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608B1 -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608B1
KR100671608B1 KR1020047018559A KR20047018559A KR100671608B1 KR 100671608 B1 KR100671608 B1 KR 100671608B1 KR 1020047018559 A KR1020047018559 A KR 1020047018559A KR 20047018559 A KR20047018559 A KR 20047018559A KR 100671608 B1 KR100671608 B1 KR 10067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vator
gripping
hole
restri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6563A (ko
Inventor
히다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5)의 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복수의 로프 파지구(6)가 지지부(7)에 의해 지지되고,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5)의 각각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15)을 갖고 로프 파지구(6)의 근방에 배치된 로프 규제구(10)를 구비한 것이며, 이러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5)가 각각 로프 규제구(10)의 관통 구멍(15)에 공극을 갖고 삽입 관통되며, 로프 파지구(6)에 파지되도록 한 것이다. 로프 규제구(10)는 가요성 부재(17)에 의해 파지되어 있고, 가요성 부재(17)는 로프 파지구(6) 또는 지지부(7)에 체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ELEVATOR ROPE HO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카(car) 또는 균형추를 현가하는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는 복수의 로프 파지구(rope grippers)에 의해 파지되어 있고, 로프 파지구는 병렬로 배치된 상태로, 기계실 플로어 등에 설치된 지지부에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거쳐서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가 최하층에 정지되어 있는 경우, 즉 로프 파지구와 카 상부에 설치된 카용 현수 시브(suspension sheave) 사이에 충분한 거리가 있는 경우에는, 로프 파지구는 지지부에 의해 거의 연직 방향을 향해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에 의해, 로프 파지구와 카용 현수 시브가 접근하면, 로프 파지구 부근의 엘리베이터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고, 로프 파지구가 서로 간섭할 우려가 생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불량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에 있어서의 로프 파지구의 배치 간격을 확대하거나, 승강로 정상부의 간극, 즉 엘리베이 터 카가 로프 파지구에 가장 접근한 경우의 카용 현수 시브와 로프 파지구의 거리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점유 공간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실용 신안 공개 공보 제 1977-27052 호에 의하면, 다소의 간극을 거쳐서 로프 파지구와 감합하는 방진 블록을 설치하여, 로프 파지구의 횡진동 및 축선 주위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 로프 유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강체인 로프 파지구가 감합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로프 파지구에 횡진동 및 축선 주위의 회전이 생겼을 때, 로프 파지구에 부하가 걸리고, 로프 파지구의 손상이 우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지지부에 있어서의 로프 파지구의 배치 간격을 확대하거나, 승강로 정상부의 간극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로프 파지구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복수의 로프 파지구와, 이러한 복수의 로프 파지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각각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로프 규제구(rope regulator)가 복수의 로프 파지구의 근방에 배치된 것이며,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가 각각 로프 규제구의 관통 구멍에 공극을 갖고 삽입 관통되어서 로프 파지구에 파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프 규제구는 가요성 부재에 의해 현수되어 있고, 가요성 부재는 로 프 파지구 또는 지지부에 쳬결되어 있다.
또한, 로프 규제구의 관통 구멍 중 적어도 내벽 주변이 엘리베이터 로프의 외층 소재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에 있어서의 로프 파지구의 배치 간격을 확대하거나, 승강로 정상부의 간극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로프 파지구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로프 파지구가 갖는 본래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로프는 로프 규제구에 공극을 갖고 삽입 관통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로프 규제구가 엘리베이터 로프 외층 소재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엘리베이터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로프의 본래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로프 규제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의 도면을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의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5)의 한쪽은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3)의 상부에 설치된 현수 시브(4)에 감겨있다. 엘리베이터 로프(5)의 단부는 각각 복수의 로프 파지구(6)에 의해 파지되어 있다. 로프 파지구(6)는 병렬로 배치된 상태로, 기계실 플로어(2)에 설치된 지지부(7)에 코일 스프링(8)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를 거쳐서 너트(9)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다음에, 로프 규제구(10)가 로프 파지구(6)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 규제구(10)는 각각 반원 형상의 홈이 복수 설치된 2장의 외판(11)과 내판(12)이 조합됨으로써 구성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15)을 갖고 있다. 또한, 외판(11)과 내판(12)은 관통 볼트(13)와 너트(14)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관통 구멍(15)은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5)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로프(5)가 관통 구멍(15)에 공극을 갖고 삽입 관통되어 있다. 즉, 로프 규제구(10)의 관통 구멍(15)의 직경이 엘리베이터 로프(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5)은, 엘리베이터 카(3)가 최상단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즉 로프 파지구(6)와 카(3) 상부의 현수 시브(4)가 가장 접근하고 있을 경우에, 로프 파지구(6)가 서로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프 규제구(10)는 강제의 엘리베이터 로프(5)의 외층 소재보다 부드러운 소재, 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또는 목재로 구성되어 있다. 즉, 로프 규제구(10)에는, 엘리베이터(5)가 접촉했을 때에 로프(5)에 손상을 주지 않는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로프 규제구(10)는 공극을 갖고서 엘리베이터 로프(5)에 삽입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로프 규제구(10)를 로프 파지구(6)의 근방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로프 규제구(10)는 가요성 부재(17)에 의해 현수되어 있다. 가요성 부재(17)의 양단은 로프 파지구(6)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로프 파지구(6)는 로프 규제구(10)에 위치적으로도 가깝고, 가요성 부재(17)를 체결하는 장소로서 적합하다. 이 가요성 부재(17)에는, 예컨대 와이어 등이 사용되지만, 로프 규제구(10)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로프 파지구(6)에 단부가 파지된 엘리베이터 로프(5)가 로프 규제구(10)에 형성된 관통 구멍(15)에 삽입 통과되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3)의 승강에 의해, 현수 시브(4)가 로프 파지구(6)에 접근한 경우에도, 로프 파지구(6) 부근의 엘리베이터 로프(5)는 서로 접근하고자 하지만, 로프(5)가 관통 구멍(15)과 접함으로써 로프(5)의 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로프 파지구(6)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로프(5)가 로프 규제구(10)에 공극을 갖고서 삽입 관통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로프(5)는 관통 구멍(15)에 대하여 로프(5)의 원주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로프(5)에 꼬임이 생겼을 때에도, 엘리베이터 로프(5)가 로프 규제구(10)에 의해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로프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로프(5)의 내구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엘리베이터 로프(5)는 로프(5)의 길이 방향으로도 변위 가능하기 때문에, 보수시에 엘리베이터 로프(5)의 장력을 조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로프 규제구(10)를 제거하지 않고, 각각의 엘리베이터 로프(5)의 장력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로프 규제구(10)가 엘리베이터 로프(5)의 외층 소재보다도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로프(5)가 로프 규제구(10)에 접했을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로프(5)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로프 규제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과 같은 도 1에 따라, 로프 규제구(10)가 로프 파지구(6)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로프 규제구(10)는 가요성 부재(17)에 의해 현가되어 있다. 또한, 가요성 부재(17)의 양단은 로프 파지구(6)에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로프 규제구(10)는 2장의 외판(11)과 내판(12)이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 로프(5)가 삽입 관통되는 로프 규제구(10)의 관통 구멍(15)의 내벽(16) 주변만이 엘리베이터 로프(5)의 외층 소재보다 부드러운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소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도, 엘리베이터 로프(5)가 로프 규제구(10)에 접한 경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로프(5)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또는 상등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로프 파지구(6)에 단부가 파지된 엘리베이터 로프(5)가 로프 규제구(10)에 형성된 관통 구멍(15)에 삽입 관통되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3)의 승강에 의해, 현수 시브(4)가 로프 파지구(6)에 접근한 경우에도, 로프 파지구(6) 부근의 엘리베이터 로프(5)는 서로 접근하고자 하지만, 로프(5)가 관통 구멍(15)과 접함으로써 로프(5)의 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로프 파지구(6)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프 규제구(10)의 관통 구멍(15)의 내벽(16) 주변만이 엘리베이터 로프(5)의 외층 소재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일, 로프 규제구(10)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도, 로프 규제구(10) 전체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관통 구멍(15)의 내벽(16) 주변의 부품만의 교환으로 된다.
그 밖에, 실시 형태 1에서 얻어진 것과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실시 형태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도, 로프 규제구(10)가 로프 파지구(6)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로프 규제구(10)는 가요성 부재(17)에 의해 현수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과 상이하고, 가요성 부재(17)의 양단은 지지부(7)에 체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로프 규제구(10)를 가요성 부재(17)를 이용하여 유지할 수도 있고, 가요성 부재(17)를 로프 파지구(6)와 지지부(7) 중 어느쪽에 체결할지는 이러한 기구를 설치할 때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다음에, 로프 규제구(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 규제구(10) 전체를 엘리베이터 로프(5)의 외층 소재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 규제구(10)의 관통 구멍(15)의 내벽(16) 주변만을 엘리베이터 로프(5)의 외층 소재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형태 1 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로프 파지구(6)에 단부가 파지된 엘리베이터 로프(5)가 로프 규제구(10)에 형성된 관통 구멍(15)에 삽입 관통되어서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3)의 승강에 의해, 현수 시브(4)가 로프 파지구(6)에 접근한 경우에도, 로프 파지구(6) 부근의 엘리베이터 로프(5)는 서로 접근하고자 하지만, 로프(5)가 관통 구멍(15)과 접함으로써 로프(5)의 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로프 파지구(6)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에, 실시 형태 1 등으로 얻어진 것과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카(3)측의 엘리베이터 로프(5)의 단부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엘리베이터 카(3)로부터 권상기를 거쳐 균형추의 현수 시브에 감기는 엘리베이터 로프(5)의 타단측의 단부에 대해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7)가 기계실 플로어(2)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이외에도 지지부(7)가 승강로 상부에 지지대를 거쳐서 설치되는 경우, 또는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의 상면에 빔(beam)을 거쳐서 설치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 또는 그 밖의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는 로프 파지구 근방의 로프 규제구에 엘리베이터 로프를 공극을 갖고 삽입 관통한 것이고, 이로써 지지부에 있어서의 로프 파지구의 배치 간격을 확대하거나, 승강로 정상부의 간극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로프 파지구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로프 파지구가 갖는 본래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로프는 로프 규제구에 공극을 갖고 삽입 관통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로프 규제구가 엘리베이터 로프 외층 소재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로프의 본래의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프 파지구 및 엘리베이터 로프의 내구성, 및 엘리베이터의 공간 절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로서 유용하다.

Claims (4)

  1.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복수의 로프 파지구(rope grippers)와,
    이러한 복수의 로프 파지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의 각각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복수의 로프 파지구의 근방에 배치된 로프 규제구(rope regulator)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로프가 각각 상기 로프 규제구의 관통 구멍에 공극을 갖고 삽입 관통되어서 상기 로프 파지구에 파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규제구의 관통 구멍 중 적어도 내벽이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의 외층 소재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규제구는 상기 로프 파지구에 체결된 가요성 부재에 의해 현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
  4. 삭제
KR1020047018559A 2003-03-18 2003-03-18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 KR100671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3272 WO2004083092A1 (ja) 2003-03-18 2003-03-18 エレベータロープの把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563A KR20040106563A (ko) 2004-12-17
KR100671608B1 true KR100671608B1 (ko) 2007-01-19

Family

ID=3301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559A KR100671608B1 (ko) 2003-03-18 2003-03-18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604937B1 (ko)
JP (1) JP4407947B2 (ko)
KR (1) KR100671608B1 (ko)
CN (1) CN100345743C (ko)
WO (1) WO2004083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556A (ja) * 2005-04-27 2006-11-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用ロープ固定部材及びその位置決め方法
KR20100004957A (ko) * 2007-02-26 2010-01-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로프단말장치 및 로프장치
JP4869385B2 (ja) * 2009-06-26 2012-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ープ式エレベーター
CN103072875A (zh) * 2011-10-25 2013-05-01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绳头夹板组件
CN103072871A (zh) * 2011-10-25 2013-05-01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绳头夹板组件安装方法
WO2017198612A1 (de) * 2016-05-17 2017-11-23 Inventi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etektieren von schäden in einem tragmittel für eine aufzuganlage
WO2017221365A1 (ja) * 2016-06-23 2017-12-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把持装置
CN115321320B (zh) * 2022-07-22 2023-07-18 重庆立诚重工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曳引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385A (ja) * 1991-07-31 1993-02-09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ロープ取付装置
JPH05227052A (ja) 1992-02-12 1993-09-03 Rohm Co Ltd シンセサイザ受信機
JPH0797165A (ja) * 1993-09-29 1995-04-11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
US5611412A (en) * 1995-07-07 1997-03-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hitch
JPH0958944A (ja) * 1995-08-22 1997-03-04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調整装置
JP2001048443A (ja) * 1999-08-16 2001-02-2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
JP3397733B2 (ja) * 1999-12-07 2003-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JP4806138B2 (ja) * 2001-06-22 2011-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主索の引き止め装置
WO2006126276A1 (ja) * 2005-05-27 2006-11-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ソケッティ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4937B1 (en) 2012-11-14
EP1604937A4 (en) 2009-03-11
WO2004083092A1 (ja) 2004-09-30
CN100345743C (zh) 2007-10-31
KR20040106563A (ko) 2004-12-17
JP4407947B2 (ja) 2010-02-03
CN1633390A (zh) 2005-06-29
EP1604937A1 (en) 2005-12-14
JPWO2004083092A1 (ja)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011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흔들림 제어방법
US7117978B2 (en) Dampening device for an elevator compensating cab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CN101090856B (zh) 在单一竖井内具有多个轿厢的电梯系统中的补偿
KR100671608B1 (ko)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
KR1007435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3048077B1 (en) A rope lifting tool and a rope lifting arrangement
EP0372577A1 (en) Sheave array arrangement for elevator
JP523557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413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0498321B (zh) 补偿线束存储装置、跃层电梯及其使用方法
EP2108610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JP2003146555A (ja) エレベータ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191856B (zh) 电梯装置
JP427005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586525B1 (en) Elevator equipment
JP464173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7176649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521294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902970B2 (ja) ガイドレール据付方法
KR20040068178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123356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43435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装置
KR1007705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