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656A -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 - Google Patents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656A
KR20160119656A KR1020150048666A KR20150048666A KR20160119656A KR 20160119656 A KR20160119656 A KR 20160119656A KR 1020150048666 A KR1020150048666 A KR 1020150048666A KR 20150048666 A KR20150048666 A KR 20150048666A KR 20160119656 A KR20160119656 A KR 20160119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grains
stones
grai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998B1 (ko
Inventor
문인술
Original Assignee
문인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술 filed Critical 문인술
Priority to KR102015004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998B1/ko
Priority to JP2017531778A priority patent/JP6553724B2/ja
Priority to PCT/KR2016/003614 priority patent/WO2016163760A1/ko
Priority to US15/534,015 priority patent/US10471434B2/en
Priority to CN201680004122.5A priority patent/CN107529923A/zh
Publication of KR2016011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7/184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02C7/13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for grain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단으로 구성하여 윗돌과 중간돌 사이와, 그리고 중간돌과 아랫돌 사이에서 2차례 곡물을 갈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을 보다 미세하게 갈고 그에 따라 음식의 맛을 한층 더 맛있게 하고, 또한 동력장치를 내장하여 동력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며 동시에 윗돌과 중간돌 사이, 중간돌과 아랫돌의 사이에 강한 압착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돌가루의 발생을 방지하는 3단 맷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부분에 분쇄될 곡물이 투입되는 곡물주입구(11)와 주입된 곡물을 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유입로(12)가 형성되어 있는 윗돌(10); 상기 윗돌(10)의 아래에 위치하여 윗돌(10)의 유입로(12)를 통하여 상면 중앙부분에 유입되는 곡물을 가장자리로 흐르게 하며 윗돌(10)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1차적으로 분쇄하는 중간돌(20); 상기 중간돌(20)의 아래에 위치하여 중간돌(20)의 가장자리에서 유입되는 분쇄곡물을 중앙부분으로 흐르게 하며 중간돌(20)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2차적으로 분쇄하는 것으로서 분쇄된 곡물을 배출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아랫돌(30); 상기 중간돌(20)은 회전가능하게 하고 윗돌(10)과 아랫돌(30)은 회전불가능하게 하는 중간돌 회전수단; 그리고 상기 중간돌(20)을 회전하도록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동력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Third stage millstone which is driven by power unit}
본 발명은 전통적으로 곡물을 가는데 사용되는 맷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윗돌, 중간돌 및 아랫돌로 3단으로 구성하여 윗돌과 중간돌 사이와, 그리고 중간돌과 아랫돌 사이에서 2차례 곡물을 갈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을 보다 미세하게 갈고 그에 따라 음식의 맛을 한층 더 맛있게 하고, 또한 동력장치를 내장하여 동력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며 동시에 윗돌과 중간돌 사이, 중간돌과 아랫돌의 사이에 강한 압착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상하의 맷돌들이 직접 부딪치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 돌가루의 발생을 방지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게 하는 3단 맷돌에 관한 것이다.
맷돌은 두개의 원통형상의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해서 콩, 녹두 등의 곡물을 분쇄하는 것으로서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가정용 분말기이다. 전통적인 맷돌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윗돌(100), 아랫돌(110), 그리고 윗돌(100)을 회전시키는 손잡이(101)로 이루어져 있다. 윗돌(100)에는 분쇄할 곡물을 주입시키기 위한 주입구(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구(102)는 윗돌(100)을 상하로 관통하고 있다. 주입구(102)의 주위는 오목하게 형성하여 곡물들이 주입구 쪽으로 잘 흘러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윗돌(100)의 측방에는 손잡이(101)가 구성되어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손잡이(101)가 볼트(103)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대응하는 윗돌(100) 부분에는 암나사부(미도시)를 미리 매입하여 놓는다. 물론 손잡이(101)의 설치구조는 다른 형태로 할 수 있다.
윗돌(100)과 아랫돌(110)의 접촉면은 우산과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 주변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아랫돌(110)의 상부면 중심에는 상기 윗돌(10)의 저면 중심에 형성된 삽입공(미도시)에 삽입되는 중쇠(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윗돌(100)과 아랫돌(110)의 접촉면은 거칠게 하는 것이 곡물들을 잘 갈 수 있기 때문에 현무암과 같이 천연적으로 기공이 많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무암 이외에 화강암, 맥반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맷돌은 물에 불린 곡물을 물과 함께 조금씩 윗돌(100)의 주입구(102)로 집어넣으면서 손잡이(101)로 윗돌(100)을 돌리는 작업을 계속한다. 그 경우에 부풀러진 곡물은 윗돌(100)과 아랫돌(110) 사이의 접촉면에서 압착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부셔지면서 측방으로 내려오고, 곡물은 외곽으로 흘러가면서 계속하여 분쇄작용이 이루어진다. 갈아진 곡물은 윗돌(100)과 아랫돌(11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아래의 저장용기에 담겨진다.
상기와 같이 갈아진 곡물을 이용한 음식물로는 콩비지, 순두부, 녹두전 등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맷돌은 윗돌(100)과 아랫돌(110)의 접촉면에서만 압착력과 마찰력에 의하여 곡물들을 분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곡물들이 미세하게 분쇄되지 못하고 그만큼 맛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맷돌은 작업자가 손으로 윗돌(100)을 돌리면서 분쇄해야 하기 때문에 어깨에 힘이 들어가고 편리성을 추구하는 현대인은 사용하기를 꺼려하는 문제가 있으며, 윗돌(100)과 아랫돌(110)이 직접 강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그 접촉면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지고 충격부분이 마멸되어 미세한 돌가루가 생성되어 곡물 분쇄물에 함유되므로 인체에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맷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곡물을 2차례 분쇄하도록 하여 보다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물의 맛을 보다 고소하게 함과 동시에 동력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3단 맷돌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의 맷돌사이에서 강한 충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맷돌의 마멸에 의한 돌가루의 생성을 방지하는 3단 맷돌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돌과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는 맷돌에 있어서, 중앙부분에 분쇄될 곡물이 투입되는 곡물주입구와 주입된 곡물을 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유입로가 형성되어 있는 윗돌; 상기 윗돌의 아래에 위치하여 윗돌의 유입로를 통하여 상면 중앙부분에 유입되는 곡물을 가장자리로 흐르게 하며 윗돌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1차적으로 분쇄하는 중간돌; 상기 중간돌의 아래에 위치하여 중간돌의 가장자리에서 유입되는 분쇄곡물을 중앙부분으로 흐르게 하며 중간돌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2차적으로 분쇄하는 것으로서 분쇄된 곡물을 배출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아랫돌; 상기 중간돌은 회전가능하게 하고 윗돌과 아랫돌은 회전불가능하게 하는 중간돌 회전수단; 그리고 상기 중간돌을 회전하도록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동력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또한 상기 중간돌회전수단은 상기 중간돌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관통공과, 상기 수직관통공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단이 윗돌에 결합되어 있고 하단이 아랫돌에 결합되어 있는 중심축과, 상기 윗돌과 중간돌사이와, 중간돌과 아랫돌사이의 중심축 주위에 각각 설치된 스러스트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또한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중간돌의 저면에 형성된 환형홈에 설치된 링기어와, 상기 아랫돌 내부에 모터축이 아랫돌을 관통하여 위로 뻗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와, 상기 모터축의 선단에 중간돌의 링기어와 맞물리도록 결합된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또한 상기 윗돌과 중간돌 사이의 틈새는 분쇄되는 곡물이 중앙부분에서 가장자리로 흐를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돌과 아랫돌 사이의 틈새는 곡물이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분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또한 상기 아랫돌의 배출통로는 상면 중앙부분에 형성된 환형의 고랑 및 상기 고랑에서 하향으로 뻗은 다수의 배출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배출로의 하부에 외부로 연통된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또한 상기 중간돌의 상면 가장자리에 환형의 고랑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랑에서 저면까지 뻗은 이동로가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랫돌의 상면 지름은 중간돌의 저면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돌보다 외부로 뻗은 아랫돌의 상면 가장자리 상면은 곡물이 내측으로 흐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또한 상기 아랫돌의 상면 부근에 히터선이 매입되어 있으며; 상기 아랫돌의 매입된 히터선에 의하여 가열된 열이 외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아랫돌의 가장자리 둘레에 단열재가 매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또한 상기 아랫돌의 중공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다수의 배출로로부터 배출되는 분쇄곡물을 받아 국물과 건더기를 분리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단 맷돌은 곡물을 2차례 분쇄하도록 하여 보다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곡물의 맛을 보다 고소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동력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또한 상하의 맷돌사이에서 강한 압착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작동 시에 맷돌사이에서 강한 충격이 일어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맷돌의 마멸에 의하여 돌가루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 맷돌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맷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맷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맷돌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맷돌에 사용되는 수납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통상의 맷돌과 마찬가지로 돌과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는 맷돌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돌(10), 중간돌(20), 아랫돌(30), 그리고 중간돌 회전수단 및 동력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윗돌(10)은 중앙부분에 분쇄될 곡물이 투입되는 곡물주입구(11)와 주입된 곡물을 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유입로(12)가 형성되어 있다. 곡물주입구(11)는 정중앙에 형성하고 유입로(12)의 하단은 중심축(40)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에 외측으로 곡물이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중간돌(20)은 상기 윗돌(10)의 아래에 위치하여 윗돌(10)의 유입로(12)를 통하여 상면 중앙부분에 유입되는 곡물을 가장자리로 흐르게 하며 윗돌(10)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1차적으로 분쇄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수직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아랫돌(30)은 상기 중간돌(20)의 아래에 위치하여 중간돌(20)의 가장자리에서 유입되는 분쇄곡물을 중앙부분으로 흐르게 하며 중간돌(20)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2차적으로 분쇄하는 것으로서 분쇄된 곡물을 배출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랫돌(30)의 배출통로는 상면 중앙부분에 형성된 환형의 고랑(31) 및 상기 고랑(31)에서 하향으로 뻗은 다수의 배출로(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배출로(32)의 하부에는 외부로 연통된 중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의 틈새(c1)는 분쇄되는 곡물이 중앙부분에서 가장자리로 흐를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의 틈새(c2)는 곡물이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분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틈새(c1)(c2)는 상하의 돌들이 서로 충격을 받지 않을 정도만 하면 되므로 가능한 미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돌(20)의 상면 가장자리에 환형의 고랑(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랑(23)에서 저면까지 뻗은 이동로(24)가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랫돌(30)의 상면 지름은 중간돌(20)의 저면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돌(20)보다 외부로 뻗은 아랫돌(30)의 상면 가장자리 상면은 곡물이 내측으로 흐르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돌 회전수단은 중간돌(20)은 회전가능하게 하고 윗돌(10)과 아랫돌(30)은 회전불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중간돌(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관통공(22)과, 상기 수직관통공(22)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단(41)이 윗돌(10)에 결합되어 있고 하단(42)이 아랫돌(30)에 결합되어 있는 중심축(40)과, 상기 윗돌(10)과 중간돌(20)사이와, 중간돌(20)과 아랫돌(30)사이의 중심축(40) 주위에 각각 설치된 스러스트(thrust)베어링(43)(4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중심축(40)의 상단(41)과 하단(42)은 단면이 사각형과 같이 각이 있게 하고, 윗돌(10)의 저면에 형성된 축고정홈(13)과 아랫돌(30)의 상면에 형성된 축고정홈(34)도 단면이 사각형과 각이 있게 하여 윗돌(10)과 중심축(40), 아랫돌(30)과 중심축(40) 사이에 상대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중간돌(20)에 삽입되는 부분은 단면을 원으로 하고 중간돌(20)의 수직관통공(22) 사이에 여유를 두어 중간돌(20)은 회전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스러스트(thrust)베어링(43)(44)으로 인하여 중간돌(20)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고, 또한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와,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서 마멸에 의한 돌가루의 생성을 방지된다.
상기 동력장치는 중간돌(20)을 회전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중간돌(20)의 저면에 형성된 환형홈에 설치된 링기어(73)와, 상기 아랫돌(30) 내부에 모터축(71)이 아랫돌(30)을 관통하여 위로 뻗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70)와, 상기 모터축(71)의 선단에 중간돌(20)의 링기어(73)와 맞물리도록 결합된 피니언기어(72)를 포함한다. 링기어(73)는 볼트에 의하여 중간돌(20)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하여 중간돌(20)의 해당부분에는 미리 너트를 매입시켜놓는다.
상기 중간돌(20)과 아랫돌(30)의 틈새를 흐르는 분쇄물이 분쇄 및 이동과정에서 익혀지도록 아랫돌(30)의 상면 부근에 히터선(60)이 매입되어 있으며; 상기 아랫돌(30)의 매입된 히터선(60)에 의하여 가열된 열이 외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아랫돌(30)의 가장자리 둘레에 단열재(61)가 매입되어 있다. 이 히터선(60)은 분쇄물이 흐르면서 데워져 배출된 후 즉시 먹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매립되었다.
히터선(60)의 열이 아랫돌(30)의 외부측면에 전달되어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랫돌(30)의 가장자리에 환형의 홈을 형성하여 단열재(61)를 매립할 수도 있다. 또한 단열재를 아랫돌(30)의 외부측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아랫돌(30)의 중앙하부 부분에는 외부에 노출된 중공(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랫돌(30)의 배출로(32)는 중공(33)에 연통되어 있다. 아랫돌(30)의 중공(33)에는 수납용기(50)가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수납용기(50)는 다수의 배출로(32)로부터 배출되는 분쇄곡물을 받아 국물과 건더기를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수납용기(50)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망(51)을 설치하여 분쇄곡물에서 국물은 여과망(51) 아래로 빠지게 하고 건더기는 여과망(51) 위에 남게 하는 방식으로 분리할 수 있다.
수납용기(50)에는 손잡이(52)를 형성하여 중공(33)에 넣고 빼기를 편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과망(51)에는 가장자리에 수납용기(50)의 측벽상단에 걸리는 거치대(53)를 형성하여 분리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납용기(50)를 사용하는 대신에 배출로(32)를 아랫돌(30)의 측면 또는 저면까지 형성하여 분쇄곡물이 아랫돌(3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아랫돌(32)을 큰 용기 내에 넣거나 호스를 연결하여 별도의 분리기에서 분쇄곡물을 받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전체적으로 가마솥 형상으로 하여 곡물을 분쇄하며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콩, 녹두 등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을 물에 넣어 부풀게 한 후, 곡물과 소량의 물을 함께 조금씩 윗돌(10)의 곡물주입구(11)에 집어넣는다. 그리고 구동모터(70)를 작동하여 모터축(71)에 설치된 피니언기어(72)가 중간돌(20)에 고정된 링기어(73)를 회전시켜 중간돌(20)을 천천히 회전시킨다. 이 때 윗돌(10)은 중심축(40)에 의하여 아랫돌(3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하지 않는다.
중심축(40)의 상단(41)과 하단(42)이 각이 져 있으며 윗돌(10)의 축고정구멍(13)과 아랫돌(30)의 축고정구멍(34)도 상기 중심축(40)의 상단(41)과 하단(42)이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각이 져 있어서 윗돌(10)과 아랫돌(30)은 상대회전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중심축(40)이 회전하지 않고, 반면에 중심축(40)의 중간부분은 원통형으로 되어 중간돌(20)의 수직관통공(22)도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서 중간돌(20)이 중심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곡물주입구(11)의 곡물은 유입로(12)를 따라 윗돌(10)과 중간돌(20)의 틈새(c1)의 중앙부분에서 가장자리부분으로 흐르면서 조금씩 분쇄된다.
1차 분쇄된 곡물은 중간돌(20')의 가장자리부분에 있는 고랑(23)에 모이고 이어서 이동로(24)를 따라 아래로 흘러 중간돌(20)과 아랫돌(30)의 틈새(c2)로 흘러 들어간다. 고랑(23) 및 이동로(24)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중간돌(20)의 외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 아랫돌(30)의 가장자리부분에서 받아 중간돌(20)과 아랫돌(30)의 틈새(c2)로 흘러 들어간다.
1차 분쇄된 곡물은 중간돌(20)과 아랫돌(30)의 틈새(c2)의 가장자리부분에서 중앙부분으로 흐르면서 2차 분쇄되고 중앙부분의 고랑(31)에 모이고, 이어서 배출로(32)를 통하여 아래로 흘러간다.
배출로(32)의 하부에 중공(33)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 수납용기(5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로(32)를 빠져나온 분쇄곡물은 수납용기(50)로 흐른다. 또한 수납용기(50)는 여과망(51)이 설치되어 있어서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한다.
본 발명은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 그리고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 각각 스러스트베어링(43)(4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돌들 사이의 틈새(c1)(c2)가 상하의 맷돌사이에서 강한 충격이 일어나지 않으며, 마멸에 의한 돌가루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스러스트베어링(43)(44)으로 인하여 중간돌(20)을 돌릴 때 부드럽게 회전한다.
한편, 아랫돌(30)의 상면부분에는 히터선(60)을 매립한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곡물이 익혀서 배출되므로 수납용기(50)의 국물을 두유로 즉시 먹을 수 있고 더욱 가공하여 순두부로 먹을 수 있으며, 건더기는 두부 또는 콩비지로 먹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3단 맷돌은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 그리고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서 각각 곡물을 2차례에 걸쳐 분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곡물을 보다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곡물의 맛이 보다 고소하게 된다. 더불어 중간돌(20)을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돌리기 때문에 작업하는데 매우 편리하다.
또한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 그리고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에 각각 스러스트베어링(43)(4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하의 맷돌사이에서 강한 충격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맷돌의 마멸에 의하여 돌가루가 생성되지 않으며 분쇄곡물이 인체에 전혀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1, c2: 틈새
10: 윗돌 11: 곡물주입구
12: 유입로 13: 축고정홈
20: 중간돌 22: 수직관통공
23: 고랑 24: 이동로
30: 아랫돌 31: 고랑
32: 배출로 33: 중공
34: 축고정홈 35: 히터공
40: 중심축 41: 상단
42: 하단 43, 44: 스러스트 베어링
50: 수납용기 51; 여과망
52: 손잡이 53: 거치대
60: 히터선 61: 단열재
70: 구동모터 71: 모터축
72: 피니언기어 73: 링기어

Claims (8)

  1. 돌과 돌 사이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분쇄하는 맷돌에 있어서,
    중앙부분에 분쇄될 곡물이 투입되는 곡물주입구(11)와 주입된 곡물을 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유입로(12)가 형성되어 있는 윗돌(10);
    상기 윗돌(10)의 아래에 위치하여 윗돌(10)의 유입로(12)를 통하여 상면 중앙부분에 유입되는 곡물을 가장자리로 흐르게 하며 윗돌(10)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1차적으로 분쇄하는 중간돌(20);
    상기 중간돌(20)의 아래에 위치하여 중간돌(20)의 가장자리에서 유입되는 분쇄곡물을 중앙부분으로 흐르게 하며 중간돌(20)과의 압착력에 의하여 곡물을 2차적으로 분쇄하는 것으로서 분쇄된 곡물을 배출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아랫돌(30);
    상기 중간돌(20)은 회전가능하게 하고 윗돌(10)과 아랫돌(30)은 회전불가능하게 하는 중간돌 회전수단; 그리고
    상기 중간돌(20)을 회전하도록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맷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돌회전수단은 상기 중간돌(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관통공(22)과, 상기 수직관통공(22)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단(41)이 윗돌(10)에 결합되어 있고 하단(42)이 아랫돌(30)에 결합되어 있는 중심축(40)과, 상기 윗돌(10)과 중간돌(20)사이와, 중간돌(20)과 아랫돌(30)사이의 중심축(40) 주위에 각각 설치된 스러스트베어링(43)(4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맷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는 상기 중간돌(20)의 저면에 형성된 환형홈에 설치된 링기어(73)와, 상기 아랫돌(30) 내부에 모터축(71)이 아랫돌(30)을 관통하여 위로 뻗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70)와, 상기 모터축(71)의 선단에 중간돌(20)의 링기어(73)와 맞물리도록 결합된 피니언기어(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맷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돌(10)과 중간돌(20) 사이의 틈새(c1)는 분쇄되는 곡물이 중앙부분에서 가장자리로 흐를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돌(20)과 아랫돌(30) 사이의 틈새(c2)는 곡물이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분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맷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돌(30)의 배출통로는 상면 중앙부분에 형성된 환형의 고랑(31) 및 상기 고랑(31)에서 하향으로 뻗은 다수의 배출로(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배출로(32)의 하부에 외부로 연통된 중공(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맷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돌(20)의 상면 가장자리에 환형의 고랑(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랑(23)에서 저면까지 뻗은 이동로(24)가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랫돌(30)의 상면 지름은 중간돌(20)의 저면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중간돌(20)보다 외부로 뻗은 아랫돌(30)의 상면 가장자리 상면은 곡물이 내측으로 흐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맷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돌(30)의 상면 부근에 히터선(60)이 매입되어 있으며; 상기 아랫돌(30)의 매입된 히터선(60)에 의하여 가열된 열이 외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아랫돌(30)의 가장자리 둘레에 단열재(61)가 매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맷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돌(30)의 중공(33)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다수의 배출로(32)로부터 배출되는 분쇄곡물을 받아 국물과 건더기를 분리하는 수납용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맷돌.
KR1020150048666A 2015-04-06 2015-04-06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 KR101692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666A KR101692998B1 (ko) 2015-04-06 2015-04-06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
JP2017531778A JP6553724B2 (ja) 2015-04-06 2016-04-06 三段石臼
PCT/KR2016/003614 WO2016163760A1 (ko) 2015-04-06 2016-04-06 3단 맷돌
US15/534,015 US10471434B2 (en) 2015-04-06 2016-04-06 Three-stage millstones
CN201680004122.5A CN107529923A (zh) 2015-04-06 2016-04-06 三层石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666A KR101692998B1 (ko) 2015-04-06 2015-04-06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656A true KR20160119656A (ko) 2016-10-14
KR101692998B1 KR101692998B1 (ko) 2017-01-05

Family

ID=5707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666A KR101692998B1 (ko) 2015-04-06 2015-04-06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71434B2 (ko)
JP (1) JP6553724B2 (ko)
KR (1) KR101692998B1 (ko)
CN (1) CN107529923A (ko)
WO (1) WO2016163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530B1 (ko) * 2017-07-17 2020-08-13 문인술 맷돌을 이용한 순두부 제조기
KR102107944B1 (ko) * 2019-10-07 2020-05-07 차기정 커피 원두 분쇄용 맷돌
CN114669343A (zh) * 2022-03-03 2022-06-28 安徽天利粮油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结合半干法和湿法的糯米粉制粉装置及其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255Y1 (ko) * 1995-03-27 2000-11-01 안정오 자동두부제조기
JP2007185611A (ja) * 2006-01-13 2007-07-26 Nakamura Tekkosho:Kk 石臼粉挽き装置
KR20070101936A (ko) * 2006-04-13 2007-10-18 양형기 분쇄량을 배가시킨 3단층상의 맷돌식 분쇄기
JP2007313452A (ja) * 2006-05-26 2007-12-06 Masahiro Sugawara 石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6927A (en) * 1924-11-20 1925-10-13 Edward B Fritz Hydrating beating and refining machine
US3997120A (en) * 1972-08-31 1976-12-14 Raymond Zimmer Mill for grinding vegetable products
US3926380A (en) * 1974-05-24 1975-12-16 Emcee Corp Grain milling device
CH595138A5 (ko) * 1974-07-18 1978-01-31 Schnitzer Johann G
DE2448013C2 (de) * 1974-10-09 1983-03-31 Johann Georg Dr.med.dent. 7742 St Georgen Schnitzer Getreidemühle
US3952958A (en) * 1975-04-07 1976-04-27 Rich Dennis E Grinder apparatus for wheat, grains, and the like
DE3130519A1 (de) * 1981-08-01 1983-02-17 A. Hilmar Dr.-Ing. 7031 Aidlingen Burggrabe Mahlwerk einer haushalts-getreidemuehle
DE4407621B4 (de) * 1994-03-08 2005-03-10 Hawo S Kornmuehlen Gmbh Mahlwerk für eine Kornmühle
KR20030025356A (ko) * 2001-09-20 2003-03-29 김천자 곡물 분말기
JP6102126B2 (ja) * 2012-08-30 2017-03-29 株式会社Ihi 粉砕装置
CN202752056U (zh) * 2012-09-04 2013-02-27 河北农业大学 三层石磨制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255Y1 (ko) * 1995-03-27 2000-11-01 안정오 자동두부제조기
JP2007185611A (ja) * 2006-01-13 2007-07-26 Nakamura Tekkosho:Kk 石臼粉挽き装置
KR20070101936A (ko) * 2006-04-13 2007-10-18 양형기 분쇄량을 배가시킨 3단층상의 맷돌식 분쇄기
JP2007313452A (ja) * 2006-05-26 2007-12-06 Masahiro Sugawara 石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998B1 (ko) 2017-01-05
CN107529923A (zh) 2018-01-02
WO2016163760A1 (ko) 2016-10-13
US10471434B2 (en) 2019-11-12
JP6553724B2 (ja) 2019-07-31
US20180333726A1 (en) 2018-11-22
JP2017537784A (ja)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8159B (zh) 一种豆浆机
KR101692998B1 (ko) 동력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3단 맷돌
CN105433793A (zh) 一种无渣有网豆浆机
KR101386296B1 (ko) 생콩 파쇄 두유 제조기
CN107928462A (zh) 一种办公室用咖啡磨碎装置
KR101844056B1 (ko) 돌가루발생방지수단이 구비된 맷돌
CN105433825A (zh) 一种具有研磨功能的豆浆机
CN104970682B (zh) 一种榨汁机
CN104970678B (zh) 榨汁机
CN203873521U (zh) 一种榨汁机
KR101608951B1 (ko) 다수의 몽돌을 이용한 맷돌
KR101844057B1 (ko) 3단 맷돌
CN102550694B (zh) 豆浆机粉碎网罩
KR101704800B1 (ko) 물공급량조절수단이 구비된 맷돌
CN206371890U (zh) 食物料理机
KR101661752B1 (ko) 3단 맷돌
KR101843174B1 (ko) 즉석조리용 맷돌
KR101661753B1 (ko) 돌가루가 발생되지 않는 맷돌
KR20140106879A (ko) 두부용 두유 제조기
CN101862139A (zh) 制糊打浆电器的口杯式物料粉碎网罩
KR200466044Y1 (ko) 맷돌
KR200424355Y1 (ko) 쌀가루 자동분쇄기
KR200413917Y1 (ko) 두유제조장치
WO2007135728A1 (ja) コーヒーミル用回転刃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コーヒーミル
KR200391635Y1 (ko) 개량 분말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