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630A -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 Google Patents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630A
KR20190008630A KR1020170090223A KR20170090223A KR20190008630A KR 20190008630 A KR20190008630 A KR 20190008630A KR 1020170090223 A KR1020170090223 A KR 1020170090223A KR 20170090223 A KR20170090223 A KR 20170090223A KR 20190008630 A KR20190008630 A KR 20190008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grains
grain
filter
filt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530B1 (ko
Inventor
문인술
Original Assignee
문인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술 filed Critical 문인술
Priority to KR102017009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5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 B02C11/04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여과망 및 스크루를 사용하여 비지와 순두부를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미세한 순두부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곡물분쇄수단과, 순두부와 비지의 분리수단과, 상기 비지와 순두부를 저장 또는 배출하는 저장배출수단과, 구동장치(50)와,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며; 분리수단으로서, 상기 분쇄수단 하부의 중앙 개구부(31)로부터 분쇄곡물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분쇄된 곡물 중 순두부는 통과하고 비지는 통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에 분쇄곡물이 유입하는 유입구(7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여과되지 않은 비지를 유출시키는 유출공(72)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망(70)과 상기 여과망(70) 내부의 중앙에 설치되어 전달수단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여과망(70) 상부의 유입구(71)로 흘러들어오는 분쇄곡물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비지와 순두부를 분리하게 하는 스크루(80)를 포함하며; 저장배출수단으로서, 상기 분쇄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망(70)을 통과한 순두부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으며, 측면하부에 순두부를 배출하는 배출밸브(43)가 설치되어 있는 순두부 저장용기(40)과 상기 여과망(70)을 통과하지 않는 비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비지배출파이프(4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Soft tofu maker using millstone}
본 발명은 윗돌, 중간돌 및 아랫돌로 3단으로 구성된 3단 맷돌을 이용하여 순두부를 만두는 제조기에 3단 맷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여과망을 사용하여 비지와 순두부를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미세한 순두부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맷돌은 두개의 원통형상의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해서 콩, 녹두 등의 곡물을 분쇄하는 것으로서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가정용 분말기이다. 맷돌은 물에 불린 곡물을 물과 함께 조금씩 윗돌의 주입구로 집어넣으면서 손잡이로 윗돌을 돌리는 작업을 계속하고, 부풀러진 곡물은 윗돌과 아랫돌 사이의 접촉면에서 압착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부셔지면서 측방으로 내려오고, 곡물은 외곽으로 흘러가면서 계속하여 분쇄작용이 이루어진다. 갈아진 곡물은 윗돌과 아랫돌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아래의 저장용기에 담겨진다.
상기와 같이 갈아진 곡물을 이용한 음식물로는 콩비지, 순두부, 녹두전 등이 있다.
본 발명자는 윗돌, 중간돌 및 아랫돌로 3단으로 구성한 맷돌을 개발하여 윗돌과 중간돌 사이와, 그리고 중간돌과 아랫돌 사이에서 2차례에 걸쳐서 곡물을 갈도록 한 3단 맷돌을 개발하여 이를 특허 제10-1692998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발명은 분쇄된 곡물을 비지와 순두부로 분리하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또한 미세하고 고소한 순두부를 얻지 못하여 순두부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맷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지와 순두부와 분리를 원활하게 하고 미세한 순두부를 분리해 냄으로써 순두부의 맛을 향상시키는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는 곡물을 분쇄하는 분쇄수단과, 상기 분쇄된 곡물로부터 순두부와 비지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된 비지와 순두부를 저장 또는 배출하는 저장배출수단과,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분쇄수단에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순두부 제조기에 있어서, 분리수단으로서, 상기 분쇄수단 하부의 중앙 개구부로부터 분쇄곡물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분쇄된 곡물 중 순두부는 통과하고 비지는 통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에 분쇄곡물이 유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여과되지 않은 비지를 유출시키는 유출공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망; 분리수단으로서, 상기 여과망 내부의 중앙에 설치되어 전달수단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여과망 상부의 유입구로 흘러들어오는 분쇄곡물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비지와 순두부를 분리하게 하는 스크루; 저장배출수단으로서, 상기 분쇄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망을 통과한 순두부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으며, 측면하부에 순두부를 배출하는 배출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순두부 저장용기; 저장배출수단으로서, 상기 여과망을 통과하지 않는 비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일단이 여과망 하부의 유출공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로 뻗은 비지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는 또한 상기 분쇄수단은 곡물을 주입하는 주입구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주입구에서 저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유입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윗돌, 상기 윗돌의 하부에 배치되어 윗돌과의 사이에서 곡물을 1차 분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 상기 1차 분쇄된 곡물을 하부로 흘러내리는 하향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돌, 상기 중간돌의 하부에 배치되어 중간돌과의 사이에서 곡물을 2차 분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중앙에 분쇄곡물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중앙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아랫돌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수단은 구동장치의 구동축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분리수단의 스크루(80)와 중간돌과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는 회전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는 상기 여과망은 상기 아랫돌의 중앙개구부에서 배출되는 분쇄곡물을 받아들일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순두부저장용기에 결합되는 설치판과, 중앙에 회전축파이프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받침판과, 중앙에 회전축파이프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받침판과, 상기 설치판과 중간받침판 사이에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여과망과, 상기 설치판과 하부받침판 사이에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여과망의 외부에 구성되어 있고 제1여과망의 여과공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여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여과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여과망의 배출공에는 비지배출파이프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는 또한 상기 스크루는 회전파이프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여과망 내부로 유입되는 분쇄곡물을 아래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여과망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분쇄곡물을 1차적으로 아래로 이송하는 제1스크루와, 상기 제1스크루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여과망의 여과공 및 중간받침판의 관통공을 빠져나온 분쇄곡물을 2차적으로 아래로 이송하는 제2스크루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는 또한 상기 제2스크루에, 1차여과망을 통과한 곡물과 통과하지 않고 중간받침판의 관통공을 통하여 빠져나온 곡물이 서로 접촉하지 않게 하는 차단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는 또한 상기 전달수단의 회전파이프의 내부에는 고정축이 관통하여 상부로 뻗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의 상단은 윗돌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는 스크루를 회전시키며 분쇄곡물을 하향 이송하면서 여과망사이의 압력에 의하여 분쇄곡물에서 순두부를 분리하기 때문에 순두부 분리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2차례 거쳐 분리작용이 이루어지므로 미세한 분말의 순두부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간돌을 작동시키는 회전파이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스크루를 회전시키므로 스크루 회전을 위한 별도의 전달장치가 불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1의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여과망 및 스크루의 설치 상태를 상세히 나타내는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는 통상의 맷돌과 마찬가지로 돌과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는 맷돌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돌(10), 중간돌(20), 아랫돌(30), 순두부저장용기(40), 그리고 베이스(6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도자기 형상으로 하여 곡물을 분쇄하여 순두부를 만들며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곡물을 분쇄하는 분쇄수단과, 상기 분쇄된 곡물로부터 순두부와 비지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된 비지와 순두부를 저장 또는 배출하는 저장배출수단과,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50)와, 상기 분쇄수단에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분쇄수단은 곡물을 주입하는 주입구(11)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주입구(11)에서 저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유입통로(12)가 형성되어 있는 윗돌(10), 상기 윗돌(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윗돌(10)과의 사이에서 곡물을 1차 분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 상기 1차 분쇄된 곡물을 하부로 흘러내리는 하향이동통로(21)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돌(20), 상기 중간돌(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중간돌(20)과의 사이에서 곡물을 2차 분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중앙에 분쇄곡물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중앙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아랫돌(30)을 포함한다.
윗돌(10)의 곡물주입구(11)는 정중앙에 형성하고 유입통로(12)의 하단은 중심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에 외측으로 곡물이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주입구(1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공급통(13)이 설치되고, 상기 유입통로(12)와 연통되는 연결통로(15)의 주입구에는 물통(14)이 설치된다. 공급되는 곡물과 물의 양의 비는 미리 정해 놓고 토출구의 직경을 적절하게 하여 맞춘다. 곡물과 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수단은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윗돌(10)의 저면 중앙에는 후술하는 고정축(53)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16)가 매입되어 있다.
중간돌(20)은 윗돌(10)의 유입로(12)를 통하여 상면 중앙부분에 유입되는 곡물을 가장자리로 흐르게 하며 윗돌(10)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1차적으로 분쇄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수직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관통공(22)의 주위에는 후술하는 회전파이프(52)의 상부와 결합하여 중간돌(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결합구(23)가 매입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결합구(23)의 내부에는 회전파이프(52)의 상부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는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돌(20)의 측면에는 수동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를 결합된다.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에는 원활한 상대운동을 하게하고 그 사이에 마멸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베어링(17)이 설치되어 있다.
아랫돌(30)의 가장자리에는 중간돌(20)이 원활하게 회전하고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서 마멸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볼 롤러(32)들이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아랫돌(30)의 내부에는 분쇄된 곡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선(33)이 매입되어 있는데 히터선 매입되는 부분이 분리되도록 되어 있으며, 아랫돌(30)의 측면은 합성수지로 감싸여 있다.
순두부와 비지를 분리하는 분리수단은 상기 분쇄수단 하부의 중앙 개구부(31)로부터 분쇄곡물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분쇄된 곡물 중 순두부는 통과하고 비지는 통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에 분쇄곡물이 유입하는 유입구(7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여과되지 않은 비지를 유출시키는 유출공(72)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망(70)과; 상기 여과망(70) 내부의 중앙에 설치되어 전달수단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여과망(70) 상부의 유입구(71)로 흘러들어오는 분쇄곡물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비지와 순두부를 분리하게 하는 스크루(8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여과망(70)은 상기 아랫돌(30)의 중앙개구부(32)에서 배출되는 분쇄곡물을 받아들일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순두부저장용기(40)에 결합되는 설치판(73)과, 중앙에 회전축파이프(52)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다수의 관통공(74a)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받침판(74)과, 중앙에 회전축파이프(52)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받침판(75)과, 상기 설치판(73)과 중간받침판(74) 사이에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여과망(76)과, 상기 설치판(73)과 하부받침판(75) 사이에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여과망(76)의 외부에 구성되어 있고 제1여과망(76)의 여과공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여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여과망(7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여과망(77)의 배출공(74a)에는 비지배출파이프(42)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크루(80)는 회전파이프(5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여과망(70) 내부로 유입되는 분쇄곡물을 아래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여과망(76)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분쇄곡물을 1차적으로 아래로 이송하는 제1스크루(81)와, 상기 제1스크루(81)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여과망(74)의 여과공 및 중간받침판(74)의 관통공(74a)을 빠져나온 분쇄곡물을 2차적으로 아래로 이송하는 제2스크루(8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스크루(82)에는 선택적으로, 1차여과망(76)을 통과한 곡물과 통과하지 않고 중간받침판(74)의 관통공(74a)를 통하여 빠져나온 곡물이 서로 접촉하지 않게 하는 차단벽(82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배출수단은 상기 분쇄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망(70)을 통과한 순두부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으며, 측면하부에 순두부를 배출하는 배출밸브(43)가 설치되어 있는 순두부 저장용기(40)와; 상기 여과망(70)을 통과하지 않는 비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일단이 여과망(70) 하부의 유출공(72)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로 뻗은 비지배출파이프(4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저장용기(40)의 상부면 중앙에는 여과망(70)의 설치판(73)과 나사결합하는 환형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 중앙에는 회전파이프(52)와의 사이에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seal ring)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비지배출파이프(42)의 출구에는 배출밸브(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달수단은 구동장치(50)의 구동축(51)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분리수단의 스크루(80)와 중간돌(20)과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는 회전파이프(52)이다. 구동축(51)의 상단에는 구동기어(51a)가 결합되어 있고 회전파이프(52)의 하단에는 상기 구동기어(51a)와 맞물리는 피동기어(52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달수단의 회전파이프(52)의 내부에는 고정축(53)이 관통하여 상부로 뻗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53)의 하단은 구동장치(50)의 상부에 결합된 설치부(5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은 윗돌(10)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 설치부(54)의 중앙상부에는 환형의 회전파이프(52)의 하단이 삽입되는 환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환형홈에는 베어링(55)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60)는 전체 제품의 중심을 잡기 위하여 무거운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구동장치(5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60)는 안정적으로 전체 제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 측면에 지지대(미도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히터선(33)에 전기를 흐르게 하여 아랬돌(30)의 상부를 가열하고 곡물공급통(13)에 곡물을 집어넣고 조금씩 내려가게 하고 물통(14)으로부터 조금씩 물이 흘러가게 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장치(50)를 가동하여 중간돌(20)을 회전하게 한다. 구동장치(50)의 구동력은 구동축(51)의 구동기어(51a) 및 피동기어(52a)에 의하여 회전파이프(52)에 전달되고, 회전파이프(52)가 회전하면 맞물려 있는 결합구(23)를 회전시켜 중간돌(20)를 회전하게 된다.
곡물과 물은 유입통로(12)를 통하여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의 틈새로 들어와 1차적으로 분쇄되고 가장자리의 하향이동통로(21)를 통하여 중간돌(20)과 아래돌(30) 사이의 틈새로 들어간다. 1차 분쇄된 곡물은 이 틈새에서 중앙으로 이동하며 2차로 미세하게 분쇄된다. 2차분쇄된 곡물은 중앙개구부(31)를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고, 이어서 여과망(70)의 유입구(71)를 통하여 여과망(70)으로 유입되는데 분쇄곡물은 제1스크루(81)에 의하여 압착되면서 하향으로 이동한다. 하향이동하는 과정에 분쇄곡물이 압착되므로 크기가 작은 분쇄곡물을 제1여과망(76)을 통하여 빠져나간다. 제1여과망(76)을 빠져나간 분쇄곡물은 이어서 제2여과망(77)을 통하여 빠져나가 순두부저장용기(40)로 들어간다. 제1여과망(76)을 빠져나가지 못한 분쇄곡물은 중간받침판(74)의 관통공(74a)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는데 이어서 제2스크루(82)에 의하여 회전파이프(52)의 주위에서 하향으로 그대로 이동한다.
제1여과망(76)을 빠져 나간 분쇄곡물은 제2여과망(77)의 내측면을 따라 내려 오면서 제2스크루(82)에 의하여 다시 압착되어 미세한 곡물은 제2여과망(77)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간다.
제2스크루(82)에는 차단벽(82a)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1차여과망(76)을 통과한 곡물과 통과하지 않고 중간받침판(74)의 관통공(74a)를 통하여 빠져나온 곡물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유출공(72)을 통하여 배출된다.
제1여과망(76)을 통과했으나 제2여과망(77)을 통과하지 못한 곡물과, 중간받침판(74)의 관통공(74a)을 빠져나와 제2스크루(82)의 중앙부를 따라 하향이동한 곡물은, 소위 비지라고 하는데 이 비지는 유출공(72)을 통하여 비지배출파이프(4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비지는 익힌 것이기 때문에 그대로 먹을 수 있다.
미세한 제2여과망(77)을 빠져나온 물과 곡물은 소위 순두부라 하는데, 이 순두는 순두부저장용기(40)에 저장되어 있다가 배출밸브(43)를 개방하면 외부로 배출된다. 이 순두부는 간을 하여 그대로 먹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순두부 제조기는 스크루(81)(82)를 회전시키며 분쇄곡물을 하향 이송하면서 여과망사이의 압력에 의하여 분쇄곡물에서 순두부를 분리하기 때문에 순두부 분리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제1여과망(76)과 제2여과망(77)에 의하여 2차례 거쳐 분리작용이 이루어지므로 미세한 분말의 순두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간돌(20)을 작동시키는 회전파이프(5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스크루(81)(82)를 회전시키므로 스크루 회전을 위한 별도의 전달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윗돌 11: 곡물주입구
12: 유입통로 13: 곡물공급통
14: 물통 15: 연결통로
16: 고정구 17: 베어링
20: 중간돌 21: 하향이동통로
22: 수직관통공 23: 결합구
30: 아랫돌 31: 중앙개구부
32: 볼 롤러 33: 히터선
40: 순두부 저장용기 41: 환형 돌출부
42: 비지배출파이프 43: 배출밸브
44: 씰링 45: 배출밸브
50: 구동장치 51: 구동축
51a: 구동기어 52: 회전파이프
52a: 피동기어 53: 고정축
54: 설치부 55: 베어링
60: 베이스 70: 여과망
71: 유입구 72: 유출공
73: 설치판 74: 중간받침판
75: 하부받치판 76: 제1여과망
77: 제2여과망 80: 스크루
81: 제1스크루 82: 제2스크루
82a: 차단벽

Claims (6)

  1. 곡물을 분쇄하는 분쇄수단과, 상기 분쇄된 곡물로부터 순두부와 비지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된 비지와 순두부를 저장 또는 배출하는 저장배출수단과,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50)와, 상기 분쇄수단에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순두부 제조기에 있어서,
    분리수단으로서, 상기 분쇄수단 하부의 중앙 개구부(31)로부터 분쇄곡물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분쇄된 곡물 중 순두부는 통과하고 비지는 통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에 분쇄곡물이 유입하는 유입구(7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여과되지 않은 비지를 유출시키는 유출공(72)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망(70);
    분리수단으로서, 상기 여과망(70) 내부의 중앙에 설치되어 전달수단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여과망(70) 상부의 유입구(71)로 흘러들어오는 분쇄곡물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비지와 순두부를 분리하게 하는 스크루(80);
    저장배출수단으로서, 상기 분쇄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망(70)을 통과한 순두부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으며, 측면하부에 순두부를 배출하는 배출밸브(43)가 설치되어 있는 순두부 저장용기(40):
    저장배출수단으로서, 상기 여과망(70)을 통과하지 않는 비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일단이 여과망(70) 하부의 유출공(72)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로 뻗은 비지배출파이프(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수단은 곡물을 주입하는 주입구(11)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주입구(11)에서 저면까지 관통되어 있는 유입통로(12)가 형성되어 있는 윗돌(10), 상기 윗돌(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윗돌(10)과의 사이에서 곡물을 1차 분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 상기 1차 분쇄된 곡물을 하부로 흘러내리는 하향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돌(20), 상기 중간돌(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중간돌(20)과의 사이에서 곡물을 2차 분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중앙에 분쇄곡물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중앙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아랫돌(30)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수단은 구동장치(50)의 구동축(51)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분리수단의 스크루(80)와 중간돌(20)과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는 회전파이프(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70)은 상기 아랫돌(30)의 중앙개구부(32)에서 배출되는 분쇄곡물을 받아들일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순두부저장용기(40)에 결합되는 설치판(73)과, 중앙에 회전축파이프(52)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다수의 관통공(74a)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받침판(74)과, 중앙에 회전축파이프(52)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받침판(75)과, 상기 설치판(73)과 중간받침판(74) 사이에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여과망(76)과, 상기 설치판(73)과 하부받침판(75) 사이에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여과망(76)의 외부에 구성되어 있고 제1여과망(76)의 여과공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여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여과망(7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여과망(77)의 배출공(74a)에는 비지배출파이프(42)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80)는 회전파이프(5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여과망(70) 내부로 유입되는 분쇄곡물을 아래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여과망(76)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분쇄곡물을 1차적으로 아래로 이송하는 제1스크루(81)와, 상기 제1스크루(81)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여과망(74)의 여과공 및 중간받침판(74)의 관통공(74a)을 빠져나온 분쇄곡물을 2차적으로 아래로 이송하는 제2스크루(8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루(82)에, 1차여과망(76)을 통과한 곡물과 통과하지 않고 중간받침판(74)의 관통공(74a)를 통하여 빠져나온 곡물이 서로 접촉하지 않게 하는 차단벽(8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의 회전파이프(52)의 내부에는 고정축(53)이 관통하여 상부로 뻗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53)의 상단은 윗돌(10)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KR1020170090223A 2017-07-17 2017-07-17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KR10214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223A KR102144530B1 (ko) 2017-07-17 2017-07-17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223A KR102144530B1 (ko) 2017-07-17 2017-07-17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630A true KR20190008630A (ko) 2019-01-25
KR102144530B1 KR102144530B1 (ko) 2020-08-13

Family

ID=6528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223A KR102144530B1 (ko) 2017-07-17 2017-07-17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5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957U (ko) * 1997-12-31 1999-07-26 강호윤 두부 제조용 비지 걸름장치
KR101069099B1 (ko) * 2009-07-22 2011-09-30 진저주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KR200466922Y1 (ko) * 2012-08-20 2013-05-14 황광연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KR101692998B1 (ko) * 2015-04-06 2017-01-05 문인술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957U (ko) * 1997-12-31 1999-07-26 강호윤 두부 제조용 비지 걸름장치
KR101069099B1 (ko) * 2009-07-22 2011-09-30 진저주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KR200466922Y1 (ko) * 2012-08-20 2013-05-14 황광연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KR101692998B1 (ko) * 2015-04-06 2017-01-05 문인술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530B1 (ko)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222B1 (ko) 원두커피 분쇄장치
KR101226441B1 (ko) 주스 착즙기
US20160113429A1 (en) Juicer provided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mnants
AU727763B3 (en) Juicer having two cutters
KR101926380B1 (ko) 착즙기
KR20060101848A (ko) 착즙주스기
KR101844056B1 (ko) 돌가루발생방지수단이 구비된 맷돌
KR101932088B1 (ko) 원두분쇄장치
CN104970678A (zh) 榨汁机
JP6553724B2 (ja) 三段石臼
KR20200001640U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CN104970682A (zh) 一种榨汁机
US8453955B2 (en) Mixing machine having improved pulverizing efficiency
KR20190008630A (ko)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KR101843174B1 (ko) 즉석조리용 맷돌
KR101732792B1 (ko) 두부콩분쇄기
CN105326323B (zh) 榨汁机
JP7110358B2 (ja) ひき臼型粉砕機
CN206371890U (zh) 食物料理机
KR101101906B1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용 원심분리기
KR101704800B1 (ko) 물공급량조절수단이 구비된 맷돌
KR101843175B1 (ko) 맷돌
KR101844057B1 (ko) 3단 맷돌
KR200413917Y1 (ko) 두유제조장치
KR20190127206A (ko) 맷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