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626B1 -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 Google Patents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626B1
KR100742626B1 KR1020050129591A KR20050129591A KR100742626B1 KR 100742626 B1 KR100742626 B1 KR 100742626B1 KR 1020050129591 A KR1020050129591 A KR 1020050129591A KR 20050129591 A KR20050129591 A KR 20050129591A KR 100742626 B1 KR100742626 B1 KR 100742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lit
outer blade
blade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748A (ko
Inventor
마코토 후쿠타니
타케시 시바
šœ스케 코모리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10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reciprocating cutting elements, e.g. a pair of toothed shearing elements combined with a pair of perforated cutting elements or a combined toothed and perforated cutting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Abstract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한 외부블레이드유닛을 가진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로서, 외부블레이드유닛은 메인블레이드, 슬릿블레이드 및 이 메인블레이드와 슬릿블레이드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홀딩하기 위한 외부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한다. 이 외부블레이드홀더에 슬릿블레이드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조는, 슬릿블레이드가 비스듬하게 오르내릴 때 외부블레이드홀더로부터 슬릿블레이드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블레이드유닛의 측방향으로 슬릿블레이드와 외부블레이드홀더를 맞물리기 위한 유지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유지구조는 슬릿블레이드상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오목부와 외부블레이드홀더상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출부이다.
전기면도기, 블레이드, 요철, 결합, 유지.

Description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RECIPROCATION TYPE ELECTRIC SHA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의 외부블레이드유닛(outside blade unit)의 형상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각각 상기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외부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의 일부 형상을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의 형상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각각 상기 외부블레이드유닛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외부블레이드유닛의 정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각각 상기 외부블레이드유닛의 외부블레이드홀더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외부블레이드유닛의 내벽 주위에서 상세한 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외부블레이드홀더로부터 슬릿블레이드(slit blade)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갈고리(hook) 및 갈고리홈(hooking groove)의 맞물림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갈고리홈을 가진 고정 부품의 상세한 형상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빗금으로 나타낸 상기 슬릿블레이드의 부양 상황을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12A는 빗금으로 나타낸 상기 슬릿블레이드의 부양 상태에서 상기 외부블레이드유닛의 단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2B는 빗금으로 나타낸 상기 슬릿블레이드의 부양 상태에서 상기 외부블레이드유닛의 다른 단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외부블레이드유닛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WO94/23913 또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9-253353호에 개시된,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의 외부블레이드유닛은 메인블레이드(main blade), 슬릿블레이드 및 이러한 블레이드들이 자유롭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장착되는 외부블레이드홀더(outside blade holder)로 구성되는 외부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한 종래의 전기면도기에서는, 슬릿블레이드의 각 단부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갈고리부품이 상기 외부블레이드홀더의 각 단부벽 상에 형성된 갈고리홈과 길이방향으로 맞물려서, 이 갈고리부품이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 갈고리부품은 길이방향으로만 갈고리홈과 맞물리므로, 상기 슬릿블레이드가 비스듬하게 부양하여 슬릿블레이드의 일단부가 다른 단부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슬릿블레이드는 길이방향으로 갈고리부품의 갈고리 크기 부족 때문에 상기 외부블레이드홀더로부터 맞물림이 풀리게 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이 외부블레이드홀더의 갈고리홈으로부터 슬릿블레이드의 갈고리부품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양 운동에서 슬릿블레이드의 변위를 줄일 필요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부양 운동에서 슬릿블레이드의 변위가 감소되므로, 피부의 요철면을 따라가는 특성이 나빠지게 되고, 그 결과 피부에의 접촉 느낌은 나빠지게 된다.
또한, 비록 비스듬하게 부양할 때 갈고리부품의 풀림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갈고리부품의 갈고리 크기가 커지더라도, 갈고리홈의 깊이를 더 깊게 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길이방향으로 외부블레이드홀더의 단부 벽들은 더 두꺼워지고, 외부블레이드홀더는 더 커지게 된다. 더욱이, 사람 피부와 접촉하는 외부블레이드홀더 표면의 면적이 증가하여, 피부에의 접촉 느낌은 더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전기면도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릿블레이드가 비스듬하게 부양할 때 슬릿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외부블레이드홀더로부터 풀리지 않아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부양 운동에서 슬릿블레이드의 변위가 증가되어서 피부에의 접촉 느낌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릿블레이드 및 외부블레이드홀더는 크기가 작아져서 피부를 따라가는 특성이 좋아질 수 있는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는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한 외부블레이드유닛을 가지고 있고,
상기 외부블레이드유닛은:
복수의 블레이드 구멍과 외부블레이드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외부블레이드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내부블레이드를 가진 외부블레이드로 구성된 메인블레이드;
실질적으로 빗 모양을 가진 정지블레이드와 정지블레이드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운동블레이드로 구성된 슬릿블레이드;
메인블레이드와 외부블레이드유닛의 높이방향으로 오르내릴 수 있는 슬릿블레이드를 홀딩(holding)하기 위한 외부블레이드홀더;
외부블레이드홀더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오르내릴 수 있는 슬릿블레이드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조; 및
슬릿블레이드가 비스듬하게 오르내릴 때 외부블레이드홀더로부터 슬릿블레이드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블레이드유닛의 측방향으로 외부블레이드홀더 상에 슬릿블레이드를 유지하기 위하여 결합구조 상에 형성된 유지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릿블레이드는 결합구조에 의해 측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유지구조에 의해 측방향으로도 외부블레이드홀더 상에 지지되어, 슬릿블레이드가 외부블레이드홀더 상에서 길이방향으로만 지지되는 종래의 전기면도기에 비하여, 외부블레이드홀더로부터 슬릿블레이드의 풀림은 슬릿블레이드가 비스듬하게 부양할 때조차도 더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전기면도기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부양 운동에서 슬릿블레이드의 변위는 커질 수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에 블레이드의 접촉 느낌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외부블레이드홀더로부터 슬릿블레이드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맞물림 구조의 갈고리 크기를 길게 할 필요가 없어서, 길이방향으로 슬릿블레이드와 외부블레이드홀더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그 결과, 슬릿블레이드와 외부블레이드홀더는 크기가 작아져서, 블레이드가 피부의 요철면을 따라가는 특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길이방향으로 슬릿블레이드와 외부블레이드홀더의 말단부는 피부에 거의 닿지 않아서, 블레이드가 피부의 요철면을 따라가는 특성이 훨씬 더 향상되고, 피부에의 접촉 느낌이 훨씬 좋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A 및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100)는 헤드유닛(head unit, 101)이 자유롭게 흔들릴 수 있게 본체(102)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헤드커버(head cover, 111), 외부블레이드홀더(8), 거친 면도를 위해 사용되는 슬릿블레이드(112) 및 이 슬릿블레이드(112)의 양측에 배치된 두 메인블레이드(113)로 이루어지는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은 헤드유닛(10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1은 이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의 구성을 보여준다. 각 메인블레이드(113)는 내부블레이드홀더(10)와 박편 모양을 갖고 이 내부블레이드홀더(10)에 부착되는 외부블레이드(9)로 이루어진다. 내부블레이드홀더(10)는,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내측면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18)와 맞물리도록 그 측면에서 돌출하는 맞물림 돌출부(13)와,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내부 말단면상의 가이드홈(25)과 맞물리도록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의 길이방향으로 양 말단면에서 돌출된 가이드돌출부(24)를 가지고 있다. 내부블레이드홀더(10) 각각은 외부블레이드홀더(8) 형태 안에 끼워져서, 내부블레이드홀더(10) 각각은 내부블레이드홀더(10)의 가이드돌출부(24)와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가이드홈(25) 사이의 틈에서 외부블레이드홀더(8)에 대하여 오르내릴 수 있다.
도 1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블레이드(112)는 실질적으로 빗 모양이고 정지블레이드(1)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왕복운동하는 운동블레이드(2)를 가지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블레이드(113)는 다수의 블레이드 구멍을 가진 외부블레이드(9)와 이 외부블레이드(9)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왕복운동하는 내부블레이드(11)로 이루어진다. 이 슬릿블레이드(112)와 메인블레이드(113)는 각각 외부블레이드홀더(8) 상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지지된다. 또한, 이 슬릿블레이드(112)와 메인블레이드(113)는 각각 모터(14)의 구동력에 의해 왕복 운동으로 구동된다. 슬릿블레이드(112)는 부양스프링(6, 7)의 상향 압력에 의해 지지된다.
도 1, 3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5)는 정지블레이드(1) 아래에 배치되고, 슬릿블레이드조인트(slit blade joints; 3, 4)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지지부재(5)의 양측에 배치된다. 각각의 지지부재(5)와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는 그 양면상에 형성된 열밀봉보스(heat seal bosses, 33)를 가지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각각의 정지블레이드(1)와 운동블레이드(2)는 그 양면에 형성된 여러 쌍의 고리(34)를 가지고 있다.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의 열밀봉보스(33)는 녹아서, 정지블레이드(1)는 정지블레이드(1)의 고리(34)가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의 열밀봉보스(33)와 맞물리는 조건 하에,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에 고정된다. 유사하게, 지지부재(5)의 열밀봉보스(33)는 녹아서, 운동블레이드(2)는 운동블레이드(2)의 고리가 지지부재(5)의 열밀봉보스(33)와 맞물리는 조건에서 지지블레이드(2)에 고정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는 바닥면(41)에서 위로 돌출하게 형성된 제1스프링지지보스(50)와 천정면(42)에서 아래로 돌출하게 형성된 제2스프링지지보스(37)를 가지고 있다. 유사하게, 제3스프링지지보스(51)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부재(5)의 양단부에서 아래로 돌출하게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갈고리돌출부(40)는 지지부재(5)의 양측면상의 반대-구석 위치에 형성되고, 갈고리구멍(15)은 갈고리돌출부(40)에 대응하여 운동블레이드(2)의 양측면상에 형성된다. 각 부양스프링(6)은 각각의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의 제1스프링지지보스(50)와 지지부재(5)의 제3스프링지지보스(51) 사이에서 지지된다. 그럼으로써, 지지부재(5)와 운동블레이드(2)의 일체화된 몸체는 부양스프링(6)의 압력에 의해 정지블레이드(1) 쪽으로 눌러지고, 정지블레이드(1)와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 사이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된다.
도 1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는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내면에 대면하면서 단부에서 아래로 돌출된 갈고리부품(19)을 가지고 있다. 밖으로 돌출된 갈고리부품(19)의 외면상에는 돌출부(22)가 더 형성된다. 도 9는 갈고리부품(19)이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내면상에 형성된 갈고리홈(16)과 맞물린 상태를 보여준다. 돌출부(22)가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내면(8a)과 접촉하거나 이쪽으로 접근할 때, 화살표 E로 표시한 길이방향으로 갈고리부품(19)의 덜걱거림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화살표 F로 표시한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의 측방향으로 돌출부(22)에 대응하는 갈고리부품(19)의 각각의 측면(19c)은 갈고리홈(16)의 측벽(16a)과 접촉하거나 이에 접근할 때, 측방향으로 갈고리부품(19)의 덜걱거림을 방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한 쌍의 제4스프링지지보스(31)는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의 제2스프링지지보스(37)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바닥면에서 위로 돌출하게 형성된다. 각각의 부양스프링(7)은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 각각의 제2스프링지지보스(37)와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제4스프링지지보스(31) 사이에서 지지된다. 그럼으로써, 정지블레이드(1),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 운동블레이드(2), 지지부재(6) 및 부양스프링(6)의 일체화된 몸체인 슬릿블레이드(112)는 부양스프링(7)의 압력에 의해 위로 눌러져서, 이 슬릿블레이드(112)는 외부블레이드홀더(8) 상에서 오르내릴 수 있게 지지된다. 게다가, 제4스프링지지보스(31)의 부근에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바닥면상에는 한 쌍의 구멍(32)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면도된 조각 들이 떨어진다. 그럼으로써, 면도된 조각들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슬릿블레이드(112)는 부드럽게 부양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5A 내지 5C, 및 7A 내지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양측면상에 한 쌍의 작동버튼(12)이 제공되고, 이는 착탈 구조의 부품으로 작용하고 외부블레이드유닛(110)에서 외부블레이드홀더(8)를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블레이드홀더(8)는 또한 그 정면 및 배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탄성 프레임(23)을 가지고 있고, 이는 화살표 E로 표시된 길이방향으로 및 화살표 F로 표시된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 탄성 프레임(23)은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에서 작동버튼(12)을 밈으로써 변형되어, 외부블레이드홀더(8)는 외부블레이드유닛(110)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블레이드홀더(8)상에 슬릿블레이드(112)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조(120)는, 각각의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에 형성된 갈고리부품(19)과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내면(8a)상에 형성된 갈고리홈(16)으로 구성된다. 도 8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홈(16)을 이루는 한 쌍의 측벽(16a)은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내면(8a)에서 안으로 돌출하게 형성된다. 한 쌍의 끼움돌출부(17)는 또한 측벽(16a)의 안쪽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여 화살표 F로 표시한 측방향으로 돌출하게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 끼움돌출부(17)에 끼워지는 한 쌍의 끼움오목부(20)는 또한, 갈고리부품(19)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공되는 양 결합구조(120)는 같은 구성을 가고 있고, 측방향으로 슬릿블레이드(112)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다.
외부블레이드홀더(8)상에 형성된 끼움돌출부(17)와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상에 형성된 끼움오목부(20)는, 슬릿블레이드(112)가 오르내릴 때, 특히 비스듬하게 부양할 때, 외부블레이드홀더(8)로부터 슬릿블레이드(112)의 풀림을 방지하는 유지구조(130)로서 역할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오목부(20)는 도 9에서 화살표 F로 표시한 측방향으로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의 갈고리부품(19)의 양면의 상반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각 끼움오목부(20)는 측방향에서 볼 때, 세로가 더 긴 직사각형 모양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끼움돌출부(17)는 갈고리홈(16)의 측벽(16a)의 상단상에 형성된다. 끼움오목부(20)의 크기는 화살표 G로 표시한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의 높이 방향으로 끼움돌출부(17)의 치수보다 조금 더 커서, 슬릿블레이드(112)가 끼움오목부(20)와 끼움돌출부(17)의 치수의 차이에 의하여 외부블레이드홀더(8)에 대하여 오르내릴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돌출부(17)는 화살표 F로 나타낸 측방향으로 끼움오목부(20)에 끼워져서, 슬릿블레이드(112)가 비스듬하게 부양할 때조차도 갈고리홈(16)에서 갈고리부품(19)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릿블레이드(112)가 비스듬하게 부양되는 상태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서, 일점쇄선 N은 슬릿블레이드(112)가 부양되지 않았을 때의 참조선을 나타내고, 이는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상부 모서리에 평행하다. 슬릿블레이드(112)가 그 한 단부 부근의 위치에서만 사람 피부와 접촉할 때, 슬릿블레이드(112)의 단부는 다른 단부로부터 아래로 내려간다. 끼움오목부(20)가 측벽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끼움돌출부(17)의 측면들은 슬릿블레이드(112)가 비스듬하게 부양될 때 끼움오목부(20)의 측벽과 접촉한다. 따라서, 외부블레이드홀더(8)에서 슬릿블레이드(112)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살표 E로 표시된 길이방향으로 외부블레이드홀더(8)에서 슬릿블레이드(112)의 풀림은,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의 갈고리부품(19)을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갈고리홈(16)에 걸어줌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화살표 F로 표시된 측방향으로 외부블레이드홀더(8)에서 슬릿블레이드(112)의 풀림은, 갈고리홈(16)의 측벽(16a)상에 형성된 끼움돌출부(17)를 갈고리부품(19)상에 형성된 끼움오목부(20)에 끼움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끼움돌출부(17)와 끼움오목부(20)는 외부블레이드홀더(8)에서 슬릿블레이드(112)가 화살표 G로 표시된 높이방향으로 위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구조로서 역할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블레이드(112)는 슬릿블레이드(112)가 비스듬하게 부양할 때조차도 외부블레이드홀더(8)에서 거의 풀리지 않아서, 높이방향으로 슬릿블레이드의 변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피부에의 접촉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갈고리부품(19)의 갈고리 크기가 짧아질 수 있어서, 슬릿블레이드(112) 및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길이도 짧아질 수 있다. 그 결과, 슬릿블레이드(112) 및 외부블레이드홀더(8)는 크기가 작아져서, 블레이드가 피부의 요철면을 따라가는 특성이 향상되고, 피부에의 접촉 느낌이 더 좋아진다. 더욱이, 길이방향으로 슬릿블레이드(112) 및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말단부는 피부에 거의 닿지 않아서, 블레이드가 피부의 요철면을 따라가는 특성이 훨씬 더 향상되고, 피부에의 접촉 느낌이 훨씬 좋아진다.
도 9 및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오목부(20)의 측벽들(19a 및 19b)는 화살표 F로 표시된 측방향으로 돌출하게 형성되고, 다시 말해서 측방향으로 갈고리부품(19)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더 두꺼워서, 갈고리부품(19)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된다. 그 결과, 슬릿블레이드(112) 전체의 강도가 보장되어, 전기면도기(100)가 떨어졌을 때조차도 슬릿블레이드(112)에의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면도하는 동안 화살표 F로 표시된 측방향으로 전체적인 슬릿블레이드(112)의 휨은 갈고리부품(19)의 강도 증가에 의하여 더 제한되므로, 슬릿블레이드(112)는 더 부드럽게 부양될 수 있고, 슬릿블레이드(112)와 메인블레이드(113) 사이의 틈은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블레이드가 피부를 깊이 베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작동버튼(12)이 손가락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안으로 눌러지면, 외부블레이드홀더(8)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서, 헤드커버(111)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슬릿블레이드(112)와 메인블레이드(113)는 쉽게 씻고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전기면도기가 떨어져서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은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탄성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탄성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양면에서 면도된 조각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각 갈고리홈(16)상에는 두 끼움돌출부(17)가 형성되므로, 이 갈고리홈(16)으로부터 갈고리부품(19)의 풀림은 길이방향 및 측방향으로 둘다에서 끼움돌출부(17)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외부블레이드홀더(8)로부터 슬릿블레이드(112)의 풀림을 방지하는 효과는 훨씬 더 커질 수 있다. 더욱이, 슬릿블레이드(112)가 외부블레이드홀더(8)에 부착될 때, 끼움돌출부(17)는 길이방향으로 슬릿블레이드(112)의 양 측면에 배치된 슬릿블레이드조인트(3, 4)의 갈고리부품(19)의 위치조정 가이드로서 역할하여서, 이 갈고리부품(19)은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양 측면상의 갈고리홈(16) 속으로 평행하게 삽입된다. 그 결과, 갈고리부품(19) 및/또는 갈고리홈(16)의 양 측벽(16a)의 변형은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슬릿블레이드(112)가 외부블레이드홀더(8)에 부착될 때 외부블레이드홀더(8)에 대한 슬릿블레이드(112)의 기울기는 감소될 수 있어서, 부양스프링(7)은 슬릿블레이드(112)와 외부블레이드홀더(8) 사이에 쉽게 그리고 동시에 부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면도기의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의 조립 작업성이 좋아질 수 있다.
도 12A 및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블레이드(113)의 외부블레이드(9)를 잡는 내부블레이드홀더(10)가 갈고리홈(16)의 양 측벽(16a)에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럼으로써, 슬릿블레이드(112)의 부양 운동 때문에 갈고리홈(16)의 양 측벽(16a)의 탄성 변형은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슬릿블레이드(112)의 덜걱거림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면도시에 슬릿블레이드(112)가 부양되는 동안 측방향으로 갈고리홈(16)의 측벽(16a)에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때조차도, 크리프(creep) 때문에 갈고리홈(16)을 포함하는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결합구조의 변형은 방지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외부블레이드홀더(8)로부터 슬릿블레이드(112)의 풀림은 더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슬릿블레이드(112)와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갈고리면, 예를 들어, 갈고리부품(19)의 하부 모서리에는 편평하게 또는 둥글게 모따기를 형성할 수 있 다. 그럼으로써, 이 모따기는 슬릿블레이드(112)가 외부블레이드홀더(8)에 부착될 때, 갈고리홈(16)에 대하여 갈고리부품(19)의 변위를 감소시키는 가이드로서 역할한다. 그 결과, 전기면도기의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의 조립 작업성이 좋아질 수 있다. 더욱이,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이 조립되는 동안,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슬릿블레이드(112)와 두 메인블레이드(113)를 가진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은 예로서 설명된 것이다. 슬릿블레이드(112)와 메인블레이드(113)의 수는 상기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슬릿블레이드(112)와 하나의 메인블레이드(113)를 가지고 있는 외부블레이드유닛(11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2004.12.28.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4-381386호에 기초한 것이고, 이 내용은 여기서 참조로 통합된다.
본 출원은 수반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서 충분히 설명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과 수정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그들도 여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면도기에 의하면, 슬릿블레이드는 비스듬하게 부양할 때 슬릿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외부블레이드홀더로부터 풀리지 않아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부양 운동에서 슬릿블레이드의 변위가 증가되어서 피부에의 접촉 느낌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릿블레이드 및 외부블레이드홀더는 크기가 작아져서 피부를 따라가는 특성이 좋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본체(102)로부터 착탈가능한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을 가진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은:
    복수의 블레이드 구멍을 가진 외부블레이드(9)와 이 외부블레이드(9)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외부블레이드유닛의 길이방향(E)으로 왕복운동하는 내부블레이드(11)로 구성된 메인블레이드(113);
    실질적으로 빗 모양을 가진 정지블레이드(1)와 상기 정지블레이드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길이방향(E)으로 왕복운동하는 운동블레이드(2)로 구성된 슬릿블레이드(112);
    상기 메인블레이드와 상기 외부블레이드유닛의 높이방향(G)으로 오르내릴 수 있는 슬릿블레이드를 홀딩(holding)하기 위한 외부블레이드홀더(8);
    상기 외부블레이드홀더(8) 상에서 길이방향(E)으로 오르내릴 수 있는 슬릿블레이드(112)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조(120); 및
    상기 슬릿블레이드(112)가 비스듬하게 오르내릴 때 상기 외부블레이드홀더(8)로부터 슬릿블레이드(112)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블레이드유닛의 측방향(F)으로 외부블레이드홀더 상에 슬릿블레이드(112)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구조(120) 상에 형성된 유지구조(130)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구조(130)는, 슬릿블레이드(112) 상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오목부(20)와, 갈고리홈(16)의 측벽들의 안쪽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여 측방향(F)으로 돌출하도록 외부블레이드홀더(8) 상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출부(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블레이드유닛(110)은 외부블레이드홀더(8)를 외부블레이드유닛(110)에 붙이고, 외부블레이드홀더를 탄성적으로 변형함으로써 외부블레이드유닛에서 떼어내는 착탈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조(120)는, 길이방향(E)으로 상기 외부블레이드홀더(8)의 각 내면 상에 형성된 갈고리홈(16)과, 길이방향(E)으로 상기 슬릿블레이드(112)의 각 측면 상에 형성되고 높이방향(G)으로 상기 갈고리홈(16)과 맞물리는 갈고리부품(19)으로 구성되고,
    상기 끼움돌출부(17)에 끼우는 상기 끼움오목부(20)는, 상기 갈고리부품(19)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5. 제1항에 있어서,
    위로 부양시키기 위해 상기 슬릿블레이드(112)에 압력을 가하는 부양스프링(7)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블레이드홀더(8) 상에는 한 쌍의 스프링 지지 보스(spring support boss, 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113)의 외부블레이드(9)는 내부블레이드홀더(10) 상에 수용되고,
    상기 내부블레이드(11)를 구비한 내부블레이드홀더(10)가 외부블레이드홀더(8)에 들어 있고 상기 갈고리홈(16)의 양 측벽에 접촉되어 있어서, 상기 슬릿블레이드(112)의 그 부양 운동에서 덜걱거림은 내부블레이드홀더(10)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블레이드홀더(8)에 대하여 상기 슬릿블레이드(112)의 덜걱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릿블레이드(112) 상에는 돌출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 보스들(31)의 부근에서 상기 외부블레이드홀더(8) 상에 한 쌍의 구멍(32)이 형성되어서, 이를 통해 면도된 조각들이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KR1020050129591A 2004-12-28 2005-12-26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KR100742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81386A JP4725103B2 (ja) 2004-12-28 2004-12-28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JP-P-2004-00381386 2004-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748A KR20060079748A (ko) 2006-07-06
KR100742626B1 true KR100742626B1 (ko) 2007-07-25

Family

ID=3614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591A KR100742626B1 (ko) 2004-12-28 2005-12-26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64471B2 (ko)
EP (1) EP1676680B1 (ko)
JP (1) JP4725103B2 (ko)
KR (1) KR100742626B1 (ko)
CN (2) CN2866031Y (ko)
AT (1) ATE467491T1 (ko)
DE (1) DE60200502119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5103B2 (ja) 2004-12-28 2011-07-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GB2425277B (en) * 2005-02-11 2009-12-02 Gillette Co Electric razor assembly
JP4229091B2 (ja) * 2005-05-31 2009-02-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体毛処理器具
JP4604846B2 (ja) * 2005-05-31 2011-01-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体毛処理器具
JP4715425B2 (ja) * 2005-09-27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KR200409341Y1 (ko) * 2005-12-02 2006-02-22 오태준 헤드무빙 전기면도기
JP4127290B2 (ja) * 2006-04-25 2008-07-30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用の内刃及び往復式電気かみそり
DE102006034050A1 (de) * 2006-07-20 2008-01-24 Braun Gmbh Elektrischer Rasierapparat
JP4225329B2 (ja) * 2006-07-21 2009-02-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969946B2 (ja) * 2006-08-11 2012-07-04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4969947B2 (ja) 2006-08-11 2012-07-04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4912074B2 (ja) * 2006-08-11 2012-04-04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ロック装置
JP2008093284A (ja) * 2006-10-13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動式電気カミソリの外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95968B2 (ja) * 2007-07-12 2010-1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内刃
JP4595967B2 (ja) * 2007-07-12 2010-1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刃
JP4840450B2 (ja) * 2009-01-16 2011-12-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KR101701710B1 (ko) * 2009-05-28 2017-02-03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선회 장치
JPWO2011037126A1 (ja) * 2009-09-25 2013-0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EP2425938B1 (en) * 2010-09-03 2014-02-26 Braun GmbH Shaving head with multiple shaving units
JP5603198B2 (ja) * 2010-10-14 2014-10-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CN102689318B (zh) * 2012-06-14 2014-11-26 浙江海顺电工有限公司 一种剃须刀及其往复式“t”字型刀头装置
US20150314461A1 (en) * 2014-05-02 2015-11-05 Raymond Industrial Ltd. Hybrid Shaving System
US9713877B2 (en) 2014-11-12 2017-07-25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with drag reduction
USD779123S1 (en) 2014-11-12 2017-02-14 Medline Industries, Inc. Clipper head
JP6471984B2 (ja) * 2016-06-16 2019-02-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当該電気かみそりで用いられる外刃
EP3300856B1 (en) 2016-09-28 2021-06-02 Braun GmbH Beard trimmer
EP3300857A1 (en) 2016-09-28 2018-04-04 Braun GmbH Beard trimmer
EP3300847B1 (en) * 2016-09-28 2019-10-30 Braun GmbH Beard trimmer
CN107650162A (zh) * 2017-06-15 2018-02-02 东莞市润佳电器科技有限公司 新型多功能剃须刀
USD952946S1 (en) 2017-09-01 2022-05-24 Church & Dwight Co., Inc. Hair removal device
USD925830S1 (en) 2019-07-19 2021-07-20 Church & Dwight Co., Inc. Head assembly for hair removal apparatus
USD914977S1 (en) 2019-07-19 2021-03-30 Church & Dwight Co., Inc. Handle for hair removal apparatus
CN112549090B (zh) * 2019-09-26 2024-03-19 麦克赛尔泉株式会社 往复式电动剃刀
USD914978S1 (en) 2019-10-18 2021-03-30 Church & Dwight Co., Inc. Hair removal apparatus
USD936899S1 (en) 2019-10-18 2021-11-23 Church & Dwight Co., Inc. Hair removal apparatus
USD940958S1 (en) 2019-11-18 2022-01-11 Church & Dwight Co., Inc. Articulating blade assembly for hair removal device
USD942687S1 (en) 2019-11-18 2022-02-01 Church & Dwight Co., Inc. Articulating blade assembly for hair removal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154A (en) * 1992-04-23 1996-09-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ciprocatory dry shav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310A (en) * 1881-02-01 Foed l
JP2686017B2 (ja) * 1992-04-23 1997-12-08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DE4312060C1 (de) 1993-04-13 1994-06-01 Braun Ag Scherkopf für einen Trockenrasierapparat
JPH0919571A (ja) * 1995-07-07 1997-01-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3739476B2 (ja) 1996-03-19 2006-01-25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往復式電気かみそり
DE19781664T1 (de) * 1996-03-26 1999-05-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ktrischer Rasierer mit Schwingkopf
JP3814965B2 (ja) * 1997-07-28 2006-08-30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3747620B2 (ja) * 1998-03-26 2006-02-22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3721783B2 (ja) * 1998-05-26 2005-11-30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WO2003022535A1 (fr) * 2001-09-10 2003-03-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rodede de fabrication de lame interieure de rasoir electrique
JP3979052B2 (ja) 2001-09-25 2007-09-19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4273786B2 (ja) * 2003-02-25 2009-06-0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725103B2 (ja) * 2004-12-28 2011-07-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4127290B2 (ja) * 2006-04-25 2008-07-30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用の内刃及び往復式電気かみそ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154A (en) * 1992-04-23 1996-09-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ciprocatory dry sha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6680A2 (en) 2006-07-05
KR20060079748A (ko) 2006-07-06
EP1676680A3 (en) 2006-08-16
ATE467491T1 (de) 2010-05-15
CN1807034A (zh) 2006-07-26
US20060137187A1 (en) 2006-06-29
CN2866031Y (zh) 2007-02-07
JP2006181289A (ja) 2006-07-13
EP1676680B1 (en) 2010-05-12
DE602005021195D1 (de) 2010-06-24
US7464471B2 (en) 2008-12-16
CN100410033C (zh) 2008-08-13
JP4725103B2 (ja)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626B1 (ko)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EP0894581B1 (en) Reciprocating electric shaver
US5189792A (en) Reciprocatory electric shaver
KR100635590B1 (ko) 전기 면도기
JP4711330B2 (ja) 電気かみそり
KR100894759B1 (ko) 전기면도기
JP4420379B2 (ja) 電気かみそり
JP4507167B2 (ja) 電気かみそり
JP4863271B2 (ja) 電気かみそり
JP4650871B2 (ja) 電気かみそり
JP2567081Y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H05115626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4378913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2005052556A (ja) 電気かみそり
JP2823319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2563184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H0542262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S6036224Y2 (ja) 電気かみそりの内刃取付装置
JPH06182062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3157868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外刃ブロック
JPH01136685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H1033851A (ja) 電気かみそり
JPH0426875B2 (ko)
JPH08323063A (ja) 電気かみそり
JPH01136684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