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579B1 -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579B1
KR100721579B1 KR1020020086394A KR20020086394A KR100721579B1 KR 100721579 B1 KR100721579 B1 KR 100721579B1 KR 1020020086394 A KR1020020086394 A KR 1020020086394A KR 20020086394 A KR20020086394 A KR 20020086394A KR 100721579 B1 KR100721579 B1 KR 10072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node
etching
layer
barrier layer
etching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9889A (ko
Inventor
박종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2008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579B1/ko
Priority to US10/615,087 priority patent/US6960504B2/en
Publication of KR2004005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 H01L28/91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made by depositing layers, e.g. by depositing alternating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4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by forming tapered via ho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10B12/318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the storage electrode having multiple seg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전극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이웃한 실린더형 하부전극간 붙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를 노출시키면서 하부 영역의 임계선폭이 상부 영역의 그것에 비해 큰 오목 패턴을 갖는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 패턴 내에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와 연결되면서 하부 선폭이 상부 선폭에 비해 큰 실린더구조의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의 표면에 산소확산배리어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소확산배리어막이 형성된 하부전극 상에 유전막과 상부전극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므로써, 하부전극의 하부 CD(BCD)가 상부 CD(TCD)에 비해 크므로, 하부전극이 견고하게 지지되고, 또한 이웃한하부전극의 상부 간격이 넓어 하부전극간 붙는 현상을 억제하므로 셀 사이의 듀얼 비트 페일을 방지하여 웨이퍼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린더, 캐패시터, 임계선폭, 습식식각, 식각배리어막

Description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on of capacitor}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캐패시터의 제조 공정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부전극간 붙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패시터의 제조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반도체 기판 22 : 층간절연막
23 : 제1 식각배리어막 24 : 스토리지노드 콘택 플러그
25 : 제2 식각배리어막 26 : 제1 스토리지노드 절연막
27 : 필라 패턴 28 : 제2 스토리지노드 절연막
29 : 오목 패턴 30a : 하부전극
32 : 산소확산배리어막 33 : Ta2O5
34 : 상부전극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메모리 소자의 고집적화, 소형화 및 고속화에 따라 캐패시터가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하고 있으며, 비록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 및 소형화되더라도 반도체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은 최소한 확보되어야한다.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을 실린더(Cyclinder) 구조, 스택(Stack) 구조, 오목(Concave)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하여 제한된 면적 하에서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의 유효 표면적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또한, 캐패시터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전극의 높이를 증가시키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기술에 따른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및 비트라인 등의 반도체 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1) 상부에 층간절연막(12)을 형성한 후, 층간절연막(12)을 식각하여 반도체 기판(11)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스토리지노드콘택홀을 형성한다.
다음에, 스토리지노드콘택홀 내에 매립되어 반도체 기판(11)과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13)를 형성한 후,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13)를 포함한 층간절연막(12) 상에 식각배리어막(etch barrier layer)(14)과 하부전극의 높이를 결정짓는 스토리지노드 산화막(15)을 차례로 증착한다.
다음에, 스토리지노드 산화막(15)과 식각배리어막(14)을 식각하여 하부전극이 형성될 영역, 예컨대 오목(concave) 패턴(16)을 형성한다. 이때, 오목 패턴(16)은 두꺼운 스토리지노드 산화막(15)을 건식식각하여 형성하므로 수직에 가까운 프로파일로 식각되지 않기 때문에, 상부 임계선폭(Top Critical Dimension, TCD)이 하부 임계선폭(Bottom CD, BCD)에 비해 크다. 이하, 임계선폭을 CD라고 약칭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패턴(16)을 포함한 전면에 하부전극용 도전막을 증착한 후, 오목 패턴(16)을 채울때까지 하부전극용 도전막 상에 감광막을 도포한다. 다음에, 에치백이나 화학적기계적연마를 통해 오목패턴(16)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된 하부전극용 도전막을 제거하여 오목 패턴(16) 내부에만 잔류하는 실린더구조의 하부전극(17)을 형성한 후, 감광막을 제거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리지노드 산화막(15)을 습식 딥아웃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이때, 드러나는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17)은 오목패턴(16)과 동일하게 상부 CD(TCD)가 하부 CD(BCD)에 비해 크고, 이로써 이웃한 실린더형 하부전극(17)간 간격(y1)이 좁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17) 상에 유전막(18)과 상부전극(19)를 차례로 형성하여 캐패시터를 완성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구조의 하부 전극(17)의 상부 CD(TCD)가 하부 CD(BCD)에 비해 크고, 이웃한 하부전극(17)간 간격(y1)이 좁기 때문에, 똑바로 지지되지 못하여 이웃한 하부전극(17)과 붙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하부전극(17)끼리 붙을 경우에는 듀얼 비트 페일(dual bit fail)을 유발하게 되어 각 셀을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하부전극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이웃한 실린더형 하부전극간 붙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홀을 갖는 층간절연막과 제1 식각배리어막의 적층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막의 홀에 매립되어 상기 반도체 기판과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막 상에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를 노출시키면서 하부 영역의 임계선폭이 상부 영역의 그것에 비해 큰 오목 패턴을 갖는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 패턴 내에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와 연결되면서 하부 선폭이 상부 선폭에 비해 큰 실린더구조의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의 표면에 산소확산배리어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소확산배리어막이 형성된 하부전극 상에 유전막과 상부전극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과 제1 식각배리어막의 적층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막을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스토리지노드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홀에 매립되어 상기 반도체 기판과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 및 상기 적층막 상에 제2 식각배리어막과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과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을 순차적으로 건식식각하여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 상에 하부의 임계선폭이 상부의 그것에 비해 큰 필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라 패턴을 에워싸는 제2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라 패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플러그를 노출시키는 오목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 패턴 내부에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와 연결되면서 하부의 임계선폭이 상부의 그것에 비해 큰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의 표면을 질화시켜 산소확산배리어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소확산배리어막이 형성된 하부전극 상에 유전막과 상부전극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 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및 비트라인 등의 반도체 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21) 상부에 층간절연막(22)과 제1 식각배리어막(23)을 증착한다. 이때, 제1 식각배리어막(23)은 300Å∼1000Å의 두께로 증착한 질화막(nitride)이며, 후속 건식식각 배리어막 역할 및 제1 스토리지노드 절연막의 습식식각 배리어막 역할을 한다.
다음에, 마스크 및 식각 공정을 통해 제1 식각배리어막(23)과 층간절연막(22)을 식각하여 반도체 기판(21)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스토리지노드콘택홀을 형성한 후, 스토리지노드콘택홀을 채울때까지 제1 식각배리어막(23) 상에 폴리실리콘막을 증착한다.
그리고, 제1 식각배리어막(23)의 표면이 드러날때까지 폴리실리콘막을 화학적기계적연마(CMP) 공정으로 평탄화시켜 폴리실리콘막으로 된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24)를 형성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24) 및 제1 식각배리어막(23) 상에 폴리실리콘막(polysilicon) 또는 티타늄나이트라이드막(TiN)으로 된 제2 식각배리어막(25)을 300Å∼10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제2 식각배리어막(25) 상에 질화막(Si3N4)의 제1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6)을 5000Å∼300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때, 제2 식각배리어막(25)은 제1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6)의 건식식각 배 리어막 역할과 이후 진행되는 제1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6)의 습식식각 배리어막 역할을 한다.
다음에, 마스크 및 식각 공정을 통해 제2 식각배리어막(25)에서 식각이 멈추도록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26)을 건식식각하고, 연속해서 제1 식각배리어막(23)에서 식각이 멈추도록 제2 식각배리어막(25)을 건식식각하여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24)에 접하며 상부 CD(TCD)에 비해 하부 CD(BCD)가 넓은 필라(pillar) 패턴(27)을 형성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 패턴(27)간 공간을 채울때까지 필라 패턴(27) 상에 제2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8)을 형성한 후, 필라 패턴(27)의 제1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6)의 표면이 드러날때까지 제2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8)을 화학적기계적연마하여 평탄화한다.
여기서, 제2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8)은 USG(Undoped Silicate Glass), PSG(Phospho Silicate Glass), BPSG(Boro Phospho Silicate Glass) 또는 PETEOS(Plasma Enhance Tetra Ethyl Ortho Silicate)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 패턴(27)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데, 먼저 H3PO4 용액을 이용하여 제1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6)을 습식식각하고, 건식식각을 통해 제2 식각배리어막(25)을 식각한다.
이때, 제2 식각배리어막(25)은 제1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6)의 습식식각시 식각배리어막이고, 제1 식각배리어막(23)은 제2 식각배리어막(25)의 건식 식각시 식각배리어막이다.
한편, 제2 식각배리어막(25)은 건식식각외에 습식식각을 통해서도 제거할 수 있는데, 제2 식각배리어막(25)이 폴리실리콘막인 경우에는 HNO3/HF/CH3COOH의 혼합 수용액을 이용하여 습식식각하고, 제2 식각배리어막(25)이 티타늄나이트라이드막인 경우에는 H2SO4/H2O2의 혼합수용액을 이용하여 습식식각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필라 패턴(27)의 제거후, 제2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8)이 제공하는 오목 패턴(29)이 형성되며, 오목 패턴(29)은 필라 패턴(27)과 동일하게 상부 CD(TCD)가 하부 CD(BCD)에 비해 작으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24)를 노출시키는 스토리지노드 예정 영역이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 패턴(29)을 포함한 제2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8) 상에 하부전극용 도전막(30)을 증착한 후, 하부전극용 도전막(30) 상에 오목 패턴(29)을 채우는 두께로 감광막(31)을 도포한다. 이때, 하부전극용 도전막(30)은 도우프드 폴리실리콘막 또는 귀금속(noble metal) 계열의 금속막을 이용한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용 도전막(30)의 에치백 또는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을 통해 오목 패턴(29) 내에만 잔류하는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30a)을 형성한다.
자세히 살펴 보면, 하부전극용 도전막(30) 표면이 드러날때까지 감광막(31)을 에치백하여 오목 패턴(29) 내부에 감광막(31)을 잔류시키고, 감광막(31)이 잔류 한 상태에서 오목 패턴(29) 외부의 제2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8)상에 드러난 하부전극용 도전막(30)을 에치백 또는 화학적기계적연마하여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30a)을 형성한다.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하는 감광막(31)을 스트립하여 제거한 후, HF 또는 BOE(Buffered Oxide Etchant)를 이용하여 제2 스토리지노드 절연막(28)을 습식식각한다. 이때,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30a)의 외벽이 드러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30a)은 오목패턴(29)의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하부 CD(BCD)가 상부 CD(TCD)에 비해 크고, 이로써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30a)이 견고하게 지지되고, 이웃한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30a)의 상부 간격(y2)이 넓다.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30a) 표면을 NH3 플라즈마처리하여 질화시켜 후속 유전막의 열처리시 산소가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30a)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산소확산배리어막(32)을 형성한다.
이때, 질화시키는 공정은, 300℃∼ 500℃의 온도와 0.1torr∼10torr의 압력하에서 100W∼1000W의 RF 파워를 인가하면서 진행한다.
다음에, 질화된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30a) 상에 Ta2O5막(33)을 20Å∼100Å의 두께로 증착한다. 이때, Ta2O5막(33)의 증착은 300℃∼ 500℃의 온도와 0.1torr∼1torr의 압력에서 Ta(C2H5O)5 소스와 반응가스인 산소(O2 )를 이용하여 진행 한다.
다음에, Ta2O5막(33)의 특성 향상 및 결정화를 위해 500℃∼800℃의 고온에서 N2O 또는 O2 분위기로 로(furnace)를 이용하여 열처리한다.
마지막으로, 상부전극(34)을 증착한 후, 패터닝을 통해 캐패시터를 완성한다. 이때, 상부전극(34)의 물질로는 CVD TiN을 증착한 후 폴리실리콘막을 연속해서 증착한다. 그리고 500℃∼700℃의 온도로 질소 분위기에서 로를 이용하여 활성화 열처리를 실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의 하부 CD(BCD)가 상부 CD(TCD)에 비해 크므로, 하부전극이 견고하게 지지되고, 또한 이웃한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간 상부 간격이 넓어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들이 서로 붙는 현상을 억제하므로 셀 사이의 듀얼 비트 페일을 방지하여 웨이퍼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홀을 갖는 층간절연막과 제1 식각배리어막의 적층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막의 홀에 매립되어 상기 반도체 기판과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막 상에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를 노출시키면서 하부 영역의 임계선폭이 상부 영역의 그것에 비해 큰 오목 패턴을 갖는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 패턴 내에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와 연결되면서 하부 선폭이 상부 선폭에 비해 큰 실린더구조의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의 표면에 산소확산배리어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소확산배리어막이 형성된 하부전극 상에 유전막과 상부전극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패턴을 갖는 스토리지노드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 상에 제2 식각배리어막과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이 적층되고 하부의 임계선폭이 상부의 그것에 비해 큰 필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라 패턴을 에워싸는 제2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각배리어막을 식각배리어막으로 하여 상기 필라 패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 플러그를 노출시키면서 상기 필라패턴의 형태를 갖는 오목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패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오목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을 식각배리어막으로 하여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각배리어막을 식각배리어막으로 하여 제2 식각배리어막을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은 습식식각을 통해 식각하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습식식각을 통해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은 습식식각을 통해 식각하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건식식각을 통해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6.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과 상기 제1 식각배리어막은 질화막이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폴리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7. 제2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과 상기 제1 식각배리어막은 질화막이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티타늄나이트라이드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은 H3PO4 용액을 이용하여 습식식각하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HNO3/HF/CH3COOH의 혼합 수용액을 이용하여 습식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은 H3PO4 용액을 이용하여 습식식각하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H2SO4/H2O2의 혼합수용액을 이용하여 습식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확산배리어막은,
    상기 하부전극 표면을 NH3 플라즈마처리를 통해 질화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11. 반도체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과 제1 식각배리어막의 적층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막을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스토리지노드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홀에 매립되어 상기 반도체 기판과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 및 상기 적층막 상에 제2 식각배리어막과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과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을 순차적으로 건식식각하여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 상에 하부의 임계선폭이 상부의 그것에 비해 큰 필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라 패턴을 에워싸는 제2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라 패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플러그를 노출시키는 오목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 패턴 내부에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플러그와 연결되면서 하부의 임계선폭이 상부의 그것에 비해 큰 실린더 구조의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스토리지노드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의 표면을 질화시켜 산소확산배리어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소확산배리어막이 형성된 하부전극 상에 유전막과 상부전극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패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오목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을 식각배리어막으로 하여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 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각배리어막을 식각배리어막으로 하여 제2 식각배리어막을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은 습식식각을 통해 식각하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습식식각을 통해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은 습식식각을 통해 식각하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건식식각을 통해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15.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과 상기 제1 식각배리어막은 질화막이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폴리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16. 제12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과 상기 제1 식각배리어막은 질화막이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티타늄나이트라이드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은 H3PO4 용액을 이용하여 습식식각하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HNO3/HF/CH3COOH의 혼합 수용액을 이용하여 습식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 스토리지노드절연막은 H3PO4 용액을 이용하여 습식식각하고, 상기 제2 식각배리어막은 H2SO4/H2O2의 혼합수용액을 이용하여 습식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20020086394A 2002-12-30 2002-12-30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721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394A KR100721579B1 (ko) 2002-12-30 2002-12-30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US10/615,087 US6960504B2 (en) 2002-12-30 2003-07-09 Method for fabricating capac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394A KR100721579B1 (ko) 2002-12-30 2002-12-30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889A KR20040059889A (ko) 2004-07-06
KR100721579B1 true KR100721579B1 (ko) 2007-05-23

Family

ID=3265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394A KR100721579B1 (ko) 2002-12-30 2002-12-30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60504B2 (ko)
KR (1) KR100721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579B1 (ko) * 2002-12-30 2007-05-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668833B1 (ko) * 2004-12-17 2007-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8008701B2 (en) * 2004-12-22 2011-08-30 Giorgio Servalli Method of making a floating gate non-volatile MO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mproved capacitive coupling and device thus obtained
JP2009535835A (ja) * 2006-05-02 2009-10-01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改良された電極を備える電気デバイス
US8040721B2 (en) * 2009-08-31 2011-10-18 Sandisk 3D Llc Creating short program pulses in asymmetric memory arrays
KR101883380B1 (ko) * 2011-12-26 2018-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US10643936B2 (en) * 2017-05-31 2020-05-05 Dyi-chung Hu Package substrate and package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832A (ko) * 1998-06-23 2000-01-15 윤종용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형성된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KR20000040534A (ko) * 1998-12-18 2000-07-05 윤종용 전기 도금방식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20020084595A (ko) * 2001-05-03 2002-1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4390A (en) * 1996-01-23 1998-05-19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apacitor bottom electrode for use with conformal dielectric
US6911371B2 (en) * 1997-12-19 2005-06-28 Micron Technology, Inc. Capacitor forming methods with barrier layers to threshold voltage shift inducing material
US6496352B2 (en) * 1998-06-30 2002-12-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st-in-crown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84551B1 (en) * 1999-06-14 2001-09-04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Capaci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6429087B2 (en) * 1999-08-30 2002-08-0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capacitors
US6611017B2 (en) * 2000-03-27 2003-08-26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provided with capacitor having cavity-provided electrode
US20020168847A1 (en) * 2001-05-09 2002-11-14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of forming a nitridated surface on a metallic layer and products produced thereby
US6825081B2 (en) * 2001-07-24 2004-11-30 Micron Technology, Inc. Cell nitride nucleation on insulative layers and reduced corner leakage of container capacitors
KR100500940B1 (ko) * 2002-06-21 2005-07-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6664198B1 (en) * 2002-07-03 2003-12-1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 silicon nitride dielectric layer
TWI271872B (en) * 2002-12-30 2007-01-21 Hynix Semiconductor Inc Capaci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721579B1 (ko) * 2002-12-30 2007-05-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832A (ko) * 1998-06-23 2000-01-15 윤종용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형성된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KR20000040534A (ko) * 1998-12-18 2000-07-05 윤종용 전기 도금방식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20020084595A (ko) * 2001-05-03 2002-1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60504B2 (en) 2005-11-01
US20040126982A1 (en) 2004-07-01
KR20040059889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724B1 (ko) 저온 원자층증착에 의한 질화막을 식각저지층으로이용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53839B1 (ko) 캐패시터와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그 제조 방법
KR100655774B1 (ko) 식각 저지 구조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60333A (ko) 반도체 소자의 실린더형 커패시터 제조 방법
JP2001053248A (ja) 半導体素子のシリンダ形ストレージ電極製造方法
KR100721579B1 (ko)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238615B1 (ko) 스택된 캐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조 방법
KR10036663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692418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pacitor bottom electrode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300046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KR100465836B1 (ko)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388453B1 (ko)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721546B1 (ko) 캐패시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2009259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00695A (ko) 반도체소자의 스토리지 노드 형성방법
KR100587032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08626A (ko) 실린더형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20010058980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JP201105467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40039592A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20050067476A (ko)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20020024738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스토리지노드 전극 제조 방법
KR20090122560A (ko) 캐패시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00964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20040057583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