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304B1 -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304B1
KR100718304B1 KR1020070023140A KR20070023140A KR100718304B1 KR 100718304 B1 KR100718304 B1 KR 100718304B1 KR 1020070023140 A KR1020070023140 A KR 1020070023140A KR 20070023140 A KR20070023140 A KR 20070023140A KR 100718304 B1 KR100718304 B1 KR 100718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wing machine
sewing
driv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478A (ko
Inventor
박후식
Original Assignee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38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304B1/ko
Priority to US11/753,594 priority Critical patent/US7497178B2/en
Priority to JP2007143310A priority patent/JP4384201B2/ja
Priority to EP07011161.2A priority patent/EP1947228A3/en
Priority to TW096121244A priority patent/TWI349056B/zh
Priority to CN200710111048XA priority patent/CN101225584B/zh
Priority to PCT/KR2008/000234 priority patent/WO200808815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3/00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 D05C3/02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싱의 몸체부에 설치된 X축 및/또는 Y축 고정 프레임 상(上)에서 봉제틀(수틀) 구동수단이 왕복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봉제틀 전체에 균일한 이송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이송 작업시 봉제틀의 흔들림으로 자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싱의 테이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피 봉제물을 지지하는 봉제틀을 좌우방향(X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X방향 이송기구와, 상기 봉제틀을 전후방향(Y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Y방향 이송기구를 각각 구비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X방향 이송기구와 상기 Y방향 이송기구 중 어느 하나의 이송기구는: 상기 미싱의 몸체부에 설치되며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봉제틀을 왕복 이송시키는 봉제틀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싱, 자수기, 봉제틀, 수틀프레임, 이송기구, 랙(Rack), 기어, 타이밍벨트

Description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APPARATUS OF DRIVING EMBROIDERY FRAME FOR EMBROIDERY MACHIN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다두형 자동 자수기의 전체 외형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수기의 헤드 및 가마 구동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를 구비한 미싱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수단의 상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이송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Y방향 이송기구를 예로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미싱 101 : 기계바디
102 : 테이블 103 : 상부프레임 지지축
104 : 상부프레임 105 : 윗실 스탠드
106 : 헤드 107 : 실장력 조정판
108 : 틀 구동체 109 : 오퍼레이션 박스
110 : 하부프레임 111 : 봉제틀
112 : 이송프레임 113 : 연결체
114 : 연결축 115 : 실린더형 베드
116 : 제 1 브라켓 117 : 제 2 브라켓
118 : 고정부재 120 : X방향 이송기구
130 : X축 구동모터 또는 구동원
140 : 고정 프레임 141 : 기어치
150 : 봉제틀 구동수단
211 : 구동체(구동풀리) 212 : 치합부재
213~215 : 회전부재 또는 아이들러(idler)
220 : Y방향 이송기구 230 : Y축 구동모터 또는 구동원
본 발명은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싱의 몸체부에 설치된 X축 및/또는 Y축 고정 프레임 상(上)에서 봉제틀(수틀) 구동수단이 왕복 이송 되도록 함으로써, 봉제틀 전체에 균일한 이송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이송 작업시 봉제틀의 흔들림으로 자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싱의 테이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싱(mishin)은 바느질을 하는 기계로서 자수기와 재봉기가 있다. 이때, 상기 자수기는 바느질을 할 수 있는 바늘대가 상하운동을 하는 동안, 원단을 고정한 수틀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수를 놓는 기계장치이고, 상기 재봉기는 흔히 가정에서 주로 쓰는 재봉기를 말한다.
상기 재봉기는 톱니 모양의 이송대를 이용해 원단을 이송시키며 재봉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자수기는 원단을 고정한 프레임이 X, Y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자수하도록 구성된 점이 다르다.
이러한 자수기는 원단을 고정한 봉제틀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자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틀 이동의 정확성과 정속성이 자수의 품질에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따라서, 자수기 바늘대의 상하 운동을 구동하는 동력원으로는 서버모터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유도모터 등이 사용되고, 봉제틀을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원으로는 위치 결정력이 좋고 제어가 용이한 스탭핑 모터가 보통 사용된다.
상기 자수기에는 헤드가 하나 있는 단두형 자동 자수기와, 헤드가 두 개 이상 있는 다두형 자동 자수기, 컴퓨터 퀼팅기(computer quilting machine)와 같은 특수 자수기 등이 있다.
그러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자수기의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다두형 자동 자수기의 전체 외형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수기의 헤드 및 가마 구동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다두형 자동 자수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수기를 지지하는 기계 바디(1)와, 상기 기계 바디(1)에 설치된 테이블(2)과, 상기 테이블(2) 상부에 설치되며 자수 놓을 천을 고정시키는 봉제틀(또는, '자수틀'이라고도 함)(3)과, 상기 봉제틀(3) 상부의 상축(11)에 설치되며 자수 작업을 하는 다수개의 헤드(4)와, 상기 테이블(2) 하부의 하축(12)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4)와 대향되게 위치하면서 밑실을 공급하는 가마{또는, 훅(Hook)이라고도 함)(15)과, 상기 테이블(2)의 하부에 설치된 주 콘트롤러 박스(5)와, 상기 테이블(2)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조작 패널(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2)의 일측 하단에는 주축구동모터(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축구동모터(13)의 회전축과 상기 하축(12) 사이에는 제 1 밸트(14a)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축(12)과 상기 상축(11) 사이에는 제 2 밸트(14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주축구동모터(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축(12)과 상기 상축(11)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하축(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마(15)가 구동하여 자수를 위한 밑실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상축(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4)에 설치된 바늘대(4a)가 구동하여 옷감에 자수를 놓게 된다.
상기 자수기에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보통 다수개(예를 들어, 10개 내지 24개)의 헤드(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헤드(4)는 한 개의 회전축(상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헤드(4)에는 다수개(예를 들어, 6개 내지 15개 정도)의 바늘이 있고, 각 바늘마다 다른 색의 실들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4)는 여러 색의 실을 사용하여 자수 디자인에 따라 자수를 한다.
한편, 수평한 미싱 테이블 상에 위치하는 봉제틀을 컴퓨터에 기억시킨 각종의 봉제 데이터에 의거하여 평면좌표에 있어서의 X방향 및 Y방향(좌우 및 전후)으로 제어하여 이동시키는 이송기구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형식의 것이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2개의 미싱헤드를 갖춘 미싱을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 봉제물이 재치되는 미싱 테이블(6)과, 상기 미싱 테이블(2) 상부에 설치되며 자수 놓을 피 봉제물을 고정시키는 봉제틀(26)과, 상기 봉제틀(26)을 유지하는 긴 틀구동체(1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봉제틀(26)은 상기 미싱 테이블(6)의 상부에 피 봉제물을 지지하는 한 쌍의 긴 횡틀과 한 쌍의 종틀을 가지는 사각 테두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싱 테이블(6)의 하부에는 상기 봉제틀(26)을 상기 미싱 테이블(6) 위에서 전후방향(Y방향) 및 좌우방향(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구조(5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미싱 테이블(6)의 하면에는 봉제틀(26)을 Y방향을 이동시키는 Y방향 이송기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Y방향 이송기구(11)는 전방 부위 및 후방 부위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풀리(67)(68)와, 상기 풀리(67)(68) 사이에 걸쳐지는 2개의 장설의 벨트(69)(70)와, 후방 부위에 위치하는 좌우의 풀리(68)에 연결축(13)을 통하여 연결하는 Y방향 구동모터(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에 위치하는 2개의 벨트(68)(70)와 상기 틀구동체(10)의 양단부와는 상기 미싱 테이블(6)에 Y방향으로 형성하는 슬릿(1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Y방향 구동모터(14)의 정/역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틀구동체(10) 및 상기 틀구동체(10)에 유지되는 봉제틀(26)은 Y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미싱 헤드(5)의 하부에는 실린더 타입의 지지대(7)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틀구동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봉제틀(26)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방향 이송기구(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X방향 이송기구(21)는 그 좌우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풀리(71)(72)와, 이들 풀리(71)(72) 사이에 걸쳐지는 장설의 벨트(73)와, 우측에 위치하는 풀리(72)에 직접 연결되는 X방향 구동모터(74)로 기본적인 구성을 하고 있다.
상기 벨트(73)에는 연결체(75)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부착되고, 이 연결체(75)에는 상기 봉제틀(26)이 수평으로 부착되며 상기 틀구동체(10)의 전면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X방향 구동모터(74)를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봉제틀(26)은 X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장설의 타이밍 벨트에 의 해 상기 봉제틀을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타이밍 벨트의 동력 전달 시 슬립이 발생하거나 벨트가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정확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봉제틀의 구동범위를 증가시킬 경우 상기 타이밍 벨트의 길이도 Y축 방향으로 신장해야 하는데, 이때 상기 타이밍 벨트의 길이가 Y축 방향으로 길어지는 경우 그 만큼 진동이 쉽게 발생되고, 또한 백래쉬(Backlash) 등이 생겨 정확한 동력 전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고속 운전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Y방향 이송기구의 후방 부위에 위치하는 Y방향 구동모터로 인해 미싱의 전체 폭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미싱의 몸체부에 설치된 X축 및/또는 Y축 고정 프레임 상(上)에서 봉제틀(수틀) 구동수단이 왕복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봉제틀 전체에 균일한 이송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 고속에서도 정확하게 자수데이터 대로 봉제가 이루어져 양질의 자수 무늬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싱의 Y방향의 폭이 좁아져 미싱의 전체 폭을 줄일 수 있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미싱의 몸체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 프레임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에 상기 고정 프레임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기어치를 구비한 타이밍 벨트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래크 피니언 구동방식을 이용한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피 봉제물을 지지하는 봉제틀을 좌우방향(X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X방향 이송기구와, 상기 봉제틀을 전후방향(Y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Y방향 이송기구를 각각 구비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X방향 이송기구와 상기 Y방향 이송기구 중 어느 하나의 이송기구는: 상기 미싱의 몸체부에 설치되며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봉제틀을 왕복 이송시키는 봉제틀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피 봉제물을 장착 및 유지하는 봉제틀을 구비하며 미싱의 테이블에 적치되는 틀구동체와, 상기 틀구동체를 미싱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Y방향 이송기구를 구비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Y방향 이송기구는: 상기 틀구동체의 상방에 Y방향으로 설치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틀구동체를 Y방향으로 전후 왕복 이동시키는 봉제틀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상기 틀구동체에 설치되어 봉제틀을 X방향으 로 왕복 이송시키는 X방향 이송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X방향 이송기구는: 상기 틀구동체 상에 X방향(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기어치가 형성된 이송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의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이송프레임을 X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봉제틀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 프레임은 상기 봉제틀을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되는 치합부재와; 상기 치합부재를 회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전부재; 및 상기 치합부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합부재는 벨트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형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되는 기어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체는 상기 치합부재와 치합되는 기어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되는 치합부재 및 상기 치합부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합부재는 피니언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마다 각각 개별 구동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싱의 봉제틀 구동수단은 한 개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상기 Y방향 이송기구의 봉제틀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미싱의 몸체부는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일측(전단부)이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후단부)이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미싱의 몸체부에 설치되며 X축 및/또는 Y축 고정 프레임 상(上)에서 봉제틀(수틀) 구동수단이 왕복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봉제틀 전체에 균일한 이송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이송작업 시 봉제틀의 흔들림으로 자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싱의 테이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를 구비한 미싱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수단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이송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Y방향 이송기구를 예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 봉제물을 지지하는 봉제틀(111)을 좌우방향(X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X방향 이송기구(120)와, 상기 봉제틀(111)을 전후방향(Y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Y방향 이송기구(2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X방향 이송기구(120)와 상기 Y방향 이송기구(220) 중 어느 하나의 이송기구는, 상기 미싱의 몸체부에 설치되며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140)과, 상기 고정 프레임(140)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봉제틀(111)을 왕복 이송시키는 봉제틀 구동수단(150 및 1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미싱(100)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피 봉제물을 장착 및 유지하는 봉제틀(111)을 구비하며 미싱의 테이블(102)에 적치되는 틀구동체(108)와, 상기 틀구동체(108)를 미싱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Y방향 이송기구(220)를 구비하며, 상기 Y방향 이송기구(220)는 상기 틀구동체(108)의 상방에 Y방향으로 설치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140)과, 상기 고정 프레임(140)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틀구동체(108)를 Y방향으로 전후 왕복 이동시키는 봉제틀 구동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상기 틀구동체(108)에 설치되어 봉제틀(111)을 X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X방향 이송기구(12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X방향 이송기구(120)는 상기 틀구동체(108) 상에 X방향(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기어치가 형성된 이송프레임(112)과, 상기 이송프레임(112)의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이송프레임(112)을 X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봉제틀 구동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210Y)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40)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되는 치합부재(212)와, 상기 치합부재(212)를 회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전부재(213∼215)와, 상기 치합부재(212)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체(2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치합부재(212)는 상기 고정 프레임(140)에 형성된 기어치(141)와 치합되는 기어치(212a)를 구비한 벨트형 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재(213∼215)는 상기 치합부재(212)를 지지하며, 상기 구동체(211)는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재(213∼215) 중에서 상단에 구성된 회전부재(213,214)의 회전축보다 낮은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상단에 구성된 회전부재(213,214)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치합부재(212)는 상기 회전부재(213,214) 사이에 구성된 상기 구동체(211)에 의해 상기 치합부재(212)의 모양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회전부재(213∼215)는 아이들러(idler)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상기 Y방향 이송기구(220)의 봉제틀 구동수단(15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X방향 이송기구(120)의 봉제틀 구동수단(150)도 상기 Y방향 이송기구(220)의 봉제틀 구동수단(150)의 구성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피 봉제물을 장착 및 유지하는 상기 봉제틀(111)은 상기 연결체(113)에 의해 상기 이송프레임(112)에 착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150)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Y축 구동모터(230)는 구동력을 균등하게 제공하기 위해 복수 개의 Y방향 이송기구(220) 중에서 가운데 위치한 Y방향 이송기구(220)의 봉제틀 구동수단(15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150)은 각 봉제틀 구동수단의 구동체(211)를 구동하기 위한 X방향으로 긴 연결축(114)과 이 연결축(114)에 형성된 풀리(미도시)와 상기 Y축 구동 모터(230)의 구동축(미도시)의 회전력을 상기 풀리에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미도시)로 구성되어 각 봉제틀 구동수단이 동시에 구동되어 이송하게 된다.
상기 Y방향 이송기구(220) 중 일부 고정 프레임(140)은 진동 및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브라켓(116)을 사용하여 상부 프레임(104)에 일 측(전단부)이 고정되어 있고, 제 2 브라켓(117)을 사용하여 하부 프레임(110)에 타 측(후단부)이 고정되어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상기 Y방향 이송기구(220)는 전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104)을 지지하는 지지축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150)의 하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구동체(108)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18)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150)과 함께 상기 고정 프레임(140)에 대해 전후 왕복 이동됨으로써, 상기 틀구동체(108)를 미싱의 전후방향(Y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Y방향 이송기구(220)의 고정 프레임(140)은 상기 테이블(102)의 하방에 설치해도 무방하며, 상기 테이블(102)에 Y방향으로 형성하는 슬릿을 통하여 상기 테이블(102) 상에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150)이 미싱의 전후방향(Y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X방향 이송기구(120)를 상기 틀구동체(108)에 설치시켜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150)이 상기 이송프레임(112)을 좌우 방향(X방향)으로 이동시켜 상 기 봉제틀(111)을 이송시켰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틀구동체(108) 내에 상기 고정 프레임(140)을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150)이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봉제틀(111)을 좌우 방향(X방향)으로 이송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기재된 봉제틀 이송구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은 봉제틀 구동수단 별로 개별 설치될 수도 있고, 각 X방향 이송기구 및 Y방향 이송기구별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한 개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하나의 출력축을 다수 개의 봉제틀 구동수단에 동시에 연결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 내부에 내설되는 치합부재는 타이밍 벨트와 같은 벨트 형태의 전동부재일 수도 있고, 체인과 같은 전동부재일 수도 있으며, 구동체와 직접 당접하는 전동기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 내부에 내설되어 구동원에 연결되는 구동체는 타이밍 풀리, 스프로킷 기어, 구동기어, 구동풀리 등과 같이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 및 수단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상기 Y방향 이송기구 또는 X방향 이송기구가 적용되는 모든 미싱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150)(150)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되는 치합부재 및 상기 치합부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치합부재는 피니언 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에 의하면, 미싱의 몸체부에 설치된 X축 및/또는 Y축 고정 프레임 상(上)에서 봉제틀(수틀) 구동수단이 왕복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봉제틀 전체에 균일한 이송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고속에서도 정확하게 자수데이터 대로 봉제가 이루어져 양질의 자수 무늬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싱의 Y방향의 폭이 좁아져 미싱의 전체 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봉제틀을 구동하는 이송기구들을 미싱의 테이블 상부에 설치하여 틀구동체에 균등한 이송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틀구동체의 처짐이나 변형 등을 방지하여 고속에서도 봉제틀을 정밀하게 구동하여 양질의 자수 무늬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미싱의 몸체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 프레임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에 상기 고정 프레임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기어치를 구비한 타이밍 벨트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래크 피니언 구동방식을 이용한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봉제틀 전체에 균일한 이송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 고속에서도 정확하게 자수데이터 대로 봉제가 이루어져 양질의 자수 무늬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싱의 Y방향의 폭이 좁아져 미싱의 전체 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송기구는 봉제틀의 정밀도와 고속 운전성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대형의 봉제틀을 구동하는 경우라도, 부품수, 비용, 구동소음 등의 증대를 최소화하면서 봉제틀의 휨 변형 방지와 정밀도 높은 구동을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피 봉제물을 지지하는 봉제틀을 좌우방향(X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X방향 이송기구와, 상기 봉제틀을 전후방향(Y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Y방향 이송기구를 각각 구비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X방향 이송기구와 상기 Y방향 이송기구 중 어느 하나의 이송기구는:
    상기 미싱의 몸체부에 설치되며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봉제틀을 왕복 이송시키는 봉제틀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2. 피 봉제물을 장착 및 유지하는 봉제틀을 구비하며 미싱의 테이블에 적치되는 틀구동체와, 상기 틀구동체를 미싱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Y방향 이송기구를 구비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Y방향 이송기구는:
    상기 틀구동체의 상방에 Y방향으로 설치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틀구동체를 Y방향으로 전후 왕복 이동시키는 봉제틀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상기 틀구동체에 설치되어 봉제틀을 X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X방향 이송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X방향 이송기구는:
    상기 틀구동체 상에 X방향(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기어치가 형성된 이송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의 기어치와 치합되어 상기 이송프레임을 X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봉제틀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프레임은 상기 봉제틀을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틀 구동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되는 치합부재와;
    상기 치합부재를 회전 지지하는 복수 개의 회전부재; 및
    상기 치합부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치합부재는 벨트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형 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되는 기어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치합부재와 치합되는 기어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되는 치합부재 및 상기 치합부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치합부재는 피니언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 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는:
    상기 봉제틀 구동수단마다 각각 개별 구동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싱의 봉제틀 구동수단은:
    한 개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상기 Y방향 이송기구의 봉제틀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싱의 몸체부는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일측(전단부)이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후단부)이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KR1020070023140A 2007-01-17 2007-03-08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KR100718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53,594 US7497178B2 (en) 2007-01-17 2007-05-25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JP2007143310A JP4384201B2 (ja) 2007-01-17 2007-05-30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EP07011161.2A EP1947228A3 (en) 2007-01-17 2007-06-06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TW096121244A TWI349056B (en) 2007-01-17 2007-06-13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CN200710111048XA CN101225584B (zh) 2007-01-17 2007-06-13 用于驱动绣花机的绣花架的设备
PCT/KR2008/000234 WO2008088155A1 (en) 2007-01-17 2008-01-15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457 2007-01-17
KR20070005457 2007-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478A KR20070038478A (ko) 2007-04-10
KR100718304B1 true KR100718304B1 (ko) 2007-05-14

Family

ID=3815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140A KR100718304B1 (ko) 2007-01-17 2007-03-08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97178B2 (ko)
JP (1) JP4384201B2 (ko)
KR (1) KR100718304B1 (ko)
CN (1) CN101225584B (ko)
TW (1) TWI349056B (ko)
WO (1) WO2008088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5885B (zh) * 2010-03-10 2013-08-21 S S Industry Co Ltd Cloth fixture and fabric transmission
CN104976323B (zh) * 2015-06-02 2018-07-03 芜湖康道尔纺织科技有限公司 防震齿轮
JP7145485B2 (ja) * 2018-07-13 2022-10-03 株式会社ハッピージャパン 刺繍機の刺繍枠駆動装置
CN112323279B (zh) * 2020-11-16 2021-12-31 湖南大学 一种基于苗族刺绣的绣机及其机绣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3596A (ja) * 1989-11-23 1991-07-26 Duerkopp Adler Ag 上昇および下降する縫い針に対して相対的に移動可能な縫製品ホルダーを有するミシン
JPH0824453A (ja) * 1994-07-19 1996-01-30 Juki Corp ミシンの被縫製物移動装置
KR20010000120U (ko) * 1999-06-03 2001-01-05 김정호 자수기용 롤러 퀼팅기
KR20010029602A (ko) * 1999-03-23 2001-04-06 다지마 이쿠오 재봉기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0186A (en) * 1970-05-11 1973-07-31 Konan Camera Lab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record carrier for automatic embroidery sewing machine
JPS5923237B2 (ja) * 1979-06-19 1984-05-31 ユニテツク株式会社 自動縫製機における縫製対象物保持枠の駆動装置
US4406234A (en) * 1981-05-22 1983-09-27 Usm Corporation Positioning apparatus
US4386573A (en) * 1982-10-20 1983-06-07 The Singer Company Embroidery attachment for electronic sewing machine
US4665844A (en) * 1984-02-02 1987-05-19 Kabushikikaisha Barudan Curved cloth stretch frame construction for a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S6173684A (ja) * 1984-09-20 1986-04-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機械の被縫製物移動装置
JP2861575B2 (ja) * 1992-01-28 1999-0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刺繍ミシン
IT1278544B1 (it) * 1993-09-21 1997-11-24 Jam Di Sabbatini Donatella E C Espansione area di cucitura macchine industriali provviste di logica a controllo numerico mediante ancoraggio del carrello motorizzato in
JP2593087Y2 (ja) * 1993-10-15 1999-03-31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布押えの送り装置
JPH09192378A (ja) * 1996-01-23 1997-07-29 Juki Corp 自動縫いミシンのy送り駆動装置
DE19958008C1 (de) * 1999-12-02 2001-08-23 Duerkopp Adler Ag Nähanlage zur Herstellung einer Naht nach vorgegebenem Nahtverlauf
JP2003020557A (ja) * 2001-07-11 2003-01-24 Barudan Co Ltd ミシ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3596A (ja) * 1989-11-23 1991-07-26 Duerkopp Adler Ag 上昇および下降する縫い針に対して相対的に移動可能な縫製品ホルダーを有するミシン
JPH0824453A (ja) * 1994-07-19 1996-01-30 Juki Corp ミシンの被縫製物移動装置
KR20010029602A (ko) * 1999-03-23 2001-04-06 다지마 이쿠오 재봉기 및 그 장치
KR20010000120U (ko) * 1999-06-03 2001-01-05 김정호 자수기용 롤러 퀼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73440A (ja) 2008-07-31
CN101225584A (zh) 2008-07-23
JP4384201B2 (ja) 2009-12-16
TWI349056B (en) 2011-09-21
KR20070038478A (ko) 2007-04-10
US20080168935A1 (en) 2008-07-17
US7497178B2 (en) 2009-03-03
TW200831733A (en) 2008-08-01
WO2008088155A1 (en) 2008-07-24
CN101225584B (zh)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45060A1 (en) Sew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KR100718304B1 (ko)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KR20090008947A (ko) 재봉기의 수틀 이송장치
KR20100018015A (ko) 벨트 구동방식을 이용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JPH0824453A (ja) ミシンの被縫製物移動装置
US7503272B2 (en) Rack and pinion type power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having the same
KR100718303B1 (ko) 래크 피니언 구동방식을 이용한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구비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US6293214B1 (en) Sewing machine frame drive device
EP1947228A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JP3448156B2 (ja) 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KR200466197Y1 (ko) 패턴 재봉기의 x-y 이송 구동장치
KR890004809B1 (ko) 퀼팅 머시인(Quilting Machine)에 있어서의 직물 이송장치
US20030209176A1 (en) Sewing machine
KR100292472B1 (ko) 광폭 자수기의 자수프레임 구동장치
KR200439272Y1 (ko) 다두 자수기
JP2836403B2 (ja) 多頭ミシンの駆動装置
KR100219829B1 (ko) 다침재봉기
KR200323787Y1 (ko) 누비기
JP2001129280A (ja)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JPH09302569A (ja) 多頭式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KR100665306B1 (ko) 시퀸 이송장치
KR20040010241A (ko) 긴 길이의 작업물을 위한 이송장치를 갖는 멀티 헤드 미싱
KR100589562B1 (ko) 원단 이송장치의 원단 장력 생성 및 유지 장치
JP3075294B2 (ja) 複合ミシンのアタッチメント位置設定装置
JPH0424056A (ja) ミシンの加工布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