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255Y1 - 자동두부제조기 - Google Patents

자동두부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255Y1
KR200199255Y1 KR2019950005626U KR19950005626U KR200199255Y1 KR 200199255 Y1 KR200199255 Y1 KR 200199255Y1 KR 2019950005626 U KR2019950005626 U KR 2019950005626U KR 19950005626 U KR19950005626 U KR 19950005626U KR 200199255 Y1 KR200199255 Y1 KR 200199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ulley
tofu
moto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5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082U (ko
Inventor
안정오
Original Assignee
안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오 filed Critical 안정오
Priority to KR2019950005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255Y1/ko
Publication of KR960030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두부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콩 분쇄와, 비지 거르기와, 간수공급 및 가열과, 두부성형의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동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자동두부제조기를 얻기 위한 것인 바,
불린 콩을 넣는 투입구가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하부의 맷돌과, 상기 상부맷돌이 축을 고정하고 회전하도록 고정된 하부 맷돌에 내설하고; 상기 축의 일단에는 장착된 풀리와 크랭크암과; 상기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중간기어와; 외부에 콩즙의 배출이 쉽도록 다수의 구멍과 비지를 배출하도록 비지배출구로 배출하도록 크랭크암에 연결된 피스톤과 로드와; 상기 축 끝단에 장착된 교반봉과 상기 가열부에 가열시 공급되는 간수통과, 비지를 거르고 나온 콩즙을 교반 및 가열하도록 히터가 내장된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두부를 성형하도록 두부케이스와, 압축피스톤과, 상기 압축피스톤이 전/후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축에 나선홈이 형성된 나선홈축봉과, 그 축봉이 왕복운동하도록 중앙에 자동렌치구가 형성되고 외측부는 홈이 형성된 풀리와; 상기 축이 회전하도록 중간기어와 두부성형부의 풀리가 회전하도록 모터기어와 풀리가 연결된 모터축을 포함한 모터부와; 배수통으로 구성함으로써, 손쉽게 두부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뛰어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두부제조기
본 고안은 자동두부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콩 분쇄와, 비지 거르기와, 간수공급 및 가열과, 두부성형의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동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자동두부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콩을 이용한 음식이 널리 애용되면서 특히 두부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집에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두부제조기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종래의 두부제조기는 두부를 불리고 불린 두부를 분쇄하여 분쇄된 두부를 가열하여 분쇄한 콩을 익히고 다시 틀에 부어 두부를 냉각하고 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각각의 분리된 기계에 의해 분업화함으로서, 생산공정이 복잡하고 많은 인력이 필요하므로 소규모업체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인력난으로 매우 힘든 실정에 있다.
또 다른 문제는 두부를 제조하기에는 많은 불편과 시간이 오래 걸려 제조하기가 힘들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력을 부가 및 일련의 공정을 기계화하여 두부를 얻을 수 있는 두부제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두부제조기는 상부에 콩을 분쇄하도록 분쇄기를 두고 그 하단에는 콩비지를 거르도록 하고 콩비지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간수와 비지를 뺀 콩물을 교반시켜 가열하여 일정한 크기의 두부를 성형하도록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자동두부제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자동두부제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투입구 20 : 케이스
30 : 상부맷돌 40 : 하부맷돌
50 : 축 60, 230, 250 : 풀리
70 : 크랭크아암 80 : 밸트
90 : 중간기어 100 : 구멍
110 : 비지배출구 170 : 가열부
210 : 축봉 270 : 모터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자동두부제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자동두부제조기를 도시한 부분단면이다.
(미 설명한 손잡이(290)이는 운반시에 사용됨.)
먼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본 고안의 자동두부제조기는 불린 콩을 넣는 투입구(10)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0)와; 상/하부의 맷돌(30,40)과, 상기 상부맷돌이 축(50)을 고정하고 회전하도록 고정된 하부맷돌(40)에 내설하고; 상기 축의 일단에는 장착된 풀리(60)와 크랭크아암(70)과; 상기 풀리(60)와 벨트(80)로 연결되는 중간기어(90)와; 외부에 콩즙의 배출이 쉽도록 다수의 구멍(100)과 비지를 배출하도록 비지배출구(110)로 배출하도록 크랭크아암에 연결된 압축 피스톤(120)과 로드(130)와; 상기 축 끝단에 장착된 교반봉(140)과 상기 가열부에 가열시 공급되는 외부에 장착된 간수통(150)과, 비지를 거르고 나온 콩즙을 교반 및 가열하도록 전열선(160)이 내장된 가열부(170)와;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두부를 성형하도록 하부에 형성된 두부케이스(190)와, 압축피스톤(200)과, 상기 압축피스톤이 전/후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축에 나선홈이 형성된 나선홈 축봉(210)과, 그 축봉이 왕복운동하도록 중앙에 자동렌치구(220)가 형성되고 외측부는 홈이 형성된 풀리(230)와; 상기 축이 회전하도록 중간기어(90)와 두부성형부의 풀리가 회전하도록 모터기어(240)와 풀리(250)가 연결된 모터축(260)을 포함한 모터(270)와; 배수통(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 상부케이스(30)는 상부에 콩을 투입할 있도록 투입구(10)가 형성되어있고, 그 하부에는 상/하부맷돌(30,40)이 구성되어 하부맷돌은 고정되고, 상부맷돌이 회전하도록 축(50)이 고정되어 하부맷돌 중앙을 관통하여 장설된다.
한편, 상부맷돌(30)의 회전과 비지거르기 압축피스톤(120)이 왕복운동하도록 풀리(60)와 크랭크아암(70)이 장착된다. 상기 풀리(60)가 회전되도록 밸트(80)로 중간기어(260)와 연결되도록 장착된다. 또한 비지 압축피스톤(120)이 왕복운동하도록 로드(130)의 끝단에 크랭크아암에 연결하여 회전운동을 왕복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분쇄된 콩을 압축하여 비지를 걸러내도록 외측부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비지배출구(110)를 형성하여 비지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다음, 상기 축 끝단에 장착된 교반봉(140)과 상기 가열부(170)에 가열시 공급되는 간수통(150)과, 비지를 거르고 나온 콩즙을 교반 및 가열하도록 히터가 내장된 가열부는 콩즙을 가열하도록 전열선(160)을 내설하여 가열하면서 콩즙을 교반시키고 이때, 간수를 공급하여 두부를 생성한다.
상기 가열부(170)에서 응결된 두부를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두부성형틀(190)과 압축 피스톤(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 피스톤이 전/후진되도록 로드축에 나선홈(210-1)이 형성된 나선홈 축봉(210)과, 그 축봉이 왕복운동하도록 중앙에 자동렌치구(220)가 형성되고 외측부는 홈이 형성된 풀리(230)로 구성하여 풀리가 회전하면 나선홈 축봉이 자동렌치구를 통과하면서 전/후진하도록 작동된다.(참고 : 공구 중 손잡이를 밀면 드라이버가 회전되면서 손잡이 안으로 들어가는 자동렌치공구의 원리와 비슷함)
이때, 응결된 두부를 두부성형틀에 넣고 압축피스튼으로 가압하여 일정한 크기의 두부를 성형하여 완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두부제조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원에 연결하고 전원 스위치(300)를 넣으면 모터축(260)이 회전하고 그 회전축에는 중간기어(90)와 연결되는 기어와 축풀리가 장착되어 중간기어를 회전시키고 밸트(80)에 의해 축이 회전되어 상부맷돌이 회전되고 축에 형성된 크랭크아암이 회전되어 비지 압축 피스톤(120)이 왕복운동하도록 작동하여 콩비지를 거르고 걸러진 비지는 비지배출구(110)로 배출되고 콩즙은 가열부로 모아져 열을 가하고 축의 끝단에 장착된 교반봉(140)에 의해 교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일정한 온도에 이르면 간수가 투입되도록 간수통(150)이 외부에 장착되며 간수와 콩즙이 교반되어 응결되며 두부성형틀(190)에 공급되어 압축피스톤이 압축하여 완성된다. 이때 배출되는 물을 배수통(280)에 모아진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맷돌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콩비지와 콩즙을 분리하고, 간수와 콩즙을 교반하여 가열한 다음 두부성형틀에 압축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공정을 기계화하여 인건비의 절약 및 제조시간 단축으로 제조비용이 적게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일련의 과정을 집약한 자동으로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두부제조기계 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불린 콩을 넣는 투입구(10)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0)와
    상/하부의 맷돌(30, 40)과 상기 상부맷돌이 축(50)을 고정하고 회전하도록 고정된 하부맷돌(40)에 내설하고; 상기 축의 일단에는 장착된 풀리(60)와 크랭크아암(70)과; 상기 풀리(60)와 벨트(80)로 연결되는 중간기어(90)와 외부에 콩즙의 배출이 쉽도록 다수의 구멍(100)과 비지를 배출하도록 비지배출구(110)로 배출하도록 크랭크아암에 연결된 피스톤(120)과 로드(130)와; 상기 축 끝단에 장착된 교반봉(140)과 상기 가열부에 가열시 공급되는 외부에 장착된 간수통(150)과, 비지를 거르고 나온 콩즙을 교반 및 가열하도록 전열선(160)이 내장된 가열부(170)와;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두부를 성형하도록 하부에 형성된 두부 성형틀(190)와, 압축피스톤(200)과, 상기 압축피스톤이 전/후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축에 나선홈이 형성된 나선홈 축봉(210)과, 그 축봉이 왕복운동하도록 중앙에 자동렌치구(220)가 형성되고 외측부는 홈이 형성된 풀리(230)와; 상기 축이 회전하도록 중간기어(90)와 두부성형부의 풀리가 회전하도록 모터기어(240)와 풀리(250)가 연결된 모터축(260)을 포함한 모터(270)와; 배수통(2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두부제조기.
KR2019950005626U 1995-03-27 1995-03-27 자동두부제조기 KR200199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626U KR200199255Y1 (ko) 1995-03-27 1995-03-27 자동두부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626U KR200199255Y1 (ko) 1995-03-27 1995-03-27 자동두부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082U KR960030082U (ko) 1996-10-22
KR200199255Y1 true KR200199255Y1 (ko) 2000-11-01

Family

ID=1941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5626U KR200199255Y1 (ko) 1995-03-27 1995-03-27 자동두부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25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942B1 (ko) * 2013-05-01 2014-12-23 문인술 물레방아와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제조장치
WO2016163760A1 (ko) * 2015-04-06 2016-10-13 문인술 3단 맷돌
KR101843174B1 (ko) * 2016-05-02 2018-03-29 문인술 즉석조리용 맷돌
KR101843175B1 (ko) * 2016-05-18 2018-03-29 문인술 맷돌
KR101844056B1 (ko) 2016-05-20 2018-03-30 문인술 돌가루발생방지수단이 구비된 맷돌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942B1 (ko) * 2013-05-01 2014-12-23 문인술 물레방아와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제조장치
WO2016163760A1 (ko) * 2015-04-06 2016-10-13 문인술 3단 맷돌
KR20160119656A (ko) * 2015-04-06 2016-10-14 문인술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
KR101692998B1 (ko) * 2015-04-06 2017-01-05 문인술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
US10471434B2 (en) 2015-04-06 2019-11-12 In-Sul MUN Three-stage millstones
KR101843174B1 (ko) * 2016-05-02 2018-03-29 문인술 즉석조리용 맷돌
KR101843175B1 (ko) * 2016-05-18 2018-03-29 문인술 맷돌
KR101844056B1 (ko) 2016-05-20 2018-03-30 문인술 돌가루발생방지수단이 구비된 맷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082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0767Y1 (ko) 자동 두부제조장치
TW389681B (en) Compact-type soybean milk and bean curd production device
KR200199255Y1 (ko) 자동두부제조기
KR100758561B1 (ko) 두부 제조 장치
CN210171594U (zh) 一种糕点馅料粉碎机
KR101165525B1 (ko) 두부 제조기
CN208436927U (zh) 豆制品加工用研磨装置
KR200199252Y1 (ko) 두부제조기
CN205305874U (zh) 石磨豆浆、豆腐一体机
CN217487557U (zh) 一种全自动智能豆腐机
KR200337424Y1 (ko) 자동두부제조기
KR20110009393A (ko)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KR101606869B1 (ko) 걸름망 케이스가 설치된 기능성 두부제조기
CN209789653U (zh) 一种便于野外使用的豆浆机装置
KR20040041290A (ko) 가정식 자동 즉석 두부제조기
KR200413917Y1 (ko) 두유제조장치
KR200464108Y1 (ko) 두부제조기용 정량투입장치
KR200304488Y1 (ko) 가정식 자동 즉석 두부제조기
KR200319780Y1 (ko) 두부 제조기
KR100317850B1 (ko) 두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16856943U (zh) 一种粉碎冲热一体式豆花机
KR20040090162A (ko) 두부 제조기
CN211746612U (zh) 一种一体式无渣豆腐机
CN209883894U (zh) 新型磨头装置及具有该新型磨头的谷物制浆机
CN212120300U (zh) 一种用于饲料加工设备的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