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486B1 - 소취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취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486B1
KR100575486B1 KR1020027010109A KR20027010109A KR100575486B1 KR 100575486 B1 KR100575486 B1 KR 100575486B1 KR 1020027010109 A KR1020027010109 A KR 1020027010109A KR 20027010109 A KR20027010109 A KR 20027010109A KR 100575486 B1 KR100575486 B1 KR 100575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roup
deodorant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534A (ko
Inventor
요시히사 토모타키
카주사키 카미야
요시노부 아베
Original Assignee
오쯔까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쯔까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쯔까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성분인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종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소취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한 소취성 조성물은, (A)히드라지드류, 아졸루 및 아진루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B)약산금속염 및 (C)암모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취성 조성물{DEODORIZ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소취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악취성분인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소취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더욱 쾌적한 생활환경과 작업환경이 요구되면서, 여러가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금연운동이 왕성해진 원인중의 하나에는, 담배연기에 포함되어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멜캅탄, 황화수소 등 다수의 악취성분이 모발, 의복, 실내벽, 가구, 카페트과 자동차, 지하철 등의 차량 실내 등에 부착하여, 악취로 존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최근 신축주택에 있어서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화학물질을 함침 또는 도포한 신건축재가 많이 이용되고, 해당 화학물질이 대향 기화분산하여 악취가 되어, 생활환경을 악화시키고 주거자의 건강도 해치는 것이 큰 문제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담배의 악취성분중에서도 큰 비율을 차지하는 아세트알데히드와 신건축재에서 분산기화하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의 제거효과에 뛰어난 소취제로서 히드라지드류, 아졸루 및 아진류를 제안한다.(일본국 특허출원공개 평10-36681호, 10-111745호)
히드라지드루, 아졸류 및 아진류는 그 자체로 뛰어난 소취성능이 있지만, 본 발명자등은, 이러한 화합물에 의한 소취효율의 향상과 첨가량의 저감, 그리고 효과의 빠른 발현을 위해 각종 보조제의 사용을 검토했다.
그 결과, 어떤 종의 보조제를 병용함을써 소취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었고, 여기에 더불어 첨가물의 삭감, 효과의 신속한 발현이 달성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A)히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종과, (B)약산금속염 및 (C)암모늄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취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소취성 조성물은 소취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 보조제로써 암모늄 화합물을 이용한 소취제성 조성물은, 소취효율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처리체를 착색시키지도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A)히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종류와, (B)약산금속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종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취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A)히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종류와, (C)암모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종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취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약산금속염은, 전이상수가 0.01을 밑도는 산의 금속염이고, 예를 들면 하기에 도시되는 카르본산, 붕산, 인산, 탄산 등의 금속염이 해당된다.
또, 암모늄화합물은, 암모늄(-NH4)를 가지는 화합물이고, 예를 들면 하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기산 암모늄염과 유기산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취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A)히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종(본 명세서에 있어서 (A)성분으로 언급되는 경우가 있다.)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한다.
히드라지드류로는, 분자중에 한개의 히드라지드기를 함유하는 모노히드라지드 화합물, 분자중에 두개의 히드라지드기을 함유하는 디히드라지드 화합물, 분자중에 세개이상의 히드라지드기를 함유하는 폴리히드라지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모노히드라지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일반식
R-CO-NHNH2 ------- (1)
(식중에서, R은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모노히드라지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1)에서 R로 표시되는 알킬기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팬틸기, n-핵실기, n-햅틸기, n-옥틸기, n-노닐기, n-데실기와 n-언데실기등의 탄소수 1에서 12의 직쇄형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아릴기로는, 예를 들면, 페닐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페닐기가 가장 적합하다.
또, 아릴기의 치환기로는, 예를 들면, 수산기, 불소, 염소, 브롬 등의 할로겐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tert-부틸기, iso-부틸기 등의 탄소수 1-4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식(1) 히드라지드 화합물의 더욱 구체예는, 라우릴산 히드라지드, 살리실산 히드라지드, 포름 히드라지드, 아세트 히드라지드, 프로피온산, 히드라지드, p-히드록시벤조산 히드로지드, 나프토에산 히드라지드와 3-히드록시-2-나프토에산 히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다.
디히드라지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일반식
H2NHN-X-NHNH2 ------ (2)
(식중에서 X는 기-CO- 또는 기-CO-A-CO-를 나타내고, A는 알킬렌기 또는 아릴린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나는 디히드라지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식(2)에 있어서, (A)로 표시되는 알킬렌기의 예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헵타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노나메틸렌기, 데카메틸렌기, 언데카메틸렌기와 같은 탄소수 1-12의 직쇄상 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알킬렌기의 치환기로는, 예를 들면 수산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렌기로는 예를 들면, 페닐렌기, 비페닐렌기, 나프틸렌기, 안트릴렌기, 페난트릴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등이 바람직하다. 아리렌기의 치환기로써, 상기 아릴기의 치환기와 동일한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일반식(2)의 디히드라지드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옥살산 디히드라지드, 마론산 히드라지드, 숙신산 히드라지드, 아디핀산 히드라지드, 아젤라인산 히드라지드, 세바신산 히드라지드, 도데칸-2산히드라지드, 말레인산 히드라지드, 푸말산 히드라지드, 디글리콜산 히드라지드, 타르타르산 히드라지드, 사과산 히드라지드, 이소프탈산 디히드라지드, 텔레프탈산 디히드라지드, 다이머산 히드라지드와 2, 6-나프토에산 디히드라지드 등과 같은 2염기산 디히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고 평2-4607에 기재된, 각종 2염기산 디히드라지드 화합물 2, 4-디히드라지드-6-메틸아미노-sym-트리아진 등도 본 발명의 디히드라지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히드라지드 화합물은, 구체적으는 폴리아크릴산 히드라지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히드라지드 화합물 중에서, 디히드라지드 화합물이 적합하며, 2염기산 디히드라지드가 특히 바람직하고, 아디핀산 디히드라지드가 가장 적합하다.
상기 히드라지드 화합물은 한 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졸류 및 아진류로서는, 헤테로 원자로서 두개 또는 세개의 질소원자를 가지는, 공지된 5 내지 6개의 복소환 화합물을 널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복소환 화합물에는, 탄소수 1-4정도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한개 또는 두 개이상의 치환분을 가져도 좋은 아릴기, 수산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디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멜캅토기, 에스테르기, 카르본기, 벤조트리아조릴기 그리고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조릴기 등의 치환기가 한개 또는 두개이상 치환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탄소수 1-4정도의 직쇄나 분기쇄상의 알킬기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그리고 터트-부틸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는, 예를 들면, 페닐기, 비페닐기 그리고 나프틸기를 들 수 있다. 이들기는 수산기, 할로겐 원자, 술폰산기, 탄소수 1-4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 등의 치환기가 1 또는 2개 이상 치환하여도 좋다. 또, 카르본기가 치환기로서 포함될 경우에는, 그 에스테르도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포함된다.
아졸류는 예를 들면, 디아졸류, 트리아졸류와 티아디아졸류를 들 수 있고, 디아졸류 및 트리아졸류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디아졸류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3-메틸-5-피라졸론, 1, 3-디메틸-5-피라졸론, 3-메틸-1-페닐-5-피라졸론, 3-페닐-6-피라졸론, 3-메틸-1-(3-술포페닐)-5-피라졸론 등의 피라졸론류, 그리고 피라졸, 3-메틸피라졸, 1, 4-디메틸피라졸, 3, 5-디메틸피라졸, 3, 5-디메틸-1-페닐피라졸, 3-아미노피라졸, 5-아미노-3-메틸피라졸, 3-메틸피라졸-5-카르본산, 3-메틸피라졸-5-카르본산 메틸에스테르, 3-메틸피라졸-5-카르본산 에틸에스테르, 3, 5-메틸피라졸디카르본산 등과 같은 피라졸류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졸류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1, 2, 3-트리아졸, 1,2,4-트리아졸, 3-n-부틸-1, 2, 4-트리아졸, 3, 5-디메틸-1,2,4-트리아졸, 3, 5-디-n-부틸-1, 2, 4- 트리아졸, 3-멜캅토-1, 2, 4-트리아졸, 3-아미노-1,2,4-트리아졸, 4-아미노-1, 2, 4-트리아졸, 3, 5-디아미노-1, 2, 4-트리아졸, 5-아미노-3-멜캅토-1, 2, 4-트리아졸, 3-아미노-5-페닐-1, 2, 4-트리아졸, 3, 5-디페닐-1, 2, 4-트리아졸, 1, 2, 4-트리아졸-3-원, 우라졸(3, 5-디옥시-1, 2, 4-트리아졸), 1, 2, 4-트리아졸-3-카르본산, 1-하이드로벤조트리아졸, 5-히드록시-7-메틸-1, 3, 8-트리아자인돌리진, 1H-벤조트리아졸, 4-메틸-1H-벤조트리아졸 그리고 5-메틸-1H-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아진류는 예를 들면, 디아진류, 트리아진류, 피리다진류를 들 수 있는데, 특히 피리다진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피리다진류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6-메틸-8-히드록시트리아졸로피리다진, 4, 5-디클로-3-피리다진, 말레산 히드라지드, 6-메틸-3-피리다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졸류가 바람직하며, 1, 2, 4-트리아졸, 1, 2, 3-트리아졸 등의 트리아졸류, 3, 5-디메틸피라졸 등의 피라졸류 및 3-메틸-5-피라졸론 등의 피라졸론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졸류와 아진류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B)약산금속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본 발명에 있어서 (B)성분이라고 하는 곳이 있다.)으로는, 예를 들면, 카르본산 금속염, 붕산 금속염, 카르본산 수소금속염, 인산 금속염 및 탄산 금속염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종을 들 수 있다.
카르본산 금속염, 포름산, 초산, 프로피온산, 부틸산, 이소부틸산, 발레산, 이소발레린산, 펜탄산, 헥산산, 헵탄산, 옥탄산, 데칸산, 라우린산, 스테아린산 등과 같은 포화모노카르본산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프로피올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오레인산, 말레인산, 푸말산 등과 같은 불포화지방산류,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탈산, 아디핀산, 스베린산, 세바신산 등과 같은 포화디카르본산류, 벤조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텔레트팔산, 1-나프토산, 톨루일산, 아트로파산, 계피산등의 아로마카르본산류, 니코틴산, 이소니코틴산, 푸로산, 테노산 등과 같은 복소환 카르본산류 등의 카르본산류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등의 알카리금속염, 발륨염, 스트론튬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알카리토류 금속염 및 크롬염, 망간염, 알루미늄염, 주석염, 아연염, 동염, 철염, 코발트염, 니켈염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토류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또, 붕산 금속염으로는, 붕산 알칼리 금속염, 4붕산알칼리 금속염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카르본산 금속염 및 붕산 금속염은 한종을 단독으로, 또는 이종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B) 성분에 이용되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초산 나트륨, 프로피온산 나트륨, 벤조산 나트륨, 프탈산 수소칼륨, 4붕산 나트륨, 인산 2수소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A) 성분에 대한 (B)성분의 사용비율은, (A)성분: (B)성분 = 1 : 5 - 100 : 1(중량비)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C)암모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종(본 발명에 있어서(C)성분이라고 한다)은, 암모늄(-NH4)을 함유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종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무기산 암모늄염과 유기산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 암모늄염은, 염화 암모늄, 황산 암모늄, 아황산 암모늄, 초산 암모늄, 브롬 암모늄, 불화 암모늄, 황화 암모늄, 인산 암모늄, 3폴리인산 암모늄, 탄산 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기산 암모늄염으로는, 카르본산 암모늄염, 구체적으로는, 프롬산, 초산, 프로피온산, 부틸산, 이소부틸산, 발레산, 이소발레산, 펜탄산, 헥산산, 헵탄산, 옥탄산, 데칸산, 라우린산, 스테아린산 등의 포화모노카르본산류와,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수베린산, 세바신산 등의 포화디카르본산류와, 시트르산등의 포화트리카르본산류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프로피올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오레인산, 말레인산, 프말산 등의 불포화지방산류와, 벤조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텔레프탈산, 1-나프토에산, 톨루인산, 아토로프산, 계피산 등의 아로마 카르본산류와, 니코틴산, 이소니코틴산, 프로산, 테노산 등의 복소환 카르본산류 등의 각종 카르본산류의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이들 무기산 암모늄염과 유기산 암모늄염 등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소취성 조성물인 (C)성분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염화암모늄, 황산 암모늄, 구연산3암모늄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 중에서도 염화암모늄, 구연산 3암모늄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A)성분에 대한 (C)성분의 사용비율은, (A)성분 : (C)성분 = 1 : 5 - 100 : 1(중량비)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B)성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또는 (C)성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1종을 (A)성분에 첨가하여 본 발명의 소취성 조성물을 조제하여도 좋고, 또 (B)성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C)성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A)성분에 첨가하여 본 발명의 소취성 조성물을 조제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소취성 조성물에는, 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공지된 소취제(예를 들면,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요소, 황산제1철과 L-아스코르빈산과의 결합체 등)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취성 조성물은, 통상, 분말, 용액 또는 유화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분말은, 일반적인 분말과 마찬가지로 사용가능하고, 예를 들면 그대로 소취제로서 피처리제에 첨가혼합하여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의 분말은, 이것을 적당한 유기용매, 물 등의 용제에 용해시킨 후, 피처리재에 도포, 합침 또는 혼합하여 사용된다. 여기에서, 유기용매로는 공지된 것이 사용가능한데, 예를 들면, 탄소수 1-8정도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지방족 포화알콜류, 시클로펜타놀, 시클로헥사놀 등의 지환식 알콜류, 에틸렌글리콜류 등의 다가알콜류, 탄소수 1-8정도의 쇄상 또는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알킬부분이 탄소수 1-8정도의 직쇄 또는 분기쇄상 알킬인 디알킬에테르류, 디아릴에테르류, 테트라히드로프란, 디옥산 등의 환상 에테르류, 케톤 류, 에스테르류, 아세토니트릴류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포키시드 등의 극성용매, 인산 에스테르류, 이들중 2종이상의 혼합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러한 유기용매에 적당량의 물을 넣는 것도 가능하다. 유기용매용액의 형태로 제조할 때에 유효성분농도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얻어지는 용액의 용도 등에 따라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A)성분과 (B)및 / 또는 (C)성분의 합계량으로, 통상 해당 용액 전체량의 0.1 - 80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 60중량% 정도로 하면 된다.
또, 본 발명의 소취성 조성물의 유화물도,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분말, 물 및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씩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리고, 이 유화물과 합성수지 에멀젼을 혼합합으로써,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합성수지 에멀젼으로는, 예를 들면 초산비닐 중합체에멀젼,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 에멀젼, 초산 비닐버서테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에틸렌초산비닐 염화비닐공중합체에멀젼, 에틸렌초산비닐아크릴산 에스테르공중합체에멀젼, 아크릴산 에스테르중합체에멀젼, 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틸렌공중합체에멀젼, 염화비닐중합체에멀젼, 우레탄 중합체 에멀젼, 실리콘 중합체 에멀젼, 에폭시 중합체 에멀젼 등의 유화중합, 용액중합 등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수지 에멀젼과 텐푼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유화물을 제조할 때의 유효성분 사용양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통상 합성수지 에멀젼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A)성분과, (B) 및 / 또는(C)성분의 합계량으로, 0.1-3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5-20중량부 정도가 되도록 적절히 제조하면 된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의 분말 또는 해당 분말의 용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당한 합성수지와 혼합하고, 소취성 수지조성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합성수지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도 좋으며,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폴리오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메타아크릴 수지, 폴리비닐알콜, 아세트아세틸화 폴리비닐알콜, ABS수지, 염화비닐리덴수지, 초산비닐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변성폴리페닐렌에테르폴리술폰, 폴리페닐렌술피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 에폭시 수지, 키실렌수지, 구아나민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페놀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퓨란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말레인산 수지, 멜라민 수지, 유리어 수지, 요소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오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메타아크릴 수지, 폴리비닐알콜, 아세트아세틸화 폴리비닐 알콜, ABS수지 등이 바람직하고, 폴리염화비닐, 폴리오레핀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열경화성수지로는, 예를 들면, 페놀 수지, 유리어 수지,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에폭시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등이 바람직하며,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취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배합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A)성분과, (B)및 (C)성분의 합계량으로, 0.1-3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5-20중량부 정도가 되도록, 적절히 제조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취성 수지 조성물에는, 발포제를 첨하가는 것도 가능하 다. 얻어지는 조성물을 가열하여 발포시킴으로써, 발포후의 코팅막, 성형품 등에 미세한 기포가 균일하게 분산하고,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현저하게 증대하고, 소취효과가 더욱 향상한다. 발포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하는 합성수지의 종류와 얻어지는 소취성 발포체의 사용목적과 사용장소 등에 따라 공지된 유기계 발포제 및 무기계 발포제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계 발포제로는, 예를 들면, 아조디카르본아미드,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아조헥사히드로벤조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 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p, 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p-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 디페닐술폰-3, 3`-디술포닐히드라지드, 디페닐옥시드4, 4`-디술포닐히드라지드 등의 술포닐 히드라지드 화합물, N, 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 테트라민, N, N`-디니트로소-N, N`-디메틸텔레프탈아미드 등의 니트로소 화합물, 텔레프탈아지드, p-tert-부틸벤자지드 등의 아지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조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아조디카르본아미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계 발포제로는, 예를 들면, 중탄산 나트륨, 탄산 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또, 2산화탄소, 프레온, 메틸렌디클로라이드, 펜탄, 공기 등의 기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을 발포시킬 때에는, 폴리우레탄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하면, 폴리우레탄의 한 성분인 이소시아네이트와 물이 반응하여 2산화탄소가 생성하여 발포체가 형성된다. 발포제의 배합량은,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통상 0.1-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20중량부로 하는 것이 좋다. 0.1중량부 미만에서는, 발포제가 분해하여 방출하는 가스의 양이 적거나, 발포에 필요한 기체상물의 량 또는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의 양이 작아지므로, 소망의 발포체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30중량부를 초과하면, 발초제가 분해하여 방출하는 가스량이 많아지므로, 또 가스압도 높아지므로, 수지조성물이 이 가스량, 가스압을 견디지 못하고 발포체의 기포가 거칠고 커지거나, 팽창에 대해 수지가 견디지 못하고 기포붕괴가 발생하거나, 또는 환경오염과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등의 결점이 발생한다.
얻어지는 발포체의 발포배율은, 그 소취효과 및 그 지속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1.2-6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배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취성 수지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착색제, 방미제, 강화재, 충전재 등의 공지된 플라스틱 첨가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강화재 및 충전재로는, 예를 들면 용융실리카, 결정 실리카, 수산화 알루미늄, 알루미나, 화이트 카본, 카본 블랙 등의 공지된 무기질 충전제, 티탄산 칼륨 위스카, 규산칼슘위스카, 붕산 알루미늄 위스카, 붕산 마그네슘 위스카, 규산 아연 위스카 등의 무기위스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분말 형태일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것을 합성수지 첨가제로 사용하고, 이것을 필름, 시트 등의 적당한 형상 성형품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건재 등의 표면마무리용 도료에 본 발명의 조성물 분말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액의 형태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체적인 용도로는, 예를 들면, 목재(주로, 판재와 섬유판이나 화장판 등의 건재), 종이, 섬유, 섬유제품, 수지성형품 등의 처리제 등을 들 수 있다. 종이, 섬유, 수지성형품(예를 들면, 필름과 시트)등에 처리할 때에는, 본 발명 조성물의 분말 용액 또는 분산액을 도포 또는 함침시키면 좋다. 예를 들면, 부직포에 처리 하면, 에어콘이나 공기청정기의 에어필터로 유용하다.
유화물의 형태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체적인 용도로는, 예를 들면, 접착제, 종이류(종이, 벽지 등), 섬유, 목재(주로 판재와 화장판과 섬유판 등의 건재), 수지성형품(주로 필름과 시트)등의 표면처리제, 합성수지로의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는, 수지에멀젼(특히 바람직하게는 초산 비닐수지계 에멀젼, 아크릴 수지계 에멀젼, 스티렌 브타지엔 공중합체 에멀젼 등)과 전분 수용액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화물, 바람직하게는 에멀젼을 첨가혼합함으로써 제조가능하다. 섬유, 종이, 목재, 수지성형품 등으로의 처리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화물을 도포 또는 함침시킴으로써 이행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벽지로의 적용에 대해서, 합성수지시트(예를 들면, 염화비닐수지시트)와 부직포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합성수지로 혼합성형하여 시트화하거나, 합성수지시트의 표면에 도포하거나, 또는 불연지에 함침 또는 도포하는 등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멀젼을, 염화비닐 수지시트와 불연지를 적층할 때의 접착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부직포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화물을 도포 또는 함침시키면, 에어콘과 공기청정기용 필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요망하는 형상의 성형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성형물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에 어콘과 공기청정기용 에어필터, 필름,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때에 바람직한 합성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릴에틸렌 등의 폴리오레핀류 등이다. 또, 수지 조성물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접착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의 바람직한 합성수지로는, 예를 들면, 요소수지, 페놀수지, 퓨란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취성 조성물은, 게다가 도료에 실내용 도료등 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조제예 1
증류수에 아디핀산 디히드라지드(ADH) 및 초산 나트륨(AcONa)을 용해시켜서 본 발명의 소취제를 조제했다. 또 아디핀산 디히드라지드 및 초산나트륨의 농도는 모두 8중량%로 했다.
조제예 2-6
표 1에 도시된 비율로 증류수에 아디핀산 디히드라지드 및 초산 나트륨을 용해시켜서, 본 발명의 소취제를 제조했다.
조제예 7-11
표 2에 도시된 비율로 증류수에 아디핀산 디히드라지드 및 각종 화합물을 용해시켜서, 본 발명의 소취제를 제조했다.
비교 조제예 1
증류수에 아디핀산 디히드라지드만을 농도 8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서 비교조제예 1의 소취제로 했다.
비교 조제예2
증류수에 초산나트륨만을 농도 8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서 비교조제예 2의 소취제로 했다.
시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로 얻어진 각 소취제에 대해서 [JIS 5905 섬유판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의 측정법에 기준하고, 하기 방법에 따라 그 소취성능을 평가했다.
MDF판재는 시판중인 로트가 다른 5종류(MDF판재 A-E)를 이용했다.
시험편의 조제 1
MDF판재A-E(각40㎝ × 40㎝ × 0.3㎝ )에 조제예 또는 비교조제예로 얻어진 각 소취제를 분무기를 이용하여 38.1g/㎡의 비율로 균일하게 스프레이 했다. 시료를 실온에서 건조하고, 각 시료 각각을 비닐봉투에 넣고, 일주일동안 양생시켰다. 양생종료후, 각 시료에서 15㎝ × 5㎝ × 0.3㎝의 직사각형 형상의 시험편을 11편씩 재단했다.
측정방법 1
데시케이터(JIS R3503에서 규정하는 크기 240mm 내용적 약101의 것)의 저부에 300ml의 증류수를 넣은 결정접시(직경 120mm, 높이 60mm)를 두고, 그 위에 자(磁製)플레이트를 두고 시험판(15cm × 5㎝ × 0.3㎝)11장을 깔고, 20-25℃로 24시간 방치하여,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를 증류수에 흡수시켜서 시료용액으로 했다.
시료용액중의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아세틸아세톤법에 의해 광전비색계를 이용하여 비색정량했다.
결과를 표1 및 표2에 도시한다. 표중의 MDF판재란의 수치는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을 나타내고, 괄호내의 수치는 대응하는 미처리 MDF판재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에서 방출량 감소율을 백분률로 나타낸 것이다.
첨가량(중량%) MDF판재
ADH AcONa A B C
조제예1 8 8 0.26(90)
조제예2 8 4 0.29(88)
조제예3 8 2 0.38(85)
조제예4 8 0.5 0.46(74)
조제예5 4 8 0.24(86)
조제예6 2 8 0.61(65)
비교조제예1 8 0 1.80(30)
비교조제예1 8 0 1.69(27)
비교조제예2 0 8 2.12(-21)
미처리A - - 2.57
미처리B - - 2.33
미처리C - - 1.75
HCHO방출량ppm(제거율%)
배합성분 및 첨가량(중량%) MDF판재
배합성분 첨가량 배합성분 첨가량 D E
조제예7 ADH 8 (AcO)2MG 8 0.24(76)
조제예8 ADH 8 프로피온산 나트륨 8 0.18(82)
조제예9 ADH 8 벤조산 나트륨 8 0.15(86)
조제예10 ADH 8 프탈산 수소칼륨 8 0.23(79)
조제예11 ADH 8 4붕산나트륨 4 0.27(75)
조제예1 ADH 8 초산나트륨 8 0.09(91) 0.11(90)
비교조제예1 ADH 8 - - 0.67(32)
미처리D - - - 0.98
미처리E - - - 1.07
HCHO방출량ppm(제거율%)
제조예 1-6와 제조비교예1에 대한 시험결과에서, 아디핀산 디히드라지드와 초산 나트륨을 병용하여 제조예의 소취제는, 아디핀산 디하이드로지드를 단독으로 이용한 비교제조예의 소취제와 비교하여 뛰어난 포름알데히드 제거능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조비교예2에 대한 시험결과에서, 초산 나트륨은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포름알데히드 제거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포름알데히드의 방출을 촉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7-11에 대한 시험결과에서, 초산나트륨 대신 각종 카르본산 금속염 또는 붕산 금속염을 이용한 소취제도 양호한 소취성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표2의 결과에서 초산나트륨을 이용한 소취제는, 특히 바람직한 소취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2 및 13
증류수에 아디핀산 디히드라지드(ADH) 및 초산나트륨을 표3에 도시된 비율(중량%)이 되도록 용해시켜, 본 발명의 소취제를 제조했다.
제조예 14 및 15
증류수에 아디핀산 디히드라지드(ADH) 및 염화암모늄을 각각 표3에 나타난 비율(중량%)이 되도록 용해시켜, 본 발명의 소취제를 제조했다.
제조예 16 및 17
증류수에 아디핀산 디히드라지드(ADH) 및 황산 암모늄을 각각 표 3에 나타난 비율(중량%)이 되도록 용해시켜서, 본 발명의 소취제를 제조했다.
제조예 18 및 19
증류수에 아디핀산 디히드로지드(ADH) 및 구연산 3암모늄을 각각 표3에 나타난 비율(중량%)이 되도록 용해시켜서, 본 발명의 소취제를 제조했다.
비교제조예 3
증류수만을 이용했다.
비교제조예 4
증류수에 아디핀산 디히드라지드(ADH)를 5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서, 비교제조예 4의 소취제를 제조했다.
소취제 성분 첨가량 조제 첨가량
제조예 12 ADH 5 초산나트륨 1
제조예 13 ADH 5 초산나트륨 4
제조예 14 ADH 5 염화암모늄 1
제조예 15 ADH 5 염화암모늄 4
제조예 16 ADH 5 황산암모늄 1
제조예 17 ADH 5 황산암모늄 4
제조예 18 ADH 5 구연산 3암모늄 1
제조예 19 ADH 5 구연산 3암모늄 4
비교제조예3 - - - -
비교제조예4 ADH 5 - -
시험예 2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로 얻어진 각 소취제에 있어서[JAS 보통판재 포름알데히드방산량]의 측정법에 기초하고, 하기방법에 따라 그 소취성능을 평가했다.
시험편 제조2
5.5mm의 시판중인 F2판재(각 30cm × 30cm × 0.55cm)에 각 조제수용액을 양면에 2g/척2(22.2g/m2)균일하게 도포했다. 시료를 실온에서 건조하고, 하룻밤 양생했다. 양생종류후, 각시료에서 15cm × 5cm × 0.55cm의 직사각형의 시험편을 10 개씩 재단했다.
측정방법 2
데시케이터(JIS R3503에 규정하는 크기 240mm 내용적량 101의 것)의 저부에 300ml의 증류수를 넣은 결정접시(crystallizing dish)(직경120mm, 높이 60mm)를 두고, 그 위에 자제 플레이트를 깔고, 상기 시험편10장을 올리고, 20-25℃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를 증류수에 흡수시켜 시료용액으로 했다.
시료용액중의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아세틸아세톤법에 의해 광전비색계를 이용하여 비색정량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중의 첨가량은, 수용액으로 얻어진 소취제 전량에 대한 중량% 환산으로 나타낸다. 또, 표중의 방출량은,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mg/1)을 나타낸다. 그리고, 표중의 제거율은, 방출량 감소율(비교조제예3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미처리 MDF판재 부터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에 대한 제거량의 제산)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표 4
방출량 제거율 착색*
조제예 12 0.49 91 ×
조제예 13 0.37 93 ×
조제예 14 0.42 92
조제예 15 0.25 95
조제예 16 0.48 91
조제예 17 0.32 94
조제예 18 0.43 92
조제예 19 0.26 95
비교조제예 3 5.19 0 -
비교조제예 4 1.02 80
* ○ : 착색없음. ×:현저하게 착색.
조제예 14-19의 소취제는, 조제예12 및 13의 소취제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포름알데히드 제거능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조제예 15, 17 및 19의 소취제는, 포름알데히드 제거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조제예 15, 17 및 19는, 조제예14, 16 및 18과 비교하여 포름알데히드 제거능력이 뛰어나다. 이러한 점에서, 첨가량을 비교적 많이 하면, 암모늄 화합물의 종류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고, 뛰어난 포름알데히드 제거능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제예 12-19 및 비교조제예3-4의 시험편 표면을 관찰한 결과,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제예 12 및 13에는, 착색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조제예 14-19의 소취제는, 피처리체를 착색시키지 않고, 충분한 소취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한 소취성 조성물은, 소취효율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또, 조제로는 암모늄화합물을 이용한 소취성 조성물은 소취효율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처리체를 착색시키지 않는다.

Claims (7)

  1. (A) 히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B) 약산알칼리금속염; 및
    (C)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및 구연산3암모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취성 조성물.
  2. (A) 히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B) 약산알칼리금속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취성 조성물.
  3. (A) 히드라지드류, 아졸류 및 아진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C)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및 구연산3암모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취성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B)성분이, 카르본산 금속염 및 붕산 금속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소취성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B)성분이 초산 나트륨인 소취성 조성물.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드라지드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소취성 조성물.
KR1020027010109A 2000-02-23 2000-02-23 소취성 조성물 KR100575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1050 WO2001062309A1 (fr) 2000-02-23 2000-02-23 Compositions de desodoris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534A KR20020073534A (ko) 2002-09-26
KR100575486B1 true KR100575486B1 (ko) 2006-05-03

Family

ID=1173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109A KR100575486B1 (ko) 2000-02-23 2000-02-23 소취성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75486B1 (ko)
CN (1) CN1220525C (ko)
WO (1) WO2001062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8018B2 (ja) * 2004-04-30 2010-10-27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消臭剤及び樹脂組成物
JP2007091973A (ja) * 2005-09-30 2007-04-12 Polyplastics Co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WO2009122975A1 (ja) * 2008-03-31 2009-10-08 東レ株式会社 脱臭性繊維構造物およびエアフィルター
CN102989103A (zh) * 2012-10-18 2013-03-27 郑丽 甲醛分解剂
CN102974067B (zh) * 2012-10-18 2014-12-24 郑丽 甲醛消除方法
CN103418010A (zh) * 2013-08-23 2013-12-04 封新娥 一种快速去除烟味的喷雾剂
KR102395386B1 (ko) 2015-04-13 2022-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순도 글리콜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MX2018014984A (es) * 2016-06-03 2019-09-06 Basf Se Poliuretanos con emision de aldehido reducida.
CN109963909A (zh) * 2016-08-01 2019-07-02 斯塔尔国际有限公司 乙醛释放量降低的聚合物分散体
JP7159871B2 (ja) * 2016-12-12 2022-10-25 理研香料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消臭剤
WO2018213976A1 (zh) * 2017-05-22 2018-11-29 启东市久隆顺舟玩具厂 一种公共厕所除臭剂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9306B1 (de) * 1980-03-28 1984-01-11 Ciba-Geigy Ag Neue Azofarbstoff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JPH10292258A (ja) * 1997-04-11 1998-11-04 Toray Ind Inc 繊維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61372B2 (ja) * 1997-11-04 2005-06-15 株式会社大林組 ホルムアルデヒド捕捉材、ホルムアルデヒド吸着材、ホルムアルデヒド発生抑制部材及びホルムアルデヒド捕捉部の捕捉状況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534A (ko) 2002-09-26
WO2001062309A1 (fr) 2001-08-30
CN1220525C (zh) 2005-09-28
CN1378462A (zh) 200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592B1 (ko) 알데히드 소취제 조성물
KR100575486B1 (ko) 소취성 조성물
JPWO2005046744A1 (ja) 消臭剤及び消臭性製品
JP2002003638A (ja) メラミン樹脂発泡体
JP3069845B2 (ja) 消臭性樹脂組成物
JP3012978B2 (ja) 消臭剤
JP4783602B2 (ja) 消臭剤および消臭性樹脂組成物
JP3029825B1 (ja) 消臭性組成物
JP4536182B2 (ja) 消臭用組成物
KR101392725B1 (ko) 수용성 방염액, 목재의 방염 공정처리 방법, 이에 의한 방염목재
JP2002035098A (ja) 消臭剤組成物、及び消臭性接着剤
KR20080086505A (ko) 포름알데히드 포착제, 소취성 조성물, 소취성 용액 및 목질재료
JP2000107275A (ja) 消臭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水性塗料組成物
JP7094794B2 (ja) 臭気物質吸着剤
JP3400985B2 (ja) 合成木質建材のアルデヒド類除去方法、及びアルデヒド類低放出化合成木質建材
JP2000300652A (ja) 消臭剤
JP2000037447A (ja) 消臭剤
JP3469523B2 (ja) 消臭加工品の製造方法、及び消臭加工品
CN100341584C (zh) 消臭性组合物
JP3121798B2 (ja) 消臭性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接着剤、被膜体、及び成形体、並びに消臭剤
JP2000006730A (ja) 自動車用天井材
JP3053373B2 (ja) 養生シート
JP3847251B2 (ja) 消臭剤組成物及び木質材料
CZ142994A3 (en) Novel swelling agents for polymers and their use for the preparation of synthetic foams
JP2000051337A (ja) 脱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