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252B1 - 유기el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el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252B1
KR100707252B1 KR1020050012309A KR20050012309A KR100707252B1 KR 100707252 B1 KR100707252 B1 KR 100707252B1 KR 1020050012309 A KR1020050012309 A KR 1020050012309A KR 20050012309 A KR20050012309 A KR 20050012309A KR 100707252 B1 KR100707252 B1 KR 10070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substrat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946A (ko
Inventor
히로시 오오카
신이치 가토
마사미츠 후루이에
마사토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ublication of KR2006004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90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05Mobile installations, particularly for upkeeping in situ road or railway furniture, for instance road barricades, traffic signs; Mobile installations particularly for upkeeping tunnel wa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6Passive-matrix 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밀봉기판을 표리(表裏) 2장의 유기EL 기판으로 공유화시키고,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유기EL 표시패널 자체를 박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가능하게 한다.
한 쪽의 면에 제 1 오목부(1a)를 가지고, 또한 제 1 오목부(1a)의 반대쪽면에 제 2 오목부(1b)을 가지는 밀봉기판(1)과, 제 1 오목부(1a)의 주연부에 씰제(4)을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1 투광성 유리기판(3)과, 제 1 투광성 유리기판(3)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유기EL 발광소자(ELD1)와, 제 1 오목부(1a)의 저면에 배설된 제 1 건조제(2a)와, 제 2 오목부(1b)의 주연부에 씰제(4)을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2 투광성 유리기판(5)과, 제 2 투광성 유리기판(5)의 내면에 형성된 제 2 유기EL 발광소자(ELD2)와, 제 2 오목부(1b)의 저면에 배설된 제 2 건조제(2b)로 구성되고, 밀봉기판(1)의 제 1 오목부(1a) 및 제 2 오목부(1b)내에 각각 제 1 유기EL 발광소자(ELD1) 및 제 2 유기EL 발광소자(ELD2)가 수용되므로, 밀봉기판(1)이 공통화된다.
유기 EL, 표시 장치, 밀봉 기판

Description

유기EL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유기EL 발광소자의 층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실시예 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유기EL 표시장치의 주 표시패널 및 부 표시패널에 각각 외부구동회로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 접속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실시예 2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실시예 3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주 표시패널 및 부 표시패널에 각각 외부구동회로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 접속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실시예 4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유기EL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건조제의 배치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 표시패널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유기EL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건조제의 배치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 표시패널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유기EL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건조제의 배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 표시패널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실시예 5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유기EL(Electroluminescent)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식(折疊式) 휴대전화기 등에 이용되는 주 EL 표시패널과 이 주EL표시패널의 배면측에 배설되는 부 EL 표시패널로 구성되는 양면표시형 유기EL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유기표시패널내에 설치되는 유기EL 표시소자를 외부분위기로부터 차폐하는 흡습(吸濕)기능 및 탈산성 기능을 가지는 흡착층을 구비한 유기EL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EL 표시패널 또는 액정표시패널 등의 표시패널을 구비한 휴대전화기나 휴대정보단말기의 다운사이징에 따라, 비통화시(대기시)에 키패드부와 표시패널이 겹쳐지도록 접을 수 있는 디자인의 휴대전화기나 휴대정보단말기가 상품화되어 있다. 또한, 최근, 이러한 절첩식의 휴대전화기나 휴대정보단말기가 접혀진 상태(비 통화시)에서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소형표시패널이 상술된 표시패널의 배면측에 배설된 제품도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표시패널(주 표시패널 또는 메인 패널이라고도 한다)에 덧붙여 제 2 표시패널(부 표시패널 또는 서브 패널이라고도 한다)을 구비한 휴대전화기나 휴대정보단말기에 적합한 표시장치(표시 모듈)로서 2개의 표시패널을 그 배면끼리 대향배치한 양면표시장치로 불리는 제품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주 표시패널에 액정 표시패널을 이용하고, 부 표시패널에 EL표시패널을 이용한 양면형 표시장치 및 이것을 탑재한 휴대전화기는, 예컨대 하기「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EL 표시패널 내부에 형성된 1개의 발광층(유기EL어레이)으로부터 그 양측에 발광을 방출하는 양면형 EL 표시장치가 하기 「특허문헌3」, 「특허문헌4」 및 「특허문헌5」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5의 도 5에는, 2개의 발광층 각각으로부터 그 양측에 발광을 방출하는 양면형 EL 표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공지특허문헌일람>
[특허문헌1]특개평 10-208884호공보
[특허문헌2]특개 2001-092390호공보
[특허문헌3]특개 2002-252089호공보
[특허문헌4]특개 2001-345184호공보
[특허문헌5]특개 2002-289362호공보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양면형 표시장치에서는, 양면표시를 유기EL표시패널로 구성한 경우, 밀봉(封止)구조에 기인해서 밀봉용 기판을 2장분의 두께가 디바이스의 두께로 필요하게 되므로, 유기EL 표시장치의 박형화를 꾀하기가 어렵게 된다라는 과제가 있다.
또한, 유기EL재료를 이용한 유기표시패널에서는, H20, 02 등의 대기에 의한 수명 등의 소자특성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표시패널 내에 건조제를 배설하여 봉입하는 것이 필수불가결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유기EL 표시패널의 두께가 커지지 않을 수 없고, 또한, 양면표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2장의 유기EL 기판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기EL 표시장치의 박형화를 꾀하는 것이 어렵다라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4의 도 5에서는, 2개의 유기EL 기판을 겸용하고, 1개의 유기EL 기판의 양면에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형성하고, 2장의 밀봉기판으로 끼워넣은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유기EL 기판에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또는 적어도 한 쪽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액티브 매트릭스 형태로는, 소자특성에 큰 영향력을 가지는 실리콘 막이나 SiN이나 SiNO로 구성된 절연막이 구성된다. 또한, 삼색발광법(다른 이름으로,「칠 나눔법」이라고 칭한다.)으로는 유기EL 기판상에 뱅크라고도 불리는 돌기가 화소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자특성에 큰 영향을 주는 구성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유기EL 기판을 하나의 기판으로 겸용한 경우, 현저하게 특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TFT의 문턱치를 변동하거나, 전극상의 이물에 의해 유기물층의 수명이 저하하는 등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가능성을 높이지 않도록, 1개의 유기EL 기판의 양면에 다양한 구성을 형성하는 제조프로세스를 확립하는 것은 곤란하며, 실현하려고 하면, 제조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4의 도 5의 구조는, 유기EL 표시장치의 신뢰성이나 제조 프로세스의 간략화를 고려한 구조라고는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유기EL 표시패널 자체의 박형화 및 경량화를 간단한 프로세스로 실현할 수 있는 유기EL 표시장치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본원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을 복수개 포함한다.
그 대표적인 것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제 1 수단은, 유기EL 표시장치를, 한 쪽의 면에 제 1 오목부를 하고, 또한 이 제 1 오목부의 반대쪽면에 제 2 오목부를 가지는 밀봉기판과, 제 1 오목부의 주연부에 씰(seal)제를 개재시켜 기밀밀봉된 제 1 투광성 기판과, 이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유기EL 발광소자와, 제 1 오목부의 저면에 배설된 제 1 흡착층과, 제 2 오목부의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2 투광성 기판과, 이 제 2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2 유기EL 발광소자와, 제 2 오목부의 저면에 배설된 제 2 흡착층을 구비한 구성이다.
(2) 제 2 수단은, 유기EL 표시장치에, 한 쪽의 면에 제 1 오목부를 가지고, 제 1 오목부의 반대쪽면에 제 2 오목부를 가지고, 또한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를 연통하는 적어도 1개의 개구를 가지는 밀봉기판과, 제 1 오목부의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 기밀밀봉된 제 1 투광성 기판과,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유기EL 발광소자와, 제 2 오목부의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2 투광성 기판과, 이 제 2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2 유기EL 발광소자와,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 중 어느 한 쪽의 저면에 배설된 흡착층을 구비한 것이다.
(3) 제 3 수단은, 유기EL 표시장치에, 한 쪽의 면에 제 1 오목부를 가지고, 또한 이 제 1오목부의 반대쪽면에 제 2 오목부를 가지는 밀봉기판과, 제 1 오목부의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 기밀밀봉된 제 1 투광성 기판과, 이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유기EL 발광소자와,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제 1 유기EL 발광소자를 제외하고 주면에 배설된 적어도 1개의 제 1 흡착층과, 제 1 투광성 기판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대향 배치되고, 또한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2 투광성 기판과, 이 제 2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 1 유기EL 발광소자보다도 발광면적이 큰 제 2 유기EL 발광소자와, 제 2 오목부의 저면에 배설된 제 2 흡착층을 구비한 것이다. 이들 제 1 수단으로부터 제 3 수단 중 어느 하나라도, 밀봉기판을 공통화하는 것으로, 단지 부재비(部材費)의 저감을 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엄밀한 제조 프로세스가 요구되고, 수명이나 신뢰성에 큰 영향력을 가지는 유기EL 소자로서, 표리면마다 기판 한쪽면만에 제조한 고품질, 고 수명의 유기EL 소자를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신뢰성이 높은 박형의 양면형 유기EL 표시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은, 상기(1)∼(3)의 수단 이외에, 밀봉기판을 유기EL 기판보다도 작게 하는 발명으로서, 유기EL 표시장치에, 제 1 투광성 기판과, 이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유기EL 발광소자와,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제 1 유기EL 발광소자를 제외하고 주면에 배설된 적어도 하나의 흡착층과, 제 1 투광성 기판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대향 배치되고, 또한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된 제 2 투광성 기판과, 이 제 2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 1 유기EL 발광소자보다도 발광 면적이 큰 제 2 유기EL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구성 및 후술하는 실시의 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유기EL 표시장치의 실시예 1에 의한 액티브 매트릭스 형태의 유기EL 발광소자의 층구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1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1화소만을 나타내고,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 및 발광 휘도(輝 度)를 제어하는 제어소자 등이 탑재되지만, 여기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실시예 1의 전체구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 유기EL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유기EL 발광소자(ELD)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성 유리기판(SUB)의 주면(主面) 상에 ITO(In-Ti-O)등의 투명도전막(박막)으로 형성한 하부전극이라고도 부르는 양극(AD)을 구비하고, 이 양극(AD)상에는, 유기EL 발광소자(ELD)의 유기발광구조를 구성하는 유기다층막(ELM)이 형성된다. 이 유기다층막(ELM)은, 양극(AD)측으로부터 순차로 유기재료의 박막으로 이루어진 정공주입층(HIL)과 정공수송층(HTL)과 유기EL발광층(LUL)과 전자수송층(ETL)이 적층형성되고, 또한 이 전자수송층(ETL)상에 상부전극이라 부르는 발광 제어 전극으로서의 음극(KD)이 형성된다.
또한, 이 유기EL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유기EL 발광소자로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a)의 구성에 있어서, 최상층에 이들의 양극(AD), 유기다층막(EML) 및 음극(KD)을 덮어서 가스 배리어막(GBM)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 배리어막(GBM)으로는, 폴리머막, 질화규소막, 산화규소막 등의 가스 비투과성 재료층으로 형성되고, 특히 유기다층막(EML)이 외부 분위기중의 수분 및 가스 성분 등의 흡착으로부터 보호되므로, 이것에 기인하는 발광 특성의 열화를 방지한다. 또한, 가스 배리어막(GBM)을 형성한 후, 이 가스 배리어막(GBM)의 표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막을 성막해도 좋다. 이 금속막의 형성에 의해, 발광에 기인하는 내부로부터의 발열을 투광성 유리기판(SUB)에 방열시키므로, 유기다층 막(EML)의 긴 수명화을 꾀할 수 있다.
이 유기다층막(ELM)은, 그 막 두께가, 예컨대 100μm정도이다. 또한, 음극(KD)은, 전자수송층(ETL)측의 제 1층으로 불화리튬(LiF)(LL)층과, 이 불화리튬층(LL)상에 형성되는 제 2층으로서의 알루미늄(Al)층(AL)으로 구성된다. 불화리튬층(LL)의 막 두께는, 예컨대 1nm정도이며, 알루미늄층(AL)의 막 두께는, 예컨데 200 nm정도이다. 또한, 최상층에 형성되는 가스 배리어막(GBM) 및 금속막의 막 두께는 수μm 정도이다.
또한, 상기 유기다층막(ELM)의 재료의 일례는, 이하와 같다. 즉, 정공주입층(HIL)은, CuPc(동프탈로시아닌)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정공수송층(HTL)은, α-NPD(α-나프틸페닐디아민)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LUL)은, 호스트 재료에 9,10-지페닐안토라 센 등을, 도펀트(dopant) 재료에 페릴렌 등을 이용한 발광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수송층(ETL)으로는, Alq3(트리스(8-히드록시 퀴놀린 알루미늄)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기EL 발광소자(ELD)는, 음극(KD)과 양극(AD)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한 정공주입층(TIL)으로부터 발광층(LUL)으로의 정공의 이송과, 전자주입층(EIL)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로 발광층(LUL)을 발광시켜, 투광성 유리기판(SUB)으로부터 외부로 발광광(L)이 출사(出謝)한다.
다음으로 이 유기EL 발광소자(ELD)를 이용한 유기EL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EL 발광소자(ELD)를 수용하는 밀봉 유리기판(1)에는 상부의 면 에 개구를 가지는 제 1 오목부(1a)가 형성되고, 또한 이 제 1 오목부(1a)의 반대쪽 면이 되는 하부의 면에 개구를 가지는 제 2 오목부(1b)가 형성되고, 제 1 오목부(1a)의 저부와 제 2 오목부(1b)의 저부를 공유하는 지지부(1c)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서 단면이 거의 H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제 1 오목부(1a) 및 제 2 오목부(1b)는, 평판형상의 유리기판에 예컨대 샌드 브래스트(sand blast)법, 에칭법 또는 일체성형법 등의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이것들의 제 1 오목부(1a) 및 제 2 오목부(1b)의 깊이는, 예컨대 300μm정도이다.
또한, 밀봉 유리기판(1)에는, 그 제 1 오목부(1a)내의 저면(지지부(1c))에는 흡착제로서 건조제(2a)가 접착에 의해 붙여져서 수납되고, 또한 제 2 오목부(1b)내의 저면(지지부(1c))에는 흡착제로서 건조제(2b)가 접착에 의해 붙여져서 수납되어 있다. 이 건조제(2a, 2b)의 두께는, 예컨대 100μm 정도이다. 또한, 이들 건조제(2a,2b)는, 기지(旣知)의 건조제를 시트형태로 성형하고, 지지부(1c)의 양면에 붙이도록 배설되어 있지만, 건조제를 겔 형태로 도포하여 형성해도 좋다.
또한, 밀봉 유리기판(1)은, 투명 유리기판(3)상에 씰제(자외선 경화형 수지재로 이루어진 접착제)(4)를 통해서 배치되어 있다.
투명 유리기판(3)의 판두께는, 예컨대 700μm 정도이며, 그 주평면상에 제 1 유기EL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유기EL 소자는, 밀봉 유리기판(1)의 오목부(1a)에 간극을 통해서 서로 마주보고 있다.
상기 제 1 유기EL 소자의 캐소드 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간극을 통해서 상기 오목부(1a)를 서로 마주보고 있다.
씰제(4)는, 밀봉 유리기판(1)의 주연부 상에 설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양쪽기판을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기밀밀봉되어 부 표시패널(SPN)이 구성된다.
또한, 밀봉 유리기판(1)의 제 2 오목부(1b)와 대향하는 투광성 유리기판(5)의 내측의 주면상에는, 도 1에 도시한 제 2 유기EL 발광소자(ELD)(2)가 그 음극(KD)측을 건조제(2b)와 대향시켜서 형성되고, 이 유기EL 발광소자(ELD)(2)가 형성된 투광성 유리기판(5)은, 그 음극(KD)측을 건조제(2b)에 대향시켜, 밀봉 유리기판(1)의 주연(周緣)부에 씰제(자외선 경화형 수지재로 이루어진 접착제)(4)를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양쪽기판을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기밀밀봉시켜 주 표시패널(MPN)이 구성된다. 또, 이 투광성 유리기판(5)의 판두께는, 예컨대 700 μm정도이다. 또한, 상기 씰제(4)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재를 이용했지만, 다른 씰제를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주 표시패널(MPN)과 부 표시패널(SPN)이 밀봉 유리기판(1)에 포개진 양면 EL표시패널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주 표시패널(MPN)과 부 표시패널(SPN)에 각각 외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주 표시패널(MPN)과 부 표시패널(SPN)에서 서로 다른 화상(L1, L2)이 표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면에 오목부(1a)와 오목부(1b)를 가지는 밀봉 유리기판(1)의 저면에 각각 건조제(2a, 2b)를 붙이고, 각각에 유기EL 발광소자(ELD1, ELD2)를 형성한 투광성 기판(3, 5)을 붙이는 것에 의해, 밀봉 유리기판(1)을 공유 하고, 일체화한 양면 유기EL 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현상(現狀)의 밀봉기판 1장분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설명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주 표시패널(MPN) 및 부 표시패널(SPN)에 각각 외부구동회로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 접속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부의 도시하지 않은 각 전극단자에 접속하는 주 표시패널용 플렉시블 와이어(MPFC) 및 부 표시패널용 플렉시블 와이어(SPFC)의 압착 부위를 각각 디자인에 대응해서 종횡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옮기는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유기EL 표시장치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실시예 2의 전체구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상술한 도 2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 도 2와 다른 점은, 밀봉 유리기판(1)의 제 1 오목부(1a)의 저면과 제 2 오목부(1b)의 저면을 공유하는 지지부(10)에는 제 1 오목부(1a)와 제 2 오목부(1b)가 연통하는 복수의 개구(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오목부(1a)의 저면(지지부(1c))에는, 복수의 개구(1d)를 막도록 건조제(2)가 접착에 의해 붙여져서 수납되고, 제 2 오목부(1b)내의 저면(지지부(1c))에는 수납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건조제(2)는 제 1 오목부(1a)의 내부 및 제 2 오목부(1b)의 내부의 양쪽에 그 흡착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건조제(2)의 두께는, 예컨대 100μm정도이다. 또한, 이 건조제(2)는, 기지의 건조제를 시트형태로 성형하고, 오목부(1a)의 저면에 붙이거나, 또는 건조제를 겔 형태로 해서 도포해서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오목부(1a)의 저면에 건조제(2)를 한 장 수납하는 것만으로 공기중의 수분 및 가스 성분 등의 흡착 기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밀봉 유리기판(1)의 판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고, 더욱 더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한 장의 건조제(2)로 해결되므로, 생산 코스트 또한 저감시킬 수 있다.또한, 이 건조제(2)를 제 1 오목부(1a)에 대신해서 제 2 오목부(1b)의 저면에 수납시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 EL 표시장치의 실시예 3의 전체구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상술한 도 2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도 2와 다른 점은, 투광성 유리기판(3)의 내측 주면에는, 유기EL 발광소자(ELD2)의 발광 영역보다도 작은 발광 영역을 가지는 유기EL 발광소자(ELD1')가 형성되고, 또한 이 유기EL발광소자(ELD1')의 주면(周面)에는, 이 유기EL 발광소자(ELD1')를 둘러싸도록 건조제(2)가 접착에 의해 붙여져 있다.
도 6은, 상기 도 5에 설명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주 표시패널(MPN) 및 부 표시패널(SPN)에 각각 외부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 접속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부의 도시하지 않는 각 전극단자에 접속 되는 주 표시패널용 플렉시블 와이어(MPFC) 및 부 표시패널용 플렉시블 와이어(SPFC)의 압착부를 각각 디자인에 대응시켜 옮기는 것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유기EL 표시장치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표시 면적이 큰 주 표시패널(MPN)과 표시 면적이 작은 부 표시패널(SPN)이 밀봉 유리기판(1)에 포개진 양면표시패널이 달성될 수 있으므로, 주 표시패널(MPN)과 부 표시패널(SPN)에 각각 외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주 표시패널(MPN)과 부 표시패널(SPN)에서 서로 표시 영역이 다른 화상(L1, L2)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투광성 유리기판(3)의 내면에 형성된 표시 영역이 작은 유기EL 발광소자(ELD1')를 둘러싸서 건조제(2)를 붙인 것에 의해, 제 1 오목부(1a)의 저면에의 붙임이 불필요하게 되어, 그 만큼 밀봉 유리기판(1)의 제 1 오목부(1a)의 깊이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밀봉 유리기판(1)의 판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실시예 4의 전체구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상술한 도 5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있어서, 도 5와 다른 점은, 표시 영역이 큰 주 표시패널(MPN)과 표시 영역이 작은 부 표시패널(SPN)을 포개서 구성한 양면표시패널의 경우, 투광성 유리기판(3)의 내면에 형성된 유기EL 발광소자(ELD1')의 주면에 이 유 기EL 발광소자(ELD1')를 둘러싸도록 붙여진 건조제(2)를 주 표시패널(MPN)과 부 표시패널(SPN)에서 공유하도록 투광성 유리기판(3)과 투광성 유리기판(5)을 스페이서(spacer)를 겸한 씰제(4')에 의해 기밀밀봉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밀봉기판(1)을 필요로 하지 않는 유기EL 표시장치가 실현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투광성 유리기판(3)의 내면에 붙인 한 장의 건조제(2)로 공기중의 수분 및 가스 성분등의 흡착 기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도 5에 나타낸 밀봉 유리기판(1)을 불필요로 해서 양면표시패널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더욱더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한 장의 건조제(2)로 해결되므로, 제조 코스트를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도 8∼도 10은, 도 7에 나타낸 유기EL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건조제의 배치 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 표시패널(SPN)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성 기판(3)의 내면에 붙여진 건조제(2) 배설위치는, 부 표시패널(SPN)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붙인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표시패널(SPN)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복수장의 건조제(2c~2f)를 붙여도 좋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표시패널(SPN)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양쪽 사이드에 붙여도 좋다. 또한, 이들 건조제(2, 2c~2f, 2g, 2h)는, 그 수량 및 그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5]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실시예 5의 전체구조를 모식적 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상술한 도 2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있어서, 도 2와 다른 점은, 도 2에 나타내는 단면이 거의 H형상으로 형성된 밀봉 유리기판(1)이 각각 오목부(1a)의 저면을 가지는 제 1 밀봉 유리기판(1A)과 오목부(1b)의 저면을 가지는 제 2 밀봉 유리기판(1B)으로 2분할되어서 구성되고, 각각 서로 독립한 주 표시패널(MPN)과 부 표시패널(SPN)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주 표시패널(MPN)과 부 표시패널(SPN)을 상호의 배면끼리를 근접시켜서 대향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양면표시구조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주 표시패널(MPN)과 부 표시패널(SPN)이 상호의 배면끼리를 대향배치시켜 포개진 박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양면EL표시패널을 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 표시패널(MPN)과 부 표시패널(SPN)에 각각 외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주 표시패널(MPN)과 부 표시패널(SPN)에서 서로 다른 화상(L1, L2)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유기EL 발광소자(ELD1, ELD2)로서 도 1(a)에 나타내는 구조의 유기EL 발광소자(ELD)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층에 양극(AP), 유기다층막(EML) 및 음극(KD)을 덮어서 가스 배리어막(GBM)이 형성된 유기EL 발광소자(ELD)를 이용해도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유기EL 발광소자(ELD)가 외부분위기 중의 수분 및 가스 성분 등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착층으로서 건조제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조제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규조토, 규산토 또는 이것들의 혼합체 등을 이용하고, 이것들을 시트형태로 성형해서 붙이는 것도 좋고, 또한 겔 형태로서 도포해서 건조시켜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액티브 매트릭스 형태의 유기EL 표시장치를 전제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패시브 형태의 유기EL 표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기EL 표시장치로서 표리(表裏) 2장의 유기EL표시 기판을 일체화한 양면 유기EL패널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성을 중시하는 소형정보단말(휴대, PDA등)용의 유기 EL 패널 또는 모니터용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엄밀한 제조 프로세스가 요구되고, 수명이나 신뢰성에 큰 영향력을 가지는 유기EL 소자로서, 표리면마다 기판 한쪽면만에 제조한 고품질, 고수명의 유기EL 소자를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신뢰성이 높은 박형의 양면형 유기EL 표시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한 쪽의 면에 제 1 오목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 1 오목부의 반대쪽면에 제 2 오목부를 가지는 밀봉기판과,
    상기 제 1 오목부의 주연(周緣)부에 씰(seal)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氣密封止)된 제 1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유기EL 발광소자와,
    상기 제 2 오목부의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2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 2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2 유기EL 발광소자,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EL 표시장치.
  2. 한 쪽의 면에 제 1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오목부의 반대쪽 면에 제 2 오목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를 연통하는 적어도 1개의 개구를 가지는 밀봉기판과,
    상기 제 1 오목부의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1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유기EL 발광소자와,
    상기 제 2 오목부의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2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 2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2 유기EL 발광소자,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EL 표시장치.
  3. 한 쪽의 면에 제 1 오목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 1 오목부의 반대쪽 면에 제 2 오목부를 가지는 밀봉기판과,
    상기 제 1 오목부의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1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유기EL 발광소자와,
    상기 제 1 투광성 기판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대향배치되고, 또한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2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 2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유기EL 발광소자보다도 발광 면적이 큰 제 2 유기EL 발광소자,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EL 표시장치.
  4. 제 1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유기EL발광소자와,
    상기 제 1 투광성 기판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대향 배치되고, 또한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2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 2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유기EL 발광소자보다도 발광 면적이 큰 제 2 유기EL 발광소자,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EL 표시장치.
  5. 한 쪽의 면에 제 1 오목부를 가지는 제 1 밀봉기판과,
    상기 제 1 오목부의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1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유기EL 발광소자와,
    한 쪽의 면에 제 2 오목부를 가지는 제 2 밀봉기판과,
    상기 제 2 오목부의 주연부에 씰제를 개재시켜서 기밀밀봉된 제 2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 2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2 유기EL 발광소자,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밀봉기판과 상기 제 2 밀봉기판이 배면끼리 대향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EL 표시장치.
  6. 한쌍의 전극과 상기 한쌍의 전극에 끼워 넣어진 유기 발광층을 가진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한 2개의 투광성 기판과,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밀봉하는 하나의 밀봉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기판의 양면과 상기 2개의 투광성 기판의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면의 각각이 공간을 통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는, 유기EL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의 저면에 배설된 제 1 흡착층과,
    상기 제 2 오목부의 저면에 배설된 제 2 흡착층,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EL 표시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의 어느 한쪽의 저면에 배설된 흡착층,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EL 표시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상기 제 1 유기EL 발광소자를 제외한 주면에 배설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흡착층과,
    상기 제 2 오목부의 저면에 배설된 제 2 흡착층,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EL 표시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광성 기판의 내면에 상기 제 1 유기EL 발광소자를 제외한 주면에 배설된 적어도 하나의 흡착층,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EL 표시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의 저면에 배설된 제 1 흡착층과,
    상기 제 2 오목부의 저면에 배설된 제 2 흡착층,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EL 표시장치.
KR1020050012309A 2004-02-17 2005-02-15 유기el 표시 장치 KR100707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39232A JP2005235403A (ja) 2004-02-17 2004-02-17 有機・el表示装置
JPJP-P-2004-00039232 2004-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946A KR20060041946A (ko) 2006-05-12
KR100707252B1 true KR100707252B1 (ko) 2007-04-13

Family

ID=3483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309A KR100707252B1 (ko) 2004-02-17 2005-02-15 유기el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622861B2 (ko)
JP (1) JP2005235403A (ko)
KR (1) KR100707252B1 (ko)
CN (1) CN100490211C (ko)
TW (1) TWI2869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2613B2 (en) 2004-09-27 2008-05-13 Idc, Llc Method and device for multistate interferometric light modulation
US7944599B2 (en) 2004-09-27 2011-05-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Electromechanical device with optical function separated from mechanical and electrical function
US7289259B2 (en) 2004-09-27 2007-10-30 Idc, Llc Conductive bus structure for interferometric modulator array
US7630119B2 (en) 2004-09-27 2009-12-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lippage between structures in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US7583429B2 (en) 2004-09-27 2009-09-01 Idc, Llc Ornamental display device
US7302157B2 (en) 2004-09-27 2007-11-27 Idc, Llc System and method for multi-level brightness in interferometric modulation
US7304784B2 (en) * 2004-09-27 2007-12-04 Idc, Llc Reflective display device having viewable display on both sides
US7564612B2 (en) 2004-09-27 2009-07-21 Idc, Llc Photonic MEMS and structures
US7420725B2 (en) 2004-09-27 2008-09-02 Idc, Llc Device having a conductive light absorbing mask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7936497B2 (en) 2004-09-27 2011-05-0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MS device having deformable membrane characterized by mechanical persistence
US7638942B2 (en) * 2004-10-11 2009-12-29 Lg Display Co., Ltd. Encapsulation cap having a get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884989B2 (en) * 2005-05-27 2011-02-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White interferometric modulator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7460292B2 (en) 2005-06-03 2008-12-0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ferometric modulator with internal polarization and drive method
TWI257823B (en) * 2005-09-09 2006-07-01 Au Optronics Corp Dual emission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730152B1 (ko) 2005-10-14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TWI296895B (en) 2005-12-02 2008-05-11 Au Optronics Corp Encapsulation structure of dual emiss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916980B2 (en) 2006-01-13 2011-03-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connect structure for MEMS device
US20070268201A1 (en) 2006-05-22 2007-11-22 Sampsell Jeffrey B Back-to-back displays
US7649671B2 (en) 2006-06-01 2010-01-1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nalog interferometric modulator device with electrostatic actuation and release
KR101384785B1 (ko) * 2006-06-01 2014-04-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소자, 발광장치 및 전자기기
US7835061B2 (en) 2006-06-28 2010-11-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upport structures for free-standing electromechanical devices
US7527998B2 (en) 2006-06-30 2009-05-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MEMS devices providing air gap control
TWI336211B (en) 2006-07-12 2011-01-11 Au Optronics Corp Double-sided display appratus
US9397308B2 (en) 2006-12-04 2016-07-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08069153A1 (en) 2006-12-04 2008-06-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115987B2 (en) 2007-02-01 2012-02-1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odulating the intensity of light from an interferometric reflector
EP1973386B8 (en) 2007-03-23 2016-01-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742220B2 (en) 2007-03-28 2010-06-2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and method utilizing conducting layers separated by stops
US7923924B2 (en) * 2007-04-03 2011-04-12 Tsinghua Universit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source with anode and cathode leads
US7643202B2 (en) 2007-05-09 2010-01-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having a dielectric movable membrane and a mirror
US7715085B2 (en) 2007-05-09 2010-05-1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Electromechanical system having a dielectric movable membrane and a mirror
US7782517B2 (en) 2007-06-21 2010-08-2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frared and dual mode displays
US7630121B2 (en) 2007-07-02 2009-12-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Electromechanical device with optical function separated from mechanical and electrical function
CN101809471B (zh) 2007-07-31 2013-12-25 高通Mems科技公司 用于增强干涉式调制器的色彩偏移的装置
US8072402B2 (en) 2007-08-29 2011-12-0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ferometric optical modulator with broadband reflection characteristics
US7773286B2 (en) 2007-09-14 2010-08-1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Periodic dimple array
US7847999B2 (en) 2007-09-14 2010-12-0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devices
US8040047B2 (en) 2007-10-19 2011-10-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US8058549B2 (en) 2007-10-19 2011-11-1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 devices with integrated color interferometric film stacks
WO2009052326A2 (en) 2007-10-19 2009-04-2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splay with integrated photovoltaics
KR20100103467A (ko) 2007-10-23 2010-09-27 퀄컴 엠이엠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조절가능하게 투과성인 mems―기반 장치
US8941631B2 (en) 2007-11-16 2015-01-2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imultaneous light collection and illumination on an active display
US7715079B2 (en) 2007-12-07 2010-05-1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MS devices requiring no mechanical support
US8164821B2 (en) 2008-02-22 2012-04-2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with thermal expansion balancing layer or stiffening layer
US7944604B2 (en) 2008-03-07 2011-05-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ferometric modulator in transmission mode
CN101978784B (zh) 2008-03-18 2012-12-0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元件、发光装置及电子装置
WO2009116547A1 (en) 2008-03-18 2009-09-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612933B2 (en) 2008-03-27 2009-11-0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with spacing layer
US7898723B2 (en) 2008-04-02 2011-03-0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display element with photovoltaic structure
US7969638B2 (en) 2008-04-10 2011-06-2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vice having thin black mask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845117B2 (en) * 2008-04-15 2014-09-30 Paul E. Lohneis Three-dimensional lighting structure utilizing light active technology
US8979290B2 (en) 2008-04-15 2015-03-17 Paul E. Lohneis Three-dimensional lighting structure utilizing light active technology
JP2009259572A (ja) * 2008-04-16 2009-11-05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
US7746539B2 (en) 2008-06-25 2010-06-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acking a display device and the device obtained thereof
US7768690B2 (en) 2008-06-25 2010-08-0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Backlight displays
US8023167B2 (en) 2008-06-25 2011-09-2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Backlight displays
US8466476B2 (en) 2008-07-07 2013-06-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using desiccants
US7859740B2 (en) 2008-07-11 2010-12-2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tiction mitigation with integrated mech micro-cantilevers through vertical stress gradient control
US7855826B2 (en) 2008-08-12 2010-12-2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or eliminate stiction and image retention in interferometric modulator devices
US8358266B2 (en) 2008-09-02 2013-01-2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turning device with prismatic light turning features
EP2200407B1 (en) 2008-12-17 2017-11-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WI528862B (zh) 2009-01-21 2016-04-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元件,發光裝置以及電子裝置
US8270056B2 (en) 2009-03-23 2012-09-1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splay device with openings between sub-pixel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2449511A (zh) 2009-05-29 2012-05-09 高通Mems科技公司 照明装置及其制造方法
US8270062B2 (en) 2009-09-17 2012-09-1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splay device with at least one movable stop element
US8488228B2 (en) 2009-09-28 2013-07-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ferometric display with interferometric reflector
WO2011126953A1 (en) 2010-04-09 2011-10-1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chanical layer of an electromechanical devic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JP2013544370A (ja) 2010-08-17 2013-12-12 クォルコム・メム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干渉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の電荷中性電極の作動及び較正
KR101365671B1 (ko) * 2010-08-26 2014-0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기전계발광소자
US9057872B2 (en) 2010-08-31 2015-06-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electric enhanced mirror for IMOD display
KR20120026970A (ko) 2010-09-10 2012-03-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발광 장치
US9134527B2 (en) 2011-04-04 2015-09-1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Pixel via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8963159B2 (en) 2011-04-04 2015-02-2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Pixel via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8659816B2 (en) 2011-04-25 2014-02-2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chanical laye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40051988A (ko) * 2011-08-04 2014-05-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에지 보호된 배리어 조립체
JP6139525B2 (ja) 2011-08-04 2017-05-3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縁部保護バリアアセンブリ
US8736939B2 (en) 2011-11-04 2014-05-2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atching layer thin-films for an electromechanical systems reflective display device
KR102013893B1 (ko) 2012-08-20 2019-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GB2505499B (en) * 2012-09-03 2017-03-08 Dst Innovations Ltd Electroluminescent displays and lighting
JP6106483B2 (ja) * 2013-03-25 2017-03-29 株式会社カネカ 有機elモジュール
JP6106486B2 (ja) * 2013-03-26 2017-03-29 株式会社カネカ 有機elモジュール
CN104183588A (zh) * 2013-05-21 2014-12-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183744A (zh) * 2013-05-21 2014-12-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183579A (zh) * 2013-05-21 2014-12-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183706A (zh) * 2013-05-21 2014-12-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183587A (zh) * 2013-05-21 2014-12-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DE102013109822A1 (de) * 2013-09-09 2015-03-1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trahlungsemittieren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WO2015097857A1 (ja) * 2013-12-27 2015-07-02 パイオニアOledライティ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17188186A (ja) * 2014-08-26 2017-10-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8010446B (zh) * 2017-11-30 2020-05-1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阵列基板以及柔性显示屏
US10953254B2 (en) 2017-12-05 2021-03-23 Captive-Air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fire suppression systems in commercial kitche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458A (ko) * 1998-09-11 2000-04-15 정선종 전방향 전기발광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102945A (ko) * 2000-05-08 2001-11-17 니시무로 아츠시 유기 el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376A (ja) * 1993-01-25 1994-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気密封止された圧電デバイスおよび気密封止パッケージ
JPH06223966A (ja) * 1993-01-28 1994-08-12 Toshiba Corp 有機分散型elパネル
JP3723308B2 (ja) 1997-01-28 2005-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0100558A (ja) * 1998-09-18 2000-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装置
JP2001092390A (ja) 1999-09-21 2001-04-06 Minolta Co Ltd 表示装置
JP2001237074A (ja) * 2000-02-24 2001-08-31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光源
JP2001338755A (ja) * 2000-03-21 2001-12-07 Seiko Epson Corp 有機el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45184A (ja) * 2000-06-01 2001-12-14 Nippon Menbrane:Kk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及び表示装置
JP3902938B2 (ja) * 2000-10-31 2007-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の製造方法及び有機発光表示体の製造方法、有機発光素子及び有機発光表示体
JP2002280166A (ja) * 2001-01-12 2002-09-27 Japan Gore Tex Inc 有機el素子
JP2002289362A (ja) 2001-01-17 2002-10-04 Tokai Rubber Ind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2252089A (ja) 2001-02-26 2002-09-06 Bando Chem Ind Ltd 両面発光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030012138A (ko) * 2001-07-30 2003-0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봉지방법
KR20040009348A (ko) * 2002-07-23 2004-01-31 삼성 엔이씨 모바일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타입 유기전자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US20040075628A1 (en) * 2002-10-21 2004-04-22 Chih-Chung Chien Double-side display device
TW586096B (en) * 2003-04-25 2004-05-01 Ind Tech Res Inst Dual-scre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458A (ko) * 1998-09-11 2000-04-15 정선종 전방향 전기발광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102945A (ko) * 2000-05-08 2001-11-17 니시무로 아츠시 유기 el소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19458 *
102001010294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88862B2 (en) 2011-02-15
TWI286913B (en) 2007-09-11
CN100490211C (zh) 2009-05-20
US7622861B2 (en) 2009-11-24
CN1658711A (zh) 2005-08-24
TW200709724A (en) 2007-03-01
US20050179378A1 (en) 2005-08-18
US20080054800A1 (en) 2008-03-06
KR20060041946A (ko) 2006-05-12
JP2005235403A (ja) 200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252B1 (ko) 유기el 표시 장치
JP6837510B2 (ja) 電子機器
KR10169014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70120478A1 (en) Double-sid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6173019B2 (ja) 発光装置
US8258523B2 (en)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86922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7011490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panel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20070080629A1 (en) Double-Sid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2008023963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299044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US7638942B2 (en) Encapsulation cap having a get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05036935A1 (en) Double-sid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JP2013025961A (ja) 有機elモジュール
CN217426335U (zh) 保护膜及显示模组
KR100637181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04256B1 (ko) 밀봉 캡
KR20070022954A (ko) 양면 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638037B1 (ko) 밀봉 캡
KR100670256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07029B1 (ko) 밀봉 캡
KR101076439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637183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3128602A1 (ja) 有機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046455A1 (ja) 有機el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