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175B1 - 맷돌 - Google Patents

맷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175B1
KR101843175B1 KR1020160061106A KR20160061106A KR101843175B1 KR 101843175 B1 KR101843175 B1 KR 101843175B1 KR 1020160061106 A KR1020160061106 A KR 1020160061106A KR 20160061106 A KR20160061106 A KR 20160061106A KR 101843175 B1 KR101843175 B1 KR 101843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stones
crushed
grain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247A (ko
Inventor
문인술
Original Assignee
문인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술 filed Critical 문인술
Priority to KR1020160061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1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6Cone or disc shaped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윗돌, 중간돌, 아랫돌 등 3단 이상으로 적층하여 돌들 사이에서 분쇄되는 곡물에 열을 가하여 익히고 또 이를 분리하여 비지와 두유를 즉석에서 먹을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순두부 또한 두부로 요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조리 기구를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편리함과 즐거움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분쇄되는 곡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분쇄곡물이 돌들 사이의 틈새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맷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맷돌은 적층된 어느 한 돌을 회전시켜 돌과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는 맷돌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돌들의 중앙에 중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중앙회전축(7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하는 어느 한 돌은, 하부의 구동모터(71)에 의하여 구동되는 중앙회전축(74)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적층된 돌과 돌 사이에서 분쇄된 곡물을 임시로 고이게 하기 위해 하부돌 상면에 형성된 환형고랑과. 그 환형고랑에 고인 분쇄곡물을 하부로 흘러내리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통로를 포함하며; 상단이 상부돌에 고정되고 하부가 하부돌의 상기 환형고랑에 삽입되어 하부돌과 상대운동을 함으로써 환형고랑에 있는 분쇄곡물을 이동통로로 밀어 넣는 유도주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맷돌{Millstone}
본 발명은 전통적으로 곡물을 가는데 사용되는 맷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윗돌, 중간돌, 아랫돌 등 3단 이상으로 적층하여 돌들 사이에서 분쇄되는 곡물에 열을 가하여 익히고 또 이를 분리하여 비지와 두유를 즉석에서 먹을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순두부 또한 두부로 요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조리 기구를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편리함과 즐거움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분쇄되는 곡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분쇄곡물이 돌들 사이의 틈새로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맷돌에 관한 것이다.
맷돌은 두개의 원통형상의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해서 콩, 녹두 등의 곡물을 분쇄하는 것으로서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가정용 분말기이다. 일반적으로 맷돌은 윗돌, 아랫돌, 그리고 윗돌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맷돌은 물에 불린 곡물을 물과 함께 조금씩 윗돌의 주입구)로 집어넣으면서 손잡이로 윗돌을 돌리는 작업을 계속한다. 그 경우에 부풀러진 곡물은 윗돌과 아랫돌 사이의 접촉면에서 압착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부셔지면서 측방으로 내려오고, 곡물은 외곽으로 흘러가면서 계속하여 분쇄작용이 이루어진다. 갈아진 곡물은 윗돌과 아랫돌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아래의 저장용기에 담겨진다.
상기와 같이 갈아진 곡물을 이용하여 별도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콩비지, 순두부, 녹두전 등을 만들어 먹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맷돌은 분쇄곡물을 만들 수 있으나 자체에서 두유나 순두부, 그리고 두부를 만들지 못하고 별도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소비자들이 큰 불편을 겪을 뿐 아니라 추후에 조리된 음식물의 신선도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분쇄곡물들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여 적층된 돌들 사이의 틈새로 빠져 나오는 경우에 외관적으로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위생적이고, 이들 누설 곡물들은 폐기해야 하므로 여러 가지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맷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곡물을 분쇄한 한 후에 즉석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조리되는 음식물의 신선도를 향상시켜 맛을 좋게 하고 또한 즉석에서 직접 조리하며 먹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흥미를 유발하게 함과 동시에, 분쇄되는 곡물들이 적층 된 돌들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오는 현상을 방지한 맷돌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맷돌은 적층된 어느 한 돌을 회전시켜 돌과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는 맷돌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돌들의 중앙에 중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중앙회전축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하는 어느 한 돌은, 하부의 구동모터(71)에 의하여 구동되는 중앙회전축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적층된 돌과 돌 사이에서 분쇄된 곡물을 임시로 고이게 하기 위해 하부돌 상면에 형성된 환형고랑과. 그 환형고랑에 고인 분쇄곡물을 하부로 흘러내리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은 또한 상단이 상부돌에 고정되고 하부가 하부돌의 상기 환형고랑에 삽입되어 하부돌과 상대운동을 함으로써 환형고랑에 있는 분쇄곡물을 이동통로로 밀어 넣는 유도주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은 또한 상기 하부돌의 환형고랑에 대응하는 상부돌의 부분에 환형고랑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은 또한 상기 돌들은; 중앙부분에 분쇄될 곡물이 투입되는 곡물주입구와 주입된 곡물을 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유입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돌에 해당하는 윗돌; 상기 윗돌의 아래에 위치하여 윗돌의 유입로를 통하여 상면 중앙부분에 유입되는 곡물을 가장자리로 흐르게 하며 윗돌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1차적으로 분쇄하고 상면 가장자리부분에 환형고랑 및 하향으로 뻗은 이동통로에 해당하는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하부돌 또는 상부돌에 해당하는 중간돌; 상기 중간돌의 아래에 위치하여 중간돌의 가장자리로부터 유입되는 분쇄곡물을 중앙부분으로 흐르게 하며 중간돌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2차적으로 분쇄하고 상면 중앙부분에 환형고랑 및 하향으로 뻗은 이동통로에 해당하는 배출로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돌에 해당하는 아랫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은 또한 분쇄된 곡물에서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분리된 두유를 저장하고 후처리하는 저장용기와, 분쇄되는 곡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유입되는 분쇄곡물 중에서 액체 상태인 두유를 통과시키고 비지는 거르는 망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걸러진 비지는 하부판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 내부에서 중앙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측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착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는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용기는 다시 좌측 상부용기와 우측 상부용기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용기에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비지를 배출시키는 비지배출관 및 마개가 구성되어 있고, 또한 분리된 두유를 배출시키는 두유배출관 및 개폐밸브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은 또한 상기 하부용기는 구동모터가 포함된 구동박스를 설치하는 구동박스공간, 상기 구동박스공간 주위에 형성된 두부제조공간 및 상기 두부제조공간 하부에 형성된 물저장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제조공간의 밑면에는 순두부의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물저장공간의 하부에는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공 및 마개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은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중앙회전축 내부에 설치된 히터봉, 저장용기의 두유가 저장되는 상부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열판, 그리고 곡물을 분쇄하는 아랫돌에 매입된 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맷돌은 유도주걱에 의하여 환형고랑의 분쇄곡물을 이동통로로 밀어 넣기 때문에 분쇄곡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고, 곡물을 분쇄한 한 후에 즉석에서 두유와 콩비지, 순두부와 두부가 조리되어 먹을 수 있으므로 조리되는 음식물의 신선도가 향상되어 음식물의 맛을 좋아 지고 또한 즉석에서 직접 조리하며 먹으므로 별도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것에 비하여 편리하고 흥미를 유발하여 즐거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맷돌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맷돌의 입단면도,
도 2b는 도2 단면도에서 중앙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맷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맷돌의 구성요소중 상부용기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맷돌은 적층된 돌들 중 어느 한 돌을 회전시켜 적층된 돌과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구동수단, 가열수단, 분리수단, 저장용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적층된 돌과 돌 사이에서 분쇄된 곡물을 임시로 고이게 하기 위해 하부돌 상면에 형성된 환형고랑(23)(33)과. 그 환형고랑(23)에 고인 분쇄곡물을 하부로 흘러내리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통로, 즉 이동로(24) 및 배출로(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돌들은 상하로 2개 이상 적층되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윗돌(10), 중간돌(20), 아랫돌(30)로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중간돌을 생략하여 윗돌(10)과 아랫돌(30)만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중간돌을 생략한 경우에는 분쇄되는 곡물을 중앙으로 모으는 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여기서는 상기 3개의 돌이 적층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분쇄되는 곡물은 콩 이외에도 다른 곡물을 분쇄할 수 있으나 부풀린 공을 분쇄하여 후처리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윗돌(10)은 중앙부분에 분쇄될 곡물이 투입되는 곡물주입구(11)와 주입된 곡물을 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유입로(11a)가 형성되어 있다. 곡물주입구(11) 내부에는 후술하는 중앙회전축(74)을 결합할 때 이용되는 체결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저면 가장자리에는 분쇄된 곡물들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형고랑(14)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돌(20)은 상기 윗돌(10)의 아래에 위치하여 윗돌(10)의 유입로(11a)를 통하여 상면 중앙부분에 유입되는 곡물을 가장자리로 흐르게 하며 윗돌(10)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1차적으로 분쇄하는 것으로서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중간돌(2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윗돌(10)의 환형고랑(14)의 하부 환형고랑(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돌(20)을 상하로 관통하는 이동로(24)가 형성되어 있다.
아랫돌(30)상기 중간돌(20)의 아래에 위치하여 중간돌(20)의 가장자리로부터 유입되는 분쇄곡물을 중앙부분으로 흐르게 하며 중간돌(20)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2차적으로 분쇄하고 상면 중앙부분에 환형고랑(33) 및 하향으로 뻗은 배출로(34)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단이 상부돌에 고정되고 하부가 하부돌의 상기 환형고랑(23)(33)에 삽입되어 하부돌과 상대운동을 함으로써 환형고랑(23)(33)에 있는 분쇄곡물을 이동통로인 이동로(24) 또는 배출로(34)로 밀어 넣는 유도주걱(15)(26)이 고정되어 있다,
유도주걱(15)(26)은 합성수지류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태의 돌기로 형성되고, 상부돌에 구멍을 형성하여 그 구멍에 억지끼워맞춤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도주걱(15)(26)의 상단을 나사형태로 형성하고 상부돌에 암나사를 매립하여 나사결합형태로 고정할 수도 있다.
윗돌(10)의 하부에 고정된 유도주걱(15)의 하부는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윗돌(10)의 환형고랑(14)과 중간돌(20)의 환형고랑(23)의 형태에 형합하기 위한 것이고, 중간돌(20)의 하부에 고정된 유도주걱(26)의 하부는 반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아랫돌(30)의 환형고랑(33)의 형태에 형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윗돌(10)의 하부에 고정된 유도주걱(15)과, 중간돌(20)의 하부에 고정된 유도주걱(26)은 각각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는데, 이는 중간돌(20)의 회전할 때 위의 유도주걱(15)은 고정된 상태에서 분쇄곡물을 경사 아래방향으로 밀어 하부의 이동로(24)로 밀어 넣고, 아래의 유도주걱(26)은 중간돌(20)과 함께 회전하면서 분쇄곡물을 경사 아랫방향으로 밀어 하부의 배출로(34)로 밀어 넣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부돌의 환형고랑(23)에 대응하는 상부돌의 부분에 환형고랑(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흘러내려오는 분쇄곡물의 머무는 공간을 보다 크게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의 틈새는 분쇄되는 곡물이 중앙부분에서 가장자리로 흐를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의 틈새는 곡물이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분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틈새는 상하의 돌들이 서로 충격을 받지 않을 정도만 하면 되므로 가능한 미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윗돌(10), 중간돌(20) 및 아랫돌(30)의 가장자리에는 충격에 의한 마멸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보호커버(12)(22)(31)가 결합되어 있다. 이들 보호커버(12)(22)(31)의 재질은 쉽게 마멸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할 수 있다. 중간돌(20)의 가장자리에도 보호커버(22)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들 틈새를 유지하여 돌가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중을 받는 돌들의 상면에 상기 보호커버(22)(31) 위로 돌출되어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볼받침(25)(32)이 구성되어 있다. 볼받침(25)(32)은 매립된 받침내에서 볼이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된 일종의 롤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중심축(40)의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와,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 각각 스러스트베어링(thrust bearing)(81)(80)과 볼받침(25)(3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돌(20)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고, 또한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와,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서 마멸에 의한 돌가루의 생성을 방지된다.
상기 보호커버(12)(22)(31)는 가장자리 전체를 감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볼받침(25)(32)의 구름 볼이 접촉하는 부분에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상기 돌들의 중앙에는 중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중앙회전축(74)이 설치되어 있는데, 중간회전축(74)은 적층된 돌 중 어느 한 돌, 즉 중간돌(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의 중간회전축(74)은 어느 한 돌, 즉 중간돌(2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그 돌과 결합되는 상부부분(74a)이 각이 져 있는 파이프형태이고 상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면평판(74b)이 구성되어 있다. 중간회전축(74)은 그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봉(90)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히터봉(90)의 상부는 상기 중간회전축(74)의 상면평판(74b) 관통공을 관통하는 나사부(90a)가 형성되어 있으며 히터봉(90)의 하부에는 구동박스(70)내에 고정된 받침(91)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회전축(74)은 그 상면평판(74b)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스러스트베어링(77a)(77b)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하부의 피동기어(73)와 구동박스(70)의 상판 사이에도 스러스트베어링(76)이 배치되어 있으며, 히터봉(90)의 나사부(90a)를 윗돌(10)의 곡물주입구(11)에 형성된 체결공간(13)을 통하여 너트(78)로 체결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중간회전축(74)의 측면과 윗돌(10) 중앙설치공 사이, 그리고 아랫돌(30)의 중앙 설치공사이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어서, 중간회전축(74)의 회전력이 이들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중앙회전축(74) 및 중간돌(20)은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하고 하부의 저장용기에 설치된 아랫돌(30)과 고정된 받침(91)과 히터봉(90)에 의하여 연결된 윗돌(10)은 회전하지 않는다.
구동수단은 중앙회전축(74)과, 상기 중앙회전축(74)을 하부에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모터(71), 또는 중앙회전축(74)과 함께 회전하는 돌, 즉 중간돌(20)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21)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모터에 의한 구동방식과 수동에 의한 구동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모터(71)는 구동축의 일측 회전방향으로 구동력이 걸려 구동기어(72)를 회전시키나. 반대로 돌리면 구동기어(72)가 헛돌도록 오우버런닝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21)를 돌려 중간돌(20)을 회전시키면 구동기어(72)가 헛돌게 되므로 수동으로 작동하는데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구동박스(70)의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구동모터(71)와 제어부(75)가 설치되며 전선(75a)에 의하여 히터봉(90) 내부의 열선에 전기를 공급한다, 구동박스(7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풍을 위한 적절한 수단이 구비된다.
구동박스(70)에는 구동모터(71) 뿐만 아니라 중앙회전축(74)도 미리 설치하여 놓는다. 중앙회전축(74)은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구동박스(70) 상부면에서 스냅링(미도시) 같은 수단으로 걸쳐지게 하여야 한다.
가열수단은 상기 돌과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하여 분쇄되는 곡물 또는 분쇄된 곡물에 대하여 열을 가하여 먹을 수 있도록 분쇄곡물을 익히는 위한 수단인데, 중앙회전축(74) 내부에 설치된 히터봉(90), 후술하는 저장용기의 두유가 저장되는 부분의 하부에 설치된 열판(96), 그리고 곡물을 분쇄하는 돌, 즉 아랫돌(30)에 매입된 열선(97)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한다. 히터봉(90)의 내부에는 열선을 집어넣어 봉을 뜨겁게 하고 이어 중앙회전축(74) 및 돌들을 가열하고 그 열에 의하여 분쇄곡물을 가열한다. 히터봉(90)의 내면과 중앙회전축(74)의 외면 사이에는 부싱(92)이 구성되어 고정된 히터봉(90)의 주위에서 중앙회전축(74)이 회전할 수 있다.
돌들의 열이 아랫돌(30)의 외부측면에 전달되어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커버(12)(22)(31)과 돌들 사이에 단열재(미도시)를 매립할 수도 있다.
분리수단은 분쇄된 곡물을 아랫돌(30)의 하부 중앙으로 모으고 상기 돌, 즉 중간돌(2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모아진 분쇄곡물에서 건더기인 비지와 액체 상태인 두유를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분리수단은 후술하는 저장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유입되는 분쇄곡물 중에서 액체 상태인 두유를 통과시키고 비지는 거르는 망(62a)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걸러진 비지는 하부판(62b)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여과망(62)과, 상기 여과망(62) 내부에서 중앙회전축(74)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측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착유기(61)를 포함한다. 착유기(61)와 여과망(62) 사이의 공간은 분쇄된 곡물을 착유하는데 적절하도록 되어 있다.
착유기(61)는 중간회전축(74)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주위에 나선이 형성되어 분쇄곡물을 아래 전진시키며 여과망(62)의 사이에 압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착유기(61)의 내열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며, 열전달율도 양호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망(62)의 상부테두리는 저장용기의 천정에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망(62)의 상부테두리에 외부로 돌출된 플랜지를 형성하고, 저장용기의 천정에 상기 돌출플랜지가 걸쳐지는 걸림턱(47)을 형성하여 여과망(62)을 설치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상기 분리수단에 의하여 분리된 비지와 두유를 보관하고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용기(40)와 하부용기(50)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용기(40)는 다시 좌측 상부용기(40a)와 우측 상부용기(40b)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용기(40)에는 전술한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비지를 배출시키는 비지배출관(63) 및 마개(63a)가 구성되어 있고, 또한 분리된 두유를 배출시키는 두유배출관(42) 및 개폐밸브(42a)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가장자리 부분에 간수를 투입하는 간수주입공을 개폐하는 간수마개(4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회전축(74)에 나사 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교반기(4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용기(40)의 하부면에는 두유를 하부용기(50)로 이동시기 위한 배출공(44)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공(44)을 힌지(45a)를 중심으로 이동하여 배출공(44)을 회전시키는 개폐레버(45)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용기(40)의 좌측 상부용기(40a)와 우측 상부용기(40b)는 접촉면에서 누설이 없도록 서로 형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나사(43)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판 상면에는 전술한 열판(96)이 쉽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조립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용기(50)는 구동모터(71)가 포함된 구동박스(70)를 설치하는 구동박스공간, 상기 구동박스공간 주위에 형성된 두부제조공간(55) 및 상기 두부제조공간(55) 하부에 형성된 물저장공간(56)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제조공간(55)의 밑면에는 순두부의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배출공(55a)이 형성되어 있고 물저장공간(56)의 하부에는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공 및 마개(56a)가 구성되어 있다.
저장용기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스텐리스 스틸로 할 수 있다. 저장용기가 불투명인 경우에는 유입되는 두유의 높이를 알 수 있도록 눈금창(46)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회전축(74)과 상부용기40)의 하부판 사이의 틈새와, 중앙회전축(74)과 여과망(62)의 하부판(62b)사이의 틈새에는 각각 패킹(82)(83)을 설치하여 구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맷돌은 전체적으로 가마솥 형상으로 하여 곡물을 분쇄하며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맷돌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하부용기(50) 중앙에 구동박스공간에 구동박스(70) 및 중앙회전축(74)을 설치한다. 그리고 중앙회전축(74)에 열판(96)을 끼워놓고 착유기(61)와 여과망(62)을 설치한다. 평상시에 이 배열상태를 유지한다. 상부용기(40)의 좌측 상부용기(40a)와 우측 상부용기(40b)를 좌우에서 서로 형합시킨 후 나사(43)로 체결한다.
곡물(콩)을 물에 넣어 부풀게 한 후, 곡물과 소량의 물을 함께 조금씩 윗돌(10)의 곡물주입구(11)에 집어넣는다. 한편으론, 손잡이(21)를 돌려 중간돌(20)을 회전시킨다. 이 때 윗돌(10)은 중심축(40)에 의하여 아랫돌(3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하지 않는다. 상부용기(40) 위에 아랫돌(30), 중간돌(20) 및 윗돌(10)을 순차적으로 배치시키는데, 스러스트 베어링(80)(81)(77a)들이 해당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윗돌(10)의 체결공간(13)에서 너트(78)를 체결한다.
가열수단, 즉 히터봉(90), 열판(96) 및 열선(97)에 전기를 공급하여 돌 및 내부공간을 예열한다. 이 때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하여 해당 부분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있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수단, 즉 구동모터(71)를 작동시키거나 수동 손잡이(21)를 돌려 중간돌(20)를 회전시킨다.
구동모터(71)를 작동시키면 그 회전력은 구동기어(72) 및 피동기어(73)에 의하여 중앙회전축(74)을 회전시킨다. 이때 윗돌(10) 및 아랫돌(30)과 중앙회전축(74) 사이에는 틈새가 있고 또한 중앙회전축(74)의 상면평판(74b)의 상하로 스러스트 베어링(77a)(77b)이 위치해 있고 중앙회전축(74)의 하부에서 스러스트 베어링(76)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중앙회전축(74)의 회전력을 윗돌(10) 및 아랫돌(30)에 전달되지 않고, 중앙회전축(740)의 각이진 상부부분(74a)과 중간돌(20)과의 사이에서는 맞물려 있기 때문에 중간돌(20)만 회전시킨다.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81)과 볼받침(25)에 의하여,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80)과 볼받침(32)에 의하여 지지하고 있으므로 적층된 돌들 사이에는 직접적인 충격이 발생하지 않으며 돌가루도 발생하지 않는다.
곡물주입구(11)의 곡물은 유입로(11a)를 따라 윗돌(10)과 중간돌(20)의 틈새의 중앙부분에서 가장자리부분으로 흐르면서 조금씩 분쇄된다.
1차 분쇄된 곡물이 중간돌(20)의 가장자리의 외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 아랫돌(30)의 가장자리부분의 환형고랑(23)과 이동로(24)를 통하여 중간돌(20)과 아랫돌(30)의 틈새로 흘러 들어간다. 이때 윗돌(10)의 저면에도 환형고랑(1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쇄곡물은 외부로 흐르지 않으며, 유도주걱(15)이 환형고랑(23)의 분쇄곡물을 경사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분쇄곡물이 이동로(24)로 용이하게 들어간다.
1차 분쇄된 곡물은 중간돌(20)과 아랫돌(30)의 틈새의 가장자리부분에서 중앙부분으로 흐르면서 2차 분쇄되고 중앙부분의 환형고랑(33)에 모이고, 이어서 배출로(34)를 통하여 아래로 흘러간다. 이때 유도주걱(26)이 환형고랑(33)의 분쇄곡물을 경사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배출로(34)로 용이하게 들어간다. 이렇게 분쇄곡물이 이동하는 동안에 히터봉(90)과 열선(97)에 의하여 가열된 돌에 의하여 분쇄곡물이 가열된다.
배출로(34)를 빠져나온 분쇄곡물은 분리수단(60), 즉 중앙회전축(74)과 함께 회전하는 착유기(61)와 그 주위의 여과망(62)에 의하여 두유는 망(62a)을 빠져나와 상부용기(40)에 모이고 망(62a)을 빠져나오지 못한 비지는 비지배출관(62)을 통하여 조금씩 토출된다. 배출되는 비지는 별도의 그릇에 담아 콩비지로 먹는다.
상부용기(40) 내부에 모아지는 두유는 중앙회전축(74)과 함께 회전하는 교반기(48)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열판(96)에 의하여 계속 먹기 좋도록 가온된다. 상부용기(40) 일측에 구성된 개폐밸브(42a)를 개방하여 토출되는 두유를 컵에 받아먹는다.
순두부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입공을 닫고 있는 간수마개(41)를 개방하여 그 주입공을 통하여 적절량의 간수를 주입한 후 교반기(48)로 교반하면 순두부가 만들어지는데 역시 개폐밸브(42a)를 개방하여 그릇에 담아 먹는다.
두부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용기(40)의 저면에 구성된 배출공(44)을 막고 있는 개폐레버(45)를 힌지(45a)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배출공(44)이 개방되어 순두부는 하부의 하부용기(50)의 두부제조공간(55)으로 들어가고 그 하부면에 구성된 미세한 수분배출공(55a)을 통하여 물기가 아래의 물저장공간(56)으로 빠져 두부가 제조된다. 내부의 두부는 윗돌(10)의 너트(78)를 풀고 전술한 설치과정의 역순으로 해체하여 두부를 하부용기(50)로부터 빼 넣어 조리하여 먹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맷돌은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 그리고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서 각각 곡물을 2차례에 걸쳐 분쇄하여 곡물의 맛이 보다 고소하게 되며, 가열하여 익혀서 두유, 콩비지를 분리하여 즉석에서 먹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순두부 또는 두부로 만들어 먹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맷돌은 유도주걱(15)(26)에 의하여 환형고랑(23)(33)의 분쇄곡물을 이동로(24) 또는 배출로(34)로 밀어 넣기 때문에 분쇄곡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즉석에서 두유와 콩비지, 순두부와 두부가 조리되어 먹을 수 있으므로 조리되는 음식물의 신선도가 향상되어 음식물의 맛을 좋아 지고 또한 별도의 조리 기구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것에 비하여 편리하고 흥미를 유발하여 즐거움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윗돌 11: 곡물주입구
11a : 유입로 12: 보호커버
13: 체결공간 14: 환형고랑
15: 유도주걱
20: 중간돌 21: 손잡이
22: 보호커버 23: 환형고랑
24: 이동로 25: 볼받침
26: 유도주걱
30: 아랫돌 31: 보호커버
32: 볼받침 33: 환형고랑
34: 배출로
40: 상부용기 40a: 좌측상부용기
40b: 우측상부용기 41: 간수마개
42: 두유배출관 42a: 개폐밸브
43: 나사 44: 배출공
45: 배출레버 45a: 힌지
46: 눈금창 47: 걸림턱
48: 교반기
50: 하부용기 55: 두부제조공간
55a: 수분배출공 56: 물저장공간
60: 분리수단 61: 착유기
62: 여과망 62a: 망
62b: 하부판 63: 비지배출관
63a: 마개
70: 구동박스 71: 구동모터
72: 구동기어 73: 피동기어
74: 중앙회전축 74a: 상부부분
74b: 상면평판 75: 제어부
75a: 전선
76, 77a, 77b: 스러스트 베어링 78: 너트
80, 81: 스러스트 베어링 82, 83: 패킹
90: 히터봉 90a: 나사부
91: 받침 92: 부싱
96: 열판 97: 열선

Claims (6)

  1. 적층된 어느 한 돌을 회전시켜 돌과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는 맷돌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돌들의 중앙에 중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중앙회전축(7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하는 어느 한 돌은, 하부의 구동모터(71)에 의하여 구동되는 중앙회전축(74)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적층된 돌과 돌 사이에서 분쇄된 곡물을 임시로 고이게 하기 위해 하부돌 상면에 형성된 환형고랑과. 그 환형고랑에 고인 분쇄곡물을 하부로 흘러내리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통로를 포함하며;
    상단이 상부돌에 고정되고 하부가 하부돌의 상기 환형고랑에 삽입되어 하부돌과 상대운동을 함으로써 환형고랑에 있는 분쇄곡물을 이동통로로 밀어 넣는 유도주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의 환형고랑에 대응하는 상부돌의 부분에 환형고랑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들은;
    중앙부분에 분쇄될 곡물이 투입되는 곡물주입구(11)와 주입된 곡물을 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유입로(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돌에 해당하는 윗돌(10);
    상기 윗돌(10)의 아래에 위치하여 윗돌(10)의 유입로(11a)를 통하여 상면 중앙부분에 유입되는 곡물을 가장자리로 흐르게 하며 윗돌(10)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1차적으로 분쇄하고 상면 가장자리부분에 환형고랑(23) 및 하향으로 뻗은 이동통로에 해당하는 이동로(24)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하부돌 또는 상부돌에 해당하는 중간돌(20);
    상기 중간돌(20)의 아래에 위치하여 중간돌(20)의 가장자리로부터 유입되는 분쇄곡물을 중앙부분으로 흐르게 하며 중간돌(20)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2차적으로 분쇄하고 상면 중앙부분에 환형고랑(33) 및 하향으로 뻗은 이동통로에 해당하는 배출로(34)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돌에 해당하고, 아랫돌(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쇄된 곡물에서 두유와 비지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분리된 두유를 저장하고 후처리하는 저장용기와, 분쇄되는 곡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유입되는 분쇄곡물 중에서 액체 상태인 두유를 통과시키고 비지는 거르는 망(62a)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걸러진 비지는 하부판(62b)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여과망(62)과, 상기 여과망(62) 내부에서 중앙회전축(74)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측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착유기(61)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는 상부용기(40)와 하부용기(50)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용기(40)는 다시 좌측 상부용기(40a)와 우측 상부용기(40b)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용기(40)에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비지를 배출시키는 비지배출관(63) 및 마개(63a)가 구성되어 있고, 또한 분리된 두유를 배출시키는 두유배출관(42) 및 개폐밸브(42a)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50)는 구동모터(71)가 포함된 구동박스(70)를 설치하는 구동박스공간, 상기 구동박스공간 주위에 형성된 두부제조공간(55) 및 상기 두부제조공간(55) 하부에 형성된 물저장공간(56)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제조공간(55)의 밑면에는 순두부의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배출공(55a)이 형성되어 있고 물저장공간(56)의 하부에는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공 및 마개(56a)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중앙회전축(74) 내부에 설치된 히터봉(90), 저장용기의 두유가 저장되는 상부용기(40)의 하부에 설치된 열판(96), 그리고 곡물을 분쇄하는 아랫돌(30)에 매입된 열선(97)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
KR1020160061106A 2016-05-18 2016-05-18 맷돌 KR10184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106A KR101843175B1 (ko) 2016-05-18 2016-05-18 맷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106A KR101843175B1 (ko) 2016-05-18 2016-05-18 맷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247A KR20170130247A (ko) 2017-11-28
KR101843175B1 true KR101843175B1 (ko) 2018-03-29

Family

ID=6081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106A KR101843175B1 (ko) 2016-05-18 2016-05-18 맷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4380B (zh) * 2018-08-20 2020-05-05 江苏新业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使用的涡旋式小型粉磨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255Y1 (ko) * 1995-03-27 2000-11-01 안정오 자동두부제조기
KR101608951B1 (ko) 2013-04-25 2016-04-04 문인술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255Y1 (ko) * 1995-03-27 2000-11-01 안정오 자동두부제조기
KR101608951B1 (ko) 2013-04-25 2016-04-04 문인술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247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056B1 (ko) 돌가루발생방지수단이 구비된 맷돌
KR101202775B1 (ko)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TWI542308B (zh) 包含渣滓控制單元的榨汁機
KR101391972B1 (ko) 다용도 믹서기
KR101130547B1 (ko) 커피 로스터 및 그 운용방법
US200602635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dehydrated powdered food
JP4065456B2 (ja) 破砕調理器
CN201767796U (zh) 一种多功能炒炉
KR101760796B1 (ko) 전통방식의 죽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통죽 제조방법
KR101843174B1 (ko) 즉석조리용 맷돌
KR101843175B1 (ko) 맷돌
US5761993A (en) Juice-extractor also serving as a grinder
JP6553724B2 (ja) 三段石臼
KR20190127206A (ko) 맷돌
KR102144546B1 (ko) 즉석조리용 맷돌
KR20170128021A (ko) 몽돌을 이용한 맷돌
KR100622781B1 (ko)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제조기구
KR101226036B1 (ko) 주스 착즙기
KR101844057B1 (ko) 3단 맷돌
CN107455779A (zh) 一种煳辣椒翻炒装置
KR102144530B1 (ko)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KR20060108043A (ko) 멀티 푸드메이커
TWI622372B (zh) 渣汁分離裝置及其攪拌器與刀具模組
JPH0728827B2 (ja) コーヒーメーカ
KR101704800B1 (ko) 물공급량조절수단이 구비된 맷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