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914B1 - 콩 정량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콩 정량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914B1
KR100664914B1 KR1020050035155A KR20050035155A KR100664914B1 KR 100664914 B1 KR100664914 B1 KR 100664914B1 KR 1020050035155 A KR1020050035155 A KR 1020050035155A KR 20050035155 A KR20050035155 A KR 20050035155A KR 100664914 B1 KR100664914 B1 KR 10066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soybean
screw
stopper
tof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052A (ko
Inventor
차은종
김경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3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91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원료인 콩을 정량 공급하여 석발 및 세척하는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콩 자동 정량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 콩을 저장 및 배출하기 위한 호퍼와 호퍼 하부의 배출구 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스크루를 갖고 있고 콩 배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콩 이송부와, 콩 이송부 내의 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스크루에 설치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콩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두부제조에서 콩물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품질이 균일한 두부를 생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콩 정량 공급 장치{A supply equipment in a bean-curd mak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콩 정량 공급 장치의 개략적 분해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콩 정량 공급 장치의 체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콩 정량 공급 장치 10 : 호퍼
11 : 배출구 20 : 이송부
21 : 투입부 22 : 배출부
30 : 스크루 40 : 제 1 스토퍼
41 : 제 1 돌출부 42 : 제 2 돌출부
43 : 홈 45 : 스프링
47 : 제 2 스토퍼 50: 모터
본 발명은 두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리지 않은 마른 콩으로 두부를 제조하는 두부 제조장치중 원료인 콩을 정량 공급하는 콩 정량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두부의 제조방법은 수작업을 통하여 행하거나 기계 작업을 통하여 행하여지고 있으나, 두부의 제조에 있어서는 모든 방법에서, 먼저 원료가 되는 다량의 콩 중에 포함된 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콩을 세척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기계 작업인 경우 석발기나 세척기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세척된 콩은 일정용기에 물과 같이 방치하거나 펌프 등으로 콩 불림 탱크에 공급하여 일정시간 방치하여 두어 원료인 콩이 충분히 불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콩은 종래의 맷돌이나 분쇄기 등을 물과 함께 이용하여 콩물을 만들게 된다. 이 경우 콩물에서의 콩 분쇄 입자는 고울수록 보다 맛있고 식감이 좋은 두부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위와같이 만들어진 콩물을 종래의 수작업이나 원심분리기 또는 두유 분리장치 등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콩물로부터 비지를 분리한다. 이때 분리된 순수한 콩물을 두유라 하며 두부의 원료가 되고, 분리된 비지는 별도의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두부원료인 콩의 세척, 이물질 제거인 석발 및 분쇄기 등으로의 분쇄를 위한 공급까지의 과정이 여러 단계인 관계로 그 제조원가 및 시간상의 문제점 등이 있어 왔다.
이들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기술 중에는 대한민국 특허 제 282843호가 있으나, 상기 특허에서는 두부제조기의 생콩분쇄 장치만을 개시하고 있다. 즉, 상기 특허에서는 두부 제조 시 원료인 콩의 분쇄 시 사용되는 분쇄장치를 개선한 것만 언급하고 있고, 또 다른 대한민국 특허 제 283920호에서는 생콩을 직접 두부 제조기 내에 투입하여 커팅 및 분쇄한 다음 두부를 제조하는 두부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특허에서는 세척된 생콩을 잘게 커팅한 후 분쇄하는 방법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특허 제 282842호에서는 생콩을 분쇄 및 마쇄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두부 제조기 및 두부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는 생콩을 세척, 분쇄, 가열, 마쇄, 두유 추출, 증숙, 간수공급, 성형 및 구동제어 등 두부 제조 공정 전반에 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 중 생콩의 세척 장치만을 고려하여 보면,
상기 특허에서는 세척부가 세척조, 임펠러가 수용되는 하우징, 강제 이송관, 이물질 분리통, 펌핑 모터, 급수관 등으로 복잡하게 구성됨은 물론 생콩을 세척하여 하부로부터 상부로 강제 이송시킴으로서 그 비용이 과다함은 물론 그 효과가 의심스럽고 또한 세척된 원료인 생콩을 분쇄부로 이송시킬 때 어떻게 이송시키며 그 제어는 어떻게 하는지가 의문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들에서는 두부 제조 원료인 콩을 세척, 석별 및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대량 생산 또는 맞춤 생산 등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출원인등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3-17442호에서는 원료인 콩을 투입 저장하는 투입·저장부와, 투입·저장부로부터 투입되는 원료 콩을 세척하여 배출하는 세척부와, 세척부에서 세척된 원료 콩을 이송시키는 이송부로 구성되는 두부 제조장치에서의 원료 자동 세척, 석발 및 정량 공 급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에서의 원료 공급부는 원료 공급 밸브, 원료 조절 밸브 및 공기 공급관과 공기 조절 등을 구비하게 하여 그 구성이 다소 복잡하고, 따라서 원료 자동 공급시에는 여러 가지 밸브 등을 열고 닫는 불편한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시키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두부제조에서의 원료인 콩을 공급하면서 세척, 석발하여 분쇄부로 바로 공급이 가능함은 물론 원료 제어 공급이 가능한 두부 제조장치에서의 원료인 콩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3-17442호에 개시된 원료 공급부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것으로서 상기 출원에서 개시하고 있는 장치와 관련하여 보다 효과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콩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부를 제조하는 장치에서 마른 콩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콩 저장용 호퍼와, 상기 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되며 내부에 스크루를 갖고 있는 콩 이송장부와, 상기 콩 이송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통상의 모터로 구성되는 마른 콩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내부에 스크루를 갖고 있는 콩 이송부의 일단은 개방되어 콩이 배 출되는 형태이고, 타단에는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장착되게 한다.
또한, 콩 이송부 내의 스크루에는 필요시 콩배출을 일정하게 하고 콩배출을 중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스토퍼는 스크루 축을 감쌀 수 있게 끼울 수 있는 돌기부와 반대 단은 이송부의 내경에 꼭 끼워지면서 여유부가 밖으로 나올 수 있는 테이퍼형이고 그 내부에는 스프링과 제 2 스토퍼를 구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콩 정량 공급 장치의 개략적 분해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콩 원료 정량 공급 장치의 체결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콩 정량 공급 장치(100)는 원료인 콩이 저장되며 하부에 배출구(11)를 형성하고 있는 호퍼(10)와, 내부에 스크루(30)를 갖고 있으며 상기 호퍼(10)로부터 배출되는 콩을 투입 받는 투입부(21)와 투입부(21)로부터의 콩을 스크루(30)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콩 이송부(20)와, 상기 콩 이송부(20)의 일단에서 스크루(30)와 연결되는 모터(5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의 모터(50)는 스테핑 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호퍼(10)로부터 배출되어 콩 이송부(20)로 나오는 콩은 모터(5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30)를 통해 콩 이송부(20)의 배출부(22) 쪽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스크루(30)의 타단에는 제 1 스토퍼(40)가 설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토퍼(40)의 일단에는 스크루(30)의 타단을 감싸면서 물리게 장착되는 제 1 돌출부(41)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 1 스토퍼(40)의 타단은 제 1 돌출부(41)에서부터 테이퍼형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콩 이송부(20)의 배출부(22)에 끼워지면서 밖으로 여유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스토퍼(40)의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41)의 일단에서 제 1 스토퍼(40)의 타단 측으로 연장되면서 중심부에 홈(43)이 형성됨과 아울러 원주면 상에는 스프링(45)의 일단이 끼워지는 제 2 돌출부(42)를 더 구비하고, 제 1 스토퍼(40)의 타단에는 제 1 스토퍼(40)의 타단을 폐쇄하면서 일단 중심부에는 홈(43)에 끼워지는 돌기부(48)가 형성됨과 아울러 스프링(45)의 타단이 밀착되는 제 2 스토퍼(47)를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호퍼(10)내에 저장된 콩을 예를 들어 특허출원 제 2003-17442호의 세척부로 정량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콩물의 농도를 예상하여 공급하고자 하는 콩의 정량이 정해지면 스테핑 모터(50)를 작동시킨다. 모터(50)의 작동에 따라 호퍼(10)의 배출구(11)로 배출되는 콩은 스크루(30)의 회전에 따라 이송부(20)의 투입부(21)로부터 배출부(22)쪽으로 정해진 만큼 이송하게 된다. 이 때 스테핑 모터(50)를 사용함으로서 회전 속도 조절 및 정량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정량 이송된 콩은 세척 등의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콩의 이송을 일정하게 하는 것은 제 2 스토퍼(47)와 스프링(45)이 끼워진 제 1 스토퍼(40)가 이송부(20)에 끼워져서 이송부(20) 내의 스크루(30) 회전에 따라 이송부(20)의 배출부(22)를 일정하게 개폐하므로서 달성된다. 즉, 스크루(30)의 날이 제 1 스토퍼(40)와 닿게 되면 제 1 스토퍼(40)를 밀고 닿지 않는 경우에는 스프링(45)의 탄성으로 제 1 스토퍼(40)가 이송부(30)를 닫게 된다. 따라서 정량의 콩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콩을 원료로 하는 두부의 제조에 있어서 콩을 정량 투입하게 할 수 있음으로서 원하는 콩물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하여 품질이 일정한 두부의 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두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콩의 정량 공급 및 자동 석발, 세척을 거쳐 다음 단계인 분쇄 등의 과정을 거치게 하는 두부 제조장치에서의 콩 자동 및 정량 공급 장치로서 사용하기에 아주 바람직한 장치이다.

Claims (4)

  1.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콩저장용 호퍼와, 상기 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스크루가 배치되고 일단은 개방되어 콩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통상의 모터가 장착되는 콩 이송부를 구비하는 두부를 제조하는 장치에서의 콩 정량 공급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스크루의 타단을 감싸면서 물리게 장착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제 1 돌출부에서부터 테이퍼형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콩 이송부의 상기 배출부에 끼워지면서 밖으로 여유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 1 스토퍼의 타단 측으로 연장되면서 중심부에는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원주면 상에는 스프링의 일단이 끼워지는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1 스토퍼의 타단을 폐쇄하면서 일단 중심부에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돌기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밀착되는 제 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량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50035155A 2005-04-27 2005-04-27 콩 정량 공급 장치 KR10066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155A KR100664914B1 (ko) 2005-04-27 2005-04-27 콩 정량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155A KR100664914B1 (ko) 2005-04-27 2005-04-27 콩 정량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052A KR20060114052A (ko) 2006-11-06
KR100664914B1 true KR100664914B1 (ko) 2007-01-04

Family

ID=3765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155A KR100664914B1 (ko) 2005-04-27 2005-04-27 콩 정량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9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35A2 (ko) * 2009-05-25 2010-12-02 원두원식품기계(주)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KR101127976B1 (ko) * 2009-05-25 2012-03-19 원두원 식품기계(주)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KR200464108Y1 (ko) 2012-05-11 2012-12-11 황광연 두부제조기용 정량투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041A (ko) * 1998-06-25 2000-01-15 이강운 두부제조기 및 두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041A (ko) * 1998-06-25 2000-01-15 이강운 두부제조기 및 두부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35A2 (ko) * 2009-05-25 2010-12-02 원두원식품기계(주)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WO2010137835A3 (ko) * 2009-05-25 2011-03-31 원두원식품기계(주)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KR101127976B1 (ko) * 2009-05-25 2012-03-19 원두원 식품기계(주) 두부 자동 연속 제조장치
KR200464108Y1 (ko) 2012-05-11 2012-12-11 황광연 두부제조기용 정량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052A (ko) 2006-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9608B (zh) 一种金属粉末的筛分烘干装置
KR101612040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
KR100664914B1 (ko) 콩 정량 공급 장치
KR101386296B1 (ko) 생콩 파쇄 두유 제조기
CN102448325B (zh) 豆腐自动连续制造装置
KR200466922Y1 (ko)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KR102405969B1 (ko) 콩 탈피 시스템
KR100777102B1 (ko) 두부 원료 세척 공급 장치
KR100928631B1 (ko) 분쇄기능을 가지는 펌프 및 이를 이용한 분쇄여과장치
KR101101906B1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용 원심분리기
KR102078457B1 (ko) 커피 원두 분쇄 장치
KR20090007310A (ko) 탈곡방법과 장치
US202401160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grinders
KR100269857B1 (ko) 두부 자동제조장치
KR200464108Y1 (ko) 두부제조기용 정량투입장치
KR100282843B1 (ko) 두부제조기의 생콩 분쇄장치
JP2008155176A (ja) 精米機
KR20210074068A (ko)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KR20040082774A (ko) 두부 제조장치에서의 원료자동세척, 석발 및 정량공급장치
KR102035491B1 (ko) 압착부의 교체가 용이한 콩물과 콩비지 동시 제조장치
KR200203413Y1 (ko)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KR200202830Y1 (ko)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KR200474823Y1 (ko) 청정 유기농 두부 제조기
JP4451350B2 (ja) 自動精米装置
JPH026300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