는 반할(半割)원통형상이고, 그 외주에 방향전환로(10)의 내주안내부를 구성하는 단면이 원호형의 내주안내홈(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주안내홈(10a)의 일단은 볼 전주홈(8)의 단부에 접속되는 것이고, 볼 전주홈(8)이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성형되고, 볼 전주홈(8)의 단부위치에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또, 방향전환로(10)의 내주안내홈(10a)의 타단은 볼 귀환통로(9)의 단부에 접속되는 것이고, 볼 귀환통로(9)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성형되고, 볼 귀환통로(9)의 단부위치에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또, 내주안내홈(10a)의 홈측에지에는, 벨트부(12b)의 폭보다 큰 폭의 원통형 플랜지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형 플랜지부(33)는, 후술하는 사이드 커버(40)의 요부 내주에 형성된 반원형의 단요부(段凹部)와 협동하여 볼 리테이너(12)의 리테이너 안내홈(10c)을 구성한다.
방향전환로(10)의 내주안내홈(10a)의 양단은, 볼 전주홈(8) 및 볼 귀환통로(9)의 양단에 접속하므로, 제1, 제3 단판부(30,32)의 블록 본체(13) 단면이의 접촉면측까지 신장하고 있다. 한편, 제1, 제3 단판부(30,32)에는 수지파이프(23)의 단부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파이프삽입공(34,34,34,34)이 형성되어 있다.
수지파이프(23)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10a)이 연속하는 순환로 외주측에 위치하는 내주측 파이프반체(23a)와, 사이드 커버(40)의 방향전환로(10)이 외주안내홈(10b)이 연속하는 순환로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주측 파이프반체(23b)로 구성되어 있다. 내주측 파이프반체(23a)는, 단면이 원호형의 홈부(9a)와, 이 홈부(9a)의 양측에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측단면(側斷面)(23c)을 구비하고 있다.
외주측 파이프반체(23b)는, 사이드 커버(40)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10b)과 동일한 단면이 원호형상의 직선형부재이고, 외주안내홈(10b)과 연속하는 홈부(9b)와, 이 홈부(9b)의 양측에지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측단면(23d)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측단면(23d)의 외측에지에는, 내주측 파이프반체(23a)의 측단면의 외측에지에 접촉하여 볼 리테이너(12)의 리테이너 안내홈(9c)을 구성하는 돌출부(23e)가 형성되어 있다.
수지파이프(23)의 내주측 파이프반체(23a)의 길이는 블록 본체(13)의 길이와 동일하게,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의 배면에 접촉하여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수지파이프(23)의 외주측 파이프반체(23b)의 길이는 블록 본체(13)의 길이보다 박판부(29)의 두께분만큼 길고, 제1, 제3 단판부(30,32)의 삽입공(34)에 삽입되어 있다. 삽입공(34)에 삽입된 외주측 파이프반체(23b)의 양단면은 사이드 커버(40)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10b)의 단부주위 에지에 접촉하여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 외주측 파이프반체(23b)의 양측에지에 형성된 돌출부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에 형성된 원통형 플랜지부(33)의 외측에지에 접촉하여 안내홈(10c)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관통공(14)내에 삽입된 외주측 파이프반체(23b) 및 내주측 파이프반체(23a)의 회전정지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수지파이프(23)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는, 박판부(29)의 제1 및 제3 단판부(30,32)에 형성된 삽입공(34)을 통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조립된다.
한편, 사이드 커버(4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부(29)가 삽입되는 단요부(40a)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가 삽입되는 방향전환로 외주안내부로서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10b)을 구비한 4개소의 요부(41)와, 사이드 커버(40)를 블록 본체(13)에 대하여 조임고정하는 조임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조임고정부는 사이드 커버(40)에 형성된 볼트삽입공(43)에 볼트(44)를 삽입하고, 블록 본체(13)의 단면에 형성된 볼트구멍(45)에 나사삽입함으로써 조임고정하고 있다. 볼트삽입공(43)의 위치는, 박판부(29)의 제1, 제3 단판부(30,3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요부(41)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10b)의 측에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의 원통형 플랜지부(33)와의 사이에서 협동하여 리테이너 안내홈(10c)을 구성하는 반원형의 대경단부(大徑段部)(46)와, 원통형 플랜지부(33)가 삽입되는 소경단부(4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10a)이 형성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가 사이드 커버(40)의 요부(41)에 삽입되는 동시에 사이드 커버(40)의 단요부(段凹部)(46)에 박판부(29)가 수용되고,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29)가 사이드 커버(40)와 블록 본체(13)의 단면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박판부(29)를 통하여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22)와 부하 볼통로 구성부(21)를 연결함으로써,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22)에 형성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10a)의 일단과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의 상대위치관계, 또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10a)와 볼 귀환통로(9)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한편, 사이드 커버(40)의 조임력에 의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 주변의 박판부(29)가 사이드 커버(40)에 의해 균일하게 평탄한 블록 본체(13) 단면에 가압되므로 (도 7 (A)의 일점쇄선 참조),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28)의 자세(방향)가 일그러져 있는 경우라도 블록 본체(13)의 단면에 따라 박판부(29)가 휘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22)의 일그러짐이 교정된다.
또, 사이드 커버(40)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29)가 단단히 조임고정되고, 그 마찰력에 의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10a)의 위치어긋남도 없다.
사이드 커버(40)는, 블록 본체(13)에 대하여 조립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22)에 사이드 커버(40)의 요부(41)를 끼워 고정되므로, 사이드 커버(40)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22)와의 요철결합에 의해 블록 본체(13)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도 6에는, 상기 수지순환로 성형체(20)의 조립수순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수지파이프(23)의 내주측 파이프반체(23a)를 블록 본체(13)의 관통공(14)에 삽입한다(도 6 (A), (B) 참조).
이어서, 일체 성형한 수지프레임(24) 양단의 박판부(29)를 블록 본체(13)의 단면에 따라 미끄러지게 하면서 하방으로부터 삽입한다(도 6 (C), (D) 참조). 수지프레임(24)의 제1 연결판부(25)가 수평부(6) 하면에 접촉하여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수지프레임(24)의 제2 연결판부(26) 및 제3 연결판부(27)가 블록 본체(13)의 윙부(7,7)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각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 및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도 6 (E), (F) 참조). 이때 박판부(29)의 삽입공(34)이 블록 본체(13)의 관통공(14)에 합치한다.
이어서, 삽입공(34)을 통하여 외주측 파이프반체(23b)를 관통공(14)에 삽입하여 수지순환로 성형체(20)의 조립이 완료한다(도 6 (G), (H) 참조).
그후, 한 쪽의 사이드 커버(40)를 블록 본체(13)의 일단면에 조임고정하고, 도시하지 않은 볼 리테이너(12)를 삽입한 후, 다른 쪽의 사이드 커버(40)를 블록 본체(13)의 타단면에 조임고정하여, 이동블록(4)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블록(4)이 대형인 경우라도, 수지순환로 성형체(20)는 블록 본체(13)와는 별체 구성이므로, 블록 본체(13)와 수지순환로 성형체(20)를 일체 성형하는 경우와 같이 녹은 수지의 회전이 블록 본체(13)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게이트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녹은 수지의 회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성형성이 양호하다. 특히 볼 전주홈(8)의 홈측에지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는 두께가 얇아 녹은 수지가 회전하기 어려우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블록 본체(13)와는 별체 구성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수지순환로 성형체(20)에 의해 연속하는 순환로를 구성했으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10a)과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와의 상대위치관계, 또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10a)과 볼 귀환통로(9)간의 상대위치관계가 직접 위치결정되고, 순환로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어, 볼(3)의 스무스한 이행이 보장된다.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10a)과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간의 상대위치관계는,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는 볼 전주홈(8)의 양측에지에 위치하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10a)의 측에지위치에 일치하게 된다.
또,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10a)과 볼 귀환통로(23)간의 상대위치관계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10a)과 볼 귀환통로(9)의 내주홈(23a)이 일치하게 된다.
특히, 볼(3)의 방향이 변화하는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의 접속부를 일체 성형하고 있으므로, 접속부의 조립이 불필요하고, 조립정밀도에 영향받지 않고 연속성이 확보된다. 볼 전주홈(5,8)간의 부하 볼통로로부터 방향전환로(10)에의 볼(3)의 이행, 또는 방향전환로(10)로부터 볼 귀환통로(9)에의 볼(3)의 이행이 스무스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에, 수지순환로 성형체(20)의 분할위치의 변경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의 변경예의 설명은 상기 실시예 1의 변경점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성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변경예 1]
도 8 및 도 9에는 실시예 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20)의 변경예 1이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1에서는, 수지순환로 성형체(20)를,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와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23)를, 그 일단에 있어서 한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A)와 일체적으로 접합하여 제1의 수지프레임(20A)을 구성하고, 다른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B)를 구비한 제2의 수지프레임(20B)을 별체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경우,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의 일체 접합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박판부(29A)를 통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한편,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와 수지파이프(23)도 박판부(29A)를 통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수지파이프(23)는 반할구성이 아니고, 둥근 파이프인 채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박판부(29A)에 삽입공(34)은 없고, 볼 귀환통로(9)가 직접 개구되어 있다.
또, 제1의 수지프레임(20A)과 제2의 수지프레임(20B)간의 접속부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결합 등의 요철결합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의 수지프레임(24B)에 도브테일홈 등의 계지요부(係止凹部)(36)가 형성되고,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에 계지요부(36)에 결합되는 계지돌부(係止突部)(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의 수지프레임(20A)의 수지파이프(23)를 블록 본체(13)의 관통공(14)에 삽입하고, 제1, 제2 및 제3 연결판부(25,26,27)를 블록 본체(13)의 수평부(6) 하면 및 윙부(7,7)의 내측면에 따라 삽입한다.
그리고, 수지파이프(23)의 선단과, 제1, 제2 및 제3 연결판부(25,26,27)의 각 자유단부에 형성된 계지돌부(35)를, 블록 본체(13)의 타방측의 단면에 접촉한 제2의 수지프레임(24B)의 박판부(29B)에 형성된 계지요부(36)에 계지고정한다.
계지돌부(35)와 계지요부(36)는, 제1의 수지프레임(20A)측에 계지요부, 제2의 수지프레임(20B)측에 계지돌부를 형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이와 같은 계지요부, 계지돌부에 한정되지 않고, 분할단끼리를 위치결정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떤 계지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변경예 2]
도 10 및 도 11에는, 실시예 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20)의 변경예 2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2는, 수지순환로 성형체(20)를, 부하 볼통로 구성부(21) 및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23)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를 일체로 하고, 부하 볼통로 구성부(21) 및 귀환통로 구성부(23)를 길이방향 중도에서 2개로 나눈 것이다. 바꿔 말하면, 부하 볼통로 구성부(21) 및 수지파이프(23)를 길이방향 중도위치에서 2개로 나누고, 나눈 부하 볼통로 구성부(21)와 수지파이프(23)를 각각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와 일체 성형하고, 동일형상의 2개의 수지프레임(20C,20D)을 구성하고 있다.
4세트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21,21)는 각각 제1, 제2, 제3 연결판부(25,26,27)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제2, 제3 연결판부(25,26,27)의 분할단과 수지파이프(23)의 분할단에, 각각 요철결합하는 계지돌부(37)와 계지요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변경예 3]
도 12 및 도 14에는, 실시예 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20)의 변경예 3이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3에서는, 실시예 1의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23)를 생략하여 부하 전동체 전주로 구성부(21,21)를 구비한 제1, 제2, 제3 연결판부(25,26,27)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를 구비한 박판부(29,29)를 일체 성형하여 수지프레임(20E)을 구성한 것이다. 볼 귀환통로(9)는 블록 본체(13)에 천공한 관통공 자체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볼 귀환통로(9)의 단부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간의 접속은, 박판부(29)의 볼구멍(39)의 개구에지에, 볼 귀환통로(9)의 개구단에 형성된 테이퍼부(15)에 결합하는 결합돌기(39a)를 형성하여 접속하면 된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사이드 커버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10b)의 볼 귀환통로(9)와 접속단에지에, 박판부(29)의 볼구멍(39)에 삽입하고, 또한 볼 귀환통로(9)의 개구에지의 테이퍼부(15)에 결합하는 반원형상의 결합돌기(48)가 형성되어 있다.
[변경예 4]
도 15에는, 실시예 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20)의 변경예 4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4에서는, 변경예 3의 수지파이프(23)를 생략한 구성이고, 부하 볼통로 구성부(21)와 한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를 일체 성형하여 수지프레임(24B)을 구성하고, 다른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를 구비한 수지프레임(24C)을 별체로 하고, 결합돌부(35)와 결합요부(36)를 요철결합시켜 위치결정 고정한 것이다. 그외의 구성은 변경예 3과 완전히 동일하다.
[볼열의 변형예]
상기 실시예 1 및 변경예 1∼4에서는, 볼열이 궤도레일(2)의 상면 2조, 측면 각 1조의 합계 4조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볼열의 구성에 대해서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고, 이들에 대하여, 수지순환로 성형체(20)의 분할위치로서는, 도시한 예에서는 모든 실시예 1의 패턴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변경예 1∼4의 모든 타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6 (A), (B)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동체로서의 볼이 궤도레일(2)의 좌우측면과 이동블록(13)의 좌우 윙부(7,7)의 내측면간에 상하 2열씩 합계 4열 형성되어 있다.
도 16 (B)에는, 4열의 볼의 순환로 모두를 일체화한 수지순환로 성형체(20)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2열씩 통합하여 2개의 수지순환로 성형체(20,20)로 나누어도 된다.
도 16 (C), (D)에 나타낸 예는, 이동블록(4)이 궤도레일(2)의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6)와 궤도레일(2)의 편측면에 대향하는 윙부(7)를 구비한 것이고, 전동체로서의 볼(3)이 궤도레일(2)의 일측면과 이동블록(4)의 윙부(7)와 대향면간에 1열, 궤도레일(2)의 상면각부와 이동블록(4)의 수평부(6)와 윙부(7)의 코너부에 1열의 합계 2열 구성으로 한 예이다.
도 16 (E), (F)에 나타낸 예는, 궤도레일(2)의 좌우 측면을 사이에 둔 한 쌍의 윙부(7,7)를 구비한 이동블록(4)으로서, 전동체로서의 볼(3)이 궤도레일(2)의 좌우 측면과 이동블록(4)의 좌우 윙부(7,7)의 내측면간에 1열씩 합계 2열 구성으로 한 것이다.
도 16 (G), (H)에 나타낸 예는, 이동블록(4)은 궤도레일(2)의 일측면에 따라 형성되고, 볼(3)이 궤도레일(2)의 일측면과 이동블록(4)간에 상하 2열 형성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실시예 2]
도 18 내지 도 2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2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 2는, 전동체열로서 로울러를 이용한 것이다.
즉, 이 직선운동 안내장치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신장하는 궤도부재로서의 궤도레일(202)과, 이 궤도레일(202)에 따라 다수의 전동체로서의 로울러(203)를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블록(204)을 구비하고 있다.
궤도레일(202)은 단면이 사각형상의 긴 막대기체이고, 궤도레일(202)의 수평의 상면에 2조, 수직의 좌우 측면에 1조씩 합계 4조의 로울러 전주면(205,205,205,205)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블록(204)은, 궤도레일(202)의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206)와, 수평부(206)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여 궤도레일(202)의 좌우 측면에 대향하는 윙부(207,207)를 구비한 하방으로 개방된 단면이 コ자형상의 블록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부(206) 하면에는 궤도레일(202)의 상면에 형성된 로울러 전주면(205,205)에 대응하는 2조의 로울러 전주면(208,208)이, 윙부(207,207)의 내측면에는 궤도레일(202)의 좌우 측면의 로울러 전주면(205,205)에 대응하는 각 1조의 로울러 전주면(208,20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블록(204)에는, 4조의 각 로울러 전주면(208,208,208,208)과 병행으로 형성되는 4조의 로울러 귀환통로(209,209,209,209)와, 상기 로울러 전주면(208,208,208,208)과 로울러 귀환통로(209,209,209,209)의 양단을 접속하는 U자 파이프형의 방향전환로(210,210,210,210)에 의해 4조의 순환로가 구성되어 있다.
궤도레일(202) 상면측의 2조의 로울러 전주면(205,205)에 대응하는 로울러 귀환통로(209,209)는 이동블록(204)의 수평부(206)에, 궤도레일(202)의 좌우 측면 측의 1조씩의 2조의 로울러 전주면(205,205)에 대응하는 로울러 귀환통로(209,209)는 이동블록(204)의 양 윙부(207,207)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순환로에 삽입되는 다수의 로울러(203)는 로울러 리테이너(212)를 통하여 일련으로 연결되어 있고, 로울러 리테이너(212)에 안내되면서 각 순환로(211,211,211,211)를 순환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로울러 리테이너(212)는, 도 19 (B)∼(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로울러(203)가 삽입되는 로울러공(212a)이 형성된 가요성의 벨트부(212b)와, 각 로울러(203)와 로울러(203)의 사이에 제공되는 스페이서(212c)를 구비하고, 벨트부(212b)의 측에지가 로울러(203)의 외경보다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페이서부(212c)에는 각 로울러(3)의 원통면에 대응하는 단면이 원호형의 지지요부(212d)가 형성되고, 이 지지요부(212d)에 의해 로울러(203)를 양측으로부터 지지하여 벨트부(212b)로부터의 로울러(203)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벨트부(212b)의 양단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유단대형의 구성이지만, 벨트부(212b)의 양단을 연결한 무단형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동블록(204)은,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울러 전주면(208,208,208,208)이 형성된 금속제의 블록 본체(213)와, 블록 본체(213)에 조립되는 수지제의 수지순환로 성형체(220)와, 이 수지순환로 성형체(220)가 조립된 블록 본체(213)의 단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214,214)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순환로가 좌우 2개의 수지순환로 성형체(220,2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수지순환로 성형체(220)의 순환로는, 각각 로울러 전주면(208)의 양측에지에 따라 신장하는 한 쌍의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221), 블록 본체(213)의 양 단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22) 및 블록 본체(213)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223)를 구비하고 있다.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221)에는, 도 20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역에 있어서 로울러 리테이너(212)의 벨트부(212b) 측에지를 안내하는 안내홈(221a)이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로울러(203)가 전동이행할 때의 로울러 리테이너(212)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동블록(204)을 궤도레일(202)로부터 제거했을 때에는, 벨트부(212b) 측에지를 안내홈(221a)을 구성하는 턱부(221b)에 걸어 로울러 리테이너(212)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로울러(203) 자체는 로울러 리테이너(21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로울러(203)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로울러 리테이너(212)를 통하여 이동블록(204)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벨트부(212b)의 양단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유단대형의 구성이지만, 벨트부(212b)의 양단을 연결한 무단형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무부하역의 방향전환로(210) 및 로울러 귀환통로(209)에도, 벨트부(212b) 측에지를 안내하는 안내홈(210c,209c)이 부하역의 안내홈(221a)에 연속하여 전체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지순환로 성형체(220)는,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221)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22)가 일체 성형되고, 로울러 귀환통로(209)를 구성하는 수지파이프(223)를 별체 구성으로 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2세트의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221)의 양단과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22)의 일단을 일체적으로 접속하여 1개의 수지프레임(224)을 구성하고, 각 귀환통로 구성부(223)의 양단과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22)의 접속부에 있어서 분할하여 블록 본체(213)에 대하여 조립가능하게 하고 있다.
궤도레일(202)의 상면측의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221)와 측면측의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221)의 서로 인접한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221)는 두께가 얇은 연결판부(226)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는, 블록 본체(213)의 단면에 접합되는 박판부(229)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박판부(229)는, 블록 본체(213)의 수평부(206) 단면에 접합되는 제1 단판부(230)와, 윙부(207) 단면에 접합되는 제3 단판부(232)와, 블록 본체(213) 단면의 수평부(206)와 윙부(207)의 코너부에 위치하고 제1 단판부(230)와 제3 단판부(232)를 연결하는 제2 단판부(23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블록 본체(213) 양단면에 위치하는 제1 단판부(230)의 내측에지 및 제3 단판부(232)의 내측에지에 각각 로울러 전주홈(208) 양측에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221)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제2 단판부(231)의 내측에지에 각각 연결판부(226)의 양단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222)는 반할원통형상이고, 그 외주에 방향전환로(210)의 내주안내부를 구성하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내주안내홈(2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주안내홈(210a) 저면의 일단은 로울러 전주면(208)의 단부에 접속되는 것이고, 로울러 전주면(208)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성형되고, 로울러 전주면(208)의 단부위치에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또, 내주안내홈(210a)의 타단은 로울러 귀환통로(229)의 단부에 접속되는 것이고, 로울러 귀환통로(209)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성형되고, 로울러 귀환통로(209)의 단부위치에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또, 내주안내홈(210a)의 홈측에지에는, 벨트부(212b)의 폭보다 큰 폭의 원통형 플랜지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형 플랜지부(233)는, 후술하는 사이드커버(240)와 협동하여 내주안내홈(210a)의 홈에지측이 로울러 리테이너(212)가 안내홈(210c)을 구성하고 있다.
방향전환로(210)의 내주안내홈(210a)의 일단은, 로울러 전주면(208)에 접속하므로, 제1, 제3 단판부(230,232)의 블록 본체(213) 단면과의 접촉면측까지 신장하고 있다. 한편, 방향전환로(210)의 내주안내홈(210a)의 타단은, 박판부(229)의 블록 본체(213)측의 단면까지이고, 박판부(229)의 두께분의 단차부(段差部)(222a)가 형성되어 있고, 수지파이프의 내주측 파이프반체의 단부가 블록 본체(213)의 단면으로부터 박판부(229)의 두께분만큼 돌출되어 있고, 박판부(229)의 단차부(222a)에 결합하고 있다.
한편, 박판부(229)의 제1, 제3 단판부(230,232)에는, 로울러 귀환통로(209)를 구성하는 수지파이프(223)의 외주측의 파이프반체(223a)의 단부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파이프삽입공(234,234)이 형성되어 있다. 수지파이프(223)는 블록 본체(213)에 천공한 원형의 광통공(214)에 장착되고, 수지파이프(223) 내주에 의해 로울러 귀환통로(209)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수지파이프(223)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210a)과 연속하는 내주측 파이프반체(223a)와, 사이드 커버(240)의 방향전환로(210)의 외주안내홈(210b)과 연속하는 외주측 파이프반체(223b)로 구성되어 있다. 내주측 파이프반체(223a)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내주측 홈부(209a)와, 내주측 홈부(209a)의 홈 양측에지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측단면(223b)을 구비하고 있다. 이 내주측 파이프반체(223a)의 길이방향 단면부(223c)는, 코마부(228)의 원통형 플랜지부(233)의 폭과 동일 폭으로 성형되어 있다.
외주측 파이프반체(223b)는, 사이드 커버(240)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210b)과 동일한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직선형부재이고, 외주안내홈(210b)과 연속하는 외주측 홈부(209b)와, 이 외주측 홈부(209b)의 양측에지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측단면(223d)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측단면(223d)의 외측부에는, 내주측 파이프반체(223a)의 측단면(223c)에 접촉하여 로울러 리테이너(212)의 벨트부(212b)의 안내홈을 구성하는 돌출부(223e)가 형성되어 있다.
수지파이프(223)의 내주측 파이프반체(223a)의 길이는 블록 본체(213)의 길이와 동일하게,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의 블록 본체(213)측의 단면에 접촉하여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수지파이프(223)의 외주측 파이프반체(223b)의 길이는 블록 본체(213)의 길이보다, 블록 본체(213)의 양단의 박판부(229)의 제1, 제3 단판부(230,232)의 두께분만큼 길고, 제1, 제3 단판부(230,232)의 삽입공(234)에 삽입되어 있다. 삽입공(234)에 삽입된 외주측 파이프반체(223b)의 양단면은 사이드 커버(240)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210b)의 단부주위 에지에 접촉하여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 외주측 파이프반체(223b)의 양 단부의 길이방향 단면(223)에 형성된 돌출부(223e)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의 내주안내홈(210a) 측에지의 원통형 플랜지부(233)에 접촉하고, 이에 따라 관통공(214)내에 삽입된 외주측 파이프반체(223b) 및 내주측 파이프반체(223a)의 회전정지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수지파이프(223)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는, 박판부(229)의 제1 및 제3 단판부(230,232)에 형성된 삽입공(234)을 통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조립된다.
한편,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240)에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의 코마부(228)가 삽입되는 방향전환로 외주안내부(210b)를 구비한 4개소의 요부(241)와,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240)를 블록 본체(213)에 대하여 조임고정하는 조임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조임고정부는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240)에 형성된 볼트삽입공(243)에 볼트(244)를 삽입하고, 블록 본체(213)의 단면에 형성된 볼트구멍(245)에 나사삽입함으로써 조임고정하고 있다. 볼트삽입공(243)의 위치는, 박판부(229)의 제1, 제3 단판부(230,23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210a)이 형성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는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240)의 요부(241)에 삽입되는 동시에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229)가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240)와 블록 본체(213)의 단면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박판부(229)를 통하여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와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를 연결함으로써,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210a)의 일단과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의 상대위치관계, 또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부(210a)와 로울러 귀환통로(209)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한편,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240)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229)가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240)에 의해 평탄한 블록 본체(213) 단면에 가압되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의 자세(방향)가 일그러져 있는 경우라도 박판부(229)가 휘어 일그러짐이 교정된다.
또,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240)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229)가 단단히 조임 고정되고,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210a)의 위치어긋남도 없다.
다음에, 수지순환로 성형체(220)의 분할위치의 변경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의 변경예의 설명은 변경점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변경예 1]
도 21 및 도 22에는 실시예 2의 수지순환로 성형체(220)의 변경예 1이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1에서는, 수지순환로 성형체(220)를,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221)와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223)를, 그 일단에 있어서 한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A)와 일체적으로 접합하여 제1의 수지프레임(220A)을 구성하고, 다른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B)를 구비한 제2의 수지프레임(220B)을 별체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경우, 부하 볼통로 구성부(221,221)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의 일체 접합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박판부(229A)를 통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한편,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와 수지파이프(223)도 박판부(229A)를 통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수지파이프(223)는 반할구성이 아니고, 둥근 파이프인 채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박판부(229A)에 삽입공(234)은 없고, 로울러 귀환통로(209)가 직접 개구되어 있다.
또, 제1의 수지프레임(220A)과 제2의 수지프레임(220B)간의 접속부는, 예를들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결합 등의 요철결합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의 수지프레임(220B)에 도브테일홈 등의 계지요부(236)가 형성되고,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221)에 계지요부(236)에 결합되는 계지돌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의 수지프레임(220A)의 수지파이프(223)를 블록 본체(213)의 관통공(214)에 삽입하고, 부하 통로 구성부(221,221) 및 연결판부(226)를 블록 본체(213)의 수평부(206) 하면 및 윙부(207,207)의 내측면에 따라 삽입한다.
그리고, 수지파이프(223)의 선단과, 부하 통로 구성부(221,221) 및 연결판부(226)의 각 자유단부에 형성된 계지돌부(35)를, 블록 본체(213)의 타방측의 단면에 접촉한 제2의 수지프레임(224B)의 박판부(229B)에 형성된 계지요부(236)에 계지고정한다.
계지돌부(235)와 계지요부(236)는, 제1의 수지프레임(220A)측에 계지요부, 제2의 수지프레임(220B)측에 계지돌부를 형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이와 같은 계지요부, 계지돌부에 한정되지 않고, 분할단끼리를 위치결정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떤 계지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변경예 2]
도 23 및 도 24에는, 수지순환로 성형체(220)의 실시예 2의 변경예 2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2는, 수지순환로 성형체(220)를,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 및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223)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22)를 일체로 하고,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 및 귀환통로 구성부(223)를 길이방향 중도에서 2개로 나눈 것이다. 바꿔 말하면,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 및 수지파이프(223)를 길이방향 중도위치에서 2개로 나누고, 나눈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와 수지파이프(223)를 각각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22)와 일체 성형하고, 동일 형상의 2개의 수지프레임(220C,220D)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양단의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221), 중앙의 연결판부(226) 및 수지파이프(223)의 분할단에, 각각 요철결합하는 계지돌부(237)와 계지요부(238)가 형성되어 있다.
[변경예 3]
도 25 및 도 26에는, 수지순환로 성형체(220)의 실시예 2의 변경예 3이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3에서는, 실시예 1의 귀환통로구성을 구비한 연결부로서의 수지파이프(223)를 생략하여, 부하 전동체 전주로 구성부 및 연결판부(226)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222)를 구비한 박판부(229,229)를 일체 성형하여 수지프레임(20E)을 구성한 것이다. 로울러 귀환통로(209)는 블록 본체(213)에 천공한 관통공 자체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로울러 귀환통로(209)의 단부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간의 접속은, 박판부(229)의 로울러공(239)의 개구에지에, 로울러 귀환통로(209)의 개구단에 형성된 테이퍼부(215)에 결합하는 결합돌기(239a)를 형성하여 접속하면 된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240)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210b)의 로울러 귀환통로(209)와의 접속단에지에, 박판부(229)의 볼구멍(239)에 삽입하고, 또한 볼 귀환통로(209)의 개구에지의 테이퍼부(215)에 결합하는 반원형상의 결합돌기(248)가 형성되어 있다.
[변경예 4]
도 26에는, 수지순환로 성형체(220)의 실시예 2의 변경예 4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4에서는, 변경예 3의 수지파이프(223)를 생략한 구성이고,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221)와 한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를 일체 성형하여 수지프레임(220F)을 구성하고, 다른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를 구비한 수지프레임(220G)을 별체로 하고, 결합돌부(235)와 결합요부(236)를 요철결합시켜 위치결정 고정한 것이다. 그외의 구성은 변경예 3과 완전히 동일하다.
[로울러열의 변형예]
상기 실시예 2 및 변경예 1∼4에서는, 로울러열이 궤도레일(2)의 상면 2조, 측면 각 1조의 합계 4조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로울러열의 구성에 대해서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고,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분할위치로서는, 상기 실시예의 패턴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동체로서의 로울러(203)가 궤도레일(202)의 좌우 측면과 이동블록(204)의 좌우 윙부(207,207)의 내측면간에 상하 2열씩 합계 4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222)는, 4열의 볼(203)에 대응하는 4개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210a)를 일체로 연결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궤도축으로서의 궤도레일이 전동체를 통하여 이동블록을 조립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궤도축으로서의 스플라인축에 이동부재로서의 외통을 삽입하는 이른바 볼 스플라인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28 내지 도 30에 나타낸 볼 스플라인(301)은 이른바 앵귤러형의 볼 스플라인이고, 직선형으로 신장하는 궤도부재로서의 스플라인축(302)과, 이 스플라인축(302)에 따라 다수의 전동체로서의 볼(303)을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외통(304)을 구비하고 있다.
스플라인축(304)은 단면이 사각형상의 긴 막대기체이고, 스플라인축(302) 외주에 돌출하는 3개의 각(뿔)부(306) 측면에 2조씩, 합계 6조의 볼 전주홈(305,305,305,305,305,305)이 형성되어 있다.
외통(304)의 내주에는, 스플라인축(302)의 각 각부(306)에 대응하는 요소(307)가 3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각부(306) 측면에 대향하는 요소(307)의 원주방향 양 우각부에 볼 전주홈(305,305)에 대응하는 볼 전주홈(308,30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304)에는, 6조의 각 볼 전주홈(308,308,308,308,308,308)과 병행으로 형성되는 6조의 볼 귀환통로(309,309,309,309,309,309)와, 상기 볼 전주홈(308,308,308,308,308,308)과 볼 귀환통로(309,309,309,309,309,309)의 양단을 접속하는 U자 파이프형의 방향전환로(310,310,310,310,310,310)에 의해 구성되는 6조의 순환로가 구성되어 있다.
스플라인축(302)의 각부 양측면에 위치하는 볼의 대응하는 볼 전주홈과의 접점을 연결하는 선인 접촉각선과 스플라인축의 중심과 각부의 중심을 통하는 반경방향선과의 이루는 각인 접촉각( α )은 비교적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촉각선 방향으로 볼 귀환통로(309)가 위치하고 있다.
이 실시예 3에서는 각 순환로에 삽입되는 다수의 볼(303)은 볼 리테이너(312)를 통하여 일련으로 연결되어 있고, 볼 리테이너(312)에 안내되면서 각 순환로 내를 순환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볼 리테이너(312)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완전히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외통(304)은, 볼 전주홈(308,308,308,308,308,308)이 형성된 외통본체(313)와, 외통본체(313)에 조립되는 수지제의 3개의 수지순환로 성형체(320,320,320)와, 이 수지순환로 성형체(320,320,320)가 조립된 블록 본체(313)의 단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314,314)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 3에서는 6개의 순환로가 2개씩 형성된 3개의 수지순환로 성형체(320,320,3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수지순환로 성형체(320)의 각 순환로(311)는, 각각 볼 전주홈(308)의 양측에지에 따라 신장하는 한 쌍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321), 외통본체(313)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322) 및 외통본체(313)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323)를 구비하고 있다.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321)에는, 부하역에 있어서 볼 리테이너(312)의 벨트부(312b) 측에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볼(303)이 전동이행 할 때의 볼 리테이너(312)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동본체(304)를 스플라인축(302)으로부터 제거했을 때에는, 벨트부(312b) 측에지를 안내홈을 구성하는 턱부에 걸어 볼 리테이너(312)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볼(303) 자체는 볼 리테이너(31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볼(303)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볼 리테이너(312)를 통하여 외통(304)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무부하역의 방향전환로(310) 및 볼 귀환통로(309)에도, 벨트부(312b) 측에지를 안내하는 안내홈(310c,309c)이 부하역의 안내홈에 연속하여 전체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지순환로 성형체(320)는,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321)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322)와의 접속부를 일체 성형하고, 다른 부위에서 외통본체(313)에 조립가능하게 분할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4세트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321)의 양단과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322)의 일단을 일체적으로 접속하여 1개의 수지프레임(324)을 구성하고, 각 귀환통로 구성부(323)의 양단과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322)의 접속부에 있어서 분할하여 블록 본체(313)에 대하여 조립가능하게 하고 있다.
각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321,321,321,321)의 서로 인접한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321,321)는 두께가 얇은 연결판부(326)를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는, 외통 본체(313)의 단면에 접합되는 박판부(329)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박판부(329)는, 제1 단판부(330,330)와, 각 단판부(330)를 연결하는 제2 단판부(23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단판부(230)의 내측에지에 각 한 쌍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321)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제2 단판부(331)의 내측에지에 각각 연결판부(326)의 양단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322)는 반할원통형상이고, 그 외주에 방향전환로(310)의 내주안내부를 구성하는 단면이 원호형의 내주안내홈(3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주안내홈(310a)은 볼 전주홈(308)의 단부에 접속되는 것이고, 볼 전주홈(308)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성형되고, 볼 전주홈(308)의 단부위치에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또, 내주안내홈(310a)의 타단은 볼 귀환통로(329)의 단부에 접속되는 것이고, 볼 귀환통로(309)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성형되고, 볼 귀환통로(309)의 단부위치에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또, 내주안내홈(310a)의 홈측에지에는, 벨트부(312b)의 폭보다 큰 폭의 원통형 플랜지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형 플랜지부(333)는, 후술하는 사이드 커버(340)와 협동하여 내주안내홈(310a)의 홈에지측이 볼 리테이너(312)의 안내홈을 구성하고 있다.
방향전환로(310)의 내주안내홈(310a)의 양단은, 볼 전주홈(308) 및 볼 귀환통로(309)의 양단에 접속하기 위해, 제1 단판부(230)의 외통본체(313) 단면과의 접촉면측까지 신장하고 있다.
한편, 제1, 제3 단판부(330,331)에는, 로울러 귀환통로(309)를 구성하는 수지파이프(323)의 외주측의 파이프반체(323a)의 단부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파이프삽입공(334,334)이 형성되어 있다. 수지파이프(323)는 외통본체(313)에 천공한 원형의 관통공(314)에 장착되고, 수지파이프(323) 내주에 의해 볼 귀환통로(309)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수지파이프(323)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310a)과 연속하는 내주측 파이프반체(323a)와, 사이드 커버(340)의 방향전환로(310)의 외주안내홈(310b)과 연속하는 외주측 파이프반체(323b)로 구성되어 있다. 내주측 파이프반체(323a)는, 단면이 원호형의 내주측 홈부(309a)와, 내주측 홈부(309a)의 홈 양측에지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측단면(323c)을 구비하고 있다. 이 내주측 파이프반체(323a)의 측단면(323c)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의 원통형 플랜지부(333)의 폭과 동일 폭으로 성형되어 있다.
외주측 파이프반체(323b)는, 사이드 커버(340)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310b)과 동일한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직선형부재이고, 외주안내홈(310b)과 연속하는 외주측 홈부(309b)와, 이 외주측 홈부(309b)의 양측에지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측단면(323d)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측단면(323d)의 외단부에는, 내주측 파이프반체(323a)의 측단면(323c)에 접촉하여 볼 리테이너(312)의 벨트부(312b)의 안내홈을 구성하는 돌출부(323e)가 형성되어 있다.
수지파이프(323)의 내주측 파이프반체(323a)의 길이는 외통본체(313)의 길이와 동일하게,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의 외통본체(313)와 접촉하는 측의 단면에 접촉하여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수지파이프(323)의 외주측 파이프반체(323b)의 길이는 외통본체(313)의 길이보다, 외통본체(313) 양단의 박판부(329)의 제1 단판부(330,330)의 두께분 만큼 길고, 제1 단판부(330,330)의 삽입공(334)에 삽입되어 있다. 삽입공(334)에 삽입된 외주측 파이프반체(323b)의 양단면은 사이드 커버(340)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310b)의 단부주위 에지에 접촉하여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 외주측 파이프반체(323b)의 양 단부의 길이방향 단면(323)에 형성된 돌출부(323e)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의 원통형 플랜지부(333)의 외측에지에 접촉하여 안내홈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관통공(314)내에 삽입된 외주측 파이프반체(323b) 및 내주측 파이프반체(323a)의 회전정지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로울러 귀환통로 구성부로서 수지파이프(323)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는, 박판부(329)의 제1 단판부(330,330)에 형성된 삽입공(334,334)을 통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조립된다.
한편, 사이드 커버(340)에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가 삽입되는 방향전환로 외주안내부(310b)를 구비한 4개소의 요부(341)와, 사이드 커버(340)를 외통본체(313)에 대하여 조임고정하는 조임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조임고정부는 사이드 커버(340)에 형성된 볼트삽입공(343)에 볼트(344)를 삽입하고, 외통본체(313)의 단면에 형성된 볼트구멍(345)에 나사삽입함으로써 조임고정하고 있다. 볼트삽입공(343)의 위치는, 박판부(329)의 제1 단판부(330,3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가 사이드 커버(340)의 요부(341)에 삽입되고,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329)가 사이드 커버(340)와 외통본체(313)의 단면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박판부(329)를 통하여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와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를 연결함으로써,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310a)의 일단과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의 상대위치관계, 또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310a)와 볼 귀환통로(309)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한편, 사이드 커버(340)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329)가 사이드 커버(340)에 의해 평탄한 외통본체(313) 단면에 가압되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의 자세(방향)가 일그러져 있는 경우라도 박판부(329)가 휘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의 일그러짐이 교정된다. 또, 사이드 커버(340)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329)가 단단히 조임고정되고,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310a)의 위치어긋남도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순환로(311)의 부하역의 볼 전주홈(308)만을 고강성의 외통본체(313)에 의해 구성하고, 그 이외의 부분을 수지제의 수지순환로 성형체(320)에 의해 구성했으므로, 외통본체(313) 자체는 볼 전주홈(308)만을 정밀하게 가공하면 되고, 가공 공정수가 삭감되어 저코스트 요구를 만족시킨다.
또, 외통(304)이 대형인 경우라도, 수지순환로 성형체(320)는 외통본체(313)와는 별체 구성이므로, 외통본체(313)와 수지순환로 성형체(320)를 일체 성형하는 경우와 같이 녹은 수지의 회전이 외통본체(313)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게이트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녹은 수지의 회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성형성이 양호하다. 특히 볼 전주홈(308)의 홈측에지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321)는 두께가 얇아 녹은 수지가 회전하기 어려우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외통본체(313)와는 별체 구성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321)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의 접속부가 연속적으로 일체 성형되고, 또한 분할부에 있어서도, 마개결합하여 위치결정 고정하고 있으므로, 순환로의 접속부의 연속성은 가급적 확보되고, 볼 전주홈(305,308)간의 부하 볼통로로부터 방향전환로(310)에의 볼(303)의 이행, 또는 방향전환로(310)로부터 볼 귀환통로(309)에의 볼(303)의 이행이 스무스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에, 수지순환로 성형체(320)의 분할위치의 변경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의 변경예의 설명은 변경점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변경예 1]
도 31 및 도 32에는 수지순환로 성형체(320)의 실시예 3의 변경예 1이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1에서는, 수지순환로 성형체(320)를,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321)와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323)를, 그 일단에 있어서 한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A)와 일체적으로 접합하여 제1의 수지프레임(320A)을 구성하고, 다른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B)를 구비한 제2의 수지프레임(320B)을 별체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경우,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321)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의 일체 접합은 실시예 3과 동일하게 박판부(329A)를 통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한편,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A)와 수지파이프(323)도 박판부(329A)를 통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수지파이프(323)는 반할구성이 아니고, 둥근 파이프인 채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박판부(329A)에 삽입공(334)은 없고, 볼 귀환통로(309)가 직접 개구되어 있다.
또, 제1의 수지프레임(320A)과 제2의 수지프레임(320B)간의 접속부는, 예를들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결합 등의 요철결합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의 수지프레임(320B)에 도브테일홈 등의 계지요부(336)가 형성되고,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321,321)에 계지요부(336)에 결합되는 계지돌부(3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의 수지프레임(320A)의 수지파이프(323)를 외통본체(313)의 관통공(314)에 삽입하고, 부하 통로 구성부(321,321) 및 연결판부(326)를 외통본체(313)의 요소(307) 내주면에 따라 삽입한다.
그리고, 수지파이프(323)의 선단과, 부하 통로 구성부(321,321) 및 연결판부(326)의 각 자유단부에 형성된 계지돌부(335)를, 외통본체(313)의 타방측의 단면에 접촉한 제2의 수지프레임(324B)의 박판부(329B)에 형성된 계지요부(336)에 계지고정한다.
계지돌부(335)와 계지요부(336)는, 제1의 수지프레임(320A)측에 계지요부, 제2의 수지프레임(320B)측에 계지돌부를 형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이와같은 계지요부, 계지돌부에 한정되지 않고, 분할단끼리를 위치결정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떤 계지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변경예 2]
도 33 및 도 34에는, 수지순환로 성형체(320)의 실시예 3의 변경예 2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2는, 수지순환로 성형체(320)를,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 및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323)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322)를 일체로 하고,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 및 귀환통로 구성부(323)를 길이방향 중도에서 2개로 나눈 것이다. 바꿔 말하면,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 및 수지파이프(323)를 길이방향 중도위치에서 2개로 나누고, 나눈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와 수지파이프(323)를 각각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322)와 일체 성형하고, 동일형상의 2개의 수지프레임(320C,320D)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양단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321), 중앙의 연결판부(326) 및 수지파이프(323)의 분할단에, 각각 요철결합하는 계지돌부(337)와 계지요부(338)가 형성되어 있다.
[변경예 3]
도 35에는, 수지순환로 성형체(320)의 실시예 3의 변경예 3이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3에서는, 실시예 1의 귀환통로구성을 구비한 연결부로서의 수지파이프(323)를 생략하여, 부하 전동체 전주로 구성부 및 연결판부(326)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322)를 구비한 박판부(329,329)를 일체 성형하여 수지프레임(320E)을 구성한 것이다. 볼 귀환통로(309)는 외통본체(313)에 천공한 관통공 자체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볼 귀환통로(309)의 단부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간의 접속은, 박판부(329)의 볼구멍(339)의 개구에지에, 볼 귀환통로(309)의 개구단에 형성된 테이퍼부(315)에 결합하는 결합돌기(339a)를 형성하여 접속하면 된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사이드 커버(340)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310b)의 볼 귀환통로(309)와의 접속단에지에, 박판부(329)에 결합하는 반원형상의 결합돌기(348)가 형성되어 있다.
[변경예 4]
도 36에는, 수지순환로 성형체(320)의 실시예 3의 변경예 4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경예 4에서는, 변경예 3의 수지파이프(323)를 생략한 구성이고, 부하 볼통로 구성부(321)와 한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를 일체 성형하여 수지프레임(320F)을 구성하고, 다른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322)를 구비한 수지프레임(320G)을 별체로 하고, 결합돌부(335)와 결합요부(336)를 요철결합시켜 위치결정 고정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변경예 3과 완전히 동일하다.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각각 두 부분으로 분할된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3개 세트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6개 세트가 각 순환로에 사용될 수 있다.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단일 세트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분할 방법은 본체 외통내로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삽입시 어려움을 고려하여, 상기 제 1, 2 및 4 변형에 기초하여야 한다.
[볼열의 변형예]
상기 실시예 3에서는, 볼열이 앵귤러형의 볼 스플라인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래디얼형의 볼 스플라인에 대해서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래디얼형의 경우 스플라인축에는 각부는 없이 둥근 축형상이고, 외통내주에도 요부가 존재하지 않는 원통형상이다. 접촉각(α)은 앵귤러형의 것보다 작다. 수지순환로 성형체(320)의 분할위치로서는, 상기 실시예 3 및 그 변형예 1∼4의 5개의 패턴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수지순환로 성형체(320)는 6열의 볼열마다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각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2세트씩 일체로 해도 되고, 6개의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모두 일체 성형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4]
도 38 및 도 3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4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 4에서는, 본 발명을 전동체열로서 로울러를 이용한 로울러 스플라인에 적응한 경우이다.
즉, 도 38에 나타낸 로울러 스플라인(401)은, 직선형으로 신장하는 궤도부재로서의 스플라인축(402)과, 이 스플라인축(402)에 따라 다수의 전동체로서의 로울러(403)를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외통(404)을 구비하고 있다.
스플라인축(402)은 단면이 이형단면(異形斷面)의 장척의 축이고, 스플라인축(402) 외주에 돌출하는 3개의 각(뿔)부(406) 측면에 2조씩, 합계 6조의 로울러 전주면(405,405,405,405,405,405)이 형성되어 있다.
외통(404)의 내주에는, 스플라인축(402)의 각 각부(406)에 대응하는 요소(407)가 3개소 형성되어 있고, 각부(406) 측면에 대향하는 요소(407)의 원주방향 양 우각부에 로울러 전주면(405,405)에 대응하는 로울러 전주면(408,40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404)에는, 6조의 각 로울러 전주면(408,408,408,408,408,408)과 병행으로 형성되는 6조의 로울러 귀환통로(409,409,409,409,409,409)와, 상기 로울러 전주면(408,408,408,408,408,408)과 로울러 귀환통로(409,409,409,409,409,409)의 양단을 접속하는 U자 파이프형의 방향전환로(410,410,410,410,410,410)에 의해 구성되는 6조의 순환로가 구성되어 있다.
각 순환로에 삽입되는 다수의 로울러(403)는, 도 19에 나타낸 로울러 리테이너(212)와 동일한 로울러 리테이너(412)를 통하여 일련으로 연결되어 있고, 로울러 리테이너(412)에 안내되면서 각 순환로내를 순환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외통(404)은, 로울러 전주면(408,408,408,408,408,408)이 형성된 외통본체(413)와, 외통본체(413)에 조립되는 수지제의 3개의 수지순환로 성형체(420,420,420)와, 이 수지순환로 성형체(420,420,420)가 조립된 블록 본체(413)의 단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314,314)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 4에서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6개의 순환로가 3개의 수지순환로 성형체(420,420,420)에 2세트씩 형성되어 있다.
각 수지순환로 성형체(420)는, 각각 로울러 전주면(408)의 양측에지에 따라 신장하는 한 쌍의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421,421), 외통본체(413)의 양단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422,422) 및 외통본체(413)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423)를 구비하고 있다.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421,421)에는, 부하역에 있어서 로울러 리테이너(412)의 벨트부(412b) 측에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로울러(403)가 전동이행할 때의 로울러 리테이너(412)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통본체(413)를 스플라인축(402)으로부터 제거했을 때에는, 벨트부(412b) 측에지를 안내홈을 구성하는 턱부에 걸어 로울러 리테이너(412)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로울러(403) 자체는 로울러 리테이너(41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로울러(403)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로울러 리테이너(412)를 통하여 외통(404)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무부하역의 방향전환로(410) 및 로울러 귀환통로(409)에도, 벨트부(412b) 측에지를 안내하는 안내홈(409c,410c)이 부하역의 안내홈(421a)에 연속하여 전체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로울러 리테이너(4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안내홈(421a,410a,409a)은 불필요하고,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421)에 도 20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울러 단(斷)을 지지하는 턱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수지순환로 성형체(420)는,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421,421)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422,422)와의 4개의 접속부중 최소한 1개를 일체 성형으로 하고, 다른 부위에서 분할하여 외통본체(413)에 조립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플라인 유닛에 이용하는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기본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실시예 3에서 충분히 설명하고, 로울러순환로에 이용하는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2에서 충분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도 39를 이용하여, 상기 수지순환로 성형체(420)의 분할구성의 기본적인 양태만을 간단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39 (A)는, 4세트의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421,421)의 양단과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422,422)의 일단을 일체적으로 접속하여 1개의 수지프레임(424)을 구성하고, 각 귀환통로 구성부(423)의 양단과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422,422)의 접속부에 있어서 분할하여 외통본체(413)에 대하여 조립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39 (B)는, 수지순환로 성형체(420)를,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421,421)와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423)를, 그 일단에 있어서 한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422A)와 일체적으로 접합하여 제1의 수지프레임(420A)을 구성하고, 다른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422B)를 구비한 제2의 수지프레임(420B)을 별체 구성으로 한 것이다.
도 39 (C)는, 수지순환로 성형체(420)를, 부하 볼통로 구성부(421) 및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수지파이프(423)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422,422)를 일체로 하고,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421) 및 귀환통로 구성부(423)를 길이방향 중도에서 2개로 나눈 것이다. 바꿔 말하면,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421) 및 수지파이프(423)를 길이방향 중도위치에서 2개로 나누고, 나눈 부하 볼통로 구성부(421)와 수지파이프(423)를 각각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422,422)와 일체 성형하고, 동일 형상의 2개의 수지프레임(420C,420D)을 구성하고 있다.
도 39 (D)는, 도 39 (A)의 수지파이프(423)를 생략하고, 부하 전동체 전주로 구성부 및 연결판부(326)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422,422)를 구비한 박판부(429,429)를 일체 성형하여 수지프레임(420E)을 구성한 것이다. 로울러 귀환통로(409)는 외통본체(413)에 천공한 관통공 자체에 의해 구성된다.
도 39 (E)는, 도 39 (B)의 수지파이프(423)를 생략한 구성이고, 부하 볼통로구성부(421)와 한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422)를 일체 성형하여 수지프레임(420F)을 구성하고, 다른 쪽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422)를 구비한 수지프레임(420G)을 별체로 한 것이다.
도 39 (A) 내지 (E)에 있어서, 분할부의 계지구조에 대해서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개결합 등의 요철결합에 의해 위치결정 고정되는 것이다.
[실시예 5]
도 40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직선운동 안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직전운동 안내장치(501)는,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신장하는 궤도부재로서의 궤도레일(502)과, 이 궤도레일(502)에 따라 다수의 전동체로서의 볼(503)을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재로서의 이동블록(504)을 구비하고 있다.
궤도레일(502)은 대략 단면이 사각형상의 긴 막대기체이고, 궤도레일(502)의 좌우 측면에는 각각 2조의 볼 전주홈(505,505)이 형성되어 있다. 궤도레일(502)의 좌우 측면에는, 돌출부(502a,50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좌우 돌출부(502a,502a)의 상하 양측면에 상기 볼 전주홈(505,505)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블록(504)은, 궤도레일(502)의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506)와, 수평부(506)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여 궤도레일(502)의 좌우 측면에 대향하는 윙부(507,507)를 구비한 하방으로 개방된 단면이 コ자형상의 블록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윙부(507,507)의 내측면에는, 각각 궤도레일(502)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각 볼 전주홈(505,505)에 대응하는 2조의 볼 전주홈(508,50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동블록(504)의 좌우 양 윙부(507,507)에는, 볼 전주홈(508,508)과 병행으로 신장하는 2조씩의 볼 귀환통로(509,509)가 관통형성되고, 또한, 좌우 양 윙부(507,507)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도 44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볼 전주홈(508,508,508,508)과 볼 귀환통로(509,509,509,509)의 양단을 접속하는 U자 파이프형의 방향전환로(510,510,510,5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동블록(504)의 양 윙부(507,507)에는, 볼(503)이 순환하는 좌우 2조씩 합계 4조의 무한순환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4열의 볼(503,503,503,503)은, 전동체 리테이너로서의 볼 리테이너(512)를 통하여 일련으로 연결되어 있고, 볼 리테이너(512)에 안내되면서 순환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볼 리테이너(512)는, 도 44 (C)∼(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볼(503)이 삽입되는 볼구멍(512a)이 형성된 가요성의 벨트부(512b)와, 각 볼(503)과 볼(503)의 사이에 제공되는 스페이서부(512c)를 구비하고, 벨트부(512b)의 측에지가 볼(503)이 외경보다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스페이서부(512c)에는 각 볼(503)의 구면에 대응하는 구형의 지지요부(512d)가 형성되고, 이 지지요부(512d)에 의해 볼(503)을 양측으로부터 지지하여 벨트부(512b)로부터의 볼(503)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벨트부(512b)의 양단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유단대형의 구성이지만, 벨트부(512b)의 양단을 연결한 무단형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동블록(504)은,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전주홈(508,508,508,508)이 형성된 블록 본체(513)와, 블록 본체(513)에 조립되는 좌우 한쌍의 수지순환로 성형체(520,520)와, 이 좌우 한 쌍의 수지순환로 성형체(520,520)가 조립된 블록 본체(513)의 단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540)(한 쪽의 사이드 커버는 생략)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우의 수지순환로 성형체(520,520)는 각각 2조의 무한순환로를 구성하는 것이고, 좌우 대칭형상이므로, 다음의 설명에서는 편측의 수지순환로 성형체(5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쪽의 수지순환로 성형체(520)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수지순환로 성형체(520)는, 볼 전주홈(508,508)의 양측에지에 따라 신장하는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와, 블록 본체(513)의 양 단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522)를 일체로 한 수지프레임(524)과 (도 42 참조), 블록 본체(513)에 관통형성된 관통공(514,514)에 삽입되는 귀환통로 구성부로서의 한 쌍의 수지파이프(523,523)를 구비하고 있다(도 43 참조). 즉,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522)와의 접속부가 일체 성형되어 일체의 수지프레임(524)을 구성하고, 한 쌍의 수지파이프(523,523)를 별체로 하여 블록 본체(513)에 대하여 조립가능하게 하고 있다.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에는,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역에 있어서 볼 리테이너(512)의 벨트부(512b) 측에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볼(503)이 전동이행할 때의 볼 리테이너(512)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동블록(504)을 궤도레일(502)로부터 제거했을 때에는, 벨트부(512b) 측에지를 안내부를 구성하는 안내홈(521a)에 걸어 볼 리테이너(512)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각 볼 전주홈(508,508) 양측에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의 개구폭은 볼지름보다 작게 되어 있고, 볼 리테이너(512)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이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에 의해 볼(503)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 무부하역의 방향전환로(510,510) 및 볼 귀환통로(509,509)에도, 도 44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부(512b) 측에지를 안내하는 안내홈(509c,510c)이 부하역의 안내홈(521a)에 연속하여 전체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521,521)는, 도 4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본체(513)의 수평부(506)와 윙부(507,507)의 우각부에 따라 블록 본체(513)의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제1 연결판부(525)와, 블록 본체(513)의 각 윙부(507) 내주의 각 볼 전주홈(508,508)간에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제2 연결판부(526)와, 블록 본체(513)의 윙부(507) 하단면에 따라 블록 본체(513)의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제3 연결판부(52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서로 대향하는 제1 연결판부(525) 하부에지와 제2 연결판부(526)의 상부에지가 각 윙부(507)에 형성한 상측의 볼 전주홈(508)의 홈측에지에 위치하여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를 구성하고 있다. 또, 서로 대향하는 제2 연결판부(526)의 하부에지와 제3 연결판부(527)의 내측 상부에지가, 윙부(507,507) 내측면에 형성한 하측의 볼 전주홈(508)의 홈측에지에 위치하여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44 (A), (B),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와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가 박판부(529)를 통하여 일체 성형되고, 수지파이프(523)는 박판부(529)에 형성된 삽입공(534)에 마개결합되어 위치결정 고정되어 있다.
박판부(529)에는 궤도레일(502) 측면의 각 2열의 볼(503,503)에 대응하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52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 본체(513) 양단의 박판부(529)에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결판부(525∼527)의 양단이 결합되어, 1개의 수지프레임(524)이 구성되어 있다.
각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522)는 반할원통형상이고, 그 외주에 방향전환로(510)의 내주안내부를 구성하는 단면이 원호형의 내주안내홈(5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주안내홈(510a)의 일단은 볼 전주홈(508)의 단부에 접속되는 것이고, 볼 전주홈(508)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성형되고, 볼 전주홈(508)의 단부위치에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또, 방향전환로(510)의 내주안내홈(510a)의 타단은 볼 귀환통로(509)의 단부에 접속되는 것이고, 볼 귀환통로(509)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성형되고, 볼 귀환통로(509)의 단부위치에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또, 내주안내홈(510a)의 홈측에지에는, 벨트부(512b)의 폭보다 큰 폭의 원통형 플랜지부(533,5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형 플랜지부(533,533)는, 후술하는 사이드 커버(540)의 요부 내주에 형성된 반원형의 단요부와 협동하여 볼 리테이너(512)의 리테이너 안내홈(510c)을 구성한다.
방향전환로(510)의 내주안내홈(510a)의 양단은, 볼 전주홈(508) 및 볼 귀환통로(509)의 양단에 접속하므로, 박판부(529)의 블록 본체(513) 단면과의 접촉면측까지 신장하고 있다. 한편, 박판부(529)에는 수지파이프(523)의 단부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파이프삽입공(534,534)이 형성되어 있다.
수지파이프(523)는,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의 방향전환로(510)의 외주안내홈(510b)과 연속하는 순환로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주측 파이프반체(523b)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510a)과 연속하는 순환로 외주측에 위치하는 내주측 파이프반체(523a)로 구성되어 있다.
내주측 파이프반체(523a)는, 도 43 (C),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호형의 홈부(509a)와, 이 홈부(509a)의 홈 양측에지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측단면(523c)을 구비하고 있다. 또, 외주측 파이프반체(523b)는, 도 43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510b)과 동일한 단면이 원호형상의 직선형부재이고, 외주안내홈(10b)과 연속하는 홈부(509b)와, 이 홈부(509b)의 양측에지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측단면(523d)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측단면(523d)의 외측에지에는, 내주측 파이프반체(523a)의 측단면의 외측에지에 접촉하여 볼 리테이너(12)의 리테이너 안내홈(509c)을 구성하는 돌출부(523e)가 형성되어 있다.
수지파이프(523)의 내주측 파이프반체(523a)의 길이는 블록 본체(513)의 길이와 동일하게,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의 배면에 접촉하여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수지파이프(523)의 외주측 파이프반체(523b)의 길이는 블록 본체(513)의 길이보다 박판부(529)의 두께분만큼 길게 삽입공(534)에 삽입되어 있다. 삽입공(534)에 삽입된 외주측 파이프반체(523b)의 양 단면은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510b)의 단부주위 에지에 접촉하여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 외주측 파이프반체(523b)의 양측에지에 형성된 돌출부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에 형성된 원통형 플랜지부(533)의 외측에지에 접촉하여 안내홈(510c)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관통공(514)내에 삽입된 외주측 파이프반체(523b) 및 내주측 파이프반체(523a)의 회전정지가 이루어진다.
도 4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 내주안내구성부(522)는 그와 일체로 성형된 박판부(529)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박판부(529)에는 삽입공(5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534)에는, 도면 4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파이프(523)의 단부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수지파이프(523)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는, 박판부(529)에 형성된 삽입공(534)을 통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조립된다.
한편,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에는, 도 44 (F),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부(529)가 삽입되는 단요부(546)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가 삽입되는 방향전환로 외주안내부로서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510b)을 구비한 요부(541)와,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를 블록 본체(513)에 대하여 조임고정하는 조임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조임고정부는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에 형성된 볼트삽입공(543)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삽입하고, 블록 본체(513)의 단면에 형성된 볼트구멍(545)에 나사삽입함으로써 조임고정하고 있다. 볼트삽입공(543)의 위치는, 각 수지순환로 성형체(520,520)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522)의 사이의 박판부(529,529)와, 수평부(506)의 좌우 박판부(529,529) 근방 위치와의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요부(541)의 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510b)의 측에지에는, 도 44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4 (F)에 나타낸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의 원통형 플랜지부(533)의 사이에서 협동하여 리테이너 안내홈(510c)을 구성하는 반원형의 대경단부(546)와, 원통형 플랜지부(533)가 삽입되는 소경단부(54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510a)이 형성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가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의 요부(541)에 삽입되는 동시에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의 단요부(546)에 박판부(529)가 수용되고,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 (529)가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와 블록 본체(513)의 단면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41, 42(A) 내지 42(C)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부(529)를 통하여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와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에 형성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510a)의 일단과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의 상대위치관계가 결정된다. 또한, 도 44(B)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로(510)의 내주안내홈(510a)의 양단이 볼 전주홈(507) 및 볼 귀환통로(509) 양단에 접속되므로, 박판부(529)의 블록 본체(513) 단면과의 접촉면측까지 연장하고 있으며, 박판부(529)에는 반원형의 파이프 삽입공(534, 534)이 형성되어 있어서, 파이프 삽입공(534, 534)에 수지파이프(523)의 단부가 삽입된다. 따라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510a)과 볼 귀환통로(509)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한편,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의 조임력에 의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 주변의 박판부(529)가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에 의해 균일하게 평탄한 블록 본체(513) 단면에 가압되므로 (도 44 (F)의 일점쇄선 참조),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522)의 자세(방향)가 일그러져 있는 경우라도 블록 본체(513)의 단면에 따라 박판부(529)가 휘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522)의 일그러짐이 교정된다. 또,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529)가 단단히 조임고정되고, 그 마찰력에 의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510a)의 위치어긋남도 없다.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는, 블록 본체(513)에 대하여 조립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522)에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의 요부(541)를 끼워 고정되므로,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522)와의 요철결합에 의해 블록 본체(513)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 수지순환로 성형체(520)의 조립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수지파이프(523)의 내주측 파이프반체(523a)를 블록 본체(513)의 윙부(507)의 관통공(514)에 삽입한다. 이어서, 일체 성형한 수지프레임(524) 양단의 박판부(529)를 블록 본체(513)의 윙부(507)의 단면에 따라 미끄러지게 하면서 내측면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수지프레임(524)의 제1 연결판부(525)가 수평부(506)와 윙부(507)의 우각부에 접촉하여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수지프레임(524)의 제2 연결판부(526) 및 제3 연결판부(527)가 블록 본체(513)의 윙부(507)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각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 및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522)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박판부(529)의 삽입공 (534,534)이 블록 본체(513)의 관통공(514,514)에 합치한다.
이어서, 삽입공(534,534)을 통하여 외주측 파이프반체(523b,523b)를 관통공(514,514)에 삽입하여 한 쪽의 수지순환로 성형체(520,520)의 조립이 완료한다.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하여 다른 쪽의 수지순환로 성형체(520)의 조립을 행한다.
그 후, 한 쪽의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를 블록 본체(513)의 일단면에 조임고정하고, 도시하지 않은 볼 리테이너(512)를 삽입한 후, 다른 쪽의 사이드 커버 플레이트(540)를 블록 본체(513)의 타단면에 조임고정하여, 이동블록(504)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블록(504)이 대형인 경우라도, 수지순환로 성형체(520,520)는 블록 본체(513)와는 별체 구성이므로, 블록 본체(513)와 수지순환로 성형체(520,520)를 일체 성형하는 경우와 같이 녹은 수지의 회전이 블록 본체(513)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게이트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녹은 수지의 회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성형성이 양호하다. 특히 볼 전주홈(508)의 홈측에지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는 두께가 얇아 녹은 수지가 회전하기 어려우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블록 본체(513)와는 별체 구성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히, 좌우 각 2조씩의 무한순환로를 구성하는 수지순환로 성형체(520,520)를 좌우 2개로 분할하고 있으므로, 이동블록 본체(513)의 폭이 큰 경우라도, 녹은 수지의 회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수지순환로 성형체(520)에 의해 연속하는 순환로를 구성했으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510a)과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와의 상대위치관계, 또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510a)과 볼 귀환통로(509)간의 상대위치관계가 직접 위치결정 되고, 순환로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어, 볼(503)의 스무스한 이행이 보장된다.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510a)과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간의 상대위치 관계는,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는 볼 전주홈(508)의 양측에지에 위치하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510a)의 측에지위치에 일치하게 된다.
또,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510a)과 볼 귀환통로(523)간의 상대위치관계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510a)과 볼 귀환통로(509)의 내주홈(523a)이 일치하게 된다.
특히, 볼(503)의 방향이 변화하는 부하 볼통로 구성부(521,521)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의 접속부를 일체 성형하고 있으므로, 접속부의 조립이 불필요하고, 조립정밀도에 영향받지 않고 연속성이 확보된다. 볼 전주홈(505,508)간의 부하 볼통로로부터 방향전환로(510)에의 볼(503)의 이행, 또는 방향전환로(510)로부터 볼 귀환통로(509)에의 볼(503)의 이행이 스무스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부재가 대형인 경우라도, 수지순환로 성형체는 이동부재 본체와는 별체 구성이므로, 게이트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녹은 수지의 회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성형성이 양호하다. 특히 전동체 전주부의 측에지에 따른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는 두께가 얇아 녹은 수지가 회전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과 같이, 이동부재 본체와 별체 구성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수지순환로 성형체에 의해 연속하는 순환로를 구성했으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의 상대위치관계, 또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전동체 귀환통로간의 상대위치관계가 직접 위치결정되고, 순환로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전동체의 스무스한 이행이 보장된다.
특히, 전동체의 방향이 변화하는,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의 접속부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귀환통로 구성부의 접속부를 일체 성형으로 해 두면, 접속부의 조립이 불필요하고, 조립정밀도에 영향받지 않고 연속성이 확보된다.
또, 수지제의 귀환통로 구성부가 없는 경우라도,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와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의 접속부를 연속적으로 성형함으로써, 부하역의 전동체 전주부와 방향전환로간의 전동체의 이행이 스무스하게 이루어진다.
또, 전동체 리테이너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동체 리테이너를 안내하는 리테이너 안내부에 대해서도 순환로 전주에 걸쳐 연속성이 유지된다.
또, 얇은 두께의 리테이너 안내부에 대해서도 이동부재 본체를 삽입하지 않고 성형하므로, 게이트의 위치를 이동부재 본체에 제약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성형시에 구석구석까지 충분히 수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좌우 각 2조의 무한순환로를 구성하는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좌우 2개로 분할해 두면, 이동블록 본체의 폭이 큰 경우라도, 녹은 수지의 회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박판부를 통하여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부하 전동체 전주로 구성부를 연결하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간, 또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와 전동체 귀환통로 구성부간의 일그러짐을 박판부의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의 일단과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의 상대위치관계, 또는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와 전동체 귀환통로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결정 된다.
한편, 사이드 커버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가 사이드 커버에 의해 평탄한 이동부재 본체 단면에 가압되므로,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의 자세(이동부재 본체 단면에 대한 방향)가 일그러져 있는 경우라도 박판부가 휘어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의 자세가 교정된다.
또, 사이드 커버의 조임력에 의해 박판부가 단단히 조임고정되고,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의 위치어긋남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직선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수지프레임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A)의 C-C선 부분 단면도, (D)는 (B)의 D-D선 단면도, (E)는 (A)의 E-E선 확대 단면도, (F)는 (A)의 F-F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실시예 1에 관한 직선운동 안내장치의 단면 정면도, (B)는 (A)에 나타낸 장치의 사이드 커버를 절반 생략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C)∼(F)는 (A)의 부하 볼통로 구성부 근방의 각종 양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실시예 1에 관한 직선운동 안내장치의 일부 파단(破斷) 측단면도, (B)는 (A)의 이동블록의 볼 리테이너를 제거한 순환로의 단면도, (C)는 볼 리테이너의 부분측면도, (D)는 (C)의 평면도, (E)는 (D)의 a방향 화살표에 따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블록의 사이드 커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6의 (A)∼(I)는 도 1의 이동블록의 조립수순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도 4 (B)의 방향전환로의 부분 확대도, (B)는 (A)의 사이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 (C)는 (A)의 사이드 커버의 방향전환로의 요부(凹部)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D)는 (A)의 수지파이프의 외주측 파이프반체(半體)의 부분 단면도, (E)는 (D)의 파이프반체의 측면도, (F)는 (A)의 수지파이프의 내주측 파이프반체의 부분 단면도, (G)는 (F)의 파이프반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1을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일부 파단 분해사시도, (B)는 제1 수지프레임측의 정면도, (C)는 제2 수지프레임측의 정면도, (D)는 제1 수지프레임측의 배면도, (E)는 제2 수지프레임측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2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도 10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일부 파단 분해 측면도, (B)는 (A)의 한 쪽의 수지프레임의 분할단측의 측면도, (C)는 결합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3을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2의 이동블록이 사용된 직선운동 안내장치의 일부 파단 측면도, (B)는 (A)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도 13 (B)의 방향전환로의 부분 확대 분해 단면도, (B)는 (A)의 조립상태의 부분단면도, (C)는 (A)의 사이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 (D)는 (A)의 사이드 커버의 방향전환로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4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의 (A)∼(H)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직선운동 안내장치의 볼열(列)의 다른 각종 양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6 (A)의 측면 2열씩의 볼열을 구비한 직선운동 안내장치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직선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의 (A)는 도 18의 실시예 2에 관한 직선운동 안내장치의 단면 정면도, (B)는 (A)의 장치의 1개의 순환로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C)는 (B)의 로울러 리테이너의 부분 평면도, (D)는 (C)의 d방향 화살표 방향에 따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의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나타낸 것으로, (A)는 (B)의 a-a선 단면도, (B)는 (A)의 정면도, (C)는 (A)의 수지파이프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 (D)는 (A)의 수지파이프의 외주측 파이프반체의 단면도, (E)는 (D)의 측면도, (F)는 (A)의 수지파이프의 내주측 파이프반체의 단면도, (G)는 (F)의 측면도, (H)는 로울러 리테이너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부하 로울러통로 구성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1을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의 (A)는 도 2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일부 파단 분해 측면도, (B)는 (A)의 제1 수지프레임측의 분할단측에서 본 도면, (C)는 (A)의 제2 수지프레임의 분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2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의 (A)는 도 23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일부 파단 분해 측면도, (B)는 (A)의 한 쪽의 수지프레임의 분할단측에서 본 도면, (C)는 (A)의 다른 쪽의 수지프레임의 분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3을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4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직선운동 안내장치의 볼열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사이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반단면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직선운동 안내장치로서의 볼 스플라인의 외통(外筒)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의 (A)는 본 발명의 도 28의 외통을 이용한 실시예 3에 관한 볼 스플라인의 정면 단면도, (B)는 (A)에 나타낸 장치의 1개의 순환로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C)는 (B)의 로울러 리테이너를 제거한 순환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나타낸 것으로, (A)는 (B)의 a-a선 단면도, (B)는 (A)의 정면도, (C)는 (B)의 수지파이프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정면도, (D)는 (A)의 수지파이프의 외주측 파이프반체의 단면도, (E)는 (D)의 측면도, (F)는 (A)의 수지파이프의 내주측 파이프반체의 단면도, (G)는 (F)의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1을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의 (A)는 도 3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일부 파단 분해 측면도, (B)는 (A)의 제1 수지프레임측의 분할단측에서 본 도면, (C)는 (A)의 제2 수지프레임의 분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2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의 (A)는 도 33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일부 파단 분해 측면도, (B)는 (A)의 한 쪽의 수지프레임의 분할단측에서 본 도면, (C)는 (A)의 다른 쪽의 수지프레임의 분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3을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4를 나타낸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볼 스플라인의 다른 볼열 구성의 사이드 커버를 제거한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3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로울러 스플라인의 사이드 커버를 제거한 일부 파단 정면도, (B)는 (A)의 1개의 로울러 순환로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39의 (A)는 도 38의 로울러 스플라인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구성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B)∼(E)는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변경예 1∼4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직선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의 사이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B)는 (A)의 이동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수지순환로 성형체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의 (A)는 도 4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구성하는 수지프레임의 정면도, (B)는 (A)의 좌측면도, (C)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구성하는 수지파이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외주측 파이프반체의 정면도, (B)는 (A)의 측면도, (C)는 내주측 파이프반체의 정면도, (D)는 (C)의 측면도이다.
도 44의 (A)는 도 40 (A)의 이동블록의 볼 리테이너를 제거한 1개의 순환로의 단면도, (B)는 (A)의 방향전환로의 부분 확대도, (C)는 볼 리테이너의 부분 측면도, (D)는 (C)의 평면도, (E)는 (D)의 a방향의 화살표에 따른 도면, (F)는 (B)의 사이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 (G)는 (B)의 사이드 커버의 방향전환로를 요부를 나타낸 부분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직선운동 안내장치, 궤도레일(궤도부재), 3:볼 전동체(轉動體)) 4:이동블록(이동부재), 5:궤도레일측의 볼 전주(轉走)홈(전동체 전주부), 6:수평부, 7:윙(wing)부, 8:이동블록측의 볼 전주홈(전동체 전주부), 9:볼 귀환통로(전동체 귀환통로), 9c:리테이너 안내홈, 10:방향전환로, 10a:방향전환로 내주안내홈(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 10b:방향전환로 외주안내홈(방향전환로 외주안내부), 10c:리테이너 안내홈, 12:볼 리테이너(전동체 리테이너), 12b:벨트부, 12c:스페이서부, 13:블록 본체(이동부재 본체), 14:관통공, 15:테이퍼부, 20:수지순환로 성형체, 21:부하 볼통로 구성부, 22: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 23:수지파이프(볼 귀환통로 구성부), 24:수지프레임, 25,26,27:제1,제2,제3 단판부, 29:박판부, 30,31,32:제1,제2,제3 연결판부, 34:삽입공, 35,37:결합돌부, 36,38:결합요부, 39:볼구멍, 39a:결합돌부

Claims (13)

  1. 복수의 전동체 전주부가 배치된 궤도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전동체 전주부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된 복수의 무한순환로내를 이동하는 복수의 전동체를 통해서, 상기 궤도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이동부재(4)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4)는 이동부재본체(13)와 상기 이동부재본체의 이동방향 양단 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커버(40, 4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동부재(4)에는, 상기 복수의 무한순환로마다 상기 궤도부재의 전동체 전주부와 대응하는 부하 전동체 전주부와, 상기 부하 전동체 전주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병행하여 배치되는 전동체 귀환통로와, 상기 부하 전동체 전주부와 전동체 귀환통로간을 접속하여 전동체를 순환시키는 한 쌍의 방향전환로가 구비되고,
    전동체 순환로를 형성하는 수지성형체가 상기 전동체 전주부의 양쪽 에지를 따라서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동체통로구성부(21, 21)와, 상기 귀환통로를 구성하는 귀환통로 구성부(23)와, 상기 방향전환로의 내주안내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 구성부(22, 22)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성형체는 상기 이동부재본체(13)와 별개로 형성되는 직선운동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 귀환통로를 이동부재 본체에 천공(穿孔)된 관통공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전동체통로구성부 및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 구성부 중 적어도 하나를 박판부(29)를 통해서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 구성부(22, 22) 각각은 반할원통형상으로 상기 박판부(29)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버(40, 40) 각각은 상기 방향전환로 내주안내 구성부(22)를 위한 요부(41)를 가지며,
    반할원통형상의 상기 방향전환로 내주안내 구성부(22)를 상기 커버(40)의 요부(41) 내에 수용하도록, 상기 박판부(29)는 상기 이동부재본체(13)의 단면과 상기 커버(40)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2. 제1항에서,
    다수의 전동체를 소정 간격을 두고 일련으로 유지하고 전동체의 양 측단으로부터 측에지부가 돌출하는 전동체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체 리테이너의 측에지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순환로 전주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재는 궤도레일이고, 상기 이동부재본체는 궤도레일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와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을 협지하는 한 쌍의 윙부를 구비한 이동블록 본체로서, 전동체는 궤도레일의 상면과 이동블록본체 하면과의 사이에 2열,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과 윙부의 내측면간에 상하 1열씩 합계 4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재는 궤도레일이고, 상기 이동부재본체는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을 협지하는 한 쌍의 윙부를 구비한 이동블록본체로서, 전동체는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과 이동블록본체의 좌우 윙부의 내측면간에 상하 2열씩 합계 4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는 4열의 전동체에 대응하는 4개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부를 일체로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궤도레일의 우측면에 위치한 2개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는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궤도레일의 좌측면에 위치한 2개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는 일체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7.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재는 궤도레일이고, 상기 이동부재본체는 궤도레일의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와 궤도레일의 편측면에 대향하는 윙부를 구비하고, 전동체는 궤도레일의 이동부재본체의 윙부와 대향하는 일측면에 1열, 궤도레일의 상면 코너부에 1열 합계 2열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재는 궤도레일이고, 상기 이동부재본체는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을 협지하는 한 쌍의 윙부를 구비한 이동블록본체로서, 전동체는 궤도레일의 좌우 측면과 이동블록본체의 좌우 윙부의 내측면간에 1열씩 합계 2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재는 궤도레일이고, 상기 이동부재본체는 궤도레일의 일측면에 따라 배치되는 이동블록본체로서, 전동체는 궤도레일의 일측면과 이동블록본체간에 상하 2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재는 스플라인축이고, 상기 이동부재본체는 스플라인축에 복수의 전동체열을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외통(外筒)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11. 좌우 측면에 2조(組)씩 합계 4조의 전동체 전주부가 배치된 궤도레일(502), 및
    상기 궤도레일(502)에 구비된 전동체 전주부와 대응하는 2조씩 합계 4조의 부하 전동체 전주부가 배치된 이동블록(504)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블록(504)은 상기 궤도레일(502)의 좌우측면을 사이에 끼우는 적어도 한 쌍의 윙부(507, 507)를 갖는 이동블록본체(513)와,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커버(540, 540)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블록(504)에는, 상기 4조의 각 전동체 전주부와 병행하여 배치되는 4조의 전동체 귀환통로와, 상기 전동체 전주부와 전동체 귀환통로의 양단을 접속하는 방향전환로에 의해 4조의 무한순환로가 구성된 직선운동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무한순환로를 구성하는 부하 전동체 전주부의 양측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부하 전동체통로 구성부(521, 521), 상기 귀환통로를 구성하는 귀환통로 구성부, 상기 방향전환로의 내주안내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구성부(522, 522)를 구비한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이동블록 본체와는 별체로 성형하고,
    상기 수지순환로 성형체를, 상기 윙부 각각에 2조의 무한순환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이동블록의 윙부에 구비된 2개의 부분(524, 524)으로 분할하고,
    상기 2개의 부분 각각에 있어서, 전동체통로 구성부(521, 521)와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 구성부(522, 522)를 박판부(529)를 통해서 일체로 형성하고, 귀환통로 구성부를 별체로 하며,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 구성부(522, 522) 각각은 반할원통형상으로 상기 박판부(529)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커버(540, 540) 각각은 상기 방향전환로 내주안내 구성부(522)를 위한 요부(541)를 가지며,
    반할원통형상의 상기 방향전환로 내주안내 구성부(522)를 상기 커버(540)의 요부(541) 내에 수용하도록, 상기 박판부(529)는 상기 이동부재본체(513)의 단면과 상기 커버(540)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12. 제11항에서,
    다수의 전동체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일련으로 유지하고 전동체의 양 측단으로부터 측에지부가 돌출하는 전동체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체 리테이너의 측에지부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순환로 전주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본체는 궤도부재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궤도부재의 측면에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전동체통로 구성부 및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 구성부 모두를 상기 박판부를 통해서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하고,
    일체로 성형한 상기 한 쌍의 전동체통로 구성부 및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로 내주안내 구성부 모두가 상기 이동부재본체에 하방으로부터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운동 안내장치.
KR1019980022418A 1997-06-16 1998-06-15 직선운동안내장치 KR100755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235A KR100789333B1 (ko) 1997-06-16 2006-09-05 직선운동 안내장치
KR1020070023042A KR100758018B1 (ko) 1997-06-16 2007-03-08 직선운동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533697 1997-06-16
JP97-175336 1997-06-16
JP98-136062 1998-04-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235A Division KR100789333B1 (ko) 1997-06-16 2006-09-05 직선운동 안내장치
KR1020070023042A Division KR100758018B1 (ko) 1997-06-16 2007-03-08 직선운동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01A KR19990007001A (ko) 1999-01-25
KR100755419B1 true KR100755419B1 (ko) 2007-12-27

Family

ID=159942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418A KR100755419B1 (ko) 1997-06-16 1998-06-15 직선운동안내장치
KR1020060085235A KR100789333B1 (ko) 1997-06-16 2006-09-05 직선운동 안내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235A KR100789333B1 (ko) 1997-06-16 2006-09-05 직선운동 안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3571911B2 (ko)
KR (2) KR100755419B1 (ko)
DE (1) DE19826703B4 (ko)
FR (1) FR2765283B1 (ko)
IT (1) IT1299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1911B2 (ja) * 1997-06-16 2004-09-29 Thk株式会社 直線運動案内装置
JP4298818B2 (ja) * 1998-08-18 2009-07-22 Thk株式会社 直線転がり案内装置
DE19920477B4 (de) * 1999-05-04 2007-06-21 Chieftech Precision Co., Ltd. Wälzführungseinrichtung für Linearbewegungen
JP4502290B2 (ja) * 1999-09-10 2010-07-14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JP4568453B2 (ja) * 2000-05-29 2010-10-27 Thk株式会社 運動案内装置
DE10356854B4 (de) * 2003-12-05 2011-06-01 Hiwin Technologies Corp. Linearführung mit einer zusammensetzbaren Verschlus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Einführung von Wälzkugeln
DE102004031028A1 (de) * 2004-06-26 2006-01-12 Ina-Schaeffler Kg Linearwälzlagerelement
DE102004035211A1 (de) 2004-07-21 2006-02-16 Ina-Schaeffler Kg Linearführungseinheit
JP4675326B2 (ja) * 2004-09-08 2011-04-20 Thk株式会社 ボールスプライン装置
KR100496892B1 (ko) * 2004-12-20 2005-06-23 주식회사 에스비씨리니어 슬라이더 및 이 슬라이더가 채택된 직선 미끄럼 볼 베어링
KR100496893B1 (ko) * 2004-12-20 2005-06-23 주식회사 에스비씨리니어 슬라이더 및 이 슬라이더가 채택된 직선 미끄럼 볼 베어링
DE102005008498A1 (de) * 2005-02-24 2006-08-31 Hiwin Technologies Corp. Linearführung mit einer Umlaufeinrichtung
JP4655995B2 (ja) * 2006-05-11 2011-03-23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案内装置
WO2006121167A1 (ja) * 2005-05-12 2006-11-16 Nsk Ltd. 直動案内装置
JP4682910B2 (ja) * 2006-04-26 2011-05-11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案内装置
JP4770261B2 (ja) * 2005-05-12 2011-09-14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案内装置
JP4609180B2 (ja) * 2005-05-12 2011-01-12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案内装置
JP4661683B2 (ja) * 2006-05-11 2011-03-30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案内装置
JP4682911B2 (ja) * 2006-04-26 2011-05-11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案内装置
DE102005055101A1 (de) * 2005-11-18 2007-05-24 Bosch Rexroth Mechatronics Gmbh Linearführungseinrichtung
JP2007239829A (ja) * 2006-03-07 2007-09-20 Nsk Ltd リニアガイド装置
JP4640306B2 (ja) * 2006-05-16 2011-03-02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案内装置
JP5272350B2 (ja) * 2007-08-21 2013-08-28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案内装置
WO2009041176A1 (ja) * 2007-09-27 2009-04-02 Thk Co., Ltd. 直線案内装置
JP5373462B2 (ja) * 2009-04-15 2013-12-18 Thk株式会社 運動案内装置
JP5724894B2 (ja) 2012-01-31 2015-05-27 日本精工株式会社 リニアガイド装置
JP6033125B2 (ja) 2012-03-08 2016-11-30 Thk株式会社 転がり案内装置
JP5785570B2 (ja) * 2013-02-04 2015-09-30 Thk株式会社 運動案内装置
US9863470B2 (en) 2014-03-31 2018-01-09 Thk Co., Ltd. Motion guid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54921B1 (ko) * 2016-12-05 2019-03-07 (주)원에스티 리니어 모션 가이드 및 조립 방법
CN107758292B (zh) * 2017-11-06 2024-04-05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翻转设备
KR102238581B1 (ko) * 2020-12-10 2021-04-12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Lm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면진장치
JP2022150833A (ja) * 2021-03-26 2022-10-07 日本精工株式会社 リニアガイド
CN117189777B (zh) * 2023-11-06 2024-02-20 江苏恒立精密工业有限公司 精密滚柱直线导轨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6447A (en) * 1942-09-28 1943-08-10 Reuben T Enderson Pipe cutting gauge
JPH01176811A (ja) * 1987-12-31 1989-07-13 Hiihaisuto Seiko Kk 直動案内軸受
EP0400200A2 (en) * 1989-05-30 1990-12-05 Andrew L. Pester Linear motion bearing
JPH03315A (ja) * 1989-01-25 1991-01-07 Marc Lecomte 精密リニアガイドブロック
JPH04194413A (ja) * 1990-11-27 1992-07-14 Nippon Thompson Co Ltd 四条列無限直動案内ユニット
JPH04351316A (ja) * 1991-05-27 1992-12-07 T H K Kk 直線摺動用ベアリング
JPH0562733U (ja) * 1992-02-04 1993-08-20 光洋精工株式会社 直動形ガイド装置
JPH062714A (ja) * 1992-06-19 1994-01-11 Takeuchi Seiko Kk 直線運動用ベアリング
JPH07158638A (ja) * 1993-07-20 1995-06-20 Thomson Ind Inc 線運動軸受組立体
JPH07208466A (ja) * 1994-01-24 1995-08-11 Thk Kk 直線案内装置
JPH07233815A (ja) * 1994-02-23 1995-09-05 Nippon Thompson Co Ltd ボールスプライン
JPH07317762A (ja) * 1994-05-20 1995-12-08 Thk Kk 転がり案内装置および転がり案内装置の移動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6305846B1 (en) * 1997-06-16 2001-10-23 Thk Co., Ltd. Linear motion guiding apparatus
JP3571911B2 (ja) * 1997-06-16 2004-09-29 Thk株式会社 直線運動案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8775B2 (ja) * 1981-08-06 1983-10-31 博 寺町 無限摺動用ボ−ルスプライン軸受
KR890002989B1 (ko) * 1984-04-28 1989-08-16 가부시끼 가이샤 쯔바끼모또 세이꼬오 튜우브식 직선 운동용 베어링
JPS61116120A (ja) * 1984-11-13 1986-06-03 Hiroshi Teramachi 直線運動ロ−ラ−ベアリング
DE8713433U1 (de) * 1986-10-16 1987-12-03 Deutsche Star Gmbh, 8720 Schweinfurt Linearlager
JPH02150508A (ja) * 1988-12-01 1990-06-08 Nippon Thompson Co Ltd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US5082374A (en) * 1989-11-09 1992-01-21 Koyo Seiko Co., Ltd. Linear guide device
US5005988A (en) * 1990-03-28 1991-04-09 Thomson Industries, Inc. Linear motion bearing
JP2527218Y2 (ja) * 1990-10-22 1997-02-26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DE4103672C2 (de) * 1991-02-07 1998-11-26 Schaeffler Waelzlager Ohg Käfig zur Führung der Wälzkörper eines Umlaufschuhs für eine Linearführung
JPH0742982B2 (ja) * 1991-04-02 1995-05-15 テイエチケー株式会社 フランジ付きリニアボールベアリング
US5672011A (en) * 1991-09-06 1997-09-30 Ina Walzlager Schaeffler Kg Rolling bearing for linear movements
DE19538665A1 (de) * 1995-10-17 1997-04-24 Star Gmbh Linearführungseinrichtung
JPH102332A (ja) * 1996-06-18 1998-01-06 Thk Kk 複列ボールチェインを備えた直線運動案内装置
JP3299455B2 (ja) * 1996-10-14 2002-07-08 テイエチケー株式会社 転がり運動案内装置の移動ブロック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6447A (en) * 1942-09-28 1943-08-10 Reuben T Enderson Pipe cutting gauge
JPH01176811A (ja) * 1987-12-31 1989-07-13 Hiihaisuto Seiko Kk 直動案内軸受
JPH03315A (ja) * 1989-01-25 1991-01-07 Marc Lecomte 精密リニアガイドブロック
EP0400200A2 (en) * 1989-05-30 1990-12-05 Andrew L. Pester Linear motion bearing
JPH04194413A (ja) * 1990-11-27 1992-07-14 Nippon Thompson Co Ltd 四条列無限直動案内ユニット
JPH04351316A (ja) * 1991-05-27 1992-12-07 T H K Kk 直線摺動用ベアリング
JPH0562733U (ja) * 1992-02-04 1993-08-20 光洋精工株式会社 直動形ガイド装置
JPH062714A (ja) * 1992-06-19 1994-01-11 Takeuchi Seiko Kk 直線運動用ベアリング
JPH07158638A (ja) * 1993-07-20 1995-06-20 Thomson Ind Inc 線運動軸受組立体
JPH07208466A (ja) * 1994-01-24 1995-08-11 Thk Kk 直線案内装置
JPH07233815A (ja) * 1994-02-23 1995-09-05 Nippon Thompson Co Ltd ボールスプライン
JPH07317762A (ja) * 1994-05-20 1995-12-08 Thk Kk 転がり案内装置および転がり案内装置の移動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6305846B1 (en) * 1997-06-16 2001-10-23 Thk Co., Ltd. Linear motion guiding apparatus
JP3571911B2 (ja) * 1997-06-16 2004-09-29 Thk株式会社 直線運動案内装置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실용신안 평05-06273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1-176811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3-00031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4-35131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7-15863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7-20846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7-23381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7-317762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65283B1 (fr) 2000-11-24
FR2765283A1 (fr) 1998-12-31
DE19826703B4 (de) 2007-08-30
JP3836380B2 (ja) 2006-10-25
KR20060106914A (ko) 2006-10-12
JP3571911B2 (ja) 2004-09-29
JP2002276656A (ja) 2002-09-25
KR19990007001A (ko) 1999-01-25
DE19826703A1 (de) 1999-01-21
ITRM980381A0 (it) 1998-06-12
IT1299512B1 (it) 2000-03-16
ITRM980381A1 (it) 1999-12-12
KR100789333B1 (ko) 2007-12-28
JPH1172119A (ja) 199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419B1 (ko) 직선운동안내장치
KR100758018B1 (ko) 직선운동 안내장치
KR100319446B1 (ko) 복렬 볼체인을 갖춘 직선운동 안내장치
US6729760B2 (en) Motion guide device
EP0743465B1 (en) Rolling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vable block of rolling guide apparatus
KR19990028961A (ko) 직선 로울러 안내장치
US5755516A (en) Rolling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vable block of rolling guide apparatus
WO1995027858A1 (en) Linear motion bearing
KR100902546B1 (ko) 리니어 모션 베어링 어셈블리
US6352367B1 (en) Spacer for liner motion apparatus and liner motion apparatus provided with spacer
US4616886A (en) Linear slide bearing and linear slide table unit employing the same
WO2013114475A1 (ja) リニアガイド装置
GB2119033A (en) Axially reciprocable and rotary thrust bearing assembly
US6045265A (en) Rolling motion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vable member of rolling motion guide apparatus
JP4447781B2 (ja) リニア転がり軸受け
US4799806A (en) Miniature linear guide apparatus
JPH0366531B2 (ko)
US6210039B1 (en) Linear motion guide unit and table guide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JP3263597B2 (ja) 直線ローラ案内装置
KR100574749B1 (ko) 리니어 모션 가이드
GB2326447A (en) Linear motion guiding apparatus
KR200374390Y1 (ko) 선형 슬라이딩 레일 순환 장치의 개선된 구조
JP4681209B2 (ja) リニア転がり軸受
CA2186624C (en) Linear motion bearing
GB2321937A (en) Recirculating ball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