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099B1 -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 Google Patents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099B1
KR101069099B1 KR1020090066773A KR20090066773A KR101069099B1 KR 101069099 B1 KR101069099 B1 KR 101069099B1 KR 1020090066773 A KR1020090066773 A KR 1020090066773A KR 20090066773 A KR20090066773 A KR 20090066773A KR 101069099 B1 KR101069099 B1 KR 101069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stone
grinding
fixed
grinding surfa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393A (ko
Inventor
진저주
Original Assignee
진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저주 filed Critical 진저주
Priority to KR102009006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0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7/184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with vertical axis

Abstract

본 발명은 2단계에 걸쳐서 고운입자로 콩을 쉽게 마쇄시킬 수 있고, 마쇄작동과 더불어서 콩물의 원심여과분리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된 두부제조용 마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부에 제1 고정 멧돌이 배치되고, 그 하부측에는 저속으로 회전하는 상부 멧돌과 하부 멧돌이 배치되며, 상기 하부 멧돌의 하부측에서 제1 고정 멧돌에 연결되어 고정된 제2 고정 멧돌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 멧돌의 하부에는 원추형 거름체가 고속으로 회전하며, 정지된 상태의 제1 고정 멧돌에 대한 상부 멧돌의 저속회전으로 1단계의 콩 마쇄가 이루어지고, 하부 멧돌과 제2 고정 멧돌의 사이에서 2단계의 콩 마쇄가 이루어며, 원추형 거름체를 통하여 두유와 비지의 원심여과분리가 동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2단계에 걸쳐서 콩 마쇄가 이루어짐으로써 콩을 고운 입자로 마쇄시킬 수 있어서 맛있고 품질이 우수한 두부를 쉽게 제작할 수 있고, 마쇄작동과 동시에 두유와 비지의 여과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두부제조공정의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콩, 콩물, 두부제조장치, 마쇄장치, 멧돌, 원심여과분리

Description

두부제조용 마쇄장치{GRINDING APPARATUS FOR MAKING BEAN CURD}
본 발명은 두부제조에 사용되는 콩을 마쇄(磨碎)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2단계에 걸쳐서 고운입자로 콩을 쉽게 마쇄시킬 수 있고, 마쇄작동과 더불어서 콩물의 원심여과분리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두부를 효율좋게 생산할 수 있도록 된 두부제조용 마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는 콩을 주 원료로 하여 제조된 식품으로서, 건강식으로 인식되어 애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종래의 두부 제조방식은 아래와 같다. 먼저 두부의 원료가 되는 콩을 저장탱크내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서 계량기 등에 의해서 계량하여 일정량씩 세척하고 물에 담궈서 일정시간 동안 불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불려진 콩을 마쇄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미세하게 마쇄(磨碎)시켜 콩물을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마쇄장치는 소위 멧돌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콩을 갈아 서 마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마쇄과정에서 콩물은 그 입자가 고운 것으로 하여야만 두부의 제조시 냄새가 없고, 맛이 고소하면서도 탄력이 풍부한 두부를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얻어진 콩물은 원심 분리기와 같은 별도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콩물로부터 비지를 분리하고, 순수한 콩물(이하, 두유라 함)을 얻게 되며, 비지는 별도로 모아 필요한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얻어진 여과된 두유는 가열기로 운반되어 가열된 다음, 간수를 투입하여 순두부를 얻게 되며, 이와 같은 순두부는 일정량을 성형틀에 넣고 압착시켜서 탈수 시킴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모두부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두부 제조과정에서 종래의 마쇄장치는 불려진 콩을 작은 크기의 입자로 마쇄시켜야 두부의 품질이 우수하게 유지되고, 빠른 마쇄능력을 가져야 두부 제작공정의 생산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종래의 마쇄장치는 단순한 멧돌을 모터에 의해서 구동하는 방식이라 고운 입자의 콩물을 얻을 수가 없어서 두부의 품질을 우수하게 보장할 수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과기는 마쇄장치와는 별도로 구비된 것이어서 마쇄된 콩물을 별도의 단계로 이동시키고 여과시켜 비지와 분리시키는 것이어서 그 작업 공정상 작업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2단계에 걸쳐서 콩을 고운 입자로 마쇄시킴으로써 맛있고 품질이 우수한 두부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개선된 두부제조용 마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쇄장치에 여과기를 일체로 결합시켜 마쇄작동과 동시에 두유와 비지의 여과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작업방식의 도입을 통한 두부제조공정의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두부제조용 마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면에는 콩 투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비지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는 두유 배출구가 형성된 중공형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되고, 하부면에는 오목한 원추형의 제1 마쇄면이 형성된 제1 고정 멧돌과, 상기 제1 고정 멧돌을 상부측에서 감싸 고정하는 제1 커버를 갖는 제1 고정 멧돌부; 상기 제1 고정 멧돌부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 마쇄면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2 마쇄면이 상부에 형성된 상부 멧돌과, 상기 상부 멧돌을 감싸면서 하부로 연장된 제2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하부 내측에서 장착되어 하부면에는 오목한 원추형의 제3 마쇄면이 형성된 하부 멧돌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저속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저속으로 회전되는 저속 멧돌부; 상기 하부 멧돌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3 마쇄면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4 마쇄면이 상부에 형성된 제2 고정 멧돌과, 상기 제2 고정 멧돌을 하 부측에서 감싸면서 제1 고정 멧돌부의 제1 커버에 다수의 연결대를 통하여 일체로 결합된 제3 커버를 갖는 제2 고정 멧돌부; 상기 제3 커버의 하부에서 원추형 거름체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판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는 원통형의 고속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는 여과부; 및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서 저속 멧돌부과 여과부에 각각 저속 회전력 및 고속 회전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고정 멧돌부 및 제2 고정 멧돌부에 대한 저속 멧돌부의 회전으로 콩 마쇄가 이루어진 다음, 고속회전하는 원추형 거름체를 통하여 두유와 비지의 원심여과분리가 이루어지고, 콩물은 두유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고, 비지는 원심력에 의해서 원추형 거름체를 따라서 상승되어 케이싱의 비지 배출구를 통해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는 두부제조용 마쇄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은 불린 콩을 고운 입자로 쉽게 마쇄시킬 수 있고, 마쇄작동과 동시에 두유와 비지의 여과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고정 멧돌의 제1 마쇄면과 상부 멧돌의 제2 마쇄면 사이에서 형성된 간극은 상기 하부 멧돌의 제3 마쇄면과 제2 고정 멧돌의 제4 마쇄면 사이의 간극보다 크게 형성되어, 1단계의 거친 콩 마쇄가 이루어진 다음, 2단계의 미세한 콩 마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불린 콩은 2단계에 걸쳐서 고운 입자로 쉽게 마새되어 고품질의 두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속 멧돌부는 상부 멧돌이 제1 고정 멧돌부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 마쇄면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2 마쇄면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부 멧돌을 감싸면서 상기 상부 멧돌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간극을 형성하여 제2 콩 이동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멧돌은 제2 커버의 하부 내측에서 장착되어 상기 제2 콩 이동통로에 연통되는 제3 콩 이동통로가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하부면에는 오목한 원추형의 제3 마쇄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버는 케이싱을 하부측으로 관통하는 저속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 멧돌과 하부 멧돌들을 저속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1 고정 멧돌의 제1 마쇄면과 상부 멧돌의 제2 마쇄면 사이에서 1단계의 콩 마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두부제조용 마쇄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불린 콩을 1차적으로 거친입자로 마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고정 멧돌부는 제2 고정 멧돌이 상기 하부 멧돌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3 마쇄면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4 마쇄면이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멧돌의 제3 마쇄면과 제2 고정 멧돌의 제4 마쇄면 사이에서 2단계의 콩 마쇄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고정 멧돌은 그 중앙을 저속 회전축이 관통하여 통과하고, 상기 제2 고정 멧돌과 저속 회전축의 사이에는 밀봉씨일이 장착되어 콩물이 하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두부제조용 마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거친 입자로 마쇄된 콩물을 더욱 미세한 고운 입자로 마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에 의하면 제1 고정 멧돌부과 저속 멧돌부의 사이에서 1단계의 콩 마쇄가 이루어지고, 연이어서 저속 멧돌부과 제2 고정 멧돌부의 사이에서 2단계의 콩 마쇄가 이루어짐으로써 콩을 고운 입자로 마쇄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맛있고 품질이 우수한 두부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2단계에 걸쳐서 마쇄가 이루어진 콩물을 고속회전하는 원추형 거름체를 통하여 두유와 비지의 원심여과분리가 연이어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마쇄작동과 동시에 두유와 비지의 여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른 두부제조공정의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부제조장치(1)에 작용되어 사용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두부제조장치(1)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두부제조장치(1)는 불린 상태의 콩과 특정량의 물을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불린 콩은 본 발명의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를 통과하면서 일측에는 비지 수거장치(10)를 통해서 비지가 수거되고, 콩물이 여과되어 얻어진 두유는 두유저장설비(15)로 이동되며, 가열기(20)를 통해서 일정 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가열기(20)에는 전기 보일러(22)가 연결되어 열을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가열기(20)를 통과하여 일정 온도로 가열된 두유는 바로 냉각기(30)를 거쳐서 순두부 또는 연두부로 제조되고, 포장설비(35)로 이송되거나, 또는 혼합기(40)로 이동되어 간수저장설비(45)로부터 공급된 간수와 혼합된다.
이와 같은 혼합기(40)를 통하여 간수와 혼합 응고된 두부는 탈수기(50)측으로 이동되어 탈수처리되고, 탈수된 물은 수조(55)에서 받게 되며, 두부는 수분이 상당부분 제거된 모두부로 제조되어 탈수기(50)로부터 배출되고, 포장설비(35) 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자동 콘트롤러를 구비한 제어부(60)가 이와 같은 두부제조공정을 자동제어하여 최소한의 수작업으로 고품질의 두부를 자동 생산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에 대해 도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케이싱(110)을 구비하는데, 상기 케이싱(110)은 철재 또는 스테인레스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면에는 콩 투입구(112)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비지 배출구(114)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두유 배출구(116)가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중공형 케이싱(110)은 그 외측으로 비지 배출구(114)에 인접하여 비지 수거장치(10)가 배치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비지 배출구(114)를 통해서 배출된 비지를 받아서 모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되고, 하부면에는 오목한 원추형의 제1 마쇄면(132)이 형성된 제1 고정 멧돌(125)과, 상기 제1 고정 멧돌(125)을 상부측에서 감싸 고정하는 제1 커버(130)를 갖는 제1 고정 멧돌부(1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1 고정 멧돌부(120)는 제1 고정 멧돌(125)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콩 투입구(112)에 연통되는 제1 콩 이동통로(127)가 형성되는데, 그 하부면에는 도 3에 분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원추형의 제1 마쇄면(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 멧돌부(120)는 제1 커버(130)가 제1 고정 멧돌(125)을 상부측에서 감싸 고정하면서 그 상단의 고정축(134)이 케이싱(110)의 내측 상부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고, 고정축(134)의 외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너트(136) 결합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커버(130)와 케이싱(110) 사이에는 스프링(138)이 위치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 멧돌(125)의 제1 마쇄면(132)과, 이후에 설명되는 상부 멧돌(145)의 제2 마쇄면(142) 사이에서 콩 마쇄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 마쇄 충격력을 스프링(138)이 완충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는 상기 제1 고정 멧돌 부(120)의 하부측에 위치된 저속 멧돌부(140)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저속 멧돌부(140)는 상기 제1 마쇄면(132)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2 마쇄면(142)이 상부에 형성된 상부 멧돌(145)과, 상기 상부 멧돌(145)을 감싸면서 하부로 연장된 제2 커버(150) 및, 상기 제2 커버(150)의 하부 내측에서 장착되어 하부면에는 오목한 원추형의 제3 마쇄면(152)이 형성된 하부 멧돌(155)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버(150)는 저속 회전축(160)에 일체로 연결되어 저속으로 회전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저속 멧돌부(140)는 상부 멧돌(145)이 제1 고정 멧돌부(120)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 마쇄면(132)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2 마쇄면(142)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 멧돌(145)의 제2 마쇄면(142) 중앙에는 가이드바(16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바(161)는 그 상부측에 배치된 제1 고정 멧돌(125)의 제1 콩 이동통로(127)를 상부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콩 투입구(112) 중앙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멧돌(145)을 감싸는 제2 커버(150)는 상기 상부 멧돌(14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원형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콩 이동통로(16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멧돌(155)은 제2 커버(150)의 하부 내측에서 장착되어 상기 제2 콩 이동통로(162)에 연통되는 제3 콩 이동통로(166)가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하부면에는 오목한 원추형의 제3 마쇄면(152)이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상부 멧돌(145)과 하부 멧돌(155)을 일체로 장착한 제2 커버(150)는 그 중간 지점에서 케이싱(110)을 하부측으로 관통하는 저속 회전축(160)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 멧돌(145)과 하부 멧돌(155)들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서 상기 제1 고정 멧돌(125)의 제1 마쇄면(132)과 상부 멧돌(145)의 제2 마쇄면(142) 사이에서 1단계의 콩 마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제2 커버(150)는 도 4에서 평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 회전축(160)과 일체로 연결되는 지점에서 다수의 관통공(168)들을 저속 회전축(160)의 주위에 형성하여 상기 제2 콩 이동통로(162)와 제3 콩 이동통로(166)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콩 이동통로(162)를 통과한 콩물은 관통공(168)들을 통하여 제3 콩 이동통로(166)로 유입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는 상기 하부 멧돌(155)의 하부측에 위치된 제2 고정 멧돌부(18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2 고정 멧돌부(180)는 도 3에서 분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멧돌(155)의 제3 마쇄면(152)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4 마쇄면(182)이 상부에 형성된 제2 고정 멧돌(185)과, 상기 제2 고정 멧돌(185)을 하부측에서 감싸면서 제1 고정 멧돌부(120)의 제1 커버(130)에 다수의 연결대(187)를 통하여 일체로 결합된 제3 커버(189)를 갖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2 고정 멧돌부(180)는 연결대(187)를 통하여 제1 커버(130)와 제3 커버(189)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연결된 상태이며, 제1 커버(130)의 고정축(134)에 나사결합된 너트(136)의 위치조정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10) 내에서 상하 위치가 조정되면, 제2 고정 멧돌부(180)도 동시에 상하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 멧돌부(180)는 제2 고정 멧돌(185)이 상기 하부 멧돌(155)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3 마쇄면(152)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4 마쇄 면(182)이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멧돌(155)의 제3 마쇄면(152)과 제2 고정 멧돌(185)의 제4 마쇄면(182)에서 콩 마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2 고정 멧돌(185)은 그 중앙을 저속 회전축(160)이 관통하여 통과하고, 상기 제2 고정 멧돌(185)과 저속 회전축(160)의 사이에는 밀봉씨일(202)과 베어링(B3)(B4) 및 높이조절너트(201)가 장착되어 회전하는 상태의 저속 회전축(160)을 따라서 콩물이 하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속 회전축(16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는 상기 제3 커버(189)의 하부에서 원추형 거름체(195)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판(190)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190)는 원통형의 고속 회전축(197)에 일체로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는 여과부(20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여과부(200)는 제2 고정 멧돌(185)의 하부측에서 원추형 거름체(195)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판(190)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190)는 원통형의 고속 회전축(197)에 일체로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여과부(200)는 회전판(190)이 케이싱(110)을 하부측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저속 회전축(160)의 둘레에 배치된 원통형의 고속 회전축(197)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원추형 거름체(195)를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추형 거름체(195)는 그 상단에 케이싱(110)의 비지 배출구(114)에 인접하여 연장되며, 회전판(190)의 회전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는 상기 제1 고정 멧돌부(120)의 하부에 저속 멧돌부(140)가 배치되고, 그 하부측에 제2 고정 멧돌 부(18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 멧돌(125)의 제1 마쇄면(132)과 상부 멧돌(145)의 제2 마쇄면(142) 사이에서 형성된 간극(d1)은 상기 하부 멧돌(155)의 제3 마쇄면(152)과 제2 고정 멧돌(185)의 제4 마쇄면(182) 사이의 간극(d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마쇄면(132)과 제2 마쇄면(142) 사이에서 1단계의 거친 콩 마쇄가 이루어진 다음, 상기 제3 마쇄면(152)과 제4 마쇄면(182) 사이에서 2단계의 미세한 콩 마쇄가 이루어지고, 더욱 고운 입자로 마쇄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커버(130)의 고정축(134)에 나사결합된 너트(136)와 제3 커버(189)의 높이조절너트(201)의 위치조정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10) 내에서 상하 위치가 조정되면, 제1 고정 멧돌부(120)와 제2 고정 멧돌부(180)가 동시에 상하 높이가 조절된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제1 고정 멧돌부(120)와 제2 고정 멧돌부(180)의 높이 조절은 상기 제1 고정 멧돌(125)의 제1 마쇄면(132)과 상부 멧돌(145)의 제2 마쇄면(142) 사이에서 형성된 간극(d1)과 상기 하부 멧돌(155)의 제3 마쇄면(152)과 제2 고정 멧돌(185)의 제4 마쇄면(182) 사이의 간극(d2)을 조절하여 마쇄되는 콩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는 상기 케이싱(110)의 외측에서 저속 멧돌부(140)과 여과부(200)에 각각 저속 회전력 및 고속 회전력을 부여하는 모터(212)를 구비한 구동부(2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동부(210)는 케이싱(110)의 외측에서 상기 저속 회전축(160)과 고속 회전축(197)에 각각 장착된 종동풀리(214)(216)들을 벨트(218)(220) 연결하는 구동풀리(222)(224)와, 상기 구동풀리(222)(224)를 회전시키는 모터(212)를 구비한 다. 이와 같은 구동부(210)는 상기 저속 회전축(160)에 연결된 종동풀리(216)는 그 직경(d3)이 고속 회전축(197)에 연결된 종동풀리(214)의 직경(d4) 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나의 모터(212)를 통한 구동작동으로도 상기 저속 멧돌부(140)과 여과부(200)에는 각각 다른 속도의 저속 회전력 및 고속 회전력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210)는 저속 회전축(160)의 종동풀리(216)와 고속 회전축(197)의 종동풀리(214)사이에 스프링(230)이 장착되어 모터(212) 구동시 종동풀리(214)(216)에서 발생되는 회전 충격력을 완충시키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는 (B1)(B2)(B3)(B4)는 베어링들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12)의 작동으로 구동풀리(222)(224)가 회전하면 이는 벨트(218)(220)를 통하여 각각 저속 회전축(160)의 종동풀리(216)와 고속 회전축(197)의 종동풀리(214)를 각각 저속과 고속의 다른 속도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저속 회전축(1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멧돌부(180)의 제2 고정 멧돌(185)의 중앙을 통과하여 그 상부에서 저속 멧돌부(140)를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고속 회전축(197)은 저속 회전축(160)의 외측에서 여과부(200)의 원추형 거름체(195)를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저속 멧돌부(140)과 여과부(20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콩 투입구(112)측으로 불린 콩이 투입되면, 이는 제1 고정 멧돌(125)의 중앙에 형성된 제1 콩 이동통로(127)를 따라서 제1 고정 멧돌(125)의 제1 마쇄면(132)과 상부 멧돌(145)의 제2 마쇄면(142) 사이 간극(d1)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 고정 멧돌 부(120)에 대한 저속 멧돌부(140)의 회전으로 정지된 제1 고정 멧돌(125)의 제1 마쇄면(132)에 대해서 상부 멧돌(145)의 제2 마쇄면(142)이 저속으로 회전하여 그 사이에서 1단계의 거친 콩 마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1차로 마쇄가 이루어진 콩물은 상부 멧돌(145)의 제2 마쇄면(142)을 따라서 하부로 흐르면서 상부 멧돌(145)과 제2 커버(150) 사이의 제2 콩 이동통로(162)로 유입되고, 제2 커버(150)의 중앙에 마련된 다수의 관통공(168)들을 통하여 하부 멧돌(155)의 제3 콩 이동통로(166)로 유입되어 하부 멧돌(155)의 제3 마쇄면(152)과 제2 고정 멧돌(185)의 제4 마쇄면(182) 사이 간극(d2)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저속 멧돌부(140)의 회전으로 하부 멧돌(155)의 제3 마쇄면(152)과 제2 고정 멧돌(185)의 제4 마쇄면(182) 사이에서 2단계에 걸쳐서 콩 마쇄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하부 멧돌(155)의 제3 마쇄면(152)과 제2 고정 멧돌(185)의 제4 마쇄면(182) 사이의 간극(d2)은 상기 제1 고정 멧돌(125)의 제1 마쇄면(132)과 상부 멧돌(145)의 제2 마쇄면(142) 사이에서 형성된 간극(d1)보다 현저히 작게 형성되어, 1단계의 거친 콩 마쇄가 이루어진 콩물은 상기 제3 마쇄면(152)과 제4 마쇄면(182) 사이에서 2단계의 미세한 콩 마쇄가 이루어지고, 고운 입자로 마쇄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고운 입자로 마쇄된 콩물은 제2 고정 멧돌(185)의 제4 마쇄면(182)을 따라서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회전판(190)에 수집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판(190)는 원추형 거름체(195)와 함께 고속회전하는 상태이므로 콩물은 원추형 거 름체(195)를 통하여 두유와 비지의 원심여과분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콩물로부터 분리된 두유(242)는 케이싱(110)의 두유 배출구(116)를 통해서 배출되고, 비지(250)는 원심력에 의해서 원추형 거름체(195)의 내측면을 따라서 밀려 올라가서 케이싱(110)의 비지 배출구(114)를 통해 케이싱(110)의 외부로 밀려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는 콩을 고운 입자로 마쇄시킬 수 있고, 마쇄작동과 동시에 두유와 비지의 여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고정 멧돌부(120)과 저속 멧돌부(140)의 사이에서 1단계의 콩 마쇄가 이루어지고, 연이어서 저속 멧돌부(140)과 제2 고정 멧돌부(180)의 사이에서 2단계의 콩 마쇄가 이루어짐으로써 콩을 고운 입자로 마쇄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맛있고 품질이 우수한 두부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2단계에 걸쳐서 마쇄가 이루어진 콩물을 고속회전하는 원추형 거름체(195)를 통하여 두유와 비지의 원심여과분리가 연이어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마쇄작동과 동시에 두유와 비지의 여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른 두부제조공정의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가 적용되는 두부제조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에 구비된 제1 고정 멧돌부, 저속 멧돌부 및 제2 고정 멧돌부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로서, 저속 멧돌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2 콩 이동통로와 제3 콩 이동통로를 연통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제조용 마쇄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콩 마쇄 및 원심분리여과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두부제조장치 5..... 콩 공급기
5a.... 모터 5b.... 나선 공급기
10.... 비지 수거장치 15..... 두유저장설비
20.... 가열기 22.... 전기 보일러
30.... 냉각기 35.... 포장설비
40.... 혼합기 45.... 간수저장설비
50.... 탈수기 55.... 수조
60.... 제어부 100....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110... 케이싱 112.... 콩 투입구
114... 비지 배출구 116.... 두유 배출구
120... 제1 고정 멧돌부 125.... 제1 고정 멧돌
127... 제1 콩 이동통로 132.... 제1 마쇄면
134... 고정축 136.... 너트
138... 스프링 140.... 저속 멧돌부
142... 제2 마쇄면 145.... 상부 멧돌
150... 제2 커버 152.... 제3 마쇄면
155... 하부 멧돌 160.... 저속 회전축
162... 제2 콩 이동통로 166.... 제3 콩 이동통로
168... 관통공 180.... 제2 고정 멧돌부
182... 제4 마쇄면 185.... 제2 고정 멧돌
187... 연결대 189.... 제3 커버
190... 회전판 195.... 원추형 거름체
197... 고속 회전축 200.... 여과부
201... 높이조절너트 202.... 밀봉씨일
210... 구동부 212.... 모터
214,216.... 종동풀리 218,220.... 벨트
222,224... 구동풀리 230.... 스프링
B1,B2,B3,B4.... 베어링
d1.... 제1 마쇄면과 제2 마쇄면 사이 간극
d2.... 제3 마쇄면과 제4 마쇄면 사이 간극
d3.... 저속 회전축의 종동풀리 직경
d4.... 고속 회전축의 종동풀리 직경

Claims (4)

  1. 두부제조에 사용되는 마쇄장치에 있어서,
    상부면에는 콩 투입구(11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비지 배출구(114)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는 두유 배출구(116)가 형성된 중공형의 케이싱(110);
    상기 케이싱(110)의 내측 상부면에 위치되고, 하부면에는 오목한 원추형의 제1 마쇄면(132)이 형성된 제1 고정 멧돌(125)과, 상기 제1 고정 멧돌(125)을 상부측에서 감싸 고정하는 제1 커버(130)를 갖는 제1 고정 멧돌부(120);
    상기 제1 고정 멧돌부(120)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 마쇄면(132)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2 마쇄면(142)이 상부에 형성된 상부 멧돌(145)과, 상기 상부 멧돌(145)을 감싸면서 하부로 연장된 제2 커버(150) 및, 상기 제2 커버(150)의 하부 내측에서 장착되어 하부면에는 오목한 원추형의 제3 마쇄면(152)이 형성된 하부 멧돌(155)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버(150)는 저속 회전축(160)에 일체로 연결되어 저속으로 회전되는 저속 멧돌부(140);
    상기 하부 멧돌(155)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3 마쇄면(152)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4 마쇄면(182)이 상부에 형성된 제2 고정 멧돌(185)과, 상기 제2 고정 멧돌(185)을 하부측에서 감싸면서 제1 고정 멧돌부(120)의 제1 커버(130)에 다수의 연결대(187)를 통하여 일체로 결합된 제3 커버(189)를 갖는 제2 고정 멧돌부(180);
    상기 제3 커버(189)의 하부에서 원추형 거름체(195)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판(190)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190)는 원통형의 고속 회전축(197)에 일체로 연 결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는 여과부(200); 및
    상기 케이싱(110)의 외측에서 저속 멧돌부(140)과 여과부(200)에 각각 저속 회전력 및 고속 회전력을 부여하는 모터(212)를 구비한 구동부(21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고정 멧돌부(120) 및 제2 고정 멧돌부(180)에 대한 저속 멧돌부(140)의 회전으로 콩 마쇄가 이루어진 다음, 고속회전하는 원추형 거름체(195)를 통하여 두유와 비지의 원심여과분리가 이루어지고, 콩물은 두유 배출구(116)를 통해서 배출되고, 비지는 원심력에 의해서 원추형 거름체(195)를 따라서 상승되어 케이싱(110)의 비지 배출구(114)를 통해 케이싱(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멧돌(125)의 제1 마쇄면(132)과 상부 멧돌(145)의 제2 마쇄면(142) 사이에서 형성된 간극(d1)은 상기 하부 멧돌(155)의 제3 마쇄면(152)과 제2 고정 멧돌(185)의 제4 마쇄면(182) 사이의 간극(d2) 보다 크게 형성되어, 1단계의 거친 콩 마쇄가 이루어진 다음, 2단계의 미세한 콩 마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멧돌부(140)는 상부 멧돌(145)이 제1 고정 멧돌부(120)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 마쇄면(132)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2 마쇄 면(142)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150)는 상부 멧돌(145)을 감싸면서 상기 상부 멧돌(14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원형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콩 이동통로(162)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멧돌(155)은 제2 커버(150)의 하부 내측에서 장착되어 상기 제2 콩 이동통로(162)에 연통되는 제3 콩 이동통로(166)가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하부면에는 오목한 원추형의 제3 마쇄면(15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버(150)는 케이싱(110)을 하부측으로 관통하는 저속 회전축(160)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 멧돌(145)과 하부 멧돌(155)들을 저속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제1 고정 멧돌(125)의 제1 마쇄면(132)과 상부 멧돌(145)의 제2 마쇄면(142) 사이에서 1단계의 콩 마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멧돌부(180)는 제2 고정 멧돌(185)이 상기 하부 멧돌(155)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3 마쇄면(152)에 대응하여 볼록한 원추형의 제4 마쇄면(182)이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멧돌(155)의 제3 마쇄면(152)과 제2 고정 멧돌(185)의 제4 마쇄면(182) 사이에서 2단계의 콩 마쇄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고정 멧돌(185)은 그 중앙을 저속 회전축(160)이 관통하여 통과하고, 상기 제2 고정 멧돌(185)과 저속 회전축(160)의 사이에는 밀봉씨일(202)이 장착되어 콩물이 하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용 마쇄장치(100).
KR1020090066773A 2009-07-22 2009-07-22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KR10106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73A KR101069099B1 (ko) 2009-07-22 2009-07-22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73A KR101069099B1 (ko) 2009-07-22 2009-07-22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93A KR20110009393A (ko) 2011-01-28
KR101069099B1 true KR101069099B1 (ko) 2011-09-30

Family

ID=4361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773A KR101069099B1 (ko) 2009-07-22 2009-07-22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630A (ko) * 2017-07-17 2019-01-25 문인술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906B1 (ko) * 2009-12-23 2012-01-02 황금봉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용 원심분리기
CN108324076A (zh) * 2018-01-12 2018-07-27 广州品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高效果汁机
CN112121973B (zh) * 2020-09-10 2021-04-09 中化化工科学技术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提高合成橡胶材料制备质量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921U (ko) * 1998-05-11 1999-12-06 권동성 두부제조용 분쇄기
KR200266745Y1 (ko) 2001-12-12 2002-03-04 김해용 두부제조용 분쇄기 구조
KR200374639Y1 (ko) 2004-11-15 2005-02-02 이종천 콩류 분쇄장치
KR20080111698A (ko) * 2007-06-19 2008-12-24 하이하모니(주) 순두부 제조장치 및 순두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921U (ko) * 1998-05-11 1999-12-06 권동성 두부제조용 분쇄기
KR200266745Y1 (ko) 2001-12-12 2002-03-04 김해용 두부제조용 분쇄기 구조
KR200374639Y1 (ko) 2004-11-15 2005-02-02 이종천 콩류 분쇄장치
KR20080111698A (ko) * 2007-06-19 2008-12-24 하이하모니(주) 순두부 제조장치 및 순두부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630A (ko) * 2017-07-17 2019-01-25 문인술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KR102144530B1 (ko) * 2017-07-17 2020-08-13 문인술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93A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099B1 (ko)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CN102188159B (zh) 一种豆浆机
CN103082865A (zh) 具有二次研磨功能的豆浆/榨汁机
CN206080300U (zh) 一种食品研磨机
CN102448325B (zh) 豆腐自动连续制造装置
CN203737310U (zh) 可调自动石磨豆浆机
KR101211580B1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
CN112808386A (zh) 一种磨浆设备
KR101101906B1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용 원심분리기
KR101463875B1 (ko) 두부용 두유 제조기
CN215075272U (zh) 一种磨浆设备
KR200374639Y1 (ko) 콩류 분쇄장치
CN214346957U (zh) 一种磨浆机
CN220716040U (zh) 一种便于维护保养的大豆磨浆机
CN102512077B (zh) 一种电动加热研磨机
KR101127980B1 (ko) 두부제조기의 두유제조장치
CN202262846U (zh) 一种研磨式豆浆机
CN202135650U (zh) 一种豆浆机
KR200203413Y1 (ko)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CN213254747U (zh) 一种腐乳生产用自动化石磨装置
CN212328567U (zh) 一种黄豆磨浆设施
CN115318378B (zh) 一种用于米粉制作的大米磨浆设备
KR100844315B1 (ko) 두부제조장치
CN112674284A (zh) 一种循环磨浆系统和循环磨浆方法
CN220512187U (zh) 一种豆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