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791B1 -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791B1
KR100688791B1 KR1020060008767A KR20060008767A KR100688791B1 KR 100688791 B1 KR100688791 B1 KR 100688791B1 KR 1020060008767 A KR1020060008767 A KR 1020060008767A KR 20060008767 A KR20060008767 A KR 20060008767A KR 100688791 B1 KR100688791 B1 KR 100688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rit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ixe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종
송승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791B1/ko
Priority to JP2006153566A priority patent/JP2007200838A/ja
Priority to US11/512,651 priority patent/US7795803B2/en
Priority to TW095145105A priority patent/TWI375484B/zh
Priority to CN2007100015721A priority patent/CN101009303B/zh
Priority to EP07250353A priority patent/EP1814185A3/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 H10K71/421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using coherent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annea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릿과 접촉되는 기판의 표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하여, 접착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의 외연에 형성되는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비화소 영역의 노출된 일 영역은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 1 기판,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적어도 밀봉되도록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 되어 형성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에 개재되며, 상기 비화소 영역의 노출된 일영역과 접촉되어 형성된 프릿을 포함한다.
프릿,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요철구조, 레이저,봉지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 2 실시예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 3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제 1 기판 101: 증착기판
150: 프릿 115: 층간절연층
200: 제 2 기판 117: 평탄화층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릿과 접촉되는 기판의 표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하여, 접착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가 주목받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형광성을 가진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 시켜 발광하는 자 발광형 디스플레이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화가 용이하며, 광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등의 장점을 갖는다.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상에 유기 발광소자와 유기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TFT(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를 구비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소자는 산소 및 수분에 민감하여 흡습제가 도포 된 금속 캡이나 밀봉 유리 기판으로 증착 기판에 덮개를 덮어 산소 및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는 밀봉 구조가 제안되었다.
또한, 유리 기판에 프릿(frit)을 도포하여 유기 발광소자를 밀봉하는 구조가 미국 공개특허 공보 [제 20040207314 호]에 개시되어있다. 미국 공개특허 공보 [제 20040207314 호]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프릿을 사용함으로써 기판과 봉지기판 사이가 완전하게 밀봉됨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유기 발광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0), 프릿(25) 및 제 2 기판(30)을 포함한다.
제 1 기판(10)은 증착 기판(11) 및 증착 기판(11)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소자(20,22,23)를 포함한다. 먼저, 증착 기판(11)상에 버퍼층(12)이 형성된다. 증착 기판(11)은 유리(glass) 등으로 형성되며 버퍼층(12)은 산화 실리콘(SiO2) 또는 질화 실리콘(SiNx)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한편, 버퍼층(12)은 외부로부터의 열 등의 요인으로 인해 증착 기판(10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버퍼층(12)의 적어도 어느 일 영역 상에는 액티브층(13a)과 소스 및 드레인 영역(13b)을 구비하는 반도체층(13)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3)을 포함하여 버퍼층(12)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14)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층(14)의 일 영역 상에는 액티브층(13a)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의 게이트 전극(15)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15)을 포함하여 게이트 절연층(14) 상에는 층간 절연층(16)이 형성되며, 층간 절연층(16)의 소정의 영역 상에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7a,17b)이 형성된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17a,17b)은 소스 및 드레인 영역(13b)의 노출된 일 영역과 각각 접속되도록 형성되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7a,17b)을 포함하여 층간 절연층(16)상에는 평탄화층(18)이 형성된다.
평탄화층(18)의 일 영역 상에는 제 1 전극(20)이 형성되며, 이때 제 1 전극(20)은 비아홀(19)에 의해 소스 및 드레인 전극(17a,17b) 중 어느 하나의 노출된 일 영역과 접속된다.
제 1 전극(20)을 포함하여 평탄화층(18) 상에는 제 1 전극(20)의 적어도 일 영역을 노출하는 개구부(미도시)가 구비된 화소 정의막(21)이 형성된다.
화소 정의막(21)의 개구부 상에는 유기층(22)이 형성되며, 유기층(22)을 포함하여 화소 정의막(21)상에는 제 2 전극층(23)이 형성된다.
프릿(25)은 제 1 기판(10)의 비화소 영역(미도시)과 제 2 기판(30) 사이에 구비되며,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30)을 접착시킨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소정의 공정 진행 시 프릿(25)에 의한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30)의 접착 특성이 저하되어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30)의 박리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기 발광 소자에 산소 및 수분이 침투해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수명 및 발광 효율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릿과 접촉되는 기판의 표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하여 기판과 봉지기판 간의 접착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의 외연에 형성되는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비화소 영역의 노출된 일 영역은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 1 기판,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적어도 밀봉되도록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 되어 형성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에 개재되며, 상기 비화소 영역의 노출된 일영역과 접촉되어 형성된 프릿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의 외연에 형성되는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비화소 영역의 노출된 일 영역은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 1 기판을 배열하는 단계, 내곽을 따라 프릿이 도포된 제 2 기판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프릿이 상기 요철구조로 형성된 상기 비화소 영역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릿을 용융시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소자(미도시)가 형성된 화소 영역(미도시) 및 화소 영역의 외연에 형성되는 비화소 영역(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1 기판(100)과, 제 1 기판(100)의 화소 영역을 포함한 일 영역에 합착 되는 제 2 기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제 2 기판(200)의 일 영역 상에 프릿(150)을 도포한다. 이때, 제 2 기판(200)과 비화소 영역 사이에 프릿(150)이 개재되도록 한다. 여기서, 프릿(150)은 열팽창 계수를 조절하기 위한 필러 및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재를 포함한다.
한편, 프릿(150)을 도포하는 공정은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스크린 프린팅은 망 구조를 갖는 금속재질 시트에 원하는 문양을 도안하여 그린 후 문양을 제외한 부분은 에멀전 액을 이용하여 마스킹하고, 프릿을 스퀴즈(squeeze)로 밀어서 제 2 기판(200)상에 원하는 문양으로 인쇄하는 방법이다.
후속 공정으로, 프릿(150)을 소정의 온도로 소성한다. 프릿(150)을 소성하는 공정으로 인해, 프릿(150)을 젤 형태의 페이스트로 만들기 위해 첨가하였던 유기물이 공기중으로 소멸되면서, 프릿(150)이 고체상태로 경화된다. 이때, 프릿(150)을 소성하는 공정은 노(furnace)에서, 300 ℃ 내지 700 ℃ 범위의 온도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그 다음, 제 1 기판(100)을 구비하여,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200)을 합착한다. 이때, 제 1 기판(100)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110)가 적어도 밀봉되도록 하기 위해, 유기 발광 소자(110)를 내부에 포함하여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200)이 합착 되어야 한다. 한편, 제 1 기판(100)의 비화소 영역 중 노출된 일 영역, 즉, 프릿(150)과 접촉되는 표면은 요철구조로 형성한다. 즉, 프릿(150)과 제 1 기판(100)사이의 접착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프릿(150)에 의해 접착되는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200)의 접착특성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기판(100)의 프릿(150)과 접촉되는 표면은 무기막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릿(150)이 유기막층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면, 열에 취약한 유기막층이 프릿(150)에 조사되는 레이저등의 고열에 의해 손상된다. 따라서, 프릿(150)과의 접착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제 1 기판(100)의 노출된 표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하는 공정은 식각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식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실시하며, 이러한 건식 식각공정은 이온빔 식각, RF 스퍼터링 식각 및 반응이온 식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한다.
이후, 프릿(150)에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200)이 접착되도록 한다. 이때, 프릿을 용융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레이저 세기의 범위는 20 내지 60W 이다. (도 2c)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00), 프릿(150) 및 제 2 기판(200)을 포함한다.
제 1 기판(100)은 증착 기판(101) 및 증착 기판(101)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소자(110)를 포함한다. 먼저, 증착 기판(101)상에 버퍼층(111)이 형성된다. 증착 기판(101)은 유리(glass) 등으로 형성되며 버퍼층(111)은 산화 실리콘(SiO2) 또는 질화 실리콘(SiNx)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한편, 버퍼층(111)은 외부로부터의 열 등의 요인으로 인해 증착 기판(10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버퍼층(111)의 적어도 어느 일 영역 상에는 액티브층(112a)과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2b)을 구비하는 반도체층(112)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12)을 포함하여 버퍼층(111)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113)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층(113)의 일 영역 상에는 액티브층(112a)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의 게이트 전극(114)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114)을 포함하여 게이트 절연층(113) 상에는 층간 절연층(115)이 형성되며, 층간 절연층(115)의 소정의 영역 상에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a,116b)이 형성된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a,116b)은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2b)의 노출된 일 영역과 각각 접속되도록 형성되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a,116b)을 포함하여 층간 절연층(115)상에는 평탄화층(117)이 형성된다.
평탄화층(117)의 일 영역 상에는 제 1 전극(119)이 형성되며, 이때 제 1 전극(119)은 비아홀(118)에 의해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a,116b) 중 어느 하나의 노출된 일 영역과 접속된다. 이때, 평탄화층(117)의 비화소 영역, 즉, 유기 발광 다이오드(119,121,122) 및 박막 트랜지스터(114,116a,116b)에 대향 하지 않는 영역 중 노출된 일 영역은 요철구조로 형성한다. 이때, 평탄화층(117)은 프릿(150)과 접착될 제 1 기판(100)의 최상위층에 존재하며, 그 표면이 프릿(150)과 직접적으로 접착되기 때문에, 프릿(150)과 평탄화층(117) 간의 접착특성이 좋아야 한다. 따라서, 평탄화층(117)을 요철구조로 형성하여, 프릿(150)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프릿(150)에 의한,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200)의 접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평탄화층(117)은 프릿(15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절연층이면서, 무기막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릿(150)에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용융시키는 공정을 진행하더라도, 무기막층은 열에 둔감하여 소자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때, 평탄화층(117)의 표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은 식각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며, 바람직하게는 건식 식각 방법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건식 식각 방법으로는 이온빔 식각, RF 스퍼터링 식각 및 반응이온 식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전극(119)을 포함하여 평탄화층(117) 상에는 제 1 전극(119)의 적어도 일 영역을 노출하는 개구부(미도시)가 구비된 화소 정의막(120)이 형성된다.
화소 정의막(120)의 개구부 상에는 유기층(121)이 형성되며, 유기층(121)을 포함하여 화소 정의막(120)상에는 제 2 전극층(122)이 형성된다.
프릿(150)은 제 1 기판(100)의 비화소 영역(100b)과 제 2 기판(200) 사이에 구비되며,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200)을 접착시킨다. 프릿(150)은 제 1 기판(100)의 비화소 영역(미도시) 즉, 유기 발광 다이오드(119,121,122)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중 어느 일 영역과 제 2 기판(30)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프릿(150)은 제 1 기판(100)의 평탄화층(117)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프릿(150)은 열팽창 계수를 조절하기 위한 필러 및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재를 포함한다. 한편, 유리 재료에 가해지는 열의 온도를 급격하게 떨어뜨리면 유리 분말 형태의 프릿(150)이 생성된다. 일반적으로는 프릿(150)에 산화물 분말을 포함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산화물 분말이 포함된 프릿(150)에 유기물을 첨가하면 젤 상태의 페이스트가 된다. 이 젤 상태의 페이스트를 제 2 기판(200)의 밀봉 라인을 따라 도포한다. 이 후 프릿(150)에 소정의 온도로 열처리를 하면 유기물은 공기 중으로 소멸 되고, 젤 상태의 페이스트는 경화되어 고체상태의 프릿(glass frit)으로 존재한다. 여기서, 프릿(150)을 소성하는 온도는 300 ℃ 내지 700 ℃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프릿(150)을 소성하는 온도가 300℃이하일 경우에는 소성 공정을 진행 하더라도 유기물이 잘 소멸되지 않는다. 그리고, 소성 온도가 700℃이상일 경우에는 소성 온도의 증가에 대응하여 레이저빔의 세기도 비례하여 세져야 하기 때문에 소성 온도를 70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 2 실시예이다.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평탄화층(117)과 층간 절연층(115)의 표면의 일 영역이 요철구조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는 프릿(150)과 층간 절연층(115)이 직접 접촉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층간 절연층(115)상에 형성된 평탄화층(117)과 층간 절연층 (115)의 표면을 식각하여, 프릿(150)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킨다. 이에 따라 프릿(150)에 의한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200)의 접착특성이 향상된다.
한편, 평탄화층(117)과 층간 절연층(115)은 프릿(15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절연층이면서, 무기막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릿(150)에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용융시키는 공정을 진행하더라도, 무기막층은 열에 둔감하여 소자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때, 평탄화층(117) 및 층간 절연층(115)의 표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은 식각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며, 바람직하게는 건식 식각 방법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건식 식각 방법으로는 이온빔 식각, RF 스퍼터링 식각 및 반응이온 식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층간 절연층(115)에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은 소스/드레인 전극(116a,116b)과 소스/드레인 영역(112b)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콘택홀(미도시)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함께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평탄화층(117)에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은 소스/드레인 전극(116a,116b)과 제 1 전극(119)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비아홀(118)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함께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함에 있어서, 마스크 등의 추가 공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 3 실시예이다.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증 착기판(101)의 표면이 요철구조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는 프릿(150)과 증착기판(101)이 직접 접촉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증착기판(101)과 증착기판(101)상에 형성된 모든 구조물의 비화소 영역 중 노출된 일 영역을 식각하여, 프릿(150)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킨다. 이에 따라 프릿(150)에 의한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200)의 접착특성이 향상된다. 즉, 증착기판(101)이 프릿(150)과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증착기판(101)의 일 영역을 노출한다.
한편, 증착기판(101) 및 증착기판(101)상에 형성되며 비화소 영역에 포함되는 층들은 프릿(15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절연층이면서, 무기막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릿(150)에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용융시키는 공정을 진행하더라도, 무기막층은 열에 둔감하여 소자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때, 증착기판(101)의 표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은 식각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며, 바람직하게는 건식 식각 방법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건식 식각 방법으로는 이온빔 식각, RF 스퍼터링 식각 및 반응이온 식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증착기판(101)에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을 비화소 영역, 즉, 박막 트랜지스터(114,116a,116b)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119,121,122)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증착기판(101)상에 버퍼층(111)을 형성하고, 버퍼층(111)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113)을 형성한다. 이후, 게이트 절연층(113)상에는 층간 절연층(115)을 형성하고, 층간 절연층(115)상에는 평탄화층(117)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비화소 영역의 일 영역을 식각하여, 증착기판 (101)의 표면 및 식각된 구조물들의 내측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한다. 이때, 비화소 영역에 형성된 구조물들은 모두 프릿(150)과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 열에 강한 절연층이면서, 무기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로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증착기판(101)은 유리(glass)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프릿(150)과 제 1 기판(100)의 접착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프릿(150)에 의한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200)의 접착력이 강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프릿과 접촉되는 기판의 표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하여 접착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프릿에 의한 기판과 봉지기판의 접착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를 더욱 효율적으로 밀봉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수명 및 발광 효율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의 외연에 형성되는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비화소 영역의 노출된 일 영역은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 1 기판;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적어도 밀봉되도록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 되어 형성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에 개재되며, 상기 비화소 영역의 노출된 일영역과 접촉되어 형성된 프릿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증착기판과, 상기 증착기판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콘택홀 또는 비아홀을 구비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기판의 상기 비화소 영역의 노출된 표면에 상기 요철구조가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상기 비화소 영역의 노출된 표면에 상기 요철구조가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화소 영역의 상기 요철구조가 형성된 영역은 무기막층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은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재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7.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의 외연에 형성되는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비화소 영역의 노출된 일 영역은 요철구조로 형성된 제 1 기판을 배열하는 단계;
    내곽을 따라 프릿이 도포된 제 2 기판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프릿이 상기 요철구조로 형성된 상기 비화소 영역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릿을 용융시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증착기판과, 상기 증착기판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콘택홀 또는 비아홀을 구비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기판에 상기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절연층이 형성된 후 상기 절연층과 상기 증착기판의 노출된 표면을 식각하여 실시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제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에 상기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택홀 또는 상기 비 아홀을 형성하는 공정 시 함께 실시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제조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건식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제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식각공정은 이온빔 식각, RF 스퍼터링 식각 및 반응이온 식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제조 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을 용융하는 단계는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제조 방법.
KR1020060008767A 2006-01-27 2006-01-27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8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767A KR100688791B1 (ko) 2006-01-27 2006-01-27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53566A JP2007200838A (ja) 2006-01-27 2006-06-01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512,651 US7795803B2 (en) 2006-01-27 2006-08-2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TW095145105A TWI375484B (en) 2006-01-27 2006-12-05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07100015721A CN101009303B (zh) 2006-01-27 2007-01-08 有机发光显示器及其制造方法
EP07250353A EP1814185A3 (en) 2006-01-27 2007-01-2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767A KR100688791B1 (ko) 2006-01-27 2006-01-27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8791B1 true KR100688791B1 (ko) 2007-03-02

Family

ID=3800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767A KR100688791B1 (ko) 2006-01-27 2006-01-27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95803B2 (ko)
EP (1) EP1814185A3 (ko)
JP (1) JP2007200838A (ko)
KR (1) KR100688791B1 (ko)
CN (1) CN101009303B (ko)
TW (1) TWI375484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41A (ko) * 2008-06-24 2010-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35444A (ko) * 2009-09-30 2011-04-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20150050996A (ko) * 2013-11-01 2015-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184224B2 (en) 2013-10-22 2015-11-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09376B1 (ko) * 2008-12-19 2016-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플레이트 방식의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385174B2 (en) 2013-10-22 2016-07-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9527450A (ja) * 2016-07-19 2019-09-26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Boe Technology Group Co.,Ltd. 表示基板、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666B1 (ko) * 2006-01-2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88792B1 (ko) * 2006-01-27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11962B1 (ko) 2007-10-22 2009-08-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EP2139041B1 (en) * 2008-06-24 2015-08-19 LG Display Co., Ltd. Luminescence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5358324B2 (ja) * 2008-07-10 2013-12-0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ペーパー
DE102008063636A1 (de) * 2008-12-18 2010-06-24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rganische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s und organisches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KR101397109B1 (ko) * 2010-04-13 2014-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4229B1 (ko) * 2010-06-11 2013-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1702B1 (ko) * 2010-10-27 2017-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8780579B2 (en) * 2011-01-05 2014-07-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WI472003B (zh) 2011-08-15 2015-02-0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
WO2013146350A1 (ja) * 2012-03-30 2013-10-03 昭和電工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6013067B2 (ja) * 2012-07-26 2016-10-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26257A (ko) * 2012-08-23 2014-03-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CN103855105B (zh) * 2012-12-06 2017-04-26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环境敏感电子元件封装体及其制作方法
KR101993331B1 (ko) * 2013-01-03 2019-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15841A (ko) * 2013-03-22 2014-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조명유닛
US9394614B2 (en) * 2013-04-19 2016-07-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forming projections and depressions, sealing structure, and light-emitting device
US9825253B2 (en) 2013-06-28 2017-11-2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65749B1 (ko) * 2014-06-16 2021-06-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022922A1 (ja) * 2013-08-14 2015-02-19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CN103424936A (zh) * 2013-08-30 2013-12-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TW201513332A (zh) * 2013-09-24 2015-04-01 Wintek Corp 有機發光封裝結構及其製造方法
TWI667782B (zh) * 2013-09-27 2019-08-0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二極體顯示面板及包含其之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KR102230485B1 (ko) 2013-12-30 2021-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6324098B2 (ja) 2014-02-06 2018-05-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40894B1 (ko) * 2014-02-26 2021-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6307384B2 (ja) 2014-08-11 2018-04-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TWI514181B (zh) * 2014-08-18 2015-12-21 Winbond Electronics Corp 準晶有機發光顯示面板以及模擬準晶有機發光顯示面板之光學效率的方法
CN104538566A (zh) * 2015-01-22 2015-04-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的封装方法及oled封装结构
CN104733504A (zh) * 2015-03-18 2015-06-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基板及制备方法、oled面板及显示装置
CN104810484B (zh) 2015-05-07 2017-01-04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封装胶、封装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4934519B (zh) * 2015-06-23 2018-03-2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的封装方法及显示装置
CA2996035A1 (en) * 2015-08-25 2017-03-02 Abl Ip Holding Llc Enhancements for use of a display in a software configurable lighting device
CN107452893B (zh) * 2016-05-31 2020-04-14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
US10210798B2 (en) 2016-07-04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protective structure
CN106206987A (zh) * 2016-08-25 2016-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及其制造方法以及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6784386A (zh) * 2017-01-13 2017-05-31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封装方法与电致发光器件
CN108538881B (zh) * 2017-03-01 2021-01-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待封装基板、封装器件及显示装置
KR102174137B1 (ko) * 2017-04-25 2020-11-04 주식회사 아모센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및 터치 스크린 패널
CN108807484A (zh) * 2018-06-22 2018-11-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2566157B1 (ko) * 2018-06-28 2023-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243305B (zh) * 2018-09-17 2021-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面板的制造方法
CN111370439A (zh) * 2018-12-07 2020-07-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200110507A (ko) 2019-03-13 2020-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110391355A (zh) * 2019-06-18 2019-10-29 福建华佳彩有限公司 面板封装处理方法及面板封装结构
KR20210055128A (ko) 2019-11-06 2021-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308796A (zh) * 2020-03-31 2020-06-19 成都中电熊猫显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8704A (en) 1979-02-12 1980-12-09 Corning Glass Works Sealed beam lamp of borosilicate glass with a sealing glass of zinc silicoborate and a mill addition of cordierite
JP3814810B2 (ja) 1996-04-05 2006-08-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ビスマス系ガラス組成物
US5708325A (en) * 1996-05-20 1998-01-13 Motorola Display spacer structure for a field emission device
JPH1074583A (ja) 1996-08-30 1998-03-17 Sanyo Electric Co Ltd 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の 製造方法
JP3755252B2 (ja) * 1997-08-21 2006-03-15 三菱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92376A (ja) * 1999-09-20 2001-04-06 Denso Corp 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55025B1 (en) 2000-01-31 2003-04-29 Candescent Technologies Corporation Tuned sealing material for sealing of a flat panel display
US6933537B2 (en) 2001-09-28 2005-08-2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ealing for OLED devices
TW517356B (en) * 2001-10-09 2003-01-11 Delta Optoelectronics Inc Package structure of display device and its packaging method
JP4515022B2 (ja) * 2001-11-16 2010-07-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JP2004111119A (ja) * 2002-09-17 2004-04-08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98776B2 (en) * 2003-04-16 2006-02-14 Corning Incorporated Glass package that is hermetically sealed with a frit and method of fabrication
WO2004094597A2 (en) 2003-04-16 2004-11-04 University Of Miami Anthozoan fluorescent protein genes
KR100635049B1 (ko) * 2003-11-29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JP2005251407A (ja) * 2004-03-01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
KR100615212B1 (ko) 2004-03-08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US20050248270A1 (en) 2004-05-05 2005-11-10 Eastman Kodak Company Encapsulating OLED devices
WO2005112516A1 (ja) * 2004-05-17 2005-11-24 Ulvac, Inc. 有機el装置
JP2005340020A (ja) * 2004-05-27 2005-12-08 Hitachi Displays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0133A (ja) * 2004-05-31 2005-12-08 Sony Corp カソードパネル処理方法、並びに、冷陰極電界電子放出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03350B1 (ko) * 2004-06-17 2006-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7378788B2 (en) * 2004-06-30 2008-05-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6120479A (ja) * 2004-10-22 2006-05-11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41A (ko) * 2008-06-24 2010-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47737B1 (ko) * 2008-06-24 2017-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26620B1 (ko) * 2008-06-24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09376B1 (ko) * 2008-12-19 2016-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플레이트 방식의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5444A (ko) * 2009-09-30 2011-04-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1587097B1 (ko) * 2009-09-30 2016-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US9385174B2 (en) 2013-10-22 2016-07-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184224B2 (en) 2013-10-22 2015-11-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647234B2 (en) 2013-10-22 2017-05-0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806285B2 (en) 2013-10-22 2017-10-3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583730B2 (en) 2013-11-01 2017-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aling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50996A (ko) * 2013-11-01 2015-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0694B1 (ko) * 2013-11-01 2020-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9527450A (ja) * 2016-07-19 2019-09-26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Boe Technology Group Co.,Ltd. 表示基板、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4185A2 (en) 2007-08-01
JP2007200838A (ja) 2007-08-09
CN101009303A (zh) 2007-08-01
EP1814185A3 (en) 2011-07-27
CN101009303B (zh) 2011-03-23
TW200735696A (en) 2007-09-16
US7795803B2 (en) 2010-09-14
US20070176548A1 (en) 2007-08-02
TWI375484B (en) 201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791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463789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7164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073280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68879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067376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3588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60314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2007220647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21653A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38816A (ko) 표시장치
KR2014003100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64107A (ja) 有機el表示装置
TWI596755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及其製造方法
US20090128030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124541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03457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985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59665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351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JP4614051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14000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8788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94143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745347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