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413Y1 -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 Google Patents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413Y1
KR200203413Y1 KR2020000018139U KR20000018139U KR200203413Y1 KR 200203413 Y1 KR200203413 Y1 KR 200203413Y1 KR 2020000018139 U KR2020000018139 U KR 2020000018139U KR 20000018139 U KR20000018139 U KR 20000018139U KR 200203413 Y1 KR200203413 Y1 KR 200203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otating shaft
hollow rotating
grind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수
Original Assignee
전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광수 filed Critical 전광수
Priority to KR2020000018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4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쇄수단에서 두유를 추출하는 여과과정까지를 하나의 장치로 해결하므로서 시설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부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소정형상의 호퍼(11)가 상부에 설치되고, 그 내측 바닥면에는 구동모터(12) 및 펌프(13)가 구비되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10)의 호퍼(11)와 직결된 유입구(21a)를 구비한 하우징(21)의 내부에 구동모터(12)와 연결되는 중공 회전축 (23)이 구비되어진 마쇄 스크류( 24)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1)의 일측에 중공회전축(23) 및 호퍼(11)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배출구(25a)를 구비한 밀폐캡(25)이 결합되며, 상기 밀폐캡(25)에는 마쇄 스크류(24)를 전,후진시켜 콩분말의 입자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스크류 조절캡(27)이 설치되는 한편, 풀리(24c)가 설치된 중공 회전축(23)의 일단에 깔때기 형상의 누두부(28)가 설치되며, 상기 누두부(28)의 중앙에 위치한 중공 회전축(23)의 단부에 방출공(28c)을 구비한 분산캡(28b)이 설치되고, 상기 누두부(28)에 다수의 흡입공(28a)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에 여과망(28d)이 설치되어 중공 회전축(23)로부터 배출된 콩물 및 콩분말이 망(28d)과 흡입공 (28a)을 통해 흡입되게 하며, 상기 누두부(28) 직하방의 본체(10) 내부에 콩물이 낙하하는 회수받이(29)가 설치되며, 상기 회수받이(29)에는 콩물을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게 콩물 배출관(29a)이 설치되는 착즙수단(20)과; 상기 누두부(28)의 전방 하부에 여과망(28d)에 의해 걸러진 비지를 수집하는 수거받이(15)와; 상기 본체(10)의 적소에 구동모터(12) 및 펌프(13)를 통제하는 컨트롤수단 (16); 등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마쇄 스크류(24)의 나사산(24b)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하우징(21)의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마쇄홈(21b)을 등간격 형성하되, 상기 마쇄홈(21b)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얇게 형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Devices for extraction of the soybean milk}
본 고안은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콩을 투입하여 두부제조용 두유(콩물)를 제조할 수 있게 한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의 제조과정을 보면 두부의 원료가 되는 콩을 물속에서 적당히 불린 다음, 멧돌과 같은 지석을 이용하여 마쇄시키고, 이 마쇄된 콩으로부터 추출된 두유를 끓인 후 간수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순두부를 걸러 두부로 성형하게 된다.
한편, 근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읕 일련의 과정을 기계화처리를 하였는데, 먼저 파쇄장치를 이용하여 콩을 소정의 인자크기로 파쇄하는 파쇄과정과;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콩입자를 마쇄수단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갈아 부수는 마쇄과정과; 마쇄된 콩분말을 착즙수단을 이용하여 착즙하는 착즙과정과; 두유와 비지로 분리된 것을 여과수단을 이용하여 두유를 추출하는 여과과정과; 추출된 두유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공정과; 가열된 두유에 소정량의 간수를 투입하여 순두부를 조성하는 간수과정과; 상기 순두부를 두부성형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압착 성형하는 두부성형과정; 등을 순차적으로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모든 과정을 독립된 수단들을 이용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많은 시설 및 이에 따른 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두부를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파쇄수단에서 두유를 추출하는 여과과정까지를 하나의 장치로 해결하므로서 시설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부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두유착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두유착즙장치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즙수단의 하우징과 마쇄 스크류를 발췌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착즙수단의 하우징과 마쇄 스크류의 간극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호퍼
12:구동모터 13:펌프
15:수거받이 16:컨트롤박스
20:착즙수단 21:하우징
21a:유입구 23:중공 회전축
24:마쇄 스크류 24c:풀리
25:밀폐캡 25a:배출구
27:스크류 조절캡 28:누두부
28a:흡입공 28b:분산캡
28c:방출공 28d:여과망
29:회수받이 29a:콩물 배출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형상의 호퍼가 상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구동모터 및 펌프가 구비되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의 호퍼와 직결된 유입구를 구비한 하우징의 내부에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중공 회전축이 구비되어진 마쇄 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중공회전축 및 호퍼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밀폐캡이 결합되며, 상기 밀폐캡에는 마쇄 스크류를 전,후진시켜 콩분말의 입자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스크류 조절캡이 설치되는 한편, 구동풀리가 설치된 중공 회전축의 일단에 깔때기 형상의 누두부가 설치되며, 상기 누두부의 중앙에 위치한 중공 회전축의 단부에 방출공을 구비한 분산캡이 설치되고, 상기 누두부에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에 여과망이 설치되어 중공 회전축로부터 배출된 콩물 및 콩분말이 망과 흡입공을 통해 흡입되게 하며, 상기 누두부 직하방의 본체 내부에 콩물이 낙하하는 회수받이가 설치되며, 상기 회수받이에는 콩물을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게 콩물 배출관이 설치되는 착즙수단과; 상기 누두부의 전방 하부에 여과망에 의해 걸러진 비지를 수집하는 수거받이와; 상기 본체의 적소에 구동모터 및 펌프를 통제하는 컨트롤수단;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마쇄 스크류의 나사산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하우징의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마쇄홈을 등간격 형성하되, 상기 마쇄홈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두유착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두유착즙장치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체(10)의 상부에 소정량의 콩과 물이 투입되는 호퍼(11)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내측 바닥면에는 구동모터(12) 및 펌프(13)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동모터(12) 및 펌프(13)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수단(14)이 설치되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비지를 수거할 수 있는 수거받이(1 5)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착즙수단(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착즙수단(2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관상의 하우징(2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1)의 일측에 본체(10)의 호퍼(11)와 직결된 유입구(21a)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구동모터(12)와 벨트(22)로서 연결되는 중공 회전축(23)이 구비되어진 마쇄 스크류 (24)가 설치되고, 콩분말의 배출방향에 위치한 하우징(21)의 단부를 모따기하여 도 4와 같이 마쇄 스크류(24) 단부의 경사면(24a)과 면접되게 하므로서 이들 사이로 콩물과 콩분말이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마쇄 스크류(24)의 나사산(24b)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하우징(21)의 내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마쇄홈(2 1b)이 등간격 형성되어지되, 상기 마쇄홈(21b)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얇게 형성되어 마쇄 스크류(24)에 의해 이송되면서 점점 더 미립화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 회전축(23)의 일측 단부에는 구동모터(12)의 풀리(12a)와 벨트(22)로서 연결되는 풀리(24c)가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풀리(24c)와 하우징( 21)사이의 중공 회전축(23)에 소정형상의 밀폐커플링(26)이 설치되고, 이를 관통하는 중공 회전축(23)을 따라 기밀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수 있게 씰링(26a)이, 그리고 중공 회전축(23)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베어링(26b)이 설치되며, 상기 씰링( 26a)과 베이링(26b)의 사이에는 중공 회전축(23)을 탄성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스프링부재(26c)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1)의 일측에 배출구(25a)를 구비한 밀폐캡(25)이 볼팅 결합되는데, 상기 배출구(25a)에는 분기밸브(25c)를 구비한 호스(25b)가 연결되어 일측의 호스는 중공회전축(23)과, 또 다른 일측의 호스는 본체(10) 상부에 설치되어진 호퍼(11)와 연결되어진다. 이때, 상기 호스(25b)에는 본체(10) 저부의 펌프(13)가 연결되며, 상기 밀폐캡(25)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 회전축(23)에 씰링(25d)을, 그리고 상기 중공 회전축(23)의 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25e)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캡(25)에는 마쇄 스크류(24)를 전,후진시켜 하우징(21)의 모따기면과 마쇄 스크류(24) 단부의 경사면(24a)의 간극을 조절하므로서 콩분말의 입자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스크류 조절캡(27)이 나사방식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스크류 조절캡(27)에는 조절된 위치 그대로 마쇄 스크류(23)가 유지할 수 있게 고정부(27a)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풀리(24c)가 설치된 중공 회전축(23)의 일단에 깔때기 형상의 누두부(28)가 설치되며, 상기 누두부(28)의 중앙에 위치한 중공 회전축(23)의 단부에 방출공(28c)을 구비한 분산캡(28b)이 설치되고, 상기 누두부(28)에 다수의 흡입공 (28a)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에 여과망(28d)이 설치되어 중공 회전축(23)으로부터 배출된 콩물 및 콩분말이 이 여과망(28d)과 흡입공(28a)을 통해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누두부(28) 직하방의 본체(10) 내부에 낙하하는 콩물을 회수할 수 있게 회수받이(29)가 설치되며, 상기 회수받이(29)에는 펌프(29b)와 연결되어 콩물을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게 콩물 배출관(29a)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두유착즙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 본체(10) 상단의 호퍼(11)에 소정량의 콩과 물을 투입한 다음, 본체(10) 일측의 컨트롤박스(16)를 동작하게 되면 구동모터(12)의 구동에 따라 이와 벨트(22)로 연결된 중공 회전축(23)이 회전한다.
상기 중공 회전축(23)이 회전하게 되면, 하우징(21)의 유입구(21a)로 유입된 콩분말은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고 있는 마쇄 스크류(23)에 의해 이동되면서 이와 마쇄홈(21b)의 사이에서 잘게 마쇄되어 밀폐캡(25)의 배출구(25a)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초기에는 도 4의 (a)와 같이 밀폐캡(25)과 결합된 스크류 조절캡(27)을 적당히 조절하여 하우징(21)단부의 모따기부분과 마쇄 스크류(23) 단부의 경사면( 24a)의 간극을 다소 크게 조절하므로서 콩을 다소 거칠게 마쇄한다.
한편, 밀폐캡(25)의 배출구(25a)를 통해 다소 거친 상태로 배출되는 콩분말은 호스(25b) 중간의 분기밸브(25c)의 조작에 의해 호퍼(11)로 재투입되는데, 상술한 과정을 여러번 반복하므로서 콩분말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콩믈 여러번에 걸쳐 파쇄시키는 이유는 콩을 처음부터 미세하게 파쇄시키게 될 경우 착즙수단(20)에 매우 큰 부하가 걸릴 뿐만 아니라 콩의 파쇄속도가 매우 지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콩분말이 일정한 크기로 파쇄되면, 도 4의 (b)와 같이 스크류 조절캡(27)을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하우징(21)단부의 모따기부분과 마쇄 스크류(23) 단부의 경사면(24a) 간극을 점점 작게 조절하므로서 콩을 미세하게 마쇄함과 동시에 콩물을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콩분말이 미세하게 마쇄되면 분기밸브(25c)를 조작하여 배출구 (25a)를 통한 콩물과 콩분말을 호스(25b)를 통해 중공 회전축(23)으로 공급한다.
상기 중공 회전축(23)의 중공을 따라 공급된 콩물과 콩분말은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깔때기 형상의 누두부(28) 중앙에 위치한 분산캡(28b)으로 배출된 다음, 분산캡(28b)의 방출공(28c)을 통해 방출되며, 방출공(28c)을 통해 방출된 콩물과 콩분말은 여과망(28d)에서 걸러져 콩물은 누두부(28)의 흡입공(28a)을 통해 회수받이(29)로 배출되는데, 이때 펌프(29b)에 의해 콩물 배출관(29a)을 따라 외부의 간수용기로 공급되는 반면, 여과망(28d)에서 걸러진 비지는 본체(10)의 내부 일측의 수거받이(15)에 포집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파쇄수단에서 두유를 추출하는 여과과정까지를 하나의 장치로 해결하므로서 시설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부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형상의 호퍼(11)가 상부에 설치되고, 그 내측 바닥면에는 구동모터(12) 및 펌프(13)가 구비되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10)의 호퍼(11)와 직결된 유입구(21a)를 구비한 하우징(21)의 내부에 구동모터(12)와 연결되는 중공 회전축 (23)이 구비되어진 마쇄 스크류(24)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1)의 일측에 중공회전축(23) 및 호퍼(11)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배출구(25a)를 구비한 밀폐캡(25)이 결합되며, 상기 밀폐캡(25)에는 마쇄 스크류(24)를 전,후진시켜 콩분말의 입자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스크류 조절캡(27)이 설치되는 한편, 풀리(24c)가 설치된 중공 회전축(23)의 일단에 깔때기 형상의 누두부(28)가 설치되며, 상기 누두부(28)의 중앙에 위치한 중공 회전축(23)의 단부에 방출공(28c)을 구비한 분산캡(28b)이 설치되고, 상기 누두부(28)에 다수의 흡입공(28a)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에 여과망(28d)이 설치되어 중공 회전축(23)로부터 배출된 콩물 및 콩분말이 망(28d)과 흡입공 (28a)을 통해 흡입되게 하며, 상기 누두부(28) 직하방의 본체(10) 내부에 콩물이 낙하하는 회수받이(29)가 설치되며, 상기 회수받이(29)에는 콩물을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게 콩물 배출관(29a)이 설치되는 착즙수단(20)과;
    상기 누두부(28)의 전방 하부에 여과망(28d)에 의해 걸러진 비지를 수집하는 수거받이(15)와;
    상기 본체(10)의 적소에 구동모터(12) 및 펌프(13)를 통제하는 컨트롤수단 (14);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마쇄 스크류(24)의 나사산(24b)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하우징(21)의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마쇄홈(21b)을 등간격 형성하되, 상기 마쇄홈(21b)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KR2020000018139U 2000-06-26 2000-06-26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KR200203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139U KR200203413Y1 (ko) 2000-06-26 2000-06-26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139U KR200203413Y1 (ko) 2000-06-26 2000-06-26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413Y1 true KR200203413Y1 (ko) 2000-11-15

Family

ID=1966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139U KR200203413Y1 (ko) 2000-06-26 2000-06-26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4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920B1 (ko) 2008-07-04 2010-03-24 오정민 기름걷이용 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920B1 (ko) 2008-07-04 2010-03-24 오정민 기름걷이용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3252B (zh) 一种多功能家用豆浆机
CN106724948B (zh) 一种多功能豆浆机
KR101386296B1 (ko) 생콩 파쇄 두유 제조기
KR200203413Y1 (ko)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KR101069099B1 (ko)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KR101211580B1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
KR100282842B1 (ko) 두부제조기 및 두부 제조방법
KR101043926B1 (ko) 가정용 도정기
KR101101906B1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용 원심분리기
KR200202830Y1 (ko)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CN106859338B (zh) 一种家用多功能豆浆机
KR200219549Y1 (ko)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의 마쇄스크류
KR20010108570A (ko)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KR100664914B1 (ko) 콩 정량 공급 장치
KR100500297B1 (ko) 두부 제조장치에서의 원료자동세척 및 공급장치
KR100282843B1 (ko) 두부제조기의 생콩 분쇄장치
KR960000059A (ko) 두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333965B1 (ko) 두유원액 제조장치
CN108013783A (zh) 食物料理机
KR20000003043A (ko) 두부제조기의 두유 추출장치
CN108013781A (zh) 食物料理机
KR200179573Y1 (ko) 두유 여과기
KR200316906Y1 (ko) 다기능 두부제조기
KR19990038721U (ko) 두부제조용 콩물추출장치
KR200266745Y1 (ko) 두부제조용 분쇄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