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324B1 -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및 화상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및 화상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324B1
KR100730324B1 KR1020000036128A KR20000036128A KR100730324B1 KR 100730324 B1 KR100730324 B1 KR 100730324B1 KR 1020000036128 A KR1020000036128 A KR 1020000036128A KR 20000036128 A KR20000036128 A KR 20000036128A KR 100730324 B1 KR100730324 B1 KR 10073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tent image
image bearing
developing
develo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690A (ko
Inventor
시시도히사오
구와바라노부오
히끼따도모히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latent image carrier) 유닛, 현상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감광체 드럼 유닛과 현상 유닛을 유저측에서 따로따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감광체 드럼과 현상 롤러 사이의 맞닿음을 확실히 행하게 한다.
잠상 담지체 유닛(1)과 현상 유닛(2)이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폐현상제 수용부(6)와 현상 유닛(2)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7)를 착탈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합 기구(8)를 설치하는 동시에, 폐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로부터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설치한다.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레버 개폐 기구, 현상제 환류 기구, 드럼축, 토너, 슬라이드 레버

Description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UNIT, LATENT IMAGE CARRYING UNIT,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적 구성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감광체 드럼 유닛의 구조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현상 유닛의 구조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구조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을 장치 본체측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감광체 드럼 유닛과 현상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한 폐 토너 탱크와 토너 환류 파이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감광체 드럼 유닛의 구조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현상 유닛의 구조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좌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을 장치 본체측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 투시상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한 폐 토너 탱크와 토너 환류 파이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일부 투시상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단면도.
도 20은 종래의 토너 환류 기구를 구비한 전자 사진 기록 방식 프린터의 개념적 구성도.
도 21은 종래의 토너 환류 기구의 평면도.
[부호의 설명]
1 잠상 담지체 유닛(latent image carrier unit)
2 현상 유닛
3 잠상 담지체
4 현상 롤러
5 레버 개폐 기구
6 폐현상제 수용부
7 현상제 환류 기구
8 계합 수단
9 셔터
10 감광체 드럼 유닛
11 드럼축
12 토너 환류축
13 맞물림 레버
14 감광체 드럼
15 대전 브러시(charging brush)
16 클리닝 블레이드
17 폐 토너 탱크
18 반송 스크루
19 계합 구멍
20 토너
21 맞물림 레버
22 대전 브러시 수납부
23 가이드 홈
24 보스
25 돌기
26 드럼 구동 기어
27 드럼 기어
30 현상 유닛
31 현상 롤러
32 드럼축 장착홈
33 토너 환류 조인트홈
34 드럼축 관통구멍
35 현상 유닛 회전축
36 보스
37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38 셔터
39 토너 환류 파이프
40 결합부
41 슬라이드 레버
42 인장 스프링
43 보스
44 맞물림 홈
45 돌기
46 현상 유닛 구동 기어
47 현상 유닛 기어
48 리셋 롤러
50 화상 형성 장치
51 가이드 레일
52 드럼축 가압 레버
53 전사기
54 열정착 롤러
55 압접 롤러
56 용지 반송 기구
57 레지스트 롤러
60 감광체 드럼 유닛
61 감광체 드럼
62 클리너 유닛
63 클리닝 블레이드
64 폐 토너 탱크
70 현상 유닛
71 닥터 블레이드
72 현상 롤러
73 애지테이터
74 애지테이터
75 토너실
76 코일 부재
81 카트리지 받이부재
82 개구부
83 토너 카트리지
84 하우징
85 개구부
86 코로나 대전기
87 전사기
88 광학 유닛
89 정착기
90 토너 환류 기구
91 가요성 튜브
92 코일 부재
93 헬리컬 기어
94 헬리컬 기어
100 프린터 장치
101 스태커
110 기록 매체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저측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 유닛, 즉 감광체 드럼 유닛과, 현상 유닛을 독립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하는 기구 및 감광체 드럼 유닛을 현상 유닛에 장착할 때에, 장착 동작 또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구동 동작 중 적어도 한쪽에 연동하여 현상 유닛의 현상 롤러를 감광체 드럼 유닛의 감광체 드럼에 추종 가압하는 기구에 특징이 있는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자 사진 기록법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예를 들면 복사기나 프린터는 그 고속성, 고해상성 및 저소음성 때문에, 사무용으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지만, 최근에 개인사용으로 시장을 넓혀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저비용화, 소형화, 또는 고해상 품질화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전자사진 기록방식을 이용한 프린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정전 잠상 형성공정에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 드럼 표면을 레이저 광학계 또는 LED 어레이 광학계 등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라 노광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어서, 현상 공정에서, 감광체 드럼상의 정전 잠상에 현상 롤러를 사용하여 대전된 토너를 부착하고, 가시화된 토너상(toner image)으로서 현상하고, 이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기에 의해 정전적으로 복사한 후, 전사(轉寫)된 가시상을 열, 압력 또는 광을 이용한 정착기에 의해 정착하고, 최종적으로 가시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가 스태커(stacker)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전자 사진 기록 방식을 사용한 프린터에 있어서, 클리닝 블레이드(cleaning blade)에 의해 감광체 드럼 표면으로부터 긁혀 나온 미전사의 잔류 토너를, 재사용하기 위해서 토너 환류 기구를 사용하여 현상 유닛의 토너 박스로 되돌리는 구조가 알려져 있으므로, 이와 같은 토너 환류 기구를 구비한 전자사진 기록방식 프린터를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 참조
도 20은 종래의 토너 환류 기구를 구비한 전자사진 기록방식 프린터의 개념적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감광체 드럼 유닛(60)은 감광체 드럼(61)과 클리닝 블레이드(63)를 구비한 클리너 유닛(62)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감광체 드럼 유닛(60)에 대하여 현상 유닛(7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하고, 이 감광체 드럼 유닛(60)에 대하여 현상 유닛(70)이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이 프린터 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현상 유닛(70)은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71)를 구비하는 동시에 자기 롤러(magnetic roller)와 슬리브로 된 현상 롤러(72), 애지테이터(agitator; 73, 74) 및 토너실(75)로 구성되고, 이 현상 유닛(70)에는 카트리지 받이부재(81)에 설치된 개구부(82)를 통해서 현상 유닛(70)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8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에 있어서, 클리너 유닛(62)에서 감광 드럼(61)으로부터 긁혀 나온 미전사의 잔류 토너를 재 사용하기 위해서, 감광체 드럼 유닛(60)을 구성하는 클리너 유닛(62)과 현상 유닛(70)을 구성하는 토너실(75)을 결합하는 토너 환류 기구(9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화상 형성 유닛의 하우징(84)에 설치된 개구부(85)에 코로나 대전기(corona charger; 86)가 장착되는 동시에, 감광체 드럼 유닛(60)의 하측에 전사기(87)가 설치되고, 감광체 드럼의 회전 방향의 코로나 대전기(86)보다 아래쪽에는 LED 어레이 광학계 등의 광학 유닛(88)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사진 기록 방식 프린터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61)은 코로나 대전기(8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후, 화상 정보 또는 인자(印字) 정보에 따른 광학 유닛(88)으로부터의 광에 의해서,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동시에, 감광체 드럼(61)의 회전에 수반하여 정전 잠상을 현상 영역에 반송하고, 현상 영역에서, 현상 롤러(72)상의 토너층은 감광체 드럼(61)상의 정전 잠상에 대해서 전기적 흡인력으로 흡착하여 가시화된 토너상으로서 현상되고, 이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기(87)에 의해 전사하고, 전사된 가시상은 정착기(88)에 의해 정착된 후, 가시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110)가 스태커(101)로 배출된다.
또한, 전사를 완료한 감광체 드럼(61)의 표면은 클리너 유닛(62)을 구성하는 클리닝 블레이드(63)에 의해 청소되고, 제거된 토너는 클리너 유닛(62)을 구성하는 폐 토너 탱크(64)에 수용되는 동시에 감광 드럼(61)의 표면은 방전 수단(도시되지 않음)으로 방전되어 초기 상태로 되돌려진다.
또한, 미전사의 폐 토너는 토너 환류 기구(90)에 의해 클리너 유닛(62)으로 현상 유닛(70)을 구성하는 토너실(75)로 되돌려진다.
도 21 참조
도 21은 상술의 토너 환류 기구의 평면도이고, 토너 환류 기구(90)는 가요성 튜브(91)와, 가요성 튜브(91)의 내부에 수용된 회전 가능한 코일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이 코일 부재(92)의 일단은 헬리컬 기어(93)와 맞물리는 헬리컬 기어(94)에 연결되어 있고, 폐 토너 탱크(64)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 부재(76)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폐 토너 탱크(64)의 내부의 폐 토너를 가요성 튜브(91)를 통해서 토너실(75)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토너 환류 기구(90)를 구비한 전자사진 기록방식 프린터에 있어서는, 감광체 드럼 유닛(60)에 대해서 현상 유닛(70)이 일단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토너 환류 기구(90)와 감광체 드럼 유닛(60)과 현상 유닛(70) 사이에 경고하게 접속되어 있으므로, 유저측에서 감광체 드럼 유닛(60)과 현상 유닛(70)을 따로따로 교환하는 것은 실질상 불가능했다.
예를 들면, 사용 사양의 일례를 들면, 현상 유닛의 보증수명은 약 1만매이고, 감광체 드럼 유닛의 보증 수명은 약 5만매이지만, 종래의 토너 환류 기구를 구비한 전자사진 기록방식 프린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 유닛과 현상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형성 유닛은 일체의 것으로서 교환하고 있었지만,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수명을 수명이 짧은 현상 유닛에 맞출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감광체 드럼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상 유닛의 수명은 현상 롤러의 수명 또는 토너의 양으로 결정되고, 한편, 감광체 드럼 유닛의 수명은 감광체 드럼의 수명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감광체 드럼 유닛과 현상 유닛을 유저측에서 따로따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감광체 드럼과 현상 유닛을 유저측에서 교환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한 경우, 상술한 저비용화, 소형화 또는 고해상 품질화의 요청에 대해서는 유리한 구조로서 주목되고 있는 비자성 현상제를 사용한 1 성분 현상법, 특히 감광체 드럼과 현상 롤러를 접촉시켜서 현상을 하는 접촉 현상 방식에 있어서는, 감광체 드럼과 현상 롤러 사이의 압접(壓接)이 확실하게 행해지지 않는다면, 감광 드럼상에의 토너 부착이 적정하게 행해지지 않고 인자 번짐 등의 인자 결함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광체 드럼 유닛과 현상 유닛을 유저측에서 따로따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감광체 드럼과 현상 롤러 사이의 압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적 구성도이고, 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잠상 담지체 유닛을 현상 유닛에 장착한 상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 참조
(1) 본 발명은 잠상 담지체 유닛(1)과 현상 유닛(2)으로 이루어지고, 잠상 담지체 유닛(1)과 현상 유닛(2)이 착탈 가능하게 분리하는 화상 형성 유닛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폐 현상제 수용부(6)와 현상 유닛(2)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7)를 착탈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합 기구(8)를 설치하는 동시에,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에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폐 현상제 수용부(6)와 현상 유닛(2)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7)를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 기구(8)를 설치하는 동시에,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에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잠상 담지체 유닛(1)과 현상 유닛(2)을 유저측에서 독립적으로 교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 유닛을 수명이 달할 때까지 유효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셔터(9)가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의 일부를 구성한다.
(2) 또한, 본 발명은 잠상 담지체 유닛(1)과 현상 유닛(2)으로 이루어지고, 잠상 담지체 유닛(1)과 현상 유닛(2)이 착탈 가능하게 분리하는 화상 형성 유닛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 유닛(1)을 현상 유닛(2)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 또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구동 동작 중 적어도 한쪽에 연동하여,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 유닛(1)을 현상 유닛(2)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 또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구동 동작 중 적어도 한쪽에 연동하여,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을 화상 형성 유닛내에 설치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 지지 기구를 위치 정밀도에 관계없이, 현상 롤러(4)와 잠상 담지체(3) 사이의 압접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자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에 있어서,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이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5)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 유닛(1)에 레버 개폐 기구(5)를 설치하고, 현상 유닛(2)측에 설치된 맞물림 수단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3)에 간단하게 추종 가압할 수 있다.
(4)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에 있어서,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이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5)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현상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현상 유닛(2)의 회전 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레버 개폐 기구(5)와 함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현상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현상 유닛(2)의 회전 기구를 설치하고, 현상 유닛(2)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현 잠상 담지체(3)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3)에 의해 확실하게 추종 가압할 수 있다.
(5)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에 있어서,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 이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5),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현상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현상 유닛(2)의 회전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잠상 담지체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잠상 담지체(3)의 회전 기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레버 개폐 기구(5) 및 현상 유닛(2)의 회전 기구와 함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잠상 담지체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잠상 담지체(3)의 회전 기구를 설치하고, 그 회전력을 압압력(押壓力)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3)에 더욱 확실하게 추종 가압할 수 있다.
(6) 또한 본 발명은 상기 (5)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3)의 회전시에,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현상 유닛(2)측에 설치된 돌기와 접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잠상 담지체(3)의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현상 유닛(2)을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3)의 회전력을 압압력으로 변화시키는 기구로서는, 잠상 담지체 유닛(1)측과 현상 유닛(2)측의 양측에 돌기를 설치하는 것이 적당하고, 이와 같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현상 유닛(2)을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7) 또한 본 발명은 상기 (3) 내지 (6) 중 어느 것에 있어서, 레버 개폐 기구(5)가 현상 유닛(2)측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에 접속하는 접동(摺動)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와 맞물리는 맞물림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레버 개폐 기구(5)를 구성하는 맞물림 레버와 맞물리는 현상 유닛(2)측의 구성으로서, 스프링 부재에 접속하는 접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를 사용함으로써, 스프링 부재의 작용에 의해 안정된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8) 또한 본 발명은 상기 (7)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현상 유닛(2)의 측벽에 설치된 홈과 걸어 맞추는 돌기를 설치하고, 레버 개폐 기구(5)의 개폐에 따른 회전력에 의해 현상 유닛(2)을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현상 유닛(2)의 측벽에 설치된 홈과 걸어 맞추는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레버 개폐 기구(5)의 개폐에 따른 회전력에 의해 더욱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어, 확실한 압접이 가능해진다.
(9)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 내지 (8)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5)가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에서 현상 유닛(2)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레버 개폐 기구(5)가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에서 현상 유닛(2)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상제 환류 기구(7)를 구비한 화상 형성 유닛의 분리 기구를 유기적으로 구성하고 전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10) 또한 본 발명은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있어서, 현상 유닛(2)측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현상 유닛(2)측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 예를 들면 레버 개폐 기구(5)와 연동하여 셔터(9)를 회전시키는 가압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현상 유닛(2)과는 독립적으로 교환 가능한 잠상 담지체 유닛(1)을 독립 부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11) 또한 본 발명은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 유닛(1)을 현상 유닛(2)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 또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구동 동작 중 적어도 한쪽에 연동하여,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접촉 현상 방식의 화상 형성 유닛에 대한 추종 가압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1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1)에 있어서,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이 현상 유닛(2)측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에 접속하는 접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와 맞물리는 맞물림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 개폐 기구(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레버 개폐 기구(5)로서, 현상 유닛(2)측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에 접속하는 접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와 맞물리는 맞물림 레버를 사용함으로써, 스프링 부재의 작용에 의해 안정된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1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1) 또는 (12)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3)의 회전 시에, 현상 유닛(2)측에 설치된 돌기와 접합하여 잠상 담지체(3)의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현상 유닛(2)을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3)의 회전력을 압압력으로 변화시키는 기구로서는,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현상 유닛(2)측에 설치된 돌기와 접합하는 돌기를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고, 이와 같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현상 유닛(2)을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14)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2) 또는 (13)에 있어서, 현상 유닛(2)의 측벽에 설치된 홈과 걸어 맞추고, 레버 개폐 기구(5)의 개폐에 수반되는 회전력에 의해 현상 유닛(2)을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현상 유닛(2)의 측벽에 설치된 홈과 걸어 맞추는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레버 개폐 기구(5)의 개폐에 따른 회전력에 의해 더욱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어 확실한 압접이 가능해진다.
(15) 또한 본 발명은 현상 유닛(2)에 있어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설치된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와 착탈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합 기구(8)를 설치하는 동시에,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에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현상제 환류 기구(7)에,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설치된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와 착탈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합 기구(8)를 설치하는 동시에,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에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잠상 담지체 유닛(1)과는 독립적으로 교환 가능한 현상 유닛(2)을 독립 부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개폐 기구의 일부는 셔터(9)에 의해 구성된다.
(16) 또한 본 발명은 현상 유닛(2)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 유닛(1)을 현상 유닛(2)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 또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구동 동작 중 적어도 한쪽에 연동하여,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현상 유닛(2)측에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접촉 현상 방식의 화상 형성 유닛에 대한 추종 가압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17) 또한 본 발명은 상기(16)에 있어서,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이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설치된 맞물림 레버와 맞물리고, 스프링 부재에 접속하는 접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레버 개폐 기구(5)를 구성하는 맞물림 레버와 맞물리는 현상 유닛(2)측의 구성으로서, 스프링 부재에 접속하는 접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를 사용함으로써, 스프링 부재의 작용에 의해 안정된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18)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6) 또는 (17)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3)의 회전시에,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설치된 돌기와 접합하고 잠상 담지체(3)의 회전 기 구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현상 유닛(2)을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3)의 회전력을 압압력으로 변화시키는 기구로서는, 현상 유닛(2)측에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설치된 돌기와 접합하는 돌기를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고, 이와 같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현상 유닛(2)을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19)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7) 또는 (18)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설치된 돌기에 걸어 맞추고, 레버 개폐 기구(5)의 개폐에 따른 회전력에 의해 현상 유닛(2)을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홈을 현상 유닛(2)의 측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현상 유닛(2)의 측벽에 잠상 담지체 유닛(1)측에 설치된 돌기와 걸어 맞추는 홈을 설치함으로써, 레버 개폐 기구(5)의 개폐에 따른 회전력에 의해 더욱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고 확실한 압접이 가능해진다.
(20) 또한 본 발명은 잠상 담지체 유닛(1)과 현상 유닛(2)으로 이루어지고, 잠상 담지체 유닛(1)과 현상 유닛(2)이 착탈 가능하게 분리하는 화상 형성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폐 현상제 수용부(6)와 현상 유닛(2)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7)를 착탈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합 기구(8)를 설치하는 동시에,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에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폐 현상제 수용부(6)와 현상 유닛(2)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7)를 착탈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합 기구(8)를 설치하는 동시에,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에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현상 유닛(2)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독립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의 일부는 셔터(9)에 의해 구성된다.
(21) 또한 본 발명은 잠상 담지체 유닛(1)과 현상 유닛(2)으로 이루어지고, 잠상 담지체 유닛(1)과 현상 유닛(2)이 착탈 가능하게 분리하는 화상 형성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 유닛(1)을 현상 유닛(2)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 또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구동 동작 중 적어도 한쪽에 연동하여,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 유닛(1)을 현상 유닛(2)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 또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구동 동작 중 적어도 한쪽에 연동하여,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잠상 담지체(3)와 현상 롤러(4) 사이의 가압이 확실하게 행해지는 접촉 현상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2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1)에 있어서,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이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5)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잠상 담지체 유닛(1)에 레버 개폐 기구(5)를 설치하고, 현상 유닛(2)측에 설치된 맞물림 수단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3)에 간단하게 추종 가압할 수 있는 접촉 현상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할 수 할 수 있다.
(2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1)에 있어서,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이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5)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현상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현상 유닛(2)의 회전 기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레버 개폐 기구(5)와 함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현상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현상 유닛(2)의 회전 기구를 설치하고, 현상 유닛(2)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잠상 담지체(3)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3)에 의해 확실하게 추종 가압할 수 있는 접촉 현상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24)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1)에 있어서, 현상 유닛(2)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 유닛(1)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3)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이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5),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현상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현상 유닛(2)의 회전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잠상 담지체(3)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잠상 담지체(3)의 회전 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레버 개폐 기구(5) 및 현상 유닛(2)의 회전 기구와 함께, 화상 형 성 장치 본체측의 잠상 담지체(3)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잠상 담지체(3)의 회전 기구를 설치하고, 그 회전력을 압압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현상 롤러(4)를 잠상 담지체(3)에 더욱 확실하게 추종 가압할 수 있는 접촉 현상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25)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1) 내지 (24)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잠상 담지체 유닛(1)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5)가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에서 현상 유닛(2)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레버 개폐 기구(5)가 폐 현상제 수용부(6)의 저부에서 현상 유닛(2)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7)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상제 환류 기구(7)를 구비한 접촉 현상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의 분리 기구를 유기적으로 구성하여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여기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접촉 현상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및 그를 구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을 설명한다.
도 2a 내지2c 참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하는 감광체 드럼 유닛(10)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2a는 감광체 드럼 유닛(10)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우측면도이고, 또한 도 2c는 좌측면도이고, 감광체 드럼 유닛(10)의 비장착 상 태, 즉 개개의 부품으로서 판매하는 시점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 유닛(10)의 외관은 감광체 드럼의 드럼축(11), 토너 환류축(12), 맞물림 레버(1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감광체 드럼 유닛(10)의 내부에는 감광체 드럼, 대전 브러시(charging brush), 클리닝 블레이드, 폐 토너 탱크 등이 설치되어 있고, 폐 토너 탱크의 내부에는 폐 토너를 환류시키기 위한 반송 스크루가 설치되어 있다.
도 3a 내지 3c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하는 현상 유닛(30)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3a은 현상 유닛(30)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우측면도이고, 또한 도 3c는 좌측면도이고, 현상 유닛(30)의 비장착 상태, 즉 개개의 부품으로서 판매하는 시점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30)의 외관은 현상 롤러(31), 우측면측에 설치된 드럼축 장착홈(32), 토너 환류 조인트홈(33), 좌측면측에 설치된 드럼축 관통구멍(34) 및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현상 유닛 회전축(35)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현상 유닛(30)의 내부에는 닥터 블레이드, 리셋 롤러, 토너실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현상 유닛(30)의 우측 내부에는 토너 환류 조인트홈(33)의 일부와 결합하는 토너 환류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현상 유닛(30)은 비자성 1성분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을 하는 것을 예로 나타내고 있다.
도 4a 내지 4c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현상 유닛(30)에 감광체 드럼 유닛(10)을 실장한 화상 형성 유닛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4a은 화상 형성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우측면도이고, 또한 도 4c는 좌측면도이고, 감광체 드럼 유닛(10)에 설치된 맞물림 레버(13)를 고정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 유닛(10)의 드럼축(11)과 토너 환류축(12)이 현상 유닛(30)에 설치된 드럼축 장착홈(32) 및 드럼축 관통구멍(34)과 토너 환류 조인트홈(33)에 각각 결합하도록 장착하고, 맞물림 레버(13)를 우측면도에서 우측으로 넘어뜨림으로써, 폐 토너 탱크의 우측 저부에 설치된 결합부가 개방되어 폐 토너가 토너 환류 파이프로의 송출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5 참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4에 도시된 화상 형성 유닛을 화상 형성 장치(50)의 하우징에 실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투시단면도이고, 화상 형성 유닛이, 현상 유닛 회전축(35)과 드럼축(11)이 도면에서 사선을 그은 장치 본체측의 가이드 레일(51)에 설치된 오목부에 계합하도록 장착하는 동시에,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드럼축 가압 레버(52)에 의해 현상 유닛 회전축(35)과 드럼축(11)을 가압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50)의 장치 본체측에는 전사기(53), 열정착 롤러(54) 및 압접 롤러(55)로 이루어지는 정착기 및 용지 반송 기구(56)가 설치되어 있다.
도 6 참조
도 6은 화상 형성 유닛을 장치 본체측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 고,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 회전축(35)과 드럼축(11)이 도면에서 사선을 그은 장치 본체측의 가이드 레일(51)에 설치된 오목부에 계합하도록 장착하는 동시에,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드럼축 가압 레버(52)에 의해 현상 유닛 회전축(35)과 드럼축(11)을 가압한 상태로, 현상 유닛(30)에 설치된 보스(36)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현상 유닛(30)을 현상 유닛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므로, 현상 롤러(31)가 감광체 드럼 유닛(10)에 설치된 감광체 드럼(14)에 적당한 가압 상태로 맞닿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적당한 가압 상태로 함으로써, 현상 롤러(31)에 의해 감광체 드럼(14)의 잠상에 대해서 적량의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도 7 참조
도 7은 감광체 드럼 유닛(10)과 현상 유닛(30)이 맞닿기 직전의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고, 감광체 드럼(14), 대전 브러시(15), 클리닝 블레이드(16), 폐 토너 탱크(1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폐 토너 탱크(17)의 내부에는 폐 토너를 환류시키기 위한 반송 스쿠루(1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현상 유닛(30)의 내부에는 현상 롤러(31), 닥터 블레이드(37) 및 리셋 롤러(도시되지 않음)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8a 및 8b 참조
도 8은 폐 토너 탱크와 토너 환류 파이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8a는 맞물림 레버(13)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맞물림 레버(13)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맞물림 레버(13)를 고정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토너 환류 조인트홈(33)의 일단에 설치된 셔터(38)는 토너 환류 파이프(39)와의 결합부(40)를 폐쇄한 상태가 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레버(13)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맞물림 레버(13)의 내부에 설치된 계합 구멍(19)과 감광체 드럼 유닛(10)의 측면에 설치된 돌기(도시되지 않음)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그와 동시에 셔터(38)도 우회전으로 회전하여 토너 환류 파이프(39)와의 결합부(40)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폐 토너 탱크(17)에 폐기된 토너(20)가 토너 환류 파이프(39)로 송출되고, 토너 환류 파이프(39)의 내부에 설치된 반송 스크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토너(20)는 토너실로 되돌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토너 환류 조인트홈(33)의 일단에 설치된 셔터(38) 및 토너 환류 파이프(39)와의 결합부(40)를 설치함으로써, 감광체 드럼 유닛(10)과 현상 유닛(30)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유저측에서 감광체 드럼 유닛(10) 또는 현상 유닛(30)을 단독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감광체 드럼 유닛(10) 또는 현상 유닛(30)의 각각의 수명에 따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낭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유닛의 지지축, 즉 드럼축(11) 및 현상 유닛 회전축(35)이 장치 본체측의 위치 정밀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좌측에 있어서 현상 롤러(31)가 감광체 드럼(14)에 맞닿았다고 해도, 우측에서 감광체 드럼(14)과 현상 롤러(31)의 위치가 장치 본체측에서 이탈하는 관계에 있으면, 현상 유닛(30)에 설치된 보스(36)를 가압해도 현상 롤러(31)가 감광체 드럼(14)에 맞닿지 않고, 결과적으로 인자 번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반대로, 좌측에서 감광체 드럼(14)과 현상 롤러(31)의 위치가 장치 본체측에서 이탈하는 관계에 있으면, 좌측에서 인자 번짐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맞닿는 상태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장치 본체측에 확실한 맞닿는 기구를 설치하면 좋지만, 그를 위해서는 장치 본체측을 대폭적으로 설계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제조 라인의 장치도 변경할 필요가 생기므로, 이와 같은 장치 본체측의 변경은 마이너 모델 체인지의 경우에는 곤란하다.
그래서, 이와 같은 감광체 드럼(14)과 현상 롤러(31)의 맞닿기를 확실하게 하기 위한 추종 가압 구조를 화상 형성 유닛측에 설치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접촉 현상의 비자성 1성분 현상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 9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 및 9b 참조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하는 감광체 드럼 유닛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9a는 감광체 드럼 유닛의 좌측면도이고, 도 9b는 상면도이다.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기본적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고, 감광체 드럼 유닛(10)의 외관은 감광체 드럼(14)의 드럼축(11), 토너 환류축(12), 맞물림 레버(21) 및 대전 브러시 수납부(22)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1 특징점은 맞물림 레버(21)의 구조에 있 고, 맞물림 레버(21)의 내측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레버에 설치된 보스와 맞물려 현상 롤러(31)를 감광체 드럼측에 추종 가압하기 위한 가이드홈(2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1Oa 및 10b 참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하는 현상 유닛(30)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10a는 현상 유닛의 좌측면도이고, 도 10b는 상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30)의 외관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현상 롤러(31), 좌측면측에 설치된 드럼축 장착홈(32), 토너 환류 조인트홈(33), 셔터(38), 우측면측에 설치된 드럼축 관통구멍(34) 및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현상 유닛 회전축(35)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리셋 롤러 또는 토너 환류 파이프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11a 및 11b 참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좌측면도이고, 도 11a는 맞물림 레버(21)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 맞물림 레버(21)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에는 수평 방향으로 접동 가능한 슬라이드 레버(4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 레버(41)의 우단은 인장 스프링(42)에 의해 지지되고, 슬라이드 레버(41)의 좌단에는 맞물림 레버(21)의 내측의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홈(23)에 안내되어 맞물리는 보스(43)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레버(21)를 우측으로 넘어뜨려 보스(43)를 가이드홈(23)을 따라 이동시켜 맞물리게 하면, 슬라이드 레버(41)를 지지하는 인장 스프링(42)의 작용에 의해 감광체 드럼 유닛(10)이 우측으로 끌어당겨지고, 한편 그 반작용에 의해 현상 유닛(30)이 좌측으로 끌어당겨져, 현상 롤러(31)가 감광체 드럼(14)에 추종 가압하게 된다.
또, 현상 유닛의 측판의 내면에는 비대칭인 U자형의 맞물림홈(44)이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 드럼 유닛(10)의 측단부에 설치된 보스(24)가 맞물림 레버(21)의 회전에 수반하여 U자형의 맞물림홈(44)에 안내되어 맞물림으로써, 감광체 드럼 유닛(10)이 현상 유닛(30)측에 끌어당겨지는 힘을 발생시키므로, 현상 롤러(31)는 감광체 드럼(14)에 더욱 추종 가압하게 된다.
도 12a 및 12b 참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우측면도이고, 도 12a는 장착전의 화상 형성 유닛을 나타내고, 도 12b는 장착 후의 화상 형성 유닛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제 2 특징점은 감광체 드럼 유닛(10)의 우측 측면의 하단의 일부에 돌기(25)를 설치하는 동시에, 현상 유닛(30)의 우측 측면의 하단의 일부에, 장착시에 돌기(25)와 거의 접촉하는 돌기(45)를 설치한 점에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의 구동시에 감광체 드럼의 회전에 수반하여 돌기(25)도 도 12b에 있어서 좌회전으로 회전하고, 돌기(45)에 맞닿아서 돌기(45)를 우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현상 롤러(31)를 감광체 드럼(14)측으로 끌어당기고, 현상 롤러(31)를 감광체 드럼(14)에 더욱 추종 가압하게 된다.
도 13 참조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단면도이고, 맞물림 레버(21)를 우측으로 넘어뜨림으로써, 감광체 드럼 유닛(10)이 현상 유닛(30)에 장착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감광체 드럼(14)과 현상 롤러(31)가 맞닿은 상태가 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시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5)가 돌기(45)에 압압 및 맞닿게 하여 감광체 드럼(14)과 현상 롤러(31)가 더욱 압접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현상 유닛(30)과 감광체 드럼 유닛(10) 사이의 간극에서 LED 어레이 등으로부터의 노광 광이 조사되어서, 감광체 드럼(14)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형성된 정전 잠상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14)에 접촉되어 있는 현상 롤러(31)에 의해 현상이 행해진다.
도 14 참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13에 도시된 화상 형성 유닛을 화상 형성 장치(50)의 하우징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투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4)의 하측에 감광체 드럼(14)에 대향하도록 전사기(53)가 배치되는 동시에, 열정착 롤러(54) 및 압접 롤러(55)로 이루어지는 정착기 및 레지스트 롤러(57) 등을 포함하는 용지 반송 기구(5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 참조
도 15는 화상 형성 유닛을 장치 본체측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맞물림 레버(21)를 우측으로 넘어뜨려 고정한 상태의 화상 형성 유닛을, 현상 유닛 회전축(35)과 드럼축(11)이 도면에서 사선을 그은 장치 본체측의 가이드 레일(51)에 설치된 오목부에 계합하도록 장착하는 동시에,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드럼축 가압 레버(52)에 의해 현상 유닛 회전축(35)과 드럼축(11)을 가압시킨다.
또, 이 드럼축 가압 레버(52)에는 가이드 레일(51)측에 가압시키는 스프링이 접속되어 있다.
도 16 참조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 투시상면도이고, 도면의 양단에서 현상 유닛 회전축(35)과 드럼축(11)은 드럼축 가압 레버(52)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를 구동하면, 구동용 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드럼 구동 기어(26)와 감광체 드럼(14)을 회전시키는 드럼 기어(27)가 맞물려서, 감광체 드럼(14)이 도면에서 좌회전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그에 수반하여 감광체 드럼 유닛(10)의 측면에 설치된 돌기(25)도 좌측으로 회전한다.
그에 따라서, 돌기(25)는 현상 유닛(30)의 측면에 설치된 돌기(45)에 맞닿는 동시에, 돌기(45)를 우측에 눌러 붙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31)가 감광체 드럼(14)측으로 끌어당겨져서,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 동작시에도 현상 롤러(31)는 감광체 드럼(14)에 추종 가압하게 된다.
또, 구동시에는, 돌기(25)에는 항상 구동력이 걸린 상태로 된다.
한편, 구동용 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회전력은 현상 롤러(31)를 구동하는 현상 유닛 구동 기어(46)에도 전달되고, 이 현상 유닛 구동 기어(46)와 맞물리는 현상 유닛 기어(47)를 구동하고, 현상 유닛(30)이 현상 유닛 회전축(35)을 중심으로 감광체 드럼(14) 방향을 향하는 힘을 발생시키고, 그것에 의해서 현상 롤러(31)는 감광체 드럼(14)에 추종 가압하게 된다.
다음에,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한 토너 환류 기구를 설명하지만, 기본적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토너 환류 기구와 동일하다.
도 17a 및 17b 참조
도 17은 폐 토너 탱크와 토너 환류 파이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17a는 맞물림 레버(21)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7b는 맞물림 레버(21)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a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맞물림 레버(21)를 고정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토너 환류 조인트홈(33)의 일단에 설치된 셔터(38)는 토너 환류 파이프(39)와의 결합부(40)를 폐쇄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레버(21)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맞물림 레버(21)의 측판의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홈(23)과 슬라이드 레버(41)에 설치된 보스(43)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그와 동시에 셔터(38)도 우회전으로 회전하여 토너 환류 파이프(39)와의 결합부(40)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폐 토너 탱크(17)로 폐기된 토너(20)가 토너 환류 파이프(39)로 송출되고, 토너 환류 파이프(39)의 내부에 설치된 반송 스크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토너(20)는 토너실로 되돌려지게 된다.
도 18 참조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일부 투시상면도이고, 토너 환류 파이프(39)는 맞물림 레버(21)로 고정된 우측 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현상 유닛(30)의 후부에 있어서는, 좌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토너(20)가 재차 토너실로 되돌려지게 된다.
도 19 참조
도 19는 맞물림 레버(21)를 고정한 상태에 대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유닛의 단면도이고, 현상 롤러(31)와 감광체 드럼(14)은 상술한 맞물림 레버(21)와 슬라이드 레버(41)에 설치된 보스(43)의 맞물림, 감광체 드럼 유닛에 설치된 보스(24)와 현상 유닛(30)에 설치된 맞물림홈(44)의 맞물림, 돌기(25)와 돌기(45)의 맞닿음에 의한 압압 및 현상 유닛 구동 기어(46)의 회전력에 의한 현상 유닛(30)의 현상 유닛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한 이동에 의해서 현상 롤러(31)는 감광체 드럼(14)에 확실하게 맞닿은 상태로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한 화상 형성 공정을 설명하면, 감광체 드럼(14)의 표면은 대전 브러시(15)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 상태에 있어 서 현상 유닛(30)과 감광체 드럼 유닛(10) 사이의 간극에서 LED 어레이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을 이용한 노광 유닛으로부터의 노광 광이 조사되어, 감광체 드럼(14)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형성된 정전 잠상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14)에 맞닿아 있는 현상 롤러(31)에 의해 현상이 행해지고, 현상된 토너상은 전사기에 기록 용지(모두 도시되지 않음)에 정전적으로 전사된다.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 드럼(14)의 표면에 잔존한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16)에 의해 긁혀져서 폐 토너 탱크(17)에 수용되고, 수용된 토너는 반송 스크루(18)에 의해 우측단부로 반송되고,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는 토너 환류 파이프(39)와의 결합부(40)로부터 토너(20)가 토너 환류 파이프(39)에 송출되고, 토너 환류 파이프(39)의 내부에 설치된 반송 스크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토너(20)는 토너실로 되돌려져서 그 후의 현상에 재차 이용된다.
한편, 현상 유닛(30)에 있어서는, 토너가 리셋 롤러(48)와의 대전 마찰에 의해 대전하는 동시에, 현상 롤러(31)에 공급되고, 공급된 토너는 닥터 블레이드(37)에 의해 일정한 층 두께로 규제되는 동시에 대전된다.
또, 현상에 제공되지 않고 현상 롤러(31)의 표면에 잔류한 토너는 리셋 롤러(48)에 의해 긁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토너 환류 기구를 감광체 드럼 유닛측과 현상 유닛측으로 분할하는 기구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감광체 드럼 유닛 및 현상 유닛을 유저측에 있어서 각각 독립적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광체 드럼 유닛을 현상 유닛에 장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현상 롤러를 감광체 드럼에 추종 가압하는 기구, 즉 맞물림 레버(21)와 슬라이드 레버(41)에 설치된 보스(43)의 맞물림 기구 및 감광체 드럼 유닛에 설치된 보스(24)와 현상 유닛(30)에 설치된 맞물림홈(44)의 맞물림 기구를 화상 형성 유닛의 내부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화상 형성 유닛 지지 기구의 위치 정밀도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현상 롤러와 감광체 드럼을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인자 긁힘 등의 인자 장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시에 있어서 현상 롤러를 감광체 드럼에 추종 가압하는 기구, 즉 돌기(25)와 돌기(45)의 맞닿음에 의한 압압 기구 및 현상 유닛 구동 기어(46)의 회전력에 의한 현상 유닛(30)의 현상 유닛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한 이동 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가압 상태가 더욱 안정되고, 인자 긁힘 등의 인자 장해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나타낸 구성·조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촉 현상 방식으로, 또한 비자성 현상제를 사용한 1성분 현상 방식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비접촉 현상 방식, 즉 점핑(jumping) 현상 방식의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이고, 또 자성 현상제를 사용한 2성분 현상 방식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개의 추종 가압 기구, 즉 맞물림 레버(21)와 슬라이드 레버(41)에 설치된 보스(43)의 맞물림 기구, 감광체 드럼 유닛에 설치된 보스(24)와 현상 유닛(30)에 설치된 맞물림홈(44)의 맞물림 기구, 돌기(25)와 돌기(45)의 맞닿음에 의한 압압 기구 및 현상 유닛 구동 기어(46)의 회전력에 의한 현상 유닛(30)의 현상 유닛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한 이동 기구를 설치하고 있지만, 반드시 모든 것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최저 1개의 추종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너 환류 기구를 감광체 드럼 유닛측과 현상 유닛측으로 분할하는 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감광체 드럼 유닛 및 현상 유닛을 유저측에 있어서 각각 독립적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런닝 코스트를 대폭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 롤러를 감광체 드럼에 추종 가압하는 기구를 화상 형성 유닛내에 설치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화상 형성 유닛 지지 기구의 위치 정밀도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현상 롤러와 감광체 드럼을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서 인자 긁힘 등의 인자 장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고 인자 품질화에 기여하는 경우가 크다.

Claims (25)

  1. 삭제
  2. 잠상 담지체 유닛과 현상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잠상 담지체 유닛과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화상 형성 유닛에 있어서,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을 상기 현상 유닛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 또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구동 동작 중 적어도 한쪽에 연동하여, 상기 현상 유닛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를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추종 가압하는 수단은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에 설치된 상기 레버 개폐 기구는 폐현상제 수용부의 저부로부터 상기 현상 유닛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를 잠상 담지체 유닛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이,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현상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현상 유닛의 회전 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를 잠상 담지체 유닛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이,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현상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현상 유닛의 회전 기구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잠상 담지체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잠상 담지체의 회전 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담지체의 회전시에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측에 현상 유닛측에 설치된 돌기와 접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잠상 담지체의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을 잠상 담지체 유닛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개폐 기구가 현상 유닛측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에 접속하는 슬라이딩 자재의 슬라이드 레버와 맞물리는 맞물림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 형성 유닛.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측에 상기 현상 유닛의 측벽에 설치된 홈과 계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 개폐 기구의 개폐에 따른 회전력에 의해 상기 현상 롤러를 상기 잠상 담지체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
  9. 삭제
  10. 삭제
  11. 잠상 담지체 유닛을 현상 유닛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 또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구동 동작 중 적어도 한쪽에 연동하여, 상기 현상 유닛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를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추종 가압하는 수단은 상기 현상 유닛측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에 접속하는 슬라이딩 자재한 슬라이드 레버와 맞물리는 맞물림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 개폐 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 개폐 기구는 폐현상제 수용부의 저부로부터 상기 현상 유닛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상 담지체 유닛.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담지체의 회전시에, 상기 현상 유닛측에 설치된 돌기와 접합하여 잠상 담지체의 회전 기구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현상 유닛을 상기 잠상 담지체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상 담지체 유닛.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의 측벽에 설치된 홈과 계합하고, 레버 개폐 기구의 개폐에 따른 회전력에 의해 현상 유닛을 잠상 담지체에 추종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상 담지체 유닛.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잠상 담지체 유닛과 현상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잠상 담지체 유닛과 현상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화상 형성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을 상기 현상 유닛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 또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구동 동작 중 적어도 한쪽에 연동하고, 상기 현상 유닛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를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추종 가압하는 수단은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에 설치된 상기 레버 개폐 기구는 폐현상제 수용부의 저부로부터 상기 현상 유닛에 설치된 현상제 환류 기구에 현상제를 보내는 개폐 기구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삭제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를 잠상 담지체 유닛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이,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현상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현 상 유닛의 회전 기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을 구성하는 현상 롤러를 잠상 담지체 유닛을 구성하는 잠상 담지체에 추종 가압하는 수단이, 상기 잠상 담지체 유닛에 설치된 레버 개폐 기구,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현상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현상 유닛의 회전 기구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의 잠상 담지체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잠상 담지체의 회전 기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삭제
KR1020000036128A 1999-10-20 2000-06-28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및 화상형성 장치 KR100730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97977 1999-10-20
JP29797799A JP2001117306A (ja) 1999-10-20 1999-10-20 画像形成ユニット、潜像担持体ユニット、現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690A KR20010039690A (ko) 2001-05-15
KR100730324B1 true KR100730324B1 (ko) 2007-06-19

Family

ID=1785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128A KR100730324B1 (ko) 1999-10-20 2000-06-28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및 화상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77765B1 (ko)
JP (1) JP2001117306A (ko)
KR (1) KR100730324B1 (ko)
CN (1) CN1199088C (ko)
DE (1) DE1003063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9826B2 (ja) * 2001-08-23 2012-08-01 パナソニッ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記録装置
JP3907496B2 (ja) * 2002-02-27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現像剤収納容器とその組立て方法
JP4419451B2 (ja) * 2003-06-20 2010-02-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タンデム画像形成システム
US7190921B2 (en) * 2003-07-31 2007-03-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32120B1 (ko) * 2004-02-03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분리형 현상기
US7162182B2 (en) * 2004-03-19 2007-01-09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door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7136609B2 (en) * 2004-03-19 2006-11-14 Lexmark International, Inc. Movable subunit and two piece cartridg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KR20060029552A (ko) * 2004-10-02 200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JP4771690B2 (ja) * 2004-12-27 2011-09-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38247B2 (ja) * 2005-01-25 2011-02-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7171799A (ja) * 2005-12-26 2007-07-0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像形成ユニット、像形成ユニットの交換方向、及び像形成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7256353A (ja) * 2006-03-20 2007-10-0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7639965B2 (en) * 2006-04-19 2009-12-29 Lexmark International, Inc. Architecture for an image-forming device
US7675536B2 (en) * 2006-04-19 2010-03-09 Lexmark International, Inc. Architectures for multi-functional image forming devices
US7986911B2 (en) 2007-03-28 2011-07-26 Lexmark International, Inc. Architecture for a media feeding option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4803213B2 (ja) * 2007-05-31 2011-10-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066103B1 (ko) * 2009-12-21 2011-09-20 주식회사신도리코 투피스 카트리지의 현상 유닛 가압 고정 장치
JP5598160B2 (ja) 2010-08-25 2014-10-01 株式会社リコー 記録媒体分離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873999B2 (en) 2011-12-26 2014-10-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waste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JP6163957B2 (ja) 2013-08-13 2017-07-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JP6724495B2 (ja) * 2016-03-31 2020-07-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20281B2 (ja) * 2018-05-02 2022-02-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3805450B (zh) * 2021-09-16 2024-02-02 长城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激光打印机硒鼓充电辊总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7765A (ja) * 1987-12-23 1989-07-0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257381A (ja) * 1992-03-16 1993-10-08 Casio Electron Mfg Co Ltd 現像装置
JPH06222628A (ja) * 1993-01-26 1994-08-1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H06308782A (ja) * 1993-04-21 1994-11-04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736313A (ja) * 1993-07-22 1995-02-07 Tec Corp 画像形成ユニット支持装置
JPH09179363A (ja) * 1995-12-25 1997-07-11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274347A (ja) * 1996-04-03 1997-10-21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5179A (ja) 1985-07-18 1987-05-26 Minolta Camera Co Ltd 現像装置
EP0276910B1 (en) * 1987-01-09 1994-07-2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4894688A (en) * 1987-03-03 1990-01-16 Mita Industrial Co., Ltd. Device for circulating developer
US5079593A (en) * 1988-06-22 1992-01-07 Konica Corporation Toner recycling mechanism detachably connected to a cartridge
DE68914402D1 (de) * 1988-11-11 1994-05-11 Konishiroku Photo Ind Toner-Wiedergewinnungsvorrichtung.
JPH04204970A (ja) 1990-11-30 1992-07-27 Fujitsu Ltd 像形成装置
JPH0683172A (ja) 1992-09-02 1994-03-25 Fujitsu Ltd 画像記録装置
JPH07199650A (ja) * 1993-12-28 1995-08-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962074A (ja) 1995-08-23 1997-03-07 Fujitsu Ltd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5111B2 (ja) * 1997-03-18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結合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7765A (ja) * 1987-12-23 1989-07-0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257381A (ja) * 1992-03-16 1993-10-08 Casio Electron Mfg Co Ltd 現像装置
JPH06222628A (ja) * 1993-01-26 1994-08-1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H06308782A (ja) * 1993-04-21 1994-11-04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736313A (ja) * 1993-07-22 1995-02-07 Tec Corp 画像形成ユニット支持装置
JPH09179363A (ja) * 1995-12-25 1997-07-11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274347A (ja) * 1996-04-03 1997-10-21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30631B4 (de) 2016-09-22
KR20010039690A (ko) 2001-05-15
DE10030631A1 (de) 2001-05-31
US6377765B1 (en) 2002-04-23
CN1303031A (zh) 2001-07-11
CN1199088C (zh) 2005-04-27
JP2001117306A (ja) 200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324B1 (ko)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및 화상형성 장치
CA2691900C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24706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US11774905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542588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一端サイドカバーの取付け方法、他端サイドカバーの取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623328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67354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developing cartridge or process cartridge are detachably mountable comprising driving control means for permitting and preventing transmission of a driving force to a winding member
US8688003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5828928A (en) Process cartridge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leaning device
US7366452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0123925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US2012027582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16851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11077752A (zh) 显影盒及采用此的电子照相方式的图像形成装置
KR20180002514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카트리지
JP202305788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07614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24049516A (ja)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3154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005527A (ja) リサイク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