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993B1 -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993B1
KR100738993B1 KR1020050104590A KR20050104590A KR100738993B1 KR 100738993 B1 KR100738993 B1 KR 100738993B1 KR 1020050104590 A KR1020050104590 A KR 1020050104590A KR 20050104590 A KR20050104590 A KR 20050104590A KR 100738993 B1 KR100738993 B1 KR 100738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eight
freight vehicle
g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654A (ko
Inventor
최천우
Original Assignee
미래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9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관리부를 통합하는 통합관리 서버를 갖추어, 상기 복수의 관리부의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함으로써, 물류 터미널에 입출차하는 정기차량 및 일반차량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보관할 수 있고, 특히, 화물 차량의 중량 측정을 통해 정확한 물동량을 집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은, 물류 터미널 게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는 화물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상기 화물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하는 복수의 게이트부; 상기 복수의 게이트부에서 전송받은 화물 차량의 번호 및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를 기초로 하여 화물 차량의 중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상기 화물 차량의 입차 및 출차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관리부에서 상기 화물 차량의 정보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저장하는 중앙관리부를 포함한다.
물류 터미널, 통합관리서버, 자동 계근기, 영상 생성기

Description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Automation System of Physical Distribution and Autom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의 구조도.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구체적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터미널의 입차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터미널의 출차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게이트부 110:자동 계근기
120: 차량 인식기 130:정기권 리더기
200: 관리부 210:계근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
220: 차량 데이터베이스 서버 230: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
240: 영상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 300: 중앙 관리부
310: 통합관리 서버 400: 영상 생성기
본 발명은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관리부를 통합하는 통합관리 서버를 갖추어, 상기 복수의 관리부의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함으로써, 물류 터미널에 입출차하는 정기차량 및 일반차량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보관할 수 있고, 특히, 화물 차량의 중량 측정을 통해 정확한 물동량을 집계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화물 차량을 이용하여 화물을 반입 및 반출시키는 경우에 화물의 중량을 계근하고, 그 화물 중량에 따른 비용 또는 운송비 등을 산출 및 그에 따른 관리를 하고 있다.
종래의 계근 관리는, 화물차 스케일러(화물차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 검출장치) 위로 화물차를 진입시켜 화물차의 중량을 검출하되, 공차시와 실차시의 중량을 각기 검출하고, 이를 수동으로 계산하여 실제 화물의 중량을 구하고, 그 실제 중량에 따른 계근 증명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수동관리이기 때문에 일일이 관리자가 차량별, 회사별, 품목별로 구분하고, 화물의 중량을 수동 계산하여 계량전표를 발급하기 때문에 통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단점 및 관리 요원이 항상 바쁘게 처리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도 수동관리에 따른 불편함은 해소시키고자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입력시키고, 중량을 입력시키면 자동으로 전산관리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계근 시스템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단순히 계근 관리 프로그램만을 이용한 것으로서, 이 또한 관리자가 필요한 데이터(차량번호, 공차 및 실차 중량)를 수동으로 입력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착오에 의해 차량 번호를 잘못 입력시키거나, 중량의 수치 등을 잘못 입력시키게 되면, 중대한 에러가 발생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류터미널 게이트에서 화물 차량의 중량을 계근할 수 있는 자동 계근기를 제공하여, 화물 차량의 중량을 자동 계근하고, 차량 번호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물동량 파악이 가능한 물류 터미널 자동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입차 및 출차의 자동 안내와 감시 영상을 저장하는 등의 작업을 실행하여 편리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물류 터미널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은,
물류 터미널 게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는 화물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상기 화물 차량의 입차 및 출차 를 제어하는 복수의 게이트부;
상기 복수의 게이트부에서 전송받은 화물 차량의 번호 및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를 기초로 하여 화물 차량의 중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상기 화물 차량의 입차 및 출차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관리부에서 상기 화물 차량의 정보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저장하는 중앙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물류 터미널 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류 터미널 내 주차시설 이용현황을 감시하고, 화물 차량이 주차된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영상 생성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생성기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을 전송받아, 화물 차량을 감시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영상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부는, 화물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자동 계근기; 상기 화물 차량의 차번을 인식하고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하는 차량 인식기; 상기 화물 차량이 정기적으로 출입하는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정기권 리더기; 및 상기 출입차량의 정보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도록 게이트 출입 차선에 설치된 안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자동 계근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화물 차량의 중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계근 관리 데이터 베이스 서버; 상기 차량 인 식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여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 베이스 서버; 및 물류 터미널 내에 출입하는 화물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담당하는 주차관리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상기 자동 계근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화물 차량의 중량을 전송받아, 상기 차량 인식부에서 인식한 차량 번호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관리부에서 전송받은 상기 화물 차량의 정보를 통합하여, 물류 터미널에 출입하는 화물 차량의 주차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물류터미널 내의 물동량을 통제 및 예측하는 통합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물류 터미널 자동화 방법은, 물류 터미널 게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는 화물 차량의 중량을 자동 계근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 및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동 계근기를 통해 측정한 화물 차량의 중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단계;
상기 화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정기권의 소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화물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화물 차량의 물류 터미널 게이트 출입 및 물류 터미널 내 주차 현황을 감시하는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 차량의 정보를 복수의 관리부에서 전송받아 통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기권의 소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화물 차량의 운전자가 정기권을 소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와 입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록한 주차권을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차권을 발행한 후, 생성된 화물 차량의 번호 및 정보를 차량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물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게이트 입구에 미리 매설된 자동계근기를 이용하여 화물 차량이 게이트에 진입함과 동시에 중량을 측정하여 계근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물 차량의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물류 터미널 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류 터미널 내 주차시설 이용현황을 감시하는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영상 생성기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영상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된 수 있으면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게이트부(100), 관리부(200) 및 중앙관리부(30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게이트부(100)는, 화물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자동 계근기(110), 상기 화물 차량의 차번을 인식하고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하는 차량 인식기(120), 상기 화물 차량이 정기적으로 출입하는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정기권 리더기(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입차량의 정보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도록 게이트 출입 차선에 설치된 안내표시부(도시안됨)를 포함한다.
다음, 상기 관리부(200)는, 상기 자동 계근기(11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화물 차량의 중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계근 관리 데이터 베이스 서버(210), 상기 차량 인식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여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 베이스 서버(220) 및 물류 터미널 내에 출입하는 화물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담당하는 주차관리 데이터 베이스 서버(23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데이터 베이스 서버(220)는, 상기 자동 계근기(110)를 이용하여 측정한 화물 차량의 중량을 전송받아, 상기 차량 인식부(120)에서 인식한 차량 번호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다음, 상기 중앙관리부(300)는, 상기 복수의 관리부(200)에서 전송받은 상기 화물 차량의 정보를 통합하여, 물류 터미널에 출입하는 화물 차량의 주차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물류터미널 내의 물동량을 통제하는 통합관리 서버(310)를 포함한 다. 상기 통합관리 서버(310)에 집계된 데이터는 향후 물류 터미널의 운영계획를 수립하는데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은, 물류터미널 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류 터미널 내 주차시설 이용현황을 감시하고, 화물 차량이 주차된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영상 생성기(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 생성기(400)는 물류터미널의 주차장 뿐만 아니라 게이트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입차 및 출차 상황을 감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생성기(400)를 설치함으로써, 물류 터미널 내에 무단 방치된 차량을 파악할 수 있고, 차량의 도난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안전관리에도 도움이 되며, 주차시설에 대한 실 이용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불법 주차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생성기(400)로는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Digital Video Recoder) 및 CCTV 등의 영상물 촬영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생성기(400)에 의하여 생성된, 화물 차량을 감시한 영상은 데이터베이스화되여 영상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240)에 저장된다.
다음, 상기 게이트부(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도 1의 게이트부(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자동 계근기(110)의 구조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계근기(110)는, 물류 터미널 게이트의 입구에서 전방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바닥에 매설된 루프코일(111)을 이용하여 화물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고, 축하중 검출판(112)을 이용하여 화물 차량의 실제 중량을 측정한다. 상기 화물 차량의 중량을 자동계근기(110)의 주제어기(113)가 저장하고, 상기 주제어기(113)에서 관리부(200)의 계근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210)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다시 상기 계근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210)에서 통합관리 서버(31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 도 2b는 도 1의 게이트부(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차량인식기(120)의 구조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인식기(120)는 차량인식카메라(121)와 차번인식기(122)를 이용하여,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의 차번을 읽어들여서 차량 데이터베이스 서버(220) 및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230)에 차량 번호 및 정보를 전송한다. 다음, 차량 인식기(120)는 차번 표시기(123)를 이용하여 상기 물류 터미널의 게이트에서 입출입 차량의 정보를 안내하고, 자동 차단기(124)의 개폐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 서버(220) 및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230)는 차량인식기(120)에서 전송받은 차량 번호 및 정보를 다시 통합관리 서버(3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230)에 전송된 차량 번호 및 정보는 상기 주차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230)가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정기권리더기(130)는 화물 차량의 운전자가 정기권을 소지하고 있으면, 논스톱(non-stop)으로 입차 및 출차를 가능하게 하여, 게이트에서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화물 차량의 운전자가 정기권을 사용함으로써, 물류 터미널의 출입 차량의 보안 유지가 가능하고, 화물 차량의 운전자에게 물류 터미널 게이트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화물 차량의 운전자가 정기권을 소지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와 입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록한 주차권을 발행하고, 상기 주차권을 발행한 후, 생성된 화물 차량의 번호 및 정보를 차량 데이터베이스 서버(220)에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은, 자동 계근기(110)를 이용하여 측정한 화물 차량의 중량을, 차량 인식부(120)에서 인식한 차량 번호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므로, 입출차 차량과 화물의 물동량의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 인식기(120) 및 정기권 리더기(130)를 통해, 게이트에서의 입출입 시간을 단축하여, 단위시간당 최대의 입출차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에서의 혼잡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터미널 자동화 방법을, 화물 차량의 입차시를 예를 들어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화물 터미널 입구에 차량이 진입(s100)하면, 게이트 바닥에 매설된 루프코일(111)과 축하중 검출판(112)을 이용하여, 화물 차량의 중량을 자동 계근(s110)한다. 이때, 측정한 화물 차량의 중량은 계근 관리데이터 베이스서버(210)에 전송되고, 다시, 차량 데이터베이스 서버(220) 및 통합 관리 서버(310)에 전송된다.
다음, 상기 화물 차량의 운전자가 정기권 카드를 소지하였는지(s120)를 판단 하여, 정기권 카드를 소지하였으면, 정기권 고유 ID를 전송하여 조회(s130)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한다. 만약, 정기권 카드를 소지하지 않았다면,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와 입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록한 주차권을 발행(s140)하고, 상기 차량의 정보를 저장(s150)한다.
다음, 차량인식기(120)의 차번표시기(123)에 차량 및 차번을 표시하여 안내(s160)하면, 자동 차단기(124)가 오픈(s170)되어, 주차(s180)가 가능하다.
그리고, 영상생성기(400)는 물류터미널에 상기 과정을 따라서 입차하는 화물 차량의 입차에서 출차까지 이동 상황을 촬영하여, 영상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240)에 보내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터미널 자동화 방법을, 화물 차량이 출차시를 예를 들어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물류 터미널 게이트 출구에 화물 차량이 진입(s200)하여,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요금 계산기(도시안됨)에 정기건 카드 또는 주차권을 삽입하여, 요금을 정산(s210)하고, 입차 및 출차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 정보를 보관(s220)한다. 이때, 출차하려는 차량의 번호 및 주차 요금 정산 등에 관한 데이터가 주차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203)에 전송되고, 계근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210) 및 통합 관리 서버(310)에 전송된다.
다음, 차량인식기(120)의 차번표시기(123)에 정산된 요금 표시 및 차번을 안내(s230)하면, 자동 차단기(124)가 오픈(s240)된다.
그 다음으로, 다시 물류 터미널 게이트 바닥에 매설된 루프코일(111)과 축하중 검출판(112)을 이용하여, 화물 차량의 중량을 자동 계근(s250)한 후, 출차(s260)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정된 화물 차량의 중량은 계근관리데이터 베이스서버(210)에 전송되어, 통합 관리 서버(310)에 전송된다.
본 발명의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자동 계근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화물 차량의 중량을, 차량 인식부에서 인식한 차량 번호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므로, 입출차 차량과 화물의 물동량의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 인식기 및 정기권 리더기를 통해, 게이트에서의 입출입 시간을 단축하여, 단위시간당 최대의 입출차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에서의 혼잡을 방지할 수 있어서, 물류 터미널의 이용객뿐만 아니라 직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물류 터미널 곳곳에 설치된 영상생성기를 통해, 무단 방치된 차량을 파악할 수 있고, 차량의 도난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안전관리에도 도움이 되며, 주차시설에 대한 실 이용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불법 주차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관리부를 통합하는 통합관리 서버를 갖추어, 상기 복수의 관리부의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함으로써, 물류 터미널에 입출차하는 정기차량 및 일반차량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보관할 수 있고, 주차 정보 및 물동량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통해 향후 물류터미널의 운영계획수립의 기초 자료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화물 유통의 네트워크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12)

  1. 물류 터미널 게이트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화물 차량에 대해 중량을 측정하는 자동 계근기와, 상기 화물 차량의 차번을 인식하고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하는 차량 인식기와, 상기 화물 차량의 정보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도록 게이트 출입 차선에 설치된 안내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게이트부;
    상기 게이트부의 자동 계근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화물 차량의 중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계근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차량 인식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화물 차량의 차번을 인식하여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 베이스 서버와, 물류 터미널 내에 출입하는 화물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담당하는 주차관리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관리부에서 전송받은 상기 화물 차량의 정보를 통합하여, 물류 터미널에 출입하는 화물 차량의 주차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물류터미널 내의 물동량을 통제 및 예측하는 통합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앙관리부;를 포함하는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물류 터미널 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류 터미널 내 주차시설 이용현황을 감시하고, 화물 차량이 주차된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영상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기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을 전송받아, 화물 차량을 감시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영상 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상기 자동 계근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화물 차량의 중량을 전송받아, 상기 차량 인식부에서 인식한 차량 번호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7. 삭제
  8. 게이트에 자동계근기가 매설되어, 화물 차량이 게이트에 진입하면 상기 화물 차량의 중량을 자동 계근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상기 화물 차량의 차번을 인식하여, 상기 화물 차량의 번호 및 상기 차번을 기초로 하여 상기 자동 계근기를 통해 측정한 화물 차량의 중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단계;
    상기 화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정기권의 소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기권을 소지하지 않을 경우, 주차권에 상기 화물 차량의 차번과 입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록하여 발행하는 단계;
    상기 주차권이 발행되는 경우, 상기 생성된 화물 차량의 차번 및 정보를 차량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화물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화물 차량의 물류 터미널 게이트 출입 및 물류 터미널 내 주차 현황을 감시하는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 차량의 정보를 복수의 관리부에서 전송받아 통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터미널 자동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104590A 2005-11-02 2005-11-02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8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590A KR100738993B1 (ko) 2005-11-02 2005-11-02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590A KR100738993B1 (ko) 2005-11-02 2005-11-02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654A KR20070047654A (ko) 2007-05-07
KR100738993B1 true KR100738993B1 (ko) 2007-07-12

Family

ID=3827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590A KR100738993B1 (ko) 2005-11-02 2005-11-02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493B1 (ko) * 2012-10-29 2014-07-29 에이제이렌터카 주식회사 렌탈차량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11B1 (ko) * 2009-04-20 2009-12-22 나온아이앤티 (주) 입출차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863770B1 (ko) * 2017-02-17 2018-06-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항만 보안검색 통합 서비스 시스템
CN109830005B (zh) * 2018-12-20 2023-08-11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施工现场物料称重方法及系统
KR102079123B1 (ko) * 2019-11-21 2020-04-07 이수행 화물 차량 번호 인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880A (ko) * 2000-05-09 2001-11-24 오종식 통신망을 이용한 물류 운송방법
KR20050087676A (ko) * 2004-02-27 2005-08-31 공성필 무인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880A (ko) * 2000-05-09 2001-11-24 오종식 통신망을 이용한 물류 운송방법
KR20050087676A (ko) * 2004-02-27 2005-08-31 공성필 무인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493B1 (ko) * 2012-10-29 2014-07-29 에이제이렌터카 주식회사 렌탈차량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654A (ko) 200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454B1 (ko) 차종 판별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요금 자동 수수 시스템
JP5517393B2 (ja) 移動体課金システム、移動体課金システムによる移動体課金方法
KR100497861B1 (ko) 게이트 장치 및 차탑재기기의 셋업 방법
JP658887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0738993B1 (ko) 물류 터미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75833A (zh) 基于etc的停车场收费方法、etc天线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030087731A (ko) 진출입차량 보안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JP2000182109A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CN107516433B (zh) 停车场停车控制方法及装置
KR20030065431A (ko) 주차관리 시스템
JP2006344001A (ja) 運行管理システム
JP5219361B2 (ja) 駐車管理システム
JP4047079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JP5132118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KR100825668B1 (ko) 골재 채취 무인 자동화 시스템 및 자동화 방법
JP2003263664A (ja)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
JPH11184981A (ja) 料金収受システム、icカード、車載機、路側機、料金収受方法及び車両側機器確認方法
KR940004766B1 (ko) 유료도로의 요금관리 시스템
JPH08287308A (ja) 有料道路料金収受装置
JP2002279461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H11259707A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JP3964211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JP2008117143A (ja) 料金収受システム、情報記録媒体処理装置および車載器
JP7097193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JP2009252166A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