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592B1 -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592B1
KR100716592B1 KR1020027006909A KR20027006909A KR100716592B1 KR 100716592 B1 KR100716592 B1 KR 100716592B1 KR 1020027006909 A KR1020027006909 A KR 1020027006909A KR 20027006909 A KR20027006909 A KR 20027006909A KR 100716592 B1 KR100716592 B1 KR 100716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dehyde
resin
parts
deodora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745A (ko
Inventor
고로 아라키
마사하루 이와사키
유지 무라타
카즈사키 카미야
요시노부 아베
Original Assignee
오시카 코포레이션
오쯔까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시카 코포레이션, 오쯔까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시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7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불쾌한 악취성분, 특히 아세트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알데히드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알데히드 탈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탈취제는 유효성분으로서 (A)하이드라지드 화합물, 아졸 화합물, 및 아진 화합물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그리고 (B)금속 할로겐화물, 초산염, 황산염, 및 이황산염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ALDEHYDE DEODORIZ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악취성분으로, 인간의 건강문제와도 연관이 있는 아세트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포름알데히드등의 화학물질이 함유된 건축자재가 신축주택에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화학물질이 대량으로 기화 분산됨으로써 되어서 소위 실내공기오염 증후군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그러나, 포름알데히드류는, 각종 열경화성 수지나 접착제, 방미제 등에 이용되고, 저가이고 효과가 높은 대체가 곤란한 유효성분으로서 배합되므로, 이들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다.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사후적으로 알데히드류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알데히드 소취제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하이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 등의 N-N결합을 포함하는 알데히드 소취제는, 높은 알데히드 소취 효과가 있어 그 채용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알데히드 소취제는, 벽지, 수지 등에 이용되거나, 혹은, 목질재료의 처리재, 예를 들면 합판 등의 피처리재에 분무하여 처리함으로서, 합판에서 생기는 포름 알데히드 등을 없애고, 이후에 포름알데히드 등이 발생하지 않는 합판으로 하기 위한 처리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알데히드 소취제 만으로는 소취효과가 충분하다고 할 수 없고, 더욱 향상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A)하이드라지드류, 아졸류와 아진류와 다양한 화합물과의 병용계이므로, 여러번 시험을 거듭한 결과, (B)메탈 할로겐화물, 질산염, 황산염, 아황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류를 포함함으로써 눈에 뛰게 소취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A)하이드라자이드류, 아졸류, 아진류 중의 적어도 한종류와, (B)메탈 할로겐화물, 초산염, 황산염, 아황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하이드라자이드류, 아졸류, 아진류 중의 적어도 한종류와, (B)메탈 할로겐화물, 초산염, 황산염과 아황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하이드라자이드류, 아졸류, 아진류 중의 적어도 한종류와, (B)메탈 할로겐화물, 즉, 메탈 불화물, 메탈 염화물, 메탈 브롬화물과 메탈 요오드화물 중의 적어도 1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관한 것이다.
상기 (B)조성물로써 염화칼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에 (C)펄라이트,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요소와 황산제1철과 L-아스코르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유효성분으로 첨가되어 있는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에 있어서, (A)하이드라지드류와 아졸류, 아진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본 발명에 있어서 (A)성분)을 유효성분으로써 사용된다.
하이드라지드류는 예를 들면, 분자중에 하나의 하이드라지드기를 가지는 모노하이드라지드 화합물과, 분자중에 두개의 하이드라지드기를 가지는 디하이드라지드 화합물과, 분자중에 세개이상의 하이드라지드기를 가지는 폴리하이드라지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모노하이드라지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일반식
(1):R-Co-NHNH2 (1)
[식중의 R은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그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으로 도시되는 모노하이드라지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R로 도시되는 알킬기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n-노닐기, n-데실기와 n-언데실기 등의 탄소수 1-12의 직쇄상 알킬기를 포함한다. 알릴기는, 예를 들면, 페닐기, 비페닐기와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아릴기의 치환기는, 예를 들면, 수산기, 불소, 염소와 브롬 등의 할로겐원자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tert-부틸기와 이소-부틸기 등의 탄소수1-4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1)의 하이드라지드 화합물은 더욱 상세하게는, 라우릴산 하이드라지드, 살리실산 하이드라지드, 포름하이드라지드, 아세트하이드라지드, 프로피온산 하이드라지드, p-하이드록시벤조산 하이드라지드, 나프토산 하이드라지드와 3-하이드록시-2-나프토산 하이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다.
디하이드라지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일반식
H2NHN - X - NHNH2 (2)
[식중의 X는 기-CO- 또는 기-CO-A-CO-를 나타낸다. A는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로 도시되는 디하이드라지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2)에서 A로 도시되는 알킬렌기는,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헵타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노나메틸렌기, 데카메틸렌기와 언데카메틸렌기 등의 탄소수1-12의 직쇄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알킬렌기의 치환기는 수산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는, 예를 들면, 페닐렌기, 비페닐렌기, 나프틸렌기, 안트릴렌기, 페난트릴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등이 바람직하다. 아릴렌기의 치환기로는 상기 아릴기의 치환기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2)의 디하이드라지드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카르보하이드라지드, 수산디하이드라지드, 마론산 하이드라지드, 숙신산 하이드라지드, 아디핀산 디하이드라지드, 아젤라인산 디하이드라지드, 세바신산 디하이드라지드, 도데칸-2산 디하이드라지드, 말레인산 디하이드라지드, 푸말산 디하이드라지드, 디글리콜산 디하이드라지드, 주석산 디하이드라지드, 말릭산 디하이드라지드, 이소프탈산 디하이드라지드, 텔레프탈산 디하이드라지드, 다이머산 디하이드라지드와 2, 6-나프토산 디하이드라지드 등의 2염기산 디하이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고 평2-4607호 공보에 기재된 다양한 2염기산 디하이드라지드 화합물, 2, 4-디하이드라지드-6-메틸아미노-sym-트리아진 등도 본 발명의 디하이드라지드로써 사용할 수 있다.
폴리하이드라지드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폴리 아크릴산 하이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디하이드라지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2염기산 디하이드라지드가 더욱 바람직하며, 세바신산 디하이드라지드 및 아디핀산 디하이드라지드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라지드 화합물은 한 종을 단독으로 또는 두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졸류와 아진류로는, 분자중에 이항원자로서 두개 또는 세개의 질소원자를 가지고, 또한 해당 질소원자의 적어도 두개가 근접하는(N-N결합을 가지는)공지된 5원 내지 6원의 복소환화합물을 널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복소환화합물에는, 탄소수1-4정도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하나 또는 두개이상의 치환기를 가지는 아릴기, 수산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디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 멜캅토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 벤조트리아조릴기,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조릴기 등의 치환기가 하나 또는 두개이상 치환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탄소수 1-4정도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iso-부틸 그리고 tert-부틸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릴기로는 예를 들면, 페닐, 비페닐기, 나프틸기를 들 수 있다. 이들 기는, 수산기, 할로겐 원자, 술폰산기, 탄소수 1-4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등의 치환기가 하나 또는 두개이상 치환하여도 좋다. 치환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포함할 경우에는, 이들 에스테르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포함된다.
아졸류의 예로는, 디아졸류, 트리아졸류, 티아디아졸류와 테트라졸류 등을 들 수 있는데, 디아졸류 및 트리아졸류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디아졸류는 3-메틸-5-피라졸론, 1, 3-디메틸-5-피라졸론, 3-메틸-1-페닐-5-피라졸론, 3-페닐-6-피라졸론 그리고 3-메틸-1-(3-술포페닐)-5-피라졸론 등의 피라졸론류, 그리고 피라졸, 3-메틸피라졸, 1, 4-디메틸피라졸, 3, 5-디메틸피라졸, 3, 5-디메틸-1-페닐피라졸, 3-아미노피라졸, 5-아미노-3-메틸피라졸, 3-메틸피라졸-5-카르본산, 3-메틸피라졸-5-카르본산 메틸에스테르, 3-메틸피라졸-5-카르본산 에 틸에스테르, 3, 5-메틸피라졸 디카르본산 등의 피라졸류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졸류의 구체예로는, 1, 2, 3-트리아졸, 1, 2, 4-트리아졸, 3-n-부틸-1, 2, 4-트리아졸, 3, 5-디메틸-1, 2, 4-트리아졸, 3, 5-di-n-부틸-1, 2, 4-트리아졸, 3-멜캅토-1, 2, 4-트리아졸, 3-아미노-1, 2, 4-트리아졸, 4-아미노-1, 2, 4-트리아졸, 3, 5-디아미노-1, 2, 4-트리아졸, 5-아미노-3-멜캅토-1, 2, 4-트리아졸, 3-아미노-5-페닐-1, 2, 4-트리아졸, 3, 5-디페닐-1, 2, 4-트리아졸, 1, 2, 4-트리아졸-3-ON, dn라졸(3, 5-디옥시-1, 2, 4-트리아졸), 1, 2, 4-트리아졸-3-카르본산,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5-하이드록시-7-메틸-1, 3, 8-트리아자인돌리진, 1H-벤조트리아졸, 4-메틸-1H-벤조트리아졸 그리고 5-메틸-1H-벤조트리아졸 등을 포함한다.
아진류의 예로는, 디아진류, 트리아진류, 피리다진류 등을 들 수 있는데, 피리다진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피리다진류의 구체예로는, 6-메틸-8-하이드록시 트리아졸로 피리다진, 4, 5-디클로로-3-피리다진, 말레산 하이드라지드, 6-메틸-3-피리다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아졸류는 바람직하며, 1, 2, 4-트리아졸과 1, 2, 3-트리아졸과 같은 트리아졸류와, 3, 5-디메틸피라졸 등의 피라졸류, 3-메틸-5-피라졸론 동의 피라졸론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아졸류와 아진류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2종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B)메탈 할로겐화물, 초산염, 황산염, 아황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본 명서에 있어서 (B)성분)은,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알데히드류의 소취능력이 없거나 약하지만,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A)성분이 가지는 알데히드류의 소취능력을 한층 발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메탈 할로겐화물의 예로는, 메탈 불화물, 메탈 염화물, 메탈 브롬화물, 메탈 요오드화물을 들 수 있다.
메탈 불화물은, 불화 안티몬, 불화 칼륨, 불화 은, 불화 주석, 불화 바나듐을 들 수 있다.
메탈 염화물은, 염화 칼슘, 염화 마그네슘, 염화 마그네슘 칼륨, 염화 바륨, 염화 스트론튬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화물, 염화 아연, 염화 안티몬, 염화 알루미늄, 염화 세륨, 염화 티탄, 염화 망간, 염화 리튬, 염화 텅스텐 등을 들 수 있다.
메탈 브롬화물의 예로는, 브롬화 칼슘, 브롬화 마그네슘, 브롬화 스트론튬, 브롬화 바륨 등과 같은 알칼리 토류 메탈 브롬화물, 브롬화 아연, 브롬화 알루미늄, 브롬화 니켈, 브롬화 리튬, 브롬화 텅스텐 등을 들 수 있다.
메탈 요오드화물의 예로는, 요오드화 칼슘, 요오드화 스트론튬, 요오드화 바륨, 요오드화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메탈 요오드화물, 요오드화 망간, 요오드화 알루미늄, 요오드화 세륨, 요오드화 은, 요오드화 리튬, 요오드화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탈 초산염의 예로는, 초산 알루미늄, 초산 칼슘, 초산 마그네슘, 초산 나 트륨 을 들 수 있다.
메탈 황산염의 예로는, 황산 나트륨, 황산 마그네슘, 황산 안티몬, 황산 칼륨, 황산 티탄, 황산 망간, 황산 칼슘, 황산 티탄을 들 수 있다.
메탈 아황산염의 예로는, 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칼륨, 아황산 칼슘, 아황산 마그네슘, 아황산 알루미늄, 아황산 아연, 아황산 수소 나트륨, 아황산 수소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메탈 아황산염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피처리체에 착색하게 되므로, 피처리제에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에는, 메탈 할로겐화물, 초산염, 황산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B)조성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메탈 수산화물의 예로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스트론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메탈 할로겐화물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류 메탈 염화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화 칼슘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A)성분에 대한 (B)성분의 사용비율로는, (A)성분:(B)성분=1:5- 100:1(중량비)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에는, 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공지된 알데히드 소취제(예를 들면,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요소, 황산제1철과 L-아스코르빅산과의 결합체 등)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소취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분말, 용액, 유화물 형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의 분말은, 일반적인 분말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그대로 소취제로서 피처리재에 첨가혼합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의 분말은, 이것을 적절한 유기용매나 물과 같은 용제에 용해한 후에, 피처리제에 도포하거나 함침하거나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공지된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탄소수 1-8정도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지방족 포화알콜류, 시클로펜타놀, 시클로헥사놀등의 지환식 알콜류, 에틸렌 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탄소수 1-8정도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 또는 지방족탄화수소류, 알킬부분이 탄소수 1-8정도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 알킬인 디알킬 에테르류, 디알릴 에테르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환상의 에테르류, 케톤류, 에스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술폭시드 등의 극성매체, 인산 에스테르류, 이들 중에서 두개 이상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러한 유기용매에 적당한 양의 물도 첨가될 수 있다. 유기용매용액의 형태로 제조할 때에 유효성분농도는 제한되지 않고, 얻어지는 용액의 용도 등에 따라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데, (A)(B)두 성분의 합계량으로 통상 해당 용액전체량의 0.1%에서 80중량%정도, 바람직하게는 0.5%에서 60중량%정도가 좋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의 유화물도, 공지된 방법을 따라,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분말과, 물과 계면활성제를 적당량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유화물과 수지 에멀젼을 혼합함으로써 소취성 수지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지 에멀젼의 예로는, 초산비닐 중합체 에멀젼, 에틸렌 초산비닐 중합체 에멀젼, 초산 비닐 버서테이트(Bersatate) 공중합체 에멀젼, 에틸렌초산비닐염화비닐공중합체 에멀젼, 에틸렌초산비닐 아크릴산 에스테르공중합체 에멀젼, 아크릴 아미드, N-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등의 아크릴 아미드계 단량체-초산비닐공중합체 에멀젼, α-오레핀무수말레인산계-초산비닐공중합체에멀젼, 아크릴산 에스테르중합체 에멀젼, 아크릴산 에스테르 스틸렌 공중합체 에멀젼, 염화비닐중합체 에멀젼, 우레탄 중합체 에멀젼, 실리콘중합체 에멀젼, 에폭시중합체 에멀젼 등의 유화중합, 용액중합 등으로 제조되는 합성수지 에멀젼과, 또 SBR, NBR, NR, SR, CR, 메타크릴산 브틸 등의 라텍스, 텐푼, 포발 등의 수성고분자 용액을 들 수 있다. 또, 상기의 에멀젼, 라텍스를 사용한 수지, 예를 들면 수성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α-오레핀계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소취성 수지에멀젼을 제조할 때의 유효성분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 수지에멀젼의 고형분100중량부에 대해(A), (B)두 성분의 합계량으로, 0.1-3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5-20중량부 정도가 되도록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의 분말 또는 해당 분말의 용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로 조제된 것을, 적당한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소취성 수지 조성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합성수지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바와도 좋 고,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폴리오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메타아크릴수지, 폴리비닐알콜, 아세트아세틸화 폴리비닐알콜, ABS수지, 염화비닐리덴수지, 초산비닐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술피드 등의 열가소성수지, SBR수지, NBR수지, NR수지, SR수지, CR수지, 메타크릴산 브틸수지 등의 고무계 수지, 에폭시 수지, 키실렌 수지, 그아나민 수지, 디아릴프탈레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페놀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푸란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말레인산 수지, 멜라민수지, 유리어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열가소성수지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오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메타아크릴 수지, 폴리비닐 알콜, 아세트아세틸화 폴리비닐알콜, ABS수지 등이 바람직하고, 폴리염화비닐, 폴리오레핀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열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페놀수지, 유리어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케이소 수지, 폴리우레탄 등이 바람직하고,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취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배합량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합성수지100중량부에 대해 (A), (B)두 성분의 합계량으로 0.1-3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5-20중량부 정도가 되도록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용액의 형태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의 구체적인 용도로는, 예를 들면, 목재(주로, 합판, 섬유판과 화장판 등의 건재), 종이, 섬유, 섬유제품, 수지성형품 등의 처리제 등을 들 수 있다. 종이, 섬유, 수지성형품(예를 들면, 필름과 시트)등에 처리할 때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분말 용액 또는 분산액을 도포 또는 함침시키면 된다. 예를 들면, 부직포에 처리하면, 에어콘과 공기청정기의 공기필터로 유용한다.
유화물의 형태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의 구체적인 용도로는, 예를 들면, 접착제, 종이류(종이, 벽지 등), 섬유, 목재(주로 합판과 화장판, 섬유판 등의 건재), 수지성형품(주로 필름과 시트)등으로의 표면처리제, 합성수지로의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는, 수지에멀젼(특히 바람직하게는 초산비닐수지계 에멀젼, 아크릴수지계 에멀젼, 스틸렌 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젼 등)과 수성고분자(특히 바람직하게는 녹말수용액, 포발 수용액)에,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의 유화물을 첨가혼합함으로써 제조가능하다. 사용시에, 각각의 접착제에 적절한 가교제, 경화제 등의 필수성분과 증량제, 녹방지제, 충전제 등을 사용한다. 섬유, 종이, 목재, 수지성형품 등으로의 처리는,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의 유화물을 도포, 함침시킴으로써 이행된다. 그리고 수지에멀젼(특히 바람직하게는 초산비닐수지계 에멀젼, 아크릴수지계 에멀젼, 고무라텍스)에 안료와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의 유화물을 첨가혼합함으로써 도료로써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 [부]라고 되어 있는 부분은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증류수 91부에 아디핀산 디하이드라지드(ADH)5부 및 염화칼슘 4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실시예 1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2]
증류수 91부에 아디핀산 디하이드라지드(ADH) 5부 및 수산화 나트륨 4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실시예 2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3]
증류수 91부에 아디핀산 디하이드라지드(ADH) 5부 및 황산 나트륨 4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실시예 3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4]
증류수 91부에 아디핀산 디하이드라지드(ADH) 5부 및 황산 마그네슘 4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실시예 4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5]
증류수 80부에 아디핀산 디하이드라지드(ADH) 10부 및 염화칼슘 10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실시예 5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6]
증류수 90부에 카르보 하이드라지드 2부 및 염화칼슘 8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실시예 6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7]
증류수 90부에 아디핀산 디하이드라지드(ADH) 4부, 염화칼슘 2부 및 요소 4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실시예 7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8]
증류수 85부에 아디핀산 디하이드라지드(ADH) 5부 및 아황산 나트륨 10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실시예 8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9]
초산 비닐수지 에멀젼(증류잔분 45%) 95부에 아디핀산 디하이드라지드(ADH) 3부 및 염화칼슘 2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실시예 9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10]
실시예 9의 조성물 100부에 산화티탄 20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실시예 10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비교예 1]
증류수 95부에 아디핀산 디하이드라지드(ADH) 5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비교예 1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비교예 2]
증류수 96부에 염화칼슘 4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비교예 2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비교예 3]
증류수 70부에 분말 요소 30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비교예 3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비교예 4]
초산비닐수지 에멀젼(증류잔분 45%)을 충분히 교반하여 비교예 4의 조성물을 조제했다.
[시험예]
시험예 및 비교예로 얻어진 각 소취제에 있어서[JAS 보통합판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의 측정법에 기준하고, 하기 방법에 따라, 그 소취성능을 평가했다.
[시험편의 조제]
F2합판(a)(각 35cm × 35cm × 0.55cm)의 양면에 실시예 1-8 또는 비교예 1-3으로 얻어진 각 포름알데히드 소취제를 분무기를 이용하여 22.2g/m2의 비율로 균일하게 분무했다. 시료를 실온에서 건조하고, 각 시료 각각을 비닐봉지에 넣고, 24시간 양생했다. 양생완료후, 각 시료에서 15cm × 5cm × 0.55cm의 직사각형의 시료편을 10개씩 재단했다. 또, 블록으로서 상기 각 시료편과 동일한 형상의 포름알데히드 소취제를 처리않은 시험편을 조제했다.
또, 실시예 9, 10, 비교예 4에 있어서는 (a)보다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이 작은 다른 F2합판(b)(각 35cm × 35cm × 0.55cm)의 한쪽면에 40g/m2도포하고, 그외 상기와 같은 순서로 시험편을 조제했다.
상기 시험편의 성분에 대해서 정리한 것을 표1에 나타냈다. 여기에서 에멀젼은, 초산비닐수지에멀젼(증류잔분 45%)을 나타낸다.


(A)성분 첨가량 (부) (B)성분 첨가량 (부) 첨가제 첨가량 (부) 물 또는 에멀젼 첨가량 (부) 도포방법
실시예 1 ADH 5 염화칼슘 4 - - 증류수 91 양면
실시예 2 ADH 5 수산화 나트륨 4 - - 증류수 91 양면
실시예 3 ADH 5 황산나트륨 4 - - 증류수 91 양면
실시예 4 ADH 5 황산마근슘 4 - - 증류수 91 양면
실시예 5 ADH 10 염화칼슘 10 - - 증류수 80 양면
실시예 6 카르보하이드라지드 2 염화칼슘 8 - - 증류수 90 양면
실시예 7 ADH 4 염화칼슘 2 요소 4 증류수 90 양면
실시예 8 ADH 5 아황산나트륨 10 - - 증류수 85 양면
실시예 9 ADH 3 염화칼슘 2 - - 에멀젼 95 편면
실시예10 ADH 3 염화칼슘 2 산화티탄 20 에멀젼 95 편면
비교예 1 ADH 5 - - - 증류수 95 양면
비교예 2 - - 염화칼슘 4 - - 증류수 96 양면
비교예 3 - - - - 요소 30 증류수 70 양면
비교예 4 - - - - - 에멀젼 100 편면
블랭크 - - - - - - - - -
측정방법
덴케이터(JIS R3503에 규정하는 크기 240mm 내용적 약101의 것)의 저부에 300ml의 증류수를 넣은 결정접시(직경 120mm, 높이 60mm)를 두고, 그 위에 자기플레이트를 재치하고, 그 위에 상기 시험편 10장을 재치하고, 20-25℃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방산되는 포름알데히드를 증류수에 흡수시켜서 시료용액으로 했다.
시료용액중의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아세틸아세톤법으로 광전비색계를 이용하여 비색정량했다.
결과를 표 2 및 3에 나타낸다. 표중의 첨가량은, 수용액으로 얻어진 소취제 전체량에 대한 중량%환산으로 나타낸다. 또, 표중의 방산량은, 포름알데히드의 방산량(mg/1)을 나타낸다. 그리고, 표중의 제거율은, 방산량 감소율(블랭크의 포름 알데히드 방산량(미처리의 F2합판에서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에 대한 제거량의 제산)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mg/1] 방산량 감소율 [%]
실시예 1 0.27 94.9
실시예 2 0.42 92.1
실시예 3 0.43 91.9
실시예 4 0.42 92.1
실시예 5 0.15 97.2
실시예 6 0.08 98.5
실시예 7 0.22 95.9
실시예 8 0.10 98.1
비교예 1 1.05 80.3
비교예 2 4.86 8.5
비교예 3 1.45 72.7
블랭크 5.32 -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mg/1] 방산량 감소율 [%]
실시예 9 0.43 75.7
실시예 10 0.45 74.6
비교예 4 1.73 2.3
블랭크 1.77 -
본 발명의 실시예의 소취제 조성물은, 알데히드 소취제 단독의 경우일 때보다 뛰어난 알데히드 소취능력을 가지고, 염화칼슘 단독 또는 요소단독을 첨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도 알데히드 소취능력이 높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 그 중에서도(B)성분으로서는 염화칼슘을 첨가한 경우의 알데히드 소취능력이 특히 뛰어나다는 것을 알았다.
또, 본 발명의 소취제 조성물은,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된 경우에도 알데히드 소취능력이 유효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았다.
이상의 내용으로, 본 발명의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은, 알데히드 소취제 단 독일 때와 비교하여 더욱 소취능력이 뛰어나고, 알데히드류의 소취효과가 뛰어나다.

Claims (5)

  1. (A)하이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B)금속의 할로겐화물, 초산염, 황산염, 아황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
  2. (A)하이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B)금속의 할로겐화물, 초산염, 황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
  3. (A)하이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B)금속의 할로겐화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
  4. (A)하이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B)염화칼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요소, 황산제1철과 L-아스코르빈산의 결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유효성분으로 첨가되어 있는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
KR1020027006909A 1999-11-30 2000-10-23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 KR100716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40159 1999-11-30
JP34015999A JP3443058B2 (ja) 1999-11-30 1999-11-30 アルデヒド消臭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745A KR20020079745A (ko) 2002-10-19
KR100716592B1 true KR100716592B1 (ko) 2007-05-09

Family

ID=1833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909A KR100716592B1 (ko) 1999-11-30 2000-10-23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443058B2 (ko)
KR (1) KR100716592B1 (ko)
CN (1) CN1194767C (ko)
MY (1) MY134798A (ko)
WO (1) WO2001039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96178A1 (en) * 2002-12-24 2004-07-22 Toagosei Co., Ltd. Deodorant with excellent water resistance
JP2005009290A (ja) * 2003-05-26 2005-01-13 Asahi Woodtec Corp 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68018B2 (ja) * 2004-04-30 2010-10-27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消臭剤及び樹脂組成物
CN1301780C (zh) * 2004-04-30 2007-02-28 罗文圣 一种有害气体捕捉材料及其制备方法
JP2006116093A (ja) * 2004-10-22 2006-05-11 Toagosei Co Ltd 人工ゼオライトを用いた消臭剤および消臭剤組成物
JP4869635B2 (ja) * 2005-06-06 2012-02-08 日華化学株式会社 消臭性繊維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91973A (ja) * 2005-09-30 2007-04-12 Polyplastics Co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4814638B2 (ja) * 2006-01-19 2011-11-16 株式会社オーシカ ホルムアルデヒド捕捉剤及びそれを用いる木質材料
KR100819487B1 (ko) * 2006-03-22 2008-04-03 신광산업 주식회사 저포름알데히드 합판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합판
JP5040526B2 (ja) * 2006-08-31 2012-10-03 東レ株式会社 吸着剤、濾材およびエアフィルター
KR100852641B1 (ko) * 2007-07-11 2008-08-18 환경플라즈마(주) 아황산수소염과 산화촉매 슬러리를 이용한 알데히드와 황화합물의 동시 제거 장치 및 방법
CN102251441B (zh) * 2011-07-07 2013-09-04 广东玉兰装饰材料有限公司 具有除臭功能的墙纸及其制备方法
WO2015098687A1 (ja) * 2013-12-24 2015-07-02 東亞合成株式会社 アルデヒド系ガス吸着液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吸着性加工品
JP2016002163A (ja) * 2014-06-16 2016-01-12 東洋紡株式会社 アルデヒド吸着材
CN104311737A (zh) * 2014-10-11 2015-01-28 广州大学 具有甲醛捕集功能的封闭底漆添加聚合物及其制备方法
JP6371682B2 (ja) * 2014-11-12 2018-08-08 理研香料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油溶性金属化合物および油溶性消臭剤
CN104475034A (zh) * 2014-11-26 2015-04-01 成都顺发消洗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甲醛消除剂及其制备方法
CN104475035A (zh) * 2014-11-26 2015-04-01 成都顺发消洗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甲醛消除剂的制备方法
CN104475033A (zh) * 2014-11-26 2015-04-01 成都顺发消洗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甲醛消除剂配方
CN105771544A (zh) * 2016-05-12 2016-07-20 佛山市顺德区金磊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甲醛功能的过滤网及其制备方法
JP7159871B2 (ja) * 2016-12-12 2022-10-25 理研香料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消臭剤
CN107441541B (zh) * 2017-08-30 2020-04-10 上海亦居环保科技有限公司 液体除臭剂的制备方法
CN108727619A (zh) * 2018-06-22 2018-11-02 广西福美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除醛抗菌的柔性装饰片材及其制备方法
JP2020074849A (ja) * 2018-11-06 2020-05-21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臭気物質吸着剤
JP6733067B1 (ja) * 2020-03-06 2020-07-29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ゴム臭気消臭用組成物及びゴム臭気の消臭方法
CN111701424A (zh) * 2020-06-24 2020-09-25 浙江农林大学 一种高效除醛剂及其制备方法
CN114669186B (zh) * 2022-05-09 2023-06-16 浙江树人学院 一种甲醛吸收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755A (ko) * 1990-06-28 1992-01-29 도리이 신이치로 축합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정신약제 조성물
JPH114879A (ja) * 1997-04-25 1999-01-12 Otsuka Chem Co Ltd 消臭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860B2 (ja) * 1991-03-22 2000-02-2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食品保存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食品の保存方法
JP3069845B2 (ja) * 1996-04-26 2000-07-24 大塚化学株式会社 消臭性樹脂組成物
JP3720576B2 (ja) * 1998-04-10 2005-11-30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脱臭性液状組成物
JP2000107275A (ja) * 1998-10-05 2000-04-18 Asahipen Corp 消臭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水性塗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755A (ko) * 1990-06-28 1992-01-29 도리이 신이치로 축합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정신약제 조성물
JPH114879A (ja) * 1997-04-25 1999-01-12 Otsuka Chem Co Ltd 消臭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平11-4879호(1999.1.12) *
한국특허공보 제92-7550호(1992.9.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7445A (zh) 2002-12-25
JP3443058B2 (ja) 2003-09-02
CN1194767C (zh) 2005-03-30
JP2001149456A (ja) 2001-06-05
MY134798A (en) 2007-12-31
KR20020079745A (ko) 2002-10-19
WO2001039808A1 (fr) 200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592B1 (ko)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
US4473678A (en) Aqueous dispersion of a self-crosslinking resin
KR100575486B1 (ko) 소취성 조성물
JPWO2005046744A1 (ja) 消臭剤及び消臭性製品
JP3012978B2 (ja) 消臭剤
JP2024028549A (ja) 臭気物質吸着剤
JP3029825B1 (ja) 消臭性組成物
JP3069845B2 (ja) 消臭性樹脂組成物
JP2007054328A (ja) 消臭剤および消臭性樹脂組成物
JP2002035098A (ja) 消臭剤組成物、及び消臭性接着剤
JP2000107275A (ja) 消臭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水性塗料組成物
JP4536182B2 (ja) 消臭用組成物
JP3121798B2 (ja) 消臭性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接着剤、被膜体、及び成形体、並びに消臭剤
JP3400985B2 (ja) 合成木質建材のアルデヒド類除去方法、及びアルデヒド類低放出化合成木質建材
JP3722627B2 (ja) ホルムアルデヒド捕捉用水性ラテックス組成物
JP3847251B2 (ja) 消臭剤組成物及び木質材料
JP2014133220A (ja) シート状低脱離吸着剤
JP2004141222A (ja) 消臭剤組成物及び木質材料
JP2021115476A (ja) 臭気物質吸着剤
CN1432608A (zh) 醛除臭剂组合物及醛除臭性涂料
JP2003325648A (ja) 新規な消臭材
CN100341584C (zh) 消臭性组合物
JP2000006730A (ja) 自動車用天井材
JP2006075312A (ja) 耐熱性に優れた消臭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3053373B2 (ja) 養生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